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439B1 - 지지 마운트, 내부 골격부 및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와이퍼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지지 마운트, 내부 골격부 및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와이퍼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439B1
KR101330439B1 KR1020087012715A KR20087012715A KR101330439B1 KR 101330439 B1 KR101330439 B1 KR 101330439B1 KR 1020087012715 A KR1020087012715 A KR 1020087012715A KR 20087012715 A KR20087012715 A KR 20087012715A KR 101330439 B1 KR101330439 B1 KR 101330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element
retaining
wiper blade
pin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861A (ko
Inventor
자비에 부세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ublication of KR2008008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made in two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8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with protrusions cooperating with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7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the connector being suitable for receiving different types of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81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in additional element, e.g. sp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Toy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방향 관형체(18)를 포함하는 지지 마운트(12); 관형체(18) 내에 수용되는 종방향 수평 스트립 형태의 구조 요소(14); 및 지지 마운트(12) 상에 장착되어, 구동 아암에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한편, 연결 요소(16) 내의 제 위치에 구조 요소(14)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을 구비하는 것인 연결 요소(16)를 포함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10)를 제공한다. 연결 요소(16)의 로킹 수단은, 한편으로는 구조 요소(14)를 제 위치에 로킹하기 위한 종방향 로킹 수단을, 다른 한편으로는 구조 요소(14)를 제 위치에 로킹하기 위한 각도 방향 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지 마운트, 내부 골격부 및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COMPRISING A SUPPORT MOUNT, AN INTERNAL VERTEBRA AND A CONNECTING ELEMENT}
본 발명은, 구동 아암에 대한 연결 및 지지 마운트(support mount)에 대한 구조 요소의 체결을 제공하는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플랫 블레이드" 타입의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 와이퍼 블레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 및 종방향 주축을 갖는 관형체를 구비하는, 종방향으로의 주방향을 갖는 지지 마운트;
- 관형체 내에 수용되는 종방향 수평 스트립 형태의 구조 요소; 및
- 구동 아암에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연결 요소를 포함하며, 이 연결 요소는 지지 마운트 상에 장착되는 한편, 연결 요소 내의 제 위치에 구조 요소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인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얇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공을 주안점으로 하는 개념에 따르면, 와이퍼 블레이드 또는 와이퍼 고무 블레이드를 유지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관절형 구조가 생략되고, 강화용 종방향 골격부(stiffening longitudinal vertebra)와 중공 지지 마운트를 조합한 것이 적절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구조를 구성한다.
지지 마운트는, 내부에 종방향 수평 블레이드 형태의 골격부가 수용되는 관형체를 포함하는 종방향 섹션의 형상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마운트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하부 장착 후크를 포함한다.
골격부는, 닦일 유리 표면에 대해 와이퍼 블레이드를 압박할 수 있게 하는, 강성 재료(예컨대, 강철)로 제조된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핑 중에 구동 아암에 블레이드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요소를 포함하며, 이 연결 요소는 지지 마운트의 관형체 주위에 장착되고, 지지 마운트의 관형체 내부에 장착된 위치에서 골격부를 종방향 운동 중에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US-A-6 161 248 문헌은 "플랫 블레이드" 타입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연결 요소는, 골격부에 매칭되는 홈에 수용된 탄성 탭에 의해서 골격부에 연결된다.
FR-A-2 868 376 문헌은 "플랫 블레이드" 타입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연결 요소는, 골격부의 측면 에지에 마련된 노치 내에 수용되는 치형부(teeth)로 구성된 로킹 수단에 의해서 지지 마운트에 연결된다.
후자의 체결 기구에 대해 여러 시험이 실시되는 동안, 연결 요소와 골격부 사이에 틈새(clearances)가 발생하였다. 더 상세하게는, 이러한 문제점은, 골격부 내의 노치에 대한 치형부의 위치로부터 야기되는데, 이는 위치 설정 기준이 치형부 의 제1 쌍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여러 부품 또는 조립 수단에서의 공차로 인해 치형부의 제2 쌍이 해당 노치와 정확히 마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산업적인 관점으로부터 어쩔 수 없이, 골격부에서의 절단부는 그 에지에 직각 코너를 초래하게 되며, 직각 코너의 높이에서 치형부가 접촉하게 되면 치형부 형상 및 이에 상응하는 노치의 전체에 걸쳐 연장되지 않는 국부적인 접촉 영역을 야기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이용될 때, 틈새가 발생함으로 인해 치형부가 그 형상을 점진적으로 영구히 잃게 되어, 와이퍼 블레이드의 효율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 마운트 내의 장착 위치에서 골격부를 로킹하는 로킹 수단이 그 형상을 점진적으로 잃지 않도록 충분히 강성을 가지며, 와이퍼 블레이드의 여러 요소 사이의 틈새가 종방향뿐만 아니라 각도 방향에서도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타입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며, 여기서 지지 마운트 상에 연결 요소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은, 한편으로는 구조 요소를 제 위치에 로킹하기 위한 종방향 로킹 수단을,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요소 내의 제 위치에 구조 요소를 로킹하기 위한 각도 방향 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더 상세하게는, 이러한 특징으로, 연결 요소 내에서 구조 요소를 전 방향으로 로킹하기 위해서, 로킹 기능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 종방향 로킹 수단은, 구조 요소에 마련된 노치 내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고;
- 상기 핀은 총 2개 이상이고, 각 핀은 구조 요소의 양측에서 측면 에지에 마련된 노치 내에 수용되며;
- 각 노치는 해당 핀과 매칭되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 각도 방향 로킹 수단은 구조 요소의 측면 에지와 협력하는 유지 치형부를 포함하며;
- 각 유지 치형부의 횡방향 자유단은 지지 마운트 상에 연결 요소를 장착 및/또는 크림핑하는 동안에 구조 요소의 측면 에지 상에 압박되는 정지 표면을 포함하고;
- 핀 및 유지 치형부가 연결 요소의 측면 러그(lug) 상에 배치되며;
- 각 핀 및 각 유지 치형부는, 해당 측면 러그의 내부 수직 종방향면으로부터 연결 요소의 내부를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 각 핀 및 각 유지 치형부는, 핀 및/또는 유지 치형부의 양측에 수직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지 패드와 조합되며;
- 각 핀 및 각 유지 치형부는, 핀 및/또는 유지 치형부의 양측에 수직 배치된 상부 패드 및 하부 패드를 포함하는 한 쌍의 유지 패드와 조합되고;
- 상기 유지 치형부는 각 유지 패드에 대해 횡방향으로 후방에 위치 설정되며;
- 관형체의 측벽은, 연결 요소의 핀 및 유지 치형부의 정지 표면이 각각 관통하는 제1 측부 개구부 및 제2 측부 개구부를 포함하며;
- 상기 제1 측부 개구부 및 제2 측부 개구부는, 지지 마운트 상에 연결 요소(16)를 장착하기에 앞서 측벽을 절단함으로써 마련되고;
- 각 측부 개구부는 상부 절단부 및 하부 절단부를 포함하고, 해당 상부 유지 패드 및 하부 유지 패드가 삽입되며;
- 각 절단부 및 해당 유지 패드는 매칭 형상을 갖는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해석을 통해,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이 드러날 것이고, 이해를 위하여 첨부 도면이 참조될 것이다.
도 1은 연결 요소상에 마련된 로킹 수단이 나타나지 않는 대체로 공지된 "플랫 블레이드" 타입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연결 요소의 장착에 앞선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수평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연결 요소가 지지 마운트에 장착되어 있고, 작동중의 로킹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수직 방향, 종방향 및 횡방향의 방위는, 도면에 기재된 바와 같이 V, L, T 시스템에 따라 비한정적인 방식으로 선택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비슷한 또는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지시될 것이다.
도 1은,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기타 구성 요소, 즉 종방향 수평 블레이드 형상의 내부 골격부(14), 와이퍼 블레이드(10)가 구동 아암(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연결 요소(16) 및 와이핑 스크레이퍼(미도시)를 지탱하는 종방향으로의 주방향을 갖는 지지 마운트(12)를 포함하는 "플랫 블레이드" 타입의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공지된 일반적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연결 요소(16)는 마운트(12) 내에 골격부(14)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도 1에서는 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마운트(12)는, 수평 상부 벽(20), 수평 하부 벽(22) 및 두 개의 수직 종방향 측벽(24)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종방향 주축을 갖는 관형체(18)를 포함한다.
물론, 관형체(18)의 그러한 경계 선정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사실상, 관형체는, 이 관형체가 골격부(14)의 형상이 무엇이든지 간에 골격부(14)를 수용할 수 있는 한, 원 또는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마운트(12)는, 관형체(18)의 수평 상부 벽(2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연장되고, 자동차의 이동에 의해 생성된 바람의 작용하에 유리 표면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압박 힘을 생성하도록 공기역학적으로 형성된, 종방향 상부 립(26; upper rib)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지지 마운트(12)는, 두 개의 대향 종방향 하부 후크(28)로 이루어져, 하향 개방된 관형체(30)의 경계를 정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하부 장착 수단을 포함하며, 이에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매칭되는 백본(backbone)이 장착된다.
골격부(14)는 마운트(12)를 강화시키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구조 요소를 구성한다. 골격부(14)는, 다소 강성 재료(예컨대, 강철 또는 합성 재료)로 제조되고, 관형체(18) 내에 배치된 종방향 수평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연결 요소(16)는 종방향으로, 대략 마운트(12)의 중간에 장착되고, 마운트(12)의 관형체(18)에 겹쳐지는데, 즉 이는 수평 상부 벽(20) 위에서 그리고 측벽(24)의 양측에서 연결 요소(16)가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부 립(26; upper rib)은 개구부(32)를 포함하는데, 이 개구부(32)를 통과하여 연결 요소(16)가 마운트(12) 상에 장착된다.
연결 요소(16)는 두 개의 동일한 부품(33)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부품은 횡단 운동에 따라 관형체(18) 상에 서로 대향하게 위치 설정된 배열 상태로 장착된다.
연결 요소(16)의 각 부품(33)은 상부 베이스(36)를 포함하는데, 이 상부 베이스(36)는 관형체(18)의 수평 상부 벽(20)의 상면에 얹혀지는 것으로, 연결 요소(16)의 외측 부품(33)의 상부 베이스(36)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38)을 포함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 수단(38)은 연결 요소(16)의 각 부품(33)을 위한 보어(bore) 및 스탬(stem)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 요소(16)는 두 개의 하부 측면 러그(34)를 포함하고, 각각의 하부 측면 러그(34)는 해당 부품(33)의 상부 베이스(36)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관형 체(18)에 대해 연결 요소(16)가 횡방향으로 위치 설정되도록 마운트(12)의 관형체(18)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분포된다.
각 측면 러그(34)의 하부 자유단(34i)은 연결 요소(16)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관형체(18)의 수평 하부 벽(22)의 하부 면(22i)에 마주하여 연장하는 후크를 이룬다. 따라서, 각 측면 러그(34)의 하단(34i)은 관형체(18) 주위에 장착된 위치에서 연결 요소(16)의 수직 로킹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요소(16)는 지지 마운트(12)의 중공 관형체(18) 내의 장착 위치에서 골격부(14)를 로킹하기 위해 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연결 요소(16)의 로킹 수단은 두 가지 타입이 있다:
- 종방향 로킹 수단 및
- 각도 방향 로킹 수단.
두 가지 유형의 로킹 수단을 조합하여, 골격부(14)가 모든 방향에서 관형체(18) 내의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종방향 로킹 수단은, 연결 요소(16)의 각 부품(33)에 위치 설정된, 적어도 내부 횡방향 핀(40)을 포함한다. 이러한 핀(40)은 마운트의 관형체(18) 내에 장착된 위치에서 골격부(14)의 종방향 로킹을 제공하기 위해 골격부(14) 내에 마련된 노치(42)와 협력한다.
핀(40)은 측면 러그(34) 상에 마련된다.
핀(40)을 수용하는 노치(42)가 골격부(14)의 측면 에지(14a)에 마련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치(42)는 핀(40)의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 예컨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각 측면 러그(34)는 핀(40)을 포함하고, 따라서 골격부(14)의 각 측면 에지(14a)는 노치(42)를 포함한다.
각 핀(40)은 해당 측면 러그(34)의 내부 수직 종방향 면(34a)으로부터 연결 요소(16)의 내부를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핀(40)의 내부 자유단은 골격부(14)의 해당 노치(42) 내에 수용된다.
핀(40)은, 마운트 상에서 연결 요소(16)의 용이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고, 노치(42)와 핀(40)이 협력하여 연결 요소(16) 내에서 골격부(14)가 양호하게 종방향으로 기계적 유지된다.
각도 방향 로킹 수단은, 골격부(14)의 측면 에지(14a)와 협력하도록 연결 요소(16)의 각 부품(33) 상에 위치 설정된 내부 횡방향 유지 치형부(44)를 포함한다. 각 유지 치형부(44)는 장착 중에 골격부의 각 측면에 접촉하도록 의도된 정지 표면(45)을 포함한다.
이 경우, 각 측면 러그(34)는 핀(40)의 양측에 위치 설정된 두 개의 치형부(44)를 포함하고, 따라서 골격부(14)에 걸쳐 각 측면 에지(14a)는 두 개의 접촉 영역을 포함한다.
각 치형부(44)는 결합된 측면 러그(34)의 내부 수직 종방향 면(34a)으로부터 연결 요소(16)의 내부를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치형부(44)의 정지 표면(45)은 마운트(12) 상 연결 요소(16)의 장착 및/또는 크림핑 중에 골격부의 측면 에지(14a) 상에서 압박된다.
골격부의 측면에 대해 치형부(44)를 압박하는 것은, 마운트(12)와 연결 요소(16) 사이에서 각 운동하는 경우 비틀림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마운트 내에서 골격부가 수직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여러 방향에 따른 유지 기능을 이렇게 분리하는 것은, 로킹 수단을 소망의 유지 방향에 맞출 수 있게 하고 연결 요소(16)와 마운트(12) 간의 연결 품질 및 성능을 증진시킨다.
그러한 구성에 있어서, 노치(42)의 중심은 노치(42)를 제공하고 와이퍼 블레이드를 조립하기 위한 기준이다. 한 쌍의 핀(40)이 한 쌍의 노치(42)와 협력하고 있는 그러한 구성은, 연결 요소(16) 및 마운트(12)의 제조 및 조립을 위한 임의의 오차 또는 특정한 틈새를 요구하지 않는다.
더하여, 연결 요소(16)에 대해 관형체(18)를 유지하기 위해서, 핀(40) 및 치형부(44)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유지 패드,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유지 패드(58, 60)와 조합하도록 구성되고, 각 패드는 해당 측면 러그(34)의 내면(34a)의 핀의 양측 또는 치형부 상에 수직으로 위치 설정된다.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상기 패드(58, 60)는, 마운트(12) 상에 연결 요소(16)를 위치 설정하고 골격부(14)의 측면 에지(14a)와의 협력을 통해 연결 요소(16)에 대해 관형체(18)를 유지하도록 돕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핀(40) 및/또는 유지 치형부(44)와 조립된 상부 유지 패드(58) 및 하부 유지 패드(60)가 골격부(14)의 양측에서 수직 배치되고, 따라서 연결 요 소(16)에 대해 골격부(14)가 수직 종방향 위치 설정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마운트(12)에 장착되기 전후의 연결 요소(16)가 횡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장착에 앞서, 핀(40)이 노치(42)와 매칭되도록, 연결 요소(16)의 두 개의 부품(33)이 골격부(14)의 양측의 대향하는 측면 에지(14a) 상에 위치 설정된다.
정지 표면(45)이 마련된 치형부(44)는, 골격부(14)의 측면 에지에 마주하여, 각 핀(40)의 양측에 위치 설정되어 있다.
마운트(12)에 연결 요소(16)를 장착하고, 양 부품(33)을 예컨대 크림핑에 의하거나 로킹 수단(38)을 사용하여 고정시킨 후에, 핀(40)은 노치(42) 내에 수용되고 치형부(44)의 정지 표면(45)이 골격부(14)의 측면 에지(14a)에 대하여 압박된다.
게다가, 도 2 및 도 3에서 더 상세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관형체(18)의 측벽(24)은, 연결 요소(16) 상에 위치 설정된 치형부(44) 및 핀(40)과 협력하도록 의도되는 제1 측부 개구부(46a) 및 제2 측부 개구부(46b)를 포함한다.
상기 측부 개구부는, 골격부(14) 및 그 측면 에지(14a)에 직접 접근하게 하여, 그 골격부를 유지 또는 지지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제1 측부 개구부(46a)는, 각 노치(42)와 마주하여 위치 설정되고, 연결 요소(16)의 해당 핀(40)이 관통한다.
따라서, 핀(40)은, 해당 노치(42)의 바닥에서 수용되고, 연결 요소(16)에 대해 골격부(14)의 종방향 로킹을 개선시킨다.
제2 측부 개구부(46b)는, 제1 측부 개구부(46a)의 양측에 위치 설정되고, 해당 유지 치형부(44)의 정지 표면(45)이 관통한다.
따라서, 치형부(44)가 측부 개구부(46b)의 높이에 위치 설정되고, 정지 표면(45)이 골격부(14)의 측면 에지(14a)에 대하여 압박된다.
따라서, 상기 측부 개구부들은, 골격부(14) 및 그 측면 에지(14a)에 직접 접근하게 하여, 그 골격부를 유지 또는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측부 개구부(46a) 및 제2 측부 개구부(46b)는, 마운트(12) 상에 연결 요소(16)를 장착하기에 앞서 몰딩(moulding) 또는 동시 압출(co-extruding) 또는 절단 작업에 의해 마운트(12)를 제조하는 동안에 형성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부 개구부(46a, 46b)는, 상부 수평 벽(20) 내에 마련되어 마운트(12)의 내부를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절단부(52) 및 수평 하부 벽(22) 내에 마련되어 역시 마운트(12)의 내부를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절단부(56)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제로, 상부 절단부(52) 및 하부 절단부(56)로 구성되는 절단부의 각 쌍은, 제1 측부 개구부(46a) 및 제2 측부 개구부(46b)와 함께 단일 개구부를 이룬다.
상부 유지 패드(58) (횡단면도이기 때문에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없음) 및 하부 유지 패드(60)가 각각 상부 절단부(52) 및 하부 절단부(56)에 매칭되고, 이는 연결 요소(16)에 대한 지지 마운트(12)의 어떠한 틈새도 존재하지 않는 수평 배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절단부(52) 및 이에 매칭되 는 상부 패드(58)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더하여, 치형부(44)는, 상부 패드(58) 및 하부 패드(60)로부터 후방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골격부의 측면 에지(14a)는 상부 패드(58)와 하부 패드(60) 사이에 수용되고, 따라서 관형체(18) 내에 골격부(14)의 수직 배치를 제공하며, 더 상세하게는 골격부(14)를 수평 위치에 유지하기 위함이다.
종방향의 각도 방향 유지 기능을 이와 같이 분리하는 것은, 골격부(14) 및 측면 개구부(46a, 46b)의 높이에서의 단순화된 절단부를 제공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와이퍼 블레이드를 조립하는 동안 부품의 용이한 배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6)

  1.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10)에 있어서,
    - 종방향으로의 주방향을 갖는 지지 마운트(12; support mount)로서, 이 지지 마운트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 및 종방향 주축을 갖는 관형체(18)를 구비하고, 상기 관형체(18)는 상부 수평 벽(20), 하부 수평 벽(22) 및 두 개의 수직 종방향 측벽(24)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것인 지지 마운트(12);
    - 관형체(18) 내에 수용되는 종방향 수평 스트립 형태의 구조 요소(14); 및
    - 구동 아암에 블레이드(10)를 연결하고, 상기 관형체(18)의 측벽(24)의 양측에서 연장하는 두 개의 수직 종방향 측면 러그(34)를 통해 상기 지지 마운트(12) 상에 장착되는 연결 요소(16)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요소(16)는 연결 요소(16) 내의 제 위치에 상기 구조 요소(14)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요소(16)의 로킹 수단은 상기 연결 요소(16)의 측면 러그(34) 상에 마련되고, 상기 로킹 수단은, 한편으로는 상기 구조 요소(14)를 제 위치에 로킹하기 위한 종방향 로킹 수단을,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구조 요소를 제 위치에 로킹하기 위한 각도 방향 로킹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로킹 수단 및 각도 방향 로킹 수단은 기능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측면 러그(34) 상에서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로킹 수단은, 상기 구조 요소(14)를 상기 연결 요소(16)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로킹하기 위해 노치(42)에 수용되는 핀(40)을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로킹 수단은, 상기 구조 요소(14)의 양측에서, 측면 에지(14a)에 마련된 하나의 노치(42)에 각각 수용되는, 적어도 2개의 핀(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요소(14)의 각 노치(42)는, 해당 핀(40)과 매칭되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방향 로킹 수단은, 상기 연결 요소(16)에 대해 상기 구조 요소(14)를 각도 방향으로 로킹하기 위해 상기 구조 요소(14)의 측면 에지(14a)와 협력하는 유지 치형부(44)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6. 제5항에 있어서, 각 유지 치형부(44)의 횡방향 자유단은 상기 지지 마운트(12) 상에 상기 연결 요소(16)의 장착 및 크림핑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구조 요소(14)의 측면 에지(14a)에 맞닿는 정지 표면(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방향 로킹 수단은, 상기 연결 요소(16)에 대해 상기 구조 요소(14)를 각도 방향으로 로킹하기 위해 상기 구조 요소(14)의 측면 에지(14a)와 협력하는 유지 치형부(44)를 포함하며,
    상기 핀(40) 및 상기 유지 치형부(44)는 상기 연결 요소(16)의 측면 러그(34)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8. 제7항에 있어서, 각 핀(40) 및 각 유지 치형부(44)는, 해당 측면 러그(34)의 내부 수직 종방향면(34a)으로부터 상기 연결 요소(16)의 내부를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각 핀(40) 및 각 유지 치형부(44)는, 상기 연결 요소(16)에 대해 관형체(18)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핀(40) 및 상기 유지 치형부(44) 중 하나 이상의 양측에 수직으로 위치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유지 패드(58, 60)와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10. 제9항에 있어서, 각 핀(40) 및 각 유지 치형부(44)는, 상기 핀(40) 및 상기 유지 치형부(44) 중 하나 이상의 양측에 수직으로 위치 설정된 상부 패드(58) 및 하부 패드(60)를 포함하는 한 쌍의 유지 패드(58, 60)와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치형부(44)는 각 유지 패드(58, 60)로부터 횡방향으로 후방에서 위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체(18)의 측벽(24)은, 상기 구조 요소(14)의 각 노치(42)와 마주하게 위치 설정되고 해당 핀(40)이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부 개구부(46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체(18)의 측벽(24)은, 제1 측부 개구부(46a)의 양측에 위치 설정되고 해당 유지 치형부(44)의 정지 표면(45)이 관통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측부 개구부(4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 개구부(46a) 및 제2 측부 개구부(46b)는, 지지 마운트(12) 상에 연결 요소(16)를 장착하기에 앞서 관형체(18)의 해당 측벽(24)을 절단함으로써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부 개구부(46a, 46b)는 관형체(18)의 상부 수평 벽(20) 및 하부 수평 벽(22)에 각각 마련된 상부 절단부(52) 및 하부 절단부(56)를 포함하고, 각 핀(40) 및 유지 치형부(44) 중 하나 이상에 조합된 상부 유지 패드(58) 및 하부 유지 패드(60)는, 지지 마운트(12)에 대해 연결 요소(16)를 종방향으로 위치 설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 절단부(52) 및 하부 절단부(56) 내에 각각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절단부(52, 56) 각각과 해당 유지 패드(58, 60)는 매칭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087012715A 2005-12-14 2006-12-11 지지 마운트, 내부 골격부 및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와이퍼블레이드 KR101330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12637A FR2894544B1 (fr) 2005-12-14 2005-12-14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une monture de support, une vertebre interne et un element de liaison
FR0512637 2005-12-14
PCT/EP2006/069560 WO2007068677A1 (fr) 2005-12-14 2006-12-11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une monture de support, une vertebre interne et un element de liais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861A KR20080086861A (ko) 2008-09-26
KR101330439B1 true KR101330439B1 (ko) 2013-11-15

Family

ID=3669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715A KR101330439B1 (ko) 2005-12-14 2006-12-11 지지 마운트, 내부 골격부 및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와이퍼블레이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8782845B2 (ko)
EP (1) EP1968828B1 (ko)
JP (1) JP5043858B2 (ko)
KR (1) KR101330439B1 (ko)
CN (1) CN101312863B (ko)
AT (1) ATE474747T1 (ko)
BR (1) BRPI0619875B1 (ko)
CA (1) CA2631513C (ko)
DE (1) DE602006015694D1 (ko)
FR (1) FR2894544B1 (ko)
RU (1) RU2440257C2 (ko)
TW (1) TW200732188A (ko)
WO (1) WO2007068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5001B1 (fr) * 2007-12-18 2010-02-1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dote d'un connecteur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balai
FR2930500B1 (fr) * 2008-04-25 2010-06-11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eur a opercule d'obturation amovible
ATE514600T1 (de) * 2009-04-02 2011-07-15 Federal Mogul Sa Scheibenwischvorrichtung
DE102009032376A1 (de) * 2009-07-08 2011-02-03 Valeo Systèmes d'Essuyage Flachwischblatt
US20130227809A1 (en) 2012-02-24 2013-09-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2957876B1 (fr) * 2010-03-29 2012-12-07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de type balai plat
FR2960840B1 (fr) 2010-06-02 2012-07-13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de type balai plat et procede d'assemblage d'un tel balai
DE102010062905A1 (de) * 2010-12-13 2012-06-1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JP6031509B2 (ja) * 2011-04-13 2016-11-24 フェデラル−モグル エス.エー.Federal−Mogul.S.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PL2697100T3 (pl) * 2011-04-13 2017-10-31 Fed Mogul Sa Wycieraczka szyby przedniej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DE102011078174A1 (de) * 2011-06-28 2013-01-03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KR101890970B1 (ko) * 2011-06-28 2018-08-22 페더랄-모굴 에스.아.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DE102011078198A1 (de) * 2011-06-28 2013-01-03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US9174611B2 (en) 2011-07-28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US9545897B2 (en) 2011-08-31 2017-01-17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DE102011057118A1 (de) * 2011-12-29 2013-07-04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vorrichtung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04554173B (zh) * 2013-10-22 2017-01-11 扬弘实业股份有限公司 刮水器用承接器、刮水器组件以及刮水器系统
US20150135466A1 (en) * 2013-11-19 2015-05-21 Trico Products Corporation Locking coupler for wiper assembly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FR3023810B1 (fr) * 2014-07-17 2018-01-19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DE102015211381A1 (de) * 2015-06-19 2016-12-22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FR3037901A1 (fr) * 2015-06-29 2016-12-30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relier un balai d'essuie-glace a un bras d'entrainement
DE102015213441A1 (de) * 2015-07-17 2017-01-19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08944811A (zh) * 2018-07-16 2018-12-07 嘉兴奕霞汽配科技有限公司 雨刮器
CN109017686A (zh) * 2018-08-31 2018-12-18 嘉兴奕霞汽配科技有限公司 一种雨刮器刮片及雨刮器
FR3091231B1 (fr) * 2018-12-27 2021-07-02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eur constitutif d’un balai d’essuyage et balai d’essuyage comprenant un tel connecteur
USD1001853S1 (en) * 2021-02-04 2023-10-17 Keyarrow (Taiwan) Co., Ltd. Wiper blade holder for a protective cover of a machine too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1042A1 (de) 1996-10-04 1998-04-09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FR2854852A1 (fr) 2003-05-15 2004-11-19 Bosch Gmbh Robert Balai d essuie-glace et dispositif d'attache pour fixer le balai a un bras d'essuie-glace
KR200373660Y1 (ko) 2004-10-28 2005-01-21 김순곤 자동차용 와이퍼
FR2868376A1 (fr) * 2004-04-06 2005-10-07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une monture de support, une vertebre interne et un element de liais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0416A (en) * 1946-06-15 1968-07-02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JP2569487Y2 (ja) * 1988-08-22 1998-04-22 日本ワイパブレード 株式会社 車輌用ワイパのコネクタ部材
DE19645170A1 (de) 1996-11-02 1998-05-07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9833666B4 (de) * 1998-07-27 2015-06-25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202005012619U1 (de) * 2005-08-08 2005-10-20 Lin, Chin-Lien Scheibenwisc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1042A1 (de) 1996-10-04 1998-04-09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FR2854852A1 (fr) 2003-05-15 2004-11-19 Bosch Gmbh Robert Balai d essuie-glace et dispositif d'attache pour fixer le balai a un bras d'essuie-glace
FR2868376A1 (fr) * 2004-04-06 2005-10-07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une monture de support, une vertebre interne et un element de liaison
KR200373660Y1 (ko) 2004-10-28 2005-01-21 김순곤 자동차용 와이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82845B2 (en) 2014-07-22
FR2894544A1 (fr) 2007-06-15
FR2894544B1 (fr) 2009-07-03
CN101312863A (zh) 2008-11-26
WO2007068677A1 (fr) 2007-06-21
JP5043858B2 (ja) 2012-10-10
EP1968828B1 (fr) 2010-07-21
US20080263809A1 (en) 2008-10-30
EP1968828A1 (fr) 2008-09-17
CA2631513A1 (fr) 2007-06-21
BRPI0619875A2 (pt) 2011-10-25
RU2008128461A (ru) 2010-01-20
CN101312863B (zh) 2010-08-11
RU2440257C2 (ru) 2012-01-20
TW200732188A (en) 2007-09-01
BRPI0619875B1 (pt) 2018-11-27
CA2631513C (fr) 2014-04-15
KR20080086861A (ko) 2008-09-26
US9446741B2 (en) 2016-09-20
US20140096337A1 (en) 2014-04-10
JP2009519169A (ja) 2009-05-14
ATE474747T1 (de) 2010-08-15
DE602006015694D1 (de)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439B1 (ko) 지지 마운트, 내부 골격부 및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와이퍼블레이드
KR101196174B1 (ko) 지지 프레임, 내부 스파인 및 링크 요소를 구비하는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
US20100293737A1 (en) Wiper blade with connector and method for making such blade
EP1816041B1 (en) Wiper blade
US5598603A (en) Windscreen wiper arm with improved means for longitudinal immobilization of the reinforced blade
KR20080011166A (ko) 와이퍼 블레이드
US7254862B2 (en) Wiper blade
JP4605063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4589864B2 (ja) ワイパブレード
CA3014629A1 (e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JP4586752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EP3494016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GB2151914A (en) Wiper blade
JP5195447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2023534732A (ja) ワイパーブレードをワイパーアームに接続するための装置
EP0770525A2 (en) Improvements in drive arm assembly for wiper blade
KR0118530Y1 (ko) 자동차용 와이퍼
US20230034932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wiper blade to a driving arm
US11548476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JP2001507313A (ja) ワイパーブレードを枢着させるための支承部材
MX2008007800A (en) Wiper blade comprising a support mount, an internal vertebra and a connecting element
JP2008162590A (ja) ブレードラバー
JP2005306117A (ja) ワイパブレード
KR19990035401A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