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256B1 - 작업기 - Google Patents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256B1
KR101342256B1 KR1020070105962A KR20070105962A KR101342256B1 KR 101342256 B1 KR101342256 B1 KR 101342256B1 KR 1020070105962 A KR1020070105962 A KR 1020070105962A KR 20070105962 A KR20070105962 A KR 20070105962A KR 101342256 B1 KR101342256 B1 KR 101342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stop
wire
extension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6527A (ko
Inventor
겐이찌로오 나까지마
다까아끼 오오노
아끼오 오까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87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47119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14958A external-priority patent/JP471197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80036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10Structur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tools ; Theoretical aspects of the cut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12Arrangement of the tools; Screening of the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01B59/04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supported at three points, e.g. by quick-release coup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리어 커버의 하단측에 주 정지부로부터 좌우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정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 정지부가 원격 조작에 의해 연장 자세와 퇴피 자세로 절환 조작 가능하게 된 로터리 경운기에 있어서, 연장 정지부를 연장 자세와 퇴피 자세로 절환할 때의 조작력의 저감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 조작됨으로써 연장 정지부(23)를 연장 자세(B)로부터 퇴피 자세(C)로 자세 변경시키는 누름 동작 부재(40)를 설치하고, 연장 정지부(23)를 연장 자세(B)로부터 퇴피 자세(C)측으로 회전시키도록 누름 동작 부재(40)에 힘을 가하는 퇴피 조작 스프링(41)을 설치하고, 누름 동작 부재(40)와 연장 정지부(23)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연장 자세(B)에 있어서, 연장 정지부(23)를 포장에 압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누름 스프링(45)을 설치한다.
Figure R1020070105962
연장 정지부, 포장, 누름 동작 부재, 회전 조작, 조작력

Description

작업기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로터리 경운기 등의 정지(整地) 기능을 갖는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지 기능을 갖는 작업기로서 로터리 경운기가 있고, 상기 로터리 경운기는, 트랙터의 후부에 3점 링크기 등의 장착 장치를 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체 틀과, 이 기체 틀의 하부에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갈고리 축에 다수의 경운 갈고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로터리 경운부와, 이 로터리 경운부를 덮는 경운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터리 커버는, 로터리 경운부의 상방을 덮는 주 커버와, 로터리 경운부의 후방을 덮는 리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 커버의 하단측에는 포장에 접지하여 상기 포장을 정지하는 정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지부로서, 리어 커버의 주요 부분의 좌우 폭에 상당하는 주 정지부와, 이 주 정지부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 정지부로부터 좌우 방향 외방으로 연장 모양으로 된 연장 정지부를 구비한 것이 있고, 상기 연장 정지부는 주 정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회전시킴으로써, 연장 자세로부터, 주 정지부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로터리 경운기로서, 연장 자세로 하여 한창 경운하고 있을 때, 토양으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연장 정지부가 쳐 올려져 퇴피 자세측으로 회전해도 항상 연장 자세로 복귀할 수 있게, 연장 정지부를 힘 가하기 수단에 의해 퇴피 자세로부터 연장 자세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 문헌1,2 참조).
<특허 문헌1> 일본 특개2005-130824호 공보
<특허 문헌2> 일본 특개2005-245325호 공보
상기 종래의 로터리 경운기에 있어서는, 상기 연장 정지부를 연장 자세로 힘을 가하는 힘 가하기 수단의 압박력은, 토양을 억제하기 위하여 큰 압박력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연장 정지부를 항상 퇴피 자세로부터 연장 자세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연장 정지부를 연장 자세로부터 퇴피 자세로 회전시킴에 따라 연장 정지부에 힘을 가하는 힘 가하기 수단의 압박력이 서서히 커져, 연장 정지부를 연장 자세로부터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시킬 때의 (연장 정지부를 연장 자세와 퇴피 자세로 절환할 때의) 조작력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장 정지부를 연장 자세와 퇴피 자세로 절환할 때의 조작력의 저감을 도모한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강구한 기술적 수단은, 포장을 정지하는 정지부가, 주 정지부와, 이 주 정지부로부터 좌우 방향 외방으로 연장 모양으로 된 연장 정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연장 정지부는 주 정지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회전시킴으로써 연장 자세로부터 주 정지부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되어, 회전 조작됨으로써 연장 정지부를 연장 자세로부터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는 누름 동작 부재를 구비하고, 연장 정지부를 연장 자세로부터 퇴피 자세측으로 회전시키도록 누름 동작 부재에 힘을 가하는 퇴피 조작용 힘 가하기 수단과, 누름 동작 부재와 연장 정지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연장 자세에 있어서 연장 정지부를 포장에 압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연장 정지부 누름용 힘 가하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누름 동작 부재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조작 와이어를 구비하고, 이 조작 와이어는, 일단측이 누름 동작 부재에 연결된 이너 와이어와, 상기 이너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아우터 와이어로 주로 구성되고, 연장 정지부가 퇴피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이너 와이어를 당김 동작 조작함으로써 누름 동작 부재가 회전하는 동시에 연장 정지부 누름용 힘 가하기 수단의 압박력에 의해 연장 정지 부재가 누름 동작 부재에 추종하여 연장 자세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 와이어의 누름 동작 부재 연결측은 주 정지부를 대략 따라 배치되어 있고, 이너 와이어의 일단측은, 연장 정지부가 연장 자세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누름 동작 부재의 회전 지점과 주 정지부 사이에서 누름 동작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단측이 기체 틀측에 좌우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하단측이 포장에 접지하여 정지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이 커버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주요부와, 이 주요부의 하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착탈 커버와, 이 착탈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시킴으로써 주요부의 측연으로부터 좌우 방향 외방으로 연장 모양으로 된 연장 자세로부터 상기 착탈 커버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연장 정지부를 구비하고, 이 연장 정지부를 원격 조작에 의해 자세 변경 조작하는 조작 와이어를 구비하고, 이 조작 와이어를, 조작 부재에 의해 조작되어서 연장 정지부를 자세 변경시키는 이너 와이어와, 이 이너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아우터 와이어로 구성하고, 아우터 와이어의 연장 정지부측의 단부를 주요부에 설치하고, 이너 와이어의 연장 정지부측을 착탈 커버측으로부터 떼어내기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너 와이어의 연장 정지부측의 단부는 연결 수단을 통하여 연결 와이어의 일단측에 연결되고, 이 연결 와이어의 타단측은 이너 와이어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연장 정지부가 자세 변경되도록 연장 정지부측에 연동 연결되고, 연결 수단은 연결 와이어의 일단 또는 이너 와이어의 연장 정지부측의 단부의 한 쪽에 설치된 연결 부재와 다른 쪽에 설치된 피연결 부재로 구성되고, 피연결 부재는 연결 부재에 대하여, 이너 와이어를 팽팽하게 함으로써 연결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이너 와이어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 부재에 걸림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피연결 부재에 결합부를 설 치하고, 피연결 부재는 이너 와이어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 구멍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고, 상기 걸림 구멍에 피연결 부재를 삽입 관통하고 또한 이너 와이어를 팽팽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 구멍의 연부에 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피연결 부재의 연결 부재로부터의 이탈이 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장 정지부를 연장 자세로부터 퇴피 자세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퇴피 조작용 힘 가하기 수단의 압박력에 의해 행해지고, 연장 정지부를 포장에 압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은 연장 정지부 누름용 힘 가하기 수단의 압박력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연장 정지부를 포장에 압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압박력을 충분히 크게 취해도, 연장 정지부를 퇴피 자세로 회전시키기 위한 압박력은 필요 최소한의 압박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장 정지부를 연장 자세와 퇴피 자세로 절환할 때의 조작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6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트랙터의 후부에 3점 링크 기구 등을 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업기로서 예시하는 로터리 경운기이다.
이 로터리 경운기(1)는, 중앙의 기어 케이스로부터 좌우로 서포트 아암(3)을 돌출 설치하고, 한 쪽의 서포트 아암(3)의 좌우 방향 외단측에 전동 케이스(4)의 상부를 고정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서포트 아암(3)의 좌우 방향 외단측에 사이드 프레임의 상부를 고정하여 문(門)형으로 주로 구성된 기체 틀(5)을 갖는다.
이 기체 틀(5)의 기어 케이스에는 톱 마스트(6)가 상방 돌출 모양으로 고정되고, 이 톱 마스트(6)에는 상부 연결 브래킷(7)이 전측 상방 돌출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 연결 브래킷(7)의 상단측에는, 3점 링크 기구의 톱 링크의 후단측에 설치되는(또는, 3점 링크 기구의 후단측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한 훅부에 결합하는) 상부 설치 핀(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 틀(5)의 좌우 각 서포트 아암(3)에는 하부 연결 브래킷(9)이 형성되고, 이 하부 연결 브래킷(9)의 전단측에는, 3점 링크 기구의 로워 링크의 후단측(또는, 3점 링크 기구의 후단측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설치 핀(1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 틀(5)의 하부에는, 전동 케이스(4)와 사이드 프레임과의 하부간에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갈고리축(11)과, 이 갈고리축(11)에 설치된 다수의 경운 갈고리(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경운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 틀(5)의 기어 케이스에는, 트랙터의 PTO축으로부터 구동축을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PIC축(14)이 형성되고, 이 PIC축(14)에 전달된 동력은, 기어 케이스 내의 동력 전달 기구, 서포트 아암(3) 내의 전동축, 전동 케이스(4) 내의 동력 전달 기구를 거쳐 갈고리축(11)에 전달되어, 상기 갈고리축(11)이, 예를 들어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로터리 경운기(1)에는, 상기 경운부(13)를 덮는 경운 커버(15)가 설치되 어 있고, 이 경운 커버(15)는, 경운부(13)의 상방을 덮는 상부 커버(16)와, 경운부(13)의 후방을 덮는 리어 커버(17)(커버 부재)와, 경운부(13)의 후부의 좌우 양측을 덮는 측부 커버(18)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커버(16)는, 그 좌우 방향의 단부가, 전동 케이스(4)와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리어 커버(17)는, 상단측이 상부 커버(16)의 후단측[기체 틀(5)측]에,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추축(19)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고,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하단측은 포장에 접지하여 상기 포장을 정지한다.
또한, 리어 커버(17)의 배면의 좌우 양측에는, 리어 커버(17)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에 걸쳐 보강 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측부 커버(18)는, 전동 케이스(4) 또는 사이드 프레임 등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또한, 로터리 경운기(1)에는, 리어 커버(17)의 하단측을 하방측(접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하 장치가 설치되는 동시에, 게이지륜이나 배토기, 묘립기 등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커버(17)는, 상기 리어 커버(17)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주로 경운부(13)로부터 방출된 땅을 받는 부분인 주요부(21)와, 이 주요부(21)의 하단측의 좌우 양단측이고 또한 상기 보강 부재(20)의 좌우 방향 외방측에 형성된 절결부(49)를 막는 좌우 한 쌍의 폐쇄 커버(22)(착탈 커버)와, 이 좌우 각 폐쇄 커버(22)에 설치된 연장 정지부(2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리어 커버(17)의 주요부(21) 및 폐쇄 커버(22)의 하단측, 및 연장 정지부(23)는, 그 배면측이 후방을 향하여 개방 모양으로 되는 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정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만곡 모양으로 되어 있음).
이 리어 커버(17)의 주요부(21) 및 폐쇄 커버(22)의 하단측 정면, 및 연장 정지부(23)의 정면은, 경운부(13)에서 경운된 토양을 정지하도록 접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요부(21) 하단측의 접지 부분과, 폐쇄 커버(22) 하단측의 접지 부분으로부터, 리어 커버(17)의 주요부(21)의 좌우 폭에 상당하는 주 정지부(24)가 구성되고, 이 주 정지부(24)와 상기 연장 정지부(23)로부터 리어 커버(17)의 정지부(25)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 정지부(23)는,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정지부(24)[주요부(21)의 측연]로부터 좌우 방향 외방으로 연장 모양으로 된 연장 자세(B)와, 주 정지부(24)의 배면측(접지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퇴피 자세(C)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하여 주 정지부(2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연장 정지부(23)는, 폐쇄 커버(22)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폐쇄 커버(22)의 하부측으로부터 좌우 방향 외방으로 연장 모양으로 되어 연장 자세(B)로 되어 있음).
이 연장 정지부(23)는, 연장 자세(B)에 있어서, 그 좌우 방향 내단측이 폐쇄 커버(22) 하부의 좌우 방향 외단측에 맞댐 모양으로 접촉하고 있으며, 퇴피 자세(C)에서는, 폐쇄 커버(22)에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고 있다.
또한, 좌우의 각 연장 정지부(23)는, 상기 톱 마스트(6)에 좌우축 둘레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조작 부재)(26)에 조작 와이어(27) 등을 통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고, 이 조작 레버(26)의 요동 조작에 의해 좌우의 연장 정지부(23)가 연장 자세(B)와 퇴피 자세(C)에 동시에 자세 변경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조작 레버(26)는 로터리 경운기(1)를 상승시킴으로써 트랙터의 운전석측으로부터 파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연장 정지부(23)가 트랙터의 운전석으로부터 원격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27)는, 보덴 와이어, 푸시풀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너 와이어(28)와, 상기 이너 와이어(28)를 가이드하는 아우터 와이어(29)로 구성되고, 이너 와이어(28)의 일단(57)측은 연결 와이어(51)를 통하여 상기 이너 와이어(28)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연장 정지부(23)가 자세 변경되도록 연장 정지부(23)측[연장 정지부(23)를 자세 변경 조작하는 부재]으로 연동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너 와이어(28)의 타단측은 조작 레버(26)측에 연결되고, 아우터 와이어(29)의 일단측은 리어 커버(17) 배면의 상기 보강 부재(20)의 하단측[주요부(21)측]에 설치된 아우터 받이(30)에 설치 고정되고, 아우터 와이어(29)의 타단측은 톱 마스트(6)에 설치된 아우터 설치 브래킷(31)에 좌우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 지지되어 있고, 조작 레버(26)에 의해 이너 와이어(28)가 조작됨으로써 연장 정지부(23)가 자세 변경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 레버(26)가, 도6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퇴피 조작 위치(D)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연장 정지부(23)가 퇴피 자세(C)로 되어, 상기 조작 레버(26)를, 퇴피 조작 위치(D)부터 도6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연장 조작 위치(E)까지 요동 조작함으로써, 연장 정지부(23)가 퇴피 자세(C)로부터 연장 자세(B)로 자세 변경 조작되고, 또한 조작 레버(26)를 연장 조작 위치(E)로부터 퇴피 조작 위치(D)로 복귀하면 연장 정지부(23)가 연장 자세(B)로부터 퇴피 자세(C)로 자세 변경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26)는, 아우터 설치 브래킷(31)에 접촉함으로써 연장 조작 위치(E)로부터 퇴피 조작 위치(D)로 요동하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연장 정지부(23)가 퇴피 자세(C)로 유지되며, 조작 레버(26)를 연장 조작 위치(E)에서 톱 마스트(6)에 설치된 고정 금구(32)에 걸어둠으로써, 연장 조작 위치(E)로부터 퇴피 조작 위치(D)로 요동시키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연장 정지부(23)가 연장 자세(B)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연장 정지부(23)의 설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 커버(22)의 배면의 좌우 방향 외방측에는 고정 브래킷(36)이 고착되어 있다.
이 고정 브래킷(36)은, 판재를 절곡하여 이루어지고, 폐쇄 커버(22)의 배면측에 고착된 저벽(36a)과, 이 저벽(36a)의 상하연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벽(36b)을 갖고, 한 쌍의 지지벽(36b)은 그 판면이 좌우 방향을 따르는 동시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고정 브래킷(36)에는 지지벽(36b)의 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축심을 갖는 회전 지지축(37)이 상하의 지지벽(36b)에 걸쳐 형성되고, 이 회전 지지축(37)을 통하여 요동 브래킷(38)이 고정 브래킷(36)에 상기 회전 지지축(37)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요동 브래킷(38)에 연장 정지부(23)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연장 정지부(23)가 폐쇄 커버(22)[주 정지부(24)]에 회전 지지축(37)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지지축(37)의 축심 둘레로 연장 정지부(23)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연장 정지부(23)가 연장 자세(B)와 퇴피 자세(C)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동 브래킷(38)은, 판재를 절곡하여 이루어지고, 고정 브래킷(36)의 각 지지벽(36b)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상하 한 쌍의 아암부(38a)를 갖고, 이 상하 아암부(38a)는, 고정 브래킷(36)의 지지벽(36b)으로부터 좌우 방향 외방으로 연장된 후에 연장 정지부(23)로 연장되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동 브래킷(38)은, 연장 정지부(23)의 배면의 좌우 방향 내단측에 고착되고 또한 상하 아암부(38a)를 연결하는 고정벽(38b)을 갖는다.
요동 브래킷(38)의 아암부(38a) 사이에는, 상기 회전 지지축(37)에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감입된 회전축(39)이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축(39)의 축심 방향 중간부에는 상기 회전축(39)의 축심에 직교하는 판면을 갖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누름 동작 부재(40)가 고착되어 있다.
이 누름 동작 부재(40)는, 요동 브래킷(38)의 고정벽(38b)에 접촉하는 압박부(40a)를 갖고 있으며, 상기 누름 동작 부재(40)가 회전 지지축(37)의 축심 둘레 로 회전 조작됨으로써, 요동 브래킷(38)을 통하여 연장 정지부(23)가 압박되어 상기 연장 정지부(23)가 연장 자세(B)로부터 퇴피 자세(C)로 자세 변경된다.
또한, 이 누름 동작 부재(40)의 회전 축심 방향 일측(상측)에는, 연장 정지부(23)를 연장 자세(B)로부터 퇴피 자세(C)측으로 회전시키도록 누름 동작 부재(40)에 힘을 가하는 퇴피 조작 스프링(퇴피 조작용 힘 가하기 수단)(41)이 배치되어 있다.
이 퇴피 조작 스프링(41)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축(39)에 투감(套嵌)되어, 일단이 누름 동작 부재(40)에 걸리고, 타단이 고정 브래킷(36)의 지지벽(36b)에 걸려 있다.
도1 내지 도5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3)측의 단부(57)는 연결 수단(44)을 통하여 연결 와이어(51)의 일단(56)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 와이어(51)의 타단측은 이너 와이어(28)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연장 정지부(23)가 자세 변경되도록 누름 동작 부재(40)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와이어(51)의 타단측에 연결구(42)가 접속되고, 이 연결구(42)의 연결 와이어(51)의 접속측과는 반대측에는 핀 삽입 관통 구멍(50)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또한 누름 동작 부재(40)의 하측의 면에는, 핀(46)이 회전축(39)의 축심과 평행 모양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핀(46)을 연결구(42)의 핀 삽입 관통 구멍(50)에 대하여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상대적으로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연결 와이어(51)의 타단측이 누름 동작 부재(40)에 피봇 연결되어 있다.
또한, 베타핀 등의 고정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핀 삽입 관통 구멍(50)으로부터의 핀(46)의 빠짐 방지를 함으로써, 핀(46)에 대한 연결구(42)의 풀림 방지가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 수단(44)은 연결 와이어(51)의 일단에 설치된 연결 부재(54)와,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3)측의 단부(57)에 설치된 피연결 부재(55)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54)의 이너 와이어 길이 방향(D)(이하 단순히 와이어 길이 방향이라고 함)의 일단측 부분(54a)에는, 연결 와이어(51)의 일단(56)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54)는, 와이어 길이 방향(D)의 타단측 부분(54b)의 두께가 일단측 부분(54a)의 두께보다도 얇아지도록 와이어 길이 방향(D) 중간부에서 단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 부재(54)의 타단측 부분(54b)에는 걸림 구멍(58)이 두께 방향(E)에 관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연결 부재(55)의 와이어 길이 방향(D)의 일단측 부분(55a)은 연결 부재(54)의 일단측 부분(54a)의 두께 방향(E)의 일측면에 접촉하고 있으며, 피연결 부재(55)의 와이어 길이 방향(D)의 중간 부분(55c)은 연결 부재(55)의 걸림 구멍(58)을 관통하도록 삽입 관통하고 있으며, 피연결 부재(55)의 와이어 길이 방향(D)의 타단측 부분(55b)은, 연결 부재(54)의 두께 방향(E)의 타측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일단측 부분(55a)의 중간 부분(55c)으로부터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피연결 부재(55)의 타단측 부분(55b)에는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 지부(23)측의 단부(57)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피연결 부재(55)의 일단측 부분(55a)과 타단측 부분(55b)은 와이어 길이 방향(D)에 관하여 이격되어 있고, 중간 부분(55c)은 일단측 부분(55a) 및 타단측 부분(55b)에 대하여 경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 부분(55c)은 걸림 구멍(58)의 축심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걸림 구멍(58)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연결 수단(44)에 있어서는, 피연결 부재(55)가 연결 부재(54)의 걸림 구멍(58)에 삽입 관통되고 또한 이너 와이어(28) 및 연결 와이어(51)를 팽팽하게 한 상태[이너 와이어(28) 및 연결 와이어(51)가 길이 방향(D)으로 긴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피연결 부재(55)의 중간 부분(55c)의 타단측 부분(55b)과의 접속측이 걸림 구멍(58)의 연부에 접촉하고 있는 동시에 피연결 부재(55)의 일단측 부분(55a)이 연결 부재(54)의 일단측 부분(54a)의 두께 방향(E)의 일측면에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피연결 부재(55)의 걸림 구멍(58)으로부터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져, 연결 수단(44)의 연결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피연결 부재(55)의 중간 부분(55c)의 걸림 구멍(58)의 연부와의 접촉 부분(59)이, 이너 와이어(28)를 팽팽하게 한 상태에서 걸림 구멍(58)의 연부에 결합되어 피연결 부재(55)의 연결 부재(54)로부터의 이탈을 저지하는 결합부로 되어 있다.
또한, 이너 와이어(28)가 느슨한 상태에서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연결 부재(55)의 타단측 부분(55b)을 연결 와이어(51)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피연결 부재(55)를 타단측 부분(55b) 배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연결 부재(55)를 연결 부재(54)의 걸림 구멍(58)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연결 수단(44)의 연결·해제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54)를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3)측의 단부(57)에 접속하고, 피연결 부재(55)를 연결 와이어(51)의 일단(56)측에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3)측의 구성을 환언하면,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3)측의 단부가 연결구(42)와 핀(46)을 통하여 누름 동작 부재(40)에 피봇 연결되고,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3)측은 상기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8)측의 단부와 아우터 와이어(29)의 연장 정지부(23)측의 단부 사이의 중도부에 의해 분단되어, 이 이너 와이어(28)의 분단 부분의 한 쪽에 연결 부재(54)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 쪽에 상기 연결 부재(5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피연결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동작 부재(40)는, 연장 정지부(23)를 퇴피 자세(C)로 할 때에는, 상기 퇴피 조작 스프링(41)에 의해 회전 조작되고, 또한 연장 정지부(23)를 연장 자세(B)로 할 때에는 상기 이너 와이어(28)에 의해 회전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누름 동작 부재(40)의 회전 축심 방향 타측면(하측면)에는, 이너 와이어(28)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43)가 형성되고, 이 와이어 가이드(43)는 양단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이 회전 지지축(37)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1,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 정지부(23)가 연장 자세(B)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와이어 가이드(43)는 회전 지지축(37)의 좌우 방향 내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너 와이어(28)의 일단측은, 와이어 가이드(43)와 주 정지부(24) 사이를 통하여 회전 지지축(37)[누름 동작 부재(40)의 회전 지점]과 주 정지부(24) 사이에서 누름 동작 부재(40)에 연결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26)가 연장 조작 위치(E)로부터 퇴피 조작 위치(D)로 요동 조작되면, 퇴피 조작 스프링(41)의 압박력에 의해 누름 동작 부재(40)가 회전 지지축(37)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고, 이에 수반하여 압박부(40a)에 의해 요동 브래킷(38)이 눌려짐으로써, 연장 정지부(23)가 퇴피 자세(C)로 자세 변경 조작된다[요동 브래킷(38)을 통하여 연장 정지부(23)가 누름 동작 부재(40)에 의해 누름 동작되어 퇴피 자세(C)로 자세 변경 조작됨].
이 때 이너 와이어(28)는 누름 동작 부재(40)의 회전에 수반하여 와이어 가이드(43)에 감겨지면서 회전 지지축(37) 주위로 이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장 자세(B)에 있어서, 연장 정지부(23)를 포장에 압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연장 정지부 누름용 힘 가하기 수단으로서의 누름 스프링(45)이 누름 동작 부재(40)와 연장 정지부(23)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 스프링(45)은,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측이 누름 동작 부재(40)의 스프링 걸이부(47)에 걸리고, 타단측이 연장 정지부(23)에 고정된 스프링 걸이 부재(48)에 걸려 있다.
이 누름 스프링(45)의 일단측은 압박부(40a)와 회전 지지축(37) 사이에 걸려 있어, 연장 정지부(23)를 누름 동작 부재(40)측으로[요동 브래킷(38)의 고정벽(38b)을 누름 동작 부재(40)의 압박부(40a)로] 압박하도록 상기 연장 정지부(23)를 압박하고 있다.
상기 연장 정지부(23)를 퇴피 자세(C)로부터 연장 자세(B)로 자세 변경시킬 때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를 참조 부호 26을 퇴피 조작 위치(D)로부터 연장 조작 위치(E)로 요동 조작하여 이너 와이어(28)를 당김 동작 조작함으로써 연장 정지부(23)가 연장 자세(B)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누름 동작 부재(40)가 회전하고, 이 때 연장 정지부(23)가 누름 동작 부재(40)측으로 압박되도록 누름 스프링(45)에 의해 힘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연장 정지부(23)가 누름 동작 부재(40)에 추종하여 연장 자세(B)로 회전한다.
또한, 연장 정지부(23)가 연장 자세(B)에 있을 때에 있어서, 연장 정지부(23)가 땅으로부터의 과대한 하중에 의해 쳐 올려진 경우에는, 요동 브래킷(38)의 고정벽(38b)이 압박부(40a)로부터 이반하여 누름 스프링(45)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연장 정지부(23)가 회전한다.
상기 리어 커버(17)의 주요부(21)의 하단측 좌우 양측에 형성된 절결부(49)는 로터리 경운기(1)에 편 배토기를 설치했을 때에 상기 편 배토기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폐쇄 커버(22)는 로터리 경운기(1)에 편 배토기를 설치할 때에 떼어진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커버(17)의 주요부(21)의 하단측은, 만곡 모양으로 절첩되어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폐쇄 커버(22)의 배면 하단측에는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파이프, 로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꽂아넣기 부재(33)가 고착되고, 이 꽂아넣기 부재(33)는 폐쇄 커버(22)로부터 좌우 방향 내방측으로 돌출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돌출 부분이 주요부(21) 하단의 통부(34)에 넣고 빼기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폐쇄 커버(22) 중 적어도 상부측은, 착탈 금부(35)에 의해 주요부(2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폐쇄 커버(22)의 상부측을 주요부(21)에 설치하는 상기 설치 수단에 의한 설치를 해제하고, 그 후에 폐쇄 커버(22)의 꽂아넣기 부재(33)를 주요부(21) 하단의 통부(34)로부터 제거함으로써 폐쇄 커버(22)를 주요부(21)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폐쇄 커버(22)를 떼어낼 때에는, 조작 와이어(27)의 연장 정지부(23)측을 폐쇄 커버(22)측으로부터 떼어내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우터 와이어(29)의 연장 정지부(23)측의 단부가 주요부(21)에 설치된 아우터받이(30)에 설치되어 있고, 조작 와이어(27)의 연장 정지부(23)측은 이너 와이어(28)만이 폐쇄 커버(22)측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폐쇄 커버(22)를 떼어낼 때 또는 설치할 때는, 아우터 와이어(29)의 연장 정지부(23)측의 단부를 착탈하지 않아도 되고,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3)측만을 폐쇄 커버(22)측으로부터 떼어내면 되거나, 또는 폐쇄 커버(22)측에 설치하면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폐쇄 커버의 떼어내기 작업 및 설치 작업의 간소화가 도모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3)측을 폐쇄 커버(22) 측으로부터 떼어내거나 또는 폐쇄 커버(22)측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조작 레버(26)를 퇴피 조작 위치(D)에 조작하여 연장 정지부(23)를 퇴피 자세(C)로 하고,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26)를 조작하지 않고 연장 정지부(23)를 손으로 직접 연장 자세(B)측으로 회전 조작한다.
그러면, 이너 와이어(28)가 느슨해지므로, 전술한 요령으로 연결 수단(44)의 연결 부재(54)와 피연결 부재(55)의 연결을 해제하거나 또는 연결 부재(54)와 피연결 부재(55)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3)측의 단부(57)에 누름 동작 부재(40)의 핀(46)에 피봇 연결되는 연결구(42)를 접속하고,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3)측의 단부(57)측을 직접 누름 동작 부재(40)에 피봇 연결하고,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3)측을 폐쇄 커버(22)측으로부터 떼어낼 때에 있어서, 연결구(42)를 핀(46)으로부터 떼어내도록 하여도 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연장 정지부(23)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는, 연장 정지부(23)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2)의 압박력에 의해 항상 연장 자세(B)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이너 와이어(28)의 일단측은, 연장 정지부(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축(37) 둘레로 회전 가능한 와이어 가이드(53)에 피봇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이너 와이어(28)의 일단측을 피봇하는 핀(46)이 요동 브래킷(38)에 접촉하고 있으며, 연장 정지부(23)가 연장 자세(B)인 상태일 때에 이너 와이어(28)를 당김 동작 조작하면, 이너 와이어(28)의 일단측을 피봇하는 핀(46)에 의해 요동 브래킷(38)이 눌러져, 비틀림 코일 스프링(52)의 압박력에 대 항하여 연장 정지부(23)가 연장 자세(B)로부터 퇴피 자세(C)로 회전 지지축(37)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연장 정지부(23)를 연장 자세(B)로부터 퇴피 자세(C)로 회전시킴에 따라 연장 정지부(23)에 힘을 가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2)의 압박력이 서서히 커져, 연장 정지부(23)를 연장 자세(B)와 퇴피 자세(C)로 절환할 때의 조작력[이 경우는 연장 정지부(23)를 연장 자세(B)로부터 퇴피 자세(C)로 자세 변경시킬 때의 조작력]이 크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장 정지부(23)를 연장 자세(B)로부터 퇴피 자세(C)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퇴피 조작 스프링(41)의 압박력에 의해 행해지고, 연장 정지부(23)를 포장에 압박하는 것은 누름 스프링(45)의 압박력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연장 정지부(23)를 포장에 압박하는 압박력을 충분히 크게 취해도, 연장 정지부(23)를 퇴피 자세(C)로 회전시키기 위한 압박력은 필요 최소한의 압박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장 정지부(23)를 연장 자세(B)와 퇴피 자세(C)로 절환할 때의 조작력[이 경우는 연장 정지부(23)를 퇴피 자세(C)로부터 연장 자세(B)로 자세 변경시킬 때의 조작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10에 도시하는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이너 와이어(28)를 당김 동작 조작함으로써 연장 정지부(23)가 연장 자세(B)로부터 퇴피 자세(C)로 자세 변경 조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너 와이어(28)의 일단측은 연장 정지부(23)가 퇴피 자세(C)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전 지지축(37)과 연장 정지부(23) 사이에서 와이어 가이드(53)에 피봇 연결되어, 이너 와이어(28)의 조작력을 해제함으로써, 연장 정지부(23)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52)의 압박력에 의해 회전 지지축(37) 둘레로 연장 자세(B)로 회전하고, 한편 이너 와이어(28)는 와이어 가이드(53)에 감겨지면서 누름 동작 부재(40)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 지지축(37) 둘레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조로부터,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연장 정지부(23)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 정지부(23)의 설치 부분의 근방에서 조작 와이어(27)를 직선 모양으로 배치할 수 없어, 아우터 와이어(29)의 일단측을 고정하는 아우터받이(30)의 근방에서 조작 와이어(27)를 만곡 모양으로 굴곡시켜야 하므로, 이 조작 와이어(27)의 상기 만곡 부분에서 아우터 와이어(29)에 대한 이너 와이어(28)의 미끄럼 이동 저항이 커지고, 이에 의해 조작력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 정지부(23)가 퇴피 자세(C)에 있는 상태에서 이너 와이어(28)를 당김 동작 조작함으로써 연장 정지부(23)가 퇴피 자세(C)로부터 연장 자세(B)로 자세 변경 조작되는 것이며, 이너 와이어(28)의 일단측은, 연장 정지부(23)가 연장 자세(B)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전 지지축(37)과 주 정지부(24) 사이에서 누름 동작 부재(40)에 연결되어, 이너 와이어(28)의 조작력을 해제함으로써, 연장 정지부(23)가 퇴피 조작 스프링(41)의 압박력에 의해 퇴피 자세(C)로 회전하고, 한편 이너 와이어(28)는 와이어 가이드(53)에 감겨지면서 누름 동작 부재(40)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 지지축(37) 둘레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와이 어(27)는 연장 정지부(23)의 설치 부분의 근방에서 조작 와이어(27)를 직선 모양으로 배치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은 조작 와이어(27)가 굴곡됨에 따른 조작력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것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리 경운기(1)로서, 사이드 드라이브식의 로터리 경운기(1)를 예시했지만, 센터 드라이브식의 로터리 경운기(1) 등을 채용해도 되며, 또한 본 발명이 채용되는 작업기로서는 써레질 해로이어도 된다.
또한, 리어 커버(17)의 형식으로서는, 폐쇄 커버(22)가 없는[폐쇄 커버(22)가 주요부(21)와 일체 형성되어 있는) 형식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주요부(21)의 하단측에, 주 정지부(24)와 연장 정지부(23)를 구비한 정지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형식의 것, 환언하면, 주요부(21)의 좌우 폭에 대략 상당하는 좌우 폭에 형성된 정지 커버(착탈 커버)를 주요부(21)의 하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정지 커버의 좌우 양측에 상기 연장 정지부(23)를 자세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형식의 것이어도 된다.
로터리 경운기나 써레질 해로 등의 정지 기능을 갖는 작업기의 리어 커버에 적용할 수 있다.
도1은 연장 자세에 있어서의 연장 정지부의 설치 부분을 하측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2는 퇴피 자세에 있어서의 연장 정지부의 설치 부분을 하측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3은 리어 커버의 하단측의 좌측을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4는 리어 커버의 좌측의 배면도.
도5는 연장 정지부의 설치 부분의 배면도.
도6은 로터리 경운기의 측면도.
도7은 리어 커버의 주요부와 폐쇄 커버와 연장 정지부와의 분해 측면도.
도8은 이너 와이어의 연장 정지부측의 연결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연결 상태에서의 연결 수단을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b)는 연결 상태에서의 연결 수단을 배면측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9는 이너 와이어의 연결 수단의 해제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10은 종래의 연장 정지부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기체 틀
17 :리어 커버(커버 부재)
21 : 주요부
22 : 폐쇄 커버(착탈 커버)
23 : 연장 정지부
24 : 주 정지부
25 : 정지부
26 : 조작 레버(조작 부재)
27 : 조작 와이어
28 : 이너 와이어
29 : 아우터 와이어
37 : 회전 지점(회전 지지축)
40 : 누름 동작 부재
41 : 퇴피 조작용 힘 가하기 수단(퇴피 조작 스프링)
44 : 연결 수단
45 : 연장 정지부 누름용 힘 가하기 수단(누름 스프링)
51 : 연결 와이어
54 : 연결 부재
55 : 피연결 부재
56 : 연결 와이어의 일단
57 : 이너 와이어의 연장 정지부측의 단부
58 : 걸림 구멍
59 : 결합부
B : 연장 자세
C : 퇴피 자세

Claims (5)

  1. 포장을 정지하는 정지부(25)가, 주 정지부(24)와, 이 주 정지부(24)로부터 좌우 방향 외방으로 연장 모양으로 된 연장 정지부(2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연장 정지부(23)는 주 정지부(2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어 회전시킴으로써 연장 자세(B)로부터 주 정지부(24)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퇴피 자세(C)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되고, 회전 조작됨으로써 연장 정지부(23)를 연장 자세(B)로부터 퇴피 자세(C)로 자세 변경시키는 누름 동작 부재(40)를 구비하고, 연장 정지부(23)를 연장 자세(B)로부터 퇴피 자세(C)측으로 회전시키도록 누름 동작 부재(40)에 힘을 가하는 퇴피 조작용 힘 가하기 수단(41)과, 누름 동작 부재(40)와 연장 정지부(23)에 걸쳐 설치되어 있어 연장 자세(B)에 있어서 연장 정지부(23)를 포장에 압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연장 정지부 누름용 힘 가하기 수단(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누름 동작 부재(40)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조작 와이어(27)를 구비하고, 이 조작 와이어(27)는, 일단측이 누름 동작 부재(40)측에 연결된 이너 와이어(28)와, 상기 이너 와이어(28)를 가이드하는 아우터 와이어(29)로 구성되고, 연장 정지부(23)가 퇴피 자세(C)에 있는 상태에서 이너 와이어(28)를 당김 동작 조작함으로써 누름 동작 부재(40)가 회전하는 동시에 연장 정지부 누름용 힘 가하기 수단(45)의 압박력에 의해 연장 정지 부재(23)가 누름 동작 부재(40)에 추종하여 연장 자세(B)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 와이어(27)의 누름 동작 부재(40) 연결측은 주 정지부(24)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이너 와이어(28)의 일단측은, 연장 정지부(23)가 연장 자세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누름 동작 부재(40)의 회전 지점(37)과 주 정지부(24) 사이에서 누름 동작 부재(4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단측이 기체 틀(5)측에 좌우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하단측이 포장에 접지하여 정지하는 커버 부재(17)를 구비하고, 이 커버 부재(17)는, 상기 커버 부재(17)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주요부(21)와, 이 주요부(21)의 하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착탈 커버(22)와, 이 착탈 커버(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회전시킴으로써 주요부(21)의 측연으로부터 좌우 방향 외방으로 연장 모양으로 된 연장 자세(B)로부터 상기 착탈 커버(22)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퇴피 자세(C)로 자세 변경 가능한 연장 정지부(23)를 구비하고, 이 연장 정지부(23)를 원격 조작에 의해 자세 변경 조작하는 조작 와이어(27)를 구비하고, 이 조작 와이어(27)를, 조작 부재(26)에 의해 조작되어 연장 정지부(23)를 자세 변경시키는 이너 와이어(28)와, 이 이너 와이어(28)를 가이드하는 아우터 와이어(29)로 구성하고, 아우터 와이어(29)의 연장 정지부(23)측의 단부를 주요부(21)에 설치하고,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3)측을 착탈 커버(22)측으로부터 떼어내기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4. 제3항에 있어서,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3)측의 단부(57)는 연결 수단(44)을 통하여 연결 와이어(51)의 일단(51)측에 연결되고, 이 연결 와이어(51)의 타단측은 이너 와이어(28)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연장 정지부(23)가 자세 변경되도록 연장 정지부(23)측으로 연동 연결되고, 연결 수단(44)은 연결 와이어(51)의 일단(56) 또는 이너 와이어(28)의 연장 정지부(23)측의 단부(57)의 한 쪽에 설치된 연결 부재(54)와 다른 쪽에 설치된 피연결 부재(55)로 구성되고, 피연결 부재(55)는 연결 부재(54)에 대하여, 이너 와이어(28)를 팽팽하게 함으로써 연결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이너 와이어(28)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5. 제4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54)에 걸림 구멍(58)을 형성하는 동시에 피연결 부재(55)에 결합부(59)를 설치하고, 피연결 부재(55)는 이너 와이어(28)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 구멍(58)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고, 상기 걸림 구멍(58)에 피연결 부재(55)를 삽입 관통하고 또한 이너 와이어(28)를 팽팽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 구멍(58)의 연부에 결합부(59)가 결합됨으로써 피연결 부재(55)의 연결 부재(54)로부터의 이탈이 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KR1020070105962A 2006-10-23 2007-10-22 작업기 KR101342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87896 2006-10-23
JP2006287896A JP4711931B2 (ja) 2006-10-23 2006-10-23 作業機
JP2007014958A JP4711979B2 (ja) 2007-01-25 2007-01-25 作業機
JPJP-P-2007-00014958 2007-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527A KR20080036527A (ko) 2008-04-28
KR101342256B1 true KR101342256B1 (ko) 2013-12-16

Family

ID=3957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962A KR101342256B1 (ko) 2006-10-23 2007-10-22 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2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0824A (ja) 2003-10-31 2005-05-26 Kubota Corp 作業機
JP2005245325A (ja) 2004-03-04 2005-09-15 Kubota Corp 作業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0824A (ja) 2003-10-31 2005-05-26 Kubota Corp 作業機
JP2005245325A (ja) 2004-03-04 2005-09-15 Kubota Corp 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527A (ko) 200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2635B2 (ja) フロントローダ
JP6134423B2 (ja) 耕耘作業機
KR101342256B1 (ko) 작업기
JP2007053971A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4711979B2 (ja) 作業機
JP4133741B2 (ja) 作業機
JP4711931B2 (ja) 作業機
JP2010265674A (ja) 作業機
JP5284541B2 (ja) コンテナ荷役車両
JP2014097042A (ja) エプロン跳ね上げ補助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耕耘作業機
JP4133872B2 (ja) 作業機
JP2010048067A (ja) スキッドステアローダのアーム降下防止装置
JP5463088B2 (ja) 農作業機の連結装置
JP4275040B2 (ja) ロータリ
JP7479773B2 (ja) 作業機
JP4246128B2 (ja) ワイヤ取付装置
JP2008196275A (ja) アタッチメント連結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4713557B2 (ja) 作業機
JP4691081B2 (ja) 作業機
JP4344254B2 (ja) ストッパ装置
FR3088517A1 (fr) véhicule tracteur, ensemble prêt à monter sur ledit véhicule et procédé d’assistance à l’attelage dudit véhicule
JP4463241B2 (ja) ロータリ耕耘機のカバー装置
JP4705376B2 (ja) 作業車輌
JP5058223B2 (ja) 駆動型対地作業機
JP2008240344A (ja) フロントロ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