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125B1 -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125B1
KR101327125B1 KR1020110121722A KR20110121722A KR101327125B1 KR 101327125 B1 KR101327125 B1 KR 101327125B1 KR 1020110121722 A KR1020110121722 A KR 1020110121722A KR 20110121722 A KR20110121722 A KR 20110121722A KR 101327125 B1 KR101327125 B1 KR 101327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teering
mode
steering mode
steer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007A (ko
Inventor
김찬중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1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1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5Active steering aids, e.g. helping the driver by actively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after environment eval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05Mechanical indicators, e.g. in or near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7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adjustable by the driver, e.g. spor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향모드 선택 로직에는 운전자의 조향모드 변경시 현재 조향력크기(컬럼토크) ≤ 기준 조향력크기(일정값)로서 운전자가 실제적으로 조향력 크기 차에 따른 이질감을 전혀 느끼지 않는 조건 충족여부를 더 판단해줌으로써, 운전자는 주행중 조향모드를 이질감 없이 변경할 수 있고, 특히 조향력 크기가 각각 다르게 세분화된 스탠다드모드와 스포츠모드 및 컴포트모드를 전혀 이질감 없이 즐기는 만족감도 제공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Driver's Steer Mod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운전자 조향모드 선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3가지 이상의 다른 느낌의 조향력을 운전자 취향이나 또는 주행 여건에 따라 선택하더라도 조향력 차가 거의 없는 조건일 때 조향모드 변경됨으로써 이질감을 전혀 느끼지 않게 하는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조작기구와 기어기구 및 링크기구로 이루어진다.
통상, 조작기구는 조향휠(핸들)과 이 조향휠의 조작을 조향기어에 전달하는 조향축으로 이루어지고, 기어기구는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함과 동시에 조작력을 증대시켜 링크기구로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하고, 링크기구는 기어기구의 움직임을 전륜에 전달하기 위해 타이로드와 함께 너클쪽으로 결합되는 다수 로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조향기구도 운전자의 다양한 요구조건을 반영함으로써 더욱 편리하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러한 일례로 운전자가 자신의 취향이나 도로 조건등을 고려하여 조향휠 조작력을 다르게 할 수 있는 모드선택형 조향장치(Flex Steer)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편리성을 운전자에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조향장치에 적용된 운전자 조향모드 선택과 그에 따른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단계S100과 같이 운전자가 조향모드 변경을 요청하면, 단계S200에서는 조향모드 변경요청에 따라 즉시 조향모드가 변경됨으로써 운전자는 변경된 조향감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조향모드변경은 단계S300과 같이 운전석의 클러스터로 표시됨으로써 운잔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운전자는 주행중 원하는 조향모드로 손쉽게 변경함으로써 운전자 편의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
국내특허공개 10-2002-0088912(2002.11.29)은 차량의 조향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는 도 1 참조.
하지만, 상기와 같이 운전자의 조향모드 변경에 즉시 반응하여 변경되고, 변경된 조향감을 운전자가 즉시 느끼게 되면, 주행중인 운전자는 조향력이 변경되는 시점에서 이질감을 느낌으로써 운전자 불쾌감을 유발할 수 도 있게 된다.
일례로, 운전자의 조향모드 변경이 이루어지면, 조향휠 조타를 통해 약 3Nm의 조향력을 느끼면서 선회하던 운전자가 즉각적인 조향모드 변경으로 약 2Nm의 조향력으로 급격히 줄 때 이질감이 생길 수밖에 없고, 특히 민감한 운전자는 순간적인 반응으로 오버 스티어를 발생시킬 수 도 있게 된다.
만약, 운전중인 운전자가 주행중 원치 않는 오버 스티어를 스스로 발생시키고, 이에 대해 미숙하게 대응하는 경우 예기치 않은 사고까지 연결될 위험성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주행중 조향모드를 변경하더라도 조향모드 변경으로 인한 조향력 차가 운전자가 느낄 수 없을 경우에 만 조향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주행중인 운전자가 조향모드 변경에 따른 이질감을 전혀 느끼지 않도록 된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은 운전자의 조향모드 변경 요청시 운전자의 요청된 조향모드 변경 상태를 클러스터에 표시하는 반면, 요청된 조향모드 변경 실시여부를 판단하는 운전자요청인식단계;
상기 요청된 조향모드 변경 실시여부를 판단한 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만 요청된 조향모드 변경 실시가 이루어지는 운전자요청수용단계;
를 포함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자요청인식단계에서 운전자의 조향모드 변경 요청신호는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에 구비된 조향모드버튼으로 발생되고, 요청된 조향모드표시는 상기 클러스터에 시각적인 수단으로 운전자에게 제공된다.
상기 조향모드버튼은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력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스탠다드모드와 스포츠모드 및 컴포트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요청수용단계에서 실행되는 설정된 조건은 현재 조향력크기와 기준 조향력크기를 이용하여 만족여부가 판단된다.
상기 조건 만족은 현재 조향력크기 ≤ 기준 조향력크기이고, 상기 현재 조향력크기 ≤ 기준 조향력크기가 1Nm 미만 상태를 조건 만족으로 판단하여 요청된 조향모드 변경 실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주행중 운전자의 요청에 따른 조향모드 변경시 조향력 차를 느낄 수 없을 경우에 만 조향모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어 이질감 없이 조향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향모드 변경시 운전자가 이질감을 전혀 느끼지 않음으로써 민감한 운전자의 경우라도 조향모드변경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향모드 변경시 운전자가 이질감을 전혀 느끼지 않음으로써 스탠다드모드와 스포츠모드 및 컴포트모드와 같이 보다 세분화된 조향모드 변경 타입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성을 갖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종래에 따른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의 로직을 나타낸다.
단계S10과 같이 주행중인 운전자가 조향모드 변경을 요청하면, 운전자의 조향모드 변경을 요청신호에 따라 단계S20에서 즉시 요청된 조향모드로 표시하여 준다.
이러한 조향모드변경은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1)에 구비된 조향모드버튼(2)을 운전자가 눌러줌으로써 구현된다.
상기 조향모드버튼(2)은 적어도 1가지 이상의 조향모드 타입을 제공하는데, 일례로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력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스탠다드모드와 스포츠모드 및 컴포트모드등이 제공된다.
상기 스탠다드모드와 스포츠모드 및 컴포트모드에서 제공되는 조향력 크기는 서로 다르며, 그 특정 값은 조향장치의 사양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요청된 조향모드표시는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1)에 나타나며, 이는 LED와 같은 시각적인 수단을 이용해 운전자에게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향모드 선택 로직에는 단계S10의 조향모드 변경으로 단계S20의 조향모드표시가 수행되는 과정에 관여되는 모드변경 판단로직이 더 수행된다.
이러한 모드변경 판단로직은 단계S30과 그에 따른 단계S50으로 수행되며, 단계S30은 단계S10의 조향모드 변경으로 단계S20의 조향모드표시가 수행됨과 동시에 실행되어진다.
단계S30은 현재 조향휠(1)의 조향력 크기 대비 특정한 조향력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이고, 이를 위해 현재 조향력크기(컬럼토크) ≤ 기준 조향력크기(일정값)과 같은 조건을 적용한다.
여기서, 현재 조향력크기(컬럼토크) ≤ 기준 조향력크기(일정값)이 만족되는 조건은 운전자에게 이질감을 제공하지 않을 정도의 조향력 크기로서, 일례로 기준 조향력크기(일정값)에 대해 현재 조향력크기(컬럼토크)가 약 1Nm 미만이 적용될 수 있다.
현재 조향력크기(컬럼토크) ≤ 기준 조향력크기(일정값)이 약 1Nm 미만일 경우, 운전자는 조향모드가 변경되더라도 실제적으로 조향력 크기 차에 따른 이질감을 전혀 느끼지 않게 된다.
상기 단계S30의 처리 결과 현재 조향력크기(컬럼토크) ≤ 기준 조향력크기(일정값)이 약 1Nm 미만이면, 즉시 단계S50으로 넘어감으로써 조향모드가 운전자가 원하는 조향모드로 전환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향모드 선택 로직에는 운전자의 조향모드 변경시 현재 조향력크기(컬럼토크) ≤ 기준 조향력크기(일정값)로서 운전자가 실제적으로 조향력 크기 차에 따른 이질감을 전혀 느끼지 않는 조건 충족여부를 더 판단해줌으로써, 운전자는 주행중 조향모드를 이질감 없이 변경할 수 있고, 특히 조향력 크기가 각각 다르게 세분화된 스탠다드모드와 스포츠모드 및 컴포트모드를 전혀 이질감 없이 즐길 수 있는 만족감도 제공될 수 있다.
1 : 클러스터 2 : 조향모드버튼
3 : 조향휠

Claims (6)

  1. 운전자의 조향모드 변경 요청(S10)시 운전자의 요청된 조향모드 변경 상태를 클러스터(1)에 표시하는 반면, 요청된 조향모드 변경 실시여부를 판단(S30)하는 운전자요청인식단계;
    상기 요청된 조향모드 변경 실시여부를 판단한 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만 요청된 조향모드 변경 실시(S50)가 이루어지는 운전자요청수용단계;를 포함해 실행되고
    상기 운전자요청수용단계에서 실행되는 설정된 조건은 현재 조향력크기와 기준 조향력크기를 이용하여 만족여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요청인식단계에서 운전자의 조향모드 변경 요청신호는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1)에 구비된 조향모드버튼(2)으로 발생되고, 요청된 조향모드표시는 상기 클러스터(1)에 시각적인 수단으로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향모드버튼(2)은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력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스탠다드모드와 스포츠모드 및 컴포트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건 만족은 현재 조향력크기 ≤ 기준 조향력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현재 조향력크기 ≤ 기준 조향력크기가 1Nm 미만 상태를 조건 만족으로 판단하여 요청된 조향모드 변경 실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
KR1020110121722A 2011-11-21 2011-11-21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 KR101327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722A KR101327125B1 (ko) 2011-11-21 2011-11-21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722A KR101327125B1 (ko) 2011-11-21 2011-11-21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007A KR20130056007A (ko) 2013-05-29
KR101327125B1 true KR101327125B1 (ko) 2013-11-07

Family

ID=4866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722A KR101327125B1 (ko) 2011-11-21 2011-11-21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487B1 (ko) 2013-07-10 201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dps를 이용한 미세 햅틱 조향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859B1 (ko) 1996-12-10 2001-06-15 이계안 조타력의 선택 범위를 활성화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JP2006069412A (ja) 2004-09-03 2006-03-16 Hitachi Constr Mach Co Ltd 車両系作業機械の操向モード切換システム
KR20100088806A (ko) * 2009-02-02 2010-08-1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동력 조향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3172A (ko)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포츠 변속 모드 연동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859B1 (ko) 1996-12-10 2001-06-15 이계안 조타력의 선택 범위를 활성화한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JP2006069412A (ja) 2004-09-03 2006-03-16 Hitachi Constr Mach Co Ltd 車両系作業機械の操向モード切換システム
KR20100088806A (ko) * 2009-02-02 2010-08-1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동력 조향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3172A (ko)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포츠 변속 모드 연동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007A (ko)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6686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0310605B2 (en) Haptic feedback for steering system controls
CN101054093B (zh) 感性识别装置和转向辅助系统
JP5093295B2 (ja) 操舵装置及び操舵制御装置
US7147080B2 (e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JP5208894B2 (ja) 車両制御装置、操舵模擬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91286B2 (ja) 遠隔操作装置
US20110254863A1 (en) In-vehicle display device
WO2012063919A1 (ja) 操舵装置
CN107848567B (zh) 助力转向调整装置
CN107399361B (zh) 转向系统、汽车以及转向助力调节方法
CN109720405A (zh) 电动机驱动动力转向系统及其控制方法
JP6555545B2 (ja) 車両用操作装置
KR101327125B1 (ko) 운전자 조향모드 처리방법
WO2011086998A1 (ja) 操舵装置
KR20120063301A (ko) MDPS의 자동 Full-Turn 작동 제어방법
JP6440845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調整装置
JP2008207747A (ja) パラメータ調整装置、そ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ならびに制御方法
WO2023157337A1 (ja) 車両制御装置
EP3572906B1 (en)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KR101903968B1 (ko)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의 조향감 변경 제어방법
JP6565955B2 (ja) 車両用操作装置
JP2011051495A (ja) 車両制御装置、車両模擬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172090A (ja) 運転特性判断装置
CN114620122A (zh) 一种驾驶手力调节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