KR101343843B1 -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843B1
KR101343843B1 KR1020110058185A KR20110058185A KR101343843B1 KR 101343843 B1 KR101343843 B1 KR 101343843B1 KR 1020110058185 A KR1020110058185 A KR 1020110058185A KR 20110058185 A KR20110058185 A KR 20110058185A KR 101343843 B1 KR101343843 B1 KR 101343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fukuidan
laver
seawe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8592A (ko
Inventor
전현철
전원찬
전병균
Original Assignee
전현철
전병균
전원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철, 전병균, 전원찬 filed Critical 전현철
Priority to KR1020110058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84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8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해초를 가공하여 건조한 마른김은 6 ~ 8개월이 지나면 향미와 기능과 색상이 퇴색하여, 상품적 가치가 시간과 비례하여 줄어들어 소비자의 외면과 국제경쟁력을 상실하는 문제를 안고 있는 우리 특산품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혼합조성물을 조성하여 전이 도포하는 마른김으로, 바다가 먼 오지에 요오드 공급과 지진 및 재난으로 인한 방사능 피복으로 발생하는 방사능 요오드의 피해를 방지하는 위기 대체식품과 육류와 같이 먹는 새로운 용도의 특수한 가치의 마른김으로 요오드 칼륨, 해송 추출물 분말, 콜라겐, 후쿠이단, 스테비아, 녹말, 에탄올을 함유하는 요오드 칼륨과 해송 추출물 분말을 혼합하는 후쿠이단 점액질 조성물을 전이시키어 함유하는 마른김을 개발하여 국제경쟁력을 높이의 방사능 요오드 피폭으로 고통받는 일본과 육류를 주식으로 하는 식생활을 가진 문화권과 바다가 먼 오지에 장수식품으로 수출을 통한 국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요오드 칼륨과 해송 추출물 분말을 혼합하는 후쿠이단 점액질 조성물을 전이시키어 함유하는 마른김의 제조방법은 (1)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 (2) 마른김과 혼합조성물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3) 후쿠이단을 조성하는 단계, (4) 후쿠이단과 콜라겐과 녹말과 에탄올의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5)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6)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마른김에 전이 도포하는 단계, (7) 전이 도포한 마른김을 자동 건조하는 단계, (8) 건조한 마른김을 절단 선별하는 단계, (9) 절단 선별한 마른김을 포장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요오드 칼륨과 해송 추출물을 혼합하는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Dried Seaweed Including Fucoidan Composition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초류에서 얻은 후쿠이단 점액질과 요오드화 칼륨, 콜라겐 등의 유효성분을 더 포함하여 제조되는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묵은 김에 도포하여 제조함으로써, 김의 풍미나 색상이 살아나고, 각종 영양 성분과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후쿠이단 조성물을 포함하는 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김을 비롯한 해초류에는 요오드 성분이 있어, 갑상선에도 좋으며, 방사능 유출 사고 등이 있는 곳에서는 방사능 오염물을 흡수하는 기능이 있어, 김이나, 해초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마른김(海苔)은 바다에서 해초(물김)를 가공 건조한 것으로 해초를 채취 2 ~ 5일이 지나면 품성을 상실하고, 해초를 가공한 마른김은 성형 건조 한지 3개월이 지나면 구수한 향미가 줄어들고 해초 특유의 불쾌한 향미가 증가하여 6 ~ 8개월이 지나면 묵은 마른김으로 향미와 기능과 색상이 퇴색하여 상품적 가치가 시간과 비례하여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김이 쉽게 산패되는 것을 막고, 색상과 향미가 우수하며, 후코이단 성분을 포함하여, 김에 부족한 성분을 다양하게 추가한 영양 가치가 높은 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후코이단 성분과 건강에 좋은 기타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김 조성물을 제공하고, 묵은 김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요오드 칼슘과 해송 추출물 분말을 혼합하는 후쿠이단 점액질 조성물을 전이시키어 함유하는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을 조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단계별로 명확하게 간결하게 기술적 단계를 구성하고 과제별 목적과 방법을 공정별로 설정하여 독립기술을 유지하는 과제 해결 수단을 아래와 공정의 순서에 의하여 단계별로 제시한다.

제1공정은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
본 발명에 사용하는 원료는 마른김 1장의 중량을 용도에 따라 0.5 ~ 3.5g 즉 2±1.5g의 중량 또는 가로 10 ~ 30㎝ × 세로 15 ~ 45㎝의 전장의 마른김을 선별하고, 무색투명한 결정 또는 백색 결정상의 분말로 냄새가 없는 요오드 칼륨을 선정하고, 식물성 유황을 함유한 해송 추출물 분말을 선정하고, 동물성 단백질인 콜라겐분말을 선정하고, 건조한 해초에서 추출한 후쿠이단 점액질을 선정하고, 칼로리가 낮은 천연 감미료 스테비아 분말을 선정하고 곡물과 구근(球根)을 가공한 녹말을 선장하고, 곡물과 구근에서 추출한 에탄올을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다.

제2공정은 마른김과 혼합조성물의 배합비율을 선정하는 단계.
요오드 칼슘과 해송 추출물 분말을 혼합하는 후쿠이단 점액질 조성물을 전이시키어 함유하는 마른김의 배합비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마른김 70 ~ 99.5중량% 및 후코이단 혼합조성물 30 ~ 0.5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은 후쿠이단 점액질 31 ~ 98.5중량%, 콜라겐 10 ~ 0.1중량%, 스테비아 2 ~ 0.1중량%, 해송 추출물 분말 2 ~ 0.1중량%, 요오드화 칼륨 10 ~ 0.1중량%, 녹말가루 10 ~ 0.1중량%, 에탄올 35 ~ 1중량%를 혼합하여 생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오드 칼슘과 해송 추출물 분말을 혼합하는 후쿠이단 점액질 조성물을 전이시키어 함유하는 마른김의 배합비율이다.

제3공정은 후쿠이단 점액질을 조성하는 단계.
상기 제1공정의 건조한 해초류(미역 및 미역귀, 다시마, 톳, 매생이 등)를 상온정수로 표피를 세척하고, 해초 90 ~ 10중량%에 40 ~ 60℃ 가온 정수 10 ~ 90중량%를 넣고 2 ~ 30시간 2 ~ 20rpm으로 휘저어 섞는 자동 솥에서 점액질을 생성하여 10 ~ 100메쉬 천으로 해초와 점액질을 여과분리하여 수득한 후, 20℃ 이하로 저장하여 제조되는 후쿠이단 점액질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4공정은 후쿠이단, 콜라겐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
상기 후쿠이단 점액질에 제2공정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향의 콜라겐과 에탄올을 5 ~ 60rpm이하의 회전으로 휘저어 자동 솥에서 2 ~ 5분간 섞어 후쿠이단 점액질과 콜라겐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5공정은 후쿠이단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
상기 제4공정의 후쿠이단 점액질과 콜라겐과 에탄올의 혼합물에 제2공정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스테비아분말, 해송추출물 분말, 요오드 칼륨 분말, 녹말가루를 5 ~ 60rpm이하의 회전으로 휘저어 섞는 자동 솥에서 2 ~ 15분간 섞어 후쿠이단 점액질 콜라겐 스테비아 요오드 칼륨, 녹말가루가 혼합된 생성물은 단맛을 가진 청남색의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6공정은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을 마른김에 전이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공정에서 선정한 마른김을 자동 시스템(5 ~ 250rpm)으로 움직이고 길이가 2 ~ 6m 마른 김 자동 전이 도포 전송기(Conveyor System) 제1구간의 투입구에 마른김을 차례로 투입 터널의 내부 온도를 100 ~ 200℃에서 마른김의 습기를 제거하고, 이어지는 자동도로전송기 상, 하에 1 ~ 4개의 점성분사 노즐의 분사 구로 60 ~ 100℃로 가온한 제5공정의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을 10 ~ 100㎝의 거리에서 1 ~ 5㎏/㎠의 압력으로 분사, 자동 감지기에 의하여 차례차례 균일하게 자동 전이 도포하여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마른김에 전이 도포한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7공정은 전이 도포한 마른김을 자동 건조하는 단계.
상기 제6공정의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마른김에 전이 도포한 생성물을 상기 전송기 제2구간에서 30 ~ 60℃의 온풍으로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제 3구간에서 60 ~ 150℃의 온풍으로 수분과 에탄올의 동반건조로, 변화된 해초의 악취를 제거하고 전송기 마지막 부분에서 통풍이 이루어지는 저장용기에 10 ~ 5000장씩 자동으로 담아 5 ~ 10℃의 저온 고로 이송 5 ~ 48시간 숙성 건조로 녹말과 콜라겐에 의한 표면의 경화가 이루어지고, 녹말과 콜라겐과 스테비아에 의하여 향미를 복원시키고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이 도포한 마른김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8공정은 건조한 마른김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제7공정의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이 전이 도포한 마른김을 수요자의 용도에 따라 가로 7㎝ × 세로 5㎝ 또는 가로 7㎝ × 세로 10㎝ 또는 가로 7㎝ × 세로 15㎝ 또는 가로 7㎝ × 세로 20㎝ 또는 가로 14㎝ × 세로 5㎝ 또는 가로 14㎝ × 세로 10㎝ 또는 가로 14㎝ × 세로 15㎝ 또는 가로 14㎝ × 세로 20㎝ 또는 가로 21㎝ × 세로 5㎝ 또는 가로 21㎝ × 세로 10㎝ 또는 가로 21㎝ × 세로 15㎝ 또는 가로 21㎝ × 세로 20㎝ 또는 가로 28㎝ × 세로 5㎝ 또는 가로 28㎝ × 세로 10㎝ 또는 가로 28㎝ × 세로 15㎝로 ±3% 내의 오차에서 절단 선별하고, 합당하지 못한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이 전이 도포한 마른김을 절단파쇄하여 가루 김을 고명으로 상품화하는 건조한 마른김을 절단 선별하는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9공정은 절단 선별한 마른김을 포장하는 단계.
상기 제8공정의 건조한 마른김을 절단 선별하는 생성물을 수요자의 용도에
따라 알루미늄 호일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성형용기에 방습제와 같이 5 ~ 100매씩 자동진공포장기로 포장하는 단계로 색상과 향미가 개선된 햇김과 같은 청남색의 광택을 가지며, 육류와 같이 멋을 때 육류의 느끼한 향미가 개선되어 담백하고 정갈한 맛과 향으로 육류의 소화를 촉진하는 다양화고 새로운 기능과 용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오드 칼륨과 해송추출물분말을 혼합한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영양과 대사작용 및 서로 혼합하여 나타나는 화환의 기능과 이로 인하여 상승하는 기능적 특성

본 발명은 해초류에서 얻은 후쿠이단 점액질을 추가함으로써, 김에 보호막을 생성함으로써, 장기 보존하여도 성분과 향미와 색상이 변질을 막아 장기 저장하여도 변질하지 않는다.

또한, 콜라겐, 녹말 등을 이용해 김이 잘 부스러지지 않고 인장력이 높은 김을 제조할 수 있으며, 천연 감미료인 스테비아 등을 추가하여 풍미와 색상이 더 개선된 김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요오드화 칼륨을 추가하여, 요오드의 흡수를 높이고, 색상을 더 선명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며, 콜라겐, 해송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김에 부족한 영양성분을 보충할 수 있다.

첨가하는 천연감미료인 스테비아, 콜라겐, 녹말은 제조시 가열에 의하여 표면에 경화 및 탄화(炭化)과정을 거쳐, 고소하고 달콤한 향미가 생성되며, 묵은 김에 도포한 경우, 햇김과 같은 향과 맛이 복원되므로, 동서양 모든 사람들이 좋아하는 고소하고 달콤한 새로운 향미를 복원하고 증가시킬 수 있다.

첨가하는 요오드화 칼륨과 녹말과 동물성 단백질인 콜라겐이 섞이게 되면 용액에 녹아 있던 요오드 분자가 녹말 분자와 콜라겐 분자 사이에 끼어 들어가 청남색을 띠는 새로운 색상을 창출하므로, 청남색은 요오드가 들어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실한 증거로, 변화된 청남색은 해초인 물김과 이를 가공한 마른 햇김의 고유의 색상으로 변화됨으로써, 산화 및 미생물의 번식으로 검은 색상으로 퇴색된 묵은 마른김에 에탄올에 의한 탈색과 요오드에 의한 새로운 색상을 복원시키고, 표면에 콜라겐과 녹말에 의한 도포로 반사(빛)의 성질을 가진 투명성이 나타나 햇김과 같은 색상이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첨가하는 녹말과 단백질의 전이 도포로 김의 표면성분이 공기와 접촉이 차단되므로 동일 조건에서 생산된 일반 김과 본 발명의 생성물을 같은 조건의 25℃ 상온에서 일반 김은 3개월부터 향미와 색상의 변화가 생기고, 본 발명의 생성물은 6개월이 지나도 원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장기보존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요오드와 에탄올의 혼합물은 살균 능력을 상승시키는 조성물을 묵은 마른김에 조성물을 균일하게 분사함으로써, 세균을 살균하므로 김밥의 보존기간이 일반 김에 비하여 14시간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바다가 없는 대륙의 내륙과 오지 인에게 부족한 요오드 및 칼륨과 유황을 현지인이 즐기는 곡물과 육류와 구근류의 각각의 식단에 간단하게 추가하므로 부족하기 쉬운 미량원소를 공급하므로 생명을 연장하는 장수식품으로서 가치를 상승시키는 새로운 기능에 의한 새로운 용도는 본 발명으로 이루어지는 차별된 효과다.

또한,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마른김을 방사능 요오드의 위험이 있는 곳에서 생활하는 사람이 상시 먹으므로 사람 몸속의 갑상선에 비 방사능 천연 요오드 성분을 축적(蓄積) 시키어 천재지변의 의한 재난, 인재, 방사능요오드에 직업적 노출이 심한 산업전선의 종사자들의 방사능 요오드의 흡수를 저지하고, 칼륨과 유황의 특성에 의한 기능으로, 새로 들어오는 방사능 요오드의 배출을 도우는 효과는, 방사능 요오드로 발생하는 재난을 예방하는 위기 대체식품으로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으로 이루어지는 보통 김과 차별된 효과다.

또한, 유엔(세계보건기구)에서는 인류가 건강하게 장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명이 짧은 지역의 원인을 조사한 결과, 바다가 먼 대륙의 오지인 들에는 요오드 성분이 부족한 것을 발견, 조기에 노화가 오는 것을 확인하고, 요오드의 섭취를 권장하고 있고, 중국정부는 1996년부터 10개의 염전에서 요오드 소금을 생산공급하여 장수를 기원하고 있는 사실은, 요오드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요오드 소금보다는 소금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고, 또 다른 여러 가지의 성분과 같이 요오드 성분을 함유하는 본 발명으로 이루어지는 요오드 칼륨과 해송추출물을 혼합하는 후쿠이단 점액질 조성물을 전이시키어 함유하는 마른김은 여러 가지의 많은 미량원소를 제공하여 건강한 장수식단을 간단하게 제공하는 효과는 수출을 통한 국익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본 발명으로 이루어지는 차별된 효과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배합비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마른김 70 ~ 99.5중량% 및 후쿠이단 혼합조성물 30 ~ 0.5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은 후쿠이단 점액질 31 ~ 98.5중량%, 콜라겐 10 ~ 0.1중량%, 스테비아 2 ~ 0.1중량%, 해송 추출물 분말 2 ~ 0.1중량%, 요오드화 칼륨 10 ~ 0.1중량%, 녹말가루 10 ~ 0.1중량%, 에탄올 35 ~ 1중량%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김 조성물에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김은 홍조류에 속하는 해조류로서 10 ∼ 15㎝가량이고 빛깔이 검고 광택이 나며 향기가 좋은 것, 구웠을 때 청록색으로 변하는 것이 좋은 김이다. 김은 식물성 식품 중에서 조혈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타민 B12를 가장 많이 함유한 것 중의 하나이다.
김에는 단백질도 많이 들어 있는데 품질이 좋은 것에는 30 ∼ 35%의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비타민 A, B1, B2, C, D, 칼슘, 칼륨, 인, 철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게 포함된다.

김의 일반 성분. 수분 13%, 단백질, 지방, 당질, 섬유질, 회분, 칼슘, 인, 철분, 비타민A, 비타민B1, B2, 비타민C등 매우 다양하다.

마른 김 5장에 들어 있는 단백질 양이 달걀 1개에 들어 있는 양과 비슷하나, 품질이 나쁜 김에는 단백질보다 탄수화물이 더 많이 들어 있다. 소화도 잘 되기 때문에 아주 좋은 영양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동맥경화와 고혈압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진 콜레스테롤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성분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10g(5장)에는 칼슘 39㎎, 철분 1.2g, 칼륨 210㎎, 미각장애를 예방하는 아연 510㎎, 비타민A 효력 1400U 등과 미네랄을 간단하게 섭취할 수 있고, 파래 김은 말린 김의 다섯 배 이상의 칼슘과 2배 이상의 철분이 들어 있고, 마른 김 한 장 약 2g에는 β-카로틴을 피망의 2배를 함유하고 있고 비타민A 효력은 140IU다.

김 100g(50장)에는 식이섬유 함량이 양배추의 16배 귤의 30배 이상 있고 김 속에 요오드 성분을 함유하여, 고추장 곰팡이 생기지 못하게 살균 작용을 한다. 상온에서 마른 김의 유통기간은 보통 3개월이고, 저온 저장은 6개월로 관리되고, 상온에서 기름을 바른 조미 김은 산패가 더욱 일찍 온다.

미역은 다시마목 미역과에 속하는 1년생 대형 조류로서, 한국과 일본에서만 자란다. 잎은 중간 부위에서 양쪽으로 길게 날개 모양으로 갈라져 나온다. 포자 엽(胞子葉)은 줄기의 아래쪽과 뿌리 부분 사이에서 양쪽으로 주름이 생긴다. 자라는 지역에 따라 잎의 형태에 차이를 보인다.

모양은 식물체는 엽상부 전체 모양이 난원형 또는 피침형이다. 엽상부의 중륵은 줄기로 이어지고 납작하며 기 부에서는 미역귀라고 불리는 포자 잎(胞子葉)을 형성하여 이곳에 포자가 형성하고 포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미끈미끈한 점액성을 성분 분비하는 것으로, 이것이 후쿠이단(Fucoidan)의 성분이다. 줄기는 편압된 타원형이고, 그 기부의 뿌리는 차상(叉狀)으로 여러 번 갈라져서 복잡하게 얽힌 모양을 하며 바위 등에 부착한다. 미역의 영양성분 표 1과 같다.

Figure 112013072637429-pat00005

칼슘 함량이 720㎎으로 많으며, 골격, 치아 형성, 산후 자궁수축과 지혈작용을 한다.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 구성성분으로 심장, 혈관 활동, 체온과 땀 조절, 신진대사 증진시킨다. 강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쌀 140g의 산도를 중화시키는데 2.2g의 미역이면 충분, 고기, 생선, 계란 등의 산성식품 중화 시에도 가장 효과적이다.

후쿠이단(Fucoidan) 성분은 탄수화물인 Fucose와 Galactose, 유론산이 주성분으로 황산기를 갖고 있는 해조 갈조류의 끈적끈적한 점질물 속에 미량 들어있는 수용성 다당체(Polysaccharide)이다.

후쿠이단은 해조류들이 거친 바다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만들어 내는 물질로서, 상처 난 부위에 나쁜 세균이 침입하지 못하게 방어하는 역할의 항균력과 면역력, 그리고 햇빛에 노출됐을 때 엽채의 건조를 방지해주는 보습력과 같은 강한 생리활성작용을 한다. 특히, 후쿠이단에는 흔히 알려진 생리활성물질인 버섯류의 베타글루칸 같은 다른 다당류와는 달리, 당 구조에 황산 기(SO 4)를 갖고 있어, 그 효과가 차별화되고 있다. 황산 기가 높을수록 후쿠이단의 효과가 좋고, 국내산 미역귀에서 황산 기가 25 ~ 30% 정도 가량으로 있고, 미역귀를 물속에 두었을 때 끈적거리는 성분이 황산 기의 성분이고 이것이 후쿠이단이다.

후쿠이단은 항산화 후 코스(U-focus)를 주성분으로 황산화 다당류(Sulfated Polysacchalides)로 갈락토오스, 만노스, 기시로스 등의 당과 황산염(sulfate), 우론산(Uronic acid) 등이 결합한 구조를 가지는데, 해조류에 함유된 다른 다당류인 알긴산 등과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황산 기를 다량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다른 다당류와는 달리 강력한 생리활성 및 항암 등의 효과를 보인다.

후쿠이단은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에 들어있는 생리활성물질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물질이며, 세계적으로, 항 혈전, 항암, 면역증강, 항알레르기, 항균작용 등 다양한 의학적인 효과가 연구, 보고되고 있고, 국제적인 연구논문이 1,000여 편에 이르고 있으며, 지금도 세계 각국에서 수많은 연구를 통해 많은 연구결과가 쏟아지고 있는 관심의 물질이다. 후쿠이단에 함유된 아미노산 종류 및 함량(㎎/100g)을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72637429-pat00006

후쿠이단은 다른 다당류와 비교하여 황산기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황산기 성분을 가지며, 미끈미끈한 성분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황(S) 성분으로 인해, 상처를 치유 및 회복하는 기능이 있다. 황산 기는 우리 인간의 위 속에도 존재하며 위 점막의 끈적끈적한 구성을 하고 있다.

후쿠이단이 위(胃) 속으로 들어가면 위 점막에 달라붙어 구석구석까지 코팅하여 위를 보호하여 주는 기능이 있고, 또한, 후쿠이단은 점막표면에 침투하여 위 점막을 자극하여 염증 부분에 작용한 결과, 정상적인 세포가 다시 생겨나고, 궤양을 치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일본과 미국의 연구에서는 후쿠이단이 혈액응고 방지작용, 항종양작용, 위궤양 치료 촉진작용, 항균작용, 혈압상승억제작용, 간세포증식인자(HGF) 생산유도, 혈당상승억제작용, 항알레르기작용, 항바이러스작용이 있다고 확인했다.

특히, 소화기계통 암 종류 치유에 70 ~ 80%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대부분의 암 치유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藤井박사는 선천성 급성 림프(淋巴)구 백혈병 세포(MOLT 4)에 후코이단의 분말을 첨가하여 암세포에 대하여 효과가 있는지 실험을 한 결과, 종양 세포는 확실히 생존율이 저하하였다. 실험쥐를 이용한 실험 결과, 림프에 암세포 이식 실험쥐로 하여금 후쿠이단을 섞어 먹인 것과 보통 먹이만을 각각 20일간 먹인 후, 종양 중량이 보통 먹이만을 비교하여 후쿠이단을 투여한 쪽에서는 절반으로 줄었고. 더욱이 비장 속에 있는 백혈구의 세포를 조사해서, N K세포 활성도를 보면 역시 후코이단을 투여한 실험쥐 쪽에서 약 2배의 N K세포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스테비아는 국화과(菊花科)의 다년생(多年生) 초본인 잎에 설탕보다 200 ~ 300배 단맛이 있어 이것을 추출하여 분말한 천연 감미료이다. 마른 스테비아 잎에는 감미료인 스테비아가 3 ~ 8% 함유되어 있으며 단맛이 설탕과 유사하다. 스테비오사이드는 비만 예방 및 치료, 충치예방, 당뇨환자의 감미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식품가공에 사용할 때는 칼로리가 없으므로 부패를 방지할 수 있고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설탕 일부를 스테비오사이드로 대체해 주면 칼로리를 줄일 뿐만 아니라 청량감도 높일 수 있다. 어묵, 생선살 소시지, 조미건어물에 값비싼 솔비톨이나 인공감미료, 사카린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스테비오사이드는 단맛은 있으나 부작용이 있었던 인공감미료와는 달리 아직까지 부작용이 드러나지 않은 안정성이 높은 천연감미료이다.

해송 추출물 분말은 바닷가 소나무의 추출물로서, 일반 소나무와 달리 유황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식용 유황에 해당하며, 소나무의 껍질과 잎에서 유황성분을 추출하여 분말로 가공한 것으로, 식용 유황이라 하고, 광물성 유황과 구분하여 사용한다. 광물성 유황은 법제 없이는 사람이 사용할 수 없지만, 소나무에서 추출한 식용유황은 보통 유황의 성분이 10 ~ 30% 이상으로 소나무의 생존과 성장에 의하여 스스로 법제가 이루어져 사람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천연 식용유황은 1930년 구소련 주코프 박사 및 1963년 제이콥 박사가 DMSO(Dimethyl Sulfoxide) 임상실험 결과, 인체건강의 초대의 적이 되는 중금속, 화공약품 각종 농약 등의 공해물질의 오염에서 해방될 수 있는 신비한 해독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미첼 박사는 생체정화 및 해독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했다고 강조했고, 조미료, 감미료, 표백제, 비료, 염료, 농약 등에도 유황성분이 이용되고 있다.

유황은 미토콘드리아에 불을 지펴 주는 에너지원으로서, 정자 구조 내의 미토콘드리아 나선에 불을 지펴 주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어, 정자의 활력에도 도움이 된다. 만약, 정자 섬유 초의 미토콘드리아가 공해 독으로 인하여 상처를 입게 되면 정자는 기형화되고, 활동력은 떨어지게 되며, 정자의 수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유황의 기능은 공해 독으로 인하여 손상된 정자의 세포를 치료해 주어 죽어 가는 정자를 살리고, 정자의 활동력을 증강하고, 환경 호르몬으로부터 정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인슐린 호르몬의 끈(S-S)을 이어주는 것이 유황으로 인슐린 호르몬은 유황성분 없이 합성될 수 없다. 당뇨병 치료제 톨부타미드(Tolbutamide) 5의 주성분으로 들어가는 것이 유황이다.

콜라겐(Collagen)은 지금까지 11가지의 종류가 보고되고 있는데, 교원질(膠原質), 아교 질이라고도 하며, 힘줄(Tendon), 인대(靭帶), 진피(眞皮)의 결합 조직 층, 상아질, 연골조직 등에 있는 단백질이다. 이는 물에 잘 녹지 않는 단백질인 경질단백질(Albuminoid)에 속하며 아미노산 중 특히 글리신(Glycine)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또한, 단백질 가운데 유일하게 히드록시프롤린을 포함하며, 끓는 물에서 젤라틴으로 변한다. 콜라겐이라는 것은 원래 피부와 힘줄, 뼈, 연골에서 연결조직을 구성하는 단백질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콜라겐은 인간을 비롯한 동물의 체내에서 세포와 세포 사이를 메우고 있는 아주 중요한 섬유상태의 경단백질이다. 또한, 면역기능을 향상시키고, 세포의 재생작용을 촉진시켜 관절을 튼튼하게 해주며, 피부의 신진대사 활성화 및 보습유지를 통하여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뼈의 유기물 중 80%가 콜라겐이기 때문이다. 뼈는 콜라겐 섬유에 칼슘이 흡착하여 형성된다.

에탄올 또는 에틸알코올(Ethyl Alcohol)은 무색의 가연성 화합물로 알코올의 한 종류이며, 단백질을 응고시키는 성질이 있으므로 살균작용이 있다. 살균력은 70% 수용액이 최대이고, 60% 이하 및 80% 이상에서는 소독, 살균력이 적고, 요오드팅크(옥도 정기)는 요오드 60g, 요오드화칼륨 40g에 70% 에틸알코올 100mℓ를 가하여 만들어 의약품으로 강한 살균제로 사용한다.

요오드화 칼륨 (Potassium Iodide, 화학식 KI)은 무색투명한 결정 또는 백색 결정상 분말로 냄새가 없다. 요오드는 물에 잘 녹지 않지만, 요오드화칼륨은 수용성으로 물에 잘 녹는 물질이다. 요오드화칼륨을 물에 녹여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에 요오드를 녹이면 잘 섞여, 요오드-요오드화칼륨용액이 만들어진다. 결국, 물에 요오드화 칼륨이 녹아 있고 요오드화칼륨에 요오드가 녹아 있는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 용액은 갈색을 띠는데, 녹말과 섞이게 되면 용액에 녹아 있던 요오드 분자가 녹말 분자 사이에 끼어 들어가 청남색을 띠는 물질이 만들어진다. 요오드는 천연으로는 유리상태로 존재하지 않고, 주로 해초, 해산동물 속에 요오드 화합물로 존재하고, 미역에 약 0.5 ~ 0.8%의 비 방사선 천연 요오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요오드에는 비 방사선 요오드(127)와 방사선 요오드(131)로 구분하고 있고, 둘 다 화학적 성질은 같다. 요오드는 우리 갑상선에 쉽게 흡수된다. 일시적으로 우리 몸의 갑상선에 흡수되는 요오드의 양은 일정하게 정해져 있으므로, 방사성 요오드가 호흡기를 통하여 흡수되기 전에 비 방사성 요오드를 다량 섭취하면, 우리 몸의 갑상선에 요오드가 포화 되어, 그 후에는 어떠한 요오드가 체내로 유입되더라도 더 이상 갑상선에 축적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방사능 요오드를 비 방사능 요오드로 다스린다는 말이 있다.

요오드는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되는 미량 영양소의 하나로, 성인의 체내에는 약 25㎎이 존재하고 있고, 대부분이 갑상선(甲狀腺)에 있으며, 그 속에 들어 있는 갑상선(甲狀腺) 호르몬(thyroid hormone)의 주성분이 요오드로서, 조직 세포에서 산소가 소비되는 속도를 자극하여 체내의 대사속도를 촉진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진 호르몬이다.

갑상선 호르몬은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호르몬으로서, 만약 부족하게 되면 에너지가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아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게 되며, 갑상선 호르몬이 너무 많으면 신진대사가 활발해져서 식욕은 증가하나 체중은 줄어들고, 체온이 높아져 피부가 더워지며, 땀이 많이 나고, 조금만 움직여도 맥박이 빨라지고, 땀을 많이 흘리게 된다. 사람은 요오드를 직접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요오드 많은 해초류와 요오드-요오드화 칼륨으로 흡수하는 것이 좋고, 요오드 요오드화 칼륨은 만성관절염 만성류머티즘 경통 만성금속중독 매독 등의 의약품을 제조하는 화합물의 원료로도 사용한다.

한편, 방사성 요오드는 즉 대기 중의 핵실험에서는 대량으로, 원자로 사고의 경우에도 일반 환경 중으로 방출되고, 의학적 진단용으로 사용하는 X-광선 촬영으로 미량이 방출된다. 환경 중에 방출된 방사성 요오드는 우유나 채소를 통해 사람에게 섭취되어 주로 갑상선에 침착한다. 사람의 갑상선은 성인이 약 20 ~ 60g 정도로 작기 때문에 단위 섭취량 당의 조직선량(組織線量)은 다른 많은 원소보다 크며, 특히 유 유아(乳幼兒)는 이런 경향이 강하고, 갑상선이 대량으로 방사선을 피폭하면 갑상선암이 될 확률이 커진다. 갑상선에서 요오드는 저장 단백질 티로 글로불린의 티로신 잔기에 결합해 있으며 이것이 단백효소의 작용을 받으면 호르몬으로서 방출된다.

본 발명의 후쿠이단 혼합물을 포함하는 마른김의 제조방법은 다음 단계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1) 미역, 다시마, 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해초를 상온정수로 표피를 세척하고, 해초 90 ~ 10중량%에 40 ~ 60℃ 가온 정수 10 ~ 90중량%를 넣고 2 ~ 30시간 2 ~ 20rpm으로 회전하는 자동 솥에서 점액질을 생성하여 10 ~ 100 메쉬 천으로 해초와 점액질을 여과분리하여 수득한 후, 20℃ 이하로 저장하여 제조되는 후쿠이단 점액질을 조성하는 1단계.

(2) 상기 후쿠이단 점액질 31 ~ 98.5중량%에 콜라겐 10 ~ 0.1중량%과 에탄올 35 ~ 1중량%를 5 ~ 60 rpm으로 회전하는 자동 솥에서 2 ~ 5분간 혼합한 후, 스테비아 2 ~ 0.1중량%, 해송 추출물 분말 2 ~ 0.1중량%, 요오드화 칼륨 10 ~ 0.1중량%, 녹말가루 10 ~ 0.1중량%를 5 ~ 60rpm로 회전하는 자동 솥에서 2 ~ 15분간 혼합하여, 단맛을 갖는 청남색의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2단계.

(3) 상기 마른김을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하여 움직이는 마른김 자동 전이도포 전송기를 이용하여 투입 터널의 내부 온도를 100 ~ 200℃로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전송기의 상, 하에 1 ~ 4개의 노즐의 분사 구로 80 ~ 100℃로 가온한 후에 상기 제2단계의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을 10 ~ 100㎝의 거리에서 1 ~ 5㎏/㎠의 압력으로 분사하여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마른김에 도포하는 3단계.

(4) 상기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마른김에 도포한 것을 전송기 일부 구간에서 30 ~ 60℃의 온풍으로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다른 구간에서 60 ~ 150℃의 온풍으로 수분과 에탄올의 동반 건조하고, 저장 용기에 10 ~ 5000장씩 담아 5 ~ 10℃의 저온 고에서 5 ~ 48시간 숙성 건조로 상기 마른김을 자동 건조하는 4단계

(5) 상기 도포한 마른김을 용도에 따라 크기를 선정하여 마른김 절단 선별하는 5단계.

이하, 상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원료는 마른김 1장의 중량을 2g으로 가로 15㎝ × 세로 25㎝의 전장의 마른김을 선별하고, 무색투명한 백색 결정상 분말로 냄새가 없는 요오드화 칼륨을 선정하고, 식물성 유황을 함유한 소나무 추출물 분말을 선정하고, 동물성 단백질인 콜라겐분말을 선정하고, 건조한 해초에서 추출한 후코이단 점액질을 선정하고, 칼로리 낮은 천연 감미료를 스테비아 분말을 선정하고, 곡물과 구근을 가공한 녹말을 선정하고, 곡물과 구근에서 추출한 에탄올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미역, 다시마, 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해초를 상온정수로 표피를 세척하고, 해초 90 ~ 10중량%에 40 ~ 60℃ 가온 정수 10 ~ 90중량%를 넣고 2 ~ 30시간 2 ~ 20 rpm으로 회전하는 자동 솥에서 점액질을 생성하여 10 ~ 100 메쉬 천으로 해초와 점액질을 여과분리하여 수득한 후, 20℃ 이하로 저장하여 제조되는 후코이단 점액질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미역귀 등의 침지 정수온도는 수백 번의 실험을 통하여 얻는 결과로 50±5℃의 온도는 끈적끈적한 점액질염분의 가장 많이 생성하는 것을 발견했다.

다음으로, 상기 후쿠이단 점액질 31 ~ 98.5중량%에 콜라겐 10 ~ 0.1중량%과 에탄올 35 ~ 1중량%를 5 ~ 60 rpm으로 회전하는 자동 솥에서 2 ~ 5분간 혼합한 후, 스테비아 2 ~ 0.1중량%, 해송 추출물 분말 2 ~ 0.1중량%, 요오드화 칼륨 10 ~ 0.1중량%, 녹말가루 10 ~ 0.1중량%를 5 ~ 60rpm로 회전하는 자동 솥에서 2 ~ 15분간 혼합하여, 단맛을 갖는 청남색의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을 제조한다.

여기서, 방사능 요오드 피폭의 량에 따라 혼합조성물의 배합비율과 요오드화 칼륨과 해송 추출물 분말의 량을 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마른김을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하여 움직이는 마른김 자동 전이도포 전송기를 이용하여 투입 터널의 내부 온도를 100 ~ 200℃로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전송기의 상, 하에 1 ~ 4개의 노즐의 분사 구로 80 ~ 100℃로 가온한 후에 상기 제2단계의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을 10 ~ 100㎝의 거리에서 1 ~ 5㎏/㎠의 압력으로 분사하여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마른김에 도포한다. 자동 감지기에 의하여 차례차례 균일하게 자동 전이도포하여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마른김에 골고루 도포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마른김에 도포한 것을 전송기 제2구간에서 30 ~ 60℃의 온풍으로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제3구간에서 60 ~ 150℃의 온풍으로 수분과 에탄올의 동반 건조하고, 저장 용기에 10 ~ 5000장씩 담아 5 ~ 10℃의 저온 고에서 5 ~ 48시간 숙성 건조로 상기 마른김을 자동 건조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도포한 마른김을 용도에 따라 크기를 선정하여 마른김 절단한다. 선별한 마른김을 방습제와 같이 100매씩 자동진공포장기로 포장한다.

이하,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제조과정
(1) 건조한 해초류(다시마)를 상온정수로 1회 해초의 표피를 세척하고, 해초류 70중량%에 40 ~ 60℃ 가온 정수 30중량%에 30시간 100rpm으로 휘저어 섞는 자동 솥에서 담가 점액질을 생성하여 20 메쉬 여과 천으로 해초와 점액질을 여과분리하여 수득한 점액질은 20℃ 이하로 저장하고, 여과분리한 해초는 일광 또는 온풍으로 건조하여 짠맛이 적은 해초 부각의 원료로 사용하는 후쿠이단 점액질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한 해초류(미역귀)를 상온정수로 해초의 표피를 1회 세척하고, 해초류 50중량%에 40 ~ 60℃ 가온 정수 50중량%에 15시간 동안 5rpm으로 휘저어 섞는 자동 솥에서 담가 점액질을 생성하고 50메쉬 여과 천으로 해초와 점액질을 여과분리하여 수득한 점액질은 20℃ 이하로 저장하고, 여과분리한 해초는 일광 또는 온풍으로 건조하여 짠맛이 적은 해초 부각의 원료로 사용하는 후쿠이단 점액질을 조성했다.

후코이단 점액질 50중량%, 콜라겐 3중량%, 스테비아 0.5중량%, 해송 추출물 분말 1중량%, 요오드화 칼륨 10중량%, 녹말가루 10중량%, 에탄올 25.5중량%를 5rpm으로 휘저어 섞는 자동 솥에서 15분간 섞어 단맛을 가진 청남색의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을 조성한다.

상기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 20중량%와 마른김 80중량%를 배합비율로 준비한다.
상기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마른김에 전이 도포한 생성물을 전송기의 일 구간에서 60℃의 온풍으로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다른 구간에서 100℃의 온풍으로 수분과 에탄올의 동반 건조로, 변화된 해초의 약취를 제거하고, 전송기 마지막 구간에서 통풍이 이루어지는 저장 용기에 1000장씩 자동으로 담아 10℃의 저온 고로 이송하여 48시간 숙성 건조한다.

이 과정에서, 녹말과 콜라겐에 의한 표면의 경화가 이루어지고, 녹말과 콜라겐과 스테비아에 의하여 향미가 풍부해지고, 색상이 선명해진다.

상기 도포 된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도포한 마른 김은 가로 15㎝ × 세로 25㎝로 절단한다.

상기 절단 선별한 마른김을 알루미늄 호 일에 방습제와 같이 100매씩 자동진공포장기로 포장한다.

[실시 예 2] 6개월 경과 후의 본 발명의 마른 김의 관능 평가
본 발명의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실시 예와 같이 도포하여, 제조한 김과, 시중의 김을 서로 비교하여, 관능을 비교하였다. 관능 검사는 성인 20대(남자 5명, 여자 5명), 30대(남자 5명, 여자 5명), 40대(남자 5명, 여자 5명), 50대(남자 5명, 여자 5명) 총 40명이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실시 예 1의 김과, 종래의 조미되지 않은 김을 6개월 지난 후 각각 시식하게 하여 관능을 비교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 예 1 종래의 김
색 상 푸른 자주색 검은 자주색
고소한 향 불쾌한 해초의 변화된 향
고소하고, 달콤한 맛 짠맛과 쓴맛 동반
보존 상태 원상태 유지 3개월부터 향미의 변화
투명도 투명 불투명
접착 및 인장력 접착 및 인장력 높음 접착 및 인장력 낮음

본 발명은 6개월 경과 후에도, 종래의 김에 비해 색, 향미, 맛의 변화가 거의 없고, 보존 상태도 종래의 김에 비해 우수한 편이었으며, 콜라겐과 녹물의 전이 도포로 인해 인장력과 김과 밥, 김과 김의 접착력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 예 3] 보존 기간 실험
실험은 20℃의 동일 조건에서 일반 조리 김과, 본 발명의 조리 김을 이용하여, 김밥을 제조한 경우, 6시간, 10시간 및 20시간 경과 후의 보존 상태를 살펴보았다.

본 발명 일반 조리김
6시간 경과 후 향미 변화 없음 눅눅해지고, 향미 변화 생김
10시간 경과 후 향미 변화 없음 향미의 변화가 더 진행됨
20시간 경과 후 점차 향미의 변화 생기기 시작함 먹기 거북한 향미가 발생

일반 김을 이용한 김밥은 6시간이 지난 후에 김이 눅눅해 지고, 김의 향미가 변질되기 시작하여, 20시간 후에는 먹기 거북한 향미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김을 사용한 김밥은 20시간 이후부터 향미의 변화가 나타나며, 김밥의 보존기간이 일반 김에 비하여 14시간 정도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요오드와 에탄올의 혼합물을 김에 균일하게 분사하여 도포함으로써, 세균을 일정 부분 살균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기 보존하여도 성분과 향미와 색상의 복원 및 개선으로 장기 저장하여도 변화가 적고, 인장력이 높으며, 요오드화 칼륨과 녹말을 이용하여, 색상을 복원할 수 있었다. 또한, 해송추출물에 포함된 식용유황분말 등을 함유함으로써, 영양성분과 새로운 향미를 갖는 김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요오드화 칼륨을 첨가하므로 칼륨의 물질적 대사 특성에 의한 몸속의 노폐물의 배출을 도울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다를 지배하는 민족은 세계를 지배하고,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세계 5대 갯벌을 보유한 부국의 조건을 가진 자랑스러운 조국이다." 세계 많은 나라가 장수식품으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는 김의 생산국이다.
본 발명은 요오드 칼륨과 해송(海松)추출물 분말을 혼합하는 후쿠이단 점액질 조성물을 전이시키어 함유하는 마른김을 제조하는 발명으로 먼저 갯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므로, 수산업의 지표를 새롭게 한다.
김(海苔)의 생태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좋은 갯벌을 선호하는 해초로 좋은 갯벌에서 좋은 물김이 생산되는 것은 물김의 생태적 특성으로 김과 갯벌은 필수의 연관적 생존의 조건을 가진 산물(産物)로 사람의 욕구를 충족하는 장수식품인 김(海苔)은 갯벌의 꽃입니다.
이와 같은 지리적 환경적 조건을 가진 우리나라는 김(海苔)의 중심 국가로 세계인의 건강과 안녕을 제공하는 천혜의 조건을 가진 축복의 땅이라는 인식부터 하기 위하여 갯벌에 유익성을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갯벌에 가장 집약적 소득을 창출하는 산물이 김이라 것을 인식하며 본 발명의 가치를 높이고 한다.
수산업의 꽃 갯벌
갯벌의 꽃 김(海苔).
1. 갯벌의 기능.
어류 및 해초의 생산 서식지 기능이다. 어류생산 및 서식지 기능 갯벌은 수산물에 대한 상당한 잠재적 생산성이 있다. 갯벌의 생산성은 육상의 생산성보다 9배나 높은 가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종도 지역에서는 김 양식이 16건, 조개류 양식이 8건으로 총 24건이 있으며 이들 면적은 3.1㎢에 이른다. 수산물 어획과 생산에 따른 시장가격을 이용하여 수산물 생산기능과 어류서식지 기능을 분석했을 때 영종도 지구의 연간 수산물 총생산액은 30억 원으로 이를 ㎢당 생산액으로 추정하면 954백만 원에 이른 것으로 김의 수출이 활발하여 양식면적이 증가하여 노동의 흡수와 소득의 증가는 곱절에 곱절을 더할 것이다.
또 갯벌은 오염정화 기능과 심미적 기능과 홍수 조절 기능과 폭풍 조절 기능이 있는 것으로 사람의 삶과 깊은 관계성을 유지하는 천혜의 자산이다.
2. 본 발명의 사업적 이용가치.
본 발명의 원료로 사용하는 해초는 바다의 계절적 환경에 따라 생육하는 해초류인 물김, 파래, 다시마, 미역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성형 건조한 것으로 사철 생육 및 가공하지 못하는 계절적 특성을 지닌 식품으로 성형 건조 한지 1개월이 지나면 구수한 향미가 줄어들고, 미생물에 의한 해초의 불쾌한 향미가 증가하여 상품으로 가치가 떨어져, 수협과 같은 수산물 관계기관 및 창고업을 하는 업자가 대량으로 구매하여 수급에 의한 가격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일종의 관리품목이다.
이와 같은 태생적 특성에 의한 묵은 마른김은 향미와 기능과 색상이 퇴색하여 상품적 가치는 시간과 비례하여 줄어들어 소비자의 외면과 국제 경쟁력을 상실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갯벌산업의 꽃이라 하는 마른김(海苔)을 다양한 새로운 용도의 마른김을 제조하여 세계 각지의 종교와 인종과 남녀노소 문화적 식 관습에 관계없는 채식, 분식, 육식, 생식, 화(火) 식 등과 지구촌의 오지에 생명을 이어주는 해초로, 방사능 요오드 피폭으로부터 생명을 지키는 기능적 특성을 가진 새로운 김으로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한 예방 적, 가치를 가진 새로운 용도의 김으로 수출을 통한 국익을 증가시키는 산업적 가치가 높은 발명으로 일본의 김 수출을 놓고 중국과 경쟁하는 우리의 수산업에 크게 기여하는 산업적 이용가치가 높은 발명이다.
농산물유통공사 자료에 의하면 2009년 7월까지 일본수출은 전년동기 40%을 신장하여 1420만 3000달러를 수출했지만 보통 일반 김(海苔)으로 수출하므로 차별성이 없는 상품으로 언제 누가 저가(低價)의 다른 나라의 김(海苔)이 우리의 시장을 감식할지 모르는 위기의 사항에 있는 것은 김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갯벌산업의 미래지향적인 이슈다.
김(海苔)은 지구의 위도가 34 ~ 37도 해안에서만 자연생육 또는 양식재배되는 특성과 수온이 5 ~ 8℃가 적당한 온도로 4℃ 이하에는 성장을 못 하고 15℃ 이상에는 뿌리가 녹아 생육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는 수산물로 우리의 바다는 12월부터 다음해 3월의 남서 및 서해안의 해수가 물김 생산 조건과 같고, 우리 국토의 긴 갯벌은 양질의 물김을 생산하는 천혜의 조건이 있지만, 일본이나 중국의 비교하여 차별된 상품이 없는 것도 갯벌산업의 현실로 김(海苔)은 세계가 인정하는 장수식품으로 우리나라와 일본과 중국 3개국이 세계시장을 놓고 정상을 경쟁하고 있는 우리 민족의 자랑이요, 보고이지만 앞서가는 일본과 추월하는 중국에 대응하는 차별된 이슈의 조성물이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본 발명은 차별적 특수성으로 세계 최대의 마른김(海苔)의 소비를 자랑하는 일본인의 잠재적 의식에 접근성이 강한 요오드, 콜라겐 유황 등을 함유하는 새로운 김의 판매 말(Selling point)로 하는 차별된 조성물로 새로운 용도의 새로운 시장을 확보하는 새로운 조성물로 우리 수산업인 갯벌산업의 꽃으로, 마른김(海苔)은 성장의 동력이 될 새로운 생성물을 조성하는 발명입니다.
중국에서 수출하는 1억 장의 마른김과 비교 향미와 기능이 차별된 본원발명의 새로운 조성물로 햇김과 같은 품질로 높은 가격을 받아 수득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발명이다.
참치를 마른김에 싸서 먹는 전통이 있는 일본인에게 요오드를 함유하는 차별된 새로운 향미와 기능적 이슈가 있는 다양한 용도에 의한 새로운 일본시장을 개척하는 촉진제로 마른김에 새로운 생명을 주입하는 발명으로 우리의 수산산업에 새로운 지표를 제시하는 생성물을 조성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원료 및 첨가물을 기능적 특성에 비하여 원료의 값이 저렴하고 국제경쟁력이 높은 발명으로 새로운 수요에 의한 새로운 이익의 창출하는 것은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진보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겸한 새로운 생성물의 발명이다.
본 발명은 요오드 칼륨과 콜라겐, 식용유황을 함유하는 새로운 김으로 육식 문화를 자랑하는 유럽과 고원의 유목민에게 고기를 쌓아서 먹는 해초로 건강과 생명을 이어주는 차별화된 기능적 특성은 문화가 다른 민족이나 지역에 새로운 접근성을 가진 우리의 수산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마른김의 발명으로 산업적 이용가치는 수 조가 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의 수집한 자료에 의하면 일본의 수산물 업자는 우리나라 조미 김을 기피하여 직접 중국에서 투자 합작으로 제조 수입하는 량은 너무 크, 중국의 최대 김 가공 회사를 일본 인이 운영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요오드 칼륨과 해송(海松)추출물 분말을 혼합하는 후쿠이단 점액질 조성물을 전이시키어 함유하는 마른김은 일본인에게 현실적으로 가장 필요한 김으로 최대의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우리 김의 세계화를 위한 위대한 발명이다.
3. 중국의 김 생산 (2009년 김 생산량)과 요오드 수요.
김은 중국 전통 수출제품으로 세계에서 김을 생산하는 국가는 한국, 중국, 일본이 가장 유력하다. 3국의 김 품질은 거의 비슷하며 그중 중국산 김은 높은 가격 경쟁력이 있다. 현재 중국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도매 마른김은 ㎏당(약 500장) 26 ~ 30위안이다. 중국시장의 김은 거의 중국산과 일본산으로 경쟁이 치열하다.
중국의 김 연간 생산량은 22억 장 정도이며 마른김 생산량은 1만여 톤에 달한다. 상하이 인근 장쑤(江蘇)성은 중국의 최대 김 생산지역으로 연 생산량은 20억 장 정도다. 쟝쑤 성의 김은 전국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85% 이상은 가공돼 일본 및 세계시장으로 수출되고 있다.
쟝쑤성 난 퉁 루둥현의 조미 김, 연 생산량은 전국의 40%를 차지하여 전국 최대의 우수한 품질을 자랑하는 생산 중심지역이다. 최근 몇 년간 쟝쑤 성 지역 김은 주로 유럽, 미주 및 동남아로 수출되고 있다.
김 생산기업만 200여 사 있으며 김 산업의 연 생산총액은 10억여 위안에 달한다. 주로 미국, EU, 캐나다, 브라질, 대만, 홍콩 및 동남아 등 20여 지역으로 수출되며 연간 수출액은 4500만 달러 가량이다. 중국과 일본의 합자기업인 南通海達水産品 (www.haidafood.com)은 중국 최대의 김 가공기업으로 마른김, 조미 김, 구운 김 연간 생산량은 1억 8,900만 장, 2차 가공량은 700만 장에 달한다.
참고로 1996년 중국에서는 인민을 건강증진을 위하여 국가가 관리하는 10개의 염전에서 요오드를 함유하는 요오드 소금을 생산 공급하므로 대륙과 오지 인민의 장수와 건강을 위한 정책을 수립 관리하는 것은 요오드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4. 본 발명의 경제적 가치.
현재 우리나라의 김(海苔)의 1속당 저장 마른김(海苔 장기 묵은 마른김) 도매 가격은 최하 2,800원 중품 3,500원 상품 4,000원에 거래하는 가격을 기준으로 할 때 하품을 중품 가격으로 상승 3,500원으로 출고하면 생산비 증가분 150원 순 증가분 550원 전년 생산량의 30% 22백만 속으로 121억 원의 이익을 창출하는 경제적 기치가 있고, 상품으로 4,000원에 출하한다면 국내 시장에서 이익의 증가 폭은 231억으로 생산자에게 돌아갈 것이고, 수출을 한다면 우수한 품질의 새로운 향미에 의한 접근성이 용이하므로 경쟁력을 극복 세계시장의 효도상품으로 국익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우리나라 마른김(海苔)의 총생산량 7,418만4000속(한속 100장 260g) 19,300톤으로 2009년 통계).
5. 맺는 말.
상기와 같은 기능적 특성이 있는 새로운 김으로 김의 최대 수입국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방사능 요오드의 공포가 존재하는 지금에 가장 필요한 새로운 김이라고 판단하고, 육류의 특성에 합당한 새로운 용도의 김으로 새로운 시장에 합당한 새로운 김으로, 중국과 일본과 우리나라가 경쟁하는 세계 김 시장에서 가장 수요가 높은 정상의 상품으로 차별된 품질로 문화와 식 관습에 잠재적 접근성이 강한 기능적 특성을 가진 새로운 김으로 본 발명은 산업적 이용 가능성을 넘어 그 가치가 수조의 억 원에 이런 국가의 보배가 될 발명이다.

Claims (2)

  1.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의 배합비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마른김 70 ~ 99.5중량% 및 후쿠이단 혼합조성물 30 ~ 0.5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은 후쿠이단 점액질 31 ~ 98.5중량%, 콜라겐 10 ~ 0.1중량%, 스테비아 2 ~ 0.1중량%, 해송 추출물 분말 2 ~ 0.1중량%, 요오드화 칼륨 10 ~ 0.1중량%, 녹말가루 10 ~ 0.1중량%, 에탄올 35 ~ 1중량%를 혼합하여 생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2.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은 미역, 다시마, 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해초를 세척하고, 해초 90 ~ 10중량%에 40 ~ 60℃ 가온 정수 10 ~ 90중량%를 넣고 2 ~ 30시간 2 ~ 20rpm으로 회전하는 자동 솥에서 점액질을 생성하여 10 ~ 100메쉬 천으로 해초와 점액질을 여과분리하여 수득한 후, 20℃ 이하로 저장하여 제조되는 후쿠이단 점액질을 조성하는 단계;

    상기 후쿠이단 점액질 31 ~ 98.5중량%에 콜라겐 10 ~ 0.1중량%과 에탄올 35 ~ 1중량%를 5 ~ 60rpm으로 회전하는 자동 솥에서 2 ~ 5분간 혼합한 후, 스테비아 2 ~ 0.1중량%, 해송 추출물 분말 2 ~ 0.1중량%, 요오드화 칼륨 10 ~ 0.1중량%, 녹말가루 10 ~ 0.1중량%를 5 ~ 60rpm로 회전하는 자동 솥에서 2 ~ 15분간 혼합하여,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상기 마른김을 김 자동 전이도포 전송기의 투입 터널 내부 온도를 100 ~ 200℃로 통과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전송기의 상, 하에 1 ~ 4개의 노즐의 분사 구로 후쿠이단 혼합조성물을 80 ~ 100℃로 가온한 후에 10 ~ 100㎝의 거리에서 1 ~ 5㎏/㎠의 압력으로 분사하여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마른김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마른김에 도포한 것을 전송기 구간에서 30 ~ 60℃의 온풍으로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다음 구간에서 60 ~ 150℃의 온풍으로 수분과 에탄올의 동반 건조하고, 저장 용기에 10 ~ 5000장씩 담아 5 ~ 10℃의 저온 고에서 5 ~ 48시간 숙성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한 마른김을 용도에 따라 크기를 선정하여 마른김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
KR1020110058185A 2011-06-15 2011-06-15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 KR101343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185A KR101343843B1 (ko) 2011-06-15 2011-06-15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185A KR101343843B1 (ko) 2011-06-15 2011-06-15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592A KR20120138592A (ko) 2012-12-26
KR101343843B1 true KR101343843B1 (ko) 2013-12-26

Family

ID=4790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185A KR101343843B1 (ko) 2011-06-15 2011-06-15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045B1 (ko) 2013-12-19 2014-03-28 이정희 요오드화 칼륨 성분이 함유된 김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045B1 (ko) 2013-12-19 2014-03-28 이정희 요오드화 칼륨 성분이 함유된 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592A (ko)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065B1 (ko) 야생초를 이용한 선식과 이를 이용한 선식음료
CN104000035A (zh) 促进采食的乳猪保健型饲料
CN102144770A (zh) 一种能够均衡营养的彩色果蔬盐及其制备方法
KR101300378B1 (ko) 혈당강하 기능성 쌀 백일미 및 그 제조방법
CN108740333A (zh) 一种宠物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0563469C (zh) 一种方便即食鲜海带制品加工方法
KR101343843B1 (ko) 후쿠이단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마른 김 및 이를 이용한 김 제조방법
KR101733847B1 (ko) 곤약을 이용한 칼슘강화 홍게 만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홍게만두
CN102389117A (zh) 一种补钙的配方复合粉
KR20020027444A (ko) 동충하초 조미 김 제조 방법
KR101253342B1 (ko) 비타민을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마른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80065797A (ko) 십전대보탕을 먹인 오리를 이용한 한방오리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한방오리탕
KR101201987B1 (ko) 다시마 밥을 제조하기 위한 기능성 다시마 제품 제조방법
KR100390095B1 (ko) 알로에 겔을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KR101295117B1 (ko) 요오드 칼륨과 해송추출물 분말을 혼합하는 후쿠이단 점액질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1433342B (zh) 臭鸡蛋的制备方法
KR101253096B1 (ko) 야콘과 콜라겐을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마른김(乾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520307B1 (ko) 기름가자미를 이용한 반려동물 간식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1742A (ko) 제 주 오 분 자 기(전복), 청국장가루, 메밀을 함유하는 냉면 및 국수, 칼국수, 유탕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면류
KR101435915B1 (ko) 오미자씨유 김자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49115A (zh) 一种桂叶香鸡的养殖方法
KR101213322B1 (ko) 고소하고 달콤한 유황 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7125749A (zh) 一种滋阴补气菱角泡和菱角茎及其制作方法
CN107094881A (zh) 一种应用于粮食储存防谷牛的植物中草药香囊
KR101041417B1 (ko) 농축 멸치육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