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254Y1 - 출몰식 로드마커 - Google Patents

출몰식 로드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254Y1
KR200470254Y1 KR2020110011735U KR20110011735U KR200470254Y1 KR 200470254 Y1 KR200470254 Y1 KR 200470254Y1 KR 2020110011735 U KR2020110011735 U KR 2020110011735U KR 20110011735 U KR20110011735 U KR 20110011735U KR 200470254 Y1 KR200470254 Y1 KR 2004702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ner space
head
projecting body
road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195U (ko
Inventor
문상영
Original Assignee
(주) 선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우산업 filed Critical (주) 선우산업
Priority to KR2020110011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25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1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1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2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2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65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 E01F9/571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displaceable vertically under load, e.g. in combination with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과하는 차량에 의한 외압에 의해 하강하였다가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출몰식 구조이되, 도로 매립 설치 및 제거 용이성이 뛰어나고,
아울러 우수(雨水) 배출 기능, 이물질 유입 방지 기능, 축적된 이물질 제거 기능, 하우징 높이 조절 기능, 방진 기능 등을 마련한 출몰식 로드마커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는, 상방 개구(開口)형 내부공간부를 갖고, 도로에 매립되는 하우징; 상부 헤드 및 하부 샤프트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부에 수용되는 출몰(出沒)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부 바닥과 상기 출몰체의 헤드에 개재(介在)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출몰체가 외압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상승할 때에 하강 및 상승 동작을 안내하면서 하강 및 상승 거리를 제한하되, 상기 출몰체의 최고점 상승 시 상기 출몰체의 헤드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부 상방으로 노출되게 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은 사각 기둥 형상이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부와 상기 출몰체의 헤드 각각은 사각 형상이며, 상기 하우징의 사면(四面)에는 외벽에 만곡부를 갖는 네 플레이트가 장착되도록 구현한다.

Description

출몰식 로드마커{Road Marker by Up-down construction method}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 등에 매립 설치되는 로드마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각 기둥의 하우징과 이에 수용되어 외압에 의해 하강하고 탄성스프링에 의해 상승하는 출몰(出沒)체와 상기 하우징 사면(四面)에 탈장착 가능하게 배열되는 네 플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매립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며, 기설치 된 기존의 로드마커 제거 후 새로이 설치하는 것 또한 용이한 출몰식 로드마커에 관한 기술이다.
로드마커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65478호(2004.10.11.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완충이 가능한 도로 표지병』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노면에 돌출되며 반사판이 고정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헤드를 지지하는 샤프트로 구비되는 완충이 가능한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하방으로 개방된 내부와, 상기 내부에 보강 형성한 다수개의 리브와,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 너트가 체결되어 헤드의 상부 이탈을 단속하도록 형성한 나사부와,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서 완충 및 복원력을 가하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 헤드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의 지지 케이스와, 상기 지지 케이스의 바닥면에 샤프트가 통과하도록 형성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샤프트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나사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구성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 지지 케이스가 사각인 것을 감안할 때 케이스 매립을 위한 도로 노면 또한 사각으로 천공 작업해야 하는데 이러한 사각 천공 작업은 원형에 비해 작업이 어려우며,
원형으로 천공할 경우 상기 케이스를 매립한 후 별도의 충진제를 이용해 천공 홈과 케이스 간의 이격 공간부를 메꾸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 상기 선행기술에서 샤프트의 이탈 방지를 위해 나사부에 너트를 체결하고 있으나, 상기 헤드가 외압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복원 상승하는 일렬의 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너트가 점차 풀릴 수 있고, 이로 인해 헤드의 돌출 높이가 점차 상승하거나 아예 나사부에서 너트가 풀려 하우징으로부터 헤드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탈된 헤드가 차량 운행에 방해 및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사각의 출몰(出沒)형 헤드와 이 헤드의 내장을 위한 사각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도로 노면의 원형 천공 홈에 상기 하우징 매립 설치 시 하우징과 천공 홈 간의 이격 공간부를 차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사면(四面)에 장착되는 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한 출몰식 로드마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하우징과 네 플레이트 간의 상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특히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 매립 시 네 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고, 반대로 제거 시 하우징에서 네 플레이트가 쉽게 분리되는 구조이어서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설치 된 기존의 로드마커 제거 후 본 고안의 로드마커 설치가 용이한 출몰식 로드마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하우징 내의 공기압 해소, 이물질 유입 방지 및 축적된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출몰식 로드마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는,
상방 개구(開口)형 내부공간부를 갖고, 도로에 매립되는 하우징;
상부 헤드 및 하부 샤프트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부에 수용되는 출몰(出沒)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부 바닥과 상기 출몰체의 헤드에 개재(介在)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출몰체가 외압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상승할 때에 하강 및 상승 동작을 안내하면서 하강 및 상승 거리를 제한하되, 상기 출몰체의 최고점 상승 시 상기 출몰체의 헤드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부 상방으로 노출되게 하는 가이드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은 사각 기둥 형상이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부와 상기 출몰체의 헤드 각각은 사각 형상이며,
상기 하우징의 사면(四面)에는 외벽에 만곡부를 갖는 네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는,
도로 노면의 천공 홈에 설치가 용이하고, 아울러 제거 또한 용이하며, 기설치 된 기존의 로드마커 제거 후 설치 또한 용이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 출몰체의 출몰 동작 시 발생하는 내부 공기압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구현예를 마련한 효과가 있다.
또 외부 이물질 유입 방지 및 축전된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 하우징 내에 정체되는 우수(雨水) 등에 대한 배출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 도로 노면의 천공 홈 깊이에 따른 하우징에 대한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 통과하는 차량의 충격이 하우징을 거쳐 천공 홈 바닥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진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분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설치 상태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외압에 의한 출몰체 하강 동작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에서 네 플레이트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에서 하우징과 네 플레이트의 상호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분해 입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매립 설치 시 상태 단면 구성도,
도 8은 도 6의 매립 제거 시 상태 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에서 제1 구현예의 공기압해소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에서 제2 구현예의 공기압해소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에서 제3 구현예의 공기압해소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는,
크게 하우징(10), 출몰(出沒)체(20), 탄성스프링(30) 및 가이드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하우징(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중앙선 등의 노면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상방 개구(開口)형 내부공간부(11)
를 포함하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부(11)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출몰체(20)의 헤드(21) 또한 사각이어서 이와 상응한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내부공간부(11) 바닥 중심에 상하 관통된 원형의 장착공간부(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공간부(12) 내주면에는 나선형 나선부(121)가 형성된다.
출몰체(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부(11)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부에 배열되는 사각의 헤드(21), 그리고
상기 헤드(21) 하부 측에 연결되는 샤프트(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헤드(21)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부(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부(11)의 내벽과 상기 헤드(21)의 외벽이 상호 밀접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헤드(21)는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사각뿔 형상의 융기(隆起)부(211)와, 상기 융기부(211) 상부면에 형성된 평탄부(2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융기부(211)의 사면(四面)에는 차량 불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리플렉터 등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평탄부(212)는 통과하는 차량의 타이어 답면과 접촉하게 되는 영역으로, 타이어 답면에 대한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평탄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2)는 이의 단부(端部)에 나선형 체결부(221)를 갖는다.
탄성스프링(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몰체(20)를 탄성 지지하고, 외압에 의해 상기 출몰체(20) 하강 시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부(11) 바닥과 상기 출몰체(20)의 헤드(21) 하부면에 양단부(兩端部)가 각각 지지되도록 개재(介在)되는 통상의 코일형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30) 외에 후술할 가이드수단(40)의 가이드하우징(42) 상부면과 상기 출몰체(20)의 헤드(21) 상부면에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도록 개재되어 외압에 의해 하강했던 상기 출몰체(20)의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브탄성스프링(30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수단(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몰체(20)가 외압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탄성스프링(30)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할 때에 하강 및 상승 동작을 안내하면서 하강 및 상승 거리를 제한하되, 상기 출몰체(20)의 최고점 상승 시 상기 출몰체(20)의 헤드(21) 일부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부(11) 상방으로 노출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출몰체(20)의 샤프트(22) 단부에 배열되는 환형 걸림부(41),
상기 걸림부(41)를 위한 상하 관통형 내부 승강공간부(421)와 상기 출몰체(20) 상승 시 상기 걸림부(41)가 걸려 정지하게 되는 상부 환형 스토퍼(422)와 하부 개구부(開口部)(423)를 갖는 가이드하우징(42), 그리고
상기 가이드하우징(42)의 개구부(423)에 결합되어 상기 출몰체(20) 하강 시 상기 걸림부(41)가 접하게 되는 커버(4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한 '최고점'라 함은 상기 가이드하우징(42)의 스토퍼(422)에 의해 상기 출몰체(20)가 상승 정지하게 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41)는 내주면에 상기 샤프트(22)의 체결부(221)와 상호 체결되기 위한 대응체결부(411)를 갖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체결되는 상기 체결부(221)와 상기 대응체결부(411)에 의해 상기 걸림부(41)가 상기 샤프트(22) 단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다른 예로, 상기 걸림부(41)는 전술한 상기 샤프트(22)와의 나선 체결 구조가 아닌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샤프트(22) 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환형의 돌출형 일체 구조로 구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하우징(42)은 이의 하단 외주면에 상기 하우징(10)에서 장착공간부(12)의 나선부(121)와 상호 체결되기 위한 대응나선부(424)가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는
상기 하우징(10)의 사면(四面)에 탈장착 되는 네 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네 플레이트(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판재 형상이되, 외벽에 만곡부(51)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네 플레이트(50)는 상기 하우징(10)의 사면에 접착제로 고정 장착되게 할 수 있으나,
상기 하우징(10) 매립 설치 및 제거를 용이하도록 탈장착 구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위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각 플레이트(50)는 이의 내벽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도브테일(dovetail)형 결합부(52)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은 이의 사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도브테일형 대응결합부(13)를 포함하되, 상기 대응결합부(13)는 상기 결합부(52)의 상단부를 위한 걸림턱(131)을 갖는다.
결국 상기 하우징(10)의 사면에 각각 마련된 상기 대응결합부(13)에 상기 각 플레이트(50)의 결합부(52)가 하부에서 상부로 끼워지게 되므로, 상기 하우징(10) 매립 설치 시 삽입되는 방향(즉 하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각 플레이트(50)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이 설치될 때에 상기 각 플레이트(50)가 견고하게 결합되고,(도 7를 참조)
반대로 상기 하우징(10) 매립 제거 시 제거되는 방향(즉 상부 방향)과 상기 각 플레이트(50)가 결합되는 방향이 서로 일치하므로, 상기 하우징(10)이 제거될 때에 상기 각 플레이트(50)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쉽게 분리 유도된다.(도 8을 참조)
다시 말해, 상기 각 플레이트(50)는 상기 하우징(10)과 함께 도로 노면의 천공 홈에 매립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의 이물질이나 충진제 등에 의해 천공 홈 내벽에 부착 고정되고, 이때 상기 하우징(10) 제거 시 상기 각 플레이트(50)는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각 플레이트(50)를 천공 홈 내벽으로부터 분리 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네 플레이트(50) 각각은 서로 동일 크기일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른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 예로, 천공 홈이 원형이 아닌 타원형에 가깝게 장경(長徑)을 갖는 경우
단경에 배치되는 두 플레이트(50)의 만곡부(51)에 비해 장경에 배치되는 두 플레이트(50)의 만곡부(51)가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결국 타원형에 가까운 천공 홈에 상기 하우징(10)을 매립 설치할 때에 상기 하우징(10)과 천공 홈 간의 이격 공간부에 맞는 크기의 플레이트(50)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부(11) 내에 정체되는 우수(雨水)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60)을 더 포함하는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수단(60)은
상기 하우징(10)의 장착공간부(12)를 기준으로 상기 내부공간부(11) 바닥에 방사상(放射狀) 배열되게 상하 관통되는 다수의 제1배출부(61), 그리고
상기 가이드수단(40)의 커버(43) 중심 영역에 상하 관통되는 제2배출부(6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배출부(62)는 우수 등의 외부 배출뿐만 아니라 상기 출몰체(20) 하강 시 내부 공기압 해소를 위한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는
상기 출몰체(20) 하강 시 내부 공기압 해소를 위한 다양한 구현예의 공기압해소수단을 더 포함한다.
크게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공기압해소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9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공기압해소수단(70A)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부(11) 상단 내벽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요입 형성되는 다수의 제1리세스(recess)(71)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출몰체(20) 하강 시 상기 각 제1리세스(71)로 내부 공기압이 해소되는 구조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제2 구현예의 공기압해소수단(70B)은
상기 출몰체(20)의 헤드(21) 외벽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요입 형성되는 다수의 제2리세스(72)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출몰체(20) 하강 시 상기 각 제2리세스(72)로 내부 공기압이 해소되는 구조이다.
도 11에서와 같이, 제3 구현예의 공기압해소수단(70C)은
상기 출몰체(20)의 헤드(21) 외벽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모헤어부재(73),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부(11) 내벽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출몰체(20)의 헤드(21) 하강거리와 상응한 상하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헤어부재(73)가 위치하게 되는 요입공간부(74)
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출몰체(20) 하강 시 상기 모헤어부재(73) 또한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모헤어부재(73)를 이루는 다수의 모(毛)(731)들 사이로 내부 공기압이 해소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모헤어부재(73) 상부에 이물질 등이 적층되고, 적층된 이물질은 상기 모헤어부재(73) 하강 시 다수의 모(731)들 사이로 배기되는 공기압에 의해 제거되는 구조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는
도로 노면에 형성된 천공 홈 바닥의 깊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이 적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바닥에 배열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레벨플레이트(8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에 수용된 상기 출몰체(20)의 헤드(21)가 노면으로부터 적정 높이까지 노출될 수 있도록 적정 수량의 상기 레벨플레이트(80)를 상하 적층시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출몰식 로드마커는
통과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상기 하우징(10)을 거쳐 천공 홈 바닥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바닥에 배열되는 신축성 방진플레이트(90)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출몰식 로드마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우징
11 : 내부공간부 12 : 장착공간부
121 : 나선부
13 : 대응결합부 131 : 걸림턱
20 : 출몰체
21 : 헤드 211 : 융기부
212 : 평탄부
22 : 샤프트 221 : 체결부
30 : 탄성스프링
30A : 서브탄성스프링
40 : 가이드수단
41 : 걸림부 411 : 대응체결부
42 : 가이드하우징 421 : 승강공간부
422 : 스토퍼 423 : 개구부
424 : 대응나선부
43 : 커버
50 : 플레이트
51 : 만곡부 52 : 결합부
60 : 배출수단
61 : 제1배출부 62 : 제2배출부
70A, 70B, 70C : 공기압해소수단
71 : 제1리세스 72 : 제2리세스
73 : 모헤어부재 731 : 모
74 : 요입공간부
80 : 레벨플레이트
90 : 방진플레이트

Claims (8)

  1. 상방 개구(開口)형 내부공간부(11)를 갖고, 도로에 매립되는 하우징(10);
    상부 헤드(21) 및 하부 샤프트(22)를 갖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부(11)에 수용되는 출몰(出沒)체(2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부(11) 바닥과 상기 출몰체(20)의 헤드(21)에 개재(介在)되는 탄성스프링(30);
    상기 출몰체(20)가 외압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탄성스프링(30)에 의해 상승할 때에 하강 및 상승 동작을 안내하면서 하강 및 상승 거리를 제한하되, 상기 출몰체(20)의 최고점 상승 시 상기 출몰체(20)의 헤드(21) 일부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부(11) 상방으로 노출되게 하는 가이드수단(40); 및
    상기 출몰체(20) 하강 시 상기 내부공간부(11)에 대한 공기압해소수단(70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10)은 사각 기둥 형상이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부(11)와 상기 출몰체(20)의 헤드(21) 각각은 사각 형상이며,
    상기 하우징(10)의 사면(四面)에는 외벽에 만곡부(51)를 갖는 네 플레이트(50)가 장착되고,

    상기 공기압해소수단(70C)은
    상기 출몰체(20)의 헤드(21)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모헤어부재(73),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부(11) 내벽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출몰체(20)의 헤드(21) 하강거리와 상응한 상하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헤어부재(73)가 위치하게 되는 요입공간부(7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로드마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 플레이트(50)는 내벽에 도브테일(dovetail)형 결합부(52)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의 사면에는 상기 결합부(52)와의 상호 결합을 위한 도브테일형 대응결합부(13)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대응결합부(13)는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를 위한 걸림턱(13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로드마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부에 정체된 우수(雨水)를 위한 배출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로드마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40)은
    상기 출몰체(20)의 샤프트(22) 단부(端部)에 배열되는 환형 걸림부(41),
    상기 걸림부(41)를 위한 상하 관통형 내부 승강공간부(421)와 상기 출몰체(20) 상승 시 상기 걸림부(41)가 걸려 정지하게 되는 상부 환형 스토퍼(422)와 하부 개구부(開口部)(423)를 갖는 가이드하우징(42), 그리고
    상기 가이드하우징(42)의 개구부(423)에 결합되어 상기 출몰체(20) 하강 시 상기 걸림부(41)가 접하게 되는 커버(43)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로드마커.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10011735U 2011-12-29 2011-12-29 출몰식 로드마커 KR2004702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35U KR200470254Y1 (ko) 2011-12-29 2011-12-29 출몰식 로드마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35U KR200470254Y1 (ko) 2011-12-29 2011-12-29 출몰식 로드마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195U KR20130004195U (ko) 2013-07-09
KR200470254Y1 true KR200470254Y1 (ko) 2013-12-05

Family

ID=5075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735U KR200470254Y1 (ko) 2011-12-29 2011-12-29 출몰식 로드마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2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060B1 (ko) 2022-01-25 2023-03-14 주식회사 호반건설 슬러리월의 조인트 엔드 시공 구조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18Y1 (ko) * 2016-08-11 2017-02-24 조광제 도로표지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08A (ko) * 1998-05-11 1998-07-25 구자신 도로표지병 구조 및 높이조절 방법
KR200378888Y1 (ko) * 2004-12-16 2005-03-16 임호종 도로 표지병
KR100545130B1 (ko) * 2003-09-04 2006-01-31 박도식 완충식 도로 표지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08A (ko) * 1998-05-11 1998-07-25 구자신 도로표지병 구조 및 높이조절 방법
KR100545130B1 (ko) * 2003-09-04 2006-01-31 박도식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378888Y1 (ko) * 2004-12-16 2005-03-16 임호종 도로 표지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060B1 (ko) 2022-01-25 2023-03-14 주식회사 호반건설 슬러리월의 조인트 엔드 시공 구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195U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314392U (zh) 一种快速排水的市政井盖
KR101204536B1 (ko) 수압조절기능을 갖는 맨홀덮개
KR101339457B1 (ko) 착탈이 가능한 차량 규제봉
KR200470254Y1 (ko) 출몰식 로드마커
CN102272385A (zh) 井盖
KR101609982B1 (ko)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
KR100772088B1 (ko) 복공판용 로킹장치
KR101988507B1 (ko) 수위확인 기능을 구비한 맨홀장치
KR20170025768A (ko) 수직변이를 억제한 모노레일 지주
KR101942627B1 (ko) 자동 볼라드
KR20130015595A (ko) 공사장용 안전콘
KR101297227B1 (ko) 도로 표지병
TWM463756U (zh) 排水口活動濾罩
CN214033793U (zh) 一种防脱井盖
CN108331028B (zh) 智能井盖
CN202466634U (zh) 全自动路井提示保护器
KR101625804B1 (ko) 비상수압분출이 가능한 맨홀덮개
CN215977397U (zh) 一种防位移的漏沙型井盖
CN206477363U (zh) 一种三体结构的马路井口及井盖
KR200407053Y1 (ko) 혼(horn) 형 표지병
JP4786256B2 (ja) 液注出容器
CN205501853U (zh) 一种沙障固定桩结构
KR100961987B1 (ko) 지주커버
CN211773902U (zh) 一种防震井盖
CN112942161B (zh) 一种市政工程减速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