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888B1 -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 - Google Patents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888B1
KR101331888B1 KR1020087016211A KR20087016211A KR101331888B1 KR 101331888 B1 KR101331888 B1 KR 101331888B1 KR 1020087016211 A KR1020087016211 A KR 1020087016211A KR 20087016211 A KR20087016211 A KR 20087016211A KR 101331888 B1 KR101331888 B1 KR 101331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light source
glossiness
surfa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1128A (ko
Inventor
요시히코 사카구치
오사무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1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6Bright, glossy, shiny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색 필름에 의해 구성되고, 한쪽의 면과 다른쪽의 면의 광택도(60°)의 차(ΔG)가 ΔG>80인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육안 확인에 의해 기능을 부여한 층을 형성한 면과 그 반대측의 면의 식별이 쉽고, 액정 백라이트 제조 공정에서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이 제공된다.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

Description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FILM FOR SURFACE LIGHT SOURCE REFLECTION MEMBER}
본 발명은 한쪽의 면과 다른쪽의 면의 식별이 쉬운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 에 관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시적인 휘도 저하가 적은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직하형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 역프리즘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 및 백라이트용 램프 리플렉터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액정 셀을 비추는 백라이트(이하, 액정 백라이트로 함)가 이용되고 있다. 액정 모니터에서는 에지 라이트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 액정 텔레비젼에서는 직하형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가 채용되고 있다. 이들 액정 백라이트에 이용되는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이하, 반사 필름으로 함)으로서는 기포에 의해 형성된 다공질의 백색 필름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특허 문헌1). 또한, 냉음극관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한 필름의 황변색을 방지하기 위해서 자외선 흡수층을 적층한 백색 필름도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2, 3). 또한, 접착성을 구비하기 위해서 필름 양면의 광택도를 제어한 백색 필름도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4).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공개 평8-262208호 공보
특허 문헌2: 일본 특허 공개 2001-166295호 공보
특허 문헌3: 일본 특허 공개 2002-90515호 공보
특허 문헌4: 일본 특허 공개 2005-125700호 공보
반사 필름은 액정 백라이트 제조 공정에서 알루미늄판이나 스테인레스판 등과 부착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램프 리플렉터에서는 금속판을 사용하지 않고, 반사 필름 단체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 제조 공정에 있어서 편면에 기능을 부여한 층을 형성한 반사 필름은 양면이 백색이기 때문에 육안 확인에 의해 기능 부여층을 형성한 면과 그 반대측의 면을 식별하는 것이 어렵다. 이들의 식별이 어려운 것에 의해 백라이트 제조 공정에서의 여분의 시간이 걸려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발생되고 있다.
특히, 광안정제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수지층을 편면에 갖는 반사 필름에서는 이들 문제에 의해 잘못해서 광안정제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수지층을 형성한 면을 알루미늄판이나 스테인레스판에 부착해 버리는 일이 있다. 잘못해서 부착해 버리면 광안정제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수지층이 없는 면이 냉음극관의 광에 노출되어 열화되어 버린다. 그 결과, 그 반사 필름이 사용된 액정 텔레비젼 등의 제품의 휘도가 사용 중에 경시적으로 저하되어 가는 중대한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의 1종인 역프리즘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에서는 정반사 성분이 많은 반사 필름이 휘도 향상에 바람직하다는 점에서 광택도가 높은 반사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액정 백라이트를 조립할 때에 액정 백라이트의 케이스체와 반사 필름이 도 2와 같이 접촉되어 손상되는 일이 있다.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가 적용되는 노트북은 경량화가 중요시되고 있고, 액정 백라이트의 케이스체에도 공동(空洞)을 형성해서 경량화를 꾀하고 있다.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는 이 공동을 통해 반사 필름에 발생된 손상이 보여 버린다. 손상이 보이는 액정 백라이트는 완성품으로서의 품위가 내려가기 때문에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역프리즘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에서는 광택도가 높은 반사 필름을 사용하고 있어 손상이 발생되면 눈에 띄기 쉽기 때문에 이 문제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은 백색 필름에 의해 구성되고, 한쪽의 면과 다른쪽의 면의 광택도(60°)의 차(ΔG)가 ΔG>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의 바람직한 형태는,
(1) 백색 필름의 한쪽의 면에 수지층을 갖고, 또한, 상기 백색 필름의 다른쪽의 면의 광택도(60°)는 90% 이상인 것,
(2) 상기 수지층은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수지층인 것,
(3) 90℃에서 30분간 가열 처리한 후의 필름 길이 방향 및 필름 폭 방향의 열수축률은 -0.1% 이상 0.2% 이하인 것,
(4) 상기 백색 필름은 A층/B층/A층의 3층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B층은 미세기포를 함유한 층이며, A층은 폴리에스테르에 무기 입자 및/또는 유기 입자를 함유시킨 층이며, 그 입자 함유량은 각 A층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5중량% 이하인 것,
(5) 상기 백색 필름은 A층/B층/C층의 3층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B층은 미세 기포를 함유한 층이며, A층 및/또는 C층은 폴리에스테르에 무기 입자 및/또는 유기 입자를 함유시킨 층이며, 그 입자 함유량은 입자를 함유한 상기 각 층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5중량% 이하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직하형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 액정 백라이트용 램프 리플렉터, 역프리즘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는 상기 본 발명의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을 사용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에 의하면 육안 확인에 의해 용이하게 기능 부여층을 형성한 면과 그 반대측의 면의 식별이 가능하여 액정 백라이트 제조 공정에서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 부여층으로서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안정화제를 함유한 수지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육안 확인에 의해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안정화제를 함유한 수지층을 형성한 면과 그 반대측의 식별이 쉽고, 액정 백라이트에 장착할 때에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안정화제를 함유한 수지층을 확실하게 냉음극관측을 향해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경시적인 휘도 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역프리즘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에 사용한 경우에는 조립시에 백라이트 케이스체와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이 접촉됨으로써 발생되는 필름의 손상이 눈에 띄기 어려워 액정 백라이트로서의 수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을 사용한 직하형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
도 2는 본 발명의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을 사용한 역프리즘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확산 필름 2: 프리즘 필름
3: 확산판 4: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
5: 냉음극관 6: 케이스체
7: 프리즘 도광판 8: 램프 리플렉터
본 발명은 상기 과제, 즉, 편면에 기능을 부여한 층을 갖는 백색 필름은 양면이 백색이기 때문에 육안 확인에 의해 기능 부여층을 형성한 면과 그 반대측의 면을 식별하는 것이 어렵다는 과제에 대해서 예의 검토해서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이하, 반사 필름으로 함)의 한쪽의 면과 다른쪽의 면의 광택도(60°)의 차(ΔG)를 ΔG>80으로 한 결과, 기능 부여층을 형성한 면과 그 반대측의 면을 식별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이러한 과제를 일거에 해결하는 것을 구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택도(60°)란, JIS K7105(1981년판)에 기초해서 입사각 및 수광각을 60°로 해서 측정한 값을 말한다. 측정에는 스가 시켄키제 디지털 변 각 광택계(UGV-4D)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의 한쪽의 면과 다른쪽의 면의 광택도(60°)의 차(ΔG)는 한쪽의 면과 다른쪽의 면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80%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다. ΔG는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ΔG 가 80% 이하이면 면의 식별이 곤란해져 버린다. ΔG를 80%보다 크게 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방법이 있다.
(1)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백색 필름의 한쪽의 면과 다른쪽의 면의 광택도에 차를 낸다.
(2)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백색 필름의 한쪽의 면에 수지층을 형성하고, 그 면의 광택도를 낮춘다.
이들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으로서 이용되는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은 가시광선 반사율이 높은 쪽이 좋다. 가시광선 반사율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기포를 함유하는 백색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에 기포를 함유하는 백색 필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공질의 미연신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예로서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내열성, 강성도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백색 필름으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백색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란, 디올과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축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머이다.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등으로 대표되는 것이다. 디올이란,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으로 대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p-옥시벤조에이트, 폴리-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물론, 이들 폴리에스테르는 호모폴리에스테르이어도, 코폴리에스테르이어도 좋다.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의 디올 성분, 아디핀산, 세바신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폴리에스테르 중에는 공지의 각종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색 필름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내수성, 내구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400~700㎚의 광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반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서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반사율이란,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제 분광 광도계(U-3310)에 적분구를 부착하고, 표준 백색판(산화 알루미늄)을 100%로 했을 때의 반사율을 400~700㎚에 걸 쳐 측정하고, 얻어진 차트로부터 파장을 5㎚ 간격으로 반사율을 판독해서 평균한 값이다.
평균 반사율을 9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시켜서 백색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세한 기포가 광의 산란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에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반사율은 95%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이다. 평균 반사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상한은 없지만 1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핵제 첨가량을 높일 필요가 있고, 그 경우 제막성이 불안정해지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백색 필름은 필름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함으로써 백색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한 기포의 형성은 필름 모재,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중에 고융점의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의 폴리머를 미세하게 분산시키고, 그것을 연신(예를 들면, 2축 연신)함으로써 달성된다. 연신에 있어서 이 비상용 폴리머 입자 둘레에 보이드(기포)가 형성되고, 이것이 광에 산란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에 백색화되어 고반사율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비상용 폴리머는 예를 들면, 폴리-3-메틸부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비닐-t-부탄, 1,4-트랜스-폴리-2,3-디메틸부타디엔,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폴리스티렌, 폴리메틸스티렌, 폴리디메틸스티렌, 폴리플루오로스티렌, 폴리-2-메틸-4-플루오로스티렌, 폴리비닐-t-부틸에테르,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등으로부터 선택된 융점 200℃ 이상의 폴리머이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모재에 대해서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메틸펜텐이 바람직 하다.
비상용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올레핀)의 첨가량으로서는 비상용 폴리머를 함유하는 층 전체를 100중량%로 했을 때에 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중량% 미만이면 백색화의 효과가 적어져 고반사율을 얻기 어려워진다. 25중량%를 초과하면 필름 자체의 강도 등 기계 특성이 너무 낮아질 우려가 있다.
이 비상용 폴리머는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을수록 바람직하다. 비상용 폴리머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으로써 필름 내부에 균일하게 기포가 형성되어 백색화의 정도, 나아가서는 반사율이 균일해진다. 비상용 폴리머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저비중화제를 분산 조제로서 첨가하는 것이 유효하다. 저비중화제란, 비중을 작게 하는 효과를 갖는 화합물이며, 특정의 화합물에 그 효과가 확인된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또한,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알킬술포네이트나트륨염,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테트라부틸포스포늄파라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등으로 대표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백색 필름의 경우, 저비중화제로서는 특히 폴리알킬렌글리콜,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공중합체 등도 비상용 폴리머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저비중화제의 첨가량으로서는 비상용 폴리머를 함유하는 층 전체를 100중량%로 해서 10중량% 이상 2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10중 량% 미만이면 첨가 효과가 적어진다. 25중량%를 초과하면 필름 모재 본래의 특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저비중화제는 미리 필름 모재 폴리머 중에 첨가해서 마스터 폴리머(마스터 칩)로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미세한 기포를 함유함으로써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외관 비중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보다 낮아진다. 저비중화제를 더 첨가하면 비중은 더 낮아진다. 즉, 희고 가벼운 필름이 얻어진다. 이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반사 필름으로서의 기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경량으로 하기 위해서는 외관 비중이 0.5이상 1.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관 비중을 0.5이상 1.2이하로 함으로써 보다 높은 반사율을 얻을 수도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외관 비중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이상 1.0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이상 0.8이하이다.
외관 비중을 0.5이상 1.2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비상용 폴리머로서 예를 들면, 비중 0.83의 폴리메틸펜텐을 사용한 경우, 우선, 폴리메틸펜텐을 필름 모재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에 대해서 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로 함유시킨다. 이어서, 폴리에스테르 미연신 필름을 만들고, 그 폴리에스테르 미연신 필름을 종방향, 횡방향 모두 연신 배율을 2.5~4.5배로 연신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외관 비중이 0.5이상 1.2이하의 범위에 있으면 반사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 화면의 밝기에 있어서 현저하게 우수한 휘도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색 필름의 광택도는 백색 필름을 사용한 반사 필름의 한쪽의 면과 다른쪽의 면의 광택도(60°)의 차(ΔG)가 80%보다 커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어도 백색 필름의 한쪽의 면의 광택도(60°)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 필름의 한쪽의 면의 광택도가 90% 이상이면 백색 필름의 다른쪽의 면의 광택도를 작게 하거나 또는 백색 필름의 다른쪽의 면에 수지층을 형성해서 그 면의 광택도를 작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반사 필름의 ΔG를 80%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백색 필름의 한쪽의 면의 광택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며, 다음으로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며, 다음으로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광택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13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130%를 초과한 경우, 필름 표면 마찰 계수가 높아지기 때문에 권취시의 공기 배제가 곤란해지는 일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색 필름은 단층, 2층, 3층 등의 여러가지의 층구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A층/B층/A층 또는 A층/B층/C층의 3층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B층이 상기 미세 기포를 함유한 층으로 되는 것이 고반사율과 제막성을 양립시키는데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백색 필름의 각 층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및/또는 무기의 미립자, 형광증백제, 내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반사 필름의 한쪽의 면과 다른쪽의 면의 광택도차에 의해 이들 기능성을 갖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층이 백색 필름의 어느 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A층/B층/A층의 3층 구성의 경우, 필름 표면에 상당하는 A층이 폴리에스테르에 무기 입자 및/또는 유기 입자를 각 A층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5중량% 이하 함유시킨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7중량% 이하이다. 또한, A층/B층/C층의 3층 구성의 경우, 필름 표면에 상당하는 A층 및/또는 C층이 폴리에스테르에 무기 입자 및/또는 유기 입자를 각 층(무기 미립자 및/또는 유기 입자를 함유한 층)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5중량% 이하 함유시킨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7중량% 이하이다. A층(또는 C층)에 함유되는 무기 미립자 및/또는 유기 미립자의 함유량을 적게 함으로써 A층(또는 C층)의 광택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색 필름은 적어도 한쪽의 면의 광택도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백색 필름의 한쪽의 최표면의 층에 함유되는 무기 미립자 및/또는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을 0.5중량%로 함으로써 그 면의 광택도를 9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백색 필름의 다른쪽의 최표면의 층에 함유되는 무기 미립자 및/또는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을 많게 함으로써 그 면의 광택도를 낮출 수 있어 백색 필름의 한쪽의 면과 다른쪽의 면에서 광택도에 차를 낼 수 있다. 각 층에 함유되는 무기 미립자 및/또는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은 원하는 광택도차에 따라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백색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상용 폴리머로서 폴리메틸펜텐을, 저비중화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공중합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 이트에 넣는다. 그것을 충분히 혼합·건조시켜서 270~300℃의 온도로 가열된 압출기B에 공급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SiO2 등의 무기물 첨가제를 함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상법에 의해 압출기A에 공급한다. 그리고, T 다이 3층 구금 내에서 압출기B의 폴리머가 내층(B층)에, 압출기A의 폴리머가 양 표층(A층)에 오도록 해서 A층/B층/A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3층으로 적층해도 좋다.
이 용융된 시트를 드럼 표면 온도 10~60℃로 냉각된 드럼 상에서 정전기력에의해 밀착 냉각 고화해서 미연신 필름을 얻는다. 그 미연신 필름을 80~120℃로 가열한 롤군으로 도입하고, 길이 방향으로 2.0~5.0배 종연신하고, 20~50℃의 롤군에서 냉각한다. 계속해서, 종연신한 필름의 양단을 클립에 의해 파지하면서 텐터로 도입해서 90~140℃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횡연신한다. 연신 배율은 세로, 가로 각각 2.5~4.5배로 연신하지만 그 면적 배율(종연신 배율×횡연신 배율)은 9~16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면적 배율이 9배 미만이면 얻어지는 필름의 백색 부분이 불량이 된다. 면적 배율이 16배를 초과하면 연신시에 찢어짐이 발생되기 쉬워져 제막성이 불량이 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해서 2축 연신된 필름에 평면성,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텐터 내에서 150~230℃의 열고정을 행하고, 균일하게 서냉한 후, 실온까지 냉각한다. 그리고 권취기에 의해 권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색 필름을 얻는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의 한쪽의 면과 다른쪽의 면의 광택도(60°)의 차(ΔG)를 80%보다 크게 하기 위해서 백색 필름의 한쪽의 면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도 바 람직하다.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백색 필름의 한쪽의 면의 광택도를 낮출 수 있어 반사 필름의 ΔG를 용이하게 80%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기 성분을 주체로 하는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초산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로 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수지가 내열성, 입자 분산성, 도포성, 광택도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사용 중에 냉음극관 등의 램프로부터 나가는 광, 특히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는 경우가 있으므로(예를 들면, 황변 등의 광학적 열화 또는 저분자화되는 분해 열화 등), 수지층으로서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안정제를 함유한 수지층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산화 티탄, 산화 아연 등의 무기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등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 또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반응성 모노머를 공중합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힌더드 아민(HALS)계 반응성 모노머를 공중합한 수지 등을 함유하는 유기 자외선 흡수 수지를 사용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산화 아연, 산화 티탄, 산화 세륨, 산화 지르코늄 등이 일반적이다. 이들 중에서도 산화 아연, 산화 티탄 및 산화 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가 블리드 아웃되지 않고, 내광성도 우수하다는 등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는 필요에 따라서 수종류 병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 중에서도 산화 아연이 경제성, 자외선 흡수성, 광촉매 활성이라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산화 아연으로서는 FINEX-25LP, FINEX-50LP{사카이카가쿠코교(주)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등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 또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반응성 모노머를 공중합한 수지, 이들에 힌더드 아민(HALS)계 반응성 모노머 등의 광안정제를 더 공중합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반응성 모노머를 공중합 한 수지, 이들에 힌더드 아민(HALS)계 반응성 모노머를 더 공중합한 수지 등을 함유하는 유기 자외선 흡수 수지가 박층이며, 자외선 흡수 효과가 높아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제조 방법 등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2002-90515의 〔0019〕~〔0039〕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 모노머와 자외선 흡수제의 공중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하루스 하이브리드(등록 상표){(주)니폰쇼쿠바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지층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및/또는 무기의 미립자, 형광증백제, 가교제, 내열 안정제, 내산화 안정제, 유기의 활제, 핵제, 커플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층은 도포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포 방법에 의해 형성할 때, 도포액은 임의의 방법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비어 코트, 롤 코트, 스핀 코트, 리버스 코트, 바 코트, 스크린 코트, 블레이드 코트, 에어나이프 코트, 디핑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의 형성을 위한 도포액은 기재의 백색 필름 제조시에 도포(인라인 코팅)해도 좋고, 결정 배향 완료 후의 백색 필름 상에 도포(오프라인 코팅)해도 좋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반사 필름으로서의 90℃에서 30분간 가열 처리한 후의 필름 길이 방향 및 필름 폭 방향의 열수축률이 -0.1% 이상 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0.05~0.15% 이하이다. 필름 길이 방향 또는 필름 폭 방향의 열수축률이 -0.1% 이상 0.2% 이하의 범위를 벗어나면 고온에 도달했을 때에 필름이 휘어진 상태로 되고, 액정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분균일이 발생되기 쉬워진다. 특히, 역프리즘 용도의 반사 필름에서는 경면상의 반사면 상에 프리즘 형상의 도광판이 접촉되면 액정 패널 상에서 화면 얼룩으로 되어 현저하게 나타나기 쉽다.
여기에서, 90℃에서 30분간 가열 처리한 후의 필름 길이 방향의 열수축률이란, 이하의 순서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우선, 일정한 크기의 필름 샘플을 준비하고, 실온에서 그 길이 방향(제조시의 압출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L0)를 측정한다. 그 샘플을 90℃로 유지한 항온조 안에 30분간 방치한 후, 동일한 실온까지 서냉한 후에 상기 L0에 상당하는 부분의 길이(L)를 측정한다. 그리고, 길이(L)와 초기의 길이(L0)로부터 다음 식에서 산출한 값을 필름 길이 방향의 열수축률로 한다.
·열수축률(%)={(L0-L)/L0}×100
또한, 음의 값은 필름이 신장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90℃에서 30분간 가열 처리한 후의 필름의 폭 방향 열수축률이란, 필름의 폭 방향(제조시의 압출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필름의 길이 방향과 마찬가지로 해서 측정한 값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수지층을 형성한 면으로부터 측정한 400~700㎚의 파장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7%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평균 반사율이 85% 미만인 경우에는 적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따라서는 휘도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또한, 백색 필름의 양면에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수지층으로부터 측정한 평균 반사율이 85% 이상이면 좋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액정 TV 및 대형 모니터 용도의 직하형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직하형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음극관 근처에 반사 필름이 설치된다. 이 때, 반사 필름의 수지층(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재 및/또는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형성한 면을 냉음극관측을 향해서 설치하지 않으면 냉음극관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 에 의해 기재의 백색 필름이 황변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그 때문에 백라이트의 조립시에 반사 필름의 수지층을 형성한 면과 그 반대측의 면을 식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수지층을 형성한 면과 그 반대측의 면의 식별이 용이하며, 백라이트의 조립 공정에서의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생산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액정 백라이트의 램프 리플렉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램프 리플렉터는 스테인레스판 등과 반사 필름을 부착하고, 반사 필름이 내측으로 되도록 만곡상으로 프레스 성형된 것이다. 그리고, 램프 리플렉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음극관을 덮도록 해서 백라이트에 조립된다. 램프 리플렉터도 직하형 백라이트와 마찬가지로 냉음극관 근처에 반사 필름이 배치된다. 이 때, 반사 필름의 수지층(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재 및/또는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형성한 면이 냉음극관측을 향하도록 해서 스테인레스판 등과 반사 필름을 부착하지 않으면 냉음극관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에 의해 기재의 백색 필름이 황변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그 때문에 부착을 할 때에 수지층을 형성한 면과 그 반대측의 면을 식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은 수지층을 형성한 면과 그 반대측의 면의 식별이 용이하며, 부착 공정에서의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생산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역프리즘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를 조립할 때에 백라이트의 케이스체와 반사 필름이 접촉되어 손상되는 일이 있다.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는 경량화를 위해서 백라이트의 케이스체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동을 통해서 반사 필름에 발생된 손상이 보여 버린다. 손상이 보이는 백라이트는 완성품으로서의 품위가 낮아지기 때문에 수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반사 필름의 광택도가 낮으면 표면에 발생된 손상도 눈에 띄지 않게 되지만 한편, 특히 역프리즘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에서는 고휘도화를 위해서 광택도가 높은 반사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광택도가 낮은 면을 백라이트 케이스측에, 광택도가 높은 면을 도광판측을 향해서 장착함으로써 백라이트 케이스체측에 요구되는 손상된 경우의 눈에 띄기 어려움과, 도광판측에 요구되는 정반사 성분이 많은 반사를 양립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사용한 역프리즘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는 백라이트 완성품으로서의 품위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수율이 향상되고, 아울러 고휘도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 평균 반사율
반사 필름의 수지층을 형성한 면의 평균 반사율을 이하의 순서에 의해 측정한다. 히타치 하이 테크놀로지즈제 분광 광도계(U-3310)에 적분구를 부착하고, 표준 백색판(산화 알루미늄)을 100%로 했을 때의 반사율을 400~700㎚에 걸쳐 측정한다. 얻어진 차트로부터 5㎚ 간격으로 반사율을 판독하고, 이들의 평균값을 계산해서 평균 반사율로 한다. 각 반사 필름에 대해서 3장의 샘플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반사 필름의 평균 반사율로 했다. 또한, 반사 필름에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3) 광택도(60°)」의 측정에 있어서 「수지층을 형성한 면」으로 간주한 면의 평균 반사율을 측정한다.
(2) 열수축률
(길이 방향의 열수축률)
반사 필름으로부터 10㎜ 폭(필름 폭 방향)×230㎜ 길이(필름 길이 방향)의 샘플을 잘라낸다. 샘플의 긴 방향으로 200㎜ 간격의 마크를 넣고, 금속자에 의해 정확하게 마크간 거리를 판독한다(L0㎜). 샘플을 90℃의 열풍 오븐 안에 30분간 방치한 후, 실온까지 서서히 냉각시킨다. 이어서, 샘플의 마크간 거리를 상기 방법에 의해 판독한다(L㎜). 상기 마크간 거리로부터 다음식에 의해 열수축률을 산출해서 %로 나타냈다. 1장의 반사 필름으로부터 3장의 샘플을 잘라내고, 각 샘플의 열수축률값의 평균값을 그 반사 필름의 열수축률로 했다.
·가열 수축률(%)=(L0-L)/L0×100
또한, 음의 값은 필름이 신장된 것을 나타낸다.
(폭 방향의 열수축률)
반사 필름으로부터 10㎜ 폭(필름 길이 방향)×230㎜ 길이(필름 폭 방향)의 샘플을 잘라내어 길이 방향의 열수축률의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측정했다.
(3) 광택도(60°)
반사 필름의 수지층을 형성한 면과 그 반대측의 면의 양쪽의 면의 광택도(60°)를 이하의 순서에 의해 측정한다. 스가 시켄키제 디지털 변각 광택계(UGV-4D)를 이용해서 JIS K7105(1981년판)에 기초해서 입사각 및 수광각을 60°에 맞춰서 광택 도를 측정했다. 각 반사 필름에 대해서 3장의 샘플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반사 필름의 광택도(60°)로 했다. 또한, 반사 필름에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광택도가 작은 쪽의 면(광택도가 양면에서 동일한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면)을 「수지층을 형성한 면」으로 간주한다.
(4) 내광성 시험 후의 평균 반사율
반사 필름을 자외선 열화 촉진 시험기 아이슈퍼 UV 테스터 SUV-W131{이와사키덴키(주)제}에 넣고, 하기 조건으로 강제 자외선 조사 시험을 행했다.
「자외선 조사 조건」
조도: 100mW/㎠, 온도: 60℃, 상대 습도: 50%RH, 조사 시간: 48시간
조사 후의 샘플에 대해서 (1)의 방법에 준해서 평균 반사율을 측정했다.
(5) 반사 필름의 면의 식별
임의로 선정한 10명의 판정자에 의해 반사 필름의 양면을 육안 확인에 의해 관찰했다. 10명 전원이 수지층을 형성한 면과 그 반대측의 면의 식별을 할 수 있으면 ○, 1명이라도 식별을 할 수 없으면 ×로 판정했다. 각 반사 필름에 대해서 1장의 샘플에 의해 평가했다.
(6) 손상의 보이기 어려움
반사 필름의 수지층을 형성한 면에 #0000의 스틸울에 100g의 하중을 가해서스트로크 폭 10㎝, 속도 30㎜/sec로 3회 왕복 마찰했다. 임의로 선택한 10명의 판정자에 의해 수지층을 형성한 면을 육안 확인에 의해 관찰했다. 10명 전원이 손상이 보이지 않으면 ○, 1명이라도 손상이 보이면 ×로 판정했다. 또한, 반사 필름에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3) 광택도(60°)」의 측정에 있어서 「수지층을 형성한 면」으로 간주한 면에 손상을 발생시키고, 그 면을 관찰했다. 각 반사 필름에 대해서 1장의 샘플에 의해 평가했다.
(실시예1)
우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칩{도레이(주)제 F20S} 및 분자량 4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공중합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합시에 첨가한 마스터 칩을 180℃에서 3시간 진공 건조시켰다.
이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5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이소프탈산을 10mol%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5mol% 공중합한 것을 10중량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공중합물을 5중량부, 폴리메틸펜텐 20중량부로 되도록 혼합했다. 혼합물을 270~300℃로 가열된 압출기B에 공급했다(B층).
한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칩 97중량부, 수평균 입경 1.5㎛의 이산화규소를 2중량% 함유한 마스터 칩 1중량부로 되도록 혼합했다. 혼합물을 180℃에서 3시간 진공 건조시킨 후, 280℃로 가열된 압출기A에 공급했다(A층).
이들 폴리머를 A층/B층/A층(두께 비율 A층:B층:A층=1:8:1)으로 되도록 적층장치를 통해서 적층하고,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성형했다.
또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25℃의 냉각 드럼에 의해 냉각 고화해서 미연신 필름으로 했다. 이어서, 미연신 필름을 85~98℃로 가열한 롤군으로 도입하여 필름 길이 방향으로 3.4배로 연신하고, 25℃의 롤군에서 냉각했다. 계속해서, 길이 방향으로 종연신한 필름의 양단을 클립에 의해 파지하면서 텐터로 도입하고, 130℃ 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필름 폭 방향(필름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3.6배로 연신했다. 그 후, 텐터 내에서 230℃의 열고정을 행하고, 균일하게 서냉한 후, 실온까지 식혔다. 마지막에 권취기에 의해 권취하여 두께 188㎛의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필름의 광택도(60°)는 121%였다.
수지층을 형성하는 도포액으로서 하루스 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13{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의 용액, (주)니폰쇼쿠바이제}: 41.4g, 데스모듈(등록 상표) N3200(경화제, 농도 100%, 스미카 바이엘 우레탄(주)제}: 2.1g, 톨루엔: 54.5g, 무기 미립자로서 실리카 분말{후지시리시아(주)제 사이호로빅(등록 상표) 100)}: 1.8g을 교반하면서 첨가해서 만든 도포액을 준비했다. 이 도포액을 백색 필름의 편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3㎛로 되도록 도포해서 수지층을 형성하고, 건조시켰다. 도포액의 건조는 130℃의 온도에서 1분간 실시했다. 이렇게 해서 반사 필름을 얻었다. 반사 필름의 수지층을 형성한 면의 광택도(60°)는 25%였다.
(실시예2)
A층에 혼합하는 마스터 칩(이산화규소 함유량 2중량%)의 양을 2중량부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광택도(60°)는 107%였다.
수지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의 실리카 분말{후지시리시아(주)제 사이호로빅(등록 상표) 100}의 양을 2.3g으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수지 층을 형성하여 반사 필름을 얻었다. 반사 필름의 수지층을 형성한 면의 광택도(60°)는 13%였다.
(실시예3)
A층에 혼합하는 마스터 칩(이산화규소 함유량 2중량%)의 양을 3.5중량부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광택도(60°)는 95%였다.
수지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의 실리카 분말{후지시리시아(주)제 사이호로빅(등록 상표) 100}의 양을 2.3g으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수지층을 형성하여 반사 필름을 얻었다. 반사 필름의 수지층을 형성한 면의 광택도(60°)는 12%였다.
(실시예4)
A층, B층의 폴리머 조성 및 압출기A, 압출기B의 온도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칩 97중량부, 수평균 입경 1.5㎛의 이산화규소를 2중량% 함유한 마스터 칩 3.5중량부로 되도록 혼합했다. 혼합물을 180℃에서 3시간 진공 건조시킨 후, 280℃로 가열된 압출기C에 공급했다(C층).
이들 폴리머를 A층/B층/C층(두께비 A층:B층:C층=1:8:1)으로 되도록 적층 장치를 통해서 적층하고,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성형했다.
또한, 이 시트를 실시예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연신해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필름의 광택도(60°)는 A층측: 121%, C층측: 95%였다.
수지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의 실리카 분말{후지시리시아(주)제 사이호로빅(등록 상표) 100}의 양을 2.3g으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A층면에 수지층을 형성하여 반사 필름을 얻었다. 반사 필름의 수지층을 형성한 면의 광택도(60°)는 14%였다.
(비교예1)
수지층을 형성하지 않은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반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2)
수지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의 실리카 분말{후지시리시아(주)제 사이호로빅(등록 상표) 100}의 양을 0.3g으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수지층을 형성하여 반사 필름을 얻었다. 반사 필름의 수지층을 형성한 면의 광택도(60°)는 70%였다.
(비교예3)
수지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의 실리카 분말{후지시리시아(주)제 사이호로빅(등록 상표) 100}의 양을 0.9g으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수지층을 형성하여 반사 필름을 얻었다. 반사 필름의 수지층을 형성한 면의 광택도(60°)는 50%였다.
(비교예4)
188㎛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주)제 루미라(등록 상표) E60L, 광택도(60°): 30%}의 편면에 실시예1에 기재된 수지층을 형성해서 반사 필름을 얻었다. 반사 필름의 수지층을 형성한 면의 광택도(60°)는 25%였다.
Figure 112008048069650-pct00001
실시예1~4는 광택도차가 80%보다 크고, 수지층을 형성한 면과 그 반대측의 면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1~4는 광택도가 작은 면(수지층을 형성한 면)의 광택도가 25% 이하이며, 그 면의 손상의 보이기 어려움도 양호했다.
한편, 비교예1~4는 광택도차가 80% 이하이며, 수지층을 형성한 면과 그 반대측의 면의 식별이 곤란했다. 또한, 비교예1, 2는 광택도가 작은 면(수지층을 형성한 면)의 광택도가 50%보다 크고, 그 면의 손상도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은 액정 백라이트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직하형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 역프리즘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 액정 백라이트용 램프 리플렉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백색 필름에 의해 구성되고, 한쪽의 면과 다른쪽의 면의 광택도(60°)의 차(ΔG)는 ΔG>80%이며, 상기 한쪽의 면의 광택도가 100%이상 13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필름의 상기 다른쪽의 면에 수지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90℃에서 30분간 가열 처리한 후의 필름 길이 방향 및 필름 폭 방향의 열수축률은 -0.1% 이상 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필름은 A층/B층/A층의 3층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B층은 미세 기포를 함유한 층이며, A층은 폴리에스테르에 무기 입자 및/또는 유기 입자를 함유시킨 층이며, 그 입자 함유량은 각 A층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5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필름은 A층/B층/C층의 3층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B층은 미세 기포를 함유한 층이며, A층 및/또는 C층은 폴리에스테르에 무기 입자 및/또는 유기 입자를 함유시킨 층이며, 그 입자 함유량은 입자를 함유한 상기 각 층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5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백라이트용 램프 리플렉터.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프리즘 방식의 액정 백라이트.
KR1020087016211A 2006-02-03 2007-01-29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 KR101331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6635 2006-02-03
JPJP-P-2006-00026635 2006-02-03
PCT/JP2007/051343 WO2007088797A1 (ja) 2006-02-03 2007-01-29 面光源反射部材用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128A KR20080091128A (ko) 2008-10-09
KR101331888B1 true KR101331888B1 (ko) 2013-11-22

Family

ID=3832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211A KR101331888B1 (ko) 2006-02-03 2007-01-29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040647B2 (ko)
KR (1) KR101331888B1 (ko)
CN (1) CN101375185B (ko)
TW (1) TWI425251B (ko)
WO (1) WO2007088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5227A1 (ja) * 2007-12-11 2009-06-18 Toray Industries, Inc. 積層フィルム
JP5817165B2 (ja) * 2011-03-24 2015-11-18 東レ株式会社 反射板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
MY167538A (en) * 2011-03-29 2018-09-05 Toray Industries White reflective film for edge-light type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backlight using same
EP4080275A1 (en) 2011-04-04 2022-10-26 LG Innotek Co., Ltd. Lighting apparatus
CN107111014B (zh) * 2015-01-05 2020-05-19 帝人薄膜解决方案有限公司 直下型面光源用白色反射膜及使用该膜的直下型面光源
JP7308592B2 (ja) * 2018-01-25 2023-07-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9437A (ja) 2003-01-09 2004-08-05 Toray Ind Inc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JP2005125700A (ja) * 2003-10-27 2005-05-1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5148515A (ja) * 2003-11-18 2005-06-09 Toray Ind Inc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0247A (ja) * 1992-06-03 1993-12-14 New Oji Paper Co Ltd 染料熱転写受容シート
JPH111264A (ja) * 1997-06-16 1999-01-06 Toray Monofilament Co Ltd 結束用資材
KR100553655B1 (ko) * 2003-03-12 2006-02-24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미세기공 함유 폴리에스테르 필름
EP1759834A4 (en) * 2004-06-17 2007-06-06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LAMINATED FOIL FOR REFLECTION PL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9437A (ja) 2003-01-09 2004-08-05 Toray Ind Inc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JP2005125700A (ja) * 2003-10-27 2005-05-1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5148515A (ja) * 2003-11-18 2005-06-09 Toray Ind Inc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128A (ko) 2008-10-09
CN101375185A (zh) 2009-02-25
WO2007088797A1 (ja) 2007-08-09
TW200741256A (en) 2007-11-01
JP5040647B2 (ja) 2012-10-03
CN101375185B (zh) 2011-07-06
JPWO2007088797A1 (ja) 2009-06-25
TWI425251B (zh) 201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507B1 (ko) 광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JP4548430B2 (ja) 反射板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238791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반사시트
JP5082606B2 (ja) 反射シート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946183B2 (ja)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1772547B (zh) 白色聚酯膜和使用其的面光源
EP2228670A1 (en) White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reflecting sheets
JP6624184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WO2005124399A1 (ja) 異方拡散フィルム
KR101331888B1 (ko) 면광원 반사 부재용 필름
KR20060053016A (ko)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WO2011118305A1 (ja)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光反射板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2003139926A (ja)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
JP4734237B2 (ja) 反射板用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2121294A (ja) 2軸延伸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168089A (ja) 反射板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53178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および太陽電池用
JP2007072429A (ja) 液晶ディスプレー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4563822B2 (ja)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
TWI477396B (zh) 反射片用白色積層聚酯膜
KR102488716B1 (ko)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직하형 면광원
JP2015031893A (ja) 照明装置用レンズフィルム積層体
US20130222932A1 (en) White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reflecting sheet
KR101350748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적층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8169456A (ja) 白色反射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