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422B1 -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422B1
KR101338422B1 KR1020080058009A KR20080058009A KR101338422B1 KR 101338422 B1 KR101338422 B1 KR 101338422B1 KR 1020080058009 A KR1020080058009 A KR 1020080058009A KR 20080058009 A KR20080058009 A KR 20080058009A KR 101338422 B1 KR101338422 B1 KR 101338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knuckle
wire
mounting
rota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1977A (ko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8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422B1/ko
Publication of KR2009013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9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3Type of interconnection
    • B60G2204/8302Mechanical
    • B60G2204/83022Mechanical using cables, wire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주행 중 노면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쇽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내부로 유입 및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스톤 로드가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쇽 업소버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피스톤 로드 손상에 의한 쇽 업소버의 오일누유 및 이상소음 발생을 방지하도록
너클의 중앙에 드라이브 샤프트가 장착되고,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너클의 일측에 장착되는 회전유닛; 상기 너클의 상단에 너클 마운팅 유닛을 통하여 연결되는 쇽 업소버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도록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공기압 발생유닛; 및 상기 쇽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쇽 업소버의 중앙에 장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를 관통하여 더스트 커버 내부로 연결되는 공급호스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쇽 업소버, 더스트 커버, 드라이브 샤프트, 이물질, 회전유닛, 공기압 발생유닛

Description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POLLUTION PREVENTING DEVICE FOR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중 노면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쇽업 소버의 더스트 커버 내부에 유입 및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쇽 업소버 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현가장치 중,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일반적인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휠(1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102)은 그 하단이 로워 컨트롤 아암(104)을 개재시켜 차체와 연결되고, 이 너클(102)의 상단은 너클 마운팅유닛(MU)을 통하여 스프링(106)과 쇽 업소버(108)가 일체로 형성되는 스트럿 어셈블리(110)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스트럿 어셈블리(1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쇽 업소 버(108)의 중앙 일측에 하부 스프링 시트(122)가 고정되고, 쇽 업소버(108)의 상단에는 스트라이커 캡(124)이 장착되며, 쇽 업소버(108)의 피스톤 로드(126)에는 자우스 댐퍼(128)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126)의 선단에는 상부 스프링 시트(121)와 상기한 인슐레이터(112)가 장착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스프링 시트(121)(122) 사이에는 상기한 스프링(106)이 개재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스프링 시트(121)(122) 사이에서 상기 쇽 업소버(108) 상에는 더스트 커버(130)가 씌워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쇽 업소버는 차량의 주행 중 노면과 휠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먼지나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상기 더스트 커버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쇽 업소버 내부에 퇴적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 로드의 유동 시, 상기 이물질이 상기 피스톤 로드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물질에 의해 상기 피스톤 로드가 손상됨에 따라, 차량 주행 시에 쇽 업소버에서 이상소음이 발생되고, 쇽 업소버 내부 오일이 누유되어 쇽 업소버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주행 중 노면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쇽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내부로 유입 및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스톤 로드가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쇽 업소버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피스톤 로드 손상에 의한 쇽 업소버의 오일누유 및 이상소음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는 너클의 중앙에 드라이브 샤프트가 장착되고,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너클의 일측에 장착되는 회전유닛; 상기 너클의 상단에 너클 마운팅 유닛을 통하여 연결되는 쇽 업소버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회 전유닛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도록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공기압 발생유닛; 및 상기 쇽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쇽 업소버의 중앙에 장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를 관통하여 더스트 커버 내부로 연결되는 공급호스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너클의 내측에서 드라이브 샤프트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외주면 상에는 제1 기어열이 형성되는 기어 링; 내부에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너클의 일측에서 상기 기어 링에 대응하여 끼워져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기어 링과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1 기어열과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하부에 제2 기어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어열의 회전 중심에는 샤프트 장착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는 드리븐 기어; 및 하단부가 상기 샤프트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드리븐 기어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에 드리븐 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단이 와이어와 연결되는 와이어 샤프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은 상기 쇽 업소버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력을 와이어를 통해 전달받도록 일측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면은 상기 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장착 하우징; 상기 장착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로터; 및 상기 장착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장착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배출하도록 상기 제1 로터와 회전식으로 배치되는 제2 로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그 일면에 연결홀이 형성되 고, 타면에는 다수개의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배출하도록 상면에는 상기 공급호스가 연결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 오염방지 장치에 의하면,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유닛을 작동시키고, 상기 회전유닛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공기압 발생유닛에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압축공기를 발생시킴으로써, 발생된 압축공기를 상기 쇽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내부에 공급하여 주행 중 노면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쇽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내부로 유입 및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쇽 업소버에 이물질의 유입 및 퇴적을 방지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쇽 업소버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피스톤 로드 손상에 의한 쇽 업소버의 오일누유 및 이상소음 발생을 방지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 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가 적용되는 쇽 업소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발생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1)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주행 중 노면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쇽 업소버(5)의 더스트 커버(7) 내부로 유입 및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스톤 로드(9)가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쇽 업소버(5)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피스톤 로드(9) 손상에 의한 쇽 업소버(5)의 오일누유 및 이상소음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1)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유닛(10), 공기압 발생유닛(40), 및 공급호스(6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유닛(10)은 너클(2)의 중앙에 드라이브 샤프트(3)가 장착되고,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너클(2)의 일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회전유닛(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기어 링(11), 하우징(13), 드리븐 기어(20), 와이어 샤프트(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 링(11)은 드라이브 샤프트(3)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너클(2)의 내측에서 드라이브 샤프트(3)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러한 기어 링(11)의 외주면 상에는 제1 기어열(G1)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3)은 상기 너클(2)의 일측에서 상기 기어 링(11)에 대응하여 끼워져 장착된다.
이러한 하우징(13)은 그 내부에 장착홀(15)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15)에는 드리븐 기어(20)가 장착된다.
상기 드리븐 기어(20)는 상기 기어 링(11)과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1 기어열(G1)과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하부에 제2 기어열(G2)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기어열(G2)의 회전 중심에는 샤프트 장착부(21)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15)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3)은 그 하단부에서 상기 장착홀(15)의 내측으로 베어링(17)이 장착된다.
상기 베어링(17)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 링(11)의 제1 기어열(G1)과 상기 드리븐 기어(20)의 제2 기어열(G2)이 치합되어 회전할 경우, 상기 드리븐 기어(20)의 샤프트 장착부(21)가 상기 하우징(13)의 장착홀(15) 내부에서 간섭없이 회전되도록 상기 샤프트 장착부(21)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샤프트(30)는 하단부가 상기 샤프트 장착부(21)에 장착되어 상기 드리븐 기어(20)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40)에 드리븐 기어(20)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단이 와이어(31)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장착부(21)는 상기 와이어 샤프트(30)가 끼워져 장착되도록 상부에 일정구간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홈(23)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23)은 상기 와이어 샤프트(30)가 삽입되어 상기 드리븐 기어(20)와 합께 회전되도록 그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샤프트(30)는 상기 걸림홈(25)에 대응하여 그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3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와이어 샤프트(30)는 상기 샤프트 장착부(21)의 장착홈(23)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33)가 상기 장착홈(23)의 양측 걸림홈(25)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드리븐 기어(20)의 회전과 함께, 상기 와이어 샤프트(30)도 회전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3)에는 상기 와이어 샤프트(30)가 상기 샤프트 장착부(21)의 장착홈(23)에 삽입된 상태로 이탈되지 않도록 그 상단 내주면을 따라 걸림단(1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31)는 보호튜브(35)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와이어 샤프트(3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4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튜브(35)는,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하우징(13)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40)과 연결되며, 중앙은 상기 너클 마운팅 유닛(MU)의 일측에 고정 브라켓(37)을 통하여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40)은 상기 너클(2)의 상단에 너클 마운팅 유닛(MU)을 통하여 연결되는 쇽 업소버(5)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유닛(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도록 와이어(35)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공기압 발생유닛(4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하우징(41), 제1 로터(51), 및 제2 로터(53)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장착 하우징(41)은 상기 쇽 업소버(5)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유닛(10)의 회전력을 와이어(35)를 통해 전달받도록 일측이 상기 와이어(35)와 연결되고, 상면은 상기 공급호스(60)가 연결된다.
이러한 장착 하우징(41)은 상기 와이어(35)가 연결되도록 그 일면에 연결홀(43)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다수개의 공기 유입구(4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 하우징(41)의 상면에는 상기 장착 하우징(41)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공급호스(60)가 연결되는 공기 배출구(47)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로터(51)는 상기 장착 하우징(4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제1 로터(51)는 상기 장착 하우징(41)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홀(43)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31)와 회전중심이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3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로터(53)는 상기 장착 하우징(41)의 내부에 상기 제1 로 터()와 함께 맞물려 회전되도록 회전식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2 로터(53)는 상기 제1 로터(51)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장착 하우징(41)의 각 공기 유입홀(45)을 통해 상기 장착 하우징(4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공기를 생성시키게 되고, 생성된 압축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구(47)을 통하여 상기 장착 하우징(4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40)은 공지 기술된 나사식 압축기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 및 작동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호스(60)는 일단이 상기 쇽 업소버(5)의 더스트 커버(7)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장착 하우징(41)의 공기 배출구(47)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쇽 업소버(5)의 중앙에 장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8)를 관통하여 상기 더스트 커버(7) 내부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호스(60)는 상기 쇽 업소버(5)의 상, 하 이동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벨로우즈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가 회전되면, 동시에, 상기 기어 링(11)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와 함께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너클(2)에 장착된 상기 회전유닛(10)의 드리븐 기어(20)의 제2 기어열(G2)은 상기 기어 링(11)의 제1 기어열(G1)과 치합되어 회전되고, 이에 따 라, 상기 와이어 샤프트(30)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샤프트(30)는 상기 샤프트 장착부(21)의 걸림홈(25)에 상기 돌기(33)가 끼워진 상태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드리븐 기어(20)의 회전 시, 상기 각 돌기(33)가 걸린 상태로 회전되어 상기 드리븐 기어(20)의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받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샤프트(30)의 회전력은 상기 와이어(31)를 통해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40)의 제1 로터(51)로 전달되어 상기 제1 로터(51)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17)은 상기 드리븐 기어(20)의 샤프트 장착부(21)가 상기 장착홀(15)의 내부에서 원활히 회전되도록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31)를 통해 상기 드리븐 기어(20)의 회전력이 상기 제1 로터(51)에 전달되면, 상기 제1 로터(51)와 회전식으로 배치되는 제2 로터(53)가 상기 제1 로터(53)와 함께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각 공기 유입구(45)를 통해 상기 장착 하우징(4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 제2 로터(51)(53)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장착 하우징(41)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생성된다.
이러한 압축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구(47)로 배출되며, 배출된 압축공기는 상기 공급호스(60)를 통하여 상기 더스트 커버(7)의 내부로 유입되어 차량의 주행 중 노면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상기 더스트 커버(7) 내부로 유입 및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호스(60)는 벨로우즈 타입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노면과의 마찰에 의한 상기 쇽 업소버(5)의 피스톤 로드(9)가 상, 하로 이동 될 때, 상기 더스트 커버(7)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기 피스톤 로드(9)와 함께 이동되도록 그 길이가 가변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더스트 커버(7) 내부로 계속 유입시키게 된다.
즉, 차량의 주행에 따라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40)으로부터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더스트 커버(7)의 내부에 계속 공급함에 따라, 상기 더스트 커버(7)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 및 퇴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상기 쇽 업소버(5)의 피스톤 로드(9)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1)를 적용하면, 드라이브 샤프트(3)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유닛(10)의 드리븐 기어(20)를 회전시키고, 상기 드리븐 기어(20)와 와이어(31)를 통해 연결되는 공기압 발생유닛(40)에 상기 드리븐 기어(20)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압축공기를 발생시킴으로써, 발생된 압축공기를 상기 쇽 업소버(5)의 더스트 커버(7) 내부에 공급하여 주행 중 노면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쇽 업소버(5)의 더스트 커버(7) 내부로 유입 및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쇽 업소버(5)에 이물질의 유입 및 퇴적을 방지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해 피스톤 로드(9)가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쇽 업소버(5)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피스톤 로드(9) 손상에 의한 쇽 업소버(5)의 오일누유 및 이상소음 발생을 방지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스트럿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가 적용되는 쇽 업소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발생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Claims (4)

  1. 너클의 중앙에 드라이브 샤프트가 장착되고,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너클의 일측에 장착되는 회전유닛;
    상기 너클의 상단에 너클 마운팅 유닛을 통하여 연결되는 쇽 업소버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도록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공기압 발생유닛; 및
    상기 쇽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쇽 업소버의 중앙에 장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를 관통하여 더스트 커버 내부로 연결되는 공급호스를 포함하는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너클의 내측에서 드라이브 샤프트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외주면 상에는 제1 기어열이 형성되는 기어 링;
    내부에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너클의 일측에서 상기 기어 링에 대응하여 끼워져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기어 링과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1 기어열과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하부에 제2 기어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어열의 회전 중심에는 샤프트 장착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는 드리븐 기어; 및
    하단부가 상기 샤프트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드리븐 기어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에 드리븐 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단이 와이어와 연결되는 와이어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은 상기 쇽 업소버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력을 와이어를 통해 전달받도록 일측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면은 상기 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장착 하우징;
    상기 장착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로터; 및
    상기 장착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장착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배출하도록 상기 제1 로터와 회전식으로 배치되는 제2 로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그 일면에 연결홀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다수개의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배출하도록 상면에는 상기 공급호스가 연결되는 공기 배출구가 형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
KR1020080058009A 2008-06-19 2008-06-19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 KR101338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009A KR101338422B1 (ko) 2008-06-19 2008-06-19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009A KR101338422B1 (ko) 2008-06-19 2008-06-19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977A KR20090131977A (ko) 2009-12-30
KR101338422B1 true KR101338422B1 (ko) 2013-12-10

Family

ID=4169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009A KR101338422B1 (ko) 2008-06-19 2008-06-19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760B1 (ko) 2012-12-21 2014-03-07 현대자동차(주) 쇼크업소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26A (ja) * 1991-06-26 1993-01-14 Toyota Motor Corp 車両の駆動装置
KR970035777A (ko) * 1995-12-29 1997-07-22 전성원 차량의 차동기어장치
KR19980015595U (ko) * 1996-09-10 1998-06-25 김영귀 공기압을 이용한 사이드 미러 및 도어 글래스 빗물 제거장치
KR20020051229A (ko) * 2000-12-22 2002-06-28 이계안 타이어 자동 공기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26A (ja) * 1991-06-26 1993-01-14 Toyota Motor Corp 車両の駆動装置
KR970035777A (ko) * 1995-12-29 1997-07-22 전성원 차량의 차동기어장치
KR19980015595U (ko) * 1996-09-10 1998-06-25 김영귀 공기압을 이용한 사이드 미러 및 도어 글래스 빗물 제거장치
KR20020051229A (ko) * 2000-12-22 2002-06-28 이계안 타이어 자동 공기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977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091B1 (ko) 모터를 갖는 휠을 고정지지하는 서스펜션 시스템
JP4238894B2 (ja) モ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ホイールモータ構造
US20050247496A1 (en) In-wheel motor system
EP3439895B1 (en) A connection device for an axle of a vehicle
WO2015141387A1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WO2015008606A1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KR101338422B1 (ko) 쇽 업소버 오염방지장치
CN110081219B (zh) 一种具有清理功能的密封效果的通风阀
JP2007191035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システム
JP3967662B2 (ja) 車両用ポンプ装置
JP4296437B2 (ja) タイヤ空気圧導入装置
JP5894484B2 (ja) 懸架装置
JP6618238B2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JP2015080996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JP6333579B2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CN108953451B (zh) 一种用于机电悬架装置的空气弹簧
JP2015175410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JP6207035B2 (ja) 懸架装置
CN113404801B (zh) 一种基于可伸缩式油囊的阻尼器
KR100863647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액슬부의 더스트 커버
JP2016097771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JP2010195270A (ja) 車両用ショックアブソーバ装置
KR101512363B1 (ko) 에어 베어링을 포함하는 에어 스프링 현가장치
JP4021423B2 (ja) 車両ホイール懸架装置
JP2023148101A (ja) 弾性車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