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092B1 -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092B1
KR101320092B1 KR1020130043569A KR20130043569A KR101320092B1 KR 101320092 B1 KR101320092 B1 KR 101320092B1 KR 1020130043569 A KR1020130043569 A KR 1020130043569A KR 20130043569 A KR20130043569 A KR 20130043569A KR 101320092 B1 KR101320092 B1 KR 101320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lock
main block
main
wal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천
배성조
Original Assignee
배성조
나라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조, 나라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성조
Priority to KR1020130043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092B1/ko
Priority to CN201480022182.0A priority patent/CN105229245B/zh
Priority to PCT/KR2014/001739 priority patent/WO20141716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6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32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and grooves
    • E04B2002/0234Angular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52Dovetail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일렬로 연결되는 메인블록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이루는 건축물의 벽면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은, 양측단부에 걸림홈을 갖추고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중앙홈과, 내측단부에 걸림홈을 갖추고 상기 메인블록의 양측면에 각각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측면홈을 구비하고; 양측단부에는 상기 중앙홈 및 측면홈의 걸림홈에 맞물리도록 걸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앙홈 또는 측면홈에 하단 일부가 삽입되어 하층부의 메인블록과 상층부의 메인블록을 결속하는 연결블록; 및 상기 연결블록을 관통해 일렬로 연결하는 횡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Method for constructing of wall and wall structure threrof}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등의 벽면구조물은 통상적으로 동일한 규격의 블록이 엇쌓기로 축조돼 이루어진다. 특히 실내외 방음 및 방한 등을 목적으로 제작되는 블록은 상대적으로 규격이 크고, 가열 공기의 저장을 통한 보온을 위해 중공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건축물 전용 블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공을 갖추고 상대적으로 규격이 큰 구조를 이루므로 비중이 작아지는 단점이 있다. 즉,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붕괴하거나, 상호 결속 간의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블록 간에 시멘트 등과 같은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접착시키는 공법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상기 공법은 단순히 블록과 블록을 접착시키는 것에 불과하므로, 외부 충격시 부분적인 파손이 쉽게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한 벽면구조물의 붕괴 가능성은 여전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음 및 방한 등을 목적으로 축조되는 벽면의 견고함과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렬로 연결되는 메인블록이 다층으로 적층돼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벽면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은, 양측단부에 걸림홈을 갖추고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중앙홈과, 내측단부에 걸림홈을 갖추고 상기 메인블록의 양측면에 각각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측면홈을 구비하고;
양측단부에는 상기 중앙홈 및 측면홈의 걸림홈과 맞물리는 걸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앙홈 또는 측면홈에 하단 일부가 삽입되어 하층부의 메인블록과 상층부의 메인블록을 결속하는 연결블록; 및
상기 연결블록을 관통해 일렬로 연결하는 횡대;
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의 벽면구조물이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단부에 걸림홈을 갖추고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중앙홈과, 내측단부에 걸림홈을 갖추고 상기 메인블록의 양측면에 각각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측면홈을 구비한 메인블록;을 일렬로 연결해서 하층부를 이루는 하층부 적층단계,
양측단부에는 상기 중앙홈 및 측면홈의 걸림홈과 맞물리는 걸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된 연결블록을, 상기 연결블록을 관통하는 횡대를 매개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블록의 하단 일부를 상기 하층부의 메인블록 내 중앙홈 또는 측면홈에 각각 삽입하는 연결블록 적층단계; 및
메인블록의 중앙홈 또는 측면홈으로 상기 연결블록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도록, 메인블록을 상기 하층부의 메인블록 상면에 적층하는 상층부 적층단계;
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블록의 적층을 통해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벽면이 견고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안정성과 방음 및 방한 등의 보강효율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을 이루는 블록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을 이루는 메인블록의 적층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정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다른 시공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에 보강패널이 보강되는 제1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에 보강패널이 보강되는 제2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에 메인블록과 연결블록의 다른 결합 모습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을 이루는 블록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은 다수의 메인블록(10)이 적층돼 이루어지되, 상하좌우로 서로 이웃하는 메인블록(10)은 연결블록(20, 20', 20")을 매개로 결속된다. 여기서, 동일한 층에 위치한 다수의 연결블록(20, 20', 20")은 횡대(30)에 의해 서로 결속되고, 상하로 적층된 메인블록(10)은 종대(40)에 의해 서로 결속된다.
메인블록(10)은 상하로 개구된 중공을 이루도록 형성된 중앙홈(11)과, 양측면에 각각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측면홈(12, 12')을 포함한다. 중앙홈(11)과 측면홈(12, 12')은 도시한 바와 같이 측단부에 걸림홈(11a, 12a)이 각각 형성된다. 즉, 중앙홈(11)은 양측단부에 각각 걸림홈(11a)이 형성되고, 측면홈(12, 12')은 내측단부에 걸림홈(12a)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블록(10)의 평면에서 본 중앙홈(11)은 양단이 각각 확장된 아령 형상을 이루고, 측면홈(12, 12')은 중앙홈(11)의 절반 형상을 이룬다. 결국, 서로 이웃하는 메인블록(10)이 접하면, 서로 대칭하게 마주한 측면홈(12, 12')은 중앙홈(11)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중앙홈(11)이 메인블록(10)의 상면 중앙에 하나만 형성된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측면홈(12, 12') 사이에 일렬로 배치된다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중앙홈(11)과 측면홈(12, 12') 사이에는 상하로 개구된 관통공(13)이 형성된다. 관통공(13)은 바아(bar) 형상의 종대(40)가 관통하도록 삽입되어서, 상하로 적층된 메인블록(10)이 종대(40)에 의해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한다.
중앙홈(11)과 측면홈(12, 12') 사이에는 관통공(13)과 간섭하지 않도록 안착홈(14)이 형성된다. 안착홈(14)은 연결블록(20, 20', 20")을 관통 및 연결하는 바아(bar) 형상의 횡대(30)를 수용하는 곳으로서, 상하로 적층된 메인블록(10)이 횡대(30)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한다.
연결블록(20, 20', 20")은 중앙홈(11)과 측면홈(12, 12')에 삽입되는 형상으로서, 걸림홈(11a, 12a)과의 맞물림을 위한 걸림돌기(21)가 양측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서 아령 형상을 이룬다. 결국, 메인블록(10)이 서로 이웃하면서 측면홈(12, 12')이 완전한 아령 형상을 이루면, 연결블록(20, 20', 20")은 해당 측면홈(12, 12')에 맞물리면서 걸림돌기(21)가 측면홈(12, 12')의 걸림홈(12a)에 걸리고, 이를 통해 좌우로 이웃하는 한 쌍의 메인블록(10)은 하나의 연결블록(20, 20', 20")에 의해 서로 결속된다.
한편, 연결블록(20, 20', 20")은 횡대(30)가 관통하면서 다수 개가 일렬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블록(20, 20', 20")을 관통하는 횡대(30)는 연결블록(20, 20', 20")의 측면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되며, 이를 통해 메인블록(10) 상면에 위치되는 연결블록(20, 20', 20")은 횡대(30)가 메인블록(10) 상면에 걸리면서 중앙홈(11)과 측면홈(12, 12')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결국, 연결블록(20, 20', 20")은 횡대(30)를 기준으로 그 하단은 하층부에 위치한 메인블록(10)의 중앙홈(11) 및 측면홈(12, 12')에 각각 삽입되고, 그 상단은 상층부에 위치한 메인블록의 중앙홈(11) 및 측면홈(12, 12')에 각각 삽입된다. 참고로, 횡대(30)는 메인블록(10)의 안착홈(14)에 삽입되고, 이를 통해 횡대(30)가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횡대(30)는 연결블록(20, 20', 20")을 관통하면서 일렬로 연결하는 바아(bar) 형상으로서, 철근 재질일 수도 있고, 로프 재질일 수도 있다.
종대(40)는 메인블록(10)의 관통공(13)을 관통하면서 상하로 적층된 메인블록(10)을 결속시키는 것으로서, 벽면구조물의 견고한 지지를 위해 철근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을 이루는 메인블록의 적층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정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시공 과정을 순차 설명한다.
(1) 하층부 적층단계
하층부(F)를 구성하는 메인블록(10, 10')을 일렬로 배치한다.
여기서, 메인블록(10, 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치된 중앙홈(11)과 측면홈(12, 12')을 갖추고 있는데, 서로 이웃하는 메인블록(10, 10')의 각 측면홈(12, 12')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한다. 결국, 메인블록(10, 10')을 일렬로 배치하면, 중앙홈(11)과 측면홈(12, 12')은 모두가 동일한 아령 형상을 이루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2) 연결블록 결속단계
횡대(30)에 의해 일렬로 연결된 다수의 연결블록(20, 20', 20")을 메인블록(10, 10')의 중앙홈(11) 및 측면홈(12, 12')에 각각 삽입되도록 안착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은 연결블록(20, 20', 20")이 횡대(3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연결블록(20, 20', 20")이 중앙홈(11) 및 측면홈(12, 12')에 각각 삽입될 경우 횡대(30)는 메인블록(10, 10')의 상면에 걸리게 되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블록(20, 20', 20")은 상단이 상방으로 돌출된다.
한편, 연결블록(20, 20', 20")은 양단이 각각 확장되어 걸림돌기(21)를 구비한 아령 형상을 이루고, 중앙홈(11) 및 측면홈(12, 12')의 측단부에는 걸림돌기(21)에 상응하는 걸림홈(11a, 12a)이 형성되므로, 이웃하는 메인블록(10, 10')은 연결블록(20, 20', 20")에 의해 상호 결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블록(10, 10')의 중공은 공기층을 형성시켜서 건물의 실내외 보온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므로, 원활한 공기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그런데, 중앙홈(11) 및 측면홈(12, 12')은 연결블록(20, 20', 20")에 의해 밀폐되므로, 메인블록(10, 10')의 중공 내 공기는 원활한 순환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은 연결블록(20, 20', 20")의 중앙부 폭을 중앙홈(11) 및 측면홈(12, 12')의 중앙부 폭보다 좁게 해서, 해당 간극을 통해 통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연결블록(20, 20', 20")을 연결하는 횡대(30)는 철근 재질로 되어서, 연결블록(20, 20', 20")이 위치 변동 없이 제 위치를 유지하며 메인블록(10, 10', 10")과 결속할 수 있도록 한다.
(3) 종대 삽입단계
메인블록(10, 10')의 관통공(13)에 종대(40)가 입설되도록 삽입한다. 여기서, 종대(40)는 벽면구조물의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일 수도 있고, 상하로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블록만을 연결할 수 있는 길이일 수도 있다.
입설된 종대(40)는 해당 층상에 적층되는 메인블록(10")의 배치 위치를 안내하는 기능은 물론 상하로 이웃하는 메인블록을 서로 결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4) 상층부 적층단계
상층부(F')를 구성하는 메인블록(10")을 하층부(F)를 구성하는 메인블록(10, 10') 상에 일렬로 배치되도록 적층한다. 이때, 상층부(F')를 구성하는 메인블록(10")은 하층부(F)를 구성하는 메인블록(10, 10')과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되며, 이를 통해 해당 벽면구조물은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층부(F')를 구성하는 메인블록(10")은 하층부(F)를 구성하는 메인블록(10, 10')의 종대(40)에 안내되어 적층되고, 해당 방향은 엇쌓기 방향이므로 메인블록(10, 10', 10")은 상하좌우가 서로 긴밀하게 결속되는 구조를 이룬다.
계속해서, 상층부(F')를 구성하는 메인블록(10")은 하방으로 개구된 중앙홈(11)과 측면홈(12, 12')을 포함하고, 하층부(F)를 구성하는 메인블록(10, 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안착된 연결블록(20, 20', 20")은 상층부(F')를 구성하는 메인블록(10")의 중앙홈(11)과 측면홈(12, 12')에 각각 삽입된다. 결국, 엇쌓기로 적층된 메인블록(10, 10', 10")은 종대(40)와 더불어 연결블록(20, 20', 20")을 매개로 긴밀하게 결속되는 구조를 이룬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다른 시공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하층부(F) 메인블록(10, 10')과 상층부(F') 메인블록(10")을 서로 결속시키는 수단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블록(20, 20', 20")과 종대(40)가 있다. 그런데, 메인블록(10, 10', 10")은 콘크리트 재질이고, 연결블록(20, 20', 20") 또한 콘크리트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메인블록(10, 10', 10")과 연결블록(20, 20', 20") 간의 정밀한 결속에는 한계가 있다. 물론, 종대(40)에 의해 메인블록(10, 10', 10")이 단단히 결속하지만, 이웃하는 메인블록(10, 10', 10") 간의 틈새 발생은 불가피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서는 상기 상층부 적층단계 이전에, 하층부 메인블록 상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시멘트 모르타르 도포단계를 더 포함한다.
시멘트 모르타르 도포단계는 상층부(F')를 구성하는 메인블록(10")과, 하층부(F)를 구성하는 메인블록(10, 10')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해서, 이를 매개로 메인블록(10, 10', 10")이 서로 접합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메인블록(10, 10', 10")은 틈새 발생 없이 정밀한 결속을 이룰 수 있다.
그런데, 벽면구조물 시공과정 중, 시멘트 모르타르는 하층부(F)를 구성하는 메인블록(10, 10', 10")의 상면에 도포된다. 즉, 메인블록(10, 10') 상면으로 돌출된 연결블록(20, 20', 20")을 피해서 상층부 메인블록(10")이 접하는 부분에만 시멘트 모르타르의 도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결국, 작업자는 돌출된 연결블록(20, 20', 20")을 피해서 일정량의 시멘트 모르타르를 하층부 메인블록(10, 10')의 일부분에 도포해야 하므로, 상면 전체에 일괄적으로 도포하면 충분했던 종래 도포 작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업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서는 연결블록(20, 20', 20")을 연결하는 횡대(30)를 로프 재질로 한다. 따라서, 횡대(30)의 장력이 이완되도록 조절하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블록(20, 20', 20")이 자체 하중에 의해서 중앙홈(11)과 측면홈(12, 12')으로 인입된다.
작업자는 연결블록(20, 20', 20")이 중앙홈(11)과 측면홈(12, 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블록(10, 10') 상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한다. 해당 작업 중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블록(20, 20', 20")은 메인블록(10, 10')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연결블록(20, 20', 20")에 의한 간섭없이 원활히 도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자의 도포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로프 재질의 횡대(30)를 당겨서 장력을 가하고, 이를 통해 중앙홈(11)과 측면홈(12, 12')으로 인입된 연결블록(20, 20', 20")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블록(10, 1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물론, 횡대(30)는 해당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되고, 이를 통해 연결블록(20, 20', 20")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에 보강패널이 보강되는 제1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은 건축물의 벽면을 이루므로, 실내 보온 등을 위해 단열재 등과 같은 보강패널(60)이 장착된다. 상기 벽면구조물은 보강패널(60)이 안정적으로 고정됨은 물론 움직임을 최소화해서 보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보강패널(60)을 벽면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링커(50)를 더 포함한다. 링커(50)는 메인블록(10)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는 'E' 형상의 고리로서, 제1홈(50a)은 중앙홈(11)을 경계하는 메인블록의 전면 상단에 걸리고, 제2홈(50b)은 보강패널(60)을 수용한다. 여기서, 제1홈(50a)이 걸리는 상기 메인블록의 전면 상단에는 고정홈(15)이 형성되어서, 링커(50)가 흔들림없이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홈(50b)으로 삽입된 보강패널(60)이 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볼트 또는 핀과 같은 고정수단(51)이 제2홈(50b)으로 관통하도록 되어서, 제2홈(50b)에 삽입된 보강패널(60)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의 링커(50)는 벽면구조물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메인블록(10)에 배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에 보강패널이 보강되는 제2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링커(50')가 'ㄷ' 형상의 고리로서, 제1홈(50a)은 중앙홈(11)을 경계하는 메인블록의 전면 상단에 걸리고, 제1홈(50a)의 전면에는 앵커(5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링커(50')는 상기 벽면구조물 곳곳에 위치되도록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벽면구조물 곳곳에는 앵커(52)가 돌출된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보강패널(60)을 상기 벽면구조물에 강제 밀착시킴으로써 상호 결속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보강패널(60)에 대한 시공이 용이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에 메인블록과 연결블록의 다른 결합 모습을 도시한 정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은 안착홈(14')이 일정 곡률을 갖도록 볼록하게 형성되고, 연결블록(20, 20', 20")의 횡대(30)가 삽입되는 인입홈(22)은 일정 곡률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결국, 연결블록(20, 20', 20")을 관통하면서 메인블록(10, 10')에 안착된 횡대(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규칙으로 파동 형태를 이루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홈(11)과 측면홈(12, 12')에 삽입된 연결블록(20, 20', 20")은 자중에 의해 지속적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연결블록(20, 20', 20")을 연결하는 횡대(30)는 연결블록(20, 20', 20")과 안착홈의 경계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힘을 받게 되고, 횡대(30)가 로프 재질인 경우 그 뒤틀림은 더욱 심해진다. 따라서, 본 안착홈(14')과 인입홈(22)을 곡률이 형성된 볼록 및 오목 형상으로 성형해서, 로프 재질의 횡대(30)가 상기 경계 부분에서도 뒤틀림 없이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된 장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벽면구조물이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0',10"; 메인블록 11; 중앙홈 12,12'; 측면홈
13; 관통공 14,14'; 안착홈 15; 고정홈
20,20',20"; 연결블록 21; 결림돌기 30; 횡대
40; 종대 50,50'; 링커 51; 고정수단
52;앵커 60;보강패널

Claims (10)

  1. 일렬로 연결되는 메인블록이 다층으로 적층돼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벽면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은, 양측단부에 걸림홈을 갖추고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중앙홈과, 내측단부에 걸림홈을 갖추고 상기 메인블록의 양측면에 각각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측면홈을 구비하고;
    양측단부에는 상기 중앙홈 및 측면홈의 걸림홈과 맞물리는 걸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앙홈 또는 측면홈에 하단 일부가 삽입되어 하층부의 메인블록과 상층부의 메인블록을 결속하는 연결블록; 및
    상기 연결블록을 관통해 일렬로 연결하는 횡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의 메인블록과 하층부의 메인블록을 관통해 연결하는 종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대는 로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홈과 측면홈 사이의 상기 메인블록 상면에는 상기 횡대를 수용하되 일정 곡률을 갖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안착홈을 갖추고;
    상기 횡대가 관통하는 상기 연결블록의 인입홀은 일정 곡률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홈을 경계하는 상기 메인블록의 전면 상단에 걸리도록 형성된 제1홈과, 보강패널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제2홈을 갖는 'E' 형상의 링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홈을 경계하는 상기 메인블록의 전면 상단에 걸리도록 형성된 제1홈과, 보강패널이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된 앵커를 갖는 'ㄷ' 형상의 링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구조물.
  7. 양측단부에 걸림홈을 갖추고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중앙홈과, 내측단부에 걸림홈을 갖추고 양측면에서 각각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측면홈을 구비한 메인블록;을 일렬로 연결해서 하층부를 이루는 하층부 적층단계,
    양측단부에는 상기 중앙홈 및 측면홈의 걸림홈과 맞물리는 걸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된 연결블록을, 상기 연결블록을 관통하는 횡대를 매개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블록의 하단 일부를 상기 하층부의 메인블록 내 중앙홈 또는 측면홈에 각각 삽입하는 연결블록 적층단계; 및
    메인블록의 중앙홈 또는 측면홈으로 상기 연결블록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도록, 메인블록을 상기 하층부의 메인블록 상면에 적층하는 상층부 적층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 적층단계 이전에, 상기 하층부의 메인블록에 종대가 입설되도록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 적층단계와 상층부 적층단계 사이에,
    상기 하층부의 메인블록 상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도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횡대는 로프 재질이고;
    상기 도포단계는, 상기 횡대의 장력이 이완되도록 조정해서 상기 연결블록이 해당 중앙홈 및 측면홈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연결블록이 상기 중앙홈 및 측면홈으로 인입된 상기 하층부의 메인블록 상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제2단계와, 상기 횡대의 장력을 조정해서 상기 연결블록이 상기 하층부의 메인블록 상면에 돌출되도록 하는 제3단계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
KR1020130043569A 2013-04-19 2013-04-19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 KR101320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569A KR101320092B1 (ko) 2013-04-19 2013-04-19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
CN201480022182.0A CN105229245B (zh) 2013-04-19 2014-03-04 建筑物的墙面施工方法及墙面结构物
PCT/KR2014/001739 WO2014171628A1 (ko) 2013-04-19 2014-03-04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569A KR101320092B1 (ko) 2013-04-19 2013-04-19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092B1 true KR101320092B1 (ko) 2013-10-18

Family

ID=4963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569A KR101320092B1 (ko) 2013-04-19 2013-04-19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20092B1 (ko)
CN (1) CN105229245B (ko)
WO (1) WO201417162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805B1 (ko) 2013-12-11 2014-08-26 유정환 건축물의 벽체구조
KR101644180B1 (ko) * 2015-10-23 2016-07-29 연성환 건물 벽체
KR20190070747A (ko) * 2017-12-13 2019-06-21 나라앤텍 주식회사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68890C1 (ru) * 2017-09-14 2018-10-04 Нара Энд Тек Ко., Лтд. Сейсмостойкий блок сейсмоизолирующего типа и сейсмостойкая структура, в которой он используется
CN107574928A (zh) * 2017-10-10 2018-01-12 扬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中柱与穿梁节点榫卯结构及其安装方法
CN107630507A (zh) * 2017-10-10 2018-01-26 扬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中柱与穿梁节点榫卯结构及其安装方法
CN113914505A (zh) * 2021-09-28 2022-01-11 山西四建集团有限公司 钢砖组合镂空屏风串珠式施工方法及其制造的镂空屏风
CN115182480A (zh) * 2022-07-22 2022-10-14 山东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节能建筑墙体连接构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70Y2 (ja) * 1989-05-16 1994-08-03 太陽セメント工業株式会社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H0921199A (ja) * 1995-07-07 1997-01-21 Taisuke Matsufuji ブロック組積構造
JP2007177595A (ja) 2005-12-26 2007-07-12 Shiro Nozaki 横補強筋据え付け連結ブロック
JP4619290B2 (ja) 2003-07-24 2011-01-26 タマホーム 株式会社 建築用ブロック、これを用いた建築用パネルおよび建築用パネル形成工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6567A (en) * 1986-09-16 1988-02-23 Greenberg Harold H Masonry fence system
GB2268949B (en) * 1992-07-25 1996-03-06 Larratt Pepper Building wall
CN1226500C (zh) * 2003-06-27 2005-11-09 太原理工大学 组合式集成块及使用方法
CN201040891Y (zh) * 2006-11-06 2008-03-26 李志国 燕尾咬接组合码砖
CN201730225U (zh) * 2010-04-30 2011-02-02 四川善晟建筑智能化工程有限公司 用于建造平面结构的建筑砌块
MY154355A (en) * 2010-05-12 2015-05-29 Innovative Precast Builders Sdn Bhd Concrete hollow modules for a wall or room construction
CN201883594U (zh) * 2010-10-26 2011-06-29 茅金声 可防止砌缝开裂的异形砌块
CN102691361A (zh) * 2012-06-01 2012-09-26 苏州金楠新能源墙体工程有限公司 一种环保型外墙体及其建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70Y2 (ja) * 1989-05-16 1994-08-03 太陽セメント工業株式会社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H0921199A (ja) * 1995-07-07 1997-01-21 Taisuke Matsufuji ブロック組積構造
JP4619290B2 (ja) 2003-07-24 2011-01-26 タマホーム 株式会社 建築用ブロック、これを用いた建築用パネルおよび建築用パネル形成工法
JP2007177595A (ja) 2005-12-26 2007-07-12 Shiro Nozaki 横補強筋据え付け連結ブロッ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805B1 (ko) 2013-12-11 2014-08-26 유정환 건축물의 벽체구조
KR101644180B1 (ko) * 2015-10-23 2016-07-29 연성환 건물 벽체
KR20190070747A (ko) * 2017-12-13 2019-06-21 나라앤텍 주식회사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
KR102042748B1 (ko) * 2017-12-13 2019-11-08 나라앤텍 주식회사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29245A (zh) 2016-01-06
WO2014171628A1 (ko) 2014-10-23
CN105229245B (zh)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092B1 (ko)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
JP7179830B2 (ja) 建造物を作製するためのモジュラシステム、モジュールコネクタ、およびモジュラシステムを備える建造物
CA2900237A1 (en) Form board and method of constructing form using the same
JP7085382B2 (ja) 乾式床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0521647B1 (ko) 거푸집 겸용 건축용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JP2015535315A (ja) Hバー、並びにこのhバー及び非金属製せき板を用いた型枠設置方法
KR101598692B1 (ko) 경량블럭을 이용한 단열과 방음기능이 개선된 벽체구조
KR101447360B1 (ko) 결합 채널을 이용한 에이엘씨 패널 횡벽 설치방법
KR101261233B1 (ko) 거푸집 간격유지용 걸고리 타이
KR101222320B1 (ko)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1393215B1 (ko) 횡벽 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KR20080025107A (ko) 개량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63580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の接合方法
KR20180094673A (ko)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420848A (zh) 鋼筋混凝土牆版之鋼筋結構及其工法
KR100926148B1 (ko)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 연결구
RU2422603C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перекрытия
KR101677233B1 (ko)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3172859U (ja) プラスチック型枠構造
JP6573490B2 (ja) 建物
JP3683033B2 (ja) コンクリート壁の鉄筋組構造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壁の構築工法
RU2392394C2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опалубочный блок рядовой
KR10260669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공 형성 구조물
JP6050094B2 (ja) 柱・梁接合部の補強工法
KR20110103632A (ko) 건식벽체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