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717B1 - 베어링 블럭에 직결되는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 - Google Patents

베어링 블럭에 직결되는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717B1
KR101333717B1 KR1020120092903A KR20120092903A KR101333717B1 KR 101333717 B1 KR101333717 B1 KR 101333717B1 KR 1020120092903 A KR1020120092903 A KR 1020120092903A KR 20120092903 A KR20120092903 A KR 20120092903A KR 101333717 B1 KR101333717 B1 KR 10133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arm
bearing block
engagemen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최지혁
민정선
양희수
김범준
조양래
윤석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2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717B1/ko
Priority to DE102013208937.6A priority patent/DE102013208937A1/de
Priority to CN201310205232.6A priority patent/CN103629335A/zh
Priority to US13/906,586 priority patent/US2014005367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mounted on steering column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14Manually operated selector [e.g., remotely controlled device, lever, push button, rotary dial,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와 변속 케이블을 연결하는 인게이지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게이지 레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블럭의 몸체상에 인게이지 레버가 직결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베어링 블럭에 직결되는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Engage lever for gearbox directly connected with the bearing block}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와 변속 케이블을 연결하는 인게이지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게이지 레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블럭의 몸체상에 인게이지 레버가 직결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자동변속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운전석 측에 자동변속기 손잡이가 설비된다.
도 1 은 변속기 손잡이(1)와 그 하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변속기 손잡이(1)는 레버축(2)의 말단에 취부되고, 상기 레버축(2)은 커버(3)의 하부에 설치된 시프트 레버(Shift lever)(6)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시프트 레버(6)의 양측면에는 변속케이블(미도시)과 해당 시프트 레버(6)를 연결하기 위한 인게이지 레버(Engage lever)(4)가 취부된다.
상기 인게이지 레버(4)는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에 있어서, 변속기 손잡이(1)의 이동에 의하여 지정되는 P(주차)/R(후진)/N(중립)/D(주행)으로의 기어 변속시, 상기 시프트 레버(6)와 결합하여 변속기 손잡이(1)의 이동을 변속케이블 연결축(5)과 연결되는 변속케이블로 전달함으로써 변속기가 변속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 자동변속기상에서 기어 변속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수동 모드 조작의 경우에는, 상기 인게이지 레버(4)는 상기 시프트 레버(6)와 분리되어 변속케이블이 주행(D)의 현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동 모드 조작의 경우, 운전자의 변속기 손잡이(1)의 이동은 시프트 레버(6)로 전달되고, 상기 시스트 레버(6)의 이동을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수단에 의하여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변속기에 전달됨으로써 변속이 수행된다.
도 2 는 종래의 시프트 레버(6)와 이에 결합된 상태에 인게이지 레버(4)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인게이지 레버(4)는 상기 시프트 레버(6)의 일측에 결합하는 일측암(4-1)과 시프트 레버(6)의 타측에 결합하는 타측암(4-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일측암(4-1)과 상기 타측암(4-2)의 각 상단부는 일체로 된 블럭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암(4-1)의 하단에 형성된 제 1 힌지(4a)와 상기 타측암(4-2)의 하단에 형성된 제 2 힌지(4b)가 상기 시프트 레버(6)에 하단의 힌지결합부(6a)를 관통하는 샤프트(8)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인게이지 레버(4)가 시프트 레버(6)에 결합된다.
그런데, 도 3 의 시프트 레버(6)의 하단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8)에 관통 결합하는 스핀들베어링(spindle bearing, 축 베어링)(9)이 인게이지레버(4)의 제 1 힌지(4a)와 제 2 힌지(4b) 사이에 게재되면서 힌지 결합된 각 부품들은 동일 축상에 적층되어 조립된다.
따라서, 제 1 힌지(4a)와 스핀들베어링(9)의 일측, 스핀들베어링(9)의 일측과 그 타측, 스핀들베어링(9)의 타측과 제 2 힌지(4b) 사이의 3 부분의 치수 공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변속기의 사용 연한에 따라서 이러한 치수 공차가 누적되면서 각 부품들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각 부품들 사이의 유격은 변속기 손잡이(1)의 조작상의 소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변속기 손잡이(1)의 조작감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인게이지 레버(4)의 제 1 힌지(4a)와 제 2 힌지(4b)와 스핀들베어링(9)은 상호 동일축상으로 조립되어야만 하므로, 조립 공정시 각 부품들을 정확하게 정렬시킬 것이 요구되며, 이로 인하여 조립 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시프트 레버의 하단 부분에서 스핀들베어링과 인게이지 레버의 일측암과 타측 암이 힌지 결합됨으로써 발생하는 각 부품들 사이의 치수 공차를 감축시켜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자동차의 자동변속기 조작시의 소음을 감소시키고 변속기의 조작감을 향상시키며 조립시의 능률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의 구성은, 인게이지 레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블럭의 몸체상에 인게이지 레버가 직결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 인게이지 레버는 베어링 블럭에 직결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3 부분의 치수공차를 1 부분으로 감축시켜 각 부품들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자동차의 자동변속기 조작시의 소음을 감소시키고 변속기의 조작감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인게이지 레버는 베어링 블럭과 직결될 경우 베어링 블럭의 의 연결부에 인게이징 레버의 일측 암과 타측 암이 상호 조립되는 구성이므로, 변속기 레버의 조립시의 능률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인게이지 레버가 사용되는 자동차의 변속기 레버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 인게이지 레버와 시프트 레버와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 은 종래 인게이지 레버와 스핀들베어링과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 인게이지 레버와 시프트 레버와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 인게이지 레버와 베어링 블럭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 인게이지 레버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 은 조립전 상태, 도 7 은 조립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베어링 블럭에 직결되는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는 본 발명 인게이지 레버와 시프트 레버와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 인게이지 레버와 베어링 블럭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인게이지 레버(20)는 하부에 취부되는 베어링 블럭(10)의 몸체 상에 상기 인게이지 레버(20)가 직결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어링 블럭(10)은 내부에 종래와 같은 스핀들베어링 등의 통상의 베어링이 내장된 것으로서, 베어링 블럭의 몸체를 이루는 중앙부(11)와, 상기 중앙부(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인게이지 레버(20)의 일측 암(arm)(21)과 결합하는 일측 연결부(15)와, 상기 중앙부(1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인게이지 레버(20)의 타측암(22)과 결합하는 타측 연결부(16)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연결부(15) 및 타측 연결부(16)에 각각 결합된 인게이지 레버(20)의 일측암(21)과 타측암(22)의 외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턱면을 형성하는 일측 플렌지(flange)(12)와 타측 플렌지(13)가 상기 일측 연결부(15)와 타측 연결부(16)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 블럭(10)의 몸체에 해당하는 중앙부(11)는 원통형상이며, 일측 플렌지(12)와 타측 플렌지(13)은 링(ring) 형상이다.
상기와 같은 인게이지 레버(20)는 종래의 인게이지 레버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시프트 레버(6)의 일측에 결합하는 일측암(21)과 시프트 레버(6)의 타측에 결합하는 타측암(2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일측암(21)과 상기 타측암(22)의 각 상단부는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측암(21)의 하단은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턱(211)과 하부턱(21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턱(211)과 하부턱(212)의 말단은 상호 연결되지 않아 개구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타측암(22)의 하단도 상부턱(221)과 하부턱(22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턱(221)과 하부턱(222)의 말단은 상호 연결되지 않은 개구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블럭(10)은 상기 중앙부(11)와 각 연결부(15, 16) 및 각 플렌지(12,13)을 관통하는 관통공(14)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4)에 샤프트(8)가 내삽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베어링 블럭(10)은 시프트 레버(6)의 하단에 형성되는 힌지 결합부(6a)에 부착되는데, 부착 방식은 통상의 나사 결합 또는 용접 결합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베어링 블럭(10)과 시프트 레버(6) 형상과 결합 강도에 따라서 임의의 방식을 선택하면 되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인게이지 레버(20)는 샤프트(8)와 결합되는 부품은 베이링 블럭(10) 뿐으로서, 치수 공차가 발생되는 부분은 베어링블럭(10)의 중앙부(11)로 축소되므로, 종래의 3 부분에서 발생되는 치수공차를 감축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치수공차의 감축은 각 부품들 사이의 유격을 감소시켜 변속기 조작시의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키고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을 수득하게 된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 인게이지 레버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 은 조립전 상태, 도 7 은 조립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베어링블럭(10)의 타측 연결부(16)측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며, 일측 연결부(15)측의 구성도 이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게이지 레버(20)는 레버축(2)에 결합된 시프트 레버(6)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베어링 블럭(10)에 결합된다.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연결부(16)는 그 상면 및 하면이 각각 평면(17)으로 이루어지고, 좌측 및 우측은 각각 원형상의 원주면(18)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타측 연결부(16)와 결합하는 인게이지 레버(20)의 타측암(22)의 상부턱(221)과 하부턱(222)은 이들의 말단이 개구된 상태인데, 상부턱(221) 및 하부턱(222)의 개구된 입구 부분의 내측은 각각 평면(230)을 이루고 있으며, 입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내측은 원형상의 원주면(240)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인게이지 레버(20)를 시프트 레버(6)와 결합시킬 경우, 상기 인게이지 레버(20)의 타측암(22)의 상부턱(221)과 하부턱(222)의 평면(230) 부분을 상기 타측 연결부(16)의 상하면의 평면(17) 부분에 정렬시키고 상부턱(221)과 하부턱(222) 말단 사이의 개구를 통하여 타측 연결부(16)를 상기 타측 연결부(16)의 내부로 내삽시킨 다음, 상기 인게이지 레버(10)의 상부 블럭을 시프트 레버(6)의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타측암(22)의 상부턱(221)과 하부턱(222)의 내측에 형성된 원주면(240)을 타측 연결부(16)의 원주면(18)에 상호 치합시키게 되면, 상기 타측암(22)의 상부턱(221)과 하부턱(222) 사이의 개부 부분의 폭(L)이 타측 연결부(16)의 좌우측 원주면(18) 사이의 길이(M)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타측암(22)의 상부턱(221)과 하부턱(222)은 상기 타측 연결부(16)로부터 이탈될 수 없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인게이지 레버(20)의 일측암(21)의 상부턱(211)과 하부턱(212)과 일측 연결부(15)의 결합 과정 및 그 상태도 상술한 타측함(22)과 타측 연결부(16)와의 결합 과정 및 그 상태와 동일하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의 인게이지 레버(20)를 상기 시프트레버(6)로부터 분해시키려면 상술한 결합과정을 역순으로 실시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베어링 블럭에 직결되는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변속기 손잡이 2; 레버축
3; 커버 4; 인게이지 레버
4a; 제 1 힌지 4b; 제 2 힌지
4-1; 일측 암 4-2; 타측 암
5; 변속기케이블 연결축 6; 시프트 레버
7; 하우징 8; 샤프트
9; 스핀들베어링 10; 베어링 블럭
11; 중앙부
12; 일측 플렌지 13; 타측 플렌지
14; 관통공
15; 일측 연결부 16; 타측 연결부
20; 인게이지 레버
21; 일측암 211; 상부턱
212; 하부턱 22; 타측암
221; 상부턱

Claims (3)

  1. 자동차의 시프트 레버(6)와 결합하는 인게이지 레버에 있어서,
    몸체를 이루는 중앙부(11)와, 상기 중앙부(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일측암(21)과 결합하는 일측 연결부(15)와, 상기 중앙부(1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타측암(22)과 결합하는 타측 연결부(16)와, 상기 일측 연결부(15)와 타측 연결부(16)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링 형상의 일측 플렌지(12)와 타측 플렌지(13)로 구성되는 베어링 블럭(10)이 상기 시프트 레버(6)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베어링 블럭(10)과 결합하는 일측암(21)과 타측암(22)을 형성하고,
    상기 일측암(21)의 하단은 상부턱(211)과 하부턱(21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턱(211)과 하부턱(212)의 말단은 개구되고,
    상기 타측암(22)의 하단은 상부턱(221)과 하부턱(22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턱(221)과 하부턱(222)의 말단은 개구되고,
    상기 일측 연결부(15)와 상기 타측 연결부(16)는 그 상면 및 하면이 각각 평면(17)이고, 좌측 및 우측은 각각 원형상의 원주면(18)이며,
    상기 일측암(21)과 상기 타측암(22)의 개구된 입구 부분의 내측은 각각 평면(230)이며, 입구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내측은 원형상의 원주면(2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게이지 레버.
  2. 삭제
  3. 삭제
KR1020120092903A 2012-08-24 2012-08-24 베어링 블럭에 직결되는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 KR101333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903A KR101333717B1 (ko) 2012-08-24 2012-08-24 베어링 블럭에 직결되는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
DE102013208937.6A DE102013208937A1 (de) 2012-08-24 2013-05-15 Einrückhebel für ein Getriebe, welcher direkt mit einem Lagerbock verbunden ist
CN201310205232.6A CN103629335A (zh) 2012-08-24 2013-05-29 与轴承座直接连接的用于变速箱的接合杆
US13/906,586 US20140053673A1 (en) 2012-08-24 2013-05-31 Engage lever for gearbox directly connected with bearing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903A KR101333717B1 (ko) 2012-08-24 2012-08-24 베어링 블럭에 직결되는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717B1 true KR101333717B1 (ko) 2013-12-02

Family

ID=4998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903A KR101333717B1 (ko) 2012-08-24 2012-08-24 베어링 블럭에 직결되는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53673A1 (ko)
KR (1) KR101333717B1 (ko)
CN (1) CN103629335A (ko)
DE (1) DE1020132089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972A (ko) * 2020-05-13 2021-11-22 동원산업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조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2535B2 (ja) * 2010-05-31 2013-11-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レバーの支持構造
KR101534930B1 (ko) * 2013-10-17 2015-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
DE202014100780U1 (de) * 2014-02-21 2015-05-22 Power-Cast Light Metal Solutions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Feststellbrem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5220U (ko) * 1989-12-22 1991-08-29
JPH0386244U (ko) * 1989-12-22 1991-08-30
JPH0659656U (ja) * 1993-01-29 1994-08-19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の軸受構造
JPH0671956U (ja) * 1993-01-29 1994-10-07 富士機工株式会社 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チェック機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855A (en) * 1995-08-23 1997-09-16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Vehicle shifter with mechanically connectable pivot
JP3558111B2 (ja) * 1997-08-29 2004-08-25 富士機工株式会社 自動変速機操作装置
US20040226801A1 (en) * 2003-05-15 2004-11-18 De Jonge Robert A. Vehicle shifter
US7568404B2 (en) * 2004-07-26 2009-08-04 Ghsp, A Division Of Jsj Corporation Shifter having neutral lock
JP2006273054A (ja) * 2005-03-28 2006-10-12 Fuji Kiko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JP5167185B2 (ja) * 2009-03-31 2013-03-21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5220U (ko) * 1989-12-22 1991-08-29
JPH0386244U (ko) * 1989-12-22 1991-08-30
JPH0659656U (ja) * 1993-01-29 1994-08-19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の軸受構造
JPH0671956U (ja) * 1993-01-29 1994-10-07 富士機工株式会社 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チェック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972A (ko) * 2020-05-13 2021-11-22 동원산업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조립구조
KR102336345B1 (ko) * 2020-05-13 2021-12-06 동원산업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29335A (zh) 2014-03-12
US20140053673A1 (en) 2014-02-27
DE102013208937A1 (de)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717B1 (ko) 베어링 블럭에 직결되는 변속기의 인게이지 레버
CN111776067B (zh) 扭矩传感器模块和包括该扭矩传感器模块的转向角度感测装置
EP2036757B1 (en) Transmission and vehicle having transversely mounted transmission and engine arranged in axial direction thereof
US7845453B2 (en) Transaxle provided with power take-off device
WO2015166841A1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CN105922866A (zh) 一种直角输入电机变速驱动桥整体驱动系统
JP3900786B2 (ja) 変速機
KR20130109871A (ko) 두개의 플래너터리기어가 구비된 차량 변속시스템
EP2600036A1 (en) Gear-shifting mechanism for vehicles
JP2017219051A (ja) 変速操作装置
JP4748416B2 (ja) 自動変速機
KR20130109868A (ko) 변속을 위한 서브모터가 구비된 차량 변속시스템
CN103291892B (zh) 变速器的操纵索支承结构
KR20210050704A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용 수동 조작 유닛
JP6090357B2 (ja) 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US8863605B2 (en) Gear shift lever apparatus
JP4860313B2 (ja) 自動変速機
US11280401B2 (en) Shift lever assembly for vehicle
CN205479166U (zh) 电动汽车及用于电动汽车的变速器
US11927258B2 (en) Transmission assembly for a powertrain of a vehicle
KR100836919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JP6311662B2 (ja) 手動変速機
JP4725326B2 (ja) 車両の駆動力伝達用シャフト
JP6181521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におけるリダクションギヤノイズ抑制構造
JP2014137107A (ja) 手動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