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901B1 - 아르테미아 휴면성 낭포의 부화율을 증강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아르테미아 휴면성 낭포의 부화율을 증강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901B1
KR101333901B1 KR1020087009914A KR20087009914A KR101333901B1 KR 101333901 B1 KR101333901 B1 KR 101333901B1 KR 1020087009914 A KR1020087009914 A KR 1020087009914A KR 20087009914 A KR20087009914 A KR 20087009914A KR 101333901 B1 KR101333901 B1 KR 10133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sts
compound
amount
hatching
c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6696A (ko
Inventor
루시안 알렉스 조안 반 니웬호브
에디 네슨스-푸퀄트
게르트 롬바우트
Original Assignee
인베 테크놀로지즈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7865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3390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인베 테크놀로지즈 엔.브이. filed Critical 인베 테크놀로지즈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6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면성 낭포 (diapauzing cyst)를 포함한, 일정 량의 아르테미아 (Artemia) 낭포를 부화용 배지 내에서, 예정된 항온 배양 기간 내에 상기 낭포의 적어도 일부를 부화시켜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 (nauplii)를 방출시킬 수 있는 조건 하에 항온 배양함으로써, 상기 일정 량의 아르테미아 낭포로부터 출발하여 아르테미아 나우플리이 (Artemia nauplii)를 부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방법에서는 상기 낭포를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접촉시켜 적어도 일정 수의 상기 휴면성 낭포가 휴면 상태를 중단하여 상기 예정된 항온 배양 기간 내에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항온 배양된 낭포의 부화율(%)을, 해당 낭포가 상기 화합물과 접촉하지 않은 경우의 완전한 낭포 총 수의 X%에서부터 이들 낭포가 상기 화합물과 접촉한 경우에 X% 보다 높은 부화율로 증가시킨다.
아르테미아 휴면성 낭포, 아르테미아 나우플리이,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Description

아르테미아 휴면성 낭포의 부화율을 증강시키는 방법 {Method to enhance hatching percentage of Artemia diapauzing cysts}
본 발명은 휴면성 낭포 (diapauzing cyst)를 포함한, 일정 량의 한 가지 이상의 아르테미아 (Artemia) 종 낭포를 부화용 배지 내에서, 예정된 항온 배양 기간 내에 상기 낭포의 적어도 일부를 부화시켜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nauplii)를 방출시킬 수 있는 조건 하에 항온 배양함으로써, 상기 일정 량의 한 가지 이상의 아르테미아 종 낭포로부터 출발하여 아르테미아 나우플리이(Artemia nauplii)를 부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방법에서는 상기 낭포를 특정 화합물과 접촉시켜 적어도 일정 수의 상기 휴면성 낭포가 휴면 상태를 중단하여 상기 예정된 항온 배양 기간 내에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항온 배양된 낭포의 부화율(%)을, 해당 낭포가 상기 화합물과 접촉하지 않은 경우의 완전한 낭포 총 수의 X%에서부터 이들 낭포가 상기 화합물과 접촉한 경우에 X% 보다 높은 부화율로 증가시킨다.
아르테미아 나우플리이는 양식 분야에서 생물 이료 (live food) 유기체로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데, 보다 특히 해산 어류와 새우의 초기 유생기 (larval stage)용 생물 이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생물 이료로서의 아르테미아 나우플리이 그 자 체는 시판되고 있지 않으나, 이로부터 나우플리이를 부화시킬 수 있는 아르테미아 낭포로서 시판되고 있다. 낭포를 생산할 수 있는 상이한 종의 아르테미아가 있는데, 예를 들면 아르테미아 프란시스카나 (Artemia franciscana), 아르테미아 페르시밀리스 (Artemia persimilis), 아르테미아 우르미아나 (Artemia urmiana), 아르테미아 투니시안 (Artemia tunisian), 아르테미아 티베티아나 (Artemia tibetiana), 아르테미아 시니카 (Artemia sinica) 및 아르테미아 파르토게네티카 (Artemia parthogenetica)이다.
아르테미아의 피낭 배아 또는 낭포에서는, 해당 동물의 배아 발생이 낭배 기 (gastrula stage)에서 중지된다 (또는 휴면 상태로 들어간다). 그 자체로서 암컷에 의해 수생 (aquatic) 환경 내로 방출되었기 때문에, 이들 휴면성 또는 휴지기 배아는, 그 밖의 다른 부화 촉진성 환경 조건에 노출되었을 때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로의 추가의 발생을 진행하지 않을 것이다. 휴면 제어 기전이 외부 자극에 의해 활성을 상실한 경우에만 발생이 다시 시작될 것이다. 천연 환경 하에서는, 한냉 쇽 (동면)과 탈수가 이러한 휴면 상태를 종결시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로써 활성화된 (또는 정지성) 배아는 항온 배양 조건이 허용되는 경우에 다시 발생을 진행할 수 있다.
정지성 낭포 뿐만 아니라 휴면성 낭포도 장기간의 탈수 및 무산소 상태, 극온 및 극압을 견뎌낼 수 있다. 천연 환경 하에서는, 이러한 내성이 해당 종의 생존 전략인데, 이는 낭포가 종종 일시적으로, 소정의 서식 공간 (biotope)에서 해당 동물의 유일한 생존 기이기 때문이다. 이들의 천연 환경을 벗어나서, 충분히 탈수 되고 적당히 저장된 경우, 즉 무수 환경, 바람직하게는 저온에서 빛과 산소가 없는 환경 하에 놓여진 경우, 상기 낭포는 상당 기간 (수 년) 동안 여전히 생존 상태이다. 이러한 장기간의 저장능력과 이에 따라 연중 계속해서 살 수 있어 이용 가능한 특성은,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 생산에 필요한 짧은 항온 배양 시간과 함께, 상기 낭포가 가장 편리하고도 최소한의 노동-집약적인 양식용 생물 이료 공급원이 되도록 만들었다 [참조: Van Stappen, 1996].
나중에 양식 적용하기 위한 아르테미아 낭포를 천연 환경으로부터 수집한다. 이와 같이 수거된 천연 그대로의 생성물에서는, 정지성 및 휴면성 낭포가 다양한 비율로 존재한다. 일련의 처리 과정과 컨디셔닝 과정을 적용한 후에,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무수 시판품을 수득한다. 이러한 처리 과정에서는, 상기 천연 그대로의 생성물을 정제하고 [쇄설물 (debris) 제거], 세척하며 (염 제거) 최종적으로 건조시킨다. 표준 컨디셔닝 기술은 전형적으로, 천연 동면 환경 (냉장 창고에서의 저장) 및/또는 천연 건조 환경 (상기 처리 과정의 일부로서 열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킴)을 모방하여 시도하며, 이로써 대개는, 상기 개개의 낭포 거의 모두에서 휴면 기전 활성이 상실된다.
그러나, 가공 처리된 낭포의 부화율은 빈번히 불량한데, 이는 배아가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 기로 진행될 수 없기 때문이다.
부화율은 H%, Heff 또는 Houtput로서 측정되고, 부화 과정의 최종 결과, 즉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우스를 고려한 것이다. 부화율 (H%)은 100개의 완전한 낭포로부터 출현되는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의 수이고, 부화 효율 (Heff)은 낭포 생성 물 1g으로부터 부화되는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의 수이며, 부화 생산량 (Houtput)은 낭포 생성물 1g으로부터 부화되는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의 중량이다.
배아가 종종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우스 기로 진행될 수 없는 이유는 부적절한 항온 배양 조건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해당 낭포에 내재된 요인이 상기와 같은 문제를 유발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된 에너지의 불충분한 양). 더우기, 몇몇 아르테미아 균주 또는 이와 동일한 균주 내에서의 몇몇 배치물에서는, 다소 일정 수의 배아가 살아 있긴 하지만, 부화 과정을 시작할 수 없다. 이러한 균주 또는 배치물의 경우, 이 순간까지 적용된 처리 과정 및/또는 컨디셔닝 기술이, 개개의 낭포 모두에서의 휴면 상태를 탈활성화시키지 못한 것은 명백한 일이며, 최대 수의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상보적이고도 보다 특이적인 휴면 상태 탈활성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참조: Van Stappen, 1996].
보고된 과정으로는, 건조된 낭포의 한냉 저장 연장, 수화-탈수 주기 반복, 특이적 화학물질 (예: 과산화수소) 용액 중에서의 단기간 항온 배양이 있다. 이들 기술은 균주 및 배치물 특이적이고, 게다가 해당 낭포는 종종 상궤를 벗어난 방식으로 반응한다. 적절하게 수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심지어 불리한 결과가 초래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부적당한 시간-용량 조합 하에 화학물질 용액 중에서의 항온 배양). 이들 기술은 낭포 사용자에 의해 지금까지 적용되어 온 상기 처리 과정에 덧붙여 및 이러한 처리 과정 후에 적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처리하고자 하는 특별한 균주 또는 배치물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량, 기술 및 충분한 총칭적 아르테미아 배경 지식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것 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면, 실수가 발생되고/되거나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초래될 것이다. 이러한 특이적 상보적 휴면 상태 탈활성화 기술이 지니는 사용자에 대한 비우호적인 성질로 인해, 아르테미아 낭포의 주요 이점 중의 하나가 없어지는데, 즉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신선한 양식용 이료 공급원이라는 이점이 없어진다.
많은 처리 단계를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그의 부화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낭포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EP 1195088에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과산화수소를, 부화용 배지 1 리터당 0.5 내지 30 mg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양으로 부화용 배지에 도입하는데, 여기서 상기 낭포는 부화율을, 해당 낭포가 과산화수소와 접촉하지 않은 경우의 완전한 낭포 총 수의 X%에서부터 이들 낭포가 과산화수소와 접촉한 경우에 X% 보다 높은 값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부화용 배지 1 리터당 최대 약 5g의 낭포 무수물의 밀도로 항온 배양한다.
상기 방법의 단점은 이 방법에서의 부화가 과산화물의 양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보다 특히, 적어도 일정 수의 휴면성 아르테미아 낭포가 휴면 상태를 중단하여 항온 배양 기간 내에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0.5 내지 30 mg/l의 양을 부화용 배지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 과산화물 농도가 최적의 과산화물 농도 범위 보다 낮으면, 부화는 그의 최대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과산화물 농도가 최적의 과산화물 농도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과산화물이 나우플리이에 독성이 되는데, 이는 최대 값 보다 낮은 수준으로 부화된다는 것을 반영한다. 이러한 최적의 농도 범위는 극히 작고, 이는 아르테미아의 균주나 배치물에 좌우되므로, 표준화 시험에 의해 과산화수소 용량을 계산하기 전에 각 배치물 또는 균주에 대한 최적의 과산화물 농도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최적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인 작업이며, 조심스럽게 수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부화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대 부화율을 허용해 주는 최적의 농도 범위를 협소하게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아르테미아 낭포의 부화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낭포를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접촉시켜 적어도 일정 수의 휴면성 낭포가 휴면 상태를 중단하여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화율(%)을 해당 낭포가 상기 화합물과 접촉하지 않은 경우의 완전한 낭포 총 수의 X%에서부터 이들 낭포가 상기 화합물과 접촉한 경우에 X% 보다 높은 부화율로 증가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낭포를 상기 화합물과 접촉시킴으로써, 보다 특히 상기 화합물을 부화용 배지에 도입함으로써, 적어도 일정 수의 휴면성 낭포의 휴면 상태를 중단시켜 부화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놀랍게도, 이러한 신규 방법에서는, 최대 부화율이 협소한 범위의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수소 생성 화합물에서만 가능하였던 EP 1195088에 기재된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상당히 넓은 농도 범위의 상기 화합물 내에서 최대 부화율을 수득하였다.
이러한 특징의 중요한 이점은 최적의 농도 범위가 결정되면, 이러한 최적의 농도에 근접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최적의 결과를 위해 상기 화합물의 최소 용량을 심지어 2배 또는 3배로 늘린 경우에도, 아르테미아에 대한 치사적 효과가 종종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또 다른 중요한 이점은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EP 1195088에 명시된 과산화물 또는 과산화물 생성 화합물과 비교해서 덜 공격적 (덜 산화적, 덜 가연성)이어서, 해당 낭포를 이용하는 농부 또는 가공 처리된 낭포를 취급하는 생산 설비 노동자에게 덜 해롭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를 생산하기 위해 부화용 배지에서 항온 배양하도록 예정된, 일정 량의 한 가지 이상의 아르테미아 종 낭포에 관한 것인데, 이러한 낭포는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부재 하에 부화용 배지에서 부화되는 경우의 완전한 낭포의 총 수의 X% 부화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낭포는, 이들을 일정 량의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일정 양은, 이러한 양의 상기 화합물을 부화용 배지에 도입한 경우에 낭포의 부화율을 X%에서부터 X% 보다 높은 부화율로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이다.
EP 1195088에 언급된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물 생성 화합물 대신,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의 이점은 부화율에 대한 효과가 그의 양에 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더우기, 이들 특이적 화합물은 부화율을 증강시키기 위한 그의 특이적 활성을 상실하지 않고서도 물에 용이하게 용해될 수 있다. 그 결과, 이들은 낭포 상에 용이하게 접촉 (피복)될 수 있다.
추가의 이점은 낭포의 밀도가 통상적인 실시에 사용된 통상의 밀도 보다 더 낮거나 높은 경우에도, 낭포에 부착된 상기 화합물이 부화율을 증강시킬 수 있는 그의 특이적 활성을 여전히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은 상기 화합물을 부화용 배지에 도입한 경우, 부화 동안 또는 부화 후에 자유 유영성 아르테미아 나우플리이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서도 TCBS-한천 상의 세균 계수치가 동시에 억제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이점들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저장기에 패키지된 낭포 및 부화 방법의 몇몇 특별한 양태에 관한 다음 기재 내용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다:
도면에서는, 최소 98%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시판용 그린 티 추출물 [그의 50% 이상이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pigallocatechin gallate)를 함유하였다]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시판용 화합물은 'EGCG'로 지칭되고, 용량은 mg 화합물/l 또는 ppm으로 계산된다.
도 1은 휴면성 낭포를 포함한 아르테미아 낭포의 부화에 대한, 부화용 배지에 부가된 과산화수소 및 EGCG의 용량 관련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부화시키기 위한 나우플리이 + 엄브렐라 (umbrella) + 배아의 총 수에 대한, 부화된 나우플리이의 수로서 계산된 부화율은 H-로 지칭된다. 나우플리이 + 엄브렐라 + 배아의 총 수에 대한, 부화된 나우플리이 + 엄브렐라의 수로서 계산된 부화율은 H+로 지칭된다.
도 2는 휴면성 낭포를 포함한 아르테미아 낭포의 상이한 배치물 간의 EGCG 최적 용량의 변동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EGCG를 부화용 배지에 도입한 경우의 부화율에 대한 부화용 배지 내의 낭포 밀도 효과 대 EGCG를 낭포 상에 피복시킨 경우, 보다 특히 낭포 1 그램당 EGCG 8 mg의 양으로 피복시킨 경우의 부화율에 대한 부화용 배지 내의 낭포 밀도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30 mg EGCG/l를 부화용 배지에 도입한지 24시간 후, 해산 한천 (MA) 및 TCBS-한천 상에서의 미생물 계수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일정 수의 휴면성 낭포를 함유하는 아르테미아 낭포로부터 출발하여 자유 유영성 아르테미아 나우플리이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부화 방법에서와 같이, 상기 낭포를 1일 (24시간)의 항온 배양 기간 내에 (통상적이긴 하지만, 반드시 그렇치는 않다) 부화시켜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를 방출시킬 수 있는 조건 하에 부화용 배지에서 항온 배양한다. 상기 항온 배양 기간은, 건조된 낭포 또는 염수에서 저장된 낭포 (습윤 낭포)를 적어도 물을 함유하는 부화용 배지에 부가할 때 시작되는데, 즉 상기 낭포가 수화되기 시작할 때 항온 배양을 개시한다. 부화용 배지의 조성과 최적의 부화 조건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당해 분야의 문헌, 특히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문헌 [참조: Van Stappen (1996)]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성과 조건에 관한 추가의 기재가 본원에 요망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낭포를 최적의 조건과 다소 상이한 조건 하에서 부화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상기 낭포는, 예를 들어 대략 28℃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약 30℃의 온도 또는 용해된 염 약 35 g/l 이상을 함유하는 부화용 배지에서 부화시킬 수 있다. 약 2 g/l 이하의 낭포 밀도가 실제적인 조건 하에서 바람직하긴 하지만, 낭포 밀도가 2 g/l 보다 높거나 낮을 수도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낭포 밀도는 10 g/l 보다 낮거나, 또는 심지어 5 g/l 보다 낮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본질적 특징은 특히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부화 증강성 화합물을 부화용 배지에 도입함으로써, 낭포를 상기 부화 증강성 화합물과 접촉시켜 적어도 일정 수의 휴면성 아르테미아 낭포가 휴면 상태를 중단하여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낭포가 휴면성 낭포의 일부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부화율이 상기 화합물을 전혀 도입하지 않은 부화용 배지에서 상기 낭포를 부화시킨 경우의 완전한 낭포 총 수의 X%에서부터,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부화용 배지에서 상기 낭포를 부화시킨 경우에 X% 보다 높은 부화율로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서는, 부화용 배지에 부가되는 휴면성 낭포의 적어도 일부가 부화되는 것이지, 반드시 모든 휴면성 낭포가 부화될 필요는 없는 것이 명백하지만, 가능한 한 많은 휴면성 낭포가 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낭포에서의 보다 높은 부화율에 따른 결과로서, 많은 수의 낭포가 부화되는 경우에는, 종속영양성 해양 세균에 대한 더 많은 수의 기질이 부화용 배지에 방출된다. 놀랍게도, 상기 화합물을 부화용 배지에 도입함으로써 낭포의 부화율을 증 가시킨 경우에는, 세균 [주로, 비브리오스 (Vibrios)]의 성장도 부화용 배지 내의 동일한 화합물에 의해 동시에 억제된다.
도 4는 상이한 농도의 EGCG와 접촉시킨 낭포 (이들 중의 적어도 몇몇은 휴면 상태이다)의 5가지 상이한 균주 (낭포 1 내지 낭포 5)의 부화용 배지의 해산 한천 및 TCBS (티오설페이트 시트레이트 담즙 염 슈크로스 한천) 상에서의 세균 계수치를 도시한 것인데, 상기 농도는 최대 수의 특이적 균주 낭포의 휴면 상태를 중단시키기에 유효한 범위에서 선택된다.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부화 증강성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부화용 배지 내의 TCBS 상의 세균 수 (주로, 비브리오스 수)는 통상적으로, 항온 배양 24시간 후에 106 CFU/ml 초과이다. 놀랍게도, 낭포를 EGCG와 함께 항온 배양하는 경우, 부화용 배지 내의 비브리오 양은 항온 배양 24시간 후에 상당히 감소되었다 (대조군과 비교해서 2 내지 4 log 단위).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서, 부화용 배지에 도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양은 바람직하게 1 mg/l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3 mg/l 이상이다. 부화용 배지 1 리터당 화합물 5 mg 이상의 양을 사용하는 경우에 가장 우수한 결과가 수득되고, 부화용 배지 1 리터당 화합물 10 mg 이상의 양을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양은 부화용 배지에 도입되고 부화를 증강시키는,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함유하는 상이한 모든 화합물의 총 합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되어야 하는데, 이는 실제로 부화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몇몇 생성물이 상기 화합물 중의 한 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항온 배양 기간을 시작할 때, 특히 낭포를 부화용 배지에 부가하는 경우에 상기 화합물을 이에 도입함으로써, 부화용 배지에 도입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는 상기 화합물을 건조된 낭포와 혼합하는 경우에 해당될 것이다. 부화용 배지에 낭포를 부가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부화용 배지에 도입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부화용 배지에 도입된 화합물의 양은, 부화용 배지에 낭포를 부가할 때 그 안에 존재하는 화합물의 양으로 인지해야 하는데, 이는 화합물의 부가 후에는 그의 일부가 반응되어 제거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들)을 낭포와 동시에 부화용 배지에 도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항온 배양을 시작한지 10시간 이내, 가장 바람직하게 8시간 이내에 이들을 도입한다. 가장 최상의 부화율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항온 배양을 시작한지 6시간 이내, 특히 5시간 이내에 상기 화합물을 부화용 배지에 도입한다. 상기 화합물 총 량을 부화용 배지에 한번에 도입하지 말고, 이를 여러 번 나누어 도입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최대 부화율을 획득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서 부화용 배지에 도입시켜야 하는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양은 해당 낭포의 배치물에 따라 또는 균주에 따라 좌우된다. 이는 특히 휴면성 낭포의 수, 특히 휴면 상태 심도, 즉 휴면 기에 좌우된다. 그러나,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선행 기술 방 법 (EP 1195088)과는 대조적으로, 최대 부화율에 도달할 수 있는 범위는 훨씬 더 커서, 아르테미아 나우플리이에 대한 독성 효과를 전혀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2배 또는 3배 이상의 양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우기, 최대 부화율 값은 통상적으로,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방법에서 보다 심지어 더 크다.
부화율 (H+ 및 H-)에 대한 EGCG의 용량 효과 대 과산화수소의 용량 효과가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일련의 1 리터용 원뿔체를 사용하였는데, 여기서는 동일한 배치물의 휴면성 낭포 (수분 함량: 7.5%)를 포함한 아르테미아 낭포 2 g를 인공 해수에서 항온 배양하였다 (25 g/l). 원뿔체 내의 수온을 대략 30℃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물에 지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조명을 비추었다. 낭포를 항온 배양하기 시작할 때, 상이한 용량의 EGCG 및 과산화수소 (H2O2)를 부화용 배지에 가하였다. 각 처리를 세번 되풀이 하여 수행하고, 처리 결과는 세번 되풀이 하여 수득한 결과의 평균치이다. 도 1로부터,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과산화수소를 8 mg/l로 부가하면 최대 부화율 78.9%를 수득하였고, EGCG에 대한 최대 부화율은 83.8%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중요하게는, 과산화물 9 mg/l의 농도에서는 부화율이 상당히 저하되기 시작하였다. 8 mg/l 초과의 과산화수소 용량을 이용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H-와 H+ 간의 차이는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에 대한 독성 효과를 입증해준다. 이러한 독성 효과는 EGCG 곡선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16 mg EGCG/L 농도에서는, 부화율이 8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EGCG의 양을 2배 이상 (40 mg/L) 또는 3배 이상 (60 mg/L) 늘려 도입한 경우일지라도 80% 이 상을 유지하였다. 용량에 대한 허용 범위는 과산화수소의 경우보다 훨씬 더 넓은데, 이는 해당 공정을 상업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확대시키는 경우에, 과용량에 따른 위험이 적어질 거란 사실을 실제적으로 암시하고 있다.
도 2에서는, 3가지 상이한 용량의 EGCG를 아르테미아 낭포의 5개 상이한 균주 또는 배치물에 대해 도 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실험 조건에 적용하였다. 최대 부화율은 균주에 따라 또는 배치물에 따라 상이하지만, 이들 배치물 각각에 대한 최대 부화율을 위한 특이적 농도를 결정하지 않고서도, 예를 들어 30 mg EGCG/L의 용량을 모든 배치물에 적용하는 경우에, 적용된 용량은 여전히 이들 배치물 어느 것에 대해서도 독성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낭포의 각 배치물 또는 균주에 대한 최대 부화율을 수득하기 위한 최적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반드시 필수적이진 않지만, 최소한 상응하는 부화율이 최대 부화율에 근접하는 것 이상의 농도 하한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서는,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부화 증강성 화합물, 또는 이러한 부화 증강성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 부화 증강성 화합물 내의 -(OH)C=C(OH)- 구조는 바람직하게, 상기 화합물의 방향족 아구조의 일부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부화 증강성 화합물은 폴리페놀 및/또는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 카테콜 및/또는 갈롤 구조 (카테콜 구조 또는 그룹: -C6H5O2; 갈롤 구조 또는 그룹: -C6H5O3)를 함유하는 폴리페놀 및/또는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 된다.
이러한 제품의 예는 그린 티 추출물, 아카시아 카테추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등의 시판용 제품이다. 이들 제품은 종종, 상이한 폴리페놀 및/또는 플라보노이드의 고 비율 혼합물을 함유한다.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는 이차 식물 대사물의 큰 그룹을 포함한다. 현재 5000개 이상의 개별적 화합물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들은 극히 소수의 코어 구조를 기준으로 한다. 이들의 다수가 주로, 각종 수산화 패턴 (6개 이하의 히드록실 그룹) 및 간단한 메틸화 또는 다양한 단당류 및 이당류에 의한 에테르 치환으로부터 유래된다. 프로안토시아니딘은 대부분이 그린 티 (Camillia sinensis), 포도씨 및 피부 (Vitis vinifera), 또는 카카오 (Theobroma cacao)에 존재한다.
특히, 카테콜 및/또는 갈롤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페놀 및/또는 플라보노이드는 휴면성 낭포의 부화율을 증강시키기 위한 우수한 후보이다. 이러한 그룹의 예는 카테콜, 피로갈롤, 피로카테콜, 프로필 갈레이트, 라우릴 갈레이트, 옥틸 갈레이트, 메틸 카테콜, 프로필 카테콜, 디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엘라그산 수화물, 도파민 HCl, DL-이소프로테레놀 설페이트 탈수화물, 갈아세토페논, 로스마린산, 벤젠트리올; 및 구체적으로 플라보노이드 그룹에 속하는 것: 플라보논 그룹, 예를 들어 루테올린; 플라보놀 그룹, 예를 들어 퀘르세틴, 피세틴, 미리세틴; 플라바논올 그룹, 예를 들어 탁시폴린; 플라반-3-올 그룹, 예를 들어 카테킨,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기타, 예를 들어 시아니딘이다.
사실상, 카테콜 또는 갈롤 형태의 하나 이상의 방향족 아구조를 함유하는 대부분의 플라보노이드 또는 폴리페놀은 휴면성 낭포에서 부화율을 증강시키기 위한 우수한 후보이다. 플라보노이드에 관한 개요는 다음 문헌을 참고할 수 있다 [참고: Pietta (2000), 이는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
실제적으로, 상기 본원에 언급된 화합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품, 대부분 시판용 제품을 사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지 하나의 화합물 만을 포함하는 제품이 또한 이용 가능하다.
낭포의 최대 부화율 (M%)은 일정 수의 낭포 샘플을 취하고, 내부의 용적 단위당 도입된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부화 증강성 화합물 선택 량이 상이하다는 점에서만 서로 상이하지만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건 (동일한 온도, 염 함량, 낭포 밀도 등) 하에 상기 샘플을 부화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연속해서, 부화율을 증가시켜 줄 수 있는 상이한 양에 대한 부화율을 결정할 수 있고, 특히 가장 높은 부화율 M%을 제공해 주는 최적 량을 선별할 수 있다. 최대 부화율 M%을 제공해 주는 양을 선별하는 것 대신, 보다 작은 부화율, 특히 X% + 0.4*(M - X)% 이상 (X% = 부화 증강성 화합물을 부가하지 않은 경우의 부화율), 바람직하게는 X% + 0.6*(M - X)% 이상의 부화율을 제공해 주는 양을 선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한데, 상기 최대 부화율 M%을 제공해 주는 양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양이 가장 바람직하게 선별된다.
다음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단지 하나의 상이한 화합물을 다음 농도로 포함하는 그 다음 제품 상에서 최대 부화율을 달 성하였다:
피로카테콜: 부화용 배지 중에서 14 ppm
피로갈롤: 부화용 배지 중에서 14 ppm
퀘르세틴: 부화용 배지 중에서 30 ppm
메틸카테콜: 부화용 배지 중에서 15 ppm
프로필 갈레이트: 부화용 배지 중에서 40 ppm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사용되는 것으로 예정된 낭포는 한 가지 이상의 아르테미아 종의 낭포이다. 이들을 발매하는 경우에는, 이들이 일반적으로, 저장기, 특히 캔에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기타 저장기나 용기, 예를 들어 봉지, 항아리, 병 등에 함유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기는 다양한 양의 낭포, 즉 예를 들어, 0.01 내지 50 kg, 보다 특히 0.1 내지 10 kg으로 다양한 양의 낭포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의 낭포를 저장기에 함유시키고, 이를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함유하는 상기 언급된 부화 증강성 화합물 하나 이상의 일정 량과 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낭포와 조합되는 상기 부화 증강성 화합물의 양은 적어도, 부화용 배지에 패키지된 낭포를 어떠한 밀도로든 부가하는 경우에 상기 화합물의 상기 언급된 양을 부화용 배지에 도입하기에 충분하다.
바람직하게, 일정 량의 낭포와 조합되는 부화 증강성 화합물의 양은, 부화용 배지 내에 이러한 양의 부화 증강성 화합물의 존재 하에 해당 낭포를 부화시킨 경우에, 부화율이 X% + 0.4*(M-X)% 이상, 바람직하게는 X% + 0.6*(M-X)%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M%가 되도록 결정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M%는 최적 량 의 부화 증강성 화합물(들)을 부화용 배지에 도입할 때 적용된 부화 조건 하에 달성될 수 있는 최대 부화율인 반면, X%는 이들 화합물을 부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부화 조건 하에서의 부화율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화용 배지 중의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최적 량은 부화용 배지 중의 낭포 밀도에 좌우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수행된 실험으로부터, 2 g/l의 낭포 밀도로 부화용 배지에 도입된 부화 증강성 화합물의 농도는 보다 높은 낭포 밀도 (예를 들어, 6 g/l)를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부화율 증가를 유발시키지 않는다. 이는 보다 높은 낭포 밀도에서, 부화율에 대한 동일한 효과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보다 고 농도의 상기 화합물을 달성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과산화물 보다 더 안정하고 수용성이기 때문에, 이를 낭포와 균질한 방식으로 혼합하거나 낭포 상에 피복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해지므로, 낭포를 저 밀도 (예를 들어, 2 g/l 미만 밀도) 또는 고 밀도 (예를 들어, 2 g/l 초과, 특히 심지어 5 g/l 초과 밀도)로 탱크에서 항온 배양하는 경우에, 부화용 배지 중에서의 상기 화합물의 농도는 낭포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이는 적어도, 상기 화합물을 낭포에 부가하지 않은 경우 보다 높은 부화율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최소 농도에 상응한다. 이와는 달리,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수소를 생성시키는 화합물은 대부분 불안정하므로, 낭포에 부착되기가 어렵다. 대개, 이들 화합물은 낭포와 혼합해야만 하는데, 이로써 특히 낭포를 고 밀도로 부가한 경우에는 부화용 배지 중에서의 농도가 부정확해질 수 있 다.
도 3에서는, 부화 증강성 화합물(들)을 낭포 상에 피복시키는 것의 이점이 가시화되어 있다. 휴면성 낭포를 포함한 아르테미아 낭포를 2 g/l 이상의 상이한 낭포 밀도를 제외하고는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 대해 상기 언급된 바와 동일한 부화 조건 하에 1 리터용 원뿔체에서 항온 배양하였다. 하나의 낭포 시리즈에서는, 낭포를 항온 배양하는 시기와 동일한 시기에 EGCG를 20 ppm (20 mg/L)의 농도로 부화용 배지에 가하였다. 보다 고 밀도의 낭포를 사용하고 동일한 양의 EGCG를 부화용 배지에 도입한 경우, 이러한 양의 EGCG는 부화율을 최대 부화율로 증가시키는데 충분하지 못하였다 (도 3).
또 다른 시리즈에서는, 수분 함량이 7.5%인 낭포를 낭포 1 그램당 8 mg EGCG (즉, 낭포 무수물 1 그램당 약 8.6 mg EGCG)으로 피복시키고, 부화용 배지에서 항온 배양하였다. 정상 밀도 (2 g/L)에서는, 이러한 피복으로 인해 부화용 배지에 16 ppm (mg/L)의 EGCG 농도가 제공되었다. 보다 고 밀도를 사용한 경우에는, 농도 역시 더 높아졌는데, 이는 상기 화합물을 낭포 상에 피복하는 경우의 이점을 보여준다. 낭포 밀도 4 g/l에서는, EGCG 농도가 32 ppm (낭포 1 그램당 8 mg EGCG x 4 g 낭포/l = 부화용 배지 1 리터당 32 mg EGCG)이었다. 낭포를 6 g/L의 밀도로 항온 배양한 경우에는, 농도가 부화용 배지 1 리터당 48 mg EGCG가 되었고, 부화율은 여전히 본 실시예에서 80% 이상이었다.
바람직하게 저장기, 특히 캔에 함유되어 있는, 일정 량의 낭포와 조합되는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함유하는 부화 증강성 화합물(들)은 바람직하게 낭포 무수물 1 그램당 1 mg 이상의 양으로 낭포와 조합되고, 바람직하게 낭포 무수물 1 그램당 2 m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낭포 무수물 1 그램당 3 mg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 낭포 무수물 1 그램당 5 mg 이상의 양으로 낭포와 조합된다. 실제적으로, 낭포는 결코 절대적인 건조 상태가 아니므로, 낭포의 수분 함량 (전형적으로, 10% 미만)에 따라서, 실제적 낭포 1 그램당 상기 화합물의 상응하는 양은 다소 더 적다. 그러나, 본 특허 출원에서는 부화용 배지 중에서의 낭포 밀도가 종래와 같이, 부화용 배지 1 리터당 실제적 낭포 그램 (이의 수분 함량은 10% 미만이다)으로 표현된다.
낭포와 조합되는 부화 증강성 화합물은 상기 구조가 상기 화합물의 방향족 아구조의 일부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폴리페놀 및/또는 플라보노이드, 특히 카테콜 및/또는 갈롤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페놀 및/또는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실제적으로 종종, 상기 화합물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낭포와 함께 패키지로 조합한다. 이러한 제품의 실제적 예가 상기에 제시되었다.
일정 량의 낭포가 저장기에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화 증강성 화합물을 별개의 패키징으로 패킹함으로써 상기 저장기에 함유되어 있는 낭포와 조합할 수 있으므로, 낭포를 함유하는 저장기와, 부화 증강성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패키징은 그 자체로서 판매될 수 있는 세트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화 증강성 화합물은 낭포와 함께 연결해서 패키징하는데, 예를 들어 낭포를 함유하는 저장기 외부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동일한 패키징에 상기 저장기와 함께 함유시킨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 부화 증강성 화합물(들)이 저장기에 함유되기도 한다. 액상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이는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 바이알(들) (병)에 함유될 수 있고 저장기, 특히 캔에 낭포와 함께 패킹될 수 있다. 고형 부화 증강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이 화합물은 낭포와 직접 혼합하여 분말 또는 과립으로서 만들 수 있거나 정제 또는 기타 고형 외형으로 만들 수 있다. 물론, 이는 예를 들어, 낭포와 혼합된 캡슐 내에 함유될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부화 증강성 화합물(들)은 낭포 상에 부착시키거나 달리 말하면 피복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저장기에 함유된 낭포의 일부 만이 부화용 배지에 도입되는 경우에는, 항상 정확한 양의 부화 증강성 화합물이 부화용 배지에 부가된다.
참고 문헌:
Pietta, P-G. Reviews: flavonoids as antioxidants. (2000) in: J.Nat. Prod. Vol. 63, p 1035-1042.
Van Stappen, G. Introduction, biology and ecology of Artemia. (1996) in : Manual on the production and use of live food for aquaculture. Edited by Lavens, P. and Sorgeloos, P. Laboratory of Aquaculture and Artemia Reference Center, University of Ghent, Belgium, p. 79-136.

Claims (20)

  1. 휴면성 낭포를 포함한, 일정 량의 한 가지 이상의 아르테미아 (Artemia) 종 낭포를 부화용 배지 내에서, 상기 낭포의 적어도 일부를 부화시켜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 (nauplii)를 방출시킬 수 있는 조건 하에 항온 배양함으로써, 상기 일정 량의 한 가지 이상의 아르테미아 종 낭포로부터 출발하여 자유 유영성 아르테미아 나우플리이 (Artemia nauplii)를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낭포를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접촉시켜 적어도 일정 수의 휴면성 낭포가 휴면 상태를 중단하여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온 배양된 낭포의 부화율 (%)을 증가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부화용 배지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1 mg/l 초과의 양으로 부화용 배지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OH)C=C(OH)- 구조가 이러한 화합물의 방향족 아구조(substructure)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폴리페놀 및/또는 플라보노이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 및/또는 플라보노이드는 카테콜 및/또는 갈롤 구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부화용 배지에서 낭포를 항온 배양하기 시작한 후 10시간 이내에 부화용 배지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부화용 배지에 낭포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낭포와 혼합되고/혼합되거나 낭포에 부착되거나 낭포 상에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자유 유영성 나우플리이를 생산하기 위해 부화용 배지에서 항온 배양하도록 예정되고,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부재 하에 부화용 배지에서 부화되는 경우의 완전한 낭포의 총 수의 X% 부화율을 나타내는, 일정 량의 한 가지 이상의 아르테미아 종 낭포로서, 이들 낭포를 일정 량의 하나 이상의 -(OH)C=C(OH)- 구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조합하는데, 이러한 양은 해당 양의 상기 화합물을 부화용 배지에 도입하는 경우에 상기 양의 낭포의 부화율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일정 량의 낭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양이 낭포 무수물 1 그램당 1 mg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량의 낭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낭포가, 최적 량의 상기 화합물을 부화용 배지에 도입함으로써 부화율을 X%에서부터 최대 부화율 M%로 증가시킬 수 있고, 해당 양의 낭포를 상기 화합물의 양의 존재 하에 부화시킨 경우에 부화율이 X% + 0.4*(M - X)% 이상이 되게 해주는 상기 화합물의 양을 선별하도록 해주는 휴면성 낭포 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량의 낭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OH)C=C(OH)- 구조가 이러한 화합물의 방향족 아구조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량의 낭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폴리페놀 및/또는 플라보노이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량의 낭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 및/또는 플라보노이드는 카테콜 및/또는 갈롤 구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량의 낭포.
  16. 제10항에 있어서, 낭포가 저장기 내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량의 낭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가 상기 낭포 이외에도, 상기 양의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량의 낭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가 상기 화합물을 낭포로부터 격리시켜 주는 패키징 내에 봉입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량의 낭포.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낭포와 혼합되고/혼합되거나 낭포에 부착되거나 낭포 상에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량의 낭포.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가 상기 양의 상기 화합물과 함께 연결되어 패키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량의 낭포.
KR1020087009914A 2005-09-26 2006-09-25 아르테미아 휴면성 낭포의 부화율을 증강시키는 방법 KR101333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08886A EP1767101A1 (en) 2005-09-26 2005-09-26 Method to enhance hatching percentage of Artemia diapauzing cysts
EP05108886.2 2005-09-26
PCT/EP2006/066700 WO2007039508A1 (en) 2005-09-26 2006-09-25 Method to enhance hatching percentage of artemia diapauzing cys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696A KR20080066696A (ko) 2008-07-16
KR101333901B1 true KR101333901B1 (ko) 2013-11-27

Family

ID=3578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914A KR101333901B1 (ko) 2005-09-26 2006-09-25 아르테미아 휴면성 낭포의 부화율을 증강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2) EP1767101A1 (ko)
JP (1) JP5525159B2 (ko)
KR (1) KR101333901B1 (ko)
CN (1) CN101272698B (ko)
AT (1) ATE487388T1 (ko)
AU (1) AU2006298813B2 (ko)
BR (1) BRPI0616752B1 (ko)
CY (1) CY1111302T1 (ko)
DE (1) DE602006018159D1 (ko)
EA (1) EA017048B1 (ko)
EC (1) ECSP088392A (ko)
ES (1) ES2355060T3 (ko)
MY (1) MY165201A (ko)
PT (1) PT1928261E (ko)
WO (1) WO20070395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8990A (zh) * 2018-12-04 2019-04-16 天津海友佳音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密度脱壳卤虫卵的孵化液及其孵化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81015A (zh) * 2006-08-18 2007-12-05 天津市佳音生物饲料有限公司 一种从卤虫孢囊生产自由游动的卤虫无节幼体的方法
CN103651261B (zh) * 2012-09-21 2016-04-27 上海海洋大学 利用生物絮凝体悬浮液孵化卤虫的方法
CN103563860B (zh) * 2013-11-22 2015-03-11 天津海友佳音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弱光环境下滞育卤虫卵孵化率的方法
US10267782B2 (en) 2015-06-02 2019-04-23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Wilmington Kits for determining sediment and pore water toxicity with dormant zooplankton having dormant life stage
DE102015015609B3 (de) 2015-12-03 2016-08-18 Lars Remke Verfahren zur Trennung geschlüpfter Artemia von deren Dauereiern sowie Separator für Artemia-Dauereier
RU2731050C2 (ru) * 2019-01-28 2020-08-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Динат-Внешторг"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вободно плавающих науплиусов артемии из артемии на стадии цист и набор для аквакультуры
CN110089466B (zh) * 2019-03-21 2021-11-16 广西壮族自治区水产科学研究院 一种丰年虫卵高效去壳处理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2407A1 (en) 1994-10-21 1996-05-02 Inve Aquaculture N.V. Method for reducing bacterial contamination in an aquaculture
EP1195088A1 (en) * 2000-10-05 2002-04-10 Inve Technologies N.V. Method for producing free swimming Artemia nauplii and packaged cysts for use in that method
EP1433380A1 (en) * 2002-12-24 2004-06-30 Inve Technologies N.V. Process for decapsulating crustacean or rotifer eggs
WO2004091307A2 (en) * 2003-04-08 2004-10-28 Advanced Bionutriton Corporation Feed additives against diseasse infection in terrestrial and aquatic animal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203710A (nl) * 1982-09-24 1984-04-16 Artemia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produceren van artemia nakomelingen; verpakking artemia nakomelingen; werkwijze voor het voeden van artemia's;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voer voor larven van vissen of kreeftachtigen; voeding omvattende met een voedingsadditief beklede deeltjes;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dierlijk voedsel.
RU2150196C1 (ru) * 1999-04-23 2000-06-10 Соколов Алексей Юрьевич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цист артемии (artemia salina) к инкубаци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2407A1 (en) 1994-10-21 1996-05-02 Inve Aquaculture N.V. Method for reducing bacterial contamination in an aquaculture
EP1195088A1 (en) * 2000-10-05 2002-04-10 Inve Technologies N.V. Method for producing free swimming Artemia nauplii and packaged cysts for use in that method
EP1433380A1 (en) * 2002-12-24 2004-06-30 Inve Technologies N.V. Process for decapsulating crustacean or rotifer eggs
WO2004091307A2 (en) * 2003-04-08 2004-10-28 Advanced Bionutriton Corporation Feed additives against diseasse infection in terrestrial and aquatic anim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8990A (zh) * 2018-12-04 2019-04-16 天津海友佳音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密度脱壳卤虫卵的孵化液及其孵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16752B1 (pt) 2019-04-24
AU2006298813B2 (en) 2011-06-09
JP2009509504A (ja) 2009-03-12
ES2355060T3 (es) 2011-03-22
DE602006018159D1 (de) 2010-12-23
PT1928261E (pt) 2011-01-26
WO2007039508A1 (en) 2007-04-12
ECSP088392A (es) 2008-05-30
CN101272698A (zh) 2008-09-24
EP1928261A1 (en) 2008-06-11
BRPI0616752A2 (pt) 2011-06-28
EA200800935A1 (ru) 2008-08-29
ATE487388T1 (de) 2010-11-15
KR20080066696A (ko) 2008-07-16
JP5525159B2 (ja) 2014-06-18
MY165201A (en) 2018-02-28
EA017048B1 (ru) 2012-09-28
EP1767101A1 (en) 2007-03-28
CY1111302T1 (el) 2015-08-05
EP1928261B1 (en) 2010-11-10
CN101272698B (zh) 2012-03-07
AU2006298813A1 (en)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901B1 (ko) 아르테미아 휴면성 낭포의 부화율을 증강시키는 방법
Azambuja et al. Effect of the essential oil of Lippia alba on oxidative stress parameters in silver catfish (Rhamdia quelen) subjected to transport
CN101700052B (zh) 一种用于武昌鱼的可食性涂膜保鲜剂及其使用方法
Yin et al. Effects of low salinity on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in kidney and muscle of juvenile silver pomfret Pampus argenteus
Henry et al. Carbonic anhydrase activity and calcium deposition during the molt cycle of the blue crab Callinectes sapidus
Jiang et al.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volved in browning of litchi fruit caused by water loss
CN103283830B (zh) 银杏果复合保鲜剂及保鲜方法
ES2585056T3 (es) Fermentación en dos fases de Staphylococcus aumenta la actividad de nitrato reductasa
CN104304425A (zh) 鲜切刺嫩芽涂膜材料及涂膜保鲜方法
CN105747132A (zh) 一种松花鸡皮蛋加工工艺
CN103664312A (zh) 插花营养液
WO2008022569A1 (fr) Procédé pour faire éclore des nauplii nageant librement à partir de cystes d'artémies
Zhou et al. The effects of dietary vitamin C on growth, liver vitamin C and serum cortisol in stressed and unstressed juvenile soft-shelled turtles (Pelodiscus sinensis)
CN106577994A (zh) 一种适用于鸡蛋保鲜的涂膜保鲜剂及其制备方法
CN104255714A (zh) 一种牡丹、芍药鲜切花保鲜液及其制备方法
Núñez-Flores et al. Functional stability of gelatin–lignosulphonate films and their feasibility to preserve sardine fillets during chilled storage in combination with high pressure treatment
CN101836670A (zh) 一种鸡蛋保鲜技术
CN115462371A (zh) 一种鲜切花保鲜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TWI514965B (zh) 豐年蝦休眠囊之孵化百分比增進方法
CN101433229B (zh) 一种提高中脂类淡水鱼休闲制品货架期综合品质的方法
MX2008004025A (en) Method to enhance hatching percentage of artemia diapauzing cysts
CN107177046A (zh) 一种胶原蛋白-牛至精油抗菌膜及其制备方法
CN105962001A (zh) 一种用于速冻食品的保鲜剂
WO2019223409A1 (zh) 一种蓝莓保鲜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73105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вободно плавающих науплиусов артемии из артемии на стадии цист и набор для аквакультур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