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726B1 -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726B1
KR101327726B1 KR1020070106408A KR20070106408A KR101327726B1 KR 101327726 B1 KR101327726 B1 KR 101327726B1 KR 1020070106408 A KR1020070106408 A KR 1020070106408A KR 20070106408 A KR20070106408 A KR 20070106408A KR 101327726 B1 KR101327726 B1 KR 101327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parking
support member
rotating shaf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962A (ko
Inventor
임효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6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72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0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의 조작각을 작게 하는 경우에도 파킹케이블의 스토크량이 증대되면서 당겨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차 조작시 운전자가 파지하고서 이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된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와, 상기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도록 차실내에 고정설치되는 제1지지부재(12)와, 상기 제1지지부재(1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차실내에 고정설치되는 제2지지부재(13)와, 상기 제1지지부재(12)와 제2지지부재(13)에 의해 축지되면서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의 회동상태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축부재(16)와, 상기 회전축부재(16)상에 고정되어 회전축부재(16)의 회전시 일체로 회동되도록 된 아암부재(18)와, 상기 아암부재(18)의 회동상태에 따라 당겨지면서 파킹브레이크장치를 작동시키는 파킹케이블(20)과, 상기 파킹케이블(20)이 당겨지도록 회동이 이루어지는 아암부재(18)의 회동상태에 따라 핀(31)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파킹케이블(20)의 스트로크량을 증대시키는 스토크량증대장치(3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조작레버, 제1지지부재, 제2지지부재, 회전축부재, 아암부재, 파킹케이블, 스토크량증대장치, 핀, 제1롤러, 스토퍼, 제2롤러

Description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parking brake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의 조작각을 작게 하는 경우에도 파킹케이블의 스토크량이 증대되면서 당겨지도록 하는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정차시 후륜을 강제적으로 구속하여 제동력을 확보함으로써 경사로에서 원하지 않는 차량의 이동을 제지할 수 있도록 된 파킹브레이크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파킹브레이크시스템은 조작레버의 조작에 따라 후륜의 브레이크드럼에 슈우를 밀착시켜 그 때에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후륜을 제동시키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파킹브레이크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조작시 운전자가 파지하고서 이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된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와, 상기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하도록 차실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12)와, 상기 제1지지부재(1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차실내에 고 정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13)와, 상기 제1지지부재(12)와 제2지지부재(13)에 의해 축지되면서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의 회동상태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축부재(16)와,
상기 회전축부재(16)상에 고정되어 회전축부재(16)의 회전시 일체로 회동되도록 된 아암부재(18)와, 상기 아암부재(18)의 회동상태에 따라 당겨지면서 파킹브레이크장치를 작동시키는 파킹케이블(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에는, 상측선단에 주차 조작시 가압되어 눌려지는 누름버튼(10a)과, 이 누름버튼(10a)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는 릴리이즈로드(미도시)와, 상기 릴리이즈로드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는 폴(미도시) 및, 상기 폴에 치합되는 래칫(미도시)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차시 운전자가 상기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의 누름버튼(10a)을 누른 상태에서 조작레버(10)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지지부재(12)와 제1지지부재(12)상에 축지된 회전축부재(16)가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부재(16)의 회전에 의해 이에 결합된 아암부재(18)도 회동되어 파킹케이블(20)이 당겨지면서 파킹브레이크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레버(10)의 회동은 누름버튼(10a)에 의해 밀리는 릴리이즈로드가 폴을 래칫으로부터 이격 시킴에 따라 가능한 것이고, 상기 조작레버(10)의 회동 후 회동된 상태의 유지는 상기 누름버튼(10a)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폴이 다시 래칫과 치합 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은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의 조작각을 크게하여 아암부재(18)가 충분히 회동되도록 하여야만 파킹케이블(20)이 충분히 당겨지게되고, 상기 파킹케이브(20)이 당겨진 양만큼 파킹브레이크장치가 작동되어 좌우측 바퀴에 파킹 제동력이 제공되어 지게 됨으로써, 상기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의 조작각을 작게 형성하여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파킹케이블(20)이 충분히 당겨지지 않아 좌우측 바퀴에 충분한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의 조작각을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차실에 설치된 아암레스트 및 시트 아암레스트에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를 조작시 간섭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의 조작각을 작게 형성하여도, 상기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의 조작상태에 따라 파킹케이블이 스토크량증대장치에 의해 스토크량이 증대되면서 충분히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의 조작시에도 차실에 설치된 콘솔박스 또는 시트 암레스트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 조작시 운전자가 파지하고서 이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된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와, 상기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하도록 차실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12)와, 상기 제1지지부재(1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차실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13)와, 상기 제1지지부재(12)와 제2지지부재(13)에 의해 축지되면서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의 회동상태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축부재(16)와, 상기 회전축부재(16)상에 고정되어 회전축부재(16)의 회전시 일체로 회동되도록 된 아암부재(18)와, 상기 아암부재(18)의 회동상태에 따라 당겨지면서 파킹브레이크장치를 작동시키는 파킹케이블(20)과, 상기 파킹케이블(20)이 당겨지도록 회동이 이루어지는 아암부재(18)의 회동상태에 따라 핀(31)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파킹케이블(20)의 스트로크량을 증대시키는 스토크량증대장치(3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스토크량증대장치(30)는 회전축부재(16)의 회전시 회동이 이루어지는 아암부재(1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핀(31)과, 상기 핀(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좌우 양측에 각각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롤러(32) 및 제2롤러(34)와, 상기 제1롤러(32)가 구름 운동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제2지지부재(13)에 용착되는 스토퍼(33)로 구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제2롤러(34)는 파킹케이블(20)에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의 조작각을 작게 형성하여도 파킹케이블의 스트로크량이 스토크량증대장치에 의해 증대되면서 충분히 이동되어 좌우측 바퀴에 파킹 제동력이 제공되어 지게 됨으로써, 상기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를 작은각으로 조작시에도 충분한 제동력이 제공되어지게 됨은 물론, 차실에 설치된 콘솔박스 또는 시트 암레스트에 의한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파킹브레이크시스템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파킹브레이크시스템의 아암부재에 스토크량증대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파킹브레이크시스템용 스토크량증대장치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파킹브레이크시스템용 스토크량증대장치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측단면 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파킹브레이크시스템용 아스토크량증대장치가 파킹케이블의 스토크량이 증대되도록 작동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파킹브레이크시스템용 아스토크량증대장치가 파킹케이블의 스토크량이 증대되도록 작동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은 도 1과 도 2 및 도 3r화 도 4 및 도 5와 도 6에 도하고 있는 바와 같이, 주차 조작시 운전자가 파지하고서 이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된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와, 상기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하도록 차실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12)와, 상기 제1지지부재(1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차실내에 고정설치되는 제2지지부재(13)와, 상기 제1지지부재(12)와 제2지지부재(13)에 의해 축지되면서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의 회동상태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축부재(16)와, 상기 회전축부재(16)상에 고정되어 회전축부재(16)의 회전시 일체로 회동되도록 된 아암부재(18)와, 상기 아암부재(18)의 회동상태에 따라 당겨지면서 파킹브레이크장치를 작동시키는 파킹케이블(20)과, 상기 파킹케이블(20)이 당겨지도록 회동이 이루어지는 아암부재(18)의 회동상태에 따라 핀(31)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파킹케이블(20)의 스트로크량을 증대시키는 스토크량증대장치(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토크량증대장치(30)는 회전축부재(16)의 회전시 회동이 이루어지는 아암부재(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핀(31)과, 상기 핀(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좌우 양측에 각각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롤러(32) 및 제2롤러(34)와, 상기 제1롤러(32)가 구름 운동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제2지지부재(13)에 용착되는 스토퍼(3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롤러(34)는 파킹케이블(20)에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주차를 수행 시 파 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의 누름버튼(10a)을 누른 상태에서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지지부재(12) ?? 제2지지부재(13)에 의해 축지된 회전축부재(16)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부재(16)의 회전에 의해 이에 결합된 아암부재(18)도 회동되어 파킹케이블(20)이 당겨지면서 주차브레이크의 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아암부재(18)에 결합되어 있는 스토크량증대장치(30)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아암부재(18)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제1롤러(32)가 제2지지부재(13)에 접촉되며 구름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제1롤러(32)가 구름운동이 이루어지는 양만큼 핀(31)을 중심으로 제2롤러(34)가 아암부재(18)의 외측으로 핀(31)을 중심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제2롤러(34)에 접촉되어있는 파킹케이블(20)도 동시에 스트로크량이 증대되도록 아암부재(18)의 외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스트로크량이 증대되어 브레이킹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를 초기위치(a)로 원위치시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아암부재(18)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제1롤러(32)가 제2지지부재(13)에 접촉되며 구름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제1롤러(32)가 구름운동이 이루어지는 양만큼 핀(31)을 중심으로 제2롤러(34)가 아암부재(18)의 내측으로 핀(31)을 중심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제2롤러(34)에 접촉되어있는 파킹케이블(20)도 동시에 아암부재(18)의 내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원위치되어 브레이킹력을 해제시키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파킹브레이크시스템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파킹브레이크시스템의 아암부재에 스토크량증대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파킹브레이크시스템용 스토크량증대장치가 작동되기전의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파킹브레이크시스템용 스토크량증대장치가 작동되기전의 상태를 보인 측단면
도 5는 본 발명인 파킹브레이크시스템용 아스토크량증대장치가 파킹케이블의 스토크량이 증대되도록 작동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파킹브레이크시스템용 아스토크량증대장치가 파킹케이블의 스토크량이 증대되도록 작동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작레버 12 : 제1지지부재
13 : 제2지지부재 16 : 회전축부재
18 : 아암부재 20 : 파킹케이블
30 : 스토크량증대장치 31 : 핀
32 : 제1롤러 33 : 스토퍼
34 : 제2롤러

Claims (3)

  1. 주차 조작시 운전자가 파지하고서 이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된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와, 상기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하도록 차실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12)와, 상기 제1지지부재(1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차실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13)와, 상기 제1지지부재(12)와 제2지지부재(13)에 의해 축지되면서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10)의 회동상태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축부재(16)와, 상기 회전축부재(16)상에 고정되어 회전축부재(16)의 회전시 일체로 회동되도록 된 아암부재(18)와, 상기 아암부재(18)의 회동상태에 따라 당겨지면서 파킹브레이크장치를 작동시키는 파킹케이블(20)과, 상기 파킹케이블(20)이 당겨지도록 회동이 이루어지는 아암부재(18)의 회동상태에 따라 핀(31)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파킹케이블(20)의 스트로크량을 증대시키는 스토크량증대장치(30)로 구성된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토크량증대장치(30)는 회전축부재(16)의 회전시 회동이 이루어지는 아암부재(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핀(31)과, 상기 핀(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좌우 양측에 각각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롤러(32) 및 제2롤러(34)와, 상기 제1롤러(32)가 구름 운동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제2지지부재(13)에 용착되는 스토퍼(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34)는 파킹케이블(20)에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
KR1020070106408A 2007-10-23 2007-10-23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 KR101327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408A KR101327726B1 (ko) 2007-10-23 2007-10-23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408A KR101327726B1 (ko) 2007-10-23 2007-10-23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962A KR20090040962A (ko) 2009-04-28
KR101327726B1 true KR101327726B1 (ko) 2013-11-11

Family

ID=4076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408A KR101327726B1 (ko) 2007-10-23 2007-10-23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483B1 (ko) * 2011-11-14 2013-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킹레버장치
CN102529940B (zh) * 2012-01-17 2013-11-06 常州工学院 车辆防溜坡驻车制动装置
KR102187592B1 (ko) * 2015-11-20 2020-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킹 케이블 장력 조절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636A (ko) * 1995-11-30 1997-06-24 한승준 파킹브레이크 케이블 연결구조
KR19980017364A (ko) * 1996-08-30 1998-06-05 양재신 주차용 풋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636A (ko) * 1995-11-30 1997-06-24 한승준 파킹브레이크 케이블 연결구조
KR19980017364A (ko) * 1996-08-30 1998-06-05 양재신 주차용 풋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962A (ko)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823B2 (en) Electric parking brake
CN105270361A (zh) 车辆用电子驻车制动器及其控制方法
CN108528416B (zh) 适用于车辆的可调制动器设备
JPH0370659A (ja) 車両の駐車ブレーキ倍力装置
US20150152928A1 (en) Electronic parking brake
KR101417867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1327726B1 (ko)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
US20130002181A1 (en)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KR100361275B1 (ko) 페달식 주차브레이크의 주차해제장치
KR100916392B1 (ko)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
JP4998034B2 (ja) バインダ
KR20100039072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
KR100372433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KR100401894B1 (ko) 충격시 주차브레이크 자동해제장치
JP2001030822A (ja) 移動体用車椅子固定装置
KR20120050228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CA2860573C (en) Brake system with linking effect
KR100599300B1 (ko) 주차브레이크페달과 주브레이크페달의 연동기구
KR101465799B1 (ko) 파킹브레이크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0156464B1 (ko) 경사시 자동 주차브레이크 장치
KR19990027520A (ko)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자동 작동장치
KR100397944B1 (ko) 자동차용 풋레스트 겸용 풋파킹브레이크장치
KR100246678B1 (ko) 페달식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JP2000346111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200167968Y1 (ko) 파킹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