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457B1 - 착탈이 가능한 차량 규제봉 - Google Patents

착탈이 가능한 차량 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457B1
KR101339457B1 KR1020110138813A KR20110138813A KR101339457B1 KR 101339457 B1 KR101339457 B1 KR 101339457B1 KR 1020110138813 A KR1020110138813 A KR 1020110138813A KR 20110138813 A KR20110138813 A KR 20110138813A KR 101339457 B1 KR101339457 B1 KR 101339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cking
pedestal
locking end
vehic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553A (ko
Inventor
강형규
최영신
박경덕
Original Assignee
강형규
박경덕
최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형규, 박경덕, 최영신 filed Critical 강형규
Priority to KR1020110138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4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7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removable without tools, e.g. of stud-and-sock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대를 지면에 고정하고 지주를 받침대에 회전식으로 착탈할 수 있는 차량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노면에 고정되는 받침대; 및, 원통형의 하부가 받침대에 회전식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주를 포함하되, 지주의 하부 양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걸림단이 형성되고, 받침대는,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원통형이고 위쪽이 개방되어 지주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는 지주하부 수용부, 지주하부 수용부의 양쪽 측면과 연통되고 위쪽이 개방되어, 지주의 하부가 지주하부 수용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각 걸림단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걸림단 안내부와, 지주하부 수용부 및 각 걸림단 안내부의 하부와 연통되고 지주가 결합되는 회전방향으로 형성되어, 각 걸림단이 각 걸림단 안내부에 삽입된 후 회전 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걸림단 수용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차량 규제봉에 의하여, 지주를 지면에 고정된 받침대에 끼우고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도 지주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 규제봉의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이 가능한 차량 규제봉 { A detachable traffic lane guidance post }
본 발명은 차선을 분리시켜 차량의 진행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하는 차량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받침대를 지면에 고정하고 지주를 받침대에 회전식으로 착탈할 수 있는 차량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차량 규제봉은 교차로에서 진입을 제한하는 신호가 없는 곳의 차선이나 중앙분리대에 마련되는 U턴 지점, 안전지대, 위험구간의 중앙선이나 노견 등과 같은 곳에 설치하여 차량의 진입차단과 더불어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인 차량 규제봉의 구성은, 몸체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표시의 시인성을 높여주기 위한 반사체가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무게중심을 낮추기 위한 테이퍼부가 하부에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를 지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 규제봉은 차량과의 충돌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차량의 파손 방지나, 승객의 보호등을 위하여 비교적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거나, 탄성력으로 복원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차량 규제봉은 파손되기도 쉽고 그 수명도 수 개월에서 수년으로 비교적 짧다. 차량 규제봉이 파손되는 경우 앵커 볼트를 해체하여야 분리할 수 있고, 또 수명이 다하는 경우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차량 규제봉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례가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5982호(2009.05.11.공개), "차선규제봉"](이하 선행기술 1), [한국등록특허 제10-0906220호(2009.07.07.공개), "지주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 탄력봉"](이하 선행기술 2) 등에 개시되고 있다.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에 따른 차선규제봉(100)은 도로면 상에 매몰 고정되는 고정블록(110), 고정블록(110)의 중심부에 인서트 몰딩되는 결합너트(120), 고정블록(110)의 결합너트(120)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볼트(132)가 하향으로 인서트 몰딩되어 원기둥 형태의 토막으로 성형되는 연결블록(130), 원기둥 형태의 일정 높이로 구성되는 차량유도봉(140), 차량유도봉(140)의 상부부를 마감하는 유도봉 마감캡(16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2에 따른 차선 규제 탄력봉은 지주에 결합된 연결플레이트(200)를 받침대(300)에 별도의 도구 없이 돌려 끼우는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받침대(300)의 중앙에는 연결플레이트(200)의 체결부(230)를 수용할 수 있는 끼움홈(320)이 형성되고, 끼움홈(320)에는 양측에 고정턱(33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턱(330)은 끼움홈(320)의 바닥(322)과 체결날개(235)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연결플레이트(200)를 받침대(30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체결날개(235)가 고정턱(330)에 어긋나게 삽입한 후, 지주(100)와 함께 연결플레이트(200)를 회전시켜 체결날개(235)가 고정턱(330)의 아래쪽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체결날개(235)가 고정턱(330)의 아래쪽에 삽입되면, 고정턱(330)이 나선홈(232)에 끼워지게 되어, 연결플레이트(200)가 받침대(300)에 고정된다. 반대로 지주(100)를 받침대(30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연결플레이트(20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날개(235)가 고정턱(330)에서 이탈하도록 한 후,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차선 규제봉의 지주 하부에 결합볼트를 설치하여 사용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앵커볼트를 사용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볼트를 여러번 회전시켜 분리시켜야 한다는 점, 볼트가 빡빡하게 너트에 결합된 경우 지주 자체를 회전시키기 어렵다는 점, 외부 노출이 될 수 있는 볼트나 너트 부위에 이물질이 끼인 경우 분리가 어렵다는 점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2는 상기 선행기술 1에 비해 차선규제 탄력봉을 쉽게 회전시켜 결합할 수 있으나, 반대로 쉽게 회전되어 분리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차선규제 탄력봉이 충격을 자주 받으면, 연결플레이트가 조금씩 풀려 나중에 받침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된 받침대에 지주를 회전식으로 착탈할 수 있는 차량 규제봉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의 걸림단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걸림단이 수용되는 받침대의 걸림단 수용부에 걸림홈을 구비함으로써, 받침대에 결합시킨 지주가 풀리지 않도록 하고 도난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 규제봉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 규제봉은, 노면에 고정되는 받침대; 및, 원통형의 하부가 상기 받침대에 회전식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주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의 하부 양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는,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원통형이고 위쪽이 개방되어 상기 지주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는 지주하부 수용부, 상기 지주하부 수용부의 양쪽 측면과 연통되고 위쪽이 개방되어, 상기 지주의 하부가 상기 지주하부 수용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각 걸림단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걸림단 안내부와, 상기 지주하부 수용부 및 상기 각 걸림단 안내부와 연통되고 지주가 결합되는 회전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걸림단이 상기 각 걸림단 안내부에 삽입된 후 회전시켰을 때 수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걸림단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규제봉은, 상기 걸림단 수용부에는 위쪽 내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단이 상기 걸림단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규제봉의 상기 걸림단은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쪽의 단부 측면에 형성된 노치를 사이에 두고 상부 탄성부 및 하부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규제봉의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홈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규제봉의 상기 걸림단 수용부에는 상기 걸림단이 삽입되는 회전방향의 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규제봉의 상기 지주의 하부에는 상기 각 걸림단 위쪽에 상기 받침대를 덮도록 바깥쪽으로 경사진 원뿔형 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규제봉의 상기 원뿔형 캡에는 상기 제1 관통홀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규제봉에 의하면, 지주를 지면에 고정된 받침대에 끼우고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도 지주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 규제봉의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규제봉에 의하면, 지주의 걸림단에 걸림돌기를, 걸림단 수용부에 걸림홈을 구비함으로써, 지주가 받침대에 완전하게 고정되어 차선규제 탄력봉이 충격을 자주 받더라도 지주가 풀리지 않고 도난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규제봉의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규제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규제봉의 받침대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규제봉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걸림단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규제봉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규제봉(1)은 노면(2)에 고정되는 받침대(10), 및 원통형의 하부(21)이 받침대(10)에 회전식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주(20)로 구성된다.
지주(20)는 하부(21)와 상부(22)로 구분된다. 지주의 상부(22)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을 가지며 위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진다. 지주의 상부(22)의 외주면에는 야간 주행시의 식별성 향상을 위해서 반사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지주의 하부(21)는 받침대(10)에 결합되는 부위로서, 아래위 지름이 동일한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지주 하부(21)의 하단 양 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걸림단(30a,30b)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30a,30b)의 저면은 지주 하부(21)의 저면과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주의 하부(21)의 외주 끝단에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걸림단(30a,30b)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면, 서로 대칭이 되도록 지주 하부(21)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받침대(1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대(10)는 지주의 하부(21)를 수용하는 지주하부 수용부(11), 지주의 하부(21)가 지주하부 수용부(11)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 걸림단(30a,30b)이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걸림단 안내부(12a,12b), 제1 및 제2 걸림단(30a,30b)이 걸림단 안내부(12a,12b)에 삽입된 후 회전 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걸림단 수용부(13a,13b)를 구비한다.
지주하부 수용부(11)는 받침대(10)의 중앙에 위쪽(또는 입구쪽)이 개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원형의 홈으로 형성된다. 지주하부 수용부(11)의 지름은 대략 지주의 하부(21)의 지름과 동일하다. 따라서 지주의 하부(21)은 지주하부 수용부(11)에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걸림단 안내부(12a,12b)는 지주하부 수용부(11)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위쪽(또는 입구쪽)이 개방되어 있다. 걸림단 안내부(12a,12b)는 입구쪽 모양이 제1 및 제2 걸림단(30a,30b)의 평면 모양과 대략 동일하고, 수직방향으로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하부 수용부(11)의 양 측면과는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지주의 하부(21)이 지주하부 수용부(11)에 삽입될 때, 지주의 하부(21)의 양측면에 연결된 제1 및 제2 걸림단(30a,30b)도 제1 및 제2 걸림단 안내부(12a,12b)를 통해 삽입된다.
제1 및 제2 걸림단 수용부(13a,13b)는 지주하부 수용부(11) 및 상기 각 걸림단 안내부(12a,12b)의 하부와 연통되고 지주(20)가 결합되는 회전방향으로 형성된다. 각 걸림단 수용부(13a,13b)는 받침대(10)의 내부에 원주방향의 홈으로 형성된다. 도 3의 예에서는, 각 걸림단 안내부(12a,12b)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각 걸림단 수용부(13a,13b)가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각 걸림단(30a,30b)이 지주의 하부(21)와 동시에 각 걸림단 안내부(12a,12b)에 삽입된 후 지주(20)가 결합되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 각 걸림단 수용부(13a,13b)에 끼워져 수용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각 걸림단 안내부(12a,12b)의 시계방향으로 각 걸림단 수용부(13a,13b)가 이웃하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각 걸림단 수용부(13a,13b)에는 상기 각 걸림단(30a,30b)이 삽입되는 회전방향의 단부에 스토퍼(14)가 형성된다. 각 걸림단(30a,30b)이 각 걸림단 수용부(13a,13b)에 회전방향으로 수용될 때, 각 걸림단(30a,30b)의 일단이 스토퍼(14)에 닿으면 더 이상 회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즉, 지주(10)는 스토퍼(14)에 의해 결합되는 회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지주(20)의 하부에는 받침대(10)를 덮도록 바깥쪽으로 경사진 원뿔형 캡(23)이 설치된다. 캡(23) 중앙에는 개구부(23a)가 형성되고, 캡(23)은 지주의 하부(21)에 개구부(23a)를 통해 끼워져 설치된다. 받침대(10)는 지면(2)에 고정되는데, 캡(23)은 그 바깥쪽 끝단이 지면에 닿게 설치된다.
지주(20)가 회전되어 받침대(10)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는 도 4와 같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대(10)는 지면(2)에 고정되고, 지주 하부(21)은 받침대(10)의 내부(또는 지주하부 수용부)에 수용된다. 또, 지주 하부(21)의 양측에 돌출된 제1 및 제2 걸림단(30a,30b)은 받침대(10)의 각 걸림단 수용부(13a,13b)에 수용된다. 각 걸림단 수용부(13a,13b)의 위쪽은 받침대(10)의 상면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지주(20)가 받침대(10)와 분리되지 못하도록 결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주의 하부(21)에 설치된 캡(23)은 우산과 같이 받침대(10) 전체를 덮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캡(23)은 받침대(10)나 지주의 하부(21) 부위에 먼지 등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걸림단(30a,30b)이 각 걸림단 수용부(13a,13b)로부터 고정되는 구성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대(10)의 각 걸림단 수용부(13a,13b)에는 위쪽 내측면에 걸림홈(17)이 형성된다. 또한, 받침대(10)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홈(17)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제1 관통홀(18)이 형성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제1 및 제2 걸림단(30a,30b)의 상면에는 걸림돌기(34)가 형성된다. 특히,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걸림단(30a,30b)이 각 걸림단 수용부(13a,13b)에 수용될 때 걸림돌기(34)는 걸림홈(17)에 걸리게 형성된다. 걸림돌기(34)가 걸림홈(17)에 걸리게 되면, 각 걸림단(30a,30b)이 어느 쪽 회전 방향으로도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걸림돌기(34)와 걸림홈(17)의 구성에 의하여, 지주(20)는 받침대(10)에 삽입되면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잦은 충격에 의해도 지주(20)가 받침대(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특히,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걸림단(30a,30b)의 걸림돌기(34)가 형성된 쪽의 일측 단부에는 노치(33)를 사이에 두고 상부 탄성부(31) 및 하부 탄성부(32)를 형성한다. 상부 탄성부(31)는 노치(33)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올라가려고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34)가 걸림홈(17)에 걸리게 되는 경우 더욱 밀착되어, 지주(20)가 받침대(10)에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수직 하방으로 걸림돌기(34)를 누르면 상부 탄성부(31)가 아래로 향하므로 걸림돌기(34)가 걸림홈(17)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걸림돌기(34)가 걸림홈(17)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받침대(10)에 삽입된 지주(20)를 결합 반대방향(앞의 예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핀 등을 이용하여, 받침대(10)의 제1 관통홀(18)을 통해 걸림돌기(34)를 누르면 걸림홈(17)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받침대(10)에 삽입된 지주(20)를 결합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원뿔형 캡(23)에는 제1 관통홀(18)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제2 관통홀(24)이 형성된다. 원뿔형 캡(23)이 받침대(10)를 덮고 있는 경우에도, 제2 관통홀(24)을 통해 제1 관통홀(18)을 거쳐 걸림돌기(34)를 누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설명에서는 지주(20)와 원뿔형 캡(23)이 서로 분리된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구성을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 받침대 11 : 지주하부 수용부
12a, 12b : 걸림단 안내부 13a, 13b : 걸림단 수용부
14 : 받침대 상부 17 : 걸림홈
18 : 제1 관통홀 20 : 지주
21 : 지주의 하부 22 : 지주의 상부
23 : 캡 23a : 개구부
24 : 제2 관통홀 30a, 30b : 걸림단
31 : 상부 탄성부 32 : 하부 탄성부
33 : 노치 34 : 걸림돌기

Claims (7)

  1. 노면에 고정되는 받침대; 및,
    원통형의 하부가 상기 받침대에 회전식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주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의 하부 양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는,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원통형이고 위쪽이 개방되어 상기 지주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는 지주하부 수용부,
    상기 지주하부 수용부의 양쪽 측면과 연통되고 위쪽이 개방되어, 상기 지주의 하부가 상기 지주하부 수용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각 걸림단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걸림단 안내부와,
    상기 지주하부 수용부 및 상기 각 걸림단 안내부와 연통되고 지주가 결합되는 회전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걸림단이 상기 각 걸림단 안내부에 삽입된 후 회전시켰을 때 수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걸림단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단 수용부에는 위쪽 내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단이 상기 걸림단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홈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규제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은 걸림돌기가 형성된 쪽의 단부 측면에 형성된 노치를 사이에 두고 상부 탄성부 및 하부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규제봉.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 수용부에는 상기 걸림단이 삽입되는 회전방향의 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규제봉.
  6. 제1항,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하부에는 상기 각 걸림단 위쪽에 상기 받침대를 덮도록 바깥쪽으로 경사진 원뿔형 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규제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 캡에는 상기 제1 관통홀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규제봉.

KR1020110138813A 2011-12-21 2011-12-21 착탈이 가능한 차량 규제봉 KR101339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813A KR101339457B1 (ko) 2011-12-21 2011-12-21 착탈이 가능한 차량 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813A KR101339457B1 (ko) 2011-12-21 2011-12-21 착탈이 가능한 차량 규제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553A KR20130071553A (ko) 2013-07-01
KR101339457B1 true KR101339457B1 (ko) 2013-12-06

Family

ID=4898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813A KR101339457B1 (ko) 2011-12-21 2011-12-21 착탈이 가능한 차량 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4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6770A1 (en) * 2019-05-21 2020-11-26 Impact Recovery Systems, Inc. High speed high performance delineator system
US20210317622A1 (en) * 2018-09-07 2021-10-14 S.I.E -Sociedade Internacional De Embalagens S.A. Traffic signage pos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403B1 (ko) * 2016-05-09 2016-12-21 (주) 유창스틸산업 보강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KR102439624B1 (ko) * 2020-07-30 2022-09-05 강옥수 수전함 설치 방법
KR102539324B1 (ko) * 2021-11-30 2023-06-02 (주)솔림 차선규제봉
DE102021133541A1 (de) * 2021-12-16 2023-06-22 Reto Zimmermann Signalpfosten
KR102620849B1 (ko) * 2022-02-08 2024-01-03 주식회사 안전드림 시선유도봉
EP4328402A1 (en) * 2022-08-22 2024-02-28 Aftercloud Technology Co., Ltd Center pole fixing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983Y1 (ko) * 2004-05-21 2004-08-31 서전훈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JP2005163312A (ja) * 2003-12-01 2005-06-23 Yagikuma:Kk 組立式標識コーン
KR100979401B1 (ko) * 2008-03-28 2010-09-01 이상길 도로 규제 표시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312A (ja) * 2003-12-01 2005-06-23 Yagikuma:Kk 組立式標識コーン
KR200359983Y1 (ko) * 2004-05-21 2004-08-31 서전훈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KR100979401B1 (ko) * 2008-03-28 2010-09-01 이상길 도로 규제 표시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17622A1 (en) * 2018-09-07 2021-10-14 S.I.E -Sociedade Internacional De Embalagens S.A. Traffic signage pos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WO2020236770A1 (en) * 2019-05-21 2020-11-26 Impact Recovery Systems, Inc. High speed high performance deline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553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457B1 (ko) 착탈이 가능한 차량 규제봉
KR101016706B1 (ko)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US3385565A (en) Roadway divider fence construction
KR100757359B1 (ko) 맨홀덮개 결합용 체결볼트 풀림방지장치
KR100906220B1 (ko) 지주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 탄력봉
KR100907303B1 (ko)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구조
KR100362512B1 (ko) 뚜껑의 용이한 이탈방지 수단을 갖는 철개
KR102102118B1 (ko) 지주 분리형 차선분리대
KR101701388B1 (ko)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
KR101950178B1 (ko) 조립 및 해체가 편리한 탄성 볼라드
KR20180003038U (ko) 차선분리대
KR101120561B1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KR102311795B1 (ko) 가드레일용 지주 커버
KR101787290B1 (ko) 다기능 차선규제봉
KR200436308Y1 (ko) 차광 및 차선 유도 기능을 가진 교통 안전 난간
KR20070075260A (ko) 시선 유도봉
KR200470254Y1 (ko) 출몰식 로드마커
ES2546978T3 (es) Sistema de fijación para postes de elementos de señalización vertical de tráfico y similares
KR101141150B1 (ko) 무앵커 가로등 기초
KR200391847Y1 (ko) 가드레일용 지주캡 장착구조
KR100553459B1 (ko) 조립식 도로난간
KR102645037B1 (ko) 교체가 용이하고 설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선분리대
KR101111029B1 (ko) 탈착식 중앙 분리대
KR100945261B1 (ko) 분리형 볼라드
KR102608636B1 (ko) 건축물의 소화전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