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072B1 -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072B1
KR101329072B1 KR1020110142607A KR20110142607A KR101329072B1 KR 101329072 B1 KR101329072 B1 KR 101329072B1 KR 1020110142607 A KR1020110142607 A KR 1020110142607A KR 20110142607 A KR20110142607 A KR 20110142607A KR 101329072 B1 KR101329072 B1 KR 101329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laster
air
clo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4516A (ko
Inventor
문성권
이완희
최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42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0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8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using fluids or gases, e.g. blowers, suction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2099/0085Accessories
    • F27D2099/0093Means to collect ashes or dust, e.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발명은 빈(BIN) 내에 고착된 부착광을 에어 압력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블래스터의 백압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블래스터의 노즐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블래스터의 에어 분출 동작에 연동하여 노즐을 개폐하는 노즐개폐부와, 블래스터의 에어 분출 시 노즐 내로 에어를 공급하여 노즐 내의 진공현상을 방지하는 에어공급부를 포함하는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블래스터의 백압 방지 장치는 블래스터의 순간적인 에어 압력 분출 시 노즐 내로 에어를 공급하여 노즐 내의 진공현상(백압)에 의한 노즐 내로의 광석(가루광석) 유입을 막아 광석 유입으로 인한 블래스터의 설비고장을 예방할 수 있고, 블래스터(2)의 노즐(15) 에어 랙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BACK PRESSURE OF BLASTER}
본 발명은 빈(BIN) 내에 고착된 부착광을 에어 압력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블래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순간적인 에어 압력 분출 후 블래스터의 노즐에 발생하는 진공현상(백업)을 방지하는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광 제조 설비에서는 고로에서 사용하기 적당한 입자의 소결광을 제조하기 위해 8mm 이하의 분철광석과, 성분 조정용 부원료인 분코크스와, 무연탄 및 반광등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서지 호퍼(Hopper)에 장입한다. 서지 호퍼에 장입된 소결원료는 소결기 대차 내에 일정한 높이로 장입되고, 소결원료의 표층부는 점화로를 지나면서 착화되어 소결체(SINTER CAKE)를 형성한다. 소결체는 파쇄기와 냉각기를 거쳐 성품 입도 선별을 위한 성품 1,2,3차 선별기를 통해 5~50mm의 범위로 선별되며, 선별된 성품 소결광은 고로로 이송된다. 성품 2차 선별기에서 선별된 일부 소결광은 상부광 호퍼와, 성품 3차 선별기에서 선별된 5mm 이하의 소결광은 빈(BIN)(1)으로 회수되어 배합원료로 재사용된다. 이때, 고온의 소결체가 냉각과 선별을 거치면서 발생되는 더스트(DUST)는 전기집진기(E.P: ELECTRIC PRECIPITATOR)를 통해 포집된다. 더스트는 철광석 가루를 포함하며, 압송시스템을 통해 빈(1)으로 이송된다. 빈(1)으로 이송된 더스트는 소결광 원료로 재사용된다. 이때, 빈(1)으로 공급된 더스트는 빈 내의 수분과 결합되어 부착광(3)을 형성한다.
빅 블래스터(Big Blaster)는 빈(Bin) 내부의 부착광을 에어압력 노즐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블래스터(10)는 고압의 에어가 충진되는 에어탱크(11)와, 에어탱크(11)와 연결되고 블래스터밸브(13)의 개폐동작에 의해 에어 압력을 분출하는 노즐(15)을 포함한다. 여기서, 노즐(15)의 단부는 빈(1)의 하부를 관통하여 빈(1)의 내부에 고착된 부착광(3)에 에어 압력을 분출하여 부착광(3)을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블래스터(10)는 순간적인 에어 압력 분출 후 노즐에 진공현상(백압)이 발생하게 되어 빈 내부의 광석(가루광석)이 노즐로 유입되면서 노즐을 폐쇄하고, 이는 노즐의 에어 랙(Lack)으로 이어져 블래스터의 설비 고장의 원인이 된다. 또한 블래스터의 백업 발생으로 인해 빈 내에 부착광 발생 시 처리불량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순간적인 에어 압력 분출 후 블래스터의 노즐에 발생하는 진공현상(백업)을 방지할 수 있는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빈(BIN) 내에 고착된 부착광을 에어 압력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블래스터의 백압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래스터의 노즐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블래스터의 에어 분출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노즐개폐부; 및 상기 블래스터의 에어 분출 시 상기 노즐 내로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노즐 내의 진공현상을 방지하는 에어공급부를 포함하는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블래스터의 백압 방지 장치는, 상기 노즐개폐부의 상기 노즐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에어공급부를 개폐하는 에어공급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개폐밸브는 상기 노즐개폐부가 상기 노즐 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개폐밸브는 상기 블래스터의 에어 분출 시 상기 노즐개폐부의 노즐 개방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에어공급부를 통해 상기 노즐 내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상기 에어공급부를 개방하고, 상기 블래스터의 에어 미 분출 시 상기 노즐개폐부의 노즐 폐쇄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에어공급부를 통해 상기 노즐 내로 에어가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에어공급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는 블래스터의 순간적인 에어 압력 분출 시 노즐 내로 에어를 공급하여 노즐 내의 진공현상(백압)에 의한 노즐 내로의 광석(가루광석) 유입을 막아 광석 유입으로 인한 블래스터의 설비고장을 예방할 수 있고, 블래스터(2)의 노즐(15) 에어 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블래스터(2)의 백업을 방지함으로써 빈(1) 내에 부착광 발생 시 즉시 처리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블래스터를 빈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블래스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래스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래스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블래스터의 백압 방지 장치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래스터(2)는 에어탱크(11), 노즐(15) 및 백압 방지 장치(20)를 포함한다.
에어탱크(11)는 내부에 에어가 고압으로 충진된다.
노즐(15)은 에어탱크(11)와 연결되고, 노즐(15)의 단부는 빈(1, 도 1 참조)의 내부에 고착된 부착광(3, 도 1 참조)에 에어 압력을 분출할 수 있도록 빈(1)의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에어탱크(11)와 노즐(15) 사이에는 에어탱크(11)로부터 노즐(15)로 분출되는 에어 압력을 개폐하기 위하여 블래스터밸브(13)가 마련된다.
백압 방지 장치(20)는 블래스터(2)의 노즐(15)을 통한 순간적인 에어 압력 분출 시 노즐(15) 내의 진공 현상(백압)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20)는 노즐개폐부(21), 에어공급부(23) 및 에어공급개폐밸브(25)를 포함한다.
노즐개폐부(21)는 블래스터(2)의 노즐(15) 내에서 힌지부(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블래스터(2)의 에어 분출 동작에 연동하여 노즐(15)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노즐개폐부(21)는 노즐(15)의 원형 종단면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얇은 원형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공급부(23)는 블래스터(2)의 에어 분출 시 노즐(15) 내로 에어를 공급하여 노즐(15) 내의 진공현상(백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에어공급부(23)는 에어탱크(11)의 출구단으로부터 노즐개폐부(21)가 위치하는 노즐(15)의 상단까지 이어지고, 후술하는 에어공급개폐밸브(25)에 의해 개폐되는 에어공급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공급개폐밸브(25)는 노즐개폐부(21)의 노즐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에어공급부(23)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에어공급개폐밸브(25)는 노즐개폐부(21)가 노즐(15) 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26)에 마련된다. 에어공급개폐밸브(25)는 노즐개폐부(21)가 노즐(15)을 개방할 때 노즐(15)과 연결되는 에어공급부(23)의 단부를 개방하도록 힌지부(26)의 중앙을 관통하는 에어공급개방홀(26a)이 형성된다. 또한, 에어공급개폐밸브(25)는 노즐개폐부(21)가 노즐(15)을 밀폐할 때 노즐(15)과 연결되는 에어공급부(23)의 단부를 밀폐하도록 힌지부(26)의 에어공급개방홀(26a) 양측에 에어공급밀폐벽(26b)이 형성된다.
에어공급개폐밸브(25)는 블래스터(2)의 에어 분출 시 노즐개폐부(21)의 노즐 개방 동작과 연동하여 에어공급부(23)를 통해 노즐(1) 내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에어공급부(23)를 개방하고, 블래스터(2)의 에어 미 분출 시 노즐개폐부(21)의 노즐 폐쇄 동작과 연동하여 에어공급부(23)를 통해 노즐 내로 에어가 공급되지 않도록 에어공급부(23)를 폐쇄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5는 블래스터의 에어 분출 시 백압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블래스터의 에어 미 분출 시 백압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1, 도 1 참조) 내에 고착된 부착광(3, 도 1 참조)을 제거하기 위하여 블래스터(2)의 노즐(15)을 통해 에어 압력을 분출하게 되면, 노즐(15) 내에 힌지 결합된 노즐개폐부(21)가 에어 분출 동작에 연동하여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노즐(15)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에어공급개폐밸브(25)는 노즐개폐부(21)의 회전 동작과 연동하여 90도 회전하면서 에어공급부(23)의 노즐(15) 내 라인단부를 개방하게 되고 에어공급개방홀(26a)을 통해 노즐(15) 내로 에어가 공급되어 노즐(15) 내의 진공현상(백압)을 방지한다. 따라서 블래스터(2)의 에어 압력 분출 시 백압에 의한 노즐(15) 내로의 광석(가루광석) 유입을 막아 광석 유입으로 인한 블래스터(2)의 설비고장을 예방할 수 있고, 블래스터(2)의 노즐(15) 에어 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래스터(2)의 백업을 방지함으로써 빈(1) 내에 부착광 발생 시 즉시 처리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래스터(2)의 에어 미 분출 시에는 노즐개폐부(21)의 노즐 폐쇄 동작과 연동하여 에어공급부(23)를 통해 노즐(15) 내로 에어가 공급되지 않도록 에어공급개폐밸브(25)가 에어공급부(23)를 폐쇄한다. 이때, 에어공급개폐밸브(25)는 에어공급밀폐벽(26b)이 에어공급부(23)의 노즐(15) 내 라인단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2 : 블래스터(blaster) 11 : 에어탱크
15 : 노즐 20 : 백압 방지 장치
21 : 노즐개폐부 23 : 에어공급부
25 : 에어공급개폐밸브

Claims (5)

  1. 빈(BIN) 내에 고착된 부착광을 에어 압력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블래스터의 백압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래스터의 노즐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블래스터의 에어 분출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노즐개폐부; 및
    상기 블래스터의 에어 분출 시 상기 노즐 내로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노즐 내의 진공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노즐의 출측에 외부 입자의 유입을 차단하는 에어공급부를 포함하는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래스터의 백압 방지 장치는,
    상기 노즐개폐부의 상기 노즐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에어공급부를 개폐하는 에어공급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개폐밸브는 상기 노즐개폐부가 상기 노즐 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개폐밸브는 상기 블래스터의 에어 분출 시 상기 노즐개폐부의 노즐 개방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에어공급부를 통해 상기 노즐 내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상기 에어공급부를 개방하고, 상기 블래스터의 에어 미 분출 시 상기 노즐개폐부의 노즐 폐쇄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에어공급부를 통해 상기 노즐 내로 에어가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에어공급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
  5. 빈(BIN) 내에 고착된 부착광을 에어 압력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블래스터에 있어서,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블래스터.
KR1020110142607A 2011-12-26 2011-12-26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 KR101329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607A KR101329072B1 (ko) 2011-12-26 2011-12-26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607A KR101329072B1 (ko) 2011-12-26 2011-12-26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516A KR20130074516A (ko) 2013-07-04
KR101329072B1 true KR101329072B1 (ko) 2013-11-14

Family

ID=4898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607A KR101329072B1 (ko) 2011-12-26 2011-12-26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0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21B1 (ko) * 2014-10-23 2016-03-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원료의 탈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342A (ko) * 2001-12-14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저장조 내부의 부착광 제거용 빅 블라스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342A (ko) * 2001-12-14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저장조 내부의 부착광 제거용 빅 블라스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516A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6103B (zh) 一种方便清理的供粉装置
CN104176503B (zh) 连排型连续式真空上料机
TWI656947B (zh) 噴射加工裝置及噴射加工裝置列
KR101329072B1 (ko) 블래스터 백압 방지 장치
CN110682221A (zh) 一种喷砂机
JP5429301B2 (ja) サイクロン式分級装置
KR101582827B1 (ko) 진공 흡입 이송 장치
CN207548521U (zh) 一种弹簧制造加工后的喷丸装置
CN104369116A (zh) 一种抛丸机料丸循环系统
JP5145779B2 (ja) 高炉原料の乾燥予熱方法
JP2016108594A (ja) 高炉炉頂装入装置の圧力調整装置
CN203889664U (zh) 真空上料机
CN105149070B (zh) 一种生产无钒稀土基钛钨粉的气力输送、精磨系统
CN201848295U (zh) 风机内置式复合式粉碎机
CN203143608U (zh) 给煤机
CN209147123U (zh) 一种用于煤粉转子秤的转子
CN210159698U (zh) 一种抑制粉尘产生的物料粉碎设备
CN106269480A (zh) 一种药粒质量筛选设备
CN106076498A (zh) 一种高速粉碎机
CN206358956U (zh) 用于面粉在线负压气力输送的脉冲除尘卸料器
CN204235399U (zh) 一种抛丸机料丸循环系统
CN205436257U (zh) 粉料干洗设备
CN217341620U (zh) 一种自动化二段磨矿分级用控制装置
CN218747112U (zh) 一种汽车模具喷砂机
CN107813228A (zh) 一种喷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