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855B1 - 내마모층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내마모층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855B1
KR101323855B1 KR1020110082940A KR20110082940A KR101323855B1 KR 101323855 B1 KR101323855 B1 KR 101323855B1 KR 1020110082940 A KR1020110082940 A KR 1020110082940A KR 20110082940 A KR20110082940 A KR 20110082940A KR 101323855 B1 KR101323855 B1 KR 101323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t layer
adhesive
wear
reinforcement
b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350A (ko
Inventor
이동복
Original Assignee
이동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복 filed Critical 이동복
Priority to KR1020110082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8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20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내마모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세라믹소재로 형성된 다수의 보강비드를 부착하는 부착단계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보강비드들이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 다수의 보강비드를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켜 내마모층을 용이하게 형성시키므로 내마모층을 형성하는 데 소용되는 비용 및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내마모층 형성방법{Method for producing wear resistant layer}
본 발명은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광석, 석회석과 같은 경질의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수단의 원료에 대한 접촉면에 내마모층을 형성하는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 건설, 금속, 플랜트산업분야에서 원료 및 자재를 수송하는 이송수단은 내부식, 내화학성 및 내마모성이 요구된다.
파이프 또는 호퍼와 같이 상기 언급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이송용 설비는 원료 및 자재와 같은 이송물이 접촉면과 마찰하여 접촉면을 마모시킨다. 이송물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에 의해 이송용 설비에 결함이 발생되어 주기적으로 이송설비를 점검 및 교체해야 하므로 상기 이송설비는 높은 내마모성이 요구된다.
이송설비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1920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송물에 대한 이송설비의 접촉면에 내마모성 피막을 도포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접촉면에 내마모성 피막을 도포하는 기술은 내마모재의 분포가 그 피막의 전체에 걸쳐 균일한 두께를 형성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층의 내마성 피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제조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이송 설비 중 이송용 파이프의 경우, 금속-세라믹복합관을 주로 사용한다. 금속-세라믹 복합관은 주로 절연체 용사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회전하는 파이프 내부에 세라믹 슬러리를 노즐을 통해 용사(spraying)하면서 건조 혹은 소결시키는 방식이다. 하지만, 상기 공정의 경우, 파이프 내부에 세라믹층의 생성이 어렵고, 제조공정 시간이 많이 소여될 뿐만 아니라 코팅 후 접합부의 균열, 탈리현상이 쉽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 다수의 보강비드를 접착시켜 내마모층을 형성하는 내마모층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내마모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세라믹소재로 형성된 다수의 보강비드를 부착하는 부착단계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보강비드들이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상기 부착단계 및 경화단계 사이에, 상기 보강비드들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상기 보강비드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되,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 충진비드를 상기 보강비드들 사이에 삽입하여 접착시키는 메움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메시부재를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메시부재의 관통구들에 각각 세라믹소재로 형성된 보강비드를 삽입하여 보강패드를 제작하는 패드제작단계와, 상기 보강패드가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와,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내마모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상기 보강패드를 부착하는 부착단계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보강패드가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비드는 상기 메시부재의 관통구 폭보다 크되, 인접된 상기 보강비드 사이에 공극이 마련되도록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부착단계 및 경화단계 사이에, 상기 보강비드들 사이의 공극을 줄이기 위해 상기 공극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 충진비드를 상기 보강비드들 사이에 삽입하여 접착시키는 메움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시부재는 상기 보강비드들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카본 소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는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몰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 다수의 보강비드를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켜 내마모층을 용이하게 형성시키므로 내마모층을 형성하는 데 소용되는 비용 및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내마노층 형성방법으로 형성된 내마모층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내마노층 형성방법으로 형성된 내마모층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내마노층 형성방법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으로 형성된 내마모층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으로 형성된 내마모층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대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으로 형성된 내마모층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상기 제1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제1도포단계, 제1부착단계 및 제1경화단계를 포함한다.
제1도포단계는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접착제(2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철광석 또는 석회석과 같은 원료를 이송하는 파이프 또는 호퍼와 같은 이송설비의 상기 원료와의 접촉되는 표면에 접착제(20)를 도포한다.
이때, 접착제(20)는 보강대상물(11)이 저온, 200℃ 이하의 환경에서 작동되거나 설치되어 있는 경우,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접착제(20)가 사용될 수 있다.
보강대상물(11)이 약 200℃ 이상의 환경에서 작동되거나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접착제(20)는 몰탈을 사용하거나, 몰탈에 분말 세라믹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몰탈은 시멘트가 물과 결합하여 경화시, 수화열에 의한 건조수축의 발생이 방지되는 무수축 몰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부착단계는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제1내마모층을 형성하기 위해 접착제(20)가 도포된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다수의 보강비드(31)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강비드(31)는 소정의 반경을 갖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보강비드(31)들은 이송대상 원료들이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20)가 도포된 보강대상물(11)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비드(31)는 전기로 응용을 이용한 무기산화물로부터 제조한다. 상기 보강비드(31)는 산화 지르코늄(Zirconia) 결정의 미세한 구조가 첨가된 유리상 안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높은 밀도와 강도를 갖는다. 보강비드(31)는 알루미나(Al2O3), 탄화티타늄(TiC) 및 세라믹류를 혼합한 후 이를 성형, 탈지, 소결하여 생성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경화단계는 접착제(20)에 의해 보강비드(31)들이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접착제(20)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보강비드(31)들이 부착된 보강대상물(11)의 표면을 외기에 노출시켜 자연건조시켜 접착제(20)를 경화시키거나 보강비드(31)들이 부착된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온풍기를 통해 고온의 온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세라믹소재롤 형성된 다수의 보강비드(31)로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제1내마모층을 형성하므로 보강대상물(11)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다수의 보강비드(31)를 접착제(20)에 의해 접착시켜 용이하게 내마모층을 형성시키므로 내마모층을 형성하는 데 소용되는 비용 및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으로 형성된 내마모층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제2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제1부착단계 및 제1경화단계 사이에, 보강비드(31)들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한 제1메움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메움단계는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부착된 보강비드(31)들 사이에 충진비드(32)를 삽입하여 접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충진비드(32)는 보강비드(31)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보강비드(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보강비드(31)와 같이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다.
충진비드(32)는 상기 보강비드(31)들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어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충진비드(32)가 보강비드(31)들의 외주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보강비드(31)들 사이에 접작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충진비드(32)는 보강비드(31)들 사이의 간극을 충진되므로 이송대상 원료들이 보강비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충진비드(32) 역시 내마모성이 우수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보강대상물(11)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3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제1내마모층의 상측에 제2내마모층을 형성하는 제1적층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적층단계는 제2도포단계, 제2부착단계 및 제2경화단계를 구비한다.
제2도포단계는 제1경화단계 완료후, 형성된 제1내마모층의 상측 표면에 접착제(2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때, 접착제(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 예에 따른 접착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부착단계는 상기 제1내마모층의 상측 표면에 제2내마모층을 형성하기 위해 접착제(20)가 도포된 상기 제1내마모층의 표면에 다수의 보강비드(31)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강비드(3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 예에 따른 접착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경화단계는 접착제(20)에 의해 보강비드(31)들이 제1내마모층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접착제(20)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보강비드(31)들이 부착된 제1내마모층의 표면을 외기에 노출시켜 자연건조시켜 접착제(20)를 경화시키거나 보강비드(31)들이 부착된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온풍기를 통해 고온의 온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킨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적층단계는 상기 언급된 제2도포단계, 제2부착단계 및 제2경화단계를 반복하여 제1내마모층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내마모층을 형성하는 제1반복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형성된 제1내마모층의 상측 표면에 제2내마모층을 형성하여 복수의 내마모층을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게 형성하므로 보강대상물(11)의 내마모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4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제2부착단계 및 제2경화단계 사이에, 보강비드(31)들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한 제2메움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메움단계는 제1내마모층의 상측 표면에 부착된 보강비드(31)들 사이에 충진비드(32)를 삽입하여 접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충진비드(32)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충진비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충진비드(32)는 상기 보강비드(31)들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어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충진비드(32)가 보강비드(31)들의 외주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보강비드(31)들 사이에 접작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충진비드(32)는 보강비드(31)들 사이의 간극을 충진되므로 이송대상 원료들이 보강비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제1내마모층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충진비드(32) 역시 내마모성이 우수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보강대상물(11)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으로 형성된 내마모층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제5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준비단계, 패드제작단계, 제3도포단계, 제3부착단계 및 제3경화단계를 포함한다.
준비단계는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메시부재(42)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메시부재(42)는 관통구에 삽입되는 보강비드(41)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카본소재 또는 유리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제작단계는 메시부재(42)의 관통구들에 각각 보강비드(41)를 삽입하여 보강패드(40)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강비드(41)는 상기 관통구에 삽입시, 상기 관통구에 구속될 수 있도록 중앙부분 단면이 관통구보다 큰 면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비드(41)는 전기로 응용을 이용한 무기산화물로부터 제조한다. 상기 보강비드(41)는 산화 지르코늄(Zirconia) 결정의 미세한 구조가 첨가된 유리상 안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높은 밀도와 강도를 갖는다. 보강비드(41)는 알루미나(Al2O3)과 탄화티타늄(TiC)을 혼합한 후 이를 성형, 탈지, 소결하여 생성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포단계는 보강패드(40)가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접착제(2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철광석 또는 석회석과 같은 원료를 이송하는 파이프 또는 호퍼와 같은 이송설비의 상기 원료와의 접촉되는 표면에 접착제(20)를 도포한다. 이때, 접착제(20)는 보강대상물(11)이 200℃ 이하의 환경에서 작동되거나 설치되어 있는 경우,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접착제(20)가 사용될 수 있다.
보강대상물(11)이 200℃ 이상의 환경에서 작동되거나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접착제(20)는 몰탈을 사용하거나, 몰탈에 분말 세라믹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3부착단계는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제3내마모층을 형성하기 위해 접착제(20)가 도포된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상기 보강패드(40)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작업자는 이송용 원료가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대상물(11)의 표면을 덮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경화단계는 접착제(20)에 의해 보강패드(40)가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접착제(20)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보강패드(40)가 부착된 보강대상물(11)의 표면을 외기에 노출시켜 자연건조시켜 접착제(20)를 자연 경화시키거나 보강패드(40)가 부착된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온풍기를 통해 온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3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제3내마모층을 형성하는 보강패드(40)가 메시부재(42)에 의해 다수의 보강비드(41)들이 지지되도록 형성되므로 이송용 원료와의 접촉에 의해 보강비드(41)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견고하게 부착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으로 형성된 내마모층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제6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6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제5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의 제3부착단계 및 제3경화단계 사이에, 보강비드(41)들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한 제3메움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3메움단계는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부착된 보강비드(41)들 사이에 충진비드(43)를 삽입하여 접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충진비드(43)는 보강비드(41)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보강비드(4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보강비드(41)와 같이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다.
충진비드(43)는 상기 보강비드(41)들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어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충진비드(43)가 보강비드(41)들의 외주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보강비드(41)들 사이에 접작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충진비드(43)는 보강비드(41)들 사이의 간극을 충진되므로 이송대상 원료들이 보강비드(41)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충진비드(43) 역시 내마모성이 우수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보강대상물(11)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7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제3내마모층의 상측에 제4내마모층을 형성하는 제2적층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적층단계는 제4도포단계, 제4부착단계 및 제4경화단계를 구비한다.
제4도포단계는 제3경화단계 완료후, 형성된 제2내마모층을 형성하는 보강패드(40)의 상측 표면에 접착제(2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때, 접착제(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 예에 따른 접착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부착단계는 상기 제3내마모층의 상측 표면에 제4내마모층을 형성하기 위해 접착제(20)가 도포된 상기 제3내마모층의 상측 표면에 보강패드(40)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제4경화단계는 접착제(20)에 의해 보강패드(40)가 제3내마모층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접착제(20)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보강패드(40)가 부착된 제3내마모층의 표면을 외기에 노출시켜 자연건조시켜 접착제(20)를 경화시키거나 보강패드(40)가 부착된 제3내마모층의 표면에 온풍기를 통해 고온의 온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킨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적층단계는 상기 언급된 제4도포단계, 제4부착단계 및 제4경화단계를 반복하여 제3내마모층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내마모층을 형성하는 제2반복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형성된 제3내마모층의 상측 표면에 제4내마모층을 형성하여 복수의 내마모층을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게 형성하므로 보강대상물(11)의 내마모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8실시 예에 따른 내마모층 형성방법은 제4부착단계 및 제4경화단계 사이에, 보강비드(31)들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한 제4메움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4메움단계는 제3내마모층의 상측 표면에 부착된 보강패드(40)의 보강비드(31)들 사이에 충진비드(32)를 삽입하여 접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충진비드(32)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충진비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충진비드(32)는 상기 보강비드(31)들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어 보강대상물(11)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충진비드(32)가 보강비드(31)들의 외주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보강비드(31)들 사이에 접작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충진비드(32)는 보강비드(31)들 사이의 간극을 충진되므로 이송대상 원료들이 보강비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제3내마모층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충진비드(32) 역시 내마모성이 우수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보강대상물(11)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보강대상물
20: 접착제
31: 보강비드
32: 충진비드
40: 보강패드

Claims (10)

  1.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제1도포단계와;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내마모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세라믹소재로 형성된 다수의 보강비드를 부착하는 제1부착단계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보강비드들이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켜 제1내마모층을 형성하는 제1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층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착단계 및 제1경화단계 사이에, 상기 보강비드들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상기 보강비드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되,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 충진비드를 상기 보강비드들 사이에 삽입하여 접착시키는 제1메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층 형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마모층의 상측에 제2내마모층을 형성하는 제1적층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적층단계는
    상기 제1내마모층의 상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도포단계와;
    상기 제1내마모층의 표면에 제2내마모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1내마모층의 표면에 세라믹소재로 형성된 다수의 상기 보강비드를 부착하는 제2부착단계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보강비드들이 상기 제1내마모층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켜 상기 제2내마모층을 형성하는 제2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층 형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층단계는
    상기 제2부착단계 및 제2경화단계 사이에, 상기 보강비드들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상기 보강비드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되,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 충진비드를 상기 보강비드들 사이에 삽입하여 접착시키는 제2메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층 형성방법.
  5.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메시부재를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메시부재의 관통구들에 각각 세라믹소재로 형성된 보강비드를 삽입하여 보강패드를 제작하는 패드제작단계와;
    상기 보강패드가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3도포단계와;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제3내마모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상기 보강패드를 부착하는 제3부착단계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보강패드가 상기 보강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제3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층 형성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드는 상기 메시부재의 관통구 폭보다 크되, 인접된 상기 보강비드 사이에 공극이 마련되도록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부착단계 및 제3경화단계 사이에, 상기 보강비드들 사이의 공극을 줄이기 위해 상기 공극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 충진비드를 상기 보강비드들 사이에 삽입하여 접착시키는 제3메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층 형성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부재는 상기 보강비드들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카본 소재 또는 유리섬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층 형성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내마모층의 상측에 제4내마모층을 형성하는 제2적층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적층단계는
    상기 제3내마모층의 상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4도포단계와;
    상기 제3내마모층의 표면에 제4내마모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3내마모층의 표면에 상기 보강패드를 부착하는 제4부착단계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보강패드가 상기 제3내마모층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제4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층 형성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드는 상기 메시부재의 관통구 폭보다 크되, 인접된 상기 보강비드 사이에 공극이 마련되도록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4부착단계 및 제4경화단계 사이에, 상기 보강비드들 사이의 공극을 줄이기 위해 상기 공극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 충진비드를 상기 보강비드들 사이에 삽입하여 접착시키는 제4메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층 형성방법.
  10.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몰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층 형성방법.

KR1020110082940A 2011-08-19 2011-08-19 내마모층 형성방법 KR101323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40A KR101323855B1 (ko) 2011-08-19 2011-08-19 내마모층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40A KR101323855B1 (ko) 2011-08-19 2011-08-19 내마모층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350A KR20130020350A (ko) 2013-02-27
KR101323855B1 true KR101323855B1 (ko) 2013-10-31

Family

ID=4789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940A KR101323855B1 (ko) 2011-08-19 2011-08-19 내마모층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388B1 (ko) * 2022-10-06 2023-02-10 주식회사 테크올 세라믹시트 제조 용 금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세라믹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세라믹 호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590A (ko) * 2005-02-17 2005-06-01 곽상운 부착방지체 형성방법
KR20110068050A (ko) * 2009-12-15 2011-06-22 곽상운 운송수단의 도장방법
KR20120053614A (ko) * 2010-11-18 2012-05-29 신희종 세라믹볼이 내장된 방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590A (ko) * 2005-02-17 2005-06-01 곽상운 부착방지체 형성방법
KR20110068050A (ko) * 2009-12-15 2011-06-22 곽상운 운송수단의 도장방법
KR20120053614A (ko) * 2010-11-18 2012-05-29 신희종 세라믹볼이 내장된 방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350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idi et al. Additive manufacturing of cementitious composites: Materials, methods, potentials, and challenges
US20230340790A1 (en) Insulated wall panel
KR101738246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구조물
EP2052853B1 (en) A thermal protection system and a method for sealing a gap in this system
KR101586035B1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6006513B2 (ja) 耐摩耗性、耐熱性の搬送用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283611A (zh) 三明治式构件及其制造方法
CN101348380A (zh) 具有陶瓷桁架芯的陶瓷复合结构及其制造方法
KR101323855B1 (ko) 내마모층 형성방법
EP3052716B1 (en) Drywall joint tape and method
JP341510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体
KR102123226B1 (ko) 무기질판 및 그 제조 방법
Gericke et al. Production of Curved Concrete Sandwich Panels Using a Frozen Sand Formwork
CN206875111U (zh) 一种氧化铝耐磨陶瓷衬板
JP2020066878A (ja) 耐火被覆部材、耐火被覆構造、耐火被覆部材の製造方法
WO2017177749A1 (zh) 建筑物加固结构及建筑物加固方法
CN106313864A (zh) 一种砂面隔声陶瓷砖生产工艺
KR101382168B1 (ko) 주름진 격자형 와이어 메쉬의 브레이징 접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Z302769B6 (cs) Výztužná sít
CN217578711U (zh) 一种新型耐腐蚀陶瓷
JP2001121527A (ja) 複合パネルおよびその製法
JP2014237922A (ja) 壁構造および増設壁の構築方法
CN113414979B (zh) 一种3d打印方法
JP4589782B2 (ja) 木質セメント板
JP4911379B2 (ja) タイル敷設工法及びそ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