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216B1 -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 - Google Patents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1216B1 KR101331216B1 KR1020130012841A KR20130012841A KR101331216B1 KR 101331216 B1 KR101331216 B1 KR 101331216B1 KR 1020130012841 A KR1020130012841 A KR 1020130012841A KR 20130012841 A KR20130012841 A KR 20130012841A KR 101331216 B1 KR101331216 B1 KR 1013312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axis
- rotation
- clamp
- control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어진 시간 내에 자유로운 속도 가변을 통해 게임의 재미 및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서, 경품이 수용되는 경품배치부(110)와, 경품이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내부에 구비된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내설되는 클램프유닛(240)과, 클램프유닛(24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Z축 이송유닛(230)과, Z축 이송유닛(230)을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유닛(220)과, Y축 이송유닛(220)을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이송유닛(210)으로 구성되어, 클램프유닛(240)을 매개로 경품배치부(110) 상에 배치된 경품을 집어 배출구(120)로 낙하시키는 상품배출장치(200)와; X축 이송유닛(210)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X축 이송입력유닛(310)과, Y축 이송유닛(220)이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Y축 이송입력유닛(320)과, Z축 이송유닛(230)이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Z축 이송입력유닛(330), 및 클램프유닛(240)이 경품을 집을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클램프입력유닛(340)으로 구성된 제어신호입력장치(300)와; 제어신호입력장치(300)로부터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품배출장치(20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장치(400)를 구비하는 아케이드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X축 이송입력유닛(310)과 Y축 이송입력유닛(320), Z축 이송입력유닛(330) 및 클램프입력유닛(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가능한 핸들(H)과, 상기 핸들(H)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는 회전감지센서(S)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품배출장치의 좌우·전후· 상하이동 및 집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입력장치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핸들 및 핸들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를 적용해 줌으로서, 핸들을 회전시키는 속도에 따라 상품배출장치가 천천히 이동되거나 빠르게 이동되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더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품배출장치의 좌우·전후· 상하이동 및 집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입력장치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핸들 및 핸들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를 적용해 줌으로서, 핸들을 회전시키는 속도에 따라 상품배출장치가 천천히 이동되거나 빠르게 이동되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더 유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어진 시간 내에 내부에 수납된 경품을 크레인방식으로 인양하여 획득할 수 있는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품인출 게임기는 게임기의 기능과 성능에 따라서 많은 것들이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크레인 방식의 게임기는 주화투입구에 주화를 넣으면 기기가 작동하게 되고, 이때 사용자는 조작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집게가 달려 있는 크레인 아암이 전후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크레인 아암을 위치시킨 다음 선택버튼을 누르게 되면 크레인 아암이 하강하여 경품을 집어 올인 후 게임기 밖으로 통하는 유출구 입구로 경품을 이동시켜 이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크레인 방식의 게임기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8092호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본체(11)의 내부에 저장된 물체(50)를 전후, 좌우방향으로 이송하는 포획체(20)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포획집게(21)로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크레인형 오락기(10)에 있어서, 본체(11)의 내상부 후방 일측에 전후 구동모터(31)를 설치하고, 그 회전축(31a)에 결합되는 구동풀리(32)와 본체(11)의 내상부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 회전연결봉(35)의 일측에 설치되는 연결풀리(34)의 사이 및 가로 회전연결봉(33)의 타측에 설치되는 연결풀리(35)와 본체(11)의 내상부 후방 타측에 설치되는 지지풀리(36)의 사이에 각각 전후 타이밍벨트(37)를 설치하는 한편, 본체(11)의 내상부 전방 일측에 좌우 구동모터(41)를 설치하고, 그 회전축(41a)에 결합되는 구동풀리(42)와 본체(11)의 내상부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세로 회전연결봉(43)의 전방에 설치되는 연결풀리(44)의 사이 및 세로 연결 회전연결봉(43)의 외주에 설치된 연결부싱(45)에 마련되는 접속풀리(45a)와 일측 전후 타이밍벨트(37)에 연결된 지지브라켓트(38)에 설치되는 지지풀리(46)의 사이에 각각 좌우 타이밍벨트(47)가 설치되며, 포획체(20)의 케이스(21) 전방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트(28)를 후방 좌우 타이밍벨트(47)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각 타이밍벨트(37)(38)를 통해 오동작이나 고장의 우려 없이 포획체(20)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므로 크레인형 오락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그의 상품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근본적으로 와이어를 매개로 포획체를 하강시켜 경품을 집어야 하기 때문에 하강과정에 와이어가 쉽게 흔들려 목표물인 경품을 공략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게임을 통해 얻게 되는 성취감이나 흥미를 쉽게 잃어버려 게임을 불신하게 되거나 게임을 회피하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어진 시간 내에 자유로운 속도 가변을 통해 게임의 재미 및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품이 수용되는 경품배치부와, 경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내부에 구비된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설되는 클램프유닛과, 클램프유닛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Z축 이송유닛과, Z축 이송유닛을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유닛과, Y축 이송유닛을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이송유닛으로 구성되어, 클램프유닛을 매개로 경품배치부 상에 배치된 경품을 집어 배출구로 낙하시키는 상품배출장치와; X축 이송유닛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X축 이송입력유닛과, Y축 이송유닛이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Y축 이송입력유닛과, Z축 이송유닛이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Z축 이송입력유닛, 및 클램프유닛이 경품을 집을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클램프입력유닛으로 구성된 제어신호입력장치와; 제어신호입력장치로부터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품배출장치를 동작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아케이드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X축 이송입력유닛과 Y축 이송입력유닛, Z축 이송입력유닛 및 클램프입력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회전감지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품배출장치는,
Z축 이송유닛과 클램프유닛을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입력장치는,
회전유닛이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회전입력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회전입력유닛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회전유닛을 동작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품배출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2가지 이상의 동작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제어신호입력선택유닛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 쌍을 이루는 하나의 핸들과 하나의 회전감지센서가 2가지 이상의 동작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Z축 이송유닛은,
Y축 이송블록 또는 회전체에 설치되는 외통과;
이송너트를 매개로 외통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내통과;
외통에 내설되며 제어장치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볼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제3구동모터와;
제3구동모터에 설치되는 볼스크류와;
내통에 내설되며 볼스크류에 왕복이송가능하게 체결되는 이송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클램프유닛은,
내통의 말단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내설되며 제어장치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볼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제4구동모터와;
제4구동모터에 설치되는 볼스크류와;
볼스크류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이송너트와;
일단이 이송너트의 외면에 설치되며 타단에 연결핀이 형성된 링크와;
링크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도록 이송너트에 삽입되어 링크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과;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중심축과, 링크의 연결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공을 갖추고서, 이송너트에 의해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다수의 클램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신호입력장치로 한 쌍을 이루는 하나의 핸들과 회전감지센서 및 제어신호입력선택유닛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구분동작을 통해 상품배출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마치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연출할 수 있어 게임의 재미를 한층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제어신호입력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 역시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품배출장치의 좌우·전후· 상하이동 및 집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입력장치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핸들 및 핸들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를 적용해 줌으로서, 핸들을 회전시키는 속도에 따라 상품배출장치가 천천히 이동되거나 빠르게 이동되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더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자리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유닛을 보강해 줌으로서 경품의 위치가 틀어져 있는 경우라도 게임자는 제자리 회전 기능을 통해 경품을 쉽고 간편하게 집을 수 있어 재미를 한층더 업그레이드시켜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회전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Z축 이송유닛 및 클램프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Z축 이송유닛만 따로 발췌하여 보인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클램프유닛만 따로 발췌하여 보인 요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의 제4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회전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Z축 이송유닛 및 클램프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Z축 이송유닛만 따로 발췌하여 보인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클램프유닛만 따로 발췌하여 보인 요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의 제4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는, 케이스(100)와 상품배출장치(200), 제어신호입력장치(300) 및 제어장치(4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크게 본체(100a)와 도어(100b)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a)는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형상의 함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경품배치부(110)를 매개로 공간이 구획되며, 경품배치부(110)의 일측에는 경품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품배치부(110) 상에는 경품이 안치되어 보관된다.
또한, 상기 경품배치부(110)를 기준으로 하측에는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된 경품이 도어(100b)에 구비된 경품인출구(170)로 안내될 수 있도록 경사판(130)이 구비되며, 경품배치부(110)와 경사판(130) 사이에는 배출된 경품의 충격을 완충해주는 완충판(14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a)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게임기를 용이하게 운반 및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할 수 있도록 캐스터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00b)는 본체(100a)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공지의 문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일측에는 동전과 지폐를 구분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화폐투입구(150)가 설치되고, 중앙에는 제어신호입력장치(300)를 조작시 경쾌한 음을 발생시켜 흥미를 유발시키는 스피커(160)가 형성되며, 타측 하단부에는 낙하된 경품을 꺼낼 수 있도록 경품인출구(170)가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도어(100b)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a)와 도어(100b)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경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180)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보다 바람직한 설명을 위해 제어신호입력장치(300)를 먼저 설명하고, 그 다음 상품배출장치(200)를 설명한다.
참고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입력장치(300)는 별도의 시작버튼과 시간표시부(예를 들면, 잔여 시간 및 잔여 판수가 화면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입력장치(300)는 한 쌍을 이루는 하나의 핸들(H)과 회전감지센서(S) 및 제어신호입력선택유닛(360)으로 구성되어 상품배출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입력수단으로 이용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100)의 도어(100b)에 설치(도 1 내지 도 3 참조)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입력장치(300)는, 상품배출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2가지 이상의 동작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제어신호입력선택유닛(360)을 구비하며, 한 쌍을 이루는 하나의 핸들(H)과 하나의 회전감지센서(S)가 2가지 이상의 동작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어신호입력선택유닛(360)은, 좌우이동과 전후이동, 상하이동 및 집기가 가능하도록 전환하는 선택레버(RV)와, 선택레버(RV)의 위치(예를 들면, 전후, 좌우, 상하, 집기)를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PS)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감지센서(PS)는 기계식 또는 전자식센서로서, 선택레버(RV)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며, 하나의 핸들(H)을 통해 2가지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감지센서(S)로는 공지의 엔코더(encoder)를 적용하였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엔코더(encoder)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도 변형 실시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레버(RV)를 좌우위치에 놓게 되면 위치감지센서(PS)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좌우이동을 담당하는 제1구동모터(211)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되며, 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X축 이송유닛(210)의 제1구동모터(211)에 의해 Y축 이송유닛(220)과 Z축 이송유닛(230) 및 클램프유닛(240)이 X축 방향(좌우방향)으로 이송(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택레버(RV)를 전후위치에 놓게 되면 위치감지센서(PS)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전후이동을 담당하는 제2구동모터(221)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되며, 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2구동모터(221)에 의해 Z축 이송유닛(230)과 클램프유닛(240)이 Y축 방향(좌우방향)으로 이송(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레버(RV)을 상하위치에 놓게 되면 위치감지센서(PS)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상하이동을 담당하는 제3구동모터(233)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되며, 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Z축 이송유닛(220)의 제3구동모터(233)에 의해 클램프유닛(240)이 Z축 방향(상하방향)으로 이송(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레버(RV)을 집기위치에 놓게 되면 위치감지센서(PS)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집기를 담당하는 제4구동모터(242)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되며, 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클램프유닛(240)의 제4구동모터(242)에 의해 클램프(244)가 벌어지면서 경품을 파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작방식을 통해 마치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연출할 수 있어 게임의 재미를 한층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제어신호입력장치(3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 역시 기대해 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서, 한 쌍을 이루는 하나의 핸들(H)과 회전감지센서(S)가 2가지 이상의 동작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기재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두 개의 핸들(H)과 회전감지센서(S)를 구비하여 하나의 핸들(H)과 회전감지센서(S)를 통해서는 좌우, 전후, 회전을 담당토록 하고, 다른 하나의 핸들(H)과 회전감지센서(S)를 통해서는 상하, 집기를 담당토록 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그 실시 예는 얼마든지 변형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품배출장치(2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상품배출장치(200)는 케이스(100)에 내설되는 클램프유닛(240)과, 클램프유닛(24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Z축 이송유닛(230)과, Z축 이송유닛(230)을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유닛(220)과, Y축 이송유닛(220)을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이송유닛(210)으로 구성되어, 클램프유닛(240)을 매개로 경품배치부(110) 상에 배치된 경품을 집어 배출구(120)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X축 이송유닛(210)은, 제어장치(40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제1구동모터(211)와; 제1구동모터(211)에 고정되어 강제회전되는 피동풀리(212)와; 피동풀리(212)의 반대편(도 3 기준으로 좌측)에 설치되어 좌우벨트(214)를 매개로 함께 연동하는 종동풀리(213)와; 피동풀리(212)와 종동풀리(213)에 걸려 X축 이송블록(216)을 좌우이송시키는 좌우벨트(214)와;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215)와; 좌우벨트(214)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16a)와, 가이드바(215)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부재(216b)를 갖춘 X축 이송블록(216)으로 구성된다.
상기 Y축 이송유닛(220)은, X축 이송블록(216)에 설치되어 제어장치(40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제2구동모터(221)와; 제2구동모터(221)에 고정되어 강제회전되는 피동풀리(222)와; 피동풀리(222)의 반대편(도 2 기준으로 우측)에 설치되어 전후벨트(224)를 매개로 함께 연동하는 종동풀리(223)와; 피동풀리(222)와 종동풀리(223)에 걸려 Y축 이송블록(226)을 전후이송시키는 전후벨트(224)와;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되도록 X축 이송블록(216)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225)와; 전후벨트(224)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26a)와, 가이드바(225)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부재(226b)를 갖춘 Y축 이송블록(226)으로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Z축 이송유닛(230)은, Y축 이송블록(226)에 설치되는 외통(231)과; 이송너트(235)를 매개로 외통(231)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내통(232)과; 외통에 내설되며 제어장치(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볼스크류(234)를 정·역회전시키는 제3구동모터(233)와; 제3구동모터(233)에 설치되는 볼스크류(234)와; 내통(232)에 내설되며 볼스크류(234)에 왕복이송가능하게 체결되는 이송너트(235)로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외통(231)과 내통(232)은 다면체통이거나 또는 원통인 경우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홈과, 홈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를 형성하여 볼스크류(234)의 회전을 통한 이송너트(235)의 이송시 내통(232)이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이송수단으로서, 볼스크류(234)와 이송너트(235)를 적용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랙과 피니언 같은 공지의 수단으로도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유닛(240)은, 내통(232)의 말단에 결합되는 하우징(241)과; 하우징(241)에 내설되며 제어장치(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볼스크류(243)를 정·역회전시키는 제4구동모터(242)와; 제4구동모터(242)에 설치되는 볼스크류(243)와; 볼스크류(243)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이송너트(244)와; 일단이 이송너트(244)의 외면에 설치되며 타단에 연결핀(245a)이 형성된 링크(245)와; 링크(245)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도록 이송너트(244)에 삽입되어 링크(245)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246)과; 하우징(24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중심축(247a)과, 링크(245)의 연결핀(245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공(247b)을 갖추고서, 이송너트(244)에 의해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다수의 클램프(247)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클램프유닛(240)의 클램프(247)를 오므리거나 벌리는 수단으로 제4구동모터(242)와 볼스크류(243) 및 이송너트(244)를 기재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솔레노이드의 축에 클램프(247)의 일단을 설치할 경우 축의 승강에 따라 클램프(247)가 오므려지거나 벌려질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수단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도 적용 실시가능하다.
한편, 경품의 위치가 틀어져 있는 경우 게임자가 클램프유닛(240)을 이용하여 경품을 집고 싶어도 쉽게 집을 수 없는 문제가 있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의 경우 Z축 이송유닛(230)과 클램프유닛(240)을 제자리에서 축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유닛(250)을 보강 구비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상품배출장치(200)는 회전유닛(250)을 더 포함하고, 제어신호입력장치(300)의 제어신호입력선택유닛(360)은 선택레버(RV)를 매개로 회전유닛(2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핸들(H)과 회전감지센서(S)를 매개로 동작제어신호를 제어장치(400)에 입력하며, 제어장치(400)는 회전감지센서(S)로부터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회전유닛(250)을 동작제어되도록 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유닛(250)은, Y축 이송블록(226)에 설치되며 제어장치(40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제5구동모터(251)와; Y축 이송블록(226)에 설치되며 축회전수단(252)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제5구동모터(251)에 회전시 함께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체(253)와; 제5구동모터(251)와 회전체(253)을 연결하는 축회전수단(25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축회전수단(252)은 공지의 베벨기어(bevel gear)이며, 베벨기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신호입력선택유닛(360)의 선택레버(RV)를 회전위치에 놓게 되면 위치감지센서(PS)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회전을 담당하는 제5구동모터(251)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되며, 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5구동모터(251)와 축회전수단(252)에 의해 회전체(253) 및 회전체(253)에 결합된 Z축 이송유닛(230)과 클램프유닛(240)이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작을 통해 경품을 쉽고 간편하게 집을 수 있어 게임자의 흥미를 더욱더 유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회전유닛(250)을 통형타입으로 제조된 Z축 이송유닛(230)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재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와이어를 매개로 승·하강되는 Z축 이송유닛에도 얼마든지 적용실시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어(100b)에 형성된 화폐투입기(150)에 화폐를 투입한다.
상기와 같이 화폐투입기(150)에 화폐가 투입되면 화폐투입기(150)에 내설된 화폐투입감지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잔여 시간 및 잔여 판수가 시간표시부(미도시)에 표현되면서 정해진 시간이 카운트다운(countdown)되며, 비로소 제어신호입력장치(300)를 구성하는 제어신호선택유닛(310)과 핸들(H) 및 회전감지센서(S)을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 상품배출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신호선택유닛(310)의 조작순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 전후 → 회전 → 상하 → 집기 순으로 설명하며, 이 순서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신호선택유닛(310)을 구성하는 선택레버(RV)를 좌우위치에 놓게 되면 위치감지센서(PS)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좌우이동을 담당하는 제1구동모터(211)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되며, 이때 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H)의 회전을 회전감지센서(S)가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회전감지센서(S)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매개로 이에 상응하게 상품배출장치(200)의 X축 이송유닛(210)을 동작제어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장치(400)는 핸들(H)의 회전감지센서(S)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매개로 이에 상응하게 제1구동모터(211)를 동작제어하여 제1구동모터(211)를 구동시키게 되고, 제1구동모터(211)의 구동으로 인해 피동풀리(212)가 강제구동되며, 피동풀리(212)의 구동으로 인해 좌우벨트(214)를 매개로 연결된 종동풀리(213)가 함께 연동되면서 좌우벨트(214)에 고정부재(216a)을 매개로 설치된 X축 이송블록(216)이 이송부재(216b)를 매개로 가이드바(215)를 따라 X축 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X축 이송블록(216)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 이후에는 선택레버(RV)를 전후위치에 놓고 핸들(H)을 이용하여 Y축 이송블록(226)과 회전유닛(250), Z축 이송유닛(240) 및 클램프유닛(240)을 전후방향(Y축 방향)으로 이송(이동)시켜 주면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선택레버(RV)를 전후위치에 놓게 되면 위치감지센서(PS)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전후이동을 담당하는 제2구동모터(221)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된다.
그 다음, 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돌리게 되면, 핸들(H)의 회전을 회전감지센서(S)가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회전감지센서(S)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매개로 이에 상응하게 해당 제2구동모터(221)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제2구동모터(221)의 구동으로 인해 피동풀리(222)가 강제구동되며, 피동풀리(222)의 구동으로 인해 전후벨트(224)를 매개로 연결된 종동풀리(223)가 함께 연동되면서 전후벨트(224)에 고정부재(226a)을 매개로 설치된 Y축 이송블록(226)이 이송부재(226b)를 매개로 가이드바(225)를 따라 Y축 방향(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Y축 이송블록(226)을 경품이 있기 위치까지 이동된 이후에는 Y축 이송블록(226)에 설치된 회전유닛(250), Z축 이송유닛(230), 클램프유닛(240)을 이용하여 경품을 집으면 된다.
먼저, 상기 회전유닛(250)부터 설명한다.
상기 선택레버(RV)를 회전위치에 놓게 되면 위치감지센서(PS)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회전을 담당하는 제5구동모터(251)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된다.
그 다음, 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돌리게 되면 핸들(H)의 회전을 회전감지센서(S)가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회전감지센서(S)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매개로 이에 상응하게 해당 제5구동모터(251)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제5구동모터(251)의 구동으로 인해 축회전수단(252)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회전체(253)가 제자리에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체(253)에 결합된 Z축 이송유닛(230) 및 클램프유닛(240)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유닛(240)을 경품을 집기 편한 위치까지 회전시켜 준 이후에는 선택레버(RV)를 상하위치에 놓고 핸들(H)을 이용해 Z축 이송유닛(230)을 조작하여 클램프유닛(240)을 하강시켜 주면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선택레버(RV)를 상하위치에 놓게 되면 위치감지센서(PS)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승강을 담당하는 제3구동모터(233)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된다.
그 다음, 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돌리게 되면 핸들(H)의 회전을 회전감지센서(S)가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회전감지센서(S)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매개로 이에 상응하게 해당 제3구동모터(233)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제3구동모터(233)의 구동으로 인해 볼스크류(234)가 회전하게 되며, 이송너트(235)를 매개로 볼스크류(234)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며 외통(231)에 삽입되어 있던 내통(232)이 경품을 향해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Z축 이송유닛(230)에 의해 클램프유닛(240)이 경품에 근접되면, 선택레버(RV)를 집기위치에 놓고 핸들(H)을 이용해 클램프유닛(240)을 조작해 경품을 집으면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선택레버(RV)를 집기위치에 놓게 되면 위치감지센서(PS)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제4구동모터(242)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된다.
그 다음, 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돌리게 되면 핸들(H)의 회전을 회전감지센서(S)가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회전감지센서(S)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매개로 이에 상응하게 해당 제4구동모터(242)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제4구동모터(242)의 구동으로 인해 볼스크류(243)가 회전하게 되면 이송너트(244)와 링크(245)가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하우징(241)과 링크(245)에 축 연결된 클램프(247)가 중심축(247a)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공(247b)은 링크(245)의 연결핀(245a)을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오무려져 있던 다수의 클램프(247)가 벌어지면서 경품을 기준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핸들(H)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경품을 파지하게 되며, 주어진 시간이 전부 소진되거나 또는 클램프유닛(240)이 경품을 파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하여 경품을 배출구(120)로 낙하시키게 된다.
참고로, 상기 배출구(120)로 낙하된 경품은 경사판(130) 및 완충판(140)을 지나 경품인출구(170)에 배치되며 게임자는 경품인출구(170)를 열고 낙하된 경품을 인출하면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체적인 구성은 앞서 언급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하며, 다만, 제어신호입력선택유닛(360)이 선택레버(RV)를 이용한 조작방식이 아니라 발로 밞아 제어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선택스위치(SW)방식이며, 선택스위치(SW)를 한번 씩 발로 밞을 때 마다(예를 들면, 전후, 좌우, 회전, 상하, 집기) 제어장치(400)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하나의 핸들(H)은 2가지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선택스위치(SW)는 공지의 풋스위치(foot-switch)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한 쌍을 이루는 하나의 핸들(H)과 하나의 회전감지센서(S) 그리고, 좌우이동과 전후이동, 회전, 상하이동 및 집기가 가능하도록 전환하는 선택스위치(SW)로 구성되며, 선택스위치(SW)의 조작을 통해 핸들(H)은 적어도 2가지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스위치(SW)를 한번 밟으면 이를 제어장치(400)가 감지하여 좌우이동을 담당하는 제1구동모터(211)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되며, 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X축 이송유닛(210)의 제1구동모터(211)에 의해 Y축 이송유닛(220)과 회전유닛(250), Z축 이송유닛(230) 및 클램프유닛(240)이 X축 방향(좌우방향)으로 이송(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택스위치(SW)를 한번 더 밟으면 이를 제어장치(400)가 감지하여 전후이동을 담당하는 제2구동모터(221)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되며,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2구동모터(221)에 의해 회전유닛(250)과 Z축 이송유닛(230) 및 클램프유닛(240)이 Y축 방향(좌우방향)으로 이송(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스위치(SW)를 한번 더 밟으면 이를 제어장치(400)가 감지하여 회전을 담당하는 제5구동모터(251)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되며, 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5구동모터(251)와 축회전수단(252)에 의해 회전체(253) 및 회전체(253)에 결합된 Z축 이송유닛(230)과 클램프유닛(240)이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스위치(SW)를 한번 더 밟으면 이를 제어장치(400)가 감지하여 좌우이동을 담당하는 제3구동모터(233)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되며, 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Z축 이송유닛(220)의 제3구동모터(233)에 의해 클램프유닛(240)이 Z축 방향(상하방향)으로 이송(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스위치(SW)를 한번 더 밟으면 이를 제어장치(400)가 감지하여 좌우이동을 담당하는 제4구동모터(211)의 동작을 제어할 준비를 하게 되고, 핸들(H)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클램프유닛(240)의 제4구동모터(242)에 의해 클램프(244)가 경품을 기준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핸들(H)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경품을 파지하게 되며, 주어진 시간이 전부 소진되거나 또는 클램프유닛(240)이 경품을 파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하여 경품을 배출구(120)로 낙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작방식을 통해 게임의 재미를 한층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제어신호입력장치(30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 역시 기대해 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선택스위치(SW)에 의한 동작준비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체적인 구성은 앞서 언급한 제1·2실시 예와 동일하며, 다만, 제어신호입력장치(300)는 X축 이송입력유닛(310)과 Y축 이송입력유닛(320), Z축 이송입력유닛(330) 및 클램프입력유닛(340)를 구비하되, 여기에 회전입력유닛(350)이 더 보강 구비되며, 상품배출장치(200)는 X축 이송유닛(210)과 Y축 이송유닛(220), Z축 이송유닛(230) 및 클램프유닛(240)으로 구성되되, 여기에 회전유닛(250)이 더 보강 구비된다.
상기 X축 이송입력유닛(310)과 Y축 이송입력유닛(320), Z축 이송입력유닛(330), 클램프입력유닛(340) 및 회전입력유닛(350)은 각각 X축 이송유닛(210)과 Y축 이송유닛(220), Z축 이송유닛(230), 클램프유닛(240) 및 회전유닛(250)이 제어장치(400)에 의해 상응하게 동작제어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기구이다.
참고로, 상기 회전유닛(25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미 제1실시 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X축 이송입력유닛(310)과 Y축 이송입력유닛(320), Z축 이송입력유닛(330), 클램프입력유닛(340) 및 회전입력유닛(350)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가능한 핸들(H)과, 핸들(H)의 회전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장치(400)로 출력하는 회전감지센서(S)로 구성되고, 제어장치(400)는 회전감지센서(S)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매개로 이에 상응하게 해당 구동모터(211,221,233,242,251)를 동작제어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일실시 예로서, 상기 X축 이송입력유닛(310)과 Y축 이송입력유닛(320) 및 Z축 이송입력유닛(330)으로는 핸들(H)을 적용하였고, 클램프입력유닛(340)과 회전입력유닛(350)으로는 손으로 눌러서 동작시키는 푸쉬스위치(SW')를 적용하였으며, 회전감지센서(S)로는 공지의 엔코더(encoder)를 적용하였다.
참고로, 상기 X축 이송입력유닛(310)과 Y축 이송입력유닛(320), Z축 이송입력유닛(330), 클램프입력유닛(340) 및 회전입력유닛(350)으로 적용된 핸들(H)과 푸쉬스위치(SW')는 필요에 따라 적용순서가 얼마든지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X축 이송입력유닛(310)만 핸들(H)을 적용하고, Y축 이송입력유닛(320)과 Z축 이송입력유닛(330), 클램프입력유닛(340) 및 회전입력유닛(350)은 푸쉬스위치(SW')를 적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회전감지센서(S)로 엔코더(encoder)를 적용 실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엔코더(encoder)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도 변형실시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X축 이송입력유닛(310)으로 적용된 핸들(H;도 9 기준으로 정면에 부설)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돌리게 되면, 핸들(H)의 회전을 회전감지센서(S)가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핸들(H)의 회전감지센서(S)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매개로 이에 상응하게 제1구동모터(211)를 동작제어하여 제1구동모터(211)를 구동시키게 되며, 제1구동모터(211)의 구동으로 인해 피동풀리(212)가 강제구동되며, 피동풀리(212)의 구동으로 인해 좌우벨트(214)를 매개로 연결된 종동풀리(213)가 함께 연동되면서 좌우벨트(214)에 고정부재(216a)을 매개로 설치된 X축 이송블록(216)이 이송부재(216b)를 매개로 가이드바(215)를 따라 X축 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Y축 이송입력유닛(320)으로 적용된 핸들(H;도 9 기준으로 좌측에 부설)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돌리게 되면, 핸들(H)의 회전을 회전감지센서(S)가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회전감지센서(S)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매개로 이에 상응하게 해당 제2구동모터(221)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제2구동모터(221)의 구동으로 인해 피동풀리(222)가 강제구동되며, 피동풀리(222)의 구동으로 인해 전후벨트(224)를 매개로 연결된 종동풀리(223)가 함께 연동되면서 전후벨트(224)에 고정부재(226a)을 매개로 설치된 Y축 이송블록(226)이 이송부재(226b)를 매개로 가이드바(225)를 따라 Y축 방향(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Z축 이송입력유닛(330)으로 적용된 핸들(H;도 9 기준으로 우측에 부설)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돌리게 되면, 핸들(H)의 회전을 회전감지센서(S)가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회전감지센서(S)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매개로 이에 상응하게 해당 제3구동모터(233)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제3구동모터(233)의 구동으로 인해 볼스크류(234)가 회전하게 되며, 이송너트(235)를 매개로 볼스크류(234)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며 외통(231)에 삽입되어 있는 내통(232)이 경품을 향해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H)을 회전시키는 속도에 따라 이동(이송)속도를 천천히 하거나 또는 빠르게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더 유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경품의 위치가 틀어져 있어 집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회전입력유닛(350)을 이용하여 회전유닛(250)을 동작제어하면 된다.
즉, 상기 회전입력유닛(350)으로 적용된 푸쉬스위치(SW')를 누르게 되면, 제어장치(400)가 이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게 해당 제5구동모터(251)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제5구동모터(251)의 구동으로 인해 축회전수단(252)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회전체(253)가 제자리에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체(253)에 결합된 Z축 이송유닛(230) 및 클램프유닛(240)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클램프유닛(240)을 경품을 집기 편한 위치까지 회전시켜 준 이후에는 클램프입력유닛(340)으로 적용된 푸쉬스위치(SW')를 누르게 되면, 제어장치(400)가 이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게 해당 제4구동모터(242)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제4구동모터(242)의 구동으로 인해 볼스크류(243)가 회전하게 되면 이송너트(244)와 링크(245)가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하우징(241)과 링크(245)에 축 연결된 클램프(247)가 중심축(247a)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공(247b)은 링크(245)의 연결핀(245a)을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오무려져 있던 다수의 클램프(247)가 벌어지면서 경품을 파지하게 되며, 주어진 시간이 전부 소진되거나 또는 클램프유닛(240)이 경품을 파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하여 경품을 배출구(120)로 낙하시키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의 제4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체적인 구성은 앞서 언급한 제1 내지 3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제어신호입력장치(300)에 설치되는 X축 이송유닛입력유닛(320)과 Y축 이송유닛입력유닛(330), Z축 이송유닛입력유닛(340), 클램프입력유닛(340) 및 회전입력유닛(350)으로 적용된 기구만 다르다.
본 발명의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상품배출장치(200)의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는 X축 이송유닛(210)과,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Y축 이송유닛(220)을 조작하기 위한 기구로 스틱(ST)을 적용 실시하였고,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는 Z축 이송유닛(230)과 회전유닛(250)을 조작하기 위한 기구로 푸쉬스위치(SW')를 적용하였으며, 클램프유닛(240)을 조작하기 위한 기구로 핸들(H)을 적용하였다.
본 실시 예에서 적용된 핸들(H) 역시, 앞서 언급한 바 있는 핸들(H)과 마찬가지로, 핸들(H)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S)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X축 이송입력유닛(310)으로 적용된 스틱(ST)을 좌우로 조작하게 되면 제어장치(400)가 이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게 해당 제1구동모터(211)를 동작제어하게 되고, 제1구동모터(211)의 구동으로 인해 피동풀리(212)가 강제구동되며, 피동풀리(212)의 구동으로 인해 좌우벨트(214)를 매개로 연결된 종동풀리(213)가 함께 연동되면서 좌우벨트(214)에 고정부재(216a)을 매개로 설치된 X축 이송블록(216)이 이송부재(216b)를 매개로 가이드바(215)를 따라 X축 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Y축 이송입력유닛(320)으로 적용된 스틱(ST)을 전후로 조작하게 되면 제어장치(400)가 이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게 해당 제2구동모터(221)를 동작제어하게 되고, 제2구동모터(221)의 구동으로 인해 피동풀리(222)가 강제구동되며, 피동풀리(222)의 구동으로 인해 전후벨트(224)를 매개로 연결된 종동풀리(223)가 함께 연동되면서 전후벨트(224)에 고정부재(226a)을 매개로 설치된 Y축 이송블록(226)이 이송부재(226b)를 매개로 가이드바(225)를 따라 Y축 방향(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Z축 이송입력유닛(330)으로 적용된 푸쉬스위치(SW')를 누르게 되면, 제어장치(400)가 이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게 해당 제5구동모터(251)를 동작제어하게 되고, 제3구동모터(233)의 구동으로 인해 볼스크류(234)가 회전하게 되며, 이송너트(235)를 매개로 볼스크류(234)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며 외통(231)에 삽입되어 있는 내통(232)이 경품을 향해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한편, 경품의 위치가 틀어져 있어 집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회전입력유닛(350)을 이용하여 회전유닛(250)을 동작제어하면 된다.
즉, 상기 회전입력유닛(350)으로 적용된 푸쉬스위치(SW')를 누르게 되면, 제어장치(400)가 이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게 해당 제5구동모터(251)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제5구동모터(251)의 구동으로 인해 축회전수단(252)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회전체(253)가 제자리에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체(253)에 결합된 Z축 이송유닛(230) 및 클램프유닛(240)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클램프유닛(240)을 경품을 집기 편한 위치까지 회전시켜 준 이후에는 클램프입력유닛(340)으로 적용된 핸들(H;도 10 기준으로 우측에 부설)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돌리게 되면, 핸들(H)의 회전을 회전감지센서(S)가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장치(400)는 회전감지센서(S)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매개로 이에 상응하게 해당 제4구동모터(242)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제4구동모터(242)의 구동으로 인해 볼스크류(243)가 회전하게 되면 이송너트(244)와 링크(245)가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하우징(241)과 링크(245)에 축 연결된 클램프(247)가 중심축(247a)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공(247b)은 링크(245)의 연결핀(245a)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오무려져 있던 다수의 클램프(247)가 경품을 기준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핸들(H)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클램프(247)가 경품을 파지하게 되며, 주어진 시간이 전부 소진되거나 또는 클램프유닛(240)이 경품을 파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하여 경품을 배출구(120)로 낙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케이스 100a: 본체 100b: 도어
110: 경품배치부 120: 배출구 130: 경사판
140: 완충판 150: 화폐투입구 160: 스피커
170: 경품인출구 200: 상품배출장치 210: X축 이송유닛
211: 제1구동모터 216: X축 이송블록 220: Y축 이송유닛
221: 제2구동모터 226: Y축 이송블록 230: Z축 이송유닛
233: 제3구동모터 240: 클램프유닛 242: 제4구동모터
250: 회전유닛 251: 제5구동모터
300: 제어신호입력장치 310: 제어신호입력선택유닛
320: X축 이송입력유닛 330: Y축 이송입력유닛
340: Z축 이송입력유닛 350: 클램프입력유닛
360: 회전입력유닛 400: 제어장치
H: 핸들 S: 회전감지센서 PS: 위치감지센서
RV: 선택레버 SW: 선택스위치 SW': 푸쉬스위치
ST: 스틱
110: 경품배치부 120: 배출구 130: 경사판
140: 완충판 150: 화폐투입구 160: 스피커
170: 경품인출구 200: 상품배출장치 210: X축 이송유닛
211: 제1구동모터 216: X축 이송블록 220: Y축 이송유닛
221: 제2구동모터 226: Y축 이송블록 230: Z축 이송유닛
233: 제3구동모터 240: 클램프유닛 242: 제4구동모터
250: 회전유닛 251: 제5구동모터
300: 제어신호입력장치 310: 제어신호입력선택유닛
320: X축 이송입력유닛 330: Y축 이송입력유닛
340: Z축 이송입력유닛 350: 클램프입력유닛
360: 회전입력유닛 400: 제어장치
H: 핸들 S: 회전감지센서 PS: 위치감지센서
RV: 선택레버 SW: 선택스위치 SW': 푸쉬스위치
ST: 스틱
Claims (5)
- 경품이 수용되는 경품배치부(110)와, 경품이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내부에 구비된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내설되는 클램프유닛(240)과, 클램프유닛(24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Z축 이송유닛(230)과, Z축 이송유닛(230)을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유닛(220)과, Y축 이송유닛(220)을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이송유닛(210)으로 구성되어, 클램프유닛(240)을 매개로 경품배치부(110) 상에 배치된 경품을 집어 배출구(120)로 낙하시키는 상품배출장치(200)와; X축 이송유닛(210)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X축 이송입력유닛(310)과, Y축 이송유닛(220)이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Y축 이송입력유닛(320)과, Z축 이송유닛(230)이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Z축 이송입력유닛(330), 및 클램프유닛(240)이 경품을 집을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클램프입력유닛(340)으로 구성되되, X축 이송입력유닛(310), Y축 이송입력유닛(320), Z축 이송입력유닛(330) 및 클램프입력유닛(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가능한 핸들(H)과, 상기 핸들(H)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장치(400)로 출력하는 회전감지센서(S)로 구성된 제어신호입력장치(300)와; 제어신호입력장치(300)로부터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품배출장치(20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장치(400)를 구비하는 아케이드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상품배출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2가지 이상의 동작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제어신호입력선택유닛(360)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 쌍을 이루는 하나의 핸들(H)과 하나의 회전감지센서(S)가 2가지 이상의 동작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배출장치(200)는,
Z축 이송유닛(230)과 클램프유닛(240)을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2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입력장치(300)는,
회전유닛(250)이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회전입력유닛(3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400)는,
회전입력유닛(350)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회전유닛(250)을 동작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Z축 이송유닛(230)은,
Y축 이송유닛(220) 또는 회전유닛(250)에 설치되는 외통(231)과;
이송너트(235)를 매개로 외통(231)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내통(232)과;
외통에 내설되며 제어장치(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볼스크류(234)를 정·역회전시키는 제3구동모터(233)와;
제3구동모터(233)에 설치되는 볼스크류(234)와;
내통(232)에 내설되며 볼스크류(234)에 왕복이송가능하게 체결되는 이송너트(2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유닛(240)은,
내통(232)의 말단에 결합되는 하우징(241)과;
하우징(241)에 내설되며 제어장치(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볼스크류(243)를 정·역회전시키는 제4구동모터(242)와;
제4구동모터(242)에 설치되는 볼스크류(243)와;
볼스크류(243)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이송너트(244)와;
일단이 이송너트(244)의 외면에 설치되며 타단에 연결핀(245a)이 형성된 링크(245)와;
링크(245)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도록 이송너트(244)에 삽입되어 링크(245)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246)과;
하우징(24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중심축(247a)과, 링크(245)의 연결핀(245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공(247b)을 갖추고서, 이송너트(244)에 의해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다수의 클램프(24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2841A KR101331216B1 (ko) | 2013-02-05 | 2013-02-05 |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2841A KR101331216B1 (ko) | 2013-02-05 | 2013-02-05 |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1216B1 true KR101331216B1 (ko) | 2013-11-19 |
Family
ID=4985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2841A KR101331216B1 (ko) | 2013-02-05 | 2013-02-05 |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121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04717A (ja) * | 2004-01-20 | 2005-08-04 | Samii Kk | 景品取得ゲーム機 |
JP2011088022A (ja) * | 2011-02-10 | 2011-05-06 | Taito Corp | 景品取得ゲーム機、景品取得ゲームシステム |
-
2013
- 2013-02-05 KR KR1020130012841A patent/KR1013312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04717A (ja) * | 2004-01-20 | 2005-08-04 | Samii Kk | 景品取得ゲーム機 |
JP2011088022A (ja) * | 2011-02-10 | 2011-05-06 | Taito Corp | 景品取得ゲーム機、景品取得ゲームシステ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16866B2 (ja) | 景品取得ゲーム装置 | |
EP1832319A1 (en) | Grabb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gripping force | |
KR101141717B1 (ko) | 상품인출 게임장치 | |
JP2023054251A (ja) | 景品取得ゲーム装置 | |
EP4009293B1 (en) | Coin processing apparatus | |
KR101292834B1 (ko) | 경품용 아케이드 게임기 | |
KR101331216B1 (ko) |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 | |
JP4190514B2 (ja) | 景品払い出しゲーム機 | |
KR101278607B1 (ko) | 물품 뽑기 게임기 | |
TW201330906A (zh) | 兩階段式送牌的洗牌機 | |
KR200390954Y1 (ko) | 물품 뽑기 오락기 | |
CN109993907B (zh) | 货斗及自动售货机 | |
KR20110080273A (ko) | 물품 뽑기 게임기 | |
JP3561067B2 (ja) | ゲーム装置 | |
KR20150001545U (ko) | 경품 게임 장치 | |
KR200347624Y1 (ko) | 물품 뽑기 오락기 | |
KR200370105Y1 (ko) | 자동차 로봇을 이용한 상품인출 오락기 | |
CN209044792U (zh) | 一种通过四肢协同操作的抓娃娃机 | |
CN207571840U (zh) | 一种娃娃机 | |
WO2024166488A1 (ja) | 景品取得ゲーム装置 | |
JP2004298410A (ja) | 弾球遊技機 | |
KR101165578B1 (ko) | 인간형 로봇을 이용한 자동 판매기 | |
KR102166926B1 (ko) |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 |
CN208240115U (zh) | 钞箱自动加钞清分一体机装置 | |
KR101976825B1 (ko) |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다지형 그리퍼 기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