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745B1 -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745B1
KR101341745B1 KR1020130004048A KR20130004048A KR101341745B1 KR 101341745 B1 KR101341745 B1 KR 101341745B1 KR 1020130004048 A KR1020130004048 A KR 1020130004048A KR 20130004048 A KR20130004048 A KR 20130004048A KR 101341745 B1 KR101341745 B1 KR 101341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fters
ridge
hardware
ear
ti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택
Original Assignee
최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택 filed Critical 최영택
Priority to KR102013000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06Insulation of the roof covering characterised by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12Insulation of the roof covering characterised by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roof structure comprising a supporting framework of roof purlins or raf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4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intersections, e.g. valley tiles, ridge tiles
    • E04D2001/305Ridge or hip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9Ventilation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뻗는 용마루와 상기 용마루의 좌우 방향으로 뻗는 서까래를 포함하는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를 지붕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내려서 상기 용마루와 지붕 사이에 빈공간이 생기게 하고, 상기 용마루의 좌우 양 측면 각각에 용마루보강용목재를 결합시키되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상면이 상기 용마루의 상면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전후 양 단부 각각을 상기 서까래와 결합하고, 상기 용마루의 상면과 지붕 사이 공간과 맞닿는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상부 중 상기 서까래와 인접하는 일부를 잘라내어 용마루연결철물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용마루 위 공간과 상기 서까래들 사이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환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용마루연결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용마루연결철물 안착홈의 위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 및 상기 서까래와 체결되기 위한 접합판을 포함하는 용마루연결철물을 설치하고, 상기 용마루의 상면과 지붕 사이 공간과 맞닿는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상부 중 일부를 잘라내어 용마루철물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용마루 위 공간과 상기 서까래들 사이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환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용마루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용마루철물 안착홈의 위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와 체결되기 위한 접합판을 포함하는 용마루철물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METHOD FOR BUILDING WOODLEN HOUSES USING METAL ROOF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은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 6,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하부인 처마 쪽에서 지붕 상부인 용마루(10) 쪽으로 이동하는 공기 통로가 생기도록 용마루(10), 귀서까래(12), 골서까래(13)들을 지붕 위 방향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내려서 내린 만큼에 용마루(10), 귀서까래(12), 골서까래(13)의 위쪽에는 빈공간이 생기고 그 공간에 환기철물을 부착한다. 또한 환기철물이 단순하게 환기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용마루(10), 귀서까래(12), 골서까래(13)의 양면에 부착되는 보강용목재와 한 몸이 되게 보강철물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서까래(11)들을 연결해 주는 연결철물 역할도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까래(11) 상부 양면에 다루끼(40)를 부착하여 다루끼(40) 두께만큼 공기 통로를 만들고 인슐레이션(24)이 습기로 보호되면서 공기통로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벡(39)을 팽팽하게 하여 다루끼(40) 하단에 부착한다.
목조주택 지붕의 주요구조는 목재를 결합하여 골격을 형성하고 이를 횡압력으로 보호할 수 있게 합판(16)을 구조체에 부착하여 결합된 목재를 움직이지 않게 잡아주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이런 지붕구조에 있어서의 주요구조체는 용마루(10), 서까래(11), 귀서까래(12), 골서까래(13), 기둥(22), 컬러타이(21), 처마도리(17), 합판(16) 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목조주택 지붕부분을 살펴보면 지붕골격에 주를 이루는 용마루(10), 서까래(11), 귀서까래(12), 골서까래(13)가 세워지면 지붕수직하중이 벽체로 전달되며, 그로 인하여 벽체를 밖으로 밀어내려는 인장력이 생긴다. 이 인장력으로부터 벽체가 밀리는 것을 막기 위해 천장장선(23)에 서까래(11)를 결합하여 삼각형 모양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용마루(1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마루(10) 지탱용 기둥(22)을 세우고, 서까래(11) 중간 정도에 컬러타이(21)를 결합함으로써 인장력을 제로화하는 다각적 조치가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지붕에 수직하중과 인장력은 해결이 되고, 또한 바람이나 지진에 의해 생기는 횡압력을 잡아주기 위해 구조체인 목재에 합판(16)을 부착하여 횡압력도 해결되어 수직하중과 횡압력을 모두 해결한 안정적인 목조주택 지붕 골격이 형성된다.
목조주택 지붕에서 골격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목재를 습기나 공기온도 상승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환기시키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환기 방법은 자연 환기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서까래(11) 하부를 통해 외부 공기가 서까래(11)와 서까래(11) 사이로 유입이 되고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서까래벤트(14)가 부착되는데, 인슐레이션(24)에 눌려서 공기통로가 막히는 걸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서까래벤트(14)의 기능이다. 종래의 자연 환기 방식은 이와 같은 서까래벤트(14)를 통과한 공기가 최종적으로 용마루벤트(15)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자연환기 방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판(16)과 용마루(10) 사이에 공기가 빠질 수 있게 이격거리를 주어 최종 배출구인 용마루벤트(15)로 배출되는 자연환기 통기로를 형성하고 있지만, 문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귀서까래(12)와 서까래(11) 연결부분이 막혀 있어서 공기가 용마루(10) 쪽으로 올라가지 못하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골서까래(13)와 서까래(11) 연결부분이 막혀 있어서 공기가 용마루(10) 쪽으로 올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여름에는 지붕의 복사열로 열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여 상부 층이 더워져 주거자의 연료비가 상승하고 지붕 골격에 주가 되는 목재가 습기에 장시간 노출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목조주택 지붕 주요구조체에 환기통로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구조체의 견고성을 높일 수 있는 철물을 사용한 목조주택 지붕구조를 형성하고, 단열성능이 강화되고 환기통로가 개선이 된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은 전후 방향으로 뻗는 용마루와 상기 용마루의 좌우 방향으로 뻗는 서까래를 포함하는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를 지붕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내려서 상기 용마루와 지붕 사이에 빈공간이 생기게 하고, 상기 용마루의 좌우 양 측면 각각에 용마루보강용목재를 결합시키되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상면이 상기 용마루의 상면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전후 양 단부 각각을 상기 서까래와 결합하고, 상기 용마루의 상면과 지붕 사이 공간과 맞닿는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상부 중 상기 서까래와 인접하는 일부를 잘라내어 용마루연결철물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용마루 위 공간과 상기 서까래들 사이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환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용마루연결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용마루연결철물 안착홈의 위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 및 상기 서까래와 체결되기 위한 접합판을 포함하는 용마루연결철물을 설치하고, 상기 용마루의 상면과 지붕 사이 공간과 맞닿는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상부 중 일부를 잘라내어 용마루철물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용마루 위 공간과 상기 서까래들 사이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환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용마루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용마루철물 안착홈의 위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와 체결되기 위한 접합판을 포함하는 용마루철물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마루연결철물은 상기 서까래의 측면과 접하는 용마루용 서까래접합 옆판과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측면과 접하는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상면과 접하는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용마루용 서까래접합 옆판,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상판 각각에는 못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여 못을 박음으로써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 및 상기 서까래와 체결하고, 상기 용마루연결철물 중 상기 용마루연결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된 부분에는 전후좌우 네 측면 각각이 모두 뚫려있는 환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마루철물은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하며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측면과 접하는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상면과 접하는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상판 각각에는 못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여 못을 박음으로써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와 체결하고, 상기 용마루철물 중 상기 용마루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된 부분에는 전후좌우 네 측면 각각이 모두 뚫려있는 환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은 전후 방향으로 뻗는 귀서까래와 상기 귀서까래의 양편으로 좌우 방향으로 뻗는 서까래를 포함하는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귀서까래를 지붕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내려서 상기 귀서까래와 지붕 사이에 빈공간이 생기게 하고, 상기 귀서까래의 좌우 양 측면 각각에 귀서까래보강용목재를 결합시키되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면이 상기 귀서까래의 상면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전후 양단 각각을 상기 서까래와 결합하고, 상기 귀서까래의 상면과 지붕 사이 공간과 맞닿는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부 중 상기 서까래와 인접하는 부분을 잘라내어 귀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귀서까래 위 공간과 상기 서까래들 사이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환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귀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귀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의 위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 및 상기 서까래와 체결되기 위한 접합판을 포함하는 귀서까래연결철물을 설치하고, 상기 귀서까래의 상면과 지붕 사이 공간과 맞닿는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부 중 일부를 잘라내어 귀서까래철물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귀서까래 위 공간과 상기 서까래들 사이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환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귀서까래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귀서까래철물 안착홈의 위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와 체결되기 위한 접합판을 포함하는 귀서까래철물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귀서까래연결철물은 상기 서까래의 측면과 접하는 귀서까래용 서까래접합 옆판과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측면과 접하는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면과 접하는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귀서까래용 서까래접합 옆판,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 각각에는 못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여 못을 박음으로써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 및 상기 서까래와 체결하고, 상기 귀서까래연결철물 중 상기 귀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된 부분에는 전후좌우 네 측면 각각이 모두 뚫려있는 환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귀서까래철물은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하며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측면과 접하는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면과 접하는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 각각에는 못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여 못을 박음으로써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와 체결하고, 상기 귀서까래철물 중 상기 귀서까래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된 부분에는 전후좌우 네 측면 각각이 모두 뚫려있는 환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은 전후 방향으로 뻗는 골서까래와 상기 골서까래의 좌우 방향으로 뻗는 서까래를 포함하는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서까래를 지붕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내려서 상기 골서까래와 지붕 사이에 빈공간이 생기게 하고, 상기 골서까래의 좌우 양 측면 각각에 골서까래보강용목재를 결합시키되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면이 상기 골서까래의 상면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전후 양 단부 각각을 상기 서까래와 결합하고, 상기 골서까래의 상면과 지붕 사이 공간과 맞닿는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부 중 상기 서까래와 인접하는 부분을 잘라내어 골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골서까래 위 공간과 상기 서까래들 사이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환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골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골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의 위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 및 상기 서까래와 체결되기 위한 접합판을 포함하는 골서까래연결철물을 설치하고, 상기 골서까래의 상면과 지붕 사이 공간과 맞닿는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부 중 일부를 잘라내어 골서까래철물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골서까래 위 공간과 상기 서까래들 사이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환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골서까래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골서까래철물 안착홈의 위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와 체결되기 위한 접합판을 포함하는 골서까래철물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골서까래연결철물은 상기 골서까래의 측면과 접하는 용마루용 서까래접합 옆판과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의 측면과 접하는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면과 접하는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골서까래용 서까래접합 옆판,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 각각에는 못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여 못을 박음으로써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 및 상기 서까래와 체결하고, 상기 골서까래연결철물 중 상기 골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된 부분에는 전후좌우 네 측면 각각이 모두 뚫려있는 환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서까래철물은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하며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의 측면과 접하는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면과 접하는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 각각에는 못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여 못을 박음으로써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와 체결하고, 상기 골서까래철물 중 상기 골서까래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된 부분에는 전후좌우 네 측면 각각이 모두 뚫려있는 환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다수 개의 다루끼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 개의 서까래의 상부 양 옆면에 체결하고, 상기 다루끼의 밑면에 방습지를 팽팽하게 하여 부착하여, 좌우로는 서까래와 서까래, 상하로는 합판과 방습지에 의해 둘러싸여 밀폐된 육면체의 공간인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한편 방습지가 인슐레이션으로의 습기 침범을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종래 목조주택 지붕에서 자연환기는 용마루(10)에서만 환기가 될 뿐 귀서까래(12)와 골서까래(13)에서는 공기통로가 막혀서 환기가 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목조주택 지붕에서 자연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연료비 절감과 쾌적한 환경 속에서 생활할 수 있고, 철물과 보강용 목재로 인하여 지붕 구조체가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더하여 종래의 인슐레이션(24)은 습기에 노출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타이벡(39)과 다루끼(40)로 습기를 차단하는 것과 동시에 공기통로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어서 단열성능이 오랜 시간 지속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목조주택 지붕구조와 자연환기 공기 흐름 경로를 나타낸 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C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 지붕구조와 자연환기 공기 흐름 경로를 나타낸 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B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C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고,
도 9는 도 5의 D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고,
도 10은 도 6의 1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고,
도 11은 도 6의 2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고,
도 12는 도 7의 3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고,
도 13은 도 7의 4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고,
도 14는 도 8의 5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고,
도 15는 도 8의 6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기술범위을 포괄한 모든 변환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 지붕구조와 자연환기 공기 흐름 경로를 나타낸 투시도이고,
도 6, 도 7, 도 8, 도 9는 도 5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A, B, C, D 부분을 확대한 투시도이며,
도 10, 도 11은 도6의 1, 2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고,
도 12, 도 13은 도 7의 3, 4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며,
도 14, 도 15는 도 8의 5, 6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확대한 투시도이다.
도 5 내지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용마루(10), 서까래(11), 귀서까래(12), 골서까래(13), 용마루벤트(15), 합판(16), 처마도리(17), 인슐레이션(24), 귀서까래보강용목재(30), 귀서까래철물(31), 귀서까래연결철물(32), 골서까래보강용목재(33), 골서까래철물(34), 골서까래연결철물(35), 용마루보강용목재(36), 용마루철물(37), 용마루연결철물(38), 타이벡(39), 다루끼(40), 체결구(100), 환기통로(101),합판지지상판(102), 합판지지기둥(103), 귀서까래용 서까래접합옆판(104), 경사용 귀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상판(105), 경사용 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옆판(106), 직각용 귀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상판(107), 직각용 귀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옆판(108), 골서까래용 서까래접합옆판(109), 골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상판(110), 골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옆판(111), 직각용 골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상판(112), 직각용 골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옆판(113), 용마루용 서까래접합옆판(114), 용마루 보강용목재 접합상판(115), 용마루 보강용목재 접합옆판(116), 용마루 보강용목재 접합상판(117), 용마루 보강용목재 접합옆판(118)을 포함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서까래(12)의 환기통로 확보를 위해서 귀서까래(12)를 지붕 위 방향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내리면 내린만큼 귀서까래(12)의 위쪽에는 빈공간이 생기고, 이 빈공간에서 합판(16)을 지탱하고 환기통로 역할을 하는 동시에 귀서까래(12)와 귀서까래보강용목재(30)가 한 몸이 되도록 일체화시키는 귀서까래철물(31)이 구비되며, 또한 귀서까래철물(31)과 같은 기능을 하면서 서까래(11)와의 연결철물 역할까지 하는 귀서까래연결철물(32)이 구비된다. 이로 인하여 귀서까래보강용목재(30)와 귀서까래철물(31), 귀서까래연결철물(32)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더 튼튼한 구조가 될 뿐 아니라 귀사까래(12)와 서까래(11)의 연결 부분이 막혀 환기가 안 되는 문제점도 해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서까래(13)의 환기통로 확보를 위해서 골서까래(13)를 지붕 위 방향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내리면 내린만큼 골서까래(13) 위쪽에는 빈공간이 생기고, 이 빈공간에서 합판(16)을 지탱하고 환기통로 역할을 하는 동시에 골서까래(13)와 골서까래보강용목재(33)가 한 몸이 되도록 일체화시키는 골서까래철물(34)이 구비되며, 또한 골서까레철물(34)과 같은 기능을 하면서 서까래(11)와의 연결철물 역할까지 하는 골서까래연결철물(35)이 구비된다. 이로 인하여 골서까래보강용목재(33)와 골서까래철물(34), 골서까래연결철물(35)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더 튼튼한 구조가 될 뿐 아니라 골사까래(13)와 서까래(11)의 연결 부분이 막혀 환기가 안 되는 문제점도 해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마루(10)에 환기로를 확보하기 위해 용마루(10)를 지붕 위 방향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내리면 내린만큼 용마루(10) 위쪽에는 빈공간이 생기고, 이 빈공간에서 합판(16)을 지탱하고 환기로 역할을 하는 동시에 용마루(10)와 용마루보강용목재(36)가 한 몸이 되도록 일체화시키는 용마루철물(37)이 구비되며, 또한 용마루철물(37)과 같은 기능을 하면서 서까래(11)와의 연결철물 역할까지 하는 용마루연결철물(38)이 구비된다. 이로 인하여 용마루보강용목재(36)와 용마루철물(37), 용마루연결철물(38)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더 튼튼한 구조가 될 뿐 아니라 합판(16)과 용마루(10) 사이에 이격거리가 없어도 공기 흐름에는 문제가 없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기에 취약한 인슐레이션(24)을 외부 공기에 항상 노출되게 하는 종래의 서까래벤트(14)를 대체하여 서까래(11) 상부의 양쪽 옆면 각각에 각목이라고도 부르는 다루끼(40)를 하나씩 밀착시켜 고정하고, 다루끼(40)의 하면에는 타이벡이라는 방습지(39)를 붙여 밀폐시켜 인슐레이션(24)을 습기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과 동시에 다루끼(40)가 환기통로 역할을 해 줌으로써 단열 성능을 높이고 서까래벤트(14)로 인한 인슐레이션(24)의 외부공기 노출로 인한 습기에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구조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조주택 지붕 구조는 크게 용마루(10)를 포함하는 부분, 귀서까래(12)를 포함하는 부분, 골서까래(13)를 포함하는 부분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로 용마루(10)를 포함하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마루(10)를 지붕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내리면 내린 만큼에 용마루(10) 위쪽에는 빈공간이 생기고 이 빈공간에 합판(16)을 부착할 때 못을 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용마루(10)의 양쪽 면에 용마루보강용목재(36)를 상단부가 서까래(11)의 가장 높은 부분과 연결되도록 체결한다. 이때 용마루(10)보다 용마루보강용목재(36)가 더 위쪽까지 올라가는데, 용마루보강용목재(36)의 올라간 부분 중 용마루(10)를 내려 생긴 빈공간과 연접하는 부분을 톱으로 잘라내고 용마루보강용목재(36)의 톱으로 잘라낸 부분과 용마루(10)를 내려 생긴 빈공간으로서 용마루보강용목재(36)의 톱으로 잘라낸 부분과 일직선을 이루면서 연결되는 공간에는 용마루연결철물(38)을 배치하여 체결을 한다.
용마루(10)를 포함하는 부분에 사용되는 철물은 용마루연결철물(38)과 용마루철물(37)이 사용되는데, 이 두 철물의 기능은 중복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한가지 기능이 더 추가된 용마루연결철물(38)에 대한 설명을 이미 하였는바, 용마루철물(37)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렇다고 용마루철물(37)이 본 발명에 미포함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기능의 중복으로 설명을 생략하는 것이다.
상기 용마루연결철물(38) 체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마루연결철물(38)은 용마루용 서까래접합 옆판(114)과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옆판(116) 및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상판(115)에는 체결구(100)가 있어 못을 박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옆판(116)은 용마루보강용목재(36) 옆면에 체결구(100)를 관통하는 못을 박아 체결을 하고, 용마루용 서까래접합옆판(114)은 용마루(10)와 직각으로 놓여있는 서까래(11)의 옆면에 체결구(100)를 관통하는 못을 박아 체결을 하며,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상판(115)은 용마루보강용목재(36) 윗면에 체결구(100)를 관통하는 못을 박아 체결을 한다. 상기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복수의 용마루연결철물(38)을 복수의 서까래(11)에 체결한다.
삭제
삭제
용마루철물(37)이 상기 용마루연결철물(38)과 다른 점은 용마루용 서까래접합옆판(112)이 없다는 점이다. 나머지는 상술한 상기 용마루연결철물(38)의 내용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두번째로 귀서까래(12)를 포함하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서까래(12)를 지붕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내려서 내린 만큼에 귀서까래(12) 위쪽에는 빈공간이 생기고 이 빈공간에 합판(16)을 부착할 때 못을 체결할 수 없기 때문에 귀서까래(12)의 양쪽 면에 귀서까래보강용목재(30)를 상단부가 서까래(11)의 가장 높은 부분과 연결되도록 체결한다. 이때 귀서까래(12)보다 귀서까래보강용목재(30)가 더 위쪽까지 올라가는데, 귀서까래보강용목재(30)의 올라간 부분 중 귀서까래(12)를 내려 생긴 빈 공간과 연접하는 부분을 톱으로 잘라내고 귀서까래보강용목재(30)의 톱으로 잘라낸 부분과 귀서까래(12)를 내려 생긴 빈공간으로서 귀서까래보강용목재(30)의 톱으로 잘라낸 부분과 일직선을 이루면서 연결되는 공간에는 귀서까래연결철물(32)을 배치하여 체결을 한다.
귀서까래(12)를 포함하는 부분에 사용되는 철물은 귀서까래연결철물(32)과 귀서까래철물(37)이 사용되는데, 이 두 철물의 기능이 동일하기 때문에 한가지 기능이 더 있는 귀서까래연결철물(32)에 대한 설명을 이미 하였는바, 귀서까래철물(3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렇다고 귀서까래철물(32)이 본 발명에 미포함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기능의 중복으로 설명을 생략하는 것이다.
상기 귀서까래연결철물(32) 체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서까래연결철물(32)은 경사용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106)과 귀서까래용 서까래접합옆판(104) 및 경사용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105)에는 체결구(100)가 있어 못을 박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경사용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106)은 귀서까래보강용목재(30) 옆면에 체결구(100)를 관통하는 못을 박아 체결을 하고, 귀서까래용 서까래접합옆판(104)은 귀서까래(12)와 경사각을 이루며 놓여있는 서까래(11)의 옆면에 체결구(100)를 관통하는 못을 박아 체결을 하며, 경사용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105)은 귀서까래보강용목재(30) 윗면에 체결구(100)를 관통하는 못을 박아 체결을 한다. 상기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복수의 귀서까래연결철물(32)을 복수의 서까래(11)에 체결한다.
삭제
삭제
삭제
귀서까래철물(31)이 상기 귀서까래연결철물(32)과 다른 점은 귀서까래용 서까래접합옆판(104)이 없다는 점이다. 나머지는 상술한 상기 용마루연결철물(38)의 내용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세번째로 골서까래(13)를 포함하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서까래(13)를 지붕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내려서 내린 만큼에 골서까래(13) 위쪽에는 빈공간이 생기고 이 빈공간에 합판(16)을 부착할 때 못을 체결할 수 없기 때문에 골서까래(13) 양쪽 면에 골서까래보강용목재(33)를 상단부가 서까래(11)의 가장 높은 부분과 연결되도록 체결한다. 이때 골서까래(13)보다 골서까래보강용목재(33)가 더 위쪽까지 올라가는데, 골서까래보강용목재(33)의 올라간 부분 중 골서까래(13)를 내려 생긴 빈공간과 연접하는 부분을 톱으로 잘라내고 골서까래보강용목재(33)의 톱으로 잘라낸 부분과 일직선을 이루면서 연결되는 공간에는 골서까래연결철물(35)을 배치하여 체결을 한다.
골서까래(13)를 포함하는 부분에 사용되는 철물은 골서까래연결철물(35)과 골서까래철물(34)이 사용되는데, 이 두 철물의 기능이 동일하기 때문에 한가지 기능이 더 있는 골서까래연결철물(35)에 대한 설명을 이미 하였는바, 골서까래철물(3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렇다고 골서까래철물(34)이 본 발명에 미포함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기능에 중복으로 생략하는 것이다.
상기 골서까래연결철물(35) 체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서까래연결철물(35)은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111)과 골서까래용 서까래접합옆판(109) 및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110)에는 체결구(100)가 있어 못을 박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111)은 골서까래보강용목재(33) 옆면에 체결구(100)를 관통하는 못을 박아 체결을 하고, 골서까래용 서까래접합옆판(109)은 골서까래(13)와 경사각으로 놓여있는 서까래(11)의 옆면에 체결구(100)를 관통하는 못을 박아 체결을 하며,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110)은 골서까래보강용목재(33) 윗면에 체결구(100)를 관통하는 못을 박아 체결을 한다. 상기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복수의 골서까래연결철물(35)을 복수의 서까래(11)에 체결한다.
삭제
삭제
골서까래철물(34)이 상기 골서까래연결철물(35)과 다른 점은 골서까래용 서까래접합옆판(109)이 없다는 점이다. 나머지는 상술한 상기 골서까래연결철물(35)의 내용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 세가지 부분의 공통점은 목조주택 지붕에 수직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이라는 것이다. 이런 부분에 보강용목재와 철물을 설치하여 더욱 견고성이 높아져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한편 모든 철물에는 환기통로(101)가 있어서 지붕의 바로 아래쪽은 환기통로(101)에 의해 환기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의 귀서까래(12)와 골서까래가(13)가 막혀서 환기가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은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또 하나의 기술적 특징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서까래벤트(14)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서까래벤트(14)는 처마도리(17) 안측과 벽체 외부측 사이로 바람이 불면 서까래(11)와 서까래(11) 사이로 공기가 흘러서 지붕 위로 올라갈 수 있게 공기 통로 역할을 하면서, 인슐레이션(24)이 공기 통로를 막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까지 하고 있다.
그러나 인슐레이션(24)은 습기에 매우 취약하여 습기를 접하게 되면 잘 마르질 않고 습기에 오래 방치되면 단열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외부 습기에 그대로 방지하고 있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션(24)을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방습지인 타이벡(39)으로 차단하고 공기통로 확보와 타이벡(39) 부착을 위해 다루끼(40)를 서까래(11)와 서까래(11) 상부 옆면에 체결하고 다루끼(40)의 밑면에 타이벡(39)을 팽팽하게 하여 부착하면 인슐레이션(24)에 눌려서 공기통로가 막히는 문제는 없을 것이다. 이로 인하여 단열성능이 높아져 연료비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삭제
삭제
10: 용마루 11: 서까래
12: 귀서까래 13: 골서까래
14: 서까래벤트 15: 용마루벤트
16: 합판 17: 처마도리
18: 지붕시트지 19: 아스팔트슁글
20: 블로킹 21: 컬러타이
22: 기둥 23: 천장장선
24: 인슐레이션 30: 귀서까래보강용목재
31: 귀서까래철물 32: 귀서까래연결철물
33: 골서까래보강용목재 34: 골서까레철물
35: 골서까래연결철물 36: 용마루보강용목재
37: 용마루철물 38: 용마루연결철물
39: 타이벡 40: 다루끼
100: 체결구 101: 환기통로
102: 합판지지상판 103 :합판지지기둥
104: 귀서까래용 서까래접합옆판
105: 경사용 귀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상판
106: 경사용 귀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옆판
107: 직각용 귀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상판
108: 직각용 귀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옆판
109: 골서까래용 서까래접합옆판
110: 골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상판
111: 골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옆판
112: 직각용 골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상판
113: 직각용 골서까래 보강용목재 접합옆판
114: 용마루용 서까래접합옆판
115: 용마루 보강용목재 접합상판
116: 용마루 보강용목재 접합옆판
117: 용마루 보강용목재 접합상판
118: 용마루 보강용목재 접합옆판

Claims (10)

  1. 전후 방향으로 뻗는 용마루와 상기 용마루의 좌우 방향으로 뻗는 서까래를 포함하는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를 지붕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내려서 상기 용마루와 지붕 사이에 빈공간이 생기게 하고,
    상기 용마루의 좌우 양 측면 각각에 용마루보강용목재를 결합시키되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상면이 상기 용마루의 상면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전후 양 단부 각각을 상기 서까래와 결합하고,
    상기 용마루의 상면과 지붕 사이 공간과 맞닿는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상부 중 상기 서까래와 인접하는 일부를 잘라내어 용마루연결철물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용마루 위 공간과 상기 서까래들 사이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환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용마루연결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용마루연결철물 안착홈의 위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 및 상기 서까래와 체결되기 위한 접합판을 포함하는 용마루연결철물을 설치하고,
    상기 용마루의 상면과 지붕 사이 공간과 맞닿는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상부 중 일부를 잘라내어 용마루철물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용마루 위 공간과 상기 서까래들 사이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환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용마루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용마루철물 안착홈의 위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와 체결되기 위한 접합판을 포함하는 용마루철물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연결철물은 상기 서까래의 측면과 접하는 용마루용 서까래접합 옆판과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측면과 접하는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상면과 접하는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용마루용 서까래접합 옆판,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상판 각각에는 못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여 못을 박음으로써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 및 상기 서까래와 체결하고,
    상기 용마루연결철물 중 상기 용마루연결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된 부분에는 전후좌우 네 측면 각각이 모두 뚫려있는 환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철물은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하며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측면과 접하는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의 상면과 접하는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 접합상판 각각에는 못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여 못을 박음으로써 상기 용마루보강용목재와 체결하고,
    상기 용마루철물 중 상기 용마루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된 부분에는 전후좌우 네 측면 각각이 모두 뚫려있는 환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4. 전후 방향으로 뻗는 귀서까래와 상기 귀서까래의 양편으로 좌우 방향으로 뻗는 서까래를 포함하는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귀서까래를 지붕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내려서 상기 귀서까래와 지붕 사이에 빈공간이 생기게 하고,
    상기 귀서까래의 좌우 양 측면 각각에 귀서까래보강용목재를 결합시키되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면이 상기 귀서까래의 상면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전후 양단 각각을 상기 서까래와 결합하고,
    상기 귀서까래의 상면과 지붕 사이 공간과 맞닿는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부 중 상기 서까래와 인접하는 부분을 잘라내어 귀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귀서까래 위 공간과 상기 서까래들 사이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환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귀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귀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의 위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 및 상기 서까래와 체결되기 위한 접합판을 포함하는 귀서까래연결철물을 설치하고,
    상기 귀서까래의 상면과 지붕 사이 공간과 맞닿는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부 중 일부를 잘라내어 귀서까래철물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귀서까래 위 공간과 상기 서까래들 사이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환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귀서까래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귀서까래철물 안착홈의 위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와 체결되기 위한 접합판을 포함하는 귀서까래철물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귀서까래연결철물은 상기 서까래의 측면과 접하는 귀서까래용 서까래접합 옆판과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측면과 접하는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면과 접하는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귀서까래용 서까래접합 옆판,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 각각에는 못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여 못을 박음으로써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 및 상기 서까래와 체결하고,
    상기 귀서까래연결철물 중 상기 귀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된 부분에는 전후좌우 네 측면 각각이 모두 뚫려있는 환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귀서까래철물은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하며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측면과 접하는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면과 접하는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 각각에는 못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여 못을 박음으로써 상기 귀서까래보강용목재와 체결하고,
    상기 귀서까래철물 중 상기 귀서까래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된 부분에는 전후좌우 네 측면 각각이 모두 뚫려있는 환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7. 전후 방향으로 뻗는 골서까래와 상기 골서까래의 좌우 방향으로 뻗는 서까래를 포함하는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서까래를 지붕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내려서 상기 골서까래와 지붕 사이에 빈공간이 생기게 하고,
    상기 골서까래의 좌우 양 측면 각각에 골서까래보강용목재를 결합시키되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면이 상기 골서까래의 상면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전후 양 단부 각각을 상기 서까래와 결합하고,
    상기 골서까래의 상면과 지붕 사이 공간과 맞닿는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부 중 상기 서까래와 인접하는 부분을 잘라내어 골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골서까래 위 공간과 상기 서까래들 사이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환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골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골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의 위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 및 상기 서까래와 체결되기 위한 접합판을 포함하는 골서까래연결철물을 설치하고,
    상기 골서까래의 상면과 지붕 사이 공간과 맞닿는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부 중 일부를 잘라내어 골서까래철물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골서까래 위 공간과 상기 서까래들 사이 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환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골서까래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골서까래철물 안착홈의 위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와 체결되기 위한 접합판을 포함하는 골서까래철물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골서까래연결철물은 상기 골서까래의 측면과 접하는 용마루용 서까래접합 옆판과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의 측면과 접하는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면과 접하는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골서까래용 서까래접합 옆판,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 각각에는 못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여 못을 박음으로써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 및 상기 서까래와 체결하고,
    상기 골서까래연결철물 중 상기 골서까래연결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된 부분에는 전후좌우 네 측면 각각이 모두 뚫려있는 환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골서까래철물은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하며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의 측면과 접하는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의 상면과 접하는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옆판 및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 접합상판 각각에는 못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여 못을 박음으로써 상기 골서까래보강용목재와 체결하고,
    상기 골서까래철물 중 상기 골서까래철물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된 부분에는 전후좌우 네 측면 각각이 모두 뚫려있는 환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10.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다루끼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 개의 서까래의 상부 양 옆면에 체결하고,
    상기 다루끼의 밑면에 방습지를 팽팽하게 하여 부착하여,
    좌우로는 서까래와 서까래, 상하로는 합판과 방습지에 의해 둘러싸여 밀폐된 육면체의 공간인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한편 방습지가 인슐레이션으로의 습기 침범을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KR1020130004048A 2013-01-14 2013-01-14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KR101341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048A KR101341745B1 (ko) 2013-01-14 2013-01-14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048A KR101341745B1 (ko) 2013-01-14 2013-01-14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745B1 true KR101341745B1 (ko) 2013-12-16

Family

ID=4998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048A KR101341745B1 (ko) 2013-01-14 2013-01-14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7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2171A (zh) * 2021-11-01 2022-01-28 曹良朵 一种预制装配式房屋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354A (ja) 2000-08-24 2002-02-28 Sekisui Chem Co Ltd 棟換気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354A (ja) 2000-08-24 2002-02-28 Sekisui Chem Co Ltd 棟換気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2171A (zh) * 2021-11-01 2022-01-28 曹良朵 一种预制装配式房屋及其施工方法
CN113982171B (zh) * 2021-11-01 2023-02-14 福建玖永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预制装配式房屋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5299B2 (ja) 新校倉造の木造建造物
US4852311A (en) Roof structures
KR101341745B1 (ko)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JP6675646B2 (ja) 木造建築物
JP2022117881A (ja) 屋根構造
US7581358B2 (en) Roof construction
JP4507987B2 (ja) 勾配屋根構面の補剛構造
JP5775035B2 (ja) 屋根構造
KR101708004B1 (ko)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5750134B2 (ja) 建物の屋根構造
JP2501071Y2 (ja) ド―マ
JP5833854B2 (ja) 屋根軒先部の支持構造
JP7323415B2 (ja) 玄関ポーチ
JPH0643303Y2 (ja) ドーマ
JP2022117883A (ja) 屋根構造及びカバー
JP4185436B2 (ja) 屋根軒先部の排水構造
JP3501224B2 (ja) 外壁施工構造
JP6889528B2 (ja) 屋根構造及び屋根材
JP2022117880A (ja) 屋根構造
CA2469569C (en) Roof construction
JP3102903U (ja) 通気構造を備えた家屋
JP2022117879A (ja) カバー及び屋根構造
JP6581354B2 (ja) 建物
JP2536343Y2 (ja) 屋根パネルの棟部分における接続構造
JPH0643302Y2 (ja) ドー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