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107B1 -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 - Google Patents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107B1
KR101337107B1 KR1020120099109A KR20120099109A KR101337107B1 KR 101337107 B1 KR101337107 B1 KR 101337107B1 KR 1020120099109 A KR1020120099109 A KR 1020120099109A KR 20120099109 A KR20120099109 A KR 20120099109A KR 101337107 B1 KR101337107 B1 KR 101337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pport frame
inversion
grip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대운
Original Assignee
고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대운 filed Critical 고대운
Priority to KR102012009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용 글래스의 출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진공 유지가 가능하면서 글래스의 반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반전공간이 형성되는 반전챔버; 반전공간에 로딩된 글래스의 양측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측에 글래스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그립이 다수로 마련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의 양쪽 측부에 각각 다수로 마련되어 지지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고, 지지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글래스의 양측면이 스프링그립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거나, 글래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스프링그립이 이격되도록 지지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하는 그립구동부; 지지프레임의 양쪽 측부에 각각 위치하고, 각각의 내측에 지지프레임의 한쪽 측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그립구동부가 외부와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고정되고, 그립구동부로부터 인출되는 파워라인이 통과하기 위한 중공의 회전축이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반전챔버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회전축에 의해 외부에 연결됨으로써 대기압을 유지하는 대기압챔버; 지지프레임이 수평되도록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수평유지부;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지지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그립에 의해 양측면이 지지되는 글래스를 반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회전구동부에 의한 글래스의 반전 및 수평을 감지하는 반전감지부를 포함하도록 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Apparatus for turning glass for flat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상태에서 안정적인 반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LDE(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글래스를 진공 상태 하에서 반전시켜서 글래스의 반대면에 증착이나 기타 제조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글래스 반전기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특허등록 제10-0857053호의 "반전 기능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승강장치"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반전 기능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승강장치에 있어서, 박스 형상의 구조로서 상부 및 하부 일측에 글래스가 장입 또는 인출되는 출입구가 형성된 메인 지지프레임;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대상물을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승강하고 상하가 개방된 형상의 고정 지지프레임; 상기 고정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 지지프레임; 상기 회전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글래스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평 이송부; 및 상기 회전 지지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글래스를 반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글래스 반전기는 진공 상태에서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면적화된 글래스를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반전시키는 것이 어려우며, 장비가 복잡하고 규모가 크기 때문에 설치에 많은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유지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래스를 진공 상태에서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OLDE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을 비롯한 진공을 요하는 공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글래스의 반전에도 불구하고, 장비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평판 디스플레이용 글래스의 출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진공 유지가 가능하면서 글래스의 반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반전공간이 형성되는 반전챔버; 상기 반전공간에 로딩된 글래스의 양측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측에 글래스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그립이 다수로 마련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쪽 측부에 각각 다수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글래스의 양측면이 상기 스프링그립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거나, 상기 글래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프링그립이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하는 그립구동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쪽 측부에 각각 위치하고, 각각의 내측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한쪽 측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상기 그립구동부가 외부와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그립구동부로부터 인출되는 파워라인이 통과하기 위한 중공의 회전축이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반전챔버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외부에 연결됨으로써 대기압을 유지하는 대기압챔버; 상기 지지프레임이 수평되도록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수평유지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프링그립에 의해 양측면이 지지되는 글래스를 반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한 글래스의 반전 및 수평을 감지하는 반전감지부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다수의 가로부재와 다수의 세로부재의 교차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의 교차부위에 상기 스프링그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그립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피크(PEEK)재질의 그립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그립구동부는, 상기 대기압챔버 내에 상하로 적층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공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상기 대기압챔버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대기압챔버는, 상기 피스톤로드 각각을 감싸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벨로우즈가 상기 지지프레임과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유지부는, 상기 대기압챔버의 측부에 마련되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기 위한 끼움부재; 상기 반전챔버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반전챔버를 관통하여 끝단에 상기 끼움부재가 고정되기 위한 피스톤로드를 가지는 공압실린더; 및 상기 피스톤로드를 감싸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끼움부재와 상기 반전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벨로우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반전챔버의 외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축에 고정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반전감지부는, 상기 종동기어에 고정되는 센서도그;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글래스가 수평일 때와 180도 회전할 때 상기 센서도그를 각각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광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에 의하면, 글래스를 진공 상태에서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OLDE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을 비롯한 진공을 요하는 공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글래스의 반전에도 불구하고, 장비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의 그립구동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의 수평유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의 회전구동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의 반전감지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의 그립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100)는 반전챔버(110), 지지프레임(120), 그립구동부(130), 대기압챔버(140), 수평유지부(150), 회전구동부(160) 및 반전감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전챔버(110)는 OLED 디스플레이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용 글래스(1)의 출입을 위한 개구(1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진공 유지가 가능하면서 글래스(1)의 반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반전공간(112)이 형성된다. 여기서 개구(111)는 반전챔버(110)의 일측에만 형성되거나, 본 실시예에서처럼 양측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어느 하나는 개폐를 위한 게이트밸브(113)가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폐쇄되거나 다른 진공 유지 장비가 연결될 수 있고, 글래스(1)의 수평 출입을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반전공간(112)은 글래스(1)를 수평축, 예컨대 후술하게 될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회전시 글래스(1)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형태를 가진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1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반전공간(112)에 로딩된 글래스(1)의 양측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측에 글래스(1)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그립(121)이 다수로 마련되며, 그립구동부(130)에 연결됨으로써 반전공간(112)에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지지프레임(120)은 다수의 가로부재(122)와 다수의 세로부재(123)의 교차로 이루어지고, 가로부재(122)와 세로부재(123)의 교차부위에 스프링그립(121)이 마련됨으로써 스프링그립(121)이 전후 및 좌우로 2차원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프링그립(121)은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21a)에 스프링(121b)의 일단이 억지 끼움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스프링(121b)의 타단에 피크(PEEK, Polyetherethereketone)재질의 그립(121c)이 억지 끼움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21a)는 다수의 너트에 의해 지지프레임(120)을 관통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21b)은 고정부재(121a)와 그립(121c)에 양단이 억지 끼워지기 위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립(121c)은 본 실시예에서처럼 끝단 일부가 피크재질로 이루어져서 고정되거나, 다른 예로서, 전체가 피크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그립구동부(130)는 지지프레임(120)의 양쪽 측부에 각각 다수로 마련되어 지지프레임(120)을 서로 연결시키고, 지지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하는 글래스(1)의 양측면이 스프링그립(121)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거나, 글래스(1)의 일측면으로부터 스프링그립(121)이 이격되도록 지지프레임(120)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며, 대기압챔버(140)에 설치됨으로써 반전공간(112)에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그립구동부(130)는 대기압챔버(140) 내에 상하로 적층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공압실린더(131)를 포함할 수 있고, 공압실린더(131)의 피스톤로드(132)가 대기압챔버(140)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지지프레임(12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대기압챔버(1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지지프레임(120)의 양쪽 측부에 각각 위치하고, 각각의 내측에 지지프레임(120)의 한쪽 측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그립구동부(130)가 외부와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고정되고, 그립구동부(130)로부터 인출되는 파워라인(미도시)이 통과하기 위한 중공의 회전축(141)이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반전챔버(110)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회전축(141)에 의해 외부에 연결됨으로써 대기압을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회전축(141)은 단일 또는 다수의 실링부재(143; 도 7에 도시)에 의해 반전챔버(11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반전챔버(110)와의 유격이 실링되도록 할 수 있다.
대기압챔버(140)는 그립구동부(130)의 동작을 위한 파워라인이 외부로부터 인입되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그립구동부(130)가 안정된 대기압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파워라인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립구동부(130)가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 공압공급라인으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예로서 그립구동부(130)의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전원공급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기압챔버(140)는 그립구동부(130)의 피스톤로드(132) 각각을 감싸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벨로우즈(142)가 지지프레임(120)과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벨로우즈(142)는 양단이 대기압챔버(140)와 지지프레임(120)에 각각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평유지부(150)는 지지프레임(120)을 수평되도록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도록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처럼 대기압챔버(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평유지부(150)는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처럼 대기압챔버(140)의 측부에 마련되는 끼움부(151)와, 끼움부(15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기 위한 끼움부재(152)와, 반전챔버(110)의 외측에 고정되고, 반전챔버(110)를 관통하여 끝단에 끼움부재(152)가 고정되기 위한 피스톤로드(154)를 가지는 공압실린더(153)와, 피스톤로드(154)를 감싸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끼움부재(152)와 반전챔버(110) 사이에 설치되는 벨로우즈(15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공압실린더(153)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로드(154)를 직선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끼움부재(152)가 끼움부(151)에 끼워지도록 하거나 이탈되도록 하여, 대기압챔버(140)와 함께 지지프레임(111)을 수평이 유지되도록 고정시키거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끼움부(151)는 끼움부재(152)가 끼워지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끼움부재(152)는 끼움부(151)의 홈에 유격을 가지도록 끼워지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벨로우즈(155)는 양단이 반전챔버(110)와 끼움부재(152)에 각각 기밀을 유지하도록 끼워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구동부(16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반전챔버(110)에서 개구(111)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이루는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회전축(141)을 각각 회전시킴으로써 지지프레임(120)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그립(121)에 의해 양측면이 지지되는 글래스(1)를 반전시키도록 한다.
회전구동부(160)는 회전축(141)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회전축(141)에 전달하는 다양한 회전력전달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반전챔버(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161)와, 회전모터(161)의 축에 고정되는 구동기어(162)와, 구동기어(162)에 기어결합되도록 회전축(141)에 고정되는 종동기어(1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모터(161)는 종동기어(163)를 감싸도록 반전챔버(1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기어하우징(164)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반전감지부(170)는 회전구동부(160)에 의한 글래스(1)의 반전 및 수평을 감지하도록 하는데, 일례로, 종동기어(163)에 고정되는 센서도그(171)와, 지지프레임(120)에 지지되는 글래스(1)가 수평일 때와 180도 회전할 때 센서도그(171)를 각각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광센서모듈(17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센서(172)는 센서도그(171)의 회전경로 양측에 위치하도록 센서브라켓(172c)에 설치되는 발광소자(172a)와 수광소자(17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소자(172a)는 일례로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광소자(172b)는 일례로 포도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발광소자(172a)로부터 출력되어 수광소자(172b)로 도달하는 광이 센서도그(171)에 의해 차단시 글래스(1)의 수평과 글래스(1)의 180도 반전 후 수평을 각각 감지하도록 하고, 이를 신호로서 출력하는 수광소자(172b)의 감지신호를 수신받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회전구동부(160)의 회전모터(161)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회전구동부(160)의 회전모터(161) 뿐만 아니라, 미리 프로그램밍된 순서에 따라 그립구동부(130)의 공압실린더(131)와 수평유지부(150)의 공압실린더(153)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진공 상태의 진공이송로봇(200)에 의해 개구(111)를 통해서 반전공간(112) 내의 지지프레임(120) 중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20) 상의 스프링그립(121)에 글래스(1)를 로딩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구동부(130)의 구동에 의해 글래스(1)의 양측면이 스프링그립(121)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지지프레임(120)의 간격이 정해진 양만큼 감소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수평유지부(150)의 공압실린더(153)가 작동하여 끼움부재(152)가 끼움부(151)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후, 회전구동부(160)의 구동에 의해 도 10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120)이 회전을 실시함으로써, 글래스(1)가 180도로 반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전구동부(160)에 의한 회전축(141)의 회전량은 글래스(1)의 180도 회전을 의미하고, 이는 반전감지부(170)를 통해서 글래스(1)의 수평 및 반전을 각각 감지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글래스(1)에 대한 반전을 마치면, 수평유지부(150)에 의해 지지프레임(12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 다음, 진공이송로봇(200)에 의해 글래스(1)가 외부로 언로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글래스를 진공 상태에서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OLDE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을 비롯한 진공을 요하는 공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글래스의 반전에도 불구하고, 장비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글래스 110 : 반전챔버
111 : 개구 112 : 반전공간
113 : 게이트밸브 120 : 지지프레임
121 : 스프링그립 121a : 고정부재
121b : 스프링 121c : 그립
122 : 가로부재 123 : 세로부재
130 : 그립구동부 131 : 공압실린더
132 : 피스톤로드 140 : 대기압챔버
141 : 회전축 142 : 벨로우즈
143 : 실링부재 150 : 수평유지부
151 : 끼움부 152 : 끼움부재
153 : 공압실린더 154 : 피스톤로드
155 : 벨로우즈 160 : 회전구동부
161 : 회전모터 162 : 구동기어
163 : 종동기어 164 : 기어하우징
170 : 반전감지부 171 : 센서도그
172 : 광센서모듈 172a : 발광소자
172b : 수광소자 172c : 센서브라켓
173 : 센서고정부재 200 : 진공이송로봇

Claims (6)

  1. 평판 디스플레이용 글래스의 출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진공 유지가 가능하면서 글래스의 반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반전공간이 형성되는 반전챔버;
    상기 반전공간에 로딩된 글래스의 양측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측에 글래스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그립이 다수로 마련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쪽 측부에 각각 다수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글래스의 양측면이 상기 스프링그립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거나, 상기 글래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프링그립이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하는 그립구동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쪽 측부에 각각 위치하고, 각각의 내측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한쪽 측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상기 그립구동부가 외부와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그립구동부로부터 인출되는 파워라인이 통과하기 위한 중공의 회전축이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반전챔버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외부에 연결됨으로써 대기압을 유지하는 대기압챔버;
    상기 지지프레임이 수평되도록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수평유지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프링그립에 의해 양측면이 지지되는 글래스를 반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한 글래스의 반전 및 수평을 감지하는 반전감지부;
    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다수의 가로부재와 다수의 세로부재의 교차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의 교차부위에 상기 스프링그립이 마련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그립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피크(PEEK)재질의 그립이 고정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구동부는,
    상기 대기압챔버 내에 상하로 적층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공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상기 대기압챔버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대기압챔버는,
    상기 피스톤로드 각각을 감싸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벨로우즈가 상기 지지프레임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부는,
    상기 대기압챔버의 측부에 마련되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기 위한 끼움부재;
    상기 반전챔버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반전챔버를 관통하여 끝단에 상기 끼움부재가 고정되기 위한 피스톤로드를 가지는 공압실린더; 및
    상기 피스톤로드를 감싸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끼움부재와 상기 반전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벨로우즈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반전챔버의 외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축에 고정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반전감지부는,
    상기 종동기어에 고정되는 센서도그;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글래스가 수평일 때와 180도 회전할 때 상기 센서도그를 각각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광센서모듈을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
KR1020120099109A 2012-09-07 2012-09-07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 KR101337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109A KR101337107B1 (ko) 2012-09-07 2012-09-07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109A KR101337107B1 (ko) 2012-09-07 2012-09-07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107B1 true KR101337107B1 (ko) 2013-12-06

Family

ID=4998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109A KR101337107B1 (ko) 2012-09-07 2012-09-07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10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222B1 (ko) * 2013-12-19 2015-10-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판 회전 장치
KR20160019609A (ko) * 2014-08-11 2016-02-22 주식회사 제우스 기판반전장치
KR20160109636A (ko) * 2015-03-12 2016-09-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판 회전 장치
WO2018070642A1 (ko) * 2016-10-13 2018-04-19 주식회사 은광기전 냉장고 캐비닛 발포 금형의 반전 장치
KR102060078B1 (ko) * 2014-08-11 2019-12-30 주식회사 제우스 가압바유닛
KR102319361B1 (ko) 2021-02-18 2021-10-29 (주)중앙이앤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대형 글래스 반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3452A (ja) 2004-01-13 2005-07-28 Serubakku:Kk 基板保持反転装置
KR20060058826A (ko) * 2004-11-26 2006-06-01 두산디앤디 주식회사 기판반전장치
KR20080002375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기판의 반전장치
KR100866831B1 (ko) 2008-07-28 2008-11-04 주식회사 줌텍 업다운 쇼바를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반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3452A (ja) 2004-01-13 2005-07-28 Serubakku:Kk 基板保持反転装置
KR20060058826A (ko) * 2004-11-26 2006-06-01 두산디앤디 주식회사 기판반전장치
KR20080002375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기판의 반전장치
KR100866831B1 (ko) 2008-07-28 2008-11-04 주식회사 줌텍 업다운 쇼바를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반전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222B1 (ko) * 2013-12-19 2015-10-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판 회전 장치
KR20160019609A (ko) * 2014-08-11 2016-02-22 주식회사 제우스 기판반전장치
KR102060078B1 (ko) * 2014-08-11 2019-12-30 주식회사 제우스 가압바유닛
KR102069077B1 (ko) * 2014-08-11 2020-01-23 주식회사 제우스 기판반전장치
KR20160109636A (ko) * 2015-03-12 2016-09-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판 회전 장치
KR101666805B1 (ko) * 2015-03-12 2016-10-1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판 회전 장치
WO2018070642A1 (ko) * 2016-10-13 2018-04-19 주식회사 은광기전 냉장고 캐비닛 발포 금형의 반전 장치
KR20180040945A (ko) * 2016-10-13 2018-04-23 주식회사 은광기전 냉장고 캐비닛 발포 금형의 반전 장치
KR101896050B1 (ko) * 2016-10-13 2018-09-06 주식회사 은광기전 냉장고 캐비닛 발포 금형의 반전 장치
KR102319361B1 (ko) 2021-02-18 2021-10-29 (주)중앙이앤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대형 글래스 반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107B1 (ko)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반전기
KR101694602B1 (ko) 산업용 로봇
KR101488649B1 (ko) 기판 반송 로봇 및 시스템
CN103170986A (zh) 机器人的臂结构和机器人
KR20140099411A (ko) Tm 센서를 구비한 측정 장치
KR20110091687A (ko) 진공 챔버용 출입 도어
CN101692432A (zh) 组合式顶杆机构
JP2013049128A (ja) ロボットのアーム構造およびロボット
KR100925172B1 (ko) 리드 개폐장치 및 방법
KR100987362B1 (ko) 반송챔버 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판반송장치
KR101011268B1 (ko) 상,하방향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벽부형 진열장
CN109786300B (zh) 输送腔室
CN113104734B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可视化操作吊运装置
KR101312821B1 (ko) 기판 이송 장치
KR101258350B1 (ko) 기판 처리 장치
US20140078638A1 (en) Stacker and Static Elimination Device for the Same
CN206623107U (zh) 一种机械臂组件及机器人
CN201962202U (zh) 自动对位机构
CN112027361A (zh) 一种多功能医用配药取用盒
KR101023050B1 (ko) 진공환경의 반송챔버 내에서 대형기판을 반송시키는데 적합한 기판반송장치
JP6454485B2 (ja) 昇降開閉式展示ケース
KR100926541B1 (ko) 흡착장치
KR101537288B1 (ko) 진공 챔버
KR20130104139A (ko) 글래스기판 회전 장치
JP2019025586A (ja) 産業用ロボ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