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158B1 - 항히스타민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히스타민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158B1
KR101326158B1 KR1020100128143A KR20100128143A KR101326158B1 KR 101326158 B1 KR101326158 B1 KR 101326158B1 KR 1020100128143 A KR1020100128143 A KR 1020100128143A KR 20100128143 A KR20100128143 A KR 20100128143A KR 101326158 B1 KR101326158 B1 KR 101326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ost
extract
leaf
tree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923A (ko
Inventor
오좌섭
지옥표
이욱재
안은경
이재연
송관필
현창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ublication of KR2011006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히스타민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진, 갯무 잎 추출물 등의 식물 유래 추출물, 부채말 전초 추출물 등 해조류 유래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히스타민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항히스타민제 조성물{Compositon for Anti-histamine}
본 발명은 항히스타민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갯무 잎 추출물 등의 식물 유래 추출물, 부채말 전초 추출물 등 해조류 유래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히스타민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히스타민(aminoethyl imidazole)은 거의 모든 인체 조직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로, 피부, 기관지, 장 점막 등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히스타민은 혈관 확장, 땀ㆍ위산ㆍ침ㆍ기도 분비물을 증가시키고, 손상된 조직을 회복시키며, 뇌에서는 신경전달 물질로 작용하여 각성 효과와 체온 조절에도 관여하는 등 신체적ㆍ정신적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Corrado ME et al., Arzneimittelforschung, 54(10) 660-5, 2004; Salmun LM., Expert Opin Investig Drugs, 11(2) 259-73, 2002; Scannell RT et al., Mini Rev Med Chem., 4(9) 923-33, 2004; Orzechowski RF et al., Eur J Pharmacol., 506(3) 257-64, 2005).
그러나 히스타민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천식, 비염, 두드러기, 아토피성 피부염, 호흡기계의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어지럼증, 구토, 과다 위산 분비, 위 식도 역류 질환, 염증, 아나팔락시스와 연관된 저혈압 등이 생길 수 있다(Scannell RT et al., Mini Rev Med Chem., 4(9) 923-33, 2004; Imaizumi A et al., J Dermatol Sci., 33(1) 23-9, 2003; Kapp A etal., J Drugs Dermatol., 3(6) 632-9, 2004; Latsen JS., Pharmacotheraphy, 21: 28S-33S, 2001; Leurs R., Clin Exp Allergy 32(4) 489-98, 2002; Makabe-Kobayashi Y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110(2) 298-303, 2002).
히스타민은 주로 비만세포 등에 과립형태로 저장되어 있다가 자극이 주어지면 분비된다.
비만세포는 그 표면에 고친화도 IgE 수용체인 FcεRⅠ를 발현하는데, 여기에 IgE가 결합하고 항원이 비만세포의 FcεRⅠ와 결합된 IgE에 결합하면 비만세포는 탈과립을 일으키며, 이때 히스타민이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TNF-α과 함께 분비된다(Marshall, J. S. Nat. Rev. Immunol. 2004, 4, 787-799; Nadler, M. J. et al., Adv. Immunol. 2004, 76, 325-355).
항히스타민제로는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e), 트리페렌아민(tripelennamine), 클로페니라민(chlorpheniramine), 메클리진(meclizine), ㅍ프프로메탄진(promethanzine), 아스테미졸(astemizole) 등이 개발되어 있다.
한편 비만세포의 과립 중에는 히스타민 외에 베타-헥소사미니다제(β-hexosaminidase)도 같이 저장되어 있어 비만세포가 탈과립을 일으키면 베타-헥소사미니다제가 히스타민과 함께 방출되므로, 베타-헥소사미니다제는 비만세포의 탈과립이나 히스타민의 분비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물질로서 알려져 있다(Schwartz et al., J. Immunol., 123, 1445-1450, 1970; 최선필 등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4), 315-321 (2005).
본 발명은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 활성을 가진, 갯무 잎 추출물 등의 식물 유래 추출물, 부채말 전초 추출물 등 해조류 유래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히스타민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히스타민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갯무 잎 추출물 등의 식물 유래 추출물, 부채말 전초 추출물 등 해조류 유래 추출물 등을 사용하여 IgE 및 항원(DNP-BSA)으로 활성화시킨 비만세포주 RBL-2H3(rat basophilic leukemia)에 처리한 결과, 베타-헥소사미니다아제(β-hexosaminidase)의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항히스타민제 조성물은 갯무 전초 추출물, 석송 전초 추출물, 졸가시나무 잎 추출물, 석위 전초 추출물, 다정큼나무 잎 추출물, 까마귀쪽나무 잎 추출물, 소철 잎 추출물, 붓순나무 잎 추출물, 육박나무 잎 추출물, 향나무 잎 추출물, 붉가시나무 잎 추출물, 버즘나무 열매 추출물, 살갈퀴 전초 추출물, 서양민들레 전초 추출물, 광대나물 전초 추출물, 사방오리 열매 및 꽃 추출물, 백운풀 지상부 추출물, 들개미자리 전초 추출물, 점나도나물 전초 추출물, 갯완두 전초 추출물, 인동 전초 추출물, 찔레나무 전초 추출물, 소리쟁이 전초 추출물, 천문동 전초 추출물, 애기수영 전초 추출물, 수영 전초 추출물, 갯질경 전초 추출물, 나문재 전초 추출물, 등수국 잎 추출물, 둥굴레 잎 추출물, 으름덩굴 잎 추출물, 단풍나무 잎 추출물, 박새 전초 추출물, 아그배나무 잎 추출물, 분단나무 잎 추출물, 개나리 잎 추출물, 큰방가지똥 뿌리 추출물, 방가지똥 지상부 추출물, 실거리나무 잎 추출물, 사철쑥 전초 추출물, 뽕나무 잎 추출물,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 해국 전초 추출물, 예덕나무 잎 추출물, 노린재나무 잎 추출물, 땅채송화 전초 추출물, 토끼풀 전초 추출물, 다래 잎 추출물, 국수나무 잎 추출물, 쥐똥나무 잎 추출물, 천선과나무 열매 추출물, 비파나무 종자 추출물, 삼색병꽃나무 잎 추출물, 섬오갈피나무 잎 추출물, 해홍나물 전초 추출물, 수송나물 전초 추출물, 은행나무 잎 추출물, 검양옻나무 잎 추출물, 개잎갈나무 잎 추출물, 골담초 잎 추출물, 싸리 잎 추출물, 큰달맞이꽃 잎 추출물, 큰달맞이꽃 줄기 추출물, 구릿대 잎 추출물, 구릿대 줄기 추출물, 기수초 전초 추출물, 돈나무 열매추출물, 갯길경 전초 추출물, 흰대극 전초 추출물, 애기땅빈대 전초 추출물, 상사화 뿌리추출물, 좁은잎천선과나무 잎 추출물, 좁은잎천선과나무 줄기 추출물, 모람 열매 추출물, 퉁퉁마디 전초 추출물,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 왕모람 열매 추출물, 잔대 뿌리 추출물, 큰비쑥 전초 추출물, 멀꿀 열매 추출물, 다래 열매 추출물, 큰천남성 열매 추출물, 배초향 전초 추출물, 굴거리나무 열매 추출물, 까마귀쪽나무 열매 추출물, 산유자나무 잎 추출물, 상동나무 잎 추출물, 별고사리 전초 추출물, 제비쑥 전초 추출물, 가는갯능쟁이 지상부 추출물, 남오미자 지상부 추출물, 꼬시래기 전초 추출물, 문주란 전초 추출물, 상산 잎 추출물, 개사상자 전초 추출물, 갯강할 전초 추출물, 비자나무 잎 추출물, 파초 잎 추출물, 부챗말 전초 추출물, 꼬마모자반 전초 추출물, 미끈뼈대그말 전초 추출물, 그물바탕말 전초 추출물, 가는개도박 전초 추출물, 바위수염 전초 추출물, 진두말 전초 추출물, 패 전초 추출물, 참그물바탕말 전초 추출물, 참갈고리풀, 전초 추출물, 타래서실 전초 추출물, 참모자반 전초 추출물, 바위두둑 전초 추출물, 모로우붉은실 전초 추출물, 지충이 전초 추출물, 애기풀가사리 전초 추출물, 참풀가사리 전초 추출물, 참까막살 전초 추출물, 잔가시모자반 전초 추출물, 톳 전초 추출물, 감태 전초 추출물, 붉은까막살 전초 추출물, 쌍발이모자반 전초 추출물, 구멍갈파래 전초 추출물, 홍해삼 추출물, 또는 적해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방법을 불문하고 상기 각 추출 대상을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콜, 아세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상기 열거된 용매로 분획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추출 방법을 불문하므로,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추출 방법은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그 추출 대상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는 부피 백분율(v/v)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추출물"의 의미에는 여과 등을 통하여 정제된 형태의 추출물, 추출 용매가 제거된 액상의 농축된 추출물 그리고 추출 용매가 제거된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항히스타민"은 과잉의 히스타민의 분비에 의한 생리적 변화 또는 기능 이상에 의한 질환의 개선을 의미한다. 여기서 히스타민의 분비에 의한 생리적 변화 또는 기능 이상에 의한 질환으로서는 전술한 바의 천식, 비염, 두드러기, 아토피성 피부염, 호흡기계의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어지러움증, 구토, 과다 위산 분비, 위 식도 역류 질환, 염증, 아나팔락시스와 연관된 저혈압 등이 포함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개선"이란 병리적 증상의 예방, 치료, 발병 억제, 또는 지연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갯무 전초 추출물 등을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치료를 의도하는 항히스타민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서, 히스타민 과잉 분비에 의한 질환의 개선, 치료, 또는 그러한 병리적 증상의 발병 억제/지연을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처방)될 수 있는 대상은 포유동물 및 사람이며, 특히 사람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충분히 낮은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향미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기능성(예컨대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예방)을 추가하기 위하여 한약재가 추가될 수 있는데, 추가될 수 있는 한약재로서는 두충 추출물, 속단 추출물, 녹용 추출물, 홍화인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숙지황 추출물, 별갑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감초 추출물, 당귀 추출물, 갈근 추출물, 강진향 추출물, 합환피 추출물, 산두근 추출물, 괴화 추출물, 고삼 추출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항히스타민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히스타민제 조성물은 약품이나 기능성 식품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갯무 전초 추출물 등의 제조
아래 [표 1]의 125종의 각종 식물, 해조류 등의 잎, 줄기, 지상부, 열매, 꽃, 뿌리, 종자, 또는 전초를 80% 에탄올에 침지시켜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추출 잔사를 제거하고 감암 농축하여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각각의 시료는 분주하여 DMSO에 녹여 사용하였다.
추출 대상
시료번호 국명 학명 사용
부위
JBR014 갯무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raphanistroides Makino 전초
JBR041 석송 Lycopodium clavatum L. 전초
JBR044 졸가시나무 Quercus phillyraeoides A.Gray
JBR045 석위 Pyrrosia lingua (Thunb.) Farw. 전초
JBR066 다정큼나무 Rhaphiolepis indica (L.) Lindl.
JBR079 까마귀쪽나무 Litsea japonica (Thunb.) Juss.
JBR085 소철 Cycas revoluta Thunb.
JBR086 붓순나무 Illicium religiosum Sieb. et Zucc.
JBR089 육박나무 Actinodaphne lancifolia (Siebold & Zucc.) Meisn.
JBR091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L.
JBR092 붉가시나무 Quercus acuta Thunb.
JBR107 버즘나무 Platanus orientalis L. 열매
JBR139 살갈퀴 Vicia angustifolia var. segetilis (Thuill.) K. Koch. 전초
JBR141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Weber 전초
JBR143 광대나물 Lamium amplexicaule L. 전초
JBR145 사방오리 Alnus firma Siebold & Zucc. 열매 또는 꽃
JBR161 백운풀 Hedyotis diffusa Willd. 지상부
JBR164 들개미자리 Spergula arvensis L. 전초
JBR165 점나도나물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 (Nakai) M. Miush. 전초
JBR212 갯완두 Lathyrus japonicus Willd. 전초
JBR216 인동 Lonicera japonica Thunb. 전초
JBR225 찔레나무 Rosa multiflora Thunb. 전초
JBR234 소리쟁이 Rumex crispus L. 전초
JBR235 천문동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 Merr. 전초
JBR237 애기수영 Rumex acetosella L. 전초
JBR239 수영 Rumex acetosa L. 전초
JBR283 갯질경 Limonium tetragonum (Thunb.) A.A. Bullock 전초
JBR289 나문재 Suaeda glauca (Bunge) Bunge 전초
JBR293 등수국 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JBR302 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JBR305 으름덩굴 Akebia quinata (Thunb.) Decne.
JBR306 단풍나무 Acer palmatum Thunb.
JBR307 박새 Veratrum patulum Loes. 전초
JBR312 아그배나무 Malus sieboldii (Regel) Rehder in Sarg.
JBR313 분단나무 Viburnum furcatum Blume ex Maxim.
JBR318 개나리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JBR320-1 큰방가지똥 Sonchus asper (L.) Hill 뿌리
JBR321 방가지똥 Sonchus oleraceus L. 지상부
JBR332 실거리나무 Caesalpinia decapetala (Roth) Alston
JBR389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 전초
JBR390 뽕나무 Morus alba L.
JBR391 청미래덩굴 Smilax china L.
JBR392 해국 Aster spathulifolius Maxim. 전초
JBR393 예덕나무 Mallotus japonicus (L. f.) Mull. Arg.
JBR394 노린재나무 Scymplocos sawafutagi Nagam.
JBR395 땅채송화 Sedum oryzifolium Makino 전초
JBR399 토끼풀 Trifolium repens L. 전초
JBR403 다래 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
JBR406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JBR417 쥐똥나무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JBR422 천선과나무 Ficus erecta Thunb. 열매
JBR425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종자
JBR449 삼색병꽃나무 Weigela florida for. subtricolor Nakai
JBR526 섬오갈피나무 Eleutherococcus gracilistylus (W. W. Sm.) S. Y. Hu
JBR533 해홍나물 Suaeda maritima (L.) Dumort. 전초
JBR534 수송나물 Salsola komarovii Iljin 전초
JBR543 은행나무 Ginkgo biloba L.
JBR546 검양옻나무 Toxicodendron succedaneum (L.) Kuntze
JBR552 개잎갈나무 Cedrus deodara (Roxb.) Loudon
JBR557 골담초 Caragana sinica (Buc'hoz) Rehder
JBR559 싸리 Lespedeza bicolor Turcz.
JBR565 큰달맞이꽃 Oenothera erythrosepala Borbas
JBR566 큰달맞이꽃 Oenothera erythrosepala Borbas St
JBR570 구릿대 Angelica dahurica (Fisch. ex Hoffm.) Benth. & Hook. f. ex Franch. & Sav.
JBR571 구릿대 Angelica dahurica (Fisch. ex Hoffm.) Benth. & Hook. f. ex Franch. & Sav. 줄기
JBR583 기수초 Suaeda malacosperma H. Hara 전초
JBR584 돈나무 Pittosporum tobira (Thunb.) W. T. Aiton 열매
JBR587 갯길경 Limonium tetragonum (Thunb.) Bullock 전초
JBR589 흰대극 Euphorbia esula L. 전초
JBR591 애기땅빈대 Euphorbia supina Raf. 전초
JBR593 상사화 Lycoris squamigera Maxim. 뿌리
JBR600 좁은잎천선과나무 Ficus erecta Thunb. var. sieboldii (Miq.) King
JBR601 좁은잎천선과나무 Ficus erecta Thunb. var. sieboldii (Miq.) King 줄기
JBR607 모람 Ficus oxyphylla Miq. ex Zoll. 열매
JBR608 퉁퉁마디 Salicornia europaea L. 전초
JBR610 누리장나무 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JBR611 왕모람 Ficus thunbergii Maxim. 열매
JBR613 잔대 Adenophora triphylla (Thunb.) A. DC. 뿌리
JBR618 큰비쑥 Artemisia fukudo Makino 전초
JBR621 멀꿀 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ne. 열매
JBR622 다래 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 열매
JBR623 큰천남성 Arisaema ringens (Thunb.) Schott 열매
JBR625 배초향 Agastache rugosa (Fisch. & C. A. Mey.) Kuntze 전초
JBR627 굴거리나무 Daphniphllaceae macropodum Miq. 열매
JBR629 까마귀쪽나무 Litsea japonica (Thunb.) Juss. 열매
JBR631 산유자나무 Xylosma congesta (Lour.) Merr.
JBR632 상동나무 Sageretia thea (Osbeck) M. C. Johnst.
JBR07002 별고사리 Thelypteris acuminata (Houtt.) C. V. Morton 전초
JBR07005 제비쑥 Artemisia japonica Thunb. 전초
JBR07072 가는갯능쟁이 Atriplex gmelinii C. A. Mey. 지상부
JBR07074 남오미자 Kadsura japonica (L.) Dunal 지상부
JBR08004 꼬시래기 Gracilaria sp. 전초
JBR08005 문주란 Crinum japonicum (Baker) Hannibal 전초
JBR08007 상산 Orixa japonica Thunb.
JBR08009 개사상자 Torilis scabra (Thunb.) DC. 전초
JBR08011 갯강할 Angelica japonica A. Gray 전초
JBR08018 비자나무 Torreya nucifera (L.) Siebold & Zucc.
JBR08019 파초 Musa basjoo Siebold & Zucc.
JBR162 부챗말 Padina arborescens Holmes 전초
JBR243 꼬마모자반 Sargassum nipponicum Yendo 전초
JBR246 미끈뼈대그말 Dictopteris divaricata (Okamura) Okamura 전초
JBR247 그물바탕말 Dictyota asiatica Hwang et. al. 전초
JBR263 가는개도박 Grateloupia lanceolata (Okamura) Kawaguchi 전초
JBR269 바위수염 Myelophycus simpelx (Harvey) Papenfuss 전초
JBR270 진두말 Chondrus ocellatus Holmes 전초
JBR271 Ishige okamurae Yendo 전초
JBR273 참그물바탕말 Dictyota dichotoma (Hudson) Lamourorux 전초
JBR274 참갈고리풀 Bonnemaisonia hamifera Heriot 전초
JBR276 타래서실 Laurencia intricata Lamouroux 전초
JBR277 참모자반 Sargarssum fulvellum (Turner) C. Agardh 전초
JBR359 바위두둑 Leathesia difformis (Linnaeus) Areschoug 전초
JBR361 모로우붉은실 Polysiphonia morrowii Harvey 전초
JBR363 지충이 Sargassum thunbergii (Mertens ex Roth) Kuntze 전초
JBR516 애기풀가사리 Gloioperltis complanta (Harvey) Yamada 전초
JBR518 참풀가사리 Gloiopeltis tenax (Turner) J. Agardh 전초
JBR519 참까막살 Carpopeltis affinis (Harvey) Okamura 전초
JBR535 잔가시모자반 Sargassum micracanthum (Kutzing) Endlicher 전초
JBR538 Hizikia fusiformis (Harvey) Okamura 전초
JBR634 감태 Ecklonia cava Kjellman 전초
JBR614 홍해삼 Stichopus japonicus Selenka 전체
JBR615 적해삼 Stichopus japonicus Selenka 전체
< 실험예 > 비만세포주의 탈과립 억제 활성 실험
RBL-2H3 세포주를 15%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과 L-글루타민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4 well plate에 5 ×105/well로 분주한 후, 다음날 monoclonal antibody IgE(50 ng/ml)을 cell에 처리하고 4시간 배양하고, PIPES buffer 500㎕ 넣고 두 번 washing한 후 PIPES buffer에 5.6mM glucose, 1mM MgCl2, 0.1% BSA를 180㎕ 넣고 10분간 배양하였다. 실시예의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20분 후에 25 ng/ml antigen(DNP-BSA)을 처리하고 또 20분 배양하였다. 이 후 ice에 10분 방치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96 well plate로 옮겨 substrate(pNAG; 1 mM P-니트로페닐-아세틸-β-D-글루코사미니드) 25㎕ 넣은 후 37℃ 1시간 배양한 후에 stop solution(0.1M NaHCO3, 0.1M Na2CO3)을 넣고 반응을 종결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베타-헥소사미니다아제의 유리 억제 효과에 대해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농도(IC50)로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베타-헥소사미니다아제 유리 억제 활성(IC50, ㎍/ml)
시료번호 국명 사용 부위 β-hexosaminidase(IC50)
JBR014 갯무 전초 33.04
JBR041 석송 전초 39.74
JBR044 졸가시나무 42.91
JBR045 석위 전초 11.19
JBR066 다정큼나무 42.4
JBR079 까마귀쪽나무 14.02
JBR085 소철 49.43
JBR086 붓순나무 44.87
JBR089 육박나무 43.96
JBR091 향나무 38.6
JBR092 붉가시나무 49.42
JBR107 버즘나무 열매 42.47
JBR139 살갈퀴 전초 45.37
JBR141 서양민들레 전초 41.68
JBR143 광대나물 전초 22.93
JBR145 사방오리 열매 및 꽃 6.44
JBR161 백운풀 지상부 31.1
JBR164 들개미자리 전초 45.12
JBR165 점나도나물 전초 46.71
JBR212 갯완두 전초 23.59
JBR216 인동 전초 20.78
JBR225 찔레나무 전초 40.52
JBR234 소리쟁이 전초 41.7
JBR235 천문동 전초 48.45
JBR237 애기수영 전초 30.3
JBR239 수영 전초 16.62
JBR283 갯질경 전초 45.1
JBR289 나문재 전초 11.21
JBR293 등수국 36.69
JBR302 둥굴레 46.35
JBR305 으름덩굴 28.03
JBR306 단풍나무 10.01
JBR307 박새 전초 23.15
JBR312 아그배나무 25.38
JBR313 분단나무 42.29
JBR318 개나리 46.13
JBR320-1 큰방가지똥 뿌리 38.61
JBR321 방가지똥 지상부 45.37
JBR332 실거리나무 44.37
JBR389 사철쑥 전초 32.65
JBR390 뽕나무 11.61
JBR391 청미래덩굴 44.58
JBR392 해국 전초 24.47
JBR393 예덕나무 24.66
JBR394 노린재나무 27.15
JBR395 땅채송화 전초 24.01
JBR399 토끼풀 전초 24
JBR403 다래 41.84
JBR406 국수나무 44.6
JBR417 쥐똥나무 37.7
JBR422 천선과나무 열매 48.04
JBR425 비파나무 종자 46.8
JBR449 삼색병꽃나무 46.19
JBR526 섬오갈피나무 21.99
JBR533 해홍나물 전초 24.36
JBR534 수송나물 전초 24.41
JBR543 은행나무 22.17
JBR546 검양옻나무 27.53
JBR552 개잎갈나무 38.81
JBR557 골담초 19.61
JBR559 싸리 27.3
JBR565 큰달맞이꽃 44.59
JBR566 큰달맞이꽃 St 43.13
JBR570 구릿대 42.9
JBR571 구릿대 줄기 49.97
JBR583 기수초 전초 41.93
JBR584 돈나무 열매 48.63
JBR587 갯길경 전초 32.69
JBR589 흰대극 전초 35.78
JBR591 애기땅빈대 전초 46.01
JBR593 상사화 뿌리 44.05
JBR600 좁은잎천선과나무 48.61
JBR601 좁은잎천선과나무 줄기 48.13
JBR607 모람 열매 39.22
JBR608 퉁퉁마디 전초 44.64
JBR610 누리장나무 49.84
JBR611 왕모람 열매 22.03
JBR613 잔대 뿌리 33.85
JBR618 큰비쑥 전초 25.53
JBR621 멀꿀 열매 37.9
JBR622 다래 열매 28.36
JBR623 큰천남성 열매 18.67
JBR625 배초향 전초 13.14
JBR627 굴거리나무 열매 13.1
JBR629 까마귀쪽나무 열매 13.87
JBR631 산유자나무 9.46
JBR632 상동나무 47.1
JBR07002 별고사리 전초 13.85
JBR07005 제비쑥 전초 16.72
JBR07072 가는갯능쟁이 지상부 37.99
JBR07074 남오미자 지상부 48.74
JBR08004 꼬시래기 전초 47.35
JBR08005 문주란 전초 35.48
JBR08007 상산 49.86
JBR08009 개사상자 전초 30.2
JBR08011 갯강할 전초 45.15
JBR08018 비자나무 40.39
JBR08019 파초 41.8
JBR162 부챗말 전초 18.32
JBR243 꼬마모자반 전초 34.65
JBR246 미끈뼈대그말 전초 28.24
JBR247 그물바탕말 전초 25.64
JBR263 가는개도박 전초 25.9
JBR269 바위수염 전초 41.55
JBR270 진두말 전초 41.14
JBR271 전초 8.05
JBR273 참그물바탕말 전초 41.14
JBR274 참갈고리풀 전초 22.82
JBR276 타래서실 전초 45.57
JBR277 참모자반 전초 44.15
JBR359 바위두둑 전초 44.37
JBR361 모로우붉은실 전초 10.3
JBR363 지충이 전초 45.34
JBR516 애기풀가사리 전초 24.43
JBR518 참풀가사리 전초 24.43
JBR519 참까막살 전초 42.24
JBR535 잔가시모자반 전초 44.21
JBR538 전초 44.12
JBR634 감태 전초 8.94
JBR635 붉은까막살 전초 41.41
JBR07006 쌍발이모자반 전초 29.65
JBR08020 구멍갈파래 전초 41.09
JBR614 홍해삼 전체 20.94
JBR615 적해삼 전체 37.9

Claims (5)

  1. 산유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히스타민제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산유자 잎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히스타민제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산유자 잎을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히스타민제 약제학적 조성물.
  4. 삭제
  5. 삭제
KR1020100128143A 2009-12-15 2010-12-15 항히스타민제 조성물 KR101326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539 2009-12-15
KR20090124539 2009-12-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572A Division KR20130042537A (ko) 2013-04-17 2013-04-17 항히스타민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923A KR20110068923A (ko) 2011-06-22
KR101326158B1 true KR101326158B1 (ko) 2013-11-06

Family

ID=4440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143A KR101326158B1 (ko) 2009-12-15 2010-12-15 항히스타민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1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3064A (zh) * 2015-01-26 2015-05-27 钟天尧 一种解痛风降血尿酸的保健食品
KR101966188B1 (ko) 2018-10-31 2019-04-05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45625C (en) * 2011-08-18 2018-05-15 Jeonnam Bioindustry Foundation Medical composition comprising stauntonia hexaphylla extract
KR101443049B1 (ko) * 2012-05-08 2014-09-24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34449B1 (ko) * 2012-06-15 2014-08-29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비자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성 천연 항료 조성물
KR101790624B1 (ko) * 2015-07-22 2017-10-27 한국콜마주식회사 항염증 효능을 가지는 국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용도
WO2017022964A1 (ko) * 2015-07-31 2017-02-09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WO2017022963A1 (ko) * 2015-07-31 2017-02-09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80116893A (ko) * 2017-04-18 2018-10-26 주식회사 더삼점영 굴거리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5220B1 (ko) 2018-08-29 2020-07-1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참까막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44743B1 (ko) * 2022-01-26 2022-09-19 애경산업(주)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30157732A (ko) 2022-05-10 2023-11-17 한국식품연구원 지충이 효소 가수분해물 또는 이의 다당 분획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118A (ko) * 2002-08-23 2004-03-02 주식회사 팬제노믹스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비알러지성염증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118A (ko) * 2002-08-23 2004-03-02 주식회사 팬제노믹스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비알러지성염증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3064A (zh) * 2015-01-26 2015-05-27 钟天尧 一种解痛风降血尿酸的保健食品
KR101966188B1 (ko) 2018-10-31 2019-04-05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923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158B1 (ko) 항히스타민제 조성물
KR101346281B1 (ko) 29가지 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Zaini et al. Kundur [Benincasa hispida (Thunb.) Cogn.]: A potential source for valuable nutrients and functional foods
KR101090284B1 (ko)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12231A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47778A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2792364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angover
KR20130042537A (ko) 항히스타민제 조성물
KR101054594B1 (ko) 간 기능 개선제 조성물
KR20180091311A (ko)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WO2016099043A1 (ko) 숙취해소용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Bandara et al. Gotu Kola (Centella asiatica L.): An under-utilized herb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077152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1103576B1 (ko) 죽순과 죽엽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058421B1 (ko) 한방 건강 보조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33828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6942415A (zh) 一种适用于解酒醒神的藤婆茶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608456B1 (ko) 손바닥 선인장, 오리나무, 갈근 및 헛개나무의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30029284A (ko)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070469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CN102613648B (zh) 一种原生态竹锗营养液的制备方法
CN107348491A (zh) 预防肝脏疾病饮品及其制备方法
KR20030021667A (ko)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1953576B1 (ko) 항암 기능성 음료수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