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844B1 -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844B1
KR101334844B1 KR1020110146422A KR20110146422A KR101334844B1 KR 101334844 B1 KR101334844 B1 KR 101334844B1 KR 1020110146422 A KR1020110146422 A KR 1020110146422A KR 20110146422 A KR20110146422 A KR 20110146422A KR 101334844 B1 KR101334844 B1 KR 101334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ity type
floating gate
type impurity
region
impurity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616A (ko
Inventor
김한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110146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844B1/ko
Priority to US13/463,268 priority patent/US8648406B2/en
Publication of KR20130077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4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 G11C16/0408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comprising cells containing floating gate transistors
    • G11C16/0441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comprising cells containing floating gate transistors comprising cells containing multiple floating gate devices, e.g. separate read-and-write FAMOS transistors with connected floating g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92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ells or tubs, e.g. twin tubs, high energy well implants, buried implanted layers for lateral isolation [BILL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01L29/7881Programmable transistors with only two possible levels of programmation
    • H01L29/7884Programmable transistors with only two possible levels of programmation charging by hot carrier inje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6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the control gate being a doped region, e.g. single-poly memory cel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6/00 and subgroups, for features not directly covered by these groups
    • G11C2216/02Structural aspects of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2216/10Floating gate memory cells with a single polysilicon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작 전압을 낮출 수 있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은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웰과, 제 2 도전형 웰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제 2 도전형 웰의 상부에 형성된 터널 산화막과, 터널 산화막 상부에 형성되며,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 플로팅 게이트와, 플로팅 게이트와 인접한 제 2 도전형 웰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며, 플로팅 게이트는,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부분의 농도가 불순물 영역과 인접한 부분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제조 방법{SINGLE POLY EEPROM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작 전압을 낮출 수 있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은 전기적으로 소거와 쓰기가 가능하며 전원 전압이 오프 되어도 데이터가 보존된다. 터널링(Tunneling)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소거(Erase)와 프로그래밍(Programming)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보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나, 2개의 트랜지스터로써 1셀(cell)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EPROM에 비하여 면적이 크고 고가이다.
일반적으로 비휘발성(non volatile) 메모리는 전원이 중단되어도 저장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 PC 바이오스(BIOS)용, 셋탑박스(Set top Box), 프린터(printer) 및 네트워크 서버(network server) 등의 데이터 저장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폰 등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단일 폴리(single poly) EEPROM 소자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a는 "channel hot electron injection" 방식으로 프로그램(Program)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N-웰(Well)에 인가된 프로그램 전압(program voltage)(+Vp)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에 특정 전압이 유기되며(플로팅 게이트에 유기되는 전압은 커플링 비율(coupling ratio)에 의해 정해짐), 플로팅 게이트에 유기된 특정 전압에 의해 NMOS의 채널 영역을 반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NMOS의 드레인(drain) 영역에 특정 전압(VDS)를 인가하면, 드레인에서 소스(source)쪽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며, 드레인 접합 영역 부근에서 발생되는 "channel hot electron"이 플로팅 게이트로 주입됨으로써 NMOS 소자의 문턱전압이 높아지게 된다.
도 1b는 종래의 F/N 터널링(tunneling) 방식으로 소거(erase)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N-웰은 접지(ground)시키고 NMOS 영역의 소스/드레인에 소거 전압(erase voltage)(+VE)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N-웰에 인가된 접지전압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에는 거의 접지전압에 가까운 전위(potential)이 유기되고, NMOS 영역의 소스/드레인에 인가된 소거 전압(+VE)에 의해 전기장(electric field)가 NMOS 소스/드레인에서 플로팅 게이트쪽으로 강하게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가된 전기장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에 존재하는 전자들이 F/N 터널링하여 소스/드레인 영역으로 빠져나감으로써 NMOS 소자의 문턱전압이 낮아지게 된다.
도면 1c는 종래 EEPROM의 읽기(reading)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N-웰에는 읽기 전압(reading voltage)(+VR)을 인가하며 이로 인해 플로팅 게이트에는 특정 전압이 유기되며, NMOS 소자의 드레인에는 읽기를 위한 포지티브 드레인 전압(positive drain voltage)를 인가하고 소스는 접지시키게 된다.
만약, 플로팅 게이트에 전자가 주입되어 있는 프로그래밍 상태로 NMOS 소자의 문턱전압이 매우 높은 상태이면, 플로팅 게이트에 유기된 특정 전압으로도 NMOS 소자를 턴-온(turn-on) 시킬 수 없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며, 플로팅 게이트에 전자가 없는 소거 상태라면, NMOS 소자의 문턱전압이 매우 낮은 상태로 플로팅 게이트에 유기된 특정 전압으로도 NMOS 소자를 턴-온 시킬 수 있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EEPROM 소자에 있어서 플로팅 게이트과 N-웰 사이에는 터널 산화막이 형성되며, 이러한 터널 산화막을 이용하여 드레인 접합 영역 부근에서 발생되는 "channel hot electron"을 트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터널 산화막을 이용하는 방법은 소스에서 드레인쪽으로 걸리는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플로팅 게이트에 인가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소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런 이유로, 플로팅 게이트에 충분한 전압을 인가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소자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단일 폴리 EEPROM 셀 경우, 프로그램/소거/읽기 동작을 위해 플로팅 게이트에 특정 전위를 유기시키기 위해 N-웰을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단위 셀 면적이 매우 커서 고밀도(high density)를 갖는 EEPROM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로팅 게이트의 하부에 형성되는 터널 산화막을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로팅 게이트의 일부 영역에 식각된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전계 밀집 현상을 유발시켜 동작 전압을 낮출 수 있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도전형 불순물 농도 분포를 갖는 플로팅 게이트를 제공함으로써, 플로팅 게이트의 일함수(workfunction) 차이를 이용하여 동작 전압 차이를 유발시킬 수 있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은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웰과, 상기 제 2 도전형 웰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 2 도전형 웰의 상부에 형성된 터널 산화막과, 상기 터널 산화막 상부에 형성되며,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 플로팅 게이트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와 인접한 상기 제 2 도전형 웰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부분의 농도가 상기 불순물 영역과 인접한 부분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에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부분의 폭이 상기 불순물 영역과 인접한 부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에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일부가 식각된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에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일부가 요철 모양으로 패터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에서 상기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은, 핫 전자 주입 방식으로 프로그래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에서 상기 터널 산화막은,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부분의 두께가 상기 불순물 영역과 인접한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제 2 도전형의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도전형의 웰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부에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터널 산화막의 상부에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일부분에 대한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일부분에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에 대한 열확산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일부분에 고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과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다른 부분에 저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양측에 의해 드러난 상기 제 2 도전형 웰 내부에 제 1 도전형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고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 중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일부를 패터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패터닝하는 단계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일부를 요철 모양으로 패터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저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일부분만 오프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 패턴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한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일부분에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 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 주입된 플로팅 게이트에 대한 열 확산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 내부에 상기 고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과 저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저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상기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제조 방법에서 상기 제 1 도전형은 p형 불순물이며, 상기 제 2 도전형은 n형 불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로팅 게이트의 하부에 형성되는 터널 산화막을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셀을 이용하여 두 가지 형태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기 때문에 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로팅 게이트의 일부 영역에 식각된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전계 밀집 현상을 유발시켜 동작 전압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도전형 불순물 농도 분포를 갖는 플로팅 게이트를 제공함으로써, 플로팅 게이트의 일함수(workfunction) 차이를 이용하여 동작 전압 차이를 유발시킬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에서의 프로그래밍(program)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1b는 종래의 EEPROM에서의 소거(erase)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1c는 종래의 EEPROM에서의 읽기(read)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셀 어레이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싱글 폴리형 EEPROM의 단위 셀의 레이아웃(layout)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에서 플로팅 게이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에서 플로팅 게이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이 저전압에서 프로그래밍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이 고전압이 프로그래밍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의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셀 어레이는 복수 개의 단위 셀(uint cell)들이 반복되는 형태를 갖는다. 워드 라인(Word Line)은 비트 라인(Bit Line)과 서로 직교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제어 노드(Control Node)는 제어 전압(Vcn)과 연결되고, 소스 라인(Source Line)은 소스 전압(Vss)과 연결되고, 워드 라인은 셀렉트 전압(Vsg)과 연결되고, 비트 라인은 드레인 전압(Vdd)과 연결된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셀 어레이는 단위 셀이 반복된 형태를 취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의 단위 셀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싱글 폴리형 EEPROM의 단위 셀의 레이아웃(layout)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미도시)은 활성 영역과 소자 분리 영역으로 정의되며, 반도체 기판에 웰(well)(5)이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얇은 트렌치 분리(STI:Shallow Trench Isolation)막에 의해 구현되는 소자 분리막(50)에 의해 활성 영역(20, 30 및 40)이 정의된다.
도 3에 도시된 활성 영역(20, 30 및 40)에서 워드 라인(WL)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게 형성된 활성 영역(20)은 소스 라인에 해당하며, 비트 라인(BL)에 해당하는 활성 영역(40)과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비트 라인의 콘택(42)을 통해 드레인 전압(Vdd)이 연결된다. 또한, 활성 영역(30)은 제어 노드에 해당하며 제어 전압(Vcn)과 연결되는 콘택(32)이 형성되어 있다. 즉, 단위 셀(10)에서 워드 라인 방향으로 소스 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어 노드(30)와 비트 라인이 비트 라인 방향으로 양립하여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때, 워드 라인(60)에는 워드 라인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셀렉트(select) 게이트(gate)가 형성되어 있다. 셀렉트 게이트는 소자 분리 영역(10)과 활성 영역(30 및 40)을 번갈아 가며 그(30 및 40)의 상부에 워드 라인(60)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셀렉트 게이트와 비트 라인 방향으로 양립하면서 워드 라인(60) 방향으로 플로팅 게이트(80 및 82)가 형성되어있다. 제어 노드측 플로팅 게이트(82)는 소자 분리 영역(10)에 오버랩되지 않고 활성 영역(30)의 상부에만 오버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이 서로 다른 농도 분포로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에서 플로팅 게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미도시됨) 상에 제 2 도전형 웰(400), 예컨데 N 웰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도전형 웰(400) 내부에 소스 및 드레인 영역(410, 4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터널 산화막(430, 435) 및 터널 산화막(130)의 상부에 셀렉트 게이트(440) 및 플로팅 게이트(45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셀렉트 게이트(440) 및 플로팅 게이트(450) 사이의 제 2 도전형 웰(100) 내부에는 고농도 불순물 영역(46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소스 및 드레인 영역(410, 420)과 고농도 불순물 영역(460)은 제 1 도전형 불순물 이온, 예컨대 P 타입의 불순물 이온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플로팅 게이트(450) 내부에는 서로 다른 농도 분포를 갖는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되어 있다. 즉, 플로팅 게이트(450)는 드레인 영역(420)에 인접한 제 1 영역(450a)의 농도가 고농도 불순물 영역(460)과 인접한 제 2 영역(450b) 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플로팅 게이트(450)는 제 1 영역(450a)의 폭이 제 2 영역(450b)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플로팅 게이트(4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450a)의 일부가 식각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다수의 요철 모양의 식각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간격(d), 예컨대 0.5㎛~0.7㎛ 간격으로 요철 모양을 갖는 패턴을 제 1 영역(450a)에 형성함으로써, 제 1 영역(450a)에서 전계 밀집 현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영역(450a)의 일부가 요철 모양의 식각 패턴을 갖음으로써, 플로팅 게이트(450)의 하부 제 2 도전형 웰(400) 내부에 형성된 채널 영역(470)을 통해 전하가 이동할 때 제 1 영역(450a)에서 전계 밀집(electronic field crowding) 현상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동작 전압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로팅 게이트(450)의 하부에 형성된 터널 산화막(435)은 저전압용 터널 산화막(435a) 및 고전압용 터널 산화막(435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로팅 게이트(450)의 제 2 영역(130) 하부에는 셀렉트 게이트(440)과 드레인 영역(420)에 저전압, 예컨대 -7V의 전압이 인가될 때 전하가 트랩되는 저전압용 터널 산화막(435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셀렉트 게이트(440)과 드레인 영역(420)에 고전압, 예컨대 -20V의 전압이 인가될 때에는 채널 영역(470)을 통해 이동하는 전하가 저전압용 터널 산화막(430a)뿐만 아니라 고전압용 터널 산화막(435b)에도 전하가 트랩될 수 있다.
또한, 저전압용 터널 산화막(435a)은 고전압용 터널 산화막(435b)보다 두께가 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은 전자 주입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압의 프로그램 동작에서, 셀렉트 게이트(440)에 셀렉트 전압(Vsg) -7V를 인가하고, 드레인 영역(420)에 드레인 전압(Vdd) -7V를 인가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는 턴 온되어 채널 영역(470)을 통해 전류가 흐른다. 이때, 발생된 열 전자(hot electron)중 일부는 게이트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전계(electric field)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450)의 하부에 형성된 터널 산화막(435) 중 저전압용 터널 산화막(435a)에만 전하가 트랩되게 된다. 이러한 저전압용 터널 산화막(435a)을 통해 플로팅 게이트(450)로 주입된다. 열 전자의 주입에 의해 셀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은 초기 전압으로부터 상승된다.
한편, 저전압으로 프로그래밍된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을 동작(read-on)시키기 위해서는 셀렉트 게이트(440)에 셀렉트 전압(Vsg) -2.8V를 인가하고, 드레인 영역(420)에 드레인 전압(Vdd) -2.8V를 인가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의 프로그램 동작에서 셀렉트 게이트(440)에 셀렉트 전압(Vsg) -20V를 인가하고, 드레인 영역(420)에 드레인 전압(Vdd) -20V를 인가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는 턴 온되어 채널 영역(470)을 통해 전류가 흐른다. 이때, 발생된 열 전자(hot electron)중 일부는 게이트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전계(electric field)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450)의 터널 산화막(435) 전체에 전하가 트랩되게 된다. 이러한 열전자는 터널 산화막(435)을 통해 플로팅 게이트(450)로 주입된다. 열 전자의 주입에 의해 셀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은 초기 전압으로부터 상승된다.
한편, 고전압으로 프로그래밍된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을 동작(read-on)시키기 위해서는 셀렉트 게이트(440)에 셀렉트 전압(Vsg) -2.8V를 인가하고, 드레인 영역(420)에 드레인 전압(Vdd) -1.3를 인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터널 산화막(435)을 플로팅 게이트(450)의 하부에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셀을 이용하여 두 가지 형태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기 때문에 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셀의 단위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에서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도 7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미도시됨)에 제 2 도전형 웰(400)을 형성한 후 제 2 도전형 웰(400)의 상부에 저전압용 및 고전압용 터널 산화막(435a, 435b)을 형성한다. 즉, 제 2 도전형 웰(400)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산화막을 증착한 후 서로 다른 식각 비율로 산화막을 식각함으로써, 저전압용 및 고전압용 터널 산화막(435a, 435b)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고전압용 터널 산화막(435b)은 저전압용 터널 산화막(435a)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그런 다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압용 및 고전압용 터널 산화막(435a, 435b)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폴리실리콘을 증착한 후 폴리실리콘을 식각하여 저전압용 및 고전압용 터널 산화막(435a, 435b)의 상부에 플로팅 게이트(450)를 형성한다.
이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게이트(450)의 제 1 영역(450a)의 상부만 오픈된 포토레지스트 패턴(500)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500)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한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제 1 영역(450a)에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 영역(510)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500)을 스트립 공정을 통해 제거하고, 열확산 공정을 실시하여 플로팅 게이트(450)의 제 1 영역(450a)에 고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510a)을 형성함과 더불어 제 1 영역(450a) 내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의 확산을 통해 제 2 영역(450b)에 저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510b)을 형성함으로써, 고농도 및 저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510a, 510b)으로 이루어진 플로팅 게이트(450)를 형성한다.
이후,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농도 제 1 도전형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플로팅 게이트(450)에 의해 드러난 제 2 도전형 웰(400) 내부에 고농도 불순물 영역(460) 및 드레인 영역(420)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생략되었지만, 플로팅 게이트(450)을 형성한 후 제 1 영역(450a)의 플로팅 게이트(450) 일부분을 식각하여 식각된 패턴을 형성하거나, 고농도 및 저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510a, 510b)을 형성한 후 제 1 영역(450a)의 플로팅 게이트(450) 일부분을 식각하여 식각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플로팅 게이트(450)의 하부에 형성되는 터널 산화막(435)을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플로팅 게이트(450)를 이용하여 두 가지 형태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제 2 도전형 불순물 농도 분포를 갖는 플로팅 게이트(450)를 제공함으로써, 플로팅 게이트(450)의 일함수(workfunction) 차이를 이용하여 동작 전압 차이를 유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00 : 제 1 도전형 웰
410, 420 : 소스 및 드레인 영역
430, 435 : 터널 산화막
435a : 저전압 터널 산화막
435b : 고전압 터널 산화막
450 : 플로팅 게이트
450a : 제 1 영역
450b : 제 2 영역
460 : 고농도 불순물 영역
470 : 채널 영역

Claims (13)

  1.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웰과,
    상기 제 2 도전형 웰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 2 도전형 웰의 상부에 형성된 터널 산화막과,
    상기 터널 산화막 상부에 형성되며,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되며,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일부에 식각된 패턴을 갖는 플로팅 게이트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와 인접한 상기 제 2 도전형 웰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부분의 농도가 상기 불순물 영역과 인접한 부분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부분의 폭이 상기 불순물 영역과 인접한 부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일부가 요철 모양으로 패터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은, 핫 전자 주입 방식으로 프로그래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산화막은,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부분의 두께가 상기 불순물 영역과 인접한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은 p형 불순물이며, 상기 제 2 도전형은 n형 불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
  8. 반도체 기판에 제 2 도전형의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도전형의 웰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부에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터널 산화막의 상부에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일부분에 대한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일부분에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에 대한 열확산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일부분에 고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과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다른 부분에 저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 중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일부를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양측에 의해 드러난 상기 제 2 도전형 웰 내부에 제 1 도전형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 제조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하는 단계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일부를 요철 모양으로 패터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 제조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드레인 영역과 인접한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일부분만 오프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 패턴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한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일부분에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 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 이온 주입된 플로팅 게이트에 대한 열 확산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 내부에 상기 고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과 저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 제조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저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상기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 제조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은 p형 불순물이며, 상기 제 2 도전형은 n형 불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 제조 방법.
KR1020110146422A 2011-12-29 2011-12-29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제조 방법 KR101334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422A KR101334844B1 (ko) 2011-12-29 2011-12-29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제조 방법
US13/463,268 US8648406B2 (en) 2011-12-29 2012-05-03 Single poly EEPROM having a tunnel oxide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422A KR101334844B1 (ko) 2011-12-29 2011-12-29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616A KR20130077616A (ko) 2013-07-09
KR101334844B1 true KR101334844B1 (ko) 2013-12-05

Family

ID=4869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422A KR101334844B1 (ko) 2011-12-29 2011-12-29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48406B2 (ko)
KR (1) KR1013348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2014B2 (en) * 2013-04-01 2016-04-12 SK Hynix Inc. Single-layer gate EEPROM cell, cell arra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cell array
US9978848B2 (en) * 2015-07-17 2018-05-22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UTBB FDSOI split gate devices
US9899485B2 (en) * 2016-06-07 2018-0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atially decoupled floating gate semiconductor device
CN107978601B (zh) 2016-10-21 2022-02-22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单层多晶硅电子抹除式可复写只读存储器
KR102460296B1 (ko) * 2018-01-30 2022-10-31 주식회사 키파운드리 싱글 폴리 mtp 셀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641739B2 (en) * 2020-06-01 2023-05-02 Globalfoundries Singapore Pte. Ltd. Semiconductor non-volatile memory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030B1 (ko) * 2006-01-27 2007-08-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래시 메모리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90050389A (ko) * 2007-11-15 200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 구조물, 비 휘발성 메모리 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79176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이이피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8383475B2 (en) * 2010-09-23 2013-02-26 Globalfoundries Singapore Pte. Ltd. EEPROM cel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8321A (en) * 1988-09-22 1990-09-18 Advanced Micro Devices, Inc. One transistor flash EPROM cell
US5063423A (en) * 1989-04-28 1991-11-05 Nippondenso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f a floating gate tunnel oxide type
US5780893A (en) * 1995-12-28 1998-07-14 Nippon Steel Corporatio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memory transistor with a composite gate structure
DE19614011C2 (de) * 1996-04-09 2002-06-13 Infineon Technologies Ag Halbleiterbauelement, bei dem die Tunnelgateelektrode und die Kanalgateelektrode an der Grenzfläche zum Tunneldielektrikum bzw. Gatedielektrikum durch eine Isolationsstruktur unterbrochen sind
IT1289524B1 (it) * 1996-12-24 1998-10-15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Cella di memoria per dispositivi di tipo eeprom e relativo processo di fabbricazione
US6121666A (en) * 1997-06-27 2000-09-19 Sun Microsystems, Inc. Split gate oxide asymmetric MOS devices
JP3446592B2 (ja) * 1998-03-23 2003-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不揮発性メモリ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DE69836423D1 (de) * 1998-06-30 2006-12-28 St Microelectronics Sr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EPROM-Speicherzelle
US6313498B1 (en) * 1999-05-27 2001-11-06 Actrans System Inc. Flash memory cell with thin floating gate with rounded side wall, and fabrication process
KR100298586B1 (ko) * 1999-07-13 2001-11-01 윤종용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TW437100B (en) * 1999-08-19 2001-05-28 Taiwan Semiconductor Mfg Eras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 structure and the forming method thereof
US6479351B1 (en) * 2000-11-30 2002-11-12 Atme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self-aligned non-volatile memory cell
JP4809545B2 (ja) * 2001-05-31 2011-11-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不揮発性メモリ及び電子機器
US6465307B1 (en) * 2001-11-30 2002-10-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symmetric I/O transistor
US7164177B2 (en) * 2004-01-02 2007-01-16 Powerchip Semiconductor Corp. Multi-level memory cell
US8026545B2 (en) * 2008-12-01 2011-09-27 Rohm Co., Ltd. Eeprom
KR101277147B1 (ko) * 2009-12-10 2013-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이피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030B1 (ko) * 2006-01-27 2007-08-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래시 메모리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90050389A (ko) * 2007-11-15 200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 구조물, 비 휘발성 메모리 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79176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이이피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8383475B2 (en) * 2010-09-23 2013-02-26 Globalfoundries Singapore Pte. Ltd. EEPROM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48406B2 (en) 2014-02-11
KR20130077616A (ko) 2013-07-09
US20130168755A1 (en)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745B1 (ko) 실리콘-옥사이드-나이트라이드-옥사이드-실리콘 게이트구조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셀 및 그 제조 방법
US8860459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programmable logic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tcuit
JP3733595B2 (ja) Mos素子を含む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334844B1 (ko) 싱글 폴리형 이이피롬과 그 제조 방법
JP2939537B2 (ja) フラッシュメモリ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541563A (zh) 具有電荷捕捉層的非揮發性記憶體裝置及製造其之方法
US7136306B2 (en) Single bit nonvolatile memory cell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nd erasing thereof
US6774428B1 (en) Flash memory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020121657A1 (en) Double-bit non-volatile memory structure and corresponding method of manufacture
US7439133B2 (en) Memory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memory array
KR100273705B1 (ko) 불휘발성반도체메모리장치의웰구조및그에따른제조방법
US8072803B2 (en) Memory device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nd operating the same
KR100757326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동작 방법
JP2007158093A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7008846B2 (en) Non-volatile floating gate memory cell with floating gates formed as spacers, and an array thereof,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KR101111917B1 (ko) 세 가지 상태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0816A (ko) 단일층의 게이트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소자 및 그 동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메모리 셀어레이
KR100745030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0685880B1 (ko) 플래쉬 이이피롬 셀 및 그 제조방법
JP3948535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88489B1 (ko) 비휘발성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CN111916456A (zh) 可缩放逻辑门非易失性存储器阵列及其制造方法
KR100186507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100230739B1 (ko) 이이피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90070269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와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