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217B1 - 차동 기어와 차동 기어가 장착된 차량 - Google Patents

차동 기어와 차동 기어가 장착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217B1
KR101328217B1 KR1020117020910A KR20117020910A KR101328217B1 KR 101328217 B1 KR101328217 B1 KR 101328217B1 KR 1020117020910 A KR1020117020910 A KR 1020117020910A KR 20117020910 A KR20117020910 A KR 20117020910A KR 101328217 B1 KR101328217 B1 KR 10132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case
differential
gear
ring gear
outwar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738A (ko
Inventor
노리히로 미조구치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726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282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1012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48/40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rotating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48/08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beve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2048/382Methods for manufacturing differential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2048/38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ing or crown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제 1 차동 케이스 (12) 및 제 2 차동 케이스 (14) 로 구성된 차동 기어는,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제 1 접합부 즉, 관통 구멍 (44) 의 외주측에 있는 외향 플랜지 (42) 의 부분 (42a) 이 제 2 차동 케이스 (14) 의 제 2 접합부 즉, 관통 구멍 (44) 에 삽입된 접합 돌기부 (40) 의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방사 방향으로 겹친다. 게다가, 링 기어 (16) 는 축선 (O) 의 방향으로 양 접합부와 대면하여 배치되고, 링 기어가 이러한 양 접합부에 대면하는 부분에서 외주 측으로부터 레이저 빔 용접된다. 그래서, 이 세 부재, 즉, 제 1 차동 케이스 (12), 제 2 차동 케이스 (14), 및 링 기어 (16) 를 단 한 번의 용접 작업에 의해 함께 일체로 용접되어,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동 기어와 차동 기어가 장착된 차량{DIFFERENTIAL GEAR AND VEHICLE PROVIDED WITH DIFFERENTIAL GEAR}
본 발명은 차동 기어 (Differential Gear) 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동 기구를 지지하고 토크를 전달하는 제 1 차동 케이스, 차동 기구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지 않는 제 2 차동 케이스, 및 링 기어가 별도로 형성되어 용접에 의해 함께 일체로 접합된 차동 기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차동 기어가 장착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동 케이스가 축선 방향에서 두 가지 케이스 즉, 제 1 차동 케이스 및 제 2 차동 케이스로 나누어지고, 피니언 기어 및 한 쌍의 사이드 기어 등을 포함하는 차동 기구가 차동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고, 차동 케이스의 외부에 장착된 링 기어를 가지며, 제 1 차동 케이스, 제 2 차동 케이스, 및 링 기어가 용접에 의해 함께 일체로 접합된 차동 기어는, 예를 들어 차량의 좌우 휠의 차동 작동을 허용하는 차동 기어 장치로서 사용된다. 이는, 예를 들어 4 피니언 방식 차동 기어, 단조된 차동 기어, 혹은 제한된 슬립 차동 기어 (LSD, Limited Slip Differential gear) 에서, 제조상의 제한뿐만 아니라 조립의 제한 등 때문에 차동 케이스를 두 개로 나누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보 No.7-54960 (JP-A-7-54960) 은 이러한 차동 기어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차동 기어에서, 제 1 차동 케이스 및 제 2 차동 케이스의 접합부는 서로 겹쳐져 용접에 의해 함께 접합된다. 그 다음에, 그 접합부의 외주측에 링 기어가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되고, 그 접합부의 내주 측에 피니언 샤프트가 장착된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보 No.2006-509172 (JP-A-2006-509172) 는 피니언 샤프트가 장착되고 피니언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차동 케이스를, 피니언 기어를 지지하지 제 2 차동 케이스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그 다음에, 제 1 차동 케이스가 제 2 차동 케이스에 접합된 부분 근처에 링 기어가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된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제 1 차동 케이스 및 제 2 차동 케이스를 용접함으로써 함께 일체로 접합 하고, 그런 다음 그 차동 케이스에 링 기어를 용접함으로써 일체로 접합 할 때, 2회의 용접 작업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며, 그것은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JP-A-2006-509172 에는 제 2 차동 케이스에 링 기어를 일체로 장착함으로써 용접의 횟수를 줄이는 것이 제안되었지만, 요구된 강도와 내마모성 등의 조건이 링 기어에 대한 것보다 차동 케이스에 대해 차이가 있고, 그래서 그 결과물은 반드시 전적으로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재 제한은 실제로 고가의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따라서 별도로 형성된 제 1 차동 케이스, 제 2 차동 케이스, 및 링 기어를 단 한 번의 용접으로 함께 용접하여 일체로 접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줄인 차동 기어 및 그러한 차동 기어를 갖춘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양태는 차동 기구를 지지하고 상기 차동 메커니즘에 그리고 차동 기구로부터 토크를 전달하는 제 1 차동 케이스, 상기 차동 기구에 그리고 차동 기구로부터 토크를 전달하지 않는 제 2 차동 케이스, 및 링 기어는, 별도로 형성되어 용접에 의해 함께 일체적으로 접합된 차동 기어에 관한 것이다. 이 차동 기어에서, 제 1 차동 케이스 및 제 2 차동 케이스는, 제 1 차동 케이스의 제 1 접합부가 제 2 차동 케이스의 제 2 접합부의 외주측에 위치되도록 서로 겹친다. 또한, 링 기어는 이러한 양 접합부에 대면하게 배치되고, 제 1 차동 케이스, 제 2 차동 케이스, 및 링 기어는, 링 기어가 접합된 양 접합부에 대면하는 부분에서 용접에 의해 함께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이 첫 번째 양태에 따른 차동 기어에서, (a) 제 1 차동 케이스가, 축선과 직교하는 피니언 샤프트를 통해 피니언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하나의 사이드 기어를 축선 주위에 제 1 차동 케이스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고, (b) 제 2 차동 케이스는, 피니언 샤프트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의 사이드 기어와는 반대측에서 상기 제 1 차동 케이스에 배치되어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다른 사이드 기어를 축선 주위에 제 2 차동 케이스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차동 기구는 피니언 기어 및 한 쌍의 사이드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차동 케이스 및 제 2 차동 케이스는, 제 1 차동 케이스의 제 1 접합부가 제 2 차동 케이스의 제 2 접합부의 외주측에 위치되도록 서로 겹친다. 게다가, 링 기어는 이러한 양 접합부에 대면하게 배치되고, 제 1 차동 케이스, 제 2 차동 케이스, 및 링 기어는, 링 기어가 접합된 양 접합부에 대면하는 부분에서 용접에 의해 함께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 이들은 1 회의 용접 작업으로 접합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차동 기구를 지지하고 링 기어와 차동 기구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는 제 1 차동 케이스의 제 1 접합부는 토크를 전달하는 않는 제 2 차동 케이스의 제 2 접합 부분의 외주측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용접 접합 강도가 같을지라도, 제 1 차동 케이스와 링 기어 사이의 전달 토크 용량은 직경의 차이에 상응하는 양만큼 더 크다. 이는 제 2 차동 케이스의 제 2 접합부가 외주측에 용접함으로써 접합 될 때와 비교하여 강도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게다가, 토크를 전달하는 제 1 차동 케이스와 링기어 사이의 용접 상태는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차동 기어에 있어서, (a) 링 기어는 제 1 차동 케이스의 외주측에 배치될 수 있고, (b) 외향 플랜지는 제 1 차동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 구멍은 그 외향 플랜지에 장착될 수 있고, (c) 관통 구멍에 삽입된 접합 돌기부는 제 2 차동 케이스에 장착될 수 있고, 그리고 (d) 링 기어는, 외향 플랜지에 있어서의 제 2 차동 케이스와는 반대측에서 외향 플랜지와 접합 돌기부에 대면하여 배치될 수 있고, 링 기어가 외향 플랜지와 접합 돌기부에 대면하는 부분에서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된다. 즉, 관통 구멍의 외주측에 있는 제 1 차동 케이스에 장착된 외향 플랜지의 일부는 제 1 접합부로서 작용할 수 있고, 제 2 차동 케이스에 장착된 접합 돌기부는 제 2 접합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링 기어는 차동 기구를 지지하는 제 1 차동 케이스의 외주측에 배치 되므로, 장치의 콤팩트화가 가능하다. 또한, 외향 플랜지는 제 1 차동 케이스에 장착되고, 관통 구멍은 외향 플랜지에 장착되고, 제 2 차동 케이스에 장착된 접합 돌기부는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따라서 이 접합 부분은 제 2 접합부로서 작용하고, 관통 구멍의 외주측에 있는 외향 플랜지 부분은 제 1 접합부로서 작용한다. 즉, 제 1 차동 케이스의 외주측에 링 기어를 배치하는 것은 장치를 더 콤팩트화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제 1 차동 케이스의 제 1 접합부는 제 2 차동 케이스의 제 2 접합부의 외주측에 용접함으로써 접합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제 1 차동 케이스와 링 기어 사이의 충분한 전달 토크 용량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양태는 위에서 기술된 첫 번째 양태에 따른 차동 기어를 갖추는 차량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두번째 양태에 따라, 구동 라인의 전달 토크 용량이 충분히 보증될 수 있고 그 제조를 위한 비용이 절감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나타내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될 것이고,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요소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도 1 의 (a), 도 1 의 (b), 및 도 1의 (c)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차동 기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1 의 (a) 는 축선 (O) 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의 (b) 는 도 1 의 (a) 의 우측으로부터 제 2 차동 케이스를 단독으로 바라본 우측면도이고, 도 1 의 (c) 는 도 1 의 (a) 의 I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의 (a), 도 2 의 (b), 및 도 2 의 (c)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 의 (a) 는 축선 (O) 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 의 (b) 는 링 기어가 생략된 채로, 도 2 의 (a) 의 좌측으로부터 본 좌측면도이고, 도 2 의 (c) 는 도 2 의 (a) 의 II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차동 기어는, 예를 들어 차량의 좌우 휠의 차동 작업을 허용하는 차동 기어 장치 등으로서 이용된다. 차동 기어는, 프로펠러 샤프트 등으로부터 링 기어에 전달된 회전을, 차동 기구를 통한 한 쌍의 좌우 드라이브 샤프트에 전달하기 위해 이용된다. 링 기어는 예를 들어, 코니컬 베벨 기어 혹은 하이포이드 기어에 의해 형성되지만, 또한 이는 원통 기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차동 기어는 차량 이외의 동력 전달 장치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차동 기구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수의 피니언 기어와 이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한 쌍의 사이드 기어를 갖고 이들 기어 모두는 베벨 기어이지만, 웜 및 웜 휠로부터 형성된 웜 기어형 차동 기구 또는 유성 기어형 차동 기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찰형의 제한된 슬립 차동장치 또는 점성형의 제한된 슬립 차동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니언 샤프트는 예를 들어 제 1 차동 케이스에 양단부가 부착된 단일의 직선형의 샤프트이고, 이 피니언 샤프트에는 하나 또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3개의 피니언 기어를 가진 삼분된 피니언 샤프트 또는 4개의 피니언 기어를 가진 십자형 피니언 샤프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베벨 기어형 차동 기구가 사용될 때, 제 1 차동 케이스는 예를 들어 큰 직경부 및 작은 직경부를 가지고 있는 계단 모양의 원통형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큰 직경부는 피니언 샤프트를 통해 피니언 기어를 지지하고, 작은 직경부는 사이드 기어중의 하나를 수용한다. 둘 사이에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스플라인 등을 통해 사이드 기어에 연결된 드라이브 샤프트와 같은 동력 전달 샤프트는 작은 직경부를 통하여 고착되고 외부로 확장하며 배치된다.
제 2 차동 케이스는 일체로 장착된 환형 덮개부와 원통부를 가진다. 덮개부는 제 1 차동 케이스의 큰 직경부 측에서 개구단부를 차단하고, 원통부는 덮개부의 내주부로부터 연속되고 제 1 차동 케이스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돌출한다. 다른 사이드 기어는 제 2 차동 케이스와 제 1 차동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서 유지된다. 둘 사이에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스플라인 등을 통해 사이드 기어에 연결된 드라이브 샤프트와 같은 동력 전달 샤프트는 원통부를 통하여 고착되고 외부로 확장하며 배치된다. 제 1 차동 케이스, 제 2 차동 케이스, 및 드라이브 샤프트와 같은 좌우 동력 전달 샤프트는 공통 축선 (O) 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그 축선 (O) 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차동 케이스와 제 2 차동 케이스의 형상은 예를 들어 차동장치가 제한된 슬립 차동장치인지 아닌지와 차동 기구의 유형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1 차동 케이스는 예를 들어 단조나 주조에 의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조 가공과정에 따라서는, 용접에 의한 접합이 주조에 비교하여 더 쉬울 수 있고 (즉, 균열이 덜 생긴다), 차동 케이스는 더 강하고, 더 얇고, 더 경량화될 수 있다. 제 1 차동 케이스에 외향 플랜지와 관통 구멍이 장착될 때, 관통 구멍은 필요에 따라 기계가공 등을 함으로서 후공정에서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차동 케이스는 또한 단조에 의해 같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것의 모양에 따라서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제 1 실시예에서, 링 기어가 제 1 차동 케이스의 외주측에 배치되지만, 링 기어는 제 2 차동 케이스의 외주 측이나 제 2 차동 케이스의 측부 (즉, 제 1 차동 케이스 측의 반대 측) 에 또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차동 케이스에 관통 구멍을 장착하는 대신, 제 1 차동 케이스의 큰 직경부는 제 2 차동 케이스 덮개부의 외부와 맞물릴 수 있고, 링 기어는 맞물린 부분과 대면하여 배치될 수 있고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링 기어가 맞물린 부분에 대면하는 부분의 용접은 외주측에서 행해지지만, 예를 들어, 레이저빔 용접 또는 전자빔 용접은 내주측의 제 2 접합부까지 용접함으로써 믿을 수 있는 접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제 2 접합부까지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또 다른 용접 방법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제 1 차동 케이스의 제 1 접합부 (즉, 후술하는 첫 번째 실시예의 외향 플랜지) 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가진 원통부 (접합부) 는 필요에 따라 링 기어에 장착될 수 있다. 원통부의 단면은 제 1 접합부와 제 2 접합부를 대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원통부의 단면이 접합부에 대면하는 부분의 외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용접에 의한 이 접합이 실시될 수 있으므로 축선 (O) 주위의 전체 원주에 틈이 없다.
후술하는 제 1 실시예의, 다수의 관통 구멍 및 접합 돌기부는 축선 (O) 주위에 등간 간격으로 장착될 수 있다. 하지만, 제 2 차동 케이스는 토크의 전달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은 접합부가 차동 케이스의 분리를 막기에 충분히 강하기만 한다면 단 하나의 위치에서 또한 장착될 수 있다. 관통 구멍 및 접합 돌기부는 예를 들어 제 1 차동 케이스의 강도가 감소되지 않게 축선 (O) 주위의 전체 길이를 전체 원주의 1/2 이하로 하여 축선 (O) 주위에 아크 형상을 이루도록 장착될 수 있다. 관통 구멍 및 접합 돌기부가 축선 (O) 을 중심으로 하는 아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지라도, 원형이나 직선의 길쭉한 모양, 정방형, 직사각형 등 여러 가지 형상 또한 가능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의 (a), 도 1 의 (b), 및 도 1 의 (c)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차동 기어 (10) 의 도면이다. 도 1 의 (a) 는 축선 (O) 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 의 (b) 는 도 1 의 (a) 의 우측으로부터 제 2 차동 케이스를 단독으로 바라 본 우측면도이고, 도 1 의 (c) 는 도 1 의 (a) 의 I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차동 기어 (10) 는 축선 (O) 의 방향으로 제 1 차동 케이스 (12) 및 제 2 차동 케이스 (14) 로 나누어진 차동 케이스 및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외주측에 배치된 링기어 (16) 를 갖는다. 제 1 차동 케이스 (12), 제 2 차동 케이스 (14), 및 링 기어 (16) 는 축선 (O) 과 동심으로 모두 배치된다. 제 1 차동 케이스 (12) 는 큰 직경부 (20) 와 작은 직경부 (22) 를 갖는 계단식 원통형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베벨기어식의 차동 기구 (24) 는 큰 직경부 (20)에 배치된다.
차동 기구 (24) 는 축선 (O) 에 직교한 직선형 피니언 샤프트 (25), 그 피니언 샤프트 (25) 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피니언 기어 (26), 그 한 쌍의 피니언 기어 (26) 와 함께 맞물리는 한 쌍의 좌우 사이드 기어 (28 및 34) 를 포함한다. 피니언 샤프트 (25) 의 양단부가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큰 직경부 (20) 에 장착되고, 토크는 제 1 차동 케이스 (12) 를 통해 링 기어 (16) 에 그리고 링 기어 (16) 로 부터 전달된다. 오른쪽 사이드 기어 (28) 는 도 1 의 (a) 에서 피니언 샤프트 (25) 의 오른쪽에 배치되고, 한 쌍의 피니언 기어 (26) 와 맞물린다. 오른쪽 사이드 기어 (28) 는 축선 (O) 을 중심으로 제 1 차동 케이스 (12) 에 대해 상대 회전하도록 작은 직경부 (22) 에 의해 유지된다.
제 2 차동 케이스 (14) 는,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큰 직경부 (20) 측의 개구단부를 막는 환형 덮개부 (30) 와, 덮개부 (30) 의 내주부로부터 연속되고 제 1 차동 케이스 (12) 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는 원통부 (32) 를 일체로 구비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 (26) 와 맞물리는 왼쪽 사이드 기어 (34) 는, 왼쪽 사이드 기어 (34) 가 축선 (O) 을 중심으로 제 2 차동 케이스 (14) 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제 2 차동 케이스 (14) 와 제 1 차동 케이스 (12) 사이의 공간에 유지된다. 원통부 (32) 는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작은 직경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부 직경을 가진다. 피니언 기어 (26) 및 좌우 사이드 기어 (28 및 34) 는 베벨기어에 의해 형성된다. 오른쪽 사이드 기어 (28) 는 한 사이드 기어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좌측 기어 (34) 는 또 다른 사이드 기어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제 1 차동 케이스 (12) 및 제 2 차동 케이스 (14) 모두는 주로 단조에 의해 소정형상으로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기계 가공과 같은 후처리를 겪는다. 단조에 의해 제 1 차동 케이스 (12) 로 돌출하도록 일반적으로 직각으로 부분적으로 휜 접합 돌기부 (40) 는 제 2 차동 케이스 (14) 의 덮개부 (30) 의 외주측에 형성된다. 도 1 의 (b) 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접합 돌기부 (40) 는 축선 (O) 을 중심으로 하는 아크 형상을 형성하고 축선 (O) 주위에 등간 간격으로 다수 (즉, 이 실시예에서 3개) 로 형성된다. 또한, 각 접합 돌기부 (40) 는 축선 (O) 주위에 약 60°의 각에 걸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세 접합 돌기부 (40) 의 원주 방향으로의 전체 길이는 전체 원주의 약 1/2이다. 한편, 축선 (O) 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직각으로 외주측을 향해 연장하는 외향 플랜지 (42) 는 단조에 의해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큰 직경부 (20) 측의 개구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게다가, 관통 구멍 (44) 은 외향 플랜지 (42) 의 방사 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형성된다. 외향 플랜지 (42) 의 두께는 접합 돌기부 (40) 의 돌출된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관통 구멍 (44) 은 접합 돌기부 (40)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접합 돌기부 (40) 와 일반적으로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관통 구멍 (44) 은 축선 (O) 주위에 집중된 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약 60° 의 각에 걸친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관통 구멍 (44) 의 다수 (즉, 실시예에서 3개) 는 축선 (O) 의 주위에 등각 간격으로 장착된다. 관통 구멍 (44) 은 단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기계가공 또는 프레스 펀칭 등에 의해 후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접합 돌기부 (40) 는 해당하는 관통 구멍 (44) 에 삽입된다. 링 기어 (16)는 그런 다음 제 2 차동 케이스 (14) 로부터 외향 플랜지 (42) 의 반대 측에서 축선 (O) 의 방향으로 외향 플랜지 (42) 의 측면과 접합 돌기부 (40) 의 선단 면에 대면하여 배치되고, 링 기어 (16) 가 외향 플랜지 (42) 의 측면과 접합 돌기부 (40) 의 선단 면에 대면하는 부분에서 외주 측으로부터 레이저 빔 용접된다. 이 방법으로, 세 부재, 즉, 제 1 차동 케이스 (12), 제 2 차동 케이스 (14), 및 링 기어 (16) 모두는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각 접합 돌기부 (40)의 돌출 크기는 외향 플랜지 (42) 의 두께와 일반적으로 같다. 그러므로, 제 2 차동 케이스 (14) 의 덮개부 (30) 를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선단 면에 밀접하도록 조립함으로써, 접합 돌기부 (40) 의 선단은 외향 플랜지 (42) 의 반대측 표면과 일반적으로 같은 높이에 있다. 접합 돌기부 (40) 의 선단은 실질적으로 링 기어 (16) 와 접하는 동안 링 기어 (16) 에 용접함으로써 적절하게 접합된다. 제 1 차동 케이스의 큰 직경부 (20) 의 내부측과 실질적으로 접하고 동심으로 설치되는 추가적인 원통형 돌기부 (41) 는 제 2 차동 케이스 (14) 의 덮개부 (30) 에 일체로 장착되고, 따라서 오직 접합 돌기부 (40) 만이 용접된다 해도 제 2 차동 케이스 (14) 는 제 1 차동 케이스에 알맞게 고정된다.
외향 플랜지 (42) 의 외경과 일반적으로 같은 외경을 갖는 원통부 (46) 는 링 기어 (16) 의 내주부에 일체로 장착된다. 원통부 (46) 의 선단 면은 축선 (O) 의 방향으로 접합 돌기부 (40) 의 선단면 및 외향 플랜지 (42) 의 측면에 실질적으로 접하여 대면하게 배치된다. 이 원통부 (46) 의 선단면은 일반적으로 같은 외경을 가지는 반대면에 외주 측으로부터 적절하게 용접될 수 있다. 이 링 기어 (16) 의 내경 크기는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큰 직경부 (20) 의 외경 크기와 실질적으로 같다. 링 기어 (16) 의 내주 측이 큰 직경부 (20) 의 외주면에 실질적으로 접하는 상태에서 동심으로 설치되고, 제 1 차동 케이스 (12) 에 적절히 고정되어 있다. 도 1 의 (a) 와 도 1 의 (c) 의 참조기호 W 는 용접 접합부를 표시한다. 그 결과 축선 (O) 주위에 전체 원주를 따라 틈이 없도록 용접이 수행된다. 접합 돌기부 (40) 는 제 2 접합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관통 구멍 (44) 의 외주측에 있는 외향 플랜지 (42) 의 부분 (42a) 은 접합 돌기부 (40) 의 외주측에서 제 1 차동 기어와 함께 링 기어가 겹치는 제 1 접합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차동 기어 (10) 는 예를 들어 차량의 좌우 휠의 차동 작동을 허용하는 차동 기어 장치로서 사용된다. 프로펠러 샤프트의 단부에 장착된 드라이브 피니언 (50) 으로부터 링 기어 (16) 에 전달된 회전은 용접 접합부 W 로 부터 제 1 차동 케이스 (12) 로, 그런 다음 피니언 기어 (26) 를 통해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 (28 및 34) 로부터 좌우 드라이브 샤프트 (52 및 54) 로 전달된다. 드라이브 샤프트 (52) 는 사이드 기어 (28) 에 대한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스플라인 등을 통해 사이드 기어 (28) 에 연결되고, 작은 직경부 (22) 를 통하여 외부로 확장하며 배치된다. 유사하게, 드라이브 샤프트 (54) 는 사이드 기어 (34) 에 대한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스플라인 등을 통해 사이드 기어 (34) 에 연결되고, 원통부 (32) 를 통해 외부로 확장하며 배치된다. 드라이브 피니언 (50) 과 링 기어 (16) 는, 예를 들어 하이포이드 기어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 첫 번째 실시예의 차동 기어 (10) 에서, 제 1 차동 케이스 (12) 와 제 2 차동 케이스 (14) 는,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제 1 접합부 즉, 관통 구멍 (44) 의 외주측에 있는 외향 플랜지 (42) 의 부분 (42a) 이 제 2 차동 케이스 (14) 의 제 2 접합부 즉, 관통 구멍 (44) 에 삽입된 접합 돌기부 (40) 의 외주측에 장착되도록, 서로 방사 방향으로 겹친다. 게다가, 링 기어 (16) 는 축선 (O) 의 방향으로 양 접합부에 대면하여 배치되고, 링 기어가 이러한 양 접합부에 대면하는 부분에서 외주 측으로부터 레이저 빔 용접된다. 그래서, 이 세 부재, 즉, 제 1 차동 케이스 (12), 제 2 차동 케이스 (14), 및 링 기어 (16) 모두는 용접에 의해 함께 일체로 접합된다. 그 결과, 이들은 단 한 번의 용접 작업에 의해 접합될 수 있고, 따라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1 차동 케이스 (12) (피니언 기어 (26) 를 지지하고 링 기어 (16) 및 차동 기구 (24)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는 차동 케이스) 의 제 1 접합부, 즉, 관통 구멍 (44) 의 외주측에 있는 외향 플랜지 (42) 의 부분 (42a) 은 제 2 차동 케이스 (14) 의 제 2 접합 부분 즉, 관통 구멍 (44) 으로 삽입된 접합 돌기부 (40)의 외주측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용접 접합 강도가 같을지라도, 제 1 차동 케이스 (12) 와 링 기어 (16) 사이의 전달 토크 용량은 직경 차이에 해당한 양만큼 더 커진다. 이것은 제 2 차동 케이스 (14) 의 제 2 접합부가 외주측의 위치에서 용접에 의해 접합 될 때와 비교하여 강도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게다가, 링 기어 (16) 및 토크를 전달하는 제 1 차동 케이스 (12) 사이의 용접의 상태는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첫 번째 실시예의 차동 기어 (10) 는, 링 기어 (16) 가 차동 기구 (24) 를 지지하는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외주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축선 (O) 의 방향으로 콤팩트화가 가능하다. 또한, 외향 플랜지 (42) 는 제 1 차동 케이스 (12) 에 장착되고, 관통 구멍 (44) 은 외향 플랜지 (42) 에서 형성되고, 제 2 차동 케이스 (14) 에 장착된 접합 돌기부 (40) 는 관통 구멍 (44) 으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접합 돌기부 (40) 는 제 2 접합부로 기능을 하고, 관통 구멍 (44) 의 외주측에 있는 외향 플랜지 (42) 의 부분 (42a) 은 제 1 접합부로서 기능한다. 즉,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외주측에 링 기어 (16) 를 배치하면 장치를 더욱 콤팩트화 할 수 있는 한편,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제 1 접합부는 제 2 차동 케이스 (14) 의 제 2 접합부의 외주측에 위치하여 용접에 의해 접합이 가능하므로, 제 1 차동 케이스 (12) 와 링 기어 (16) 사이의 충분한 전달 토크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첫 번째 실시예에서, 제 1 차동 케이스 (12) 와 제 2 차동 케이스 (14) 는 모두 주로 단조에 의해 소정의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용접에 의한 접합은 주조에 차동 케이스를 더 쉽게 적절히 일체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즉, 균열이 덜함), 강도가 높아지거나, 얇거나, 경량화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첫 번째 실시예는 차동 기구 (24) 를 지지하는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외주측에 링 기어 (16) 가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한것이다. 하지만, 그 대신에, 도 2 의 (a) 내지 도 2 의 (c) 에 나타난 본 발명의 두 번째 예에 따른 차동 기어 (60) 에서와 같이, 링 기어 (16) 는 다른 방향을 대면하여 또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차동 케이스 (12) 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통형 지지부 (62) 는 제 2 차동 케이스 (14) 의 덮개부 (30)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축선 (O) 과 동심으로 일체로 장착된다. 그 원통형 지지부 (62) 의 외주측에 링 기어 (16) 를 맞추고, 외주 측을 향해 뻗은 외향 플랜지 (64) 는 원통형 지지부 (62) 의 선단에 일체로 장착된다. 또한, 외향 플랜지 (64) 의 외주 측과 맞물린 원통형 체결 부분 (66) 은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큰 직경부 (20) 의 선단에 일체로 장착된다. 외향 플랜지 (64) 의 측면과 이 체결 부분 (66) 의 선단면은 축선 (O) 의 방향으로 링 기어 (16) 의 원통부 (46) 의 선단면을 대면하게 되고, 이러한 반대면은 그리고 나서 레이저 빔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된다. 이러한 경우, 체결 부분 (66) 은 제 1 접합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외향 플랜지 (64) 는 제 2 접합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2 의 (a) 는 축선 (O) 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 의 (b) 는 링 기어가 생략된 채로, 도 2 의 (a) 의 좌측으로부터 본 좌측면도이고, 도 2 의 (c) 는 도 2 의 (a) 에 있는 II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이것들은 어디까지나 실시형태이다. 즉, 본 발명은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의 지식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수정되거나 향상된 모드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5)

  1. 차동 기구 (24) 를 지지하고 상기 차동 기구 (24) 에 그리고 차동 기구 (24) 로부터 토크를 전달하는 제 1 차동 케이스 (12), 상기 차동 기구 (24) 에 그리고 차동 기구 (24) 로부터 토크를 전달하지 않는 제 2 차동 케이스 (14), 및 링 기어 (16) 는, 별도로 형성되고 용접에 의해 함께 일체적으로 접합되는 차동 기어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 케이스 (12) 및 상기 제 2 차동 케이스 (14) 는, 제 1 차동 케이스 (12) 의 제 1 접합부 (42a) 가 제 2 차동 케이스 (14) 의 제 2 접합부 (40) 의 외주측에 위치되도록 서로 겹치고;
    상기 링 기어 (16) 는 제 1 접합부와 제 2 접합부의 양쪽에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제 1 차동 케이스 (12), 제 2 차동 케이스 (14), 및 링 기어 (16) 는, 링 기어 (16) 가 제 1 접합부 및 제 2 접합부의 양쪽에 대면하는 부분에서 용접에 의해 함께 일체적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기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 케이스 (12) 가, 축선 (O) 과 직교하는 피니언 샤프트 (25) 를 통해 피니언 기어 (26) 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피니언 기어 (26) 와 맞물리는 하나의 사이드 기어 (28) 를 축선 (O) 주위에 제 1 차동 케이스 (12) 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 2 차동 케이스 (14) 는, 피니언 샤프트 (25) 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의 사이드 기어 (28) 와는 반대측에서 상기 제 1 차동 케이스 (12) 에 배치되어 피니언 기어 (26) 와 맞물리는 다른 사이드 기어 (34) 를 축선 (O) 주위에 제 2 차동 케이스 (14) 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차동 기구 (24) 는 상기 피니언 기어 (26) 및 한 쌍의 상기 사이드 기어 (28, 3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기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 (16) 는 제 1 차동 케이스 (12) 외주측에 배치되고; 외향 플랜지 (42) 는 제 1 차동 케이스 (12) 에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 구멍 (44) 은 외향 플랜지 (42) 에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 구멍 (44) 으로 삽입된 접합 돌기부 (40) 는 제 2 차동 케이스 (14) 에 형성되고; 링 기어 (16) 는, 외향 플랜지 (42) 에 있어서의 제 2 차동 케이스 (14) 와는 반대측에서 외향 플랜지 (42) 와 접합 돌기부 (40) 에 대면하여 배치되고, 링 기어가 외향 플랜지와 접합 돌기부에 대면하는 부분에서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기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차동 기어를 포함하는 차량.

  5. 삭제
KR1020117020910A 2009-04-09 2010-04-08 차동 기어와 차동 기어가 장착된 차량 KR101328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94954 2009-04-09
JP2009094954A JP4826651B2 (ja) 2009-04-09 2009-04-09 ディファレンシャルギヤ
PCT/IB2010/000761 WO2010116235A1 (en) 2009-04-09 2010-04-08 Differential gear and vehicle provided with differential ge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738A KR20110122738A (ko) 2011-11-10
KR101328217B1 true KR101328217B1 (ko) 2013-11-14

Family

ID=4227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910A KR101328217B1 (ko) 2009-04-09 2010-04-08 차동 기어와 차동 기어가 장착된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62477B2 (ko)
JP (1) JP4826651B2 (ko)
KR (1) KR101328217B1 (ko)
CN (1) CN102388238B (ko)
DE (1) DE112010001588B4 (ko)
WO (1) WO2010116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7418B2 (ja) * 2009-01-27 2011-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ファレンシャル装置
DE102011004407A1 (de) * 2011-02-18 2012-08-23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von einem Antriebsritzel antreibbaren Zahnrads
DE102012004389B4 (de) * 2012-03-03 2022-02-10 Daimler Ag Ausgleichsgetriebe für einen Kraftwagen als Schweißkonstruktion mit unterschiedlichen Werkstoffen
DE102012206143A1 (de) * 2012-04-16 2013-10-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Kraftwagen
JP6501584B2 (ja) * 2015-03-30 2019-04-17 武蔵精密工業株式会社 伝動装置
DE102015207141A1 (de) * 2015-04-20 2016-10-20 Magna powertrain gmbh & co kg Ausgleichsgetriebe
US20160356372A1 (en) * 2015-06-08 2016-12-08 Magna Powertrain Of America, Inc. Differential assembly with single weld joint connecting two-piece differential case and ring gear
FR3039242B1 (fr) * 2015-07-20 2017-07-14 Renault Sas Liaison soudee entre une couronne de differentiel et son boitier
JP6650455B2 (ja) * 2015-07-29 2020-02-19 Gknドライブラインジャパン株式会社 デファレンシャルケース
JP6196271B2 (ja) * 2015-09-25 2017-09-13 株式会社Subaru 溶接構造及び溶接構造の製造方法
JP6621298B2 (ja) * 2015-10-28 2019-12-18 武蔵精密工業株式会社 差動装置
US20170152930A1 (en) * 2015-11-30 2017-06-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ecisely aligned, friction welded spiral bevel or hypoid ring gear and differential case assembly
US10221928B2 (en) * 2015-12-18 2019-03-05 Musashi Seimitsu Industry Co., Ltd. Differential device
JP2017125580A (ja) * 2016-01-14 2017-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ファレンシャルギヤ
US10883588B2 (en) * 2016-02-10 2021-01-05 Magna Powertrain Of America, Inc. Differential assembly with two-piece carrier and welded ring gear
DE112017001819T5 (de) * 2016-04-01 2018-12-13 Metaldyne, Llc Überformtes Differenzialaußenrad
US20190203818A1 (en) * 2016-06-24 2019-07-04 Nathan Fredrick Broker Differential overmolded weldable ring
CN107914575A (zh) * 2016-10-07 2018-04-17 株式会社捷太格特 差速装置
CN111051738B (zh) * 2017-08-31 2023-09-05 株式会社爱信 差动装置的制造方法
JP2019070420A (ja) * 2017-10-10 2019-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KR101895539B1 (ko) 2018-07-02 2018-09-05 우동철 머시닝센터를 이용한 차동기어 케이스 가공장치
US11213917B2 (en) * 2018-11-13 2022-01-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usion welding of ferrous alloy component parts using low carbon steel band
WO2020119944A1 (en) * 2018-12-11 2020-06-1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Differential assembly
DE102019203340A1 (de) * 2019-03-12 2020-09-17 Robert Bosch Gmbh Differential- oder Verteilergetriebe
CN113236733B (zh) * 2021-05-25 2022-05-20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差速器结构及汽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3357A1 (en) 2002-12-05 2004-06-24 Ronjo Company, Llc Differential mechanism for a vehicle
US20070287570A1 (en) 2004-07-17 2007-12-13 Zf Friedrichshafen Ag Differential for a Vehicle Ax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172A (ko) 1973-05-30 1975-01-30
JPS5166629A (ko) * 1974-12-02 1976-06-09 Toyota Motor Co Ltd
DE4313322C2 (de) * 1993-04-23 2001-08-02 Porsche Ag Differential für den Achsantrieb eines Kraftfahrzeuges
DE4317073A1 (de) * 1993-05-21 1994-11-24 Porsche Ag Differentialgehäuse für den Achsantrieb eines Kraftfahrzeuges
US6196942B1 (en) 1999-12-16 2001-03-06 Dana Corporation Modular unitized differential
JP3641607B2 (ja) * 2001-11-16 2005-04-27 栃木富士産業株式会社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EP1545810B1 (en) * 2002-09-27 2006-06-07 Tesma International Inc. Method of making a cold formed differential housing with integrated ring gear
DE102004043337B4 (de) * 2004-09-08 2007-07-12 Daimlerchrysler Ag Querdifferential eines Kraftfahrzeuges sowie Herstellungsverfahren desselben
US8444522B2 (en) * 2010-04-27 2013-05-21 Metal Forming & Coining Corporation Flow-formed differential case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3357A1 (en) 2002-12-05 2004-06-24 Ronjo Company, Llc Differential mechanism for a vehicle
JP2006509172A (ja) 2002-12-05 2006-03-16 ロンジョー カンパニー エルエルシー 自動車用差動機構
US20070287570A1 (en) 2004-07-17 2007-12-13 Zf Friedrichshafen Ag Differential for a Vehicle Ax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738A (ko) 2011-11-10
US8562477B2 (en) 2013-10-22
CN102388238A (zh) 2012-03-21
US20120028750A1 (en) 2012-02-02
WO2010116235A1 (en) 2010-10-14
JP2010242930A (ja) 2010-10-28
DE112010001588T5 (de) 2012-06-28
JP4826651B2 (ja) 2011-11-30
CN102388238B (zh) 2014-09-24
DE112010001588B4 (de)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217B1 (ko) 차동 기어와 차동 기어가 장착된 차량
US7316629B2 (en) Planetary gear apparatus
US9933061B2 (en) Weld structure
JP6501584B2 (ja) 伝動装置
WO2012132712A1 (ja) キャリヤ
WO2016047188A1 (ja) トルク伝達用継手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0415682B2 (en) Differential case
EP3299666B1 (en) Differential gear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CN113167366A (zh) 用于机动车的差速传动机构
JP2021008899A (ja) 伝動装置
JP2021008898A (ja) 伝動装置
JP6607124B2 (ja) 差動装置の部材接合構造
JP2008062932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減速機構
JP7082035B2 (ja) 差動装置
JP2007292123A (ja) デファレンシャルとドライブシャフトとの連結構造
CN113994125B (zh) 传动装置
CN111237425B (zh) 差动装置
EP3734116A1 (en) Differential assembly having an overhanging ring gear
JP2020085141A5 (ko)
JP2017116092A (ja) 差動装置
JP2024071233A (ja) 差動装置
JP2010159859A (ja) ディファレンシャル
JP2016098847A (ja) 差動装置
JP2004278786A (ja) 万能継手軸の長さ補償部のためのシール装置
WO2019187212A1 (ja) 差動歯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