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870B1 - 내연 기관 엔진을 위한 공기 공급 분배기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 엔진을 위한 공기 공급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870B1
KR101322870B1 KR1020087015937A KR20087015937A KR101322870B1 KR 101322870 B1 KR101322870 B1 KR 101322870B1 KR 1020087015937 A KR1020087015937 A KR 1020087015937A KR 20087015937 A KR20087015937 A KR 20087015937A KR 101322870 B1 KR101322870 B1 KR 101322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cylinder
air distributor
branches
distrib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9663A (ko
Inventor
프랑크 알리종
피에르 앙투완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80079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26Plenum chambers
    • F02M35/10052Plenum chambers special shapes or arrangements of plenum chambers; 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26Plenum chambers
    • F02M35/10032Plenum chambers specially shaped or arranged connecting duct between carburettor or air inlet duct and the plenum chamber; specially positioned carburettors or throttle bodies with respect to the plenum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098Straight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118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with variable cross-sections of intake ducts along their length; Venturis;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02M35/108Intake manifolds with primary and secondary intake passages
    • F02M35/1085Intake manifolds with primary and secondary intake passages the combustion chamber having multiple intak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02M35/112Intake manifolds for engines with cylinders all in one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 기관 엔진의 실린더들(15, 16, 17, 18)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 채널들(45, 46, 65, 66)이 구비된 원통형 관형상 본체(24)를 구비하는 공기 배분기(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지부들(37 내지 44)은 관형상 본체의 모선(GA)을 따라 정렬되는 방식으로 개방된다. 상기 관형상 본체(24)는 공기 유입구(32)에서 개방되는 180°엘보우(30)의 가지부들로 상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엘보우(30)는 모선(GA)을 가지는 관형상 본체(24)의 직경방향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으로 경사진다. 본 발명의 배분기는 배분된 제 1 및 제 2 실린더(15, 16)의 가지부들(37 내지 40) 맞은편의 관형상 본체(24)에 제공된다. 전술한 홈(70)은 가지부들(38, 39) 사이에 배치된 최저 영역(72) 주위에서 수렴/발산 형상(71, 73)을 가지는데, 상기 홈은 채널들(65, 66)에서 공기 유동을 조절함으로써, 경사진 엘보우 배분기의 구조에 의해 유도된 배분된 제 2 실린더(16)에서의 와류의 저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벤츄리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분기(10)는 실린더(16) 마다 2개의 흡기 덕트(67, 68)들을 가진 디젤 엔진의 실린더 헤드(14)의 흡기면(12)에 장착된다.
내연기관, 공기 배분기

Description

내연 기관 엔진을 위한 공기 공급 분배기{Air supply distribu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 기관 엔진의 실린더를 위한 흡입 공기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라는 용어가 넓은 의미로 이해되며, 특히 임의의 흡입 혼합물, 특히 공기/연료 혼합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 기관 엔진의 실린더의 흡기 공기 분배는 각각의 실린더에 대한 공급에 있어서의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이러한 불균형의 제거하는 시도를 하는 동안에 행해지는데, 다수의 흡기 덕트의 경우의 주어진 실린더를 위하여 그리고, 실린더들 사이의 분배를 위하여 행해진다. 특히, 흡기 기체의 공기역학이 결정적인 매 실린더당 2개의 흡기 덕트를 가지는 디젤 엔진에서, "와류"(swirl)에서의 저하(drop)가 임의의 실린더, 특히 상기 분배기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야기된 배분된 제 2 실린더에서 발견되었다 ("와류"는 실린더에서 축방향 소용돌이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180°로 만곡되는 공기 분배기의 경우 특히 맞는 말인데, 특히, 차량의 엔진 구획부에 장착되도록 엔진의 크기와 컴팩트함에 대한 이유로서, 엘보우는 실린더 흡기 덕트의 연결 채널의 가지부의 정렬 라인을 통과하는 관형상 본체의 직경 방향 기준 평면에 경사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분배기(distributor)의 기하학적 형상에 관하여 배분된 제 1 실린더로의 향상된 공급을 위한 분배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JP2003074357 공보는 축방향 단부 공기 흡입구를 가지는 실린더당 2개의 흡기 밸브를 가지는 유형의 내연 기관 엔진을 위한 공기 분배기를 설명하고 있는데, 연결 채널의 곡률은 실린더들 사이에서 "와류"가 균일하게 되도록 적절하게 된다. JP63208616 공보는 실린더당 하나의 흡기 밸브를 가지는, 직렬의 4개의 실린더와 제2 실린더 및 제 3 실린더 사이에 중앙 측면 유입구를 가지는 내연 기관 엔진용 공기 분배기를 설명하고 있는데, 여기서, 제 3 실린더의 연결 채널의 유입구는 유동 라인, 실린더 헤드의 상류에 제 2 실린더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주는 공기 가이드를 구비한다. JP113509963 공보는 하나의 흡기 밸브를 가지는 유형의 일련의 3개의 실린더를 가진 내연 기관 엔진용 연결 채널이 없는 공기 배분기를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돌출부는 배분된 제 1 실린더와 배분된 제 2 실린더 간, 그리고 배분된 제 2 실린더와 배분된 제 3 실린더 간의 일정한 형상에 조정되도록 배치된다. 실린더들간의 "와류"를 균형 잡는 이러한 3건의 일본 공보는 만곡된 공기 배분기와는 완전히 상이한 특정 구조를 가지는 공기 배분기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공지의 배분기와 관련되거나 이에 의해 야기된 내부 공기 역학적 교란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실린더마다 2개의 흡기 덕트를 가지는 일렬로 된 적어도 다수의 실린더를 가지는 내연 기관 엔진용 공기 배분기를 제안하며, 상기 배분기는 실린더를 제공하기 위한 측면 연결 채널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메인 관형상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관형상 본체를 구비한 가지부(branch)는 상기 메인 관형상 본체의 모선(generatrix)을 따라 실질적으로 정렬된 방식으로 개방되며, 상기 메인 관형상 본체는 공기 유입구상에서 개방된 거의 180°엘보우(elbow)에 의해 가지부의 상류로 연장되며, 상기 엘보우는 상기 가지부의 정렬을 위한 모선을 가지고 있는 상기 메인 본체의 직경 방향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며, 상기 공기 분배기는 배분된 제 1 및 제 2 실린더의 연결 채널의 가지부 반대편의 관형상 본체에 배치되며, 배분된 제 1 및 제 2 실린더의 가지부들 사이에 최저 영역을 가지는 홈을 구비한다. 여기서, '원통형'과 같은 형상, 180°와 '수직' 같은 각도는 엄밀히 그 형상, 각도 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80도보다 큰 각도라고 하더라도 179.5도와 같이 측정 오차나 제조 공차 등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180도인 것으로 당업자에게 해석될 수 있는 수치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는 배분된 제 2 실린더의 2개의 연결 채널들 사이에서 유동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분기는 정렬된 실린더에 나란하며 각각의 실린더에 대응하는 실린더 헤드의 흡기 덕트 반대편에 배치된 연결 채널을 구비한 상기 엔진의 실린더 헤드의 대응 흡기면(intake face)에 나란하게 장착되는데 적합하여, 상기 직경 방향 평면은 상기 실린더 헤드 흡기면에 수직하다. 이러한 구조체는 배분기를 구비한 엔진의 컴팩트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의 배분기의 선택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최저 영역은 배분된 제 1 실린더의 하류 가지부의 바로 하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홈은 상기 최적 영역의 양측 상에서 관형상 본체의 공기 유동 방향에 수렴/발산 형태를 가지는데, 특히 수렴/발산 형태는 배분된 제 1 실린더의 상류 가지부의 하류로부터 배분된 제 2 실린더의 하류 가지부의 상류로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은 관형상 본체의 공기 유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분기는, 배분된 제 1 실린더의 덕트의 가지부의 인접부와 상류에 그리고 엘보우 경사측면상에, 상기 메인 본체의 공기 유동 통로의 부분적 쓰로틀링 램프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램프는 그 상류면과 하류면이 각각 완만하게 경사지고 급격하게 경사진 비대칭적인 바퀴 램프의 형태이며, 상기 램프는 상기 직경 방향 평면 측방향으로 경사진다.
한편으로, 배분된 제 1 실린더에서의 이러한 구조는 배분기의 내부 공기역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다른 한편으로, 배분된 제 1 실린더에서의 "와류"의 상승과 함께, 상기 엔진의 다양한 실린더에서 실질적으로 균등한 "와류" 수준을 회복하고, 배분된 동일한 제 1 실린더의 2개의 연결 채널들 사이에서 유동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구조들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쉬운 배분된 제 1 및 제 2 실린더의 공기 역학적 구조들 사이에 부정적인 상호 반응은 없다는 것이 바람직한 일이다. 특히, 배분된 제 2 실린더에서의 공기 역학적 배열이 단일하게 존재함으로써 공기 배분기에 대하여 얻어지는 효율은 배분된 제 1 실린더에서의 공기 역학적 배열의 상류에서의 도입에 의해 가상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배분된 제 1 및 제 2 실린더에서의 2개의 공기 역학적 배열을 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진 엘보우 배분기는 하나의 실린더로부터 다른 실린더로 매우 작은 "와류"의 소산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배기는, 상기 램프의 상류 및 이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엘보우 유출구에서, 상기 관형상 본체에서의 공기 유동 방향에 거의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홈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홈은 상기 관형상 본체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수렴/발산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 2 홈 또는 돌기는 배분기의 전체적인 투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며, 특히 배분된 제 1 스테이션에서, 투과성의 저하를 야기하게 되는 비대칭 바퀴 램프의 높이를 감소시키는데 이러한 돌기가 기여하게 되며, 노즐의 투과성은 주어진 에너지 손실을 위한 공기 유동의 통과를 허용하는 수준에 대응한다. 또한, 2개의 공기 역학적 배열과 결합된 제 2 홈의 도입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배분기의 성능, 특히 유동성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 메인 관형상 본체는 라운드진 각을 가진 거의 정방형의 단면을 가지며, 작은 부분은 상기 엘보우 반대편의 관형상 본체의 측면에 대응하며, 상기 연결 채널들의 정렬된 가지부를 운반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배분된 실린더당 2개의 연결 흡기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엔진의 실린더 헤드의 흡기면상에 장착된, 전술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분기를 구비하는, 특히 차량을 위한, 내연 기관 엔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분된 실린더당 2개의 연결 채널들을 가지며 상기 엔진의 실린더 헤드의 흡기면에 장착된,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분기를 구비하는, 특히 차량을 위한, 디젤 타입의 내연 기관 엔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으로 제공된, 하기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내연기관 엔진 실린더 헤드의 흡기면을 따라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배분기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배분기의 AA 선을 따라 취한 확대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내연 기관 엔진 실린더 헤드의 흡기면을 따라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배분기의 제 2 실시예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공기 배분기의 BB 선을 따라 취한 확대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흡기 공기 배분기(10)는 일렬로 된 4개의 실린더(15, 16, 17, 18)을 가지는 내연 기관 엔진의 실린더 헤드(14)의 흡기면(12)에 고정된 작동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실린더 헤드(14)와 일체화된 내연 기관 엔진은 디젤 타입인데, 특히 차량용이지만,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내연 기관 엔진은 예를 들어 차량용의 4행정 가솔린 엔진의 다른 유형일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린더 헤드 흡기면(12)은 도 1 및 도 2의 평면에 수직한 평면(P1)에서 연장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5 내지 1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배분된 제 1 연소 실린더인 실린더(15)를 위하여 각각 2개의 구별되는 흡기 덕트들인 덕트(19, 20)을 구비하며, 그 단부에서, 연소면(22: combustion face)의 높이에서 실린더(15)의 헤드상에서 개방되며, 각각은 2개의 흡기 밸브(미도시) 중 하나의 시트를 운반하게 된다. 도면의 명확화를 위하여, 배기 밸브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면(16)은 도 1 및 2의 평면에 수직한 평면(P2)에서 평면(P1)으로 연장된다.
상기 공기 배분기(10)는 적절하게 조립된 별도의 요소 또는 하나의 부재로 성형되어 얻어지는 경량 합금으로 형성된 굽어진 노즐의 형상이다. 상기 배분기(10)는 축(XX')을 가지는 원통형의 메인 관형상 본체(24)를 기본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분기가 실린더 헤드(14)상에서 작동되도록 장착된다면 상기 흡기면(12) 및 연소면(22)에 나란하다. 가장 마지막에 배분된 실린더인 실린더(18)에서 제 1 폐쇄 단부(26)를 가지는 본체(24)는 덕트 및 엔진 공급 장치(미도시)에 적절하게 연결된 흡기 오리피스(32) 또는 공기 유입구상에서 개방되는 180°엘보우(30)에 의해 타측 단부(28)에서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관형상 본체(24)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라운드진 코너를 가진 거의 정방형 형상을 가진 단면(34)를 가지며, 상기 엘보우(32) 맞은 편의 본체(24)의 측면에 대응하는 작은 측면(36)은 4개의 실린더의 흡기 덕트에 연결되어질 배분기(10)의 연결 채널들의 가지부들(37, 38, 39, 40, 41, 42, 43, 44)을 운반하며, 예를 들어 배분된 제 1 실린 더(15)를 위하여, 상기 가지부(37, 38)들은 실린더 헤드(14)에 제공된 흡기 덕트(19, 20)에 적절하게 연결된 연결 채널(45, 46)과 각각 짝을 이룬다. 배분된 제 2 실린더(16)의 흡기 덕트(67, 68)에 연결된 연결 채널(65, 66)과 각각 짝을 이루는 가지부들(39, 4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적으로 짝을 이룬 가지부들(37 내지 44)은 상기 메인 본체(24)의 직경 방향 평면(P3)에, 후자의 축과 같이 담겨져서 축(XX')에 나란한 원통형의 관형상 본체(24)의 모선(GA)을 따라 실질적으로 정렬되며, 일단 배분기(10)가 실린더 헤드에 장착되면, 상기 직경 방향 평면(P3)은 연소면의 평면(P2)에 나란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엘보우(30)는 도 2의 평면에 수직한 평면으로 비제한적으로 정의된 엘보우(30)의 중간 평면(P4) 및 평면(P3) 사이에서 형성된 경사각(α)만큼 직경 방향 평면(P3)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엘보우(30)의 유입구 및 유출구의 중심(CE, CS)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경사각(α)은 적절하게 낮은 값으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로 정해지는데, 본원의 경우 도 2의 좌측에 대하여 P3로부터 약 20°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공기 배분기의 엘보우는, 예를 들어 P3에 대하여 대칭으로, 도 2의 우측을 향하여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70)은 배분된 제 1 실린더(15) 및 배분된 제 2 실린더(16)의 연결 채널들(19, 20, 65, 66)가 가지부들(37 내지 40)에 맞은편의 관형상 본체(24)에 배치되며 배분된 제 1 및 제 2 실린더들의 가지부들 사이에서 최저 영역(72)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홈(70)의 위치와 형상은 배분된 제 2 실린더(16)의 가지부들(39, 40)의 상류에서 관형상 본체(24)의 내부 덕트(25)에서 그것을 균일하게 하며 유동을 가속시키는 벤츄리 효과를 홈에 주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고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상기 최저 영역(72)은 배분된 제 1 실린더(15)의 하류 가지부(38)의 바로 하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고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상기 홈은 상기 최저 영역(72)의 양측면상에 관형상 본체(24)에서 공기 유동방향으로 수렴/발산 형상(상류 구간(71)/하류 구간(73))을 가진다. 이 경우에, 상기 수렴/발산 형상은 배분된 제 1 실린더(15)의 상류 가지부(37)의 하류로부터 배분된 상기 제 2 실린더(16)의 하류 가지부(40)의 상류로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또는 웨이브 형상을 가지는 홈(70)은 관형상 본체(24)에서 축(XX')을 따라 공기 유동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평면(P3)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관형상 본체의 내부 덕트(25)에서의 홈(70)은 내부적으로 추가된 부분을 경유하거나 그 캐스팅에서 직접 제조된다(또는 양호하게 제조된 배분기의 경우, 엘보우/관형상 본체 경계부에서의 배분기 벽의 적절한 관통에 의해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홈(70)에 의해 얻어지는 관형상 본체(24)에서의 유동에 대한 벤츄리 효과는 배분된 제 2 실린더의 연결 채널들(65, 66)의 바로 상류에서 유동을 균일하게 만들고 배분된 제 2 실린더(16)의 2개의 연결 채널들 사이에서 유동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대응하는 공기역학적인 배열체가 최적의 조건으로 작동하게 하며, 상기 공기 배분기상에서 180°경사진 엘보우의 존재로 인하여 발생되는 배분 된 제 2 실린더(16)에서의 "와류"의 저하는 바로 잡혀 수정된다. 명백하게도, 상기 홈(70)은 상기 평면(P3)에 대하여 대칭적이며, 전술한 수정은 이러한 평면(P3)의 우측으로 또는 좌측으로 경사각(α)의 방향에 상관없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배분기(10')는 공기 배분기(10)에 가상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2개의 배분기의 동일한 요소는 다시 설명되지 않으며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이러한 2개의 배분기들은 직경방향 평면(P3)에 경사진 엘보우의 측면상에서 그리고 상기 엘보우에 실질적으로 맞은편에서(즉 연결 가지부가 배치되고 엘보우의 외측에 대응하는 측면상에) 배분된 제 1 실린더(15)의 연결 채널(45)의 가지부(37)에 인접하게 상기 엘보우(30)의 유출구에 배치된 부분적으로 쓰로틀링되는 램프(48)의 배분기(10') 상의 존재에 의해 구별된다. 상기 램프(48)는 상류면(50: upstream face)과 하류면(52)이 각각 완만하게 경사지고 급격하게 경사진 비대칭 바퀴 램프의 형태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상기 하류면(52)은 상기 가지부(37)의 제한부에서 급격하게 경사진다. 또한, 상기 램프(4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방향 평면(P3)에 측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바람직하며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상기 관형상 본체(28)에 수직한 평면(AA 단면의 평면 또는 도 2의 평면)의 램프(48)의 상부(54)의 돌출부는 경사각(α)의 1 내지 5배로 직경 방향 평면(P3)에 대하여 경사각(β)을 가지며, 이 경우 약 40°의 경사각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관형상 본체의 내부 덕트(25)의 홈이 형성된 쓰로틀링 램프(48)는 내부적으로 추가된 부분을 경유하거나 그 캐스팅에서 직접 제조된다(또는 엘보우/관형상 본체 경계에서의 배분기 벽의 적절한 관통에 의해 제조된다). 부분적으로 쓰로 틀링하는 비율은 유동 통로의 5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이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0% 이다).
램프(48)의 존재는 한편으로는 실린더(15)에서의 배분기 없는 실린더 헤드에 의해 발생된 "와류"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와류" 수준을 복원하고(따라서 엔보우(30)의 경사에 의해 발생되는 이러한 실린더(15)에서의 "와류"의 저하를 보상함), 다른 한편으로는 동일한 실린더(15)를 공급하도록 2개의 흡기 덕트(19, 20) 사이에서 유동을 조절하도록, 배분된 제 1 실린더(15)에 공기 공급의 공기 역학적 특성에 대한 이중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공기 배분기(10')는 경사진 엘보우의 존재로 인하여 배분된 제 1 실린더(15) 및 제 2 실린더(16)상에서 "와류"의 저하의 영향을 바로 잡는 기능을 하게 된다(이러한 효과는 이어지는 실린더들(17, 18)상에서 무시할 만한 수준이거나 심지어 존재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램프(48)의 상류 및 상기 엘보우(30)의 유출구 및 상기 램프의 맞은편에서, 상기 관형상 본체(24)의 내부 덕트(25)에서의 유동에 대하여 축(XX')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홈(70)도 수직하게 제 2 홈(6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홈(60)은 그 전체 폭(단면(34) 중 큰 쪽)을 따라서 관형상 본체(24)의 측면(62)(램프(48)와 관련하여 측면(61)에 맞은편)상의 평면(P3)에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수렴/발산 형태(상류 구간(61)/하류 구간(63))를 가진다. 상기 홈(60)은 공기 배분기의 캐스팅에서의 물질로부터 도래한다(그것은 추가된 부품의 형태로 제조되거나, 양호하게 제조된 배분기를 위하여, 엘보우 유출구 벽의 변형에 의해 얻어 진다). 제 2 홈(60)은 램프 또는 바퀴 램프(48)에 의해 얻어진 공기 배분기의 공기 역학적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배분된 제 1 실린더 스테이션, 즉 실린더(15)를 위하여 배분기(10')의 투과성을 형상시키는 영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부분적 쓰로틀링 램프(48)의 존재로 인하여 발생되는 가능한 유동율의 약간의 저하를 적어도 오프셋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대응하는 부분적인 쓰로틀링 램프가 이러한 평면에 대하여 램프(28)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공기 배분기(10')의 엘보우는 도 2의 우측을 향하여 또다른 방향으로, 예를 들어 P3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경사지게 된다.

Claims (13)

  1. 실린더마다 2개의 흡기 덕트를 가지는 일렬로 된 적어도 다수의 실린더들(15, 16, 17, 18)을 구비하는 내연 기관 엔진용 공기 배분기(10, 10')로서, 상기 공기 배분기는 실린더를 공급하기 위한 측방향 연결 채널들(45, 46)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메인 관형상 본체(24)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 관형상 본체를 구비한 가지부들(37, 38, 39, 40, 41, 42, 43, 44)은 상기 메인 관형상 본체의 모선(GA)을 따라 정렬된 방식으로 개방되며, 상기 메인 관형상 본체(24)는 공기 유입구(32) 상에서 개방되는 실질적으로 180°의 엘보우(30)에 의해 상기 가지부들의 상류로 연장되며, 상기 엘보우는 상기 가지부들의 정렬을 위한 모선(GA)을 가지고 있는 메인 본체의 직경 방향 평면(P3)에 경사져 있으며,
    배분된 제 1 실린더(15) 및 제 2 실린더(16)의 연결 채널들(45, 46, 65, 66)의 가지부들(37, 38, 40, 41) 맞은편의 관형상 본체(24)에 배치되며 배분된 상기 제 1 실린더 및 제 2 실린더의 가지부들 사이에 최저 영역(72)을 가지는 홈(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분기(10, 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 영역(72)은 배분된 제 1 실린더(15)의 하류 가지부의 바로 하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분기(10, 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70)은 상기 최저 영역(72)의 양측상에서 관형상 본체(24)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수렴/발산 형상(71, 7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분기(10, 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렴/발산 형상(71, 73)은 배분된 제 1 실린더(15)의 상류 가지부(37)의 하류로부터 배분된 제 2 실린더(16)의 하류 가지부(40)의 상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분기(10, 1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70)은 관형상 본체(24)의 공기 유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분기(10, 10').
  6. 제 1 항에 있어서,
    배분된 제 1 실린더(15)의 연결 채널들(45, 46)의 가지부(37, 38)의 인접부 및 상류와, 상기 엘보우 경사의 측면상에서, 상기 메인 관형상 본체(24)의 공기 유동 통로의 부분 쓰로틀링 램프(4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분기(1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48)는 상류면(50: upstream face) 및 하류면(52)이 각각 완만하게 경사지고 급격하게 경사진 비대칭 바퀴 램프의 형태이며, 상기 램프는 상기 직경 방향 평면(P3)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분기(10').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48)의 상류와 이를 향하는 엘보우 유출구에서, 상기 관형상 본체(24)의 공기 유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홈(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분기(1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60)은 상기 관형상 본체(24)에서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수렴/발산 형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분기(10').
  10. 제 1 항에 있어서,
    그 선형 부분에서, 상기 관형상 본체(24)는 라운드된 각을 가진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단면(34)을 구비하며, 작은 엘보우 측면(36)은 상기 엘보우(30) 맞은편의 관형상 본체의 측면에 대응하며, 상기 연결 채널(45, 46, 65, 66)의 상기 가지부들(37, 38, 39, 40, 41, 42, 43, 44)을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분기(10, 10').
  11.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실린더들에 대응되는 실린더 헤드 흡기 덕트들(45, 46, 65, 66)에 맞은편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들의 정렬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 채널들(37, 38, 39, 40)을 가진 상기 엔진의 실린더 헤드의 대응 흡기면(12)에 나란하게 장착되며, 상기 직경 방향 평면(P3)은 상기 실린더 헤드의 대응 흡기면(12)에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분기(10, 10').
  12. 엔진의 실린더 헤드의 흡기면상에 장착되는, 제 1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분기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 엔진.
  13. 엔진의 실린더 헤드의 흡기면상에 장착되는, 제 1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분기를 포함하는 디젤 타입의 내연 기관 엔진.
KR1020087015937A 2005-12-01 2006-11-23 내연 기관 엔진을 위한 공기 공급 분배기 KR101322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12206A FR2894297B1 (fr) 2005-12-01 2005-12-01 Repartiteur d'air d'alimentation ameliore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FR0512206 2005-12-01
PCT/FR2006/051215 WO2007063238A1 (fr) 2005-12-01 2006-11-23 Repartiteur d’air d’alimentation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663A KR20080079663A (ko) 2008-09-01
KR101322870B1 true KR101322870B1 (ko) 2013-10-29

Family

ID=3708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937A KR101322870B1 (ko) 2005-12-01 2006-11-23 내연 기관 엔진을 위한 공기 공급 분배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26460B2 (ko)
EP (1) EP1957787B1 (ko)
JP (1) JP4896154B2 (ko)
KR (1) KR101322870B1 (ko)
CN (1) CN101356360B (ko)
AT (1) ATE488687T1 (ko)
DE (1) DE602006018353D1 (ko)
ES (1) ES2354226T3 (ko)
FR (1) FR2894297B1 (ko)
WO (1) WO2007063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1436A3 (fr) * 2007-09-26 2009-03-27 Renault Sas Collecteur d'admission/d'echappement en boucle pour un moteur thermique de vehicule automobile.
JP5575533B2 (ja) * 2010-04-28 2014-08-20 ヤンマー株式会社 排気マニホールド
WO2015079512A1 (ja) * 2013-11-27 2015-06-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047780B (zh) * 2014-06-25 2017-02-2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无锡油泵油嘴研究所 一种高增压发动机进气道设计方法
US9103277B1 (en) 2014-07-03 2015-08-11 Daniel Sexton Gurney Moment-cancelling 4-stroke engine
CN104632479B (zh) * 2014-12-30 2017-07-21 大连理工大学 一种发动机进气道结构
JP6302953B2 (ja) * 2016-05-09 2018-03-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型内燃機関の吸気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709A (ko) * 2003-05-10 2004-11-17 박진우 디젤엔진용 흡기관
KR20040097417A (ko) * 2003-05-12 2004-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흡기 장치
KR20040110125A (ko) * 2003-06-18 2004-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흡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300475D0 (en) * 1983-01-08 1983-02-09 Boots Co Plc Container
JPS62162766A (ja) * 1986-01-13 1987-07-18 Hitachi Ltd ガソリン機関の吸気マニホ−ルド
JPH09317578A (ja) * 1996-05-29 1997-12-09 Yamaha Motor Co Ltd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系構造
JP3871807B2 (ja) * 1998-06-09 2007-01-24 ヤンマー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気マニホールド
US6234129B1 (en) * 1999-12-30 2001-05-22 Hayes Lemmerz International, Inc. Composite intake manifold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3594873B2 (ja) * 2000-05-19 2004-12-02 株式会社クボタ 多気筒ガソリンエンジン
DE10028047A1 (de) 2000-06-06 2001-12-13 Audi Ag Ansauganlage für eine mehrzylindrige Brennkraftmaschine
JP4249919B2 (ja) * 2001-08-31 2009-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吸気マニホールド
ITBO20010761A1 (it) * 2001-12-14 2003-06-16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Collettore di aspirazione per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provvisto di ricircolo dei gas di scarico
JP2003193919A (ja) * 2001-12-21 2003-07-09 Suzuki Motor Corp 傾斜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03269271A (ja) * 2002-03-12 2003-09-25 Aisan Ind Co Ltd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FR2852060B1 (fr) 2003-03-07 2005-05-06 Renault Sa Repartiteur d'admission d'air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FR2868132B1 (fr) * 2004-03-26 2009-02-27 Mann & Hummel Gmbh Installation d'admission de moteur a combustion interne
FR2894296B1 (fr) * 2005-12-01 2008-01-04 Renault Sas Repartiteur d'air d'alimentation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709A (ko) * 2003-05-10 2004-11-17 박진우 디젤엔진용 흡기관
KR20040097417A (ko) * 2003-05-12 2004-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흡기 장치
KR20040110125A (ko) * 2003-06-18 2004-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흡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94297B1 (fr) 2008-01-04
FR2894297A1 (fr) 2007-06-08
ES2354226T3 (es) 2011-03-11
EP1957787A1 (fr) 2008-08-20
JP2009517596A (ja) 2009-04-30
CN101356360B (zh) 2012-01-25
US20080276894A1 (en) 2008-11-13
KR20080079663A (ko) 2008-09-01
DE602006018353D1 (de) 2010-12-30
ATE488687T1 (de) 2010-12-15
EP1957787B1 (fr) 2010-11-17
US7926460B2 (en) 2011-04-19
WO2007063238A1 (fr) 2007-06-07
CN101356360A (zh) 2009-01-28
JP4896154B2 (ja)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870B1 (ko) 내연 기관 엔진을 위한 공기 공급 분배기
US7051702B2 (en) Intake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874465B2 (en) Engine intake apparatus
US6478008B2 (en) Piston-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subdivided gas-intake port
US6918372B2 (en) Intake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731607B2 (en) Air intake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50020781A1 (en) Engine Inlet For EGR-Air Flow Distribution
JP2007113482A (ja) 樹脂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US20200263642A1 (en) Cobra head air intake ports and intake manifolds
US20100037853A1 (en) Intake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40086797A (ko) 내연 기관용 흡기 장치
US7607412B2 (en) Air supply distribu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09855939U (zh) 带egr进气的发动机进气歧管总成
JP3329935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6553954B1 (en) Compact intake manifold with long runners for six-cylinder in-line engines
US11306690B2 (en) EGR gas distributor
JPH022934Y2 (ko)
KR101063168B1 (ko) 대형 엔진의 일체형 인테이크 매니폴드
JPH0160668B2 (ko)
JP2802308B2 (ja) 4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S60224965A (ja)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07239708A (ja) 内燃機関の排気ポート構造
JPS6210421A (ja)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51555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3107526A (ja) エンジンの吸気ポ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