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751B1 - 세탁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751B1
KR101327751B1 KR1020117030573A KR20117030573A KR101327751B1 KR 101327751 B1 KR101327751 B1 KR 101327751B1 KR 1020117030573 A KR1020117030573 A KR 1020117030573A KR 20117030573 A KR20117030573 A KR 20117030573A KR 101327751 B1 KR101327751 B1 KR 101327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tank
cleaning
baffl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179A (ko
Inventor
히데오 하시모토
유우키 나미카와
마사히로 하시모토
다카히사 후지이
Original Assignee
해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해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4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21/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within an enclosing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탁 장치는, 회전 축이 수평 방향 또는 수평 경사 방향으로 되는 세탁조(2)를 가지고, 이 세탁조(2)의 내벽면에, 요철 곡면(22)이 설치되는 것과 함께, 회전 축 방향으로 돌기시킨 배플(baffle, 25)이 볼록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세탁조(2)로 공급하는 세정액의 액위(液位)를 회전 축보다 높은 위치로 하여, 세탁조(2)를 회전하는 것으로, 피세정물에 대한 손상이 작은 의사(擬似) 무중력 세정 방식이 채용된다. 또한, 세탁조(2)로 공급하는 세정액의 액위를 회전 축보다 낮은 위치로 하여, 세탁조(2)를 회전하는 것으로, 절수 효과가 높은 두드려 빨기 방식이 채용된다.

Description

세탁 장치{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 석유 용제 혹은 유기계 용제 등을 포함하는 세정액을 충전(充塡)한 세탁조 내에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 장치로서, 연직(鉛直) 방향으로 회전 축을 형성하는 세탁조를 구비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 혹은 수평 방향으로부터 경사시킨 방향(이하, 단순히 「수평 경사 방향」이라고 부른다)으로 회전 축을 형성하는 세탁조를 구비하는 것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연직 방향으로 회전 축을 형성하는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 장치는, 세탁조의 저부(底部)에 설치된 펄세이터(pulsator)를 회전시켜, 세탁조 내의 세정액에 회전류(소용돌이 수류(水流))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발생한 세정액의 회전류의 힘에 의하여, 의류 등의 피세정물끼리가 서로 문질러지는 것으로, 피세정물이 세정된다(비벼 빨기 방식). 한편, 수평 방향 혹은 수평 경사 방향으로 회전 축을 형성하는 세탁조(드럼)를 구비한 세탁 장치는,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세탁조의 내벽면에 돌설(突設, 튀어나온 상태로 설치하는 것)된 배플(baffle)(날개)에 의하여 피세정물을 세탁조의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그 피세정물을 자중으로 낙하시킨다. 이 피세정물이 낙하하였을 때에, 세탁조의 내벽면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에 의하여, 피세정물이 세정된다(두드려 빨기 방식).
이와 같은 세탁 장치에 의한 세탁에 이용되는 세정액은, 물, 혹은 물에 계면활성제를 혼입시킨 용제 등의 수계(水系)의 세정액과, 석유계 용제, 혹은 유기계 용제 등의 비수계의 세정액으로 분류된다. 수계의 세정액을 이용한 경우, 피세정물에 부착한 수용성의 더러움이 세정되지만, 피세정물의 천이나 섬유에 따라서는 경화(硬化)나 손상을 입기 때문에, 세정 후의 피세정물 상태를 나쁘게 해 버린다. 한편, 비수계의 세정액을 이용한 경우, 수계의 세정액과 같은 피세정물의 손상의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지만, 수용성의 더러움을 확실하게 세정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중심 축이 수평 방향으로 되는 세탁조가 그 내부에 설치된 케이싱(수조) 내를 세정액으로 충전시키고, 세탁조(드럼)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세탁조 내에 수용된 피세정물을 세정액 중에서 부유시키도록 하여 세정하는 세탁 방법(특허 문헌 1 참조) 및 세탁 장치(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3 참조)를 제안하였다. 이들 특허 문헌에 있어서의 세탁 장치에서는 각각, 내벽면에 둘레 방향으로 연속한 요철(凹凸)이 설치된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세탁조의 내벽면 측의 세정액에 있어서, 세탁조의 내벽면의 요철마다 와류가 발생한다. 이 와류가 세탁조의 내벽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세탁조 내의 세정액에는, 세탁조의 회전을 따른 큰 흐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생하는 와류와 큰 흐름이 피세정물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피세정물은, 세탁조 내에서 떠돌도록 부유하여 퍼진다. 그 때문에, 피세정물에 있어서의 세정액과의 접촉면이 넓어질 뿐만 아니라, 피세정물로의 세정액의 침투력이 높아져, 결과, 피세정물의 더러움에 대한 세정액에 의한 세정 효과가 높아졌다.
즉, 본 출원인은, 상술의 각 특허 문헌에 있어서의 세탁 장치와 같이, 케이싱 내에 충전시킨 세정액에 대하여, 세탁조의 회전에 기초하는 압력 분포를 형성하여 세정을 행하는 것으로, 피세정물의 손상을 막는 것과 함께, 그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세정액에 형성되는 압력 분포가, 피세정물의 세정액 중에서의 거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들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케이싱 내에 충전시킨 세정액에 대하여, 그 압력 분포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은, 상술의 각 특허 문헌에 있어서의 세탁 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한층 더 검증을 행한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조의 내벽면에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된 요철면의 회전에 의하여, 세정액 내에 압력 분포가 형성되는 것이 밝혀졌다. 즉, 세탁조에는, 그 회전 방향을 따라 요철면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세탁조가 회전하였을 때, 오목부 내의 세정액은 볼록부에 의하여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세정액 자신은 체류하려고 하는 것으로, 그 오목부 내에 소용돌이상(狀)의 선회류(旋回流)가 발생한다.
이 소용돌이상의 선회류가, 각 오목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케이싱 내에 충전시킨 세정액은, 세탁조의 직경 방향에 대략 동심원상(同心圓狀)으로 다른 유속으로 흘러, 세탁조의 직경 방향에 압력 분포가 형성된다. 세탁조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형성되는 압력 분포가, 세탁조 내에서 피세정물을 부유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세정액 중에서 부유하여 떠도는 피세정물을 펼치는 것으로 되어, 세정 효과를 촉진하는 것과 함께, 피세정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술의 각 특허 문헌에 있어서의 세탁 장치에 있어서의, 세정 방식에 관하여, 「의사(擬似) 무중력 세정 방식」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공보 특허3841822호 특허 문헌 2:일본국 특허공보 특허3863176호 특허 문헌 3: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2645호
상술의 각 특허 문헌에 있어서의 세탁 장치는, 케이싱에 충전된 세정액 중으로 세탁조를 완전하게 침지(浸漬)시킨 상태 등과 같이, 세탁조 내를 세정액으로 가득 찬 상태로 하기 때문에, 일반의 가정용 세탁 장치에 비하면, 세정액을 다량으로 사용한다. 이 때문에, 상술의 각 특허 문헌에 의한 세탁 장치는, 그 절수(節水) 효과가 낮기 때문에, 특히 가정 세탁 장치와 같이, 높은 절수 효과가 요구되는 세탁 장치로서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 나아가, 근년에는, 가정 세탁기에서도 세정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의료품(衣料品)이 개발되고 있어, 이와 같은 의료품까지, 상술의 특허 문헌에 있어서의 세탁 장치로 세정할 필요는 없고, 일반적인 가정 세탁기에 의한 세정으로 충분하다. 한편,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을 행하는 드럼 식 세탁기에 있어서는, 세정에 의하여 의류의 천을 손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헹굼에 있어서도, 충분한 물의 수량(水量)으로 헹구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의류에 세제가 잔류(殘留)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세탁하는 대상물의 소재 등에 따라 세정 방식을 전환할 수 있는 세탁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탁 장치는, 연직 방향보다 수평 방향으로 기운 방향 혹은 수평 방향으로 되는 회전 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과 함께 피세정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조와, 당해 세탁조를 덮는 것과 함께 세정액이 공급되는 케이싱과, 상기 세탁조의 내벽면 상에 설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세탁조의 직경 방향으로 요철시킨 요철 곡면과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조에 공급하는 세정액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세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직경 방향을 향하여 상기 세탁조의 내벽면으로부터 볼록하게 설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세탁조의 직경 방향을 따른 높이가 상기 요철 곡면의 볼록부의 높이보다도 높은, 적어도 1개의 배플을 구비하고, 상기 세탁조에 공급되는 세정액의 액위에 의하여, 상기 세탁조로 공급되는 세정액 내에 피세정물을 부유시켜 세정하는 제1 세정 동작과, 상기 배플에 의하여 피세정물을 교반(攪拌)하여 세정하는 제2 세정 동작이 전환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요철 곡면을 가지는 세탁조에 배플을 설치하는 것으로,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제1 세정 방식과,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제2 세정 방식을, 그 세정하는 대상에 의하여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 가능한 의류에 대해서는, 제2 세정 방식을 선택하는 것으로, 세정 시의 사용하는 세정액의 양을 저감할 수 있어 절수 효과가 오른다. 한편,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으로 손상을 입기 쉬운 의류에 대해서는, 제1 세정 방식을 선택하는 것으로, 세정 시에 있어서의 의류로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헹굼에 있어서, 제1 세정 방식을 이용한 경우, 헹굼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슬릿을 설치한 세탁조에 의하여 탈수를 행하였을 때에는, 세탁조에 요철 곡면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탈수 시에 의류에 주는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 장치의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세탁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세탁조의 회전 축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세탁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탁 장치에 있어서의 배관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세탁조에 설치되는 배플의 제1 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세탁조에 설치되는 배플의 제2 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세탁조에 설치되는 배플의 제3 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 되는 세탁 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세탁 장치에 있어서의 세탁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세탁조의 회전 축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세탁조의 개략 단면도이다. 나아가, 도 4는, 본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배관 시스템의 개략과 제어 시스템의 개략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1) 세탁 장치의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세탁 장치는, 세정액이 내부로 공급되는 케이싱(1)과, 이 케이싱(1)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세탁조(2)와, 케이싱(1)의 전면(前面) 측을 개구(開口)하여 설치된 세정물의 투입구(11)를 덮는 비부(扉部, 3)와, 케이싱(1)을 관통하여 세탁조(2)에 접속된 회전 축(4)과, 회전 축(4)을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시켜 세탁조(2)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5)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케이싱(1) 및 세탁조(2)의 각각은, 그 중심 축이 연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경사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세탁조(2)는, 수평 방향 또는 수평 경사 방향으로 되는 중심 축을 회전 축으로 하여, 케이싱(1) 내에서 회전한다. 덧붙여, 케이싱(1)은, 세탁조(2)와 동심원상의 단면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내부에서 세탁조(2)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비부(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일부가 투입구(11)로부터 케이싱(1) 내로 삽입되는 돌기부를 가지고, 비부(3)에 의하여 투입구(11)를 닫았을 때에, 비부(3)의 돌기부가 투입구(11)에 감입(嵌入)하는 것으로, 외부로 세정액이 새지 않도록, 케이싱(1)이 비부(3)에 의하여 밀봉된다. 또한, 비부(3)는, 케이싱(1)을 닫았을 때에, 작업자가 케이싱(1)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나 아크릴판 등의 투명 부재로 구성된 창부(窓部)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작업자는, 케이싱(1) 내로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이나, 세정 중의 피세정물의 모습 등을 시인(視認)할 수 있다. 구동 기구(5)는, 회전 축(4)을 구비한 전동 모터로 구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회전 축(4)을 간접적으로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의 회전을 회전 축(4)에 전달시키는 풀리(pully) 및 벨트에 의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 구동 기구(5)는, 케이싱(1)의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회전 축(4)은, 케이싱(1)에 삽입되어 세탁조(2)와 접속된다. 따라서, 케이싱(1)은, 이 회전 축(4)이 삽입되는 베어링부가 설치된다. 이 베어링부는, 케이싱(1) 내의 세정액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는 실(seal) 구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세탁 장치에 있어서의 세탁조(2)의 구성에 관하여, 도 2 ~ 4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회전 축이 수평 방향 또는 수평 경사 방향으로 되는 세탁조(2)는, 일방(一方)의 저면(底面)에 개구된 개구부(21)를 구비한 바구니 형상이다. 세탁조(2)의 내벽면에는, 세탁조(2)의 회전 축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이 원둘레 방향으로 연속한 요철 형상으로 되는 요철 곡면(22)과, 세탁조(2)의 회전 축의 방향을 긴쪽 방향으로 하여 개구한 슬릿(23)과, 일부의 요철 곡면(22) 상에 설치된 배플(25)을 구비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2)의 회전 축에 대하여 수직인 세탁조(2)의 내벽면의 단면에 있어서의 원둘레 방향을 따라, 요철 곡면(22)과 슬릿(23)이 번갈아 형성된다. 덧붙여, 도 2 및 도 4에서는, 요철 곡면(22)과 슬릿(23)이 등간격(等間隔)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도 3에서는, 요철 곡면(22)과 슬릿(23)이 다른 간격으로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다.
세탁조(2)의 내벽면에 구성되는 요철 곡면(2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2)의 회전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는 요철 형상에 의한 단면을 세탁조(2)의 회전 축 방향을 따라 연속시킨 곡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즉, 세탁조(2)의 회전 축 방향을 각각의 긴쪽 방향으로 하였을 때, 오목부(22a) 및 볼록부(22b)가, 세탁조(2)의 회전 축에 수직인 원둘레 방향을 따라 번갈아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세탁조(2)의 내벽면에 요철 곡면(22)이 구성된다. 또한, 슬릿(23)은, 세탁조(2)의 내벽으로부터 외벽을 향하여 관통하기 때문에, 이 슬릿(23)에 의하여, 세탁조(2) 내의 세정액이 케이싱(1)과 세탁조(2) 사이의 영역으로 배출되는 것과 함께, 케이싱(1)과 세탁조(2) 사이의 영역 내의 세정액이 세탁조(2) 내로 유입된다.
덧붙여, 도 2의 구성에서는, 슬릿(23)을, 세탁조(2)의 회전 축 방향을 긴쪽 방향으로 하여 개구시킨 것으로 하였지만, 세탁조(2)의 회전 축 방향에 대하여 배열시킨 복수의 구멍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 슬릿(23)은, 세탁조(2)의 둘레면으로 되는 내벽면뿐만 아니라, 개구면(21)에 대항한 저면(24)에도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며, 케이싱(1)(도 1 참조)과 개구면(21)의 사이에 간극(間隙)을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케이싱(1)과 개구면(21)의 사이 또는 저면(24)에만 슬릿(23)을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세탁조(2)의 구성에 관해서도, 그 내벽면에 요철 곡면(22)과 슬릿(23)이 번갈아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세탁조(2)의 내벽면의 모든 둘레면에 걸쳐, 요철 곡면(22)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오목부(22a)의 일부에 슬릿(23)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배플(25)은, 일부의 요철 곡면(22) 상에 있어서, 2개의 오목부(22a)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과 함께, 세탁조(2)의 직경 방향의 높이가 볼록부(22b)보다도 높아지도록 돌기된 구성을 구비한다. 그리고, 배플(25)은, 볼록부(22b)와 마찬가지, 세탁조(2)의 내벽으로부터 회전 축을 향하여 돌기시킨 단면 형상을 세탁조(2)의 회전 축을 따라 연속시킨 형상으로 된다. 또한, 배플(25)은, 세탁조(2)의 내벽면 상에 복수 설치되는 것이어도 무방하고, 1개만 설치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세탁조(2)의 내벽면 상에 배플(25)이 복수 설치되는 경우, 배플(25)은, 세탁조(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3개의 배플(25)이 세탁조(2)의 내벽면 상에 볼록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배플(25)은, 1개 이상 설치되어 있으면 무방하며, 그 개수가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세탁조(2)에 있어서, 세탁조(2)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요철 곡면(22)에 있어서, 오목부(22a)와 볼록부(22b)가 번갈아 형성되고, 배플(25)이 볼록부(22b) 대신에 설치된다. 이 때, 오목부(22a)의 저부, 볼록부(22b)의 정부(頂部), 및 오목부(22a)와 볼록부(22b)의 접속부 각각에 있어서의 형상의 변화를 완만한 것으로 하는 것으로, 요철 곡면(22)의 둘레 방향의 단면에 의한 곡선을 매끄러운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요철 곡면(22)이 세탁조(2)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였을 때, 오목부(22a)의 내측의 유체에 대하여, 볼록부(22b)가 흐름을 형성할 때, 그 흐름에 주는 혼란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요철 곡면(22)은, 세탁조(2)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같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2)의 둘레 방향을 따른 폭이 다른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이 요철 곡면(22)은, 만곡시킨 박육(薄肉)의 금속판으로 형성하고, 슬릿(23)을 설치된 원통 바구니상의 세탁조(2)의 내벽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세탁 장치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1)의 상부에, 케이싱(1)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급액(給液, 액체를 공급함) 유로(12)와, 케이싱(1) 내의 공기의 배기와 흡기를 행하는 공기 유로(13)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케이싱(1)의 하부에, 케이싱(1)으로부터 세정액을 배출하는 배액(排液, 액체를 배출함) 유로(14)를 구비하고, 나아가, 케이싱(1) 내로 공급된 세정액의 액위(液位, 액체의 위치)를 계측하기 위한 액위 계측용 배관(15) 및 압력 센서(16)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세탁 장치는, 급액 유로(12)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17)와, 배액 유로(14)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18)와, 작업자에 의한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19)와, 밸브 개도(開度)를 지정하여 유량 제어 밸브(17, 18) 각각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한다.
이 때, 액위 계측용 배관(15)은, 케이싱(1)에 대하여, 세탁조(2)의 중심 축보다도 낮은 위치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연직 방향으로 굴곡된 구성으로 된다. 이 액위 계측용 배관(15)은, 케이싱(1)의 접속 측과 반대쪽의 단부(端部)에, 액위 계측용 배관(15)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6)가, 연직 방향에 있어서 세탁조(2)의 최상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압력 센서(16)가 설치된 액위 계측용 배관(15)은, 케이싱(1) 내로 공급된 세정액의 일부가 유입하여, 그 세정액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액위가, 케이싱(1) 내의 세정액의 액위와 동일한 높이 위치로 된다. 그리고, 압력 센서(16)가, 액위 계측용 배관(15) 내의 공압(空壓)을 측정하는 것으로, 액위 계측용 배관(15) 내의 세정액의 액위를 측정하기 때문에, 액위 계측용 배관(15)의 액위와 동일 높이로 되는 케이싱(1) 내의 액위가 측정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세탁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조작부(19)에서 받아들여진 조작 내용에 기초하는 신호를 받는 것과 함께, 조작부(19)에서의 조작 내용에 따라, 압력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유량 제어 밸브(17, 18) 각각의 밸브 개도를 설정한다. 즉, 작업자에 의하여 조작부(19)가 조작되어, 세탁되는 피세정물의 내용이 입력되면, 제어부(20)는, 세탁조(2)에 투입된 피세정물의 내용으로부터, 케이싱(1) 내로 공급되는 세정액의 액위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산출한 세정액의 액위가 보지(保持)되도록, 압력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의한 액위에 기초하여, 유량 제어 밸브(17, 18)의 밸브 개도를 최적의 개도로 되도록 제어한다.
덧붙여, 상기 구성의 세탁 장치에 있어서, 급액 유로(12)는, 케이싱(1)의 상부에 있어서의, 세탁조(2)와 겹치는 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세탁조(2)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급액 유로(12)는, 세탁조(2)의 중심 축에 병행인 방향을 따라, 복수의 유로가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1개의 유로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케이싱(1) 내의 세정액의 액위를 측정하는 액위 센서로서, 액위 계측용 배관(15)과 압력 센서(16)를 이용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정전(靜電) 용량이나 전기 저항을 측정하여 액위를 측정하는 구성의 것과 같이, 다른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특허 문헌 3과 마찬가지, 배액 유로(14)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을 재생 처리하는 폐액(廢液) 처리부가 설치되는 것과 함께, 폐액 처리부에서 재생 처리된 세정액을 급액 유로(12)로 유입시켜 케이싱(1)의 세정액을 순환시키는 펌프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특허 문헌 3과 마찬가지, 케이싱(1) 내로 공급하는 세정액을 일시적으로 저수(貯水)하는 탱크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특허 문헌 3과 마찬가지, 공기 유로(13)에, 케이싱(1) 내의 세정액이 외부로 새는 것을 막는 공기 밸브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상기 탱크가 설치되는 경우는, 공기 유로(13)가 탱크와 접속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2)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
이와 같은 구성의 세탁 장치는, 세탁조(2)로 공급하는 세정액의 양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과,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우선,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술과 같은 구성의 세탁 장치가,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을 실행할 때, 우선, 제어부(20)가 제어 신호를 유량 제어 밸브(17, 18)에 주어, 유량 제어 밸브(17)를 여는 것과 함께, 유량 제어 밸브(18)를 닫는다. 이것에 의하여, 케이싱(1)에는, 피세정물이 투입된 세탁조(2)가 세정액 중으로 침지할 때까지, 급액 유로(12)로부터 세정액이 공급된다. 그리고, 제어부(20)가, 압력 센서(16)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세탁조(2)에 대한 세정액의 액위를 확인하고, 조작부(19)에 의하여 입력된 피세정물의 내용에 따라 설정된 액위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덧붙여,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 세탁조(2)의 중심 축 이상으로 되는 높이로부터 세탁조(2)의 최상위보다도 높은 높이(세탁조(2)를 완전히 세정액으로 채운 상태로 하는 높이)까지의 사이에서, 세정액의 액위가 설정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때,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의 실행이 지정되면, 기본적으로, 세탁조(2)를 완전히 세정액으로 채우도록, 세정액의 액위가 설정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비중이 작은 다운(down) 코트 등과 같이, 부력이 크게 작용하는 피세정물의 경우에, 예외적으로, 세탁조(2)의 상부에 공기의 층을 형성시키도록, 세정액의 액위를 낮게 설정하여, 세탁조(2)가 세정액으로 완전히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세탁조(2)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액위가 피세정물을 부유시키는데 충분한 액위로 된 것을, 제어부(20)가 확인하면, 제어부(20)가, 구동 기구(5)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세탁조(2)의 회전이 개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세탁조(2)가 케이싱(1) 내의 세정액 중을 회전하는 것으로, 세탁조(2) 내의 피세정물이 세정액 중에서 부유하면서 펼쳐져, 세정액에 의한 세정 또는 헹굼이 행하여진다. 덧붙여, 헹굼을 실행하는 경우는, 세정액 대신에 헹굼용의 물이 공급된다. 이 때, 제어부(20)는, 도시하지 않는 펌프를 구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유량 제어 밸브(17, 18) 각각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세탁조(2)에 대하여 세정액을 순환시킨다. 덧붙여, 제어부(20)가, 케이싱(1) 내에 세정액이 충전된 것을 확인하였을 때, 유량 제어 밸브(17, 18) 각각을 닫아, 세정액을 순환시키는 것 없이, 세탁조(2)를 회전시켜,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때, 세탁조(2)에 충전된 세정액에 대하여, 요철 곡면(22)의 회전에 기초하는, 세탁조(2) 내벽면 측으로부터의 흐름이 형성된다. 그리고, 세탁조(2) 내벽면 측으로부터 발생하는 세정액의 흐름이, 세탁조(2)의 회전 축을 향하여 전파하고, 세탁조(2) 내의 세정액에 압력 분포가 발생한다. 이 세정액에 있어서의 압력 분포나 부력이 피세정물에 작용하는 것으로, 피세정물은, 세탁조(2) 내의 세정액 중에서, 자신도 펼쳐지면서, 무중력 상태에서 유영하고 있는 것과 같은 거동을 나타내며, 세정 또는 헹굼이 이루어진다. 또한, 세탁조(2) 내의 세정액에 유속이 다른 층이 형성되어 압력 분포가 생기기 때문에, 세정액 중의 피세정물은, 세탁조(2)의 내벽면 측으로 이동한 경우, 세정액의 빠른 흐름에 영향을 받은 거동을 나타낸다.
즉, 세탁조(2) 내의 세정액 중에서는, 회전 방향의 큰 흐름에 더하여, 요철 곡면(22)에 의하여 형성되는 와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이 세정액의 흐름에 의하여, 피세정물의 세탁조(2)의 내벽면에 대한 충돌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회전 축 측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켜진다. 나아가, 세정액의 유속이 다른 것으로 세정액 중에 압력 분포가 형성되기 때문에, 각층의 유속의 영향을 받는 피세정물은, 세정액 중을 떠도는 것과 함께 펼쳐진다. 이것에 의하여, 피세정물은, 세정액의 액체 분자와 접촉하는 면이 펼쳐지기 때문에, 세정액에 의한 세정 및 헹굼의 효과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피세정물에 대하여, 세정액의 흐름에 기초하는 비틀기나 세탁조로의 충돌 등의 부담이 경감되기 때문에, 세정에 의한 손상이 저감된다.
(3)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
이어서,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에 관하여, 이하에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의 경우와 마찬가지, 제어부(20)가 제어 신호를 주어, 유량 제어 밸브(17)를 여는 것과 함께, 유량 제어 밸브(18)를 닫고, 급액 유로(12)로부터 케이싱(1) 내로 세정액이 공급된다. 그 후, 제어부(20)가, 압력 센서(16)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세탁조(2) 내의 세정액의 액위가, 조작부(19)에 의하여 입력된 피세정물의 내용에 따라 설정된 액위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면, 제어부(20)가 제어 신호를 주어, 유량 제어 밸브(17, 18)를 닫는다. 그리고, 제어부(20)가, 구동 기구(5)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세탁조(2)의 회전이 개시한다.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에서는, 세탁조(2)의 회전을 개시하기 위한 액위는, 세탁조(2)의 회전 축보다도 낮아지도록 설정되는 등과 같이,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의 경우에 비하여 낮게 설정된다. 그리고,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 효과를 충분히 얻어지도록 하는 경우에는, 세탁조(2)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액위가 낮아지도록 설정된다. 한편, 두드려 빨기에 적합하지 않은 세정물을 세정하는 경우는, 세탁조(2)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액위를 높아지도록 설정하여, 비벼 빨기에 의한 효과에 기초하여 세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에서는, 세탁조(2)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액위가, 세탁조(2)에 투입된 피세정물의 양(용적 혹은 중량)에 따른 값으로 설정된다. 즉, 세탁조(2)에 투입된 피세정물이 많은 경우는, 세탁조(2)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액위가 높아지도록 설정되고, 세탁조(2)에 투입된 피세정물이 적은 경우는, 그 액위가 낮아지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상술과 같이 세탁조(2)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피세정물에 대한 세정 또는 헹굼이 개시된다. 이 때, 세탁조(2)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조(2)의 내벽면으로부터 돌기해 있는 배플(25)이 회전하기 때문에, 세탁조(2) 중의 하부에 있어서의 피세정물이, 배플(25)에 의하여, 높은 위치로 그러올려진다. 그리고, 배플(25)에 의하여 세탁조(2)의 상부로 그러올려진 피세정물은, 그 자중에 의하여, 세탁조(2)의 하부로 낙하한다. 이와 같이, 배플(25)이 회전하는 것으로, 세탁조(2) 내의 피세정물이 교반된다. 이 때, 세탁조(2)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액위가 낮게 설정되는 경우는, 교반되는 피세정물이, 낙하에 의하여 세탁조(2)의 내벽면과 충돌하는 것으로, 두드려 빨기에 의한 세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세탁조(2)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액위가 높게 설정되는 경우는, 피세정물이, 세탁조(2) 내의 내벽면을 따라 구르도록, 세정액 중에서 교반되기 때문에, 비벼 빨기에 의한 세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이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이 실행될 때, 세탁조(2)의 내벽면에는, 요철 곡면(2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조(2)의 내벽면으로 낙하, 또는, 세탁조(2)의 내벽면을 전동(轉動)하는 피세정물은, 요철 곡면(22)에 있어서의 볼록부(22b)의 정부에 충돌하는 것으로 된다. 이 볼록부(22b)의 정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완만한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조(2)의 내벽면으로 낙하 또는 세탁조(2)의 내벽면을 전동하는 피세정물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배플(25)의 형상을, 피세정물을 세탁조(2)의 낮은 위치에서 교반시키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하여, 항상 비벼 빨기의 효과에 의한 세정 또는 헹굼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반대로, 피세정물을 세탁조(2)의 높은 위치에서 교반시키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하여, 항상 두드려 빨기의 효과에 의한 세정 또는 헹굼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술과 같이, 유량 제어 밸브(17, 18)를 닫아, 세탁조(2)에 대하여 세정액을 순환시키지 않는 것으로 하였지만,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의 경우와 마찬가지, 유량 제어 밸브(17, 18)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과 함께, 도시하지 않는 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세탁조(2)에 대하여 세정액을 순환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술의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 및 두드려 빨기 방식 중 어느 세정 동작이어도, 피세정물의 세정이나 헹굼을 행할 때의 세탁조(2)의 회전에 관하여, 일정 방향의 회전만을 소정 시간 연속하여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일정 방향의 회전을 소정 시간마다 단속(斷續)하여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즉, 세탁조(2)를 정회전 방향(혹은 역전 방향)으로 일정시간 연속하여 회전시켜도 무방하고, 세탁조(2)를 정회전 방향(혹은 역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기간과 세탁조(2)의 회전의 정지 기간을, 일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반복하여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세정이나 헹굼을 위한 세탁조(2)의 회전을 단속적으로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단속적으로 개시되는 회전마다, 그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즉, 세탁조(2)를 회전시켜 회전시키는 회전 기간과 세탁조(2)의 회전의 정지 기간을, 일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반복하여 행하고, 또한, 회전 기간마다 세탁조(2)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 방향과 반전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때, 정지 기간이 없이, 회전 방향을 일정시간마다 역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두드려 빨기 방식과 같이 액위가 낮은 경우에, 회전 방향을 전환할 때, 세탁조(2)의 내벽면 상을 피세정물이 전동하도록, 세탁조(2)를 요동(搖動, 흔들려 움직임)시키는 것으로, 비벼 빨기 효과에 의한 세정 또는 헹굼이 실행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이와 같이 하여 세정 및 헹굼이 실행되는 세탁 장치에 있어서, 세정 시에 공급되는 세정액은, 수계 또는 비수계 중 어느 하나여도 상관없다. 그리고, 수계의 세정액으로서는, 물, 혹은 물에 계면활성제를 조합(調合)시킨 것 등이 사용된다. 이 수계의 세정액에 의하여, 수용성의 더러움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가 조합되는 경우는, 이 계면활성제가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유성의 더러움도 세정할 수 있다. 한편, 비수계의 세정액으로서는, 석유계(탄화수소계) 용제, 혹은 유기계 용제 등이 사용된다. 이 비수계의 세정액은, 주로 유성의 더러움을 세정할 수 있고, 또한, 수계의 세정액에 비하여 건조성이 좋다고 하는 특성을 구비한다.
(4) 배수 처리
제어부(20)가, 세정액의 더러워짐 상태나 세정 시간 등을 측정하는 것으로, 상술의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 또는 두드려 빨기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세정 동작이 종료한 것을 확인하면, 구동 기구(5)를 정지시켜, 세탁조(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과 함께, 유량 제어 밸브(18)를 연다. 덧붙여, 도시하지 않는 펌프에 의하여 세정액이 순환되고 있을 때는, 제어부(20)는, 펌프의 동작도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세탁조(2)의 회전이 정지하는 것과 함께, 케이싱(1) 내의 세정액이, 배액 유로(14)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비부(3)를 열어, 세정된 피세정물을 세탁조(2)로부터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정 동작 완료 후에 케이싱(1)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은, 여과나 화학 처리 등의 재생 처리가 시행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세정 동작의 설정
제어부(20)는, 조작부(19)가 조작되어, 피세정물의 종류나 중량 등이 입력되는 것에 의하여,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 및 두드려 빨기 방식의 어느 세정 방식을 채용할까를 결정하는 것과 동시에, 그 액위에 관하여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때, 조작부(19)의 일부로서, 중량 센서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즉, 중량 센서에 의하여 피세정물의 중량이 측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두드려 빨기 방식에 있어서의 액위를 제어부(20)가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피세정물의 종류에 관해서는, 조작부(19)의 키 등을 작업자가 조작하는 것으로 입력되는 것이어도 무방하고, 피세정물에 부수(附隨)한 IC 태그나 QR 코드 등에서 기억한 정보를 조작부(19)에서 읽어내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세정 방식과 액위에 관하여, 제어부(20)가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가 조작부(19)를 조작하여 설정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제어부(20)는, 상술과 같이 하여,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 및 두드려 빨기 방식의 어느 세정 방식을 채용하여, 피세정물을 세정액에 의한 세정 동작을 제어한 후, 피세정물로부터 세정액에 의한 세제를 없애기 위한 헹굼을 행한다. 이 때,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조작부(19)로의 조작에 의하여, 헹굼에 의한 높은 효과가 요구되고 있을 때에,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을 채용하여, 피세정물의 헹굼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예를 들어, 조작부(19)로의 조작에 의하여, 절수 효과가 요구되었을 때에, 두드려 빨기 방식을 채용하여, 피세정물의 헹굼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세정에서 채용하는 세정 방식과, 헹굼에서 채용하는 세정 방식에 관하여 개별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피세정물의 종류나 유저의 희망에 따라, 세정 및 헹굼 각각에서 최적으로 되는 세정 방식을 조합(組合)할 수 있다. 또한, 세정이나 헹굼을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하기 위하여, 세정 및 헹굼 각각에 관하여,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과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을 조합한 복수의 사이클로 실시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그리고, 피세정물의 헹굼이 실행된 후, 피세정물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가 실행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즉, 물에 의한 헹굼이 완료하여, 배액 유로(14)로 헹굼에 사용한 물을 케이싱(1)으로부터 완전히 배출하면, 제어부(20)는, 구동 기구(5)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세탁조(2)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그 원심력에 의하여, 피세정물에 포함되는 수분을 슬릿(23)으로, 세탁조(2)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탈수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 세탁조(2)의 내벽면이,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요철 곡면(22)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피세정물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6) 배플의 구성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세탁 장치는, 배플(25)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액위를 설정하고,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 및 두드려 빨기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그 세탁 또는 헹굼에 채용하는 세정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 세정 방식을 선택 가능하게 한 배플(25)의 구성 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이하에 있어서, 배플(25)의 구성 예로서 3 예를 들지만, 배플(25)은, 두드려 빨기 방식에 있어서 피세정물을 교반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있어서 장해 작용이 억제되는 것이면 무방하며, 이하의 3 예에 의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배플의 구성의 제1 예
본 실시예의 세탁 장치에 있어서의 배플(25)의 구성의 제1 예로서, 도 5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구비한 배플(25a)을 든다. 본 예에 있어서의 배플(25a)의 단면 형상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철 곡면(22)의 오목부(22a)의 곡면과 연속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볼록부(22b)와 대략 상사(相似)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상술의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에, 배플(25a)을, 요철 곡면(22)의 볼록부(22b)와 의사적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요철 곡면(22)의 일부로서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플(25a)이 요철 곡면(22)보다 돌출한 형상인 것에 기초하는,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 시에 발생하는 세정액의 흐름에 대한 장해 작용이, 억제되는 것으로 되어,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2. 배플의 구성의 제2 예
본 실시예의 세탁 장치에 있어서의 배플(25)의 구성의 제2 예로서, 도 6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구비한 배플(25b)을 든다. 본 예에 있어서의 배플(25b)의 단면 형상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의 제1 예에 있어서의 배플(25a)과 달리, 그 정부가 좌우(세탁조(2)의 둘레 방향)로 벌어진 대략 T자 형상으로 된다. 이 배플(25b)은, 그 정부 양단(兩端)이 둥그스름함을 띤 곡선을 그리도록 구성되는 것과 함께, 요철 곡면(22)과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정부를 향해서는, 오목부(22a)의 곡률과 연속하는 것과 같은 곡선을 그리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플(25b)이 구성하는 것으로,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배플(25b)의 요철 곡면(22)과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정부의 사이에 구성되는 오목부에서, 요철 곡면(22)의 오목부(22a)와 마찬가지의 작용이 행하여지는 것과 동시에, 배플(25b)의 정부의 양단에서, 요철 곡면(22)의 볼록부(22b)와 마찬가지의 작용이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예의 배플(25a)과 마찬가지, 세정 시에 발생하는 세정액의 흐름에 대한 배플(25b)의 장해 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플(25b)의 정부가, 세탁조(2)의 둘레 방향으로 돌기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1 예의 배플(25a)과 비교하여,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을 행할 때에, 피세정물을 그러올리기 쉬운 구조로 된다. 따라서, 배플(25b)의 세탁조(2)의 직경 방향으로 돌기시킨 높이를, 배플(25a)보다도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세탁조(2)의 직경 방향으로 돌기시킨 높이를 낮게 하는 것으로,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있어서의 배플(25b)에 의한 장해 작용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본 예에 있어서, 배플(25b)의 정부의 중앙 위치에 오목부를 설치한 것과 같은, Y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3. 배플의 구성의 제3 예
본 실시예의 세탁 장치에 있어서의 배플(25)의 구성의 제3 예로서, 도 7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구비한 배플(25c)을 든다. 본 예에 있어서의 배플(25c)의 단면 형상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의 제1 예에 있어서의 배플(25a)과 달리,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도록 요철 곡면(22)으로부터 돌기시키는 것과 함께, 요철 곡면(22)과 마찬가지의 오목부(22a)와 볼록부(22b)를 연속시킨 곡면을 그 표면에 가진다. 즉, 배플(25c)의 단면 형상이, 요철 곡면(22)의 일부를 세탁조(2)의 회전 축을 향하여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기시킨 형상으로 된다.
이와 같이, 배플(25c)에, 요철 곡면(22)과 마찬가지의 오목부(22a)와 볼록부(22b)가 형성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을 행한 경우, 배플(25c)의 표면에는, 요철 곡면(22)의 표면과 마찬가지의 세정액에 의한 흐름이 발생한다. 즉, 오목부(22a)를 따른 와류가 발생하는 것과 동시에, 세탁조(2)의 둘레 방향을 따른 큰 세정액의 흐름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하여, 세탁조(2) 내에 압력 분포가 발생하여, 피세정물을 세정액 중에서 펼치는 것과 동시에 부유시키는 흐름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배플(25c)의 표면에 관해서도, 요철 곡면(22)과 마찬가지로 작용하기 때문에, 제1 예의 배플(25a)에 비하여, 세탁조(2)의 직경 방향으로 돌기시킨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이 세탁조(2)의 직경 방향의 높이를 높게 하는 것에 의하여, 두드려 빨기 방식에 있어서, 배플(25c)이, 배플(25a)에 비하여, 피세정물을 그러올리기 쉬워지기 때문에, 두드려 빨기에 의한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플(25)이 세탁조(2)의 내벽면 상에 고설(固設, 고착한 상태로 설치하는 것)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배플(25)이 세탁조(2)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한 구성인 것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즉,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을 실행하는 경우는, 배플(25)을 세탁조(2)의 내벽면에 장착하는 것으로, 배플(25)에 의한 교반에 기초하는 세정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의한 세정을 실행하는 경우는, 세탁조(2)의 내벽면으로부터 배플(25)을 떼어내는 것에 의하여, 세탁조(2)의 내벽면의 거의 모든 면을 요철 곡면(22)으로 할 수 있어, 배플(25)에 의한 장해 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플(25)을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배플(25)의 형상을, 두드려 빨기 방식에 최적인 형상으로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의사 무중력 세정 방식에 있어서는 배플(25)에 의한 장해 작용이 없어진다.
이 때, 예를 들어, 배플(25)의 세탁조(2)의 내벽면과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하는 부분에 돌기시킨 계지(係止, 서로 걸려 고정되는 것) 부재를 설치하는 것과 함께, 세탁조(2)의 내벽면에는, 이 계지 부재가 삽입되는 계지용 구멍이 설치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즉,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을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세탁조(2)의 내벽면의 계지용 구멍에, 배플(25)의 계지 부재를 삽입하여, 배플(25)을 세탁조(2)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다른 예로서, 세탁조(2)의 내벽면에 있어서, 배플(25)의 세탁조(2)와의 당접부의 양단 부분이 감합(嵌合)되는 레일을, 세탁조(2)의 회전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즉, 두드려 빨기 방식에 의한 세정을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세탁조(2)에 대하여, 배플(25)을 레일에 감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배플(25)을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그 회전 축이 수평 방향 또는 수평 경사 방향으로 되는 세탁조를 회전시켜 피세정물의 세정을 행하는 세탁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세탁 장치에 있어서 사용하는 세정액으로서, 수계의 세정액이어도 상관없고, 비수계의 세정액이어도 상관없다.
1 : 케이싱
2 : 세탁조
3 : 비부
4 : 회전 축
5 : 구동 기구
11 : 투입구
12 : 급액 유로
13 : 공기 유로
14 : 배액 유로
15 : 액위 계측용 배관
16 : 압력 센서
17, 18 : 유량 제어 밸브
19 : 조작부
20 : 제어부
21 : 개구부
22 : 요철 곡면
22a : 오목부
22b : 볼록부
23 : 슬릿
24 : 저면
25 : 배플

Claims (7)

  1. 연직(鉛直)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기운 방향 혹은 수평 방향으로 되는 회전 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과 함께 피세정물이 내부로 수용되는 세탁조와, 당해 세탁조를 덮는 것과 함께 세정액이 공급되는 케이싱과, 상기 세탁조의 내벽면 상에 설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세탁조의 직경 방향으로 요철(凹凸)시킨 요철 곡면과,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조에 공급하는 세정액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세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직경 방향을 향하여 상기 세탁조의 내벽면으로부터 볼록하게 설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세탁조의 직경 방향을 따른 높이가 상기 요철 곡면의 볼록부의 높이보다도 높은, 적어도 1개의 배플(baffle)을 구비하고,
    상기 세탁조에 공급되는 세정액의 액위에 의하여, 상기 세탁조에 공급되는 세정액 내에 피세정물을 부유시켜 세정하는 제1 세정 동작과, 상기 배플에 의하여 피세정물을 교반(攪拌)하여 세정하는 제2 세정 동작이 전환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정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는,
    상기 세탁조로 공급되는 세정액의 액위(液位)를 상기 세탁조의 회전 축보다 높은 위치로 하여,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 세정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는,
    상기 세탁조로 공급되는 세정액의 액위를 상기 세탁조의 회전 축 이하의 낮은 위치로 하여,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이 상기 세탁조의 내벽면에 대하여 착탈(着脫)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상기 세탁조의 중심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는 단면 형상이, 상기 요철 곡면의 볼록부의 단면 형상과 상사(相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상기 세탁조의 중심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는 단면 형상이,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표면에, 상기 요철 곡면과 동형상(同形狀)의 요철 곡면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가, 그 내벽면으로부터 외벽면을 향하여 관통한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KR1020117030573A 2010-07-27 2011-07-20 세탁 장치 KR101327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8288 2010-07-27
JP2010168288A JP5147088B2 (ja) 2010-07-27 2010-07-27 洗濯装置
PCT/JP2011/066398 WO2012014734A1 (ja) 2010-07-27 2011-07-20 洗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179A KR20120041179A (ko) 2012-04-30
KR101327751B1 true KR101327751B1 (ko) 2013-11-11

Family

ID=45315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573A KR101327751B1 (ko) 2010-07-27 2011-07-20 세탁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20160281A1 (ko)
EP (1) EP2441878A4 (ko)
JP (1) JP5147088B2 (ko)
KR (1) KR101327751B1 (ko)
CN (1) CN102439217A (ko)
AU (1) AU2011265498A1 (ko)
CA (1) CA2761799C (ko)
SG (1) SG177251A1 (ko)
TW (1) TWI457484B (ko)
WO (1) WO2012014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2882B2 (ja) * 2012-03-23 2016-10-05 正裕 岩永 混合攪拌装置および方法
CN102677444A (zh) * 2012-04-11 2012-09-19 魏春莉 一种便携式自动洗衣袋
DE102013113425A1 (de) * 2013-12-04 2015-06-11 Miele & Cie. Kg Waschmaschinentrommel und mit derselben durchgeführtes Waschverfahren
CN104131436A (zh) * 2014-07-15 2014-11-05 吴江市科时达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用洗涤装置
JP5896542B1 (ja) * 2014-11-21 2016-03-30 株式会社ハッピー 洗濯方法
JP6781870B2 (ja) * 2016-04-15 2020-11-11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
US10648116B2 (en) 2017-09-29 2020-05-12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lifter
USD852441S1 (en) 2017-09-29 2019-06-25 Whirlpool Corporation Lifter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CN110037642B (zh) * 2018-01-16 2023-08-1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洗涤设备的固定装置及洗涤设备
TWI645273B (zh) * 2018-01-26 2018-12-21 禾聯碩股份有限公司 洗衣裝置管理系統及其方法
CN108166208B (zh) * 2018-03-20 2023-04-18 江苏新安电器有限公司 一种零重力宇航洗衣机动力系统
JPWO2020013092A1 (ja) * 2018-07-10 2021-07-08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20200026061A (ko) * 2018-08-30 2020-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13020038A (zh) * 2021-03-19 2021-06-25 陕西拓日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生产用便于清洗的洗辊水箱
CN113172067A (zh) * 2021-04-29 2021-07-27 汤雄威 一种手术器械的分类清洗设备
CN113976522A (zh) * 2021-10-29 2022-01-28 湖南天地农耕油茶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传动式带有存储结构的油茶籽清洗设备
CN115041444A (zh) * 2022-04-27 2022-09-13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河南清洁能源分公司 气力水力自动水气机械三搅拌离心甩干建筑砂石清洗装置
CN116252410B (zh) * 2023-03-13 2024-05-31 瑞安市君诚塑胶制造有限公司 一种尼龙回收清洗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1096A (ja) * 1989-10-05 1991-05-23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JPH05131078A (ja) * 1991-11-14 1993-05-28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H08266777A (ja) * 1995-03-29 1996-10-15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2008005853A (ja) * 2005-03-15 2008-01-17 Kyoto Sangyo:Kk 洗濯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10822A (en) * 1951-07-21 1954-06-16 Sopitex Et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chines for carrying out washing, rinsing, mixing, stirring or like operations
JPS54166073U (ko) * 1978-05-11 1979-11-21
JPS55163980U (ko) * 1979-05-11 1980-11-25
JPS55163077A (en) * 1979-06-06 1980-12-18 Hitachi Ltd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783852B2 (ja) * 1989-08-01 1998-08-06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JPH0847593A (ja) * 1994-08-08 1996-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H1176679A (ja) * 1997-09-11 1999-03-23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3772821B2 (ja) * 2001-10-23 2006-05-10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洗濯機
JP3863176B1 (ja) * 2006-03-07 2006-12-27 株式会社京都産業 洗濯装置
JP5295671B2 (ja) * 2008-07-22 2013-09-18 株式会社ハッピー 洗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1096A (ja) * 1989-10-05 1991-05-23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JPH05131078A (ja) * 1991-11-14 1993-05-28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H08266777A (ja) * 1995-03-29 1996-10-15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2008005853A (ja) * 2005-03-15 2008-01-17 Kyoto Sangyo:Kk 洗濯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61799A1 (en) 2012-01-27
WO2012014734A1 (ja) 2012-02-02
WO2012014734A9 (ja) 2012-03-22
EP2441878A4 (en) 2014-04-16
SG177251A1 (en) 2012-03-29
CA2761799C (en) 2014-08-19
CN102439217A (zh) 2012-05-02
TW201215731A (en) 2012-04-16
JP2012024465A (ja) 2012-02-09
US20120160281A1 (en) 2012-06-28
JP5147088B2 (ja) 2013-02-20
EP2441878A1 (en) 2012-04-18
TWI457484B (zh) 2014-10-21
KR20120041179A (ko) 2012-04-30
AU2011265498A1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751B1 (ko) 세탁 장치
KR101389238B1 (ko) 드럼식 세탁기
KR102053143B1 (ko) 세탁기
JP2006297059A (ja) すすぎ剤投入装置を有する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CN108368661B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6676820A (zh) 一种自清洁洗衣机排脱水控制方法
RU249909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ирки
CN106676819A (zh) 一种自清洁洗衣机排脱水控制方法
KR101887429B1 (ko) 세탁 방법
JP5147082B2 (ja) 洗濯装置
JP5173041B1 (ja) 洗濯装置
JP2002316108A (ja) 研磨用ペレット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