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310B1 -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310B1
KR101339310B1 KR1020080076513A KR20080076513A KR101339310B1 KR 101339310 B1 KR101339310 B1 KR 101339310B1 KR 1020080076513 A KR1020080076513 A KR 1020080076513A KR 20080076513 A KR20080076513 A KR 20080076513A KR 101339310 B1 KR101339310 B1 KR 101339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sealer
robot
transfer robot
moun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6872A (ko
Inventor
임태원
송성명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3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6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25J15/0625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provided with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은 선루프를 차체의 바디에 자동으로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 및 투자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루프, 장착, 시스템, 바디, 자동

Description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Assembling system of sunroof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루프를 차체의 바디에 자동 장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는 자동차에는 승객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한 각종 편의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편의장치 중 하나로서, 자동차의 루프 패널에 구비된 선루프가 있다. 상기 선루프는 자동차의 루프 패널에 설치되어, 차실에서 상측을 통해 하늘과 같은 실외 풍경을 볼 수 있으며, 차실 내부로 자연 채광 및 환기가 가능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선루프를 차체 바디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차체 바디는 컨베이어 방식에 의해 선루프 장착공정으로 이송된다. 작업자는 수동으로 파레트상의 선루프 어셈블리를 선루프 투입 로더에 안착시키고, 선루프 투입 로더를 차체 바디의 장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작업자는 스위치 등의 조작으로 선루프 투입 로더를 작업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수동으로 셋팅하여 장착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루프의 장착 시스템은, 대부분의 장착 작업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선루프의 장착을 자동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은, 선루프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선루프 이퀄라이저와, 상기 선루프에 실러를 도포하는 실러 공급장치와, 상기 실러가 도포된 상기 선루프를 장착 위치로 안내하는 이송 로봇과, 상기 이송 로봇에 구비되어, 상기 선루프를 로딩하는 로봇 그리퍼와, 상기 이송 로봇을 직선 이동시키는 로봇 주행 캐리지와, 상기 선루프가 장착되는 차체 바디의 위치를 결정하는 바디 위치결정장치와, 상기 차체 바디를 운반하는 바디 셔틀 대차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 이퀄라이저는 상기 선루프의 하부를 지지하 며 상기 선루프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하측 조절부와, 상기 선루프의 전,후측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선루프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전,후측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 조절부는 상기 선루프의 전,후측 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전,후측 롤러와, 상기 전,후측 롤러를 각각 전후진시키는 전,후측 에어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 롤러와 상기 전,후측 에어실린더는 각각 랙과 피니언 구조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러 공급장치는 지지용 포스트와, 상기 지지용 포스트의 상측 단부에 배치된 실러 노즐과, 상기 실러 노즐와 결합되어 상기 실러 노즐에 실러를 공급하는 실러 카트리지와, 상기 실러 카트리지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봇 주행 캐리지는 상기 이송 로봇이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안내하는 레일과, 상기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모터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봇 그리퍼는 상기 선루프에 흡착되도록 형성된 흡착부와, 상기 흡착부에 진공을 생성시키기 위한 진공발생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봇 그리퍼는 상기 흡착부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선루프의 접근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 위치 결정장치는 상기 바디에 대응되는 플로팅 베이스와, 상기 플로팅 베이스를 전,후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장치와, 상기 플로팅 베이스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팅 장치와, 상기 플로팅 베이스를 밀어주어 위치를 보정하는 푸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위치 및 제작 정도를 센싱하여 외부로 나타내고, 상기 이송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바디 위치 센싱용 비젼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은 선루프를 차체의 바디에 자동으로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 및 투자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은, 파노라마 선루프를 장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은, 선루프(1)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선루프 이퀄라이저(10)와, 상기 선루프(1) 에 실러를 도포하는 실러 공급장치(20)와, 상기 실러가 도포된 상기 선루프(1)를 장착 위치로 안내하는 이송 로봇(30)과, 상기 이송 로봇(30)에 구비되어, 상기 선루프(1)를 로딩하는 로봇 그리퍼(40)와, 상기 이송 로봇(30)을 직선 이동시키는 로봇 주행 캐리지(50)와, 상기 선루프(1)가 장착되는 차체 바디(2)의 위치를 결정하는 바디 위치결정장치(60)와, 상기 차체 바디(2)를 운반하는 바디 셔틀 대차(7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루프 이퀄라이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측 롤러와 에어실린더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측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선루프 이퀄라이저(10)는 상기 선루프(1)에 실러를 도포하기 위하여 상기 선루프(1)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위치를 결정해주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이송 로봇(30)이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선루프(1)를 흡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위치를 결정해주는 장치이다.
상기 선루프 이퀄라이저(10)는, 상기 선루프(1)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선루프(1)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하측 조절부(11)와, 상기 선루프(1)의 전,후측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선루프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전,후측 조절부(12)(13)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측 조절부(11)는 2개가 배치되며, 하측 롤러(11a)와, 상기 하측 롤러(11a)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정용 핸들(11b)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후측 조절부(12)(13)는 상기 선루프(1)의 전,후측 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전,후측 롤러(12a)(13a)와, 상기 전,후측 롤러(12a)(13a)를 각각 전후진시키는 전,후측 에어실린더(12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후측 조절부(12)(13)는 상기 전,후측 롤러(12a)에 결합되는 제 1로드(12c)와, 상기 제 1로드(12c)와 치합되는 피니언(12d)과, 상기 피니언(12d)과 결합되는 제 2로드(12e)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측 에어 실린더(12b)는 상기 제 2로드(12e)를 이동시키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러 공급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실러 공급장치(20)는 상기 선루프(1)에 실러를 도포하기 위해 실러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실러 공급장치(20)는 지지용 포스트(21)와, 상기 지지용 포스트(21)의 상측 단부에 결합된 하우징(26)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노출되게 배치된 실러 노즐(22)과, 상기 실러 노즐(22)와 결합되어 상기 실러 노즐(22)에 실러를 공급하는 실러 카트리지(23)와, 상기 실러 카트리지(23)를 회전시키는 카트리지 회전용 모터(24)와, 실러를 토출하기 위해 가압하는 토출용 모터(2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러 공급장치(20)는 상기 실러 노즐(22)의 원점을 셋팅해주기 위한 원점 셋팅 장치(27)를 더 포함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로봇 주행 캐리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로봇 주행 캐리지(50)는 상기 이송 로봇(30)이 결합되는 슬라이더(51)와, 상기 슬라이더(51)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51)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안내하는 레일(52)과, 상기 슬라이더(51)를 구동시키는 모터 장치(53)를 포함한 다. 상기 이송 로봇(30)은 6축 다관절 로봇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레일(52)은 차체의 바디(2)를 이송하는 바디 셔틀 대차(70)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더(51)는 상기 레일(52)의 상측에 슬라이딩가능토록 결합된다. 상기 이송 로봇(30)은 상기 슬라이더(51)의 상부에서 상기 차체의 바디(2)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로봇 그리퍼가 확대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로봇 그리퍼(40)는 상기 이송 로봇(3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 로봇(30)의 손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로봇 그리퍼(40)는 상기 이송 로봇(30)이 상기 선루프(1)를 로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봇 그리퍼(40)는 상기 선루프(1)에 흡착되도록 형성된 흡착부(41)와, 상기 흡착부(41)에 진공을 생성시키기 위한 진공발생 밸브(42)를 포함한다. 상기 흡착부(41)는 복수개가 구비되는 바, 여기서는 6개의 흡착부(41)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로봇 그리퍼(40)는 상기 흡착부(41)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선루프(1)의 접근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43)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바디 위치 결정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바디 위치 결정장치(60)는 상기 선루프(1)의 자동 장착을 위한 상기 바디(2)의 위치를 보정하여, 상기 바디(2)를 정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바디 위치 결정장치(60)는 상기 바디(2)에 대응되는 플로팅 베이스(61)와, 상기 플로팅 베이스(61)를 전,후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장치(62)와, 상기 플로팅 베이스(61)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팅 장치(63)와, 상기 플로팅 베이스(61)를 밀어주어 위치를 보정하는 푸셔(64)를 포함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바디 위치 센싱용 비젼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선루프 장착 시스템은 상기 바디(2)의 위치 및 제작 정도를 센싱하고 나타내기 위한 바디 위치 센싱용 비젼 장치(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바디 위치 센싱용 비젼 장치(80)는 상기 바디 위치 결정장치(60)와 이송 로봇(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2)와, 상기 바디 및 선루프의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81)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장착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선루프(1)를 상기 선루프 이퀄라이저(10)에 로딩한다. 상기 선루프(1)를 상기 하측 롤러(11a)에 로딩하고, 상기 전,후측 에어실린더(12b)를 이용하여 상기 전,후측 롤러(12a)(13a)를 이동 및 가압하여 상기 선루프(1)의 위치를 잡아줄 수 있다.
이후, 상기 토출용 모터(25)를 구동하면, 볼 스크류를 통해 압력이 전달되어 상기 실러 카트리지(23)로부터 상기 실러 노즐(22)로 실러가 토출된다. 또한, 상기 선루프(1)에서 라운딩된 부분에 실러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트리지 회전용 모터(24)를 구동시켜서, 상기 실러 카트리지(23)를 회전시킨 후, 상기 선루프(1)에서 라운딩된 부분에 실러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선루프(1)에 실러 도포가 완료되면, 상기 이송 로봇(30)의 로봇 그리퍼(40)를 이용해 상기 선루프(1)를 흡착한다. 이 때, 상기 센서(43)로부터 상기 선 루프(1)의 접근을 감지한 후, 상기 진공발생 밸브(42)를 통해 진공을 생성한 후 상기 흡착부(41)를 통해 상기 선루프(1)를 흡착한다. 이후, 상기 로봇 주행 캐리지(50)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 로봇(30)을 이동시키면서 장착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바디(2)의 상부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체의 바디(2) 위치를 맞추기 위해서는, 상기 리프팅 장치(63)를 이용해서 상기 바디(2)를 상승시키고, 상기 푸셔(64)를 이용해 상기 바디(2)의 수평 이동 및 각도 보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디 위치 센싱용 비젼 장치(80)를 통해 바디의 위치 측정 및 보정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위치 센시용 비젼 장치(80)에서는, 상기 바디 셔틀 대차(70)에 바디(2)가 도착하면, 상기 바디(2)의 위치 및 제작 정도를 센싱하고, 센싱 및 측정 데이터를 상기 이송 로봇(3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이송 로봇(30)의 작업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루프 이퀄라이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측 롤러와 에어실린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측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러 공급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로봇 주행 캐리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로봇 그리퍼가 확대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바디 위치 결정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바디 위치 센싱용 비젼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선루프 10: 선루프 이퀄라이저
20: 실러 공급장치 30: 이송 로봇
40: 로봇 그리퍼 50: 로봇 주행 캐리지
60: 바디 위치결정장치 70: 바디 셔틀대차

Claims (10)

  1. 선루프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선루프 이퀄라이저와;
    상기 선루프에 실러를 도포하는 실러 공급장치와;
    상기 실러가 도포된 상기 선루프를 장착 위치로 안내하는 이송 로봇과;
    상기 이송 로봇에 구비되어, 상기 선루프를 로딩하는 로봇 그리퍼와;
    상기 이송 로봇을 직선 이동시키는 로봇 주행 캐리지와;
    상기 선루프가 장착되는 차체 바디의 위치를 결정하는 바디 위치결정장치와;
    상기 차체 바디를 운반하는 바디 셔틀 대차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 이퀄라이저는 상기 선루프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선루프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하측 조절부와, 상기 선루프의 전,후측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선루프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전,후측 조절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 조절부는 상기 선루프의 전,후측 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전,후측 롤러와, 상기 전,후측 롤러를 각각 전후진시키는 전,후측 에어실린더를 포함하 는 선루프 장착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 롤러와 상기 전,후측 에어실린더는 각각 랙과 피니언 구조로 연결된 선루프 장착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러 공급장치는 지지용 포스트와, 상기 지지용 포스트의 상측 단부에 배치된 실러 노즐과, 상기 실러 노즐와 결합되어 상기 실러 노즐에 실러를 공급하는 실러 카트리지와, 상기 실러 카트리지를 회전시키는 카트리지 회전용 모터와, 실러를 토출하기 위해 가압하는 토출용 모터를 포함하는 선루프 장착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봇 주행 캐리지는 상기 이송 로봇이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안내하는 레일과, 상기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모터 장치를 포함하는 선루프 장착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봇 그리퍼는 상기 선루프에 흡착되도록 형성된 흡착부와, 상기 흡착부에 진공을 생성시키기 위한 진공발생 밸브를 포함하는 선루프 장착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봇 그리퍼는 상기 흡착부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선루프의 접근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하는 선루프 장착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 위치 결정장치는 상기 바디에 대응되는 플로팅 베이스와, 상기 플로팅 베이스를 전,후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장치와, 상기 플로팅 베이스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팅 장치와, 상기 플로팅 베이스를 밀어주어 위치를 보정하는 푸셔를 포함하는 선루프 장착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위치 및 제작 정도를 센싱하여 외부로 나타내고, 상기 이송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바디 위치 센싱용 비젼 장치를 더 포함하는 선루프 장착 시스템.
KR1020080076513A 2008-08-05 2008-08-05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 KR101339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513A KR101339310B1 (ko) 2008-08-05 2008-08-05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513A KR101339310B1 (ko) 2008-08-05 2008-08-05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872A KR20100016872A (ko) 2010-02-16
KR101339310B1 true KR101339310B1 (ko) 2013-12-09

Family

ID=4208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513A KR101339310B1 (ko) 2008-08-05 2008-08-05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061B1 (ko) * 2012-12-31 2014-08-26 (주)심원 선루프용 조립시스템 및 이의 조립방법
CN111377009B (zh) * 2018-12-29 2021-07-1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天窗装配线系统
CN109732327A (zh) * 2019-03-11 2019-05-10 柳州万超汽车天窗有限公司 一种全景天窗的装配系统
CN110843964A (zh) * 2019-12-13 2020-02-28 湖北大冶汉龙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装配装置
CN111204384B (zh) * 2020-01-15 2021-12-07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全自动天窗装配方法及系统
CN113635997B (zh) * 2021-09-03 2022-07-29 广州启研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装配设备及其装配方法
CN114475867B (zh) * 2022-01-13 2024-04-19 科德汽车零部件(武汉)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机械组的校平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226B1 (ko) * 1991-09-30 1997-06-23 미쯔비시 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보디의 위치결정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53906U (ko) * 1996-12-31 1998-10-07 추호석 차량의 유리위치 결정방법
KR20020058741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안 차량의 글라스 부착장치 및 공정
JP2007022310A (ja) 2005-07-15 2007-02-01 Honda Motor Co Ltd ルーフガラス移載治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226B1 (ko) * 1991-09-30 1997-06-23 미쯔비시 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보디의 위치결정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53906U (ko) * 1996-12-31 1998-10-07 추호석 차량의 유리위치 결정방법
KR20020058741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안 차량의 글라스 부착장치 및 공정
JP2007022310A (ja) 2005-07-15 2007-02-01 Honda Motor Co Ltd ルーフガラス移載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872A (ko)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310B1 (ko) 자동차의 선루프 장착 시스템
US8406920B2 (en) Work mounting system and method of mounting work
JP3947997B2 (ja) 車体パネル操作装置
EP2746034B1 (en) Apparatus for applying sealant to inner side of tire
US20150028611A1 (en) Workpiece mounting system, workpiece mounting method, sunroof unit holding device, and sunroof unit holding method
CN111422041B (zh) 一种汽车玻璃附件粘结设备
CN102009340A (zh) 航空发动机安装车
KR102572234B1 (ko) 턴테이블 자동로봇 레이저 용접시스템
JP3014376B1 (ja) 自動ブラスト装置
US4731151A (en) Apparatus for mounting ready-made headliners into automotive bodies
CN102066684B (zh) 用于将玻璃板粘接到框架型材中的设施
KR20080018345A (ko) 엘씨디(lcd) 패널 보호필름 부착 장치
US81177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door glass on vehicle door
CN116460574A (zh) 一种卫星全自动装配及检测装置
KR20110001509A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센터링 장치
JP2016082633A (ja) パネル施工機及びパネル施工方法
KR100935021B1 (ko) 자동차 몰딩용 클립 장착장치
JPH06219352A (ja) ガラス取付設備
CN219044629U (zh) 气弹簧装配检测装置
JPH0815875B2 (ja) 自動車ボディの溶接装置
CN219634534U (zh) 一种车载中控屏3d盖板的擦拭覆膜一体机
CN211595987U (zh) 安全气囊的缝纫设备
KR20090081172A (ko)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CN217413941U (zh) 一种手动检修与测试的汽车天窗工作台
KR100903332B1 (ko)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