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357B1 - 안마기 - Google Patents

안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357B1
KR101337357B1 KR1020110043427A KR20110043427A KR101337357B1 KR 101337357 B1 KR101337357 B1 KR 101337357B1 KR 1020110043427 A KR1020110043427 A KR 1020110043427A KR 20110043427 A KR20110043427 A KR 20110043427A KR 101337357 B1 KR101337357 B1 KR 10133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member
backrest
front surface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228A (ko
Inventor
토시아키 난노
준지 나카무라
다이스케 츠카다
사토시 카지야마
요시코 츠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32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42Balls or 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Abstract

보다 쾌적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안마기를 제공한다. 등받이부(13)는 경질 부재로 형성된 등받이 본체(21)와, 등받이 본체(21)의 적어도 전면을 덮도록 고정되어 등받이 본체(21)의 외주연부(21a)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커버부(31)를 갖는다.

Description

안마기{MASSAGE APPARATUS}
본 발명은 안마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개 2001-276158호 공보에 나타났듯이, 착석 가능한 좌부의 후부에 등받이부를 구비하는 의자형 안마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
특개 2001-276158호 공보의 안마기에서는 등받이부 내부에 안마볼을 갖는 안마 기구가 설치되어 이 안마 기구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한다.
여기서, 상기 안마기의 등받이부는 상기 안마 기구의 보호를 위해 경질 수지 재료로 형성된 등받이 본체와 상기 등받이 본체의 앞면에 쿠션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안마기가 커버부를 등받이 본체에서 탈부착 가능한 구성을 갖는 경우, 사용자가 커버부의 탈부착을 수행할 때 등받이 본체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어긋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질 부재로 형성된 등받이 본체의 앞면이 노출됨에 따라 안마기에 착석한 사용자에 대하여 쿠션재를 갖는 커버부 이외의 부재(등받이 본체)가 접촉해버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안마 상태 및 단순히 착석한 상태에 있어서의 쾌적성에 관하여 한층 더한 개선이 요구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안마기는, 사용자가 착석 가능한 좌부와, 상기 좌부의 후부에 설치되어 경질 부재로 형성된 등받이 본체와, 상기 등받이 본체의 적어도 앞면을 덮도록 고정되어 상기 등받이 본체의 외주연부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커버부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마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마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마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조작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안마기의 전기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기(10)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안마기(10)를 나타낸다. 안마기(10)는 한 쌍의 지지 받침부(11)(한 도면에만 도시)에서 지지된 좌부(12)를 구비한다. 좌부(12)의 후부에는 등받이부(13)가 안마기(10)의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회동축에 의해 경동 가능하도록 조립 부착되어 있다. 또한, 좌부(12)의 전부에는 오토만(ottoman)(14)이 안마기(10)의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회동축에 의해 경동 가능하도록 조립 부착되어 있다. 또, 좌부(12)의 양측의 부위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팔걸이부(15)가 조립 부착되어 있다.
좌부(12)의 하부에는 도 2에 나타나듯이 등받이부(13)을 경동시키기 위한 리크라이닝(reclining) 기구(16)의 모터(16a)의 구동에 의해 등받이부(13)의 리크라이닝이 이루어진다. 또한, 오토만(14)에 대해서도 좌부(12)의 하부에 오토만(14)의 상하 구동기구(17)(도 5 참조)가 구비되어, 상하 구동기구(17)의 구동에 의해 오토만(14)이 상하 구동된다.
등받이부(13)는 경질 수지 재료로 형성된 등받이부(13) 내부의 수용 공간에 기계 안마 기구(20)를 수용하는 등받이 본체(21)와, 등받이 본체(21)의 전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커버부(31)를 갖고 있다.
등받이 본체(21)는, 경질 수지 재료로 형성되거나 개구된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개구부(도시 생략)를 앞면에 갖는 백보드(22)와, 백보드(22)의 배면(背面)에 부착되어 있는 백커버(23)를 가지고 있다. 또한 등받이 본체(21)의 좌우(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자리의 길이가 좌부(1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자리 길이와 거의 일치하거나 약간 짧고, 도 3에 나타나듯이 정면도에 있어서 각 팔걸이부(15)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내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나듯이 등받이 본체(21)는 백보드(22) 및 백커버(23)의 사이에 수용되어 소정 부위에 부착되는 거의 장방 형상을 갖는 기구부 프레임(도시 생략)을 가지고 있다.
상기 기구부 프레임은 기구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에 기계 안마 기구(20)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가이드 레일(20b)을 구비하고 있다. 기계 안마 기구(20)는 기계 안마 기구(20)에 조립 부착되어 있는 구동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상하 구동된다. 기계 안마 기구(20)에는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회전축으로 연결된 안마볼(20a)이 쌍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구동 모터 또는 별도로 설치된 구동 모터에 의해 한 쌍의 안마볼(20a)이 폭(좌우)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와 같이 기계 안마 기구(20)의 상하 구동과 안마볼(20a)의 폭방향 및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동작은 기계 안마 기구(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어부(60)에 의해 조합된다. 이에 의해 안마볼(20a)에 의한 3차원의 시료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안마기(10)에는 등받이부(13)나 오토만(14)에 팽창 수축 동작이 가능한 에어백에 의해 이루어지는 에어 안마 기구(25)(도5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 안마 기구(25)는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는 도시하지 않는 에어 펌프에서의 공기의 급기 및 배기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 수축 동작된다.
등받이 본체(21)의 전면에 설치되는 커버부(31)는 상기 등받이 본체(21)의 백보드(22)의 개구부 이외의 앞면의 거의 전체를 덮는 제1 커버 부재(32)와, 제1 커버 부재(32)의 상측 앞면에 배치되는 제2 커버 부재(33)와, 제1 커버 부재(32)의 하측 앞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서 상기 백보드(22)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제3 커버 부재(34)를 가지고 있다. 이들 각 커버 부재(32, 33, 34)에서는 스폰지 형상 부재가 표피재로 덮여있다.
또한 커버부(31)는 도 3에 나타나듯이 정면도에 있어서 등받이 본체(21)의 외주연부(21a)보다도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커버부(31)의 대부분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외주연부(21a)보다도 돌출된다.
구체적으로는 등받이 본체(21)의 앞면의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는 제1 커버 부재(32)는 제1 커버 부재(32) 하방의 팔걸이부(15)와의 대향 부위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자리의 길이(폭)가 상기 등받이 본체(21)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가장자리의 길이(폭)와 거의 동일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제1 커버 부재(32)는 상기 대향 부위보다도 상측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자리가 상기 등받이 본체(2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보다도 길다. 이와 같이 제1 커버 부재(32)의 팔걸이부(15)와의 대향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의 가장자리의 길이와 등받이 본체(21)의 좌우 방향으로의 가장자리의 길이가 거의 동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팔걸이부(15)와 제1 커버 부재(32)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 부재(32)의 팔걸이부(15)의 대향 부위보다도 상측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자리가 등받이 본체(2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보다도 길며, 즉 제1 커버 부재(32)가 외주연부(21a)보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 돌출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등받이 본체(21)의 앞면과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 커버 부재(32)의 하방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는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도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철부(凸部)(32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커버 부재(33)는 제1 커버 부재(3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에서 제1 커버 부재(32)와 봉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커버 부재(33)는 제1 커버 부재(32)보다도 외측 부위를 고정하고 있지 않아 소정 양만큼 이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커버 부재(33) 상방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는 제2 커버 부재(33)의 상방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도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철부(凸部)(3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철부(凸部)(33a) 및 철부(凸部)(32a)는, 철부(凸部)(33a) 및 철부(凸部)(32a) 사이 부분보다도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커버 부재(32, 33)에 형성된 4개의 철부(凸部)(32a, 33a)에서 사용자의 배부(背部)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의 어긋남을 막을 수 있다고 여겨진다.
한편, 제1 커버 부재(32)에 형성되는 철부(32a)는 제1 돌출부로, 제2 커버 부재(33)에 형성되는 철부(33a)는 제2 돌출부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3 커버 부재(34)는 등받이부(13)의 폭(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3 커버 부재(34)는 거의 직사각 형상을 갖는 본체부(34a)의 상단 중앙부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출(延出)되어 있다. 제3 커버 부재(34)는 제1 커버 부재(32)와 봉제에 의해 고정되는 중앙 접속편(34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3 커버 부재(34)는 중앙 접속편(34b)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있어서 본체부(34a)의 상단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출된다. 제3 커버 부재(34)는 상기 제1 커버 부재(32)의 전면과 제2 커버 부재(33)의 후면 사이에 은폐되는 좌우 접속편(34c)을 가지고 있다. 좌우 접속편(34c)의 선단에는 면 패스너(fastener)가 설치되어 상기 면 패스너가 제1 커버 부재(32) 및 제2 커버 부재(33)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면 패스너와 계지(係止)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3 커버 부재(34)가 소정의 위치에 나누어 설치된다.
또한, 커버부(3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 위치보다도 상측의 전면에는 베개부(35)가 배치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베개부(35)는 쿠션재가 표피재로 덮이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베개 본체(35a)와, 베개 본체(35a)의 후단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본체(21)에 고정 접속되는 접속부(35b)를 갖고 있다. 접속부(35b)는 상기 베개 본체(35a)의 표피재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접속부(35b)의 후단부(35c)는 상기 등받이 본체(21)의 백보드(22)의 최후단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부분에서 백보드(22)의 상면을 걸쳐서 커버부(31)의 앞면까지 돌려지는 것으로 베개 본체(35a)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개부(35)(베개 본체(35a))가 커버부(31)의 앞면에 있어서 최하 위치에 조정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접속부(35b)에 주름이 없도록 장설(張設)되어 있다. 또한, 베개부(35)의 최하 위치와, 제3 커버 부재(34)의 본체부(34a)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안마볼(20a)이 사용자의 신체에 당접했을 때에 안마볼(20a)에 의한 누름 압력을 충분히 전달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부(31) 등의 쿠션재는 생략 또는 얇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안마기(10)에는 좌부(12)에 사용자의 착석을 검출하기 위한 정전 용량식 센서로 이루어지는 착석 검출 센서(40)가 설치되어 있다. 착석 검출 센서(40)는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착석 검출 센서(40)에서 소정의 신호가 제어부(60)에 출력된다. 또한 착석 검출 센서(40)는 좌부(12)의 상면의 전후 방향 길이에 대하여 소정의 길이(예를 들어, 절반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검출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나있듯이, 설치되어 있는 2개의 팔걸이부(15) 중 한 쪽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는 거치대(50)가 부착되어 있다. 거치대(50)에는 도 4에 나타나있듯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계 안마 기구(20), 에어 안마 기구(25), 리크라이닝 기구(16) 및 상하 구동 기구(17)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에 대하여 지령 신호를 발하는 조작부(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51)에는 도 4에 나타나있듯이 사용자에 의한 높은 사용 빈도를 갖는 메인 스위치 군(52)과, 사용자에 의한 낮은 사용 빈도를 갖는 서브 스위치 군(53)과, 음성 또는 음을 출력하는 스피커(54)와,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갖는 광원부(55)와, 현 시점의 시료 부위 등의 표시가 가능한 표시부(56)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안마 스위치 군'이란, 예를 들어 온/오프 스위치(52a), 긴급 정지 스위치(52b), 자동 코스 선택 스위치(52c), 리크라이닝 조정 스위치(52d), 오토만 조정 스위치(52e)를 말한다. 또한,'서브 스위치 군'이란, 안마볼(20a)이나 에어백의 누름 압력이나 안마볼(20a)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스위치(53a), 광원 온/오프 스위치(53b), 음성 온/오프 스위치(53c), 일부의 신체 부위만을 안마하기 위한 기호 스위치(53d)를 말한다.
조작부(51)에 설치되어 있는 광원부(55)는 예를 들어 파장(발색)의 다른 복수의 발광 소자에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빨강, 파랑, 초록의 3색이 독립하여 발광 가능한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이들의 발광 소자를 제어부(60)에서 제어하는 것으로 다양한 색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광원부(55)는 전술의 광원 온/오프 스위치(53b)에 의해 오프 설정되어 있을 경우는 광원부(55)에 의한 발광이 금지된다.
조작부(51)에 설치되는 스피커(54)는 도시하지 않는 메모리에 미리 기억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조작부(51)의 조작 방법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마기(10)의 한 동작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상용 전원과 접속된 상태의 안마기(10)에 있어서, 제어부(60)는 착석 검출 센서(40)에 의해 사용자의 착석이 검출되면, 조작부(51)의 일부인 광원부(55)의 발광 소자가 점등 혹은 점멸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 대하여 확실히 착석한 것을 알릴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60)는 착석한 취지의 보지(報知)를 음성에 의해 스피커(54)로 알린다. 또, 제어부(60)는 도시하지 않은 자신의 메모리에 미리 기억된 음성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에 대하여 조작부(51)의 사용 방법을 알린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0)는 착석 검출 센서(40)에 의해 착석 검출되면 미리상기 메모리 내에 기억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안마를 수행할 경우에는 조작부의 온/오프 스위치를 눌러주세요"라는 조작부(51)의 조작 방법의 공지를 스피커(54)로부터 알린다.
또한, 제어부(60)는 착석 검출 센서(40)에 의해 착석 검출 된 후에, 예를 들어 조작부(51)의 온/오프 스위치(52a)가 눌러지기까지 상기 기계 안마 기구(20), 에어 마사지 기구(25), 리크라이닝 기구(16) 및 상하 구동 기구(17)를 구동 가능한 동작 허가 상태로 천이시킨다. 이 동작 허가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부(51)에 설치된 각 스위치(52a~52e, 53a~53d)에 대한 조작을 토대로 하여 상기 각 기구(16, 17, 20, 25)의 구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다. 이로 인해, 온/오프 스위치(52a)를 누르는 것으로 동작 허가 상태로 설정되고 나서는 등받이부(13)의 경동 각도나 오토만(14)의 경동 각도를 조작부(51)의 각 스위치(52d, 52c)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온/오프 스위치(52a)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 각 기구(16, 17, 20, 25)를 동작 가능한 동작 허가 상태로 설정하면, 상기 메모리 내에 기억된 음성 데이터에 의해 스피커(54)로부터 조작부(51)의 조작 방법을 알린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그 스피커(54)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토대로 하여 용이하게 조작부(51)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제어부(60)는 상기 동작 허가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51)에 설치된 복수의 자동 코스 선택 스위치(52c)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지면, 미리 프로그램된 자동 코스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 기구(16, 17, 20, 25)를 구동시킨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51)에 설치된 광원부(55)가 안마 중에 있어서 점멸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작용 효과를 기재한다.
(1) 등받이부(13)는 경질 부재로 형성된 등받이 본체(21)와, 등받이 본체(21)의 적어도 앞면을 덮는 상태에서 고정되거나 등받이 본체(21)의 외주연부(21a)보다도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태의 커버부(31)를 갖는다. 이와 같이 등받이 본체(21)의 앞면에 고정된 커버부(31)가 등받이 본체(21)의 외주연부(21a)보다도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가 등받이 본체(21)의 앞면과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안마기(10)의 착석할 때 및 안마할 때의 쾌적성 향상에 부여할 수 있다.
(2) 사용자의 배부(背部)를 4점으로 지지하기 위해, 그 좌우 방향 양측 및 상하 방향 양측의 부위보다도 돌출하는 4개의 철부(凸部)(32a, 33a), 즉 2개의 제1 돌출부들(32a) 및 2개의 제2 돌출부들(3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4개의 철부(凸部)(32a, 32a)에서 사용자의 배부(背部)를 4점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의 어긋남을 막을 수 있다고 여겨진다.
(3) 등받이 본체(21)는 커버부(31)를 구비하는 사용자측의 백보드(22)와, 이 백보드(22)의 후측 개구부를 폐색하는 백커버(23)를 갖는다. 커버부(31)의 앞면에는 배치 가능한 베개부(35)가 구비된다. 베개부(35)의 접속부(35b)의 후단부(35c)가 백보드(22)의 상면 후단부에 고정된다. 베개부(35)는 상기 고정 부분에서 백보드(22)의 상면을 걸쳐서 커버부(31)의 앞면까지 돌려지고 베개부(35)의 베개 본체(35a)에 쿠션재가 내포되어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베개 본체(35a)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서 예를 들어, 최하 위치에서 위쪽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비교적 전후 방향으로 긴 접속부(35b)에 의해 전체에 걸쳐서 주름이 생기기 때문에, 접속부(35b)가 전후 방향으로 비교적 짧을 경우와 비교하여 안마기(10)의 의장성의 저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
ㆍ상기 실시 예에서는 베개부(35)의 접속부(35b)의 후단부(35c)가 등받이 본체(21) 안의 비교적 후측인 백보드(22)의 후단부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후단부(35c)가 후측 부재인 백커버(23)의 상면 전단부에 고정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이상의 위치에 접속부(35b)의 후단부(35c)를 고정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ㆍ상기 실시예에서는 베개부(35)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도록 구성했지만, 예를 들어 커버부(31)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위치 조정 불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ㆍ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버부(31)에 4개의 철부(凸部)(32a, 33a)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배부(背部)를 4점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철부(凸部)(32a, 33a)를 생략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철부(凸部)(32a, 33a)의 위치는 적당히 변경할 수도 있다.

Claims (3)

  1. 사용자가 착석 가능한 좌부;
    상기 좌부의 후부에 설치되어 경질 재료로 형성된 등받이 본체; 및
    상기 등받이 본체의 적어도 앞면을 덮도록 고정되어 상기 등받이 본체의 외주연부보다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커버부를 구비하는 안마기로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사용자의 배부(背部)를 4점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부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부위 및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부위가,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측 부위 및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측 부위보다도 상기 안마기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철부를 가지고,
    상기 등받이 본체는, 상기 커버부를 부착하여 착석한 사용자 측을 향하여 열린 개구부를 포함하는 앞측 부재와, 상기 앞측 부재의 후측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는 후측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앞측 부재의 개구부 이외의 앞면의 전체를 덮는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상측 앞면에 배치되는 제2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하측 앞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는 제3 커버 부재를 가지고,
    상기 철부는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하측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형성되면서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도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커버 부재의 상방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도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앞면에 배치 가능하며 쿠션재를 포함하는 베개부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베개부의 후단이 상기 앞측 부재의 상면 후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베개부의 고정 부분에서 상기 앞측 부재의 상면을 걸쳐서 상기 커버부의 앞면까지 돌려지거나 상기 베개부의 전단측에 쿠션재가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
KR1020110043427A 2010-05-31 2011-05-09 안마기 KR101337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24690A JP5081275B2 (ja) 2010-05-31 2010-05-31 マッサージ機
JPJP-P-2010-124690 2010-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228A KR20110132228A (ko) 2011-12-07
KR101337357B1 true KR101337357B1 (ko) 2013-12-06

Family

ID=4500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427A KR101337357B1 (ko) 2010-05-31 2011-05-09 안마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81275B2 (ko)
KR (1) KR101337357B1 (ko)
CN (1) CN1022584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373B1 (ko) 2011-12-09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교환기
JP6042659B2 (ja) * 2012-08-21 2016-12-1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及びマッサージシステム
CN113648213A (zh) * 2021-08-23 2021-11-16 深圳市未来神经科技有限公司 一种维护脑部健康的仪器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3972A (ja) * 2002-11-26 2003-05-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05160824A (ja) * 2003-12-04 2005-06-23 Md Kenkyusho Kk マッサージ椅子
JP2005334386A (ja) * 2004-05-28 2005-12-08 Omron Healthcare Co Ltd マッサージ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016A (ja) * 1999-05-26 2000-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ラックスチェア
JP2001017494A (ja) * 1999-07-09 2001-01-23 Daito Denki Kogyo Kk マッサージ機
JP4435440B2 (ja) * 2001-03-15 2010-03-17 ファミリー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のカバー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3972A (ja) * 2002-11-26 2003-05-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05160824A (ja) * 2003-12-04 2005-06-23 Md Kenkyusho Kk マッサージ椅子
JP2005334386A (ja) * 2004-05-28 2005-12-08 Omron Healthcare Co Ltd マッサージ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228A (ko) 2011-12-07
JP5081275B2 (ja) 2012-11-28
JP2011250840A (ja) 2011-12-15
CN102258417B (zh) 2013-11-13
CN102258417A (zh)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6731B2 (en) Flexible vehicle seat
WO2015049937A1 (ja) ショルダサポートアジャスタ及び車両用シート
US103008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assage functions of a motor vehicle seat
CN104908613A (zh) 用于选择和调节机动车座椅的座椅相关功能的开关
US20170096084A1 (en) Vehicle seat
CN107406012A (zh) 座椅控制装置
KR20070114048A (ko) 마사지 의자
KR101337357B1 (ko) 안마기
JP7393611B2 (ja) 表示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US20230415614A1 (en) Seat, seat cushion, seat system and car system
JP2018188137A (ja) シートユニット
JP6582835B2 (ja) 乗物用シート
JP5054153B2 (ja) マッサージ機
CN108725286B (zh) 包括可变形的脚支撑装置的车辆
KR20110132226A (ko) 안마기
JP5255599B2 (ja) マッサージ機
JP7372762B2 (ja) マッサージ機
WO2016063107A1 (en) Seat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seat system of a motor vehicle
JP4851157B2 (ja) マッサージ機
EP2422834B1 (en) Relaxation device
JPH09109747A (ja) 車両の座席装置
JP4015446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6893090B2 (ja) 読書灯
KR20240016127A (ko) 안마 장치
WO2019074023A1 (ja) 車室用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室用照明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