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588B1 -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 Google Patents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588B1
KR101331588B1 KR1020130052888A KR20130052888A KR101331588B1 KR 101331588 B1 KR101331588 B1 KR 101331588B1 KR 1020130052888 A KR1020130052888 A KR 1020130052888A KR 20130052888 A KR20130052888 A KR 20130052888A KR 101331588 B1 KR101331588 B1 KR 101331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ual structure
fiber
synthetic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찬형
Original Assignee
엄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찬형 filed Critical 엄찬형
Priority to KR1020130052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4Line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2Woo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직물과 상기 천연직물의 이면에 별도의 합성직물을 접착하여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의류의 제조시 레이저커팅 가공을 할 때, 틀어짐 및 풀림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천연섬유를 재료로 하여 제조된 천연직물로 이루어진 베이스원단(2)의 일 측면에, 합성섬유를 재료로 하여 제조된 합성직물로 이루어진 보호원단(3)을 접착하여 고정한 것으로 이루어진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A fabric}
본 발명은, 각종 의류를 제조할 때 주재료로 사용되는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직물과 상기 천연직물의 이면에 별도의 합성직물을 접착하여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의류의 제조시 레이저커팅 가공을 할 때, 틀어짐 및 풀림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등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주재료인 원단은, 폴리 혹은 나일론성분을 함유하는 수지계열과 면으로 이루어진 면 계열의 원단이 있다.
이와 같은 각종 원단은 의류로 제조될 때, 의류의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처리공정을 걸쳐 성형되어 제조된다.
즉, 커팅, 절단, 봉합 등과 같은 처리과정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디자인을 구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처리작업중에 특히 커팅작업은 원단을 커터를 이용하여 원단의 소정부위를 천공 또는 절단하여 디자인을 구형하는 것으로, 주로 기계적인 커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근자에는, 섬세한 디자인의 표현을 위하여 레이저에너지를 이용한 커팅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레이저에너지를 이용하여 원단을 섬세하게 열 커팅하여, 다양하고 기계적인 커터로 수행할 수 없는 디테일한 커팅 성형작업을 빠른 시간 안에 수행하는 작업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에너지를 이용하여 원단을 커팅 가공하는 기술로는, 한국특허등록 제10-0961877호(명칭: 의류용 장식지 제조방법)이 있으며, 상기 제조방법은,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의 기판지에 원하는 무늬모양으로 레이저 가공하는 모양가공단계(S10); 상기 단계(S10)에서 원하는 무늬모양이 가공된 기판지의 저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층형성단계(S20); 상기 단계(S20)에 저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기판지 저면에 원단을 합지하는 제1합지단계(S30); 상기 단계(S30)에서 원단과 합지된 기판지의 상부에 투명시트지를 적층시키고, 원단의 저면에는 핫멜트를 위치시켜 위로부터 투명시트지, 기판지, 점착제층, 원단, 핫멜트를 차례로 적층시켜 합지하는 제2합지단계(S40); 상기 단계(S40)에 합지된 투명시트지, 기판지, 점착제층, 원단, 핫멜트를 고주파가공을 통하여 상기 단계(S10)의 무늬모양 또는 무늬모양이 조합된 상태로 의류용 장식지를 성형하는 성형단계(S5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투명시트지, 기판지, 원단, 핫멜트과 적측되어 결합된 장식지를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단은, 레이저 커팅을 하여 작업을 수행할 경우, 커팅 부위의 올이 풀리거나 틀러짐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원단을 천공하여 모양을 디자인하는 공법에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직물과 상기 천연직물의 이면에 별도의 합성직물을 접착하여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의류의 제조시 레이저커팅 가공을 할 때, 틀어짐 및 풀림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원단의 천공을 통한 디자인 모양을 형성하는 작어에서 특히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은, 천연섬유를 재료로 하여 제조된 천연직물로 이루어진 베이스원단의 일 측면에 합성섬유를 재료로 하여 제조된 합성직물로 이루어진 보호원단을 접착하여 고정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천연섬유는 면을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천연섬유는 아마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천연섬유는 양모를 재료로 하여 제조된 양모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합성섬유는 폴리염화비닐을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합성섬유는 폴리아미드섬유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테릴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합성섬유는 아크릴섬유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터섬유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합성섬유는 폴리프로필렌섬유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합성섬유는 폴리우레탄섬유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베이스원단과 보호원단은 양면 접착 필름을 통해 접착되어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양면 접착 필름은 열에 의해 열융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양면 접착 필름은 핫멜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은, 레이저에너지를 이용한 가공작업을 할 때, 천연직물로 이루어진 베이스원단의 가공부위가 풀림 및 틀러짐 등과 같은 변형이 생기는 것을 합성직물로 이루어진 보호원단이 보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각종 디자인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을 보인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의 일부를 절취하여 보인 확대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 의한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10)은, 천연섬유를 재료로 하여 제조된 천연직물로 이루어진 베이스원단(2)의 일 측면에 합성섬유를 재료로 하여 제조된 합성직물로 이루어진 보호원단(3)을 접착하여 고정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표면은 천연섬유로 이루어지고, 이면은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이중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발생장치(1)를 이용하여 레이저에너지를 이용한 가공작업을 할 때,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베이스원단(2)의 가공부위가 풀림 및 틀러짐 등과 같은 변형이 생기는 것을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보호원단(3)이 열 융착되면서 보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한 천연섬유는 면, 아마, 양모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합성섬유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아크릴섬유, 폴리에스터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폴리우레탄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의한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10)에서, 상기한 베이스원단(2)과 보호원단(3)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접착 필름(4)을 통해 접착되어 결합하도록 된다.
즉, 상기 양면 접착 필름(4)을 통해 상기 베이스원단(2)과 보호원단(3)을 일체로 결합한다.
상기에서, 상기 양면 접착 필름(4)은, 열에 의해 열융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우레탄(TPU) 재질의 핫멜트로 이루어진 필름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필름 형태의 핫멜트를 상기 베이스원단(2)과 보호원단(3)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열을 가하면, 상기 핫멜트가 용융되어 상기 베이스원단(2)과 보호원단(3)을 융착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원단(2)과 보호원단(3)이 핫멜트를 매개로 하여 융착 결합됨에 따라, 확고히 결합 된다.
상기에서 상기 양면 접착 필름(4)은, 폴리에스터(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드(EV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의한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10)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에너지를 조사하여 커팅하여 디자인할 때, 상기 베이스원단(2)은 열에너지에 의해 녹아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원단(3)은 구멍이 생김과 동시에 레이저에너지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 부위가 용융되어 상기 베이스원단(2)의 구멍 내주면으로 용융물이 융착된다.
따라서, 커팅된 단부에 위치된 부위의 베이스원단(2) 부위에서 올이 풀리거나 늘어져 틀러지는 변형이 발생하는 방지 된다.
이에 따라, 각종 디자인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레이저발생장치 10 : 원단
2 : 베이스원단 3 : 보호원단
4 : 양면 접착 필름

Claims (16)

  1. 천연섬유를 재료로 하여 제조된 천연직물로 이루어진 베이스원단의 일 측면에,
    합성섬유를 재료로 하여 제조된 합성직물로 이루어진 보호원단을 접착하여 고정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천연섬유는,
    면을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천연섬유는,
    아마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천연섬유는,
    양모를 재료로 하여 제조된 양모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합성섬유는,
    폴리염화비닐을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합성섬유는,
    폴리아미드섬유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테릴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합성섬유는,
    아크릴섬유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터섬유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합성섬유는,
    폴리프로필렌섬유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합성섬유는,
    폴리우레탄섬유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베이스원단과 보호원단은,
    양면 접착 필름을 통해 접착되어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양면 접착 필름은,
    열에 의해 열 융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양면 접착 필름은,
    폴리우레탄 재질의 핫멜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양면 접착 필름은,
    폴리에스터 재질의 핫멜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양면 접착 필름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드 재질의 핫멜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KR1020130052888A 2013-05-10 2013-05-10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KR101331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888A KR101331588B1 (ko) 2013-05-10 2013-05-10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888A KR101331588B1 (ko) 2013-05-10 2013-05-10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588B1 true KR101331588B1 (ko) 2013-11-20

Family

ID=4985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888A KR101331588B1 (ko) 2013-05-10 2013-05-10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5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515A (ko) 2014-09-01 2016-03-09 (주)아셈스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KR20200048928A (ko) * 2018-10-31 2020-05-08 강청 패턴이 형성된 기능성 원단
KR20220168813A (ko)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화성케미칼 네오프렌 합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224Y1 (ko) 2002-01-23 2002-05-06 (주)한림엔터프라이즈 섬유원단
KR200298509Y1 (ko) 2002-09-17 2002-12-20 박희남 데님 이중 직물
KR20090127710A (ko) * 2008-06-09 2009-12-14 정순학 기능성 원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224Y1 (ko) 2002-01-23 2002-05-06 (주)한림엔터프라이즈 섬유원단
KR200298509Y1 (ko) 2002-09-17 2002-12-20 박희남 데님 이중 직물
KR20090127710A (ko) * 2008-06-09 2009-12-14 정순학 기능성 원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515A (ko) 2014-09-01 2016-03-09 (주)아셈스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KR20200048928A (ko) * 2018-10-31 2020-05-08 강청 패턴이 형성된 기능성 원단
KR102419422B1 (ko) * 2018-10-31 2022-07-08 강청 패턴이 형성된 기능성 원단
KR20220168813A (ko)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화성케미칼 네오프렌 합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588B1 (ko)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US20210100315A1 (en) Multi-layer textile
US20100291336A1 (en) Heat sealed applique having adhesive coated perimeter
CN111263694B (zh) 用于可印刷结构的油墨迁移屏障
KR101151756B1 (ko) 장식용 복합 원단시트
JP6486689B2 (ja) ボタン穴形成装置
KR102419422B1 (ko) 패턴이 형성된 기능성 원단
JP2011224791A (ja) 装飾用具及び装飾用具の取り付け方法
KR20180103292A (ko)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US7740935B2 (en) Emblem for securing to an article
US20060108060A1 (en) Fusible web appliqu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5973527B2 (ja) 帽子用ひさしの製法
KR102102694B1 (ko) 우수한 접합력을 갖는 레이저 커팅 방식 장식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3104146A (ja) ラインストーン装飾シート
KR101213229B1 (ko) 스티커 및 스티커 부착방법
KR101468176B1 (ko) 레이저 커팅을 이용한 장식용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3423885B (zh) 用于粘合织物的编织低熔点纱线
US20180202090A1 (en) Embroidered patch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KR20140042574A (ko) 상품라벨의 부착방법 및 상품라벨의 구조
JP2017169691A (ja) 車両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11821B1 (ko) 자수가 형성된 원단
JP3218128U (ja) 刺繍ワッペン
US10149507B2 (en) Distressed fabric patch and method
JP2014104308A (ja) 格技用畳の製造方法及び格技用畳
KR101695064B1 (ko) 접착 자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