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212B1 - 차일드 시트, 물품의 통기부 구조 및 그 통기부 구조를구비한 물품의 커버 및 아동용 물품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 물품의 통기부 구조 및 그 통기부 구조를구비한 물품의 커버 및 아동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212B1
KR101342212B1 KR1020060050150A KR20060050150A KR101342212B1 KR 101342212 B1 KR101342212 B1 KR 101342212B1 KR 1020060050150 A KR1020060050150 A KR 1020060050150A KR 20060050150 A KR20060050150 A KR 20060050150A KR 101342212 B1 KR101342212 B1 KR 101342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guide
shoulder belt
delete delete
ba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7767A (ko
Inventor
료이찌 유모또
유스께 아리이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5845A external-priority patent/JP47320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585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35326A/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booster cushions, e.g. to lift a child to allow proper use of the conventional safety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부와 백부를 갖고, 백부에는 차량의 시트 벨트인 어깨 벨트를 착석자의 어깨 주위로부터 앞가슴을 향해 안내하기 위한 어깨 벨트 가이드가 설치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백부의 좌우 방향에 관한 어깨 벨트 가이드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다.
차일드 시트, 시트부, 백부, 머리받이, 등받이

Description

차일드 시트, 물품의 통기부 구조 및 그 통기부 구조를 구비한 물품의 커버 및 아동용 물품 {CHILD SEAT, VENTILATION PORTION STRUCTURE OF ARTICLE AND COVER OF ARTICLE COMPRISING THE VENTILATION PORTION STRUCTURE, AND ARTICLE FOR CHILD}
도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차일드 시트로부터 커버를 제거하여 각 부의 본체 부분을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시트 본체와 등받이 본체의 연결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백부를 위로 하여 시트부를 현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머리받이 본체를 배면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머리받이 본체에 설치된 벨트 가이드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도6의 상태로부터 어깨 벨트 가이드를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로크 플레이트를 끌어내려 어깨 벨트 가이드의 구속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도6의 Ⅸ-Ⅸ선을 따른 벨트 가이드 기구의 단면도.
도10a는 어깨 벨트 가이드를 외측으로 인출하여 어깨 벨트의 안내 위치를 적 정화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0b는 어깨 벨트 가이드가 내측으로 치우쳐 있어 어깨 벨트의 안내 위치가 부적절하게 설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1은 커버 상에 설치된 통기부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시트 본체와 등받이 본체의 연결 기구에 관한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3은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4는 도13의 상태로부터 어깨 벨트 가이드를 내측으로 인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도13의 ⅩⅤ-Ⅹ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일드 시트
2 : 시트부
3 : 백부
4 : 드링크 홀더
5 : 등받이
6 : 머리받이
7 : 어깨 벨트 가이드
10 : 연결 기구
12 : 후크
13 : 스토퍼
20 :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
21 : 로크 플레이트
22 : 슬라이더
23 : 로크 해제 노브
32 : 바닥 소재
33 : 덧댐 소재
100 : 시트 벨트
101 : 어깨 벨트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20614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0-100762호 공보
본 발명은 연소자를 차량의 시트 벨트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차량의 좌석 상에 장착되는 차일드 시트 및 그 차일드 시트 등의 물품의 표면에 설치되는 통기부 구조 등에 관한 것이다.
유아 또는 연소자를 차량의 좌석에 대해 적합하게 하기 위한 차일드 시트에는 차량의 시트 벨트 혹은 ISOFIX식의 고정 기구 등을 이용하여 차일드 시트를 좌 석 상에 고정하고, 착석자를 차일드 시트 자체의 시트 벨트로 구속하는 타입과, 차일드 시트를 좌석 상에 적재하고, 차량의 시트 벨트에 의해 착석자를 차일드 시트 상에 구속하는 타입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전자의 타입의 차일드 시트는 신생아부터 4세, 혹은 체중 18 ㎏ 정도까지의 유아에게 적용되는 데 반해, 후자의 타입의 차일드 시트는 체중 15 ㎏ 내지 36 ㎏, 혹은 3세 내지 7세(경우에 따라서는 11세) 정도의 연소자에게 적용된다. 후자의 타입의 차일드 시트로서는 시트부와, 그 시트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백부(back portion)를 갖고, 백부의 상단부에는 머리받이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백부의 내측에는 차량의 3점식 시트 벨트의 어깨 벨트를 착석자의 어깨 주위로부터 앞가슴을 향해 안내하기 위한 어깨 벨트 가이드가 머리받이와 일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된 차일드 시트가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20614호 공보 참조).
그런데, 차량의 어깨 벨트를 이용하여 착석자의 상반신을 구속하는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는, 어깨 벨트를 착석자의 목에 걸리지 않도록, 또한 어깨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안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에 관해 어깨 벨트 가이드의 위치가 일정하기 때문에, 어깨 벨트 가이드에 의한 어깨 벨트의 안내 위치의 조정 범위가 특히 좌우 방향에 관해 제한되고, 그것에 의해 백부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범위도 제한된다.
또한, 차일드 시트 등의 아동용 물품으로서, 사용자(착석자)의 발열을 방지하기 위해 내장재로서의 쿠션재에 통기성을 부여하고, 그 쿠션재의 표면을 통기성 이 있는 천, 예를 들어 메쉬천으로 덮은 통기부 구조를 갖는 물품이 제안되고(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0-100762호 공보 참조), 그러한 통기부 구조를 구비한 제품이 시장에도 실제로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물품의 일부에 상술한 바와 같은 통기부 구조를 마련하는 경우, 물품의 표피재의 단부와 메쉬 소재의 단부를 봉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봉제 구조에서는 표피재와 통기성 천이 동일 높이에 늘어선다. 이로 인해, 통기성 천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접해, 충분한 통기 효과를 확보할 수 없는 일이 있다. 특히 아동용 물품에 있어서는 성인용 물품보다 더 발한 대책이 중요시되기 때문에, 보다 통기 효과가 높은 통기부 구조가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고, 그 제1 목적은 어깨 벨트 가이드에 의한 어깨 벨트의 안내 위치의 조정 범위를 좌우 방향으로 충분히 확대하는 것이 가능한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종래보다도 통기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물품의 통기부 구조 및 그 통기부 구조를 이용한 물품의 커버, 아동용 물품 및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는 시트부와 백부를 갖고, 상기 백부에는 차량의 시트 벨트의 어깨 벨트를 착석자의 어깨 주위로부터 앞가슴을 향해 안내하기 위한 어깨 벨트 가이드가 설치된 차일드 시트이며, 상기 백부의 좌우 방향에 관한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형태의 차일드 시트에 따르면, 어깨 벨트 가이드를 좌우 방향에 관해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어깨 벨트 가이드에 의한 어깨 벨트의 안내 위치의 조정 범위를 좌우 방향에 관해 용이하게 확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보다도 광범위한 체격에 어깨 벨트 가이드를 적합시키고, 그것에 의해 백부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제1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는 상기 백부의 본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와 일체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접근하는 구속 위치와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이격되는 구속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구속 부재와, 상기 구속 부재를 상기 구속 위치를 향해 압박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백부의 외면 상에 노출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속 부재를 상기 구속 위치로부터 상기 구속 해제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 또는 상기 구속 부재 중 어느 한쪽에는 로크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더 또는 상기 구속 부재 중 다른 쪽에는 상기 구속 부재가 상기 구속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로크 돌기와 맞물리고, 상기 구속 부재가 상기 구속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로크 돌기로부터 벗어나는 복수의 로크 수용부가 상기 좌우 방향에 관해 늘어세워 설치되어도 좋다.
본 형태에 따르면, 구속 부재를 압박 부재에 의해 구속 위치에 유지하면 로 크 돌기와 로크 수용부가 맞물려 슬라이더가 좌우 방향에 관해 구속되고, 그것에 의해 어깨 벨트 가이드가 좌우 방향에 관해 일정한 위치에 유지된다.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구속 부재를 구속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면, 로크 돌기가 로크 수용부로부터 벗어나 슬라이더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어깨 벨트 가이드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하여 로크 돌기가 맞물리도록 로크 수용부를 변경하고, 그 후에 구속 부재를 구속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로크 돌기가 앞에서와는 다른 로크 수용부와 맞물리고, 그것에 의해 어깨 벨트 가이드가 좌우 방향에 관해 다른 위치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어깨 벨트 가이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의 기부가 상기 백부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백부의 상기 본체에는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의 상기 기부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백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백부의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는 상기 백부의 상기 본체에 마련된 좌우 방향의 긴 구멍을 관통하는 연결축을 거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백부의 후방으로부터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로크 돌기 및 상기 로크 수용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구속 부재의 대향면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백부의 배면측에 노출되고 또한 상기 조작부와 상기 구속 부재가 상기 백부의 전후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속 부재와 연결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백부의 배면측에서 조작 부재의 조작부를 후방으로 인입함으로써, 구속 부재를 슬라이더로부터 이격시켜 구속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것에 의해 어깨 벨트 가이드의 구속을 해제하여 그 좌우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 및 구속 부재가 본체 내에 배치되고, 또한 조작 부재의 조작부도 백부의 배면측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들 부품이 착석자에 접촉할 우려가 없어 착석자의 쾌적성이 손상되지 않고, 또한 안전성도 높다. 또한,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의 절반이 백부 내에 가려져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에는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좌우 방향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기부보다도 상기 백부의 전방으로 확대되는 확대부가 설치되고, 상기 백부의 상기 가이드 홈에는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가 상기 좌우 방향 내측으로 인입하였을 때에 상기 확대부를 수용하는 깊은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깊은 홈부 내에는 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확대부에는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이스케이프 홈이 마련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어깨 벨트 가이드의 기부를 백부의 배면측에 배치하면서, 확대부에 의해 어깨 벨트 가이드를 백부의 전방으로 연장하여 어깨 벨트의 안내 위치를 착석자의 어깨 주위에 근접하게 할 수 있다. 백부의 가이드 홈에는 확대부를 수용하는 깊은 홈부를 마련하고, 또한 그 깊은 홈부에는 리브를, 확대부에는 그 리브를 수용하는 이스케이프 홈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어깨 벨트 가이드를 좌우 방향 외측으로 인출한 경우라도 확대부가 깊은 홈부로부터 벗어나기까지의 동안은 확대부와 기부의 단차 부분이 백부의 밖에 노출되지 않고, 그 단차 부분과 백부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워지는 간극이 생기지 않는 다. 또한, 깊은 홈부에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심홈 내로의 손가락 및 이물질 등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는 상기 백부의 본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백부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백부의 상기 본체에 설치된 원반형의 구속 부재와, 상기 구속 부재 및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의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와, 상기 백부의 외면 상에 노출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속 부재를 회전시키는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속 부재 또는 상기 백부의 상기 본체 중 어느 한쪽에는 로크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구속 부재 또는 상기 백부의 상기 본체 중 다른 쪽에는 상기 로크 돌기와 맞물림 가능한 복수의 로크 수용부가 상기 구속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한 형태에 따르면, 구속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링크의 자세가 변화되어 어깨 벨트 가이드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로크 돌기를 어느 하나의 로크 수용부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구속 부재를 주위 방향에 관해 일정 위치에 유지하고, 그것에 의해 어깨 벨트 가이드도 일정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로크 돌기가 맞물리게 하기 위해 로크 수용부를 변경함으로써 어깨 벨트 가이드를 다른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어깨 벨트 가이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백부는 착석자의 등부를 지지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 상기 등받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착석자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머리받이를 구비하고,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 및 상기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가 상기 머리받이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어깨 벨트 가이드의 위치를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어느 하나에 관해서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어깨 벨트 가이드에 의한 어깨 벨트의 위치 조정 범위를 더 확대하여 보다 광범위한 체격에 어깨 벨트 가이드를 적합시키고, 그것에 의해 백부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범위를 한층 확대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통기부 구조는 물품의 사용자에 접하는 면에 마련되는 통기부 구조이며, 통기부를 생기게 하기 위한 절결 부분을 갖고 상기 절결 부분의 주연부가 이면측을 향해 되접어진 표피재와, 상기 표피재의 절결 부분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통기부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통기성의 바닥 소재와, 되접음선이 상기 절결 부분의 내주측을 향하도록 2번 접힌 상태에서 상기 표피재의 되접어진 주연부와 상기 바닥 소재 사이에 개재되는 덧댐 소재를 구비하고, 상기 표피재의 상기 주연부와 상기 바닥 소재가 상기 덧댐 소재(gusset material)를 거쳐서 연결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통기부 구조에 따르면, 표피재와 바닥 소재 사이에 덧댐 소재가 2번 접힌 상태에서 개재됨으로써 바닥 소재가 표피재보다도 후퇴하고, 표피재와 바닥 소재 사이에 고저차가 생긴다. 또한, 표피재의 장력이 2번 접힌 덧댐 소재에 의해 완충되어 바닥 소재까지 전달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표피재 의 장력으로 바닥 소재가 표면측으로 인장되어 바닥 소재가 부상하는 현상이 완화된다. 이에 의해, 표피재의 표면으로부터 바닥 소재에 의해 구성되는 바닥면까지의 통기부의 깊이를 증가시키고, 바닥 소재와 사용자 사이에 간극을 생기게 하여 통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바닥 소재가 표피재로부터 후퇴함으로써 사용자를 통기부에서 위치 결정하는 효과도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표피재는 표면측 천과 그 표면측 천의 이면에 접합되는 쿠션재를 구비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표피재의 주연부를 되접음으로써 쿠션재가 겹쳐지기 때문에, 표피재로부터 바닥 소재까지의 깊이를 보다 크게 확보하여 통기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바닥 소재는 메쉬천과 그 메쉬천의 이면에 접합되는 쿠션재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 소재의 쿠션재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통기부의 바닥면 부분에 있어서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쿠션 효과도 생기게 하여 통기부의 바닥면에 사용자가 접촉한 경우라도 쾌적성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피재 및 바닥 소재의 각각과 덧댐 소재는 각종 연결 방법으로 연결되어도 좋다. 적절한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표피재와 상기 바닥 소재 사이에는 단일의 덧댐 소재가 개재되고, 상기 표피재의 되접어진 주연부와 상기 덧댐 소재의 한쪽의 되접음부가 봉제되고, 상기 바닥 소재와 상기 덧댐 소재의 다른 쪽의 되접음부가 봉제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표피재와 메쉬천을 봉합하여 연결하는 경우와 같은 제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통기부의 내부에서 볼 때 봉제 부위가 덧댐 소재의 되접음 부분의 이면측에 가려져 있으므로, 통기부의 외관 품질도 높게 유지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는 각종 물품 혹은 그 커버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의 표면에 배치되는 커버에 있어서는, 그 커버의 사용자와 접하는 면에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아동과 접하는 면을 구비한 아동용 물품에 있어서는, 상기 아동과 접하는 면에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는, 착석자를 접하는 표면에 배치된 커버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에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통기 효과에 부가하여, 차일드 시트에 착석하는 아동을 통기부의 함몰부에 수용하여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착석자로서의 아동을 차일드 시트의 좌우 방향에 관해 대략 중앙에 위치 결정하고, 아동을 바른 자세로 유지하는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를 구비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는, 시트부와 백부를 갖고,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백부의 각각에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가 설치되고, 각각의 커버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에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가 마련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시트부 및 백부의 각각에서 통기 효과를 높이면서 아동을 좌우 방향에 관해 대략 중앙에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부에는 착석자의 등부를 지지하는 등받이 및 상기 착석자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머리받이가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머리받이를 각각 덮는 커버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 에 상기 통기부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착석자의 둔부, 등부 그리고 머리부의 각각을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착석자의 자세 유지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를 도시하고 있다. 차일드 시트(1)는 시트부(2)와, 그 시트부(2)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백부(3)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부(2)는 유아 또는 연소자가 착석자로서 앉는 부분이고, 그 양측에는 차량의 시트 벨트의 허리 벨트를 착석자의 허리 주위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허리 벨트 가이드(2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2)의 전방에는 음료 병 등을 고정시켜 놓기 위한 드링크 홀더(4)가 설치되어 있다.
백부(3)는 착석자의 등부를 지지하는 등받이(5)와, 그 등받이(5)의 상단부에 배치된 머리받이(6)를 구비하고 있다. 등받이(5) 및 머리받이(6)에는 착석자의 몸통부 또는 머리부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측면 지지부(5a, 6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시트부(2), 등받이(5) 및 머리받이(6)는 도2에 도시하는 수지제의 시트 본체(2A), 등받이 본체(5A) 및 머리받이 본체(6A)를 각각 내장하고 있다. 이들 본체(2A, 5A, 6A)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B, 5B, 6B)로 각각 덮인다. 머리받이(6)의 하단부 양측에는 어깨 벨트 가이드(7)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부(2)와 백부(3)는 시트 본체(2A)와 등받이 본체(5A) 사이에 배치된 연결 기구(10)를 거쳐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 기구(10)의 상세를 도3에 도시한다. 연결 기구(10)는 시트 본체(2A)에 일체로 설치된 지지축(11)과, 등받이 본체(5A)의 하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후크(12)와, 시트 본체(2A)의 후단 부면(2b)으로부터 지지축(11)을 향해 돌출되는 스토퍼(13)와, 후크(12)의 외주에 마련된 돌기(14)를 갖고 있다. 지지축(11)은 시트 본체(2A)의 후단부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축(11)은 그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지지축(1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형의 기부(11a)와, 그 기부(11a)의 양단부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만곡하면서 연장되는 한 쌍의 만곡부(11b, 11c)를 조합한 구성을 갖고 있다. 만곡부(11b, 11c)는 기부(11a)에 대해 시트 본체(2A)의 전후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편, 후크(12)는 등받이 본체(5A)의 배면(5b)을 향해 개구부(12a)가 마련된 대략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11)의 외주면과 스토퍼(13) 사이의 간극량은 후크(12)의 두께보다도 약간 큰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3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 본체(5A)가 시트 본체(2A)에 대해 상방으로 기립된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는 후크(12)의 개구부(12a)가 후방을 향하고, 지지축(11)과 스토퍼(13) 사이에 후크(12)가 인입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토퍼(13)가 장해가 되어 후크(12)를 지지축(11)으로부터 제거할 수 없다. 이때, 후크(12)의 외주의 돌기(14)는 후크(12)의 하방에 위치한다.
한편, 도3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 본체(5A)를 시트 본체(2A)의 후방에 거의 바로 연결되는 착탈 위치까지 쓰러뜨린 경우에는 후크(12)의 개구부(12a)가 하방을 향하고, 돌기(14)가 스토퍼(13)에 맞닿는다. 이 상태로부터 후크(12)를 지지축(11)에 대해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스토퍼(13)가 탄성 변형되어 돌기(14)가 스토퍼(13)를 타고 넘는다. 이에 의해, 후크(12)를 지지축(11)에 대해 상방으로 인발하여 시트 본체(2A)로부터 등받이 본체(5A)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본체(5A)를 착탈 위치에 유지하면서 후크(12)를 지지축(11)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압입하면, 스토퍼(13)가 탄성 변형되어 돌기(14)가 스토퍼(13)를 타고 넘고, 지지축(11)이 후크(12) 내로 인입된다. 이에 의해, 지지축(11)과 후크(12)가 맞물려 등받이 본체(5A)가 지지축(11)의 주위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시트 본체(2A)에 연결된다. 또한, 지지축(11)과 후크(12)를 착탈할 때에 스토퍼(13)와 함께 지지축(11)의 만곡부(11b)도 탄성 변형되도록 만곡부(11b)의 강성을 설정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연결 기구(10)에 따르면, 등받이 본체(5A)를 착탈 위치에 쓰러뜨린 상태에 있어서, 시트부(2)와 백부(3)가 이들 탈착 방향에 관해 탄성적으로 맞물려 있고, 스토퍼(13),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축(11)의 만곡부(11b)도 탄성 변형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시트부(2)와 백부(3)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일드 시트(1)를 백부(3)에 손을 걸어 들어올린 경우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부(3)로부터 시트부(2)가 현수되어 지지축(11)과 후크(12)의 관계가 도3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상태가 되지만, 그 상태에서는 스토퍼(13)가 돌기(14)에 맞닿아 지지축(11)의 후크(12)로부터의 탈출이 억제되므로, 시트부(2)가 백부(3)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없다.
도2로 복귀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등받이 본체(5A)에는 상방을 향해 개방하는 서포트 장착 홈(5c)이 마련되어 있고, 머리받이 본체(6A)는 그 서포트 장착 홈(5c)에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 본체(5A)와 머리받이 본체(6A) 사이에는 머리받이 본체(6A)를 상하 방향에 관해 적절한 위치에서 구속하는 머리받이 위치 결정 기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머리받이(6)는 등받이(5)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다. 그리고, 어깨 벨트 가이드(7)는 머리받이 본체(6A)에 설치됨으로써 머리받이(6)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다. 또한, 머리받이 위치 결정 기구로서는, 공지의 기구를 적절하게 사용해도 좋다.
어깨 벨트 가이드(7)는 차량의 시트 벨트의 어깨 벨트를 착석자의 어깨 주위로부터 앞가슴을 향해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깨 벨트 가이드(7)에는 어깨 벨트가 삽입 관통되는 어깨 벨트 안내 구멍(7a)과, 그 어깨 벨트 안내 구멍(7a)에 대해 어깨 벨트를 출입하기 위한 슬릿(7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어깨 벨트 가이드(7)는, 도5 내지 도9에 도시하는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20)를 거쳐서 머리받이 본체(6A)에 설치됨으로써, 차일드 시트(1)의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다.
다음에, 도5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20)의 상세를 설명한다. 또한, 도5는 머리받이 본체(6A)의 배면(6b)측으로부터 어깨 벨트 가이드(7)를 본 형태를 도시하고, 도6 내지 도8은 머리받이 본체(6A)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20)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도9는 도6의 Ⅸ-Ⅸ선을 따른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20)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20)는 머리받이 본체(6A)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속 부재로서의 로크 플레이트(21)와, 머리받이 본체(6A)의 내부에 있어서 어깨 벨트 가이드(7)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로크 플레이트(21)와 맞물리는 좌우 한 쌍(도7 내지 도9에서는 한쪽만 도시함)의 슬라이더(22)와, 로크 플레이트(2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로서의 로크 해제 노브(23)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플레이트(21)에는 좌우의 슬라이더(22)와 머리받이 본체(6A)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백부(3)의 후방으로부터 슬라이더(22)와 대향하는 로크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각 로크부(21a)에는, 로크 수용부로서 복수(도면에서는 2개)의 로크 구멍(21b)이 어깨 벨트 가이드(7)의 위치 조정 방향[차일드 시트(1)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피치로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22)에는 로크 구멍(21b)에 맞물리는 로크 돌기(22a)가 로크 구멍(21b)과 동일 수 또한 동일 피치로 좌우 방향으로 늘어세워 설치되어 있다. 어깨 벨트 가이드(7)의 기부(7c)는 머리받이 본체(6A)에 마련된 가이드 홈(6d)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어깨 벨트 가이드(7)에는 연결축(7d)이 설치되어 있고, 그 연결축(7d)은 가이드 홈(6d)의 바닥면 부분에 형성된 긴 구멍(6e)을 관통하여 머리받이 본체(6A) 내에서 슬라이더(22)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22)는 머리받이 본체(6A)의 내부에 있어서 어깨 벨트 가이드(7)와 일체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22)와 머리받이 본체(6A) 사이에는 로크 구멍(21b)이 로크 돌기(22a)와 맞물리는 구속 위치(도6 및 도9에 나타내는 위치)와, 로크 구멍(21b)이 로크 돌기(22a)로부터 벗어나는 구속 해제 위치 사이에서 로크부(21a)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로크 해제 노브(23)는 머리받이 본체(6A)의 배면(6b)의 하부 중앙에 마련된 오목부(6c) 내에 배치됨으로써 백부(3)의 외면 상에 노출되는 조작부(23a)와, 그 조작부(23a)의 이면 중앙으로부터 머리받이 본체(6A)의 내부로 연장된 축부(23b)를 갖고 있다. 축부(23b)의 선단부는 로크 플레이트(21)와 연결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21)와 로크 해제 노브(23)는 축부(23b)의 축선 방향, 바꾸어 말하면 백부(3)의 전후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축부(23b)의 외주에는 압박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24)(도9에만 도시함)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로크 플레이트(21)는 코일 스프링(24)에 의해 머리받이 본체(6A)의 전방(도7에 있어서 화살표 F 방향)으로 압박되고, 그것에 의해 로크 구멍(21b)이 로크 돌기(22a)와 맞물리는 구속 위치에 로크 플레이트(21)가 유지된다. 로크 구멍(21b)과 로크 돌기(22a)가 맞물림으로써 로크 플레이트(21)에 대해 슬라이더(22)가 좌우 방향으로 구속되고, 그 결과 어깨 벨트 가이드(7)는 좌우 방향에 관해 이동 불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은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20)에 있어서, 어깨 벨트 가이드(7)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도8에 화살표 R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해제 노브(23)의 조작부(23a)를 머리받이(6)의 후방으로 인출하고, 로크 플레이트(21)를 그 로크 구멍(21b)이 슬라이더(22)의 로크 돌기(22a)로부터 벗어나는 구속 해제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21)에 대한 슬라이더(22)의 구속이 해제되고, 어깨 벨트 가이드(7)를 가이드 홈(6d)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로크 구멍(21b)의 각각을 로크 돌기(22a)와 맞물리게 한 경우에는 어깨 벨트 가이드(7)가 좌우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위치에 구속된다. 도9의 상태로부터 로크 플레이트(21)를 구속 해제 위치로 후퇴시켜 어깨 벨트 가이드(7)를 외측으로 인출하고,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의 로크 돌기(22a)를 외측의 로크 구멍(21b)과 맞물리게 한 경우에는, 어깨 벨트 가이드(7)를 도9에 나타내는 위치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에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로크 구멍(21b) 및 로크 돌기(22a)를 각각 2개씩 마련함으로써, 어깨 벨트 가이드(7)를 두 위치 사이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하였지만, 이들 개수를 늘려 어깨 벨트 가이드(7)의 위치를 더 다단계로 조정 가능하게 해도 좋다. 혹은, 로크 돌기(22a)의 개수를 1개로 하고, 로크 구멍(21b)을 복수 마련해도 좋다. 로크 돌기(22a)를 로크 플레이트(21)에 마련하고, 로크 수용부로서의 로크 구멍(21b)을 슬라이더(22)에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라도 로크 돌기(22a)는 1개 이상 있으면 좋고, 로크 구멍(21b)은 어깨 벨트 가이드(7)의 유지 위치에 따른 개수만큼 마련하면 좋다. 로크 수용부는 관통 구멍으로 한정되지 않고, 오목부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형태의 차일드 시트(1)에 있어서는, 어깨 벨트 가이드(7)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20)에 의해 조정할 수 있으므로, 어깨 벨트의 안내 위치를 착석자의 어깨 폭, 혹은 목 주위의 두께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깨 벨트 가이드(7)가 내측으로 지나치게 치우쳐 차량의 시트 벨트(100)의 어깨 벨트(101)가 착석자(102)의 목에 걸릴 때에는, 도10a에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어깨 벨트 가이드(7)를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그것에 의해 어깨 벨트(101)를 착석자(102)의 어깨 주위로부터 앞가슴을 향해 적절한 루트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의 차일드 시 트(1)에서는 어깨 벨트 가이드(7)가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20)를 거쳐서 머리받이 본체(6A)에 설치됨으로써, 어깨 벨트 가이드(7)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깨 벨트 가이드(7)에 의한 어깨 벨트(101)의 안내 위치를 보다 광범위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다양한 체격의 착석자에 대해 어깨 벨트를 적절한 위치에서 안내할 수 있다. 이 결과, 머리받이(6)의 위치 조정 기능과 더불어, 백부(3)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범위를 충분히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깨 벨트 가이드(7)에는 슬라이더(22)와 연결되는 기부(7c)보다도 차일드 시트(1)의 전방으로 팽창되도록 하여 확대부(7e)가 설치되어 있고, 어깨 벨트 가이드(7)의 안내 구멍(7a)은 그 확대부(7e)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확대부(7e)를 설치하는 이유는, 머리받이 본체(6A)의 배면(6b)측에 설치되는 기부(7c)보다도 어깨 벨트 가이드(7)의 안내 구멍(7a)의 주위를 전방으로 치우치게 하고, 그것에 의해, 어깨 벨트 가이드(7)에 의한 어깨 벨트의 안내 위치를 전후 방향에 관해 착석자의 어깨 주위에 근접하게 하는 데 있다. 머리받이 본체(6A)의 가이드 홈(6d)의 좌우 방향의 입구 근처 부분에는 그 확대부(7e)를 수용하는 깊은 홈부(6f)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그 깊은 홈부(6f)에는 리브(6g)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6g)는 좌우 방향에 관해 깊은 홈부(6f)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고, 또한 그 높이는 어깨 벨트 가이드(7)의 기부(7c)에 도달할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리브(6g)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깊은 홈부(6f)의 공간을 거의 메우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어깨 벨트 가이드(7)의 확대부(7e)에는 리브(6g)를 수용하는 이스케이프 홈(7f)이 마련되어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깨 벨트 가이드(7)를 가장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리브(6g)는 이스케이프 홈(7f)에 끼워 넣는다. 한편, 어깨 벨트 가이드(7)를 가장 외측에 위치시킨 상태(도7 참조)에서는 이스케이프 홈(7f)이 리브(6g)보다도 외측으로 치우치고, 도9에 가상선(7e')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확대부(7e)와 기부(7c)의 단차 부분이 리브(6g)의 외측의 단부와 거의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즉, 어깨 벨트 가이드(7)를 외측으로 최대한으로 인출한 상태에서도 확대부(7e)와 기부(7c)의 단차 부분은 머리받이 본체(6A)의 리브(6g)와 대략 동일 위치에 있다. 이에 의해, 어깨 벨트 가이드(7)를 외측으로 인출해도 그 확대부(7e)와 머리받이 본체(6A) 사이에 큰 간극이 생기지 않고, 차일드 시트(1)의 사용자가 그 간극에 손가락을 끼울 우려가 없다. 게다가, 깊은 홈부(6f)에 리브(6g)가 존재함으로써 깊은 홈부(6f)로의 손가락 및 이물질 등의 침입을 리브(6g)에 의해 저지할 수도 있다.
다음에, 차일드 시트(1)의 커버(2B, 5B, 6B)의 특징 부분을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의 커버(2B, 5B, 6B)의 각각에는 통기부(30A, 30B, 30C)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부(2)의 통기부(30A)와 등받이(5)의 통기부(30B)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머리받이(6)의 통기부(30C)는 다른 통기부(30A, 30B)에 대해 독립되어 있다. 이들 통기부(30A 내지 30C)는 모두 커버(2B, 5B, 6B)의 표면으로부터 후퇴되는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위치는 차일드 시트(1)의 좌우 방향에 관해 대략 중앙에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통기 부(30A 내지 30C)는 착석자의 둔부, 등부 또는 머리부를 차일드 시트(1)의 좌우 방향에 관한 중앙에 유지하는 위치 결정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통기부(30A 내지 30C)에 공통되는 구성을 설명하는 경우에는 통기부를 참조 부호 30으로 대표되는 일이 있다.
도11은 통기부(30)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11에 도시하는 단면 구조는 통기부(30A 내지 30C)에 공통된다. 통기부(30)는 커버(2B, 5B, 6B)의 최외측 표면에 배치되는 표피재(31)와, 통기부(3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 소재(32)를 이들 사이에 덧댐 소재(33)가 개재되도록 하여 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표피재(31)는 표면측 천(31a)의 이면에 우레탄 등의 쿠션재(31b)를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피재(31)는 통기부(30)의 평면형에 맞추어 절결되고, 그 절결 부분의 주연부(31c)는 이면측으로 되접어져 있다. 한편, 바닥 소재(32)는 통기성을 갖는 메쉬천(32a)의 이면에 우레탄 등의 쿠션재(32b)를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고, 그 형상은 통기부(30)의 평면형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쿠션재(32b)에는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덧댐 소재(33)는 천으로 이루어지고, 절곡선이 내주측에 위치하도록 2개 접힌 상태에서 표피재(31)의 되접어진 주연부(31c)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표피재(31)가 되접어진 주연부(31c)와 덧댐 소재(33)의 한쪽의 되접음부(33a)는 봉제선(SL1)을 따라 서로 봉합되고, 바닥 소재(32)와 덧댐 소재(33)의 다른 쪽의 되접음부(33b)는 봉제선(SL2)을 따라 서로 봉합되어 있다. 이들 봉제에 의해, 표피재(31)의 되접어진 주연부(31a)와 바닥 소재(32)가 덧댐 소재(33)를 거쳐서 연결된다.
이상과 같은 통기부 구조에 따르면, 표피재(31)와 바닥 소재(32) 사이에 2개 접힌 덧댐 소재(33)가 개재됨으로써 표피재(31)와 바닥 소재(32) 사이에 충분한 고저차가 생기고, 그것에 의해 통기부(30)의 깊이를 증가시켜 통기부(30)에 의한 통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통기부(30)의 깊이를 증가시킴으로써 통기부(30)에 의한 착석자의 유지 효과(위치 결정 효과)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덧댐 소재(33)를 설치하지 않고, 표피재(31)가 되접어진 주연부(31c)와 바닥 소재(32)를 서로 봉합한 경우에는, 표피재(31)의 장력으로 봉제 부분이 표면측으로 인장되어 바닥 소재(32)의 외주 부분이 부상하여 통기부(30)의 깊이가 감소한다. 즉, 본 형태의 통기부(30)에서는 표피재(31)의 장력이 절곡된 덧댐 소재(33)에 의해 완충되어 덧댐 소재(33)와 바닥 소재(32)의 봉제 부분까지 표피재(31)의 장력이 전달되기 어렵다. 그로 인해, 바닥 소재(32)의 부상이 억제되어 통기부(30)의 깊이가 확대된다.
또한, 덧댐 소재(33)의 되접음부(33a, 33b)의 각각의 폭 및 봉제선(SL1, SL2)의 위치는 표피재(31)의 장력, 혹은 봉제 작업의 상황에 맞추어 적절하게 설정해도 좋다. 단, 바닥 소재(32)의 면적이 작을수록 표피재(31)의 장력에 의한 부상 작용이 현저하게 생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닥 소재(32)의 면적이 작을수록 덧댐 소재(33)의 되접음부(33b)의 폭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댐 소재(33)의 되접음 위치와 표피재(31)의 되접음 위치는 반드시 일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덧댐 소재(33)가 표피재(31)의 되접음 위치보다도 외측 또는 내측으로 어긋나 있어도 좋다. 봉제선(SL1, SL2)은 동일 위치에 있을 필요는 없고, 덧댐 소재(33)와 바닥 소재(32)의 봉제선(SL2)이 덧댐 소재(33)와 표피재(31)의 봉제선(SL1)보다도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해도 좋다. 단, 바닥 소재(32)의 부상 방지 효과를 높이는 데에는 봉제선(SL2)을 외측으로 치우치게 한 쪽이 유리하다. 덧댐 소재(33)는 1매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매의 덧댐 소재(33)를 상하 방향으로 중첩해도 좋다. 덧댐 소재(33)의 이면에 쿠션재 등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시트 본체(2A), 등받이 본체(5A) 및 머리받이 본체(6A)의 각각에는 통기부(30A, 30B, 30C)와 위치를 맞추어 통기용 홈, 구멍 등을 마련해도 좋다.
도12는 시트부(2)와 백부(3)의 연결 기구에 관한 다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2의 연결 기구(10A)에 있어서는 도3에 나타낸 스토퍼(13)가 생략되고, 한편 등받이 본체(5A)의 후크(12)에는 지지축(11)을 끼워 넣도록 하여 제1 후크부(12A)와 제2 후크부(12B)가 설치되어 있다. 등받이 본체(5A)를 기립한 사용 위치에 있어서, 제1 후크부(12A)는 지지축(11)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2 후크부(12B)는 지지축(11)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1 후크부(12A)에는 등받이(5)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시트 본체(2A)를 향해 돌출되어 지지축(11)으로부터의 후크(12)의 탈락을 저지하는 스토퍼(1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후크부(12A)와 제2 후크부(12B)의 주위 방향의 간격은 지지축(11)의 직경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다.
도12의 연결 기구(10A)에 있어서는, 등받이 본체(5A)를 도12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착탈 위치까지 쓰러뜨린 경우에 스토퍼(12b)가 상방으로 이스케이프하는 한편, 제2 후크부(12B)가 지지축(11)의 만곡부(11b)와 맞닿는다. 이에 의해, 등받이 본체(5A)가 착탈 위치를 넘어 도12의 하방까지 회전할 우려가 없다. 착탈 위치에 있어서도 지지축(11)의 외주에 제1 후크부(12A) 및 제2 후크부(12B)가 각각 맞물려 있다. 착탈 위치에 있어서, 등받이 본체(5A)를 시트 본체(2A)로부터 이격하도록 경사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후크부(12A)와 제2 후크부(12B)가 탄성 변형하여 이들 간극이 넓어지고, 지지축(11)을 후크(12A)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시트부(2)와 백부(3)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1 후크부(12A)와 제2 후크부(12B)의 간극을 지지축(11)에 맞추어 등받이 본체(5A)를 시트 본체(2A)를 향해 압입하고, 그것에 의해 후크부(12A, 12B)의 간극을 넓혀 이들 사이에 지지축(11)을 끼워 넣으면 된다. 또한, 지지축(11)의 기부(11a)의 하단부와 제2 후크부(12B)의 각각에는 제2 후크부(12B)를 원활하게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테이퍼부(11d, 12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12의 형태에 있어서도, 시트 본체(2A)에 대해 등받이 본체(5A)를 착탈 위치까지 이동시킨 것만으로는 시트부(2)와 백부(3)가 탄성적으로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이들 맞물림 부분을 탄성 변형시키지 않는 한 지지축(11)과 후크(12)를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도3에 나타낸 연결 기구(10)와 마찬가지로 시트부(2)와 백부(3)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13 내지 도15는 벨트 가이드 조정 기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형태의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20A)는 백부(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머리받이 본체(6A)에 내장된 원반형의 구속 부재로서의 로크 플레이트(40)와, 그 로크 플레이트(40)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로서의 조작 노브(41)와, 로크 플레이트(40)와 각각의 어깨 벨트 가이 드(7)의 기부(7c)를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42)를 갖고 있다. 조작 노브(41)는 머리받이 본체(6A)의 배면(6b)측에 배치됨으로써 백부(3)의 외면 상에 노출되는 조작부(41a)와, 머리받이 본체(6A)를 관통하여 그 내부에 삽입되고 로크 플레이트(40)의 중심부와 연결된 연결축(41b)을 갖고 있다. 링크(42)의 일단부(42a)는 로크 플레이트(4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42b)는 어깨 벨트 가이드(7)로부터 머리받이 본체(6A)의 긴 구멍(6e)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연장된 연결축(43)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로크 플레이트(40)의 외주에는 주위 방향에 90°씩 간격을 두고 로크 돌기(40a)가 마련되어 있고, 머리받이 본체(6A)에는 이들 로크 돌기(40a)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한 쌍의 로크 수용부로서의 오목부(44)가 로크 플레이트(40)의 주위에 180°이격되어 마련되어 있다. 링크(42)와 로크 플레이트(40)의 연결 위치는 주위 방향에 180°어긋나 있고, 또한 주위 방향에 관해 한 쌍의 로크 돌기(40a)와 위치가 맞추어져 있다.
이상의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20A)에 있어서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42)의 일단부(42a)와 위치가 맞추어져 있는 로크 돌기(40a)를 오목부(44)에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링크(42)가 좌우 방향으로 대략 똑바로 연장되고, 어깨 벨트 가이드(7)는 좌우 방향 외측으로 최대한 조출된 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조작 노브(41)를 연결축(41b)의 주위로 조작하여 로크 플레이트(40)를 도13의 위치로부터 화살표 A 방향으로 90°회전시킨 경우에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로크 돌기(40a)가 오목부(44)와 맞물리고, 링크(42)의 일단부(42a)가 상하 방 향으로 늘어 세워지고, 그것에 의해 연결축(43)이 긴 구멍(6e)을 따라 내측으로 인입된다. 이 상태에서, 어깨 벨트 가이드(7)는 도13보다도 좌우 방향 내측으로 인입된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로크 돌기(40a)를 주위 방향에 관해 90°보다도 작은 피치로 다수 마련함으로써, 어깨 벨트 가이드(7)의 유지 위치를 3 위치 이상으로 설정해도 좋다. 로크 돌기(40a)의 개수를 1개로 하고, 로크 플레이트(40)의 주위에 복수의 오목부(44)를 마련해도 좋다. 로크 돌기(40a)를 머리받이 본체(6A)에 마련하고, 오목부(44)를 로크 플레이트(40)에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에서도, 로크 돌기(40a)는 1개 이상 있으면 좋고, 오목부(44)는 어깨 벨트 가이드(7)의 유지 위치에 따른 개수만 마련하면 좋다. 로크 수용부는 오목부(44)로 한정되지 않고 관통 구멍, 홈, 혹은 슬릿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형태로서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한 형태에서는 어깨 벨트 가이드(7) 및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20, 20A)를 머리받이(6)에 설치함으로써 어깨 벨트 가이드(7)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양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하였지만, 본 발명은 어깨 벨트 가이드를 좌우 방향에 관해서만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한 형태도 포함한다. 어깨 벨트 가이드는 등받이에 설치해도 좋다. 등받이에 어깨 벨트 가이드를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어깨 벨트 가이드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구를 등받이에 설치하고, 그 기구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가동 부분에 본 발명의 어깨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를 거쳐서 어깨 벨트 가이드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어깨 벨트 가이드를 차일드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백부에 장착함으로써, 어깨 벨트 가이드의 위치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상의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를 차일드 시트의 시트부 및 백부의 각각의 커버에 마련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일드 시트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시트부만 또는 백부에만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를 마련해도 좋고, 차일드 시트의 구조도 차량의 시트 벨트를 이용하여 착석자를 구속하는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고, 차량의 시트 벨트를 이용하여 차량의 좌석에 고정되고, 착석자는 자신의 시트 벨트에 의해 구속하는 타입의 차일드 시트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는 적용 가능하다. 혹은, 시트부만 구비한, 소위 부스터 타입의 차일드 시트에도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는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 이외의 아동용 물품, 예를 들어 유모차, 베이비 랙, 베이비 캐리어, 아기 보호 띠, 구두, 의복, 매트 등의 각종 아동용 물품에 대해서도 아동과 접하는 면에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를 마련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는 아동용 물품으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 물품의 표면에 배치되는 커버에 대해 그 커버의 사용자와 접하는 면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자, 소파, 의복, 모자, 구두, 침구 등의 각종 물품을 덮개 또는 이들 물품의 표면에 일체화된 커버에 대해 본 발명의 통기부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자를 차량의 시트 벨트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차량의 좌석 상에 장착되는 차일드 시트 및 그 차일드 시트 등의 물품의 표면에 설치되는 통기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7)

  1. 시트부와 백부를 갖고, 상기 백부에는 차량의 시트 벨트의 어깨 벨트를 착석자의 어깨 주위로부터 앞가슴을 향해 안내하기 위한 어깨 벨트 가이드가 설치된 차일드 시트이며, 상기 백부의 좌우 방향에 관한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는 상기 백부의 본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와 일체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접근하는 구속 위치와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이격되는 구속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구속 부재와, 상기 구속 부재를 상기 구속 위치를 향해 압박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백부의 외면 상에 노출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속 부재를 상기 구속 위치로부터 상기 구속 해제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 또는 상기 구속 부재 중 어느 한쪽에는 로크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더 또는 상기 구속 부재 중 다른 쪽에는 상기 구속 부재가 상기 구속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로크 돌기와 맞물리고, 상기 구속 부재가 상기 구속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로크 돌기로부터 벗어나는 복수의 로크 수용부가 상기 좌우 방향으로 늘어세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의 기부가 상기 백부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백부의 상기 본체에는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의 상기 기부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백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백부의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차일드 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는 상기 백부의 상기 본체에 마련된 좌우 방향의 긴 구멍을 관통하는 연결축을 거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백부의 후방으로부터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로크 돌기 및 상기 로크 수용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구속 부재의 대향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백부의 배면측에 노출되고 또한 상기 조작부와 상기 구속 부재가 상기 백부의 전후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속 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차일드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에는,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좌우 방향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기부보다도 상기 백부의 전방으로 확대되는 확대부가 설치되고, 상기 백부의 상기 가이드 홈에는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가 상기 좌우 방향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때에 상기 확대부를 수용하는 깊은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깊은 홈부 내에는 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확대부에는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이스케이프 홈이 마련되어 있는, 차일드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는 상기 백부의 본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백부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백부의 상기 본체에 설치된 원반형의 구속 부재와, 상기 구속 부재 및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의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와, 상기 백부의 외면 상에 노출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속 부재를 회전시키는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속 부재 또는 상기 백부의 상기 본체 중 어느 한쪽에는 로크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구속 부재 또는 상기 백부의 상기 본체 중 다른 쪽에는 상기 로크 돌기와 맞물림 가능한 복수의 로크 수용부가 구속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차일드 시트.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부는 착석자의 등부를 지지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 상기 등받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착석자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머리받이를 구비하고, 상기 어깨 벨트 가이드 및 상기 벨트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가 상기 머리받이에 설치되어 있는, 차일드 시트.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060050150A 2005-06-06 2006-06-05 차일드 시트, 물품의 통기부 구조 및 그 통기부 구조를구비한 물품의 커버 및 아동용 물품 KR101342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5845 2005-06-06
JP2005165845A JP4732013B2 (ja) 2005-06-06 2005-06-06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5165853A JP2006335326A (ja) 2005-06-06 2005-06-06 物品の通気部構造並びに該通気部構造を備えた物品のカバー、子供用物品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JPJP-P-2005-00165853 2005-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767A KR20060127767A (ko) 2006-12-13
KR101342212B1 true KR101342212B1 (ko) 2013-12-16

Family

ID=3710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150A KR101342212B1 (ko) 2005-06-06 2006-06-05 차일드 시트, 물품의 통기부 구조 및 그 통기부 구조를구비한 물품의 커버 및 아동용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510242B2 (ko)
EP (1) EP1731356A2 (ko)
KR (1) KR101342212B1 (ko)
HK (1) HK1096636A1 (ko)
TW (1) TWI3567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962A (ko) * 2018-10-02 2020-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스터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56780B (en) * 2005-06-06 2012-01-21 Combi Corp Child seat, ventilation portion structure of artic
AU2007200053A1 (en) * 2006-01-12 2007-07-26 Hts Hans Torgersen & Sonn As Belt guide
ES1063358Y (es) * 2006-06-30 2007-01-16 Jane S A Oo440 Asiento infantil para automoviles
US20090091167A1 (en) * 2007-10-04 2009-04-09 Think/Thing Child seating system and method
US8439439B2 (en) * 2009-12-17 2013-05-14 Meeker R &D, Inc. Adjustable shoulder belt path for a booster car seat
DE202012100907U1 (de) 2011-03-14 2012-05-21 Tiny Love Ltd. Babysitz
WO2012158939A2 (en) * 2011-05-19 2012-11-22 Baby Trend, Inc. Child car seat
US9376037B1 (en) * 2013-07-09 2016-06-28 Baby Trend, Inc. Car seat
JP1518920S (ko) * 2013-12-19 2015-03-09
CA2997867C (en) * 2015-01-09 2023-06-13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Child seat having an object holder
FR3035833A1 (fr) * 2015-05-06 2016-11-11 Dorel France Sa Siege auto pour enfant presentant des elements de guidage de sangle ajustables
US10071654B2 (en) * 2015-10-05 2018-09-11 Mcleanics Technology Corporation Baby alert car seat alarm—smart car seat
CA2945466C (en) * 2015-10-20 2019-05-07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Child safety seat
WO2017127496A1 (en) * 2016-01-20 2017-07-27 Dorel Juvenile Group, Inc. Belt-mount system for juvenile vehicle seat
US9610869B1 (en) * 2016-03-08 2017-04-04 Sentry Baby Products, LLC Plush backrest cover with tube-like arms for combination safety/booster seat assembly
US10245981B2 (en) 2016-04-05 2019-04-02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s booster seat with detachable belt positioner car seat
DE102016215048B4 (de) * 2016-08-12 2023-10-12 Lear Corp. Sitzanordnung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Sitzanordnung
US10562419B2 (en) 2016-08-19 2020-02-18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s booster seat
US10300826B2 (en) * 2016-09-01 2019-05-28 Dorel Juvenile Group, Inc. Juvenile vehicle seat with cupholder
US20190070983A1 (en) * 2017-03-19 2019-03-07 Carfoldio LTD. Apparatus for adapting a seatbelt to a child
US10525930B2 (en) * 2018-01-12 2020-0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houlder belt guide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US10843605B2 (en) * 2018-05-10 2020-11-24 Dorel Juvenile Group, Inc. Headrest-height adjuster for juvenile seat
USD876111S1 (en) 2018-09-20 2020-02-25 Cybex Gmbh Child safety seat for motor cars
CN111483363B (zh) * 2019-01-29 2023-03-28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头靠高度调整机构及儿童安全座椅
USD959862S1 (en) 2020-10-27 2022-08-09 Cybex Gmbh Integral child seat
US11285853B1 (en) * 2020-12-21 2022-03-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seating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614A (ja) 2000-10-11 2002-04-23 Combi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4098954A (ja) 2002-09-12 2004-04-02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子供座席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6789A (en) * 1967-12-28 1969-12-30 Pennsalt Chemicals Corp Adjustable chair
GB8313622D0 (en) * 1983-05-17 1983-06-22 Britax Wingard Ltd Anchorage means
US4712834A (en) * 1986-12-18 1987-12-15 Simula, Inc. Adjustable seat cushion with tension limiting means
GB8801716D0 (en) * 1988-01-26 1988-02-24 Britax Excelsior Child's safety seat
US5203607A (en) * 1990-12-11 1993-04-20 Supracor Systems, Inc. Bicycle seat
US5263741A (en) * 1992-07-17 1993-11-23 Ford Motor Company Functional belt guide with webbing locator
DE4325662A1 (de) * 1993-07-30 1995-02-02 Trw Repa Gmbh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s Sicherheitsgurtbeschlages
US5405179A (en) * 1994-03-07 1995-04-11 Jih; Jong-Shyong Elastic seat pad
US5441332A (en) * 1994-04-08 1995-08-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integrated vehicle safety apparatus
US5857749A (en) * 1996-05-28 1999-01-12 Jay Medical Ltd. Wheelchair seat assembly with contoured seat pan and cushion and method
JP3150912B2 (ja) 1996-09-25 2001-03-26 コンビ株式会社 高通気性チャイルドシート
US7040710B2 (en) * 2001-01-05 2006-05-0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ntilated seat
US6592180B2 (en) * 2001-01-23 2003-07-15 Mark Ellis Combs Cup holder for child's car seat and associated method
US6669302B2 (en) * 2001-05-08 2003-12-3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eat belt position adjust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seat
DE10207490C1 (de) * 2002-02-22 2003-06-18 Daimler Chrysler Ag Kraftfahrzeugsitz
US6811186B1 (en) * 2002-03-29 2004-11-02 Lear Corporation Seat belt adjustment mechanism
US6908151B2 (en) * 2003-03-07 2005-06-21 Meeker R&D, Inc. Adjustable and foldable booster car seat
US7510239B2 (en) * 2003-03-17 2009-03-31 W.E.T. Automotive Systems Ag Air-conditioning device for the passenger area of a vehicle
US7370911B2 (en) * 2003-10-17 2008-05-13 W.E.T. Automotive Systems, Ag Automotive vehicle seat insert
US7055903B2 (en) * 2004-01-09 2006-06-06 Cosco Management, Inc. Adjustor for juvenile vehicle seat
US7040707B2 (en) * 2004-04-13 2006-05-09 Tachi-S Co., Ltd. Seat back of automotive seat
CA2491103C (en) * 2004-05-10 2008-04-29 Faurecia Automotive Seating Canada Limited Seat-belt webbing guide for coupes and convertibles
DE102004049754A1 (de) * 2004-10-08 2006-04-13 Takata-Petri Ag Kinderschutzsystem für Kraftfahrzeuge
JP4926078B2 (ja) * 2005-02-07 2012-05-09 エル アンド ピー プロパティ マネジメント カンパニー 自動車用換気、温度調節および人間工学的コンフォート・システム
TWI356780B (en) * 2005-06-06 2012-01-21 Combi Corp Child seat, ventilation portion structure of artic
US7364229B2 (en) * 2005-06-30 2008-04-29 Hwang-Pao Lee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for chair
US7478869B2 (en) * 2005-08-19 2009-01-20 W.E.T. Automotive Systems, Ag Automotive vehicle seat insert
US7232185B2 (en) * 2005-09-15 2007-06-19 Wonderland Nursery Goods Co., Ltd. Adjustable head rest for child car seat
US20070102987A1 (en) * 2005-11-04 2007-05-10 Su-Ming Chen Meshed seat cushion for chair
AU2007200053A1 (en) * 2006-01-12 2007-07-26 Hts Hans Torgersen & Sonn As Belt gui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614A (ja) 2000-10-11 2002-04-23 Combi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4098954A (ja) 2002-09-12 2004-04-02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子供座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962A (ko) * 2018-10-02 2020-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스터 시트
KR102540926B1 (ko) 2018-10-02 2023-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스터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11898A (en) 2007-04-01
KR20060127767A (ko) 2006-12-13
US7748788B2 (en) 2010-07-06
HK1096636A1 (en) 2007-06-08
US20090152918A1 (en) 2009-06-18
EP1731356A2 (en) 2006-12-13
US20060273637A1 (en) 2006-12-07
US7510242B2 (en) 2009-03-31
TWI356780B (en) 201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212B1 (ko) 차일드 시트, 물품의 통기부 구조 및 그 통기부 구조를구비한 물품의 커버 및 아동용 물품
US7278683B2 (en) Child seat with object holder
US5842739A (en) Adjustable baby head and body support
US20010043001A1 (en) Child seat with movable side head guards
JPH06500058A (ja) 拡張可能かつ収容可能な幼児用車両シート
CN102595976A (zh) 装配有动态靠背的用于小孩的容纳结构
US6676212B1 (en) Child car seat having an adjustable armrest
CN100590002C (zh) 儿童座椅
JP4145982B2 (ja) 子守帯
KR102164403B1 (ko)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KR20120010102A (ko)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및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US20080048482A1 (en) Infant seat assembly with retention member
JP726108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6335326A (ja) 物品の通気部構造並びに該通気部構造を備えた物品のカバー、子供用物品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WO2024013862A1 (ja) ベルト付シート及び腰ベルト保持具
JP7440249B2 (ja) 乳幼児用座席装置用インナーシート
GB2414661A (en) Child seat with safety belt guide
TW202413143A (zh) 附帶座椅及腰帶保持具
TWI793796B (zh) 座布結構及其兒童載具
JP7366400B2 (ja) 子供用座席および子供用座席付き自転車
JP2006141680A (ja) ベビーキャリア
JP2020127880A (ja) 子守帯
KR200369680Y1 (ko)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JP3147261U (ja) チャイルドカーシート用の調整可能なヘッドレスト
CN118058602A (en) Seat for infant and seat structure of child care device with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