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747A -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747A
KR20190070747A KR1020170171580A KR20170171580A KR20190070747A KR 20190070747 A KR20190070747 A KR 20190070747A KR 1020170171580 A KR1020170171580 A KR 1020170171580A KR 20170171580 A KR20170171580 A KR 20170171580A KR 20190070747 A KR20190070747 A KR 20190070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le
earthquake
seismic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748B1 (ko
Inventor
정재천
김봉석
황언주
이중원
Original Assignee
나라앤텍 주식회사
신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라앤텍 주식회사, 신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나라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1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7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벽면의 내진성과 내구성을 높이는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내진블록을 구성하는 메인블록이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으로 삽입해 맞물리는 키블록이 상,하층의 메인블록을 서로 결속하는 구조의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다면체 형상의 내진블록에 있어서, 상기 내진블록의 중앙에는 상하로 통공하는 중앙구멍이 형성되고, 각 측면에는 상하로 통공하며 측방으로 개구된 결속홈이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EARTHQUAKE-RESISTANCE BLOCK AND WALL ASSEMBLY}
본 발명은 건축물 벽면의 내진성과 내구성을 높이는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내진블록을 구성하는 메인블록이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으로 삽입해 맞물리는 키블록이 상,하층의 메인블록을 서로 결속하는 구조의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중국, 러시아 등을 포함하는 유라시아판의 동쪽 가장자리 내륙에 위치하고 있어, 환태평양 지진대에 위치하는 주변국보다는 지진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최근에 지진의 발생빈도가 높아지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지진을 관측한 것은 1905년부터이나, 체계적인 지진 관측을 한 것은 1978년부터이며 1978년부터 2006년까지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은 총 728회로서 연평균 24회 정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건축법에 내진관련 규정을 적용한 이래 내진 관련 규정을 수정하여 왔으며 2005년 내진 관련 규정을 현실화 및 강화하여 개정하였다.
이러한 내진설계규정은 신축 구조물에 적용되고 있으므로, 내진설계규정의 도입 이전에 건설된 구조물은 지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설계, 시공되었을 뿐만 아니라 공용 연수의 증가에 따라 열화 손상이 많이 진행되어 내진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것으로 사료된다.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구조물의 비율은 전체 구조물 대비 약 80%로 상당히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구조물에 예상치 못한 지진이 발생할 경우 붕괴 및 파손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재건설에 따른 경제, 사회적 손실을 막대할 것을 예상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내진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블록과 내진공법이 발명되었다. 그러나 종래 내진블록은 상하좌우로 이웃하는 블록들 간에 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매개체가 블록과 블록을 잇는 철근이 전부이므로, 지진이나 기타 외력 등에 의한 블록의 진동 발생 시에 철근이 블록과의 접촉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해서 해당 부위를 파손하고, 이를 통해 일정 시간 이후에는 블록들 간에 결속력이 급격히 약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결국, 종래 내진블록과 내진공법은 내구성에 한계가 있었고, 시공 과정에도 철근시공 공정과 블록 축조 공정이 별도로 진행되어야 하므로, 완공 이후는 물론 시공 상에도 많은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1429894호(2014.08.13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블록을 적층하면서 블록 간의 내진 강화를 위한 결속 작업을 동시해 진행할 수 있고, 블록에 맞춰 맞쌓기와 엇쌓기가 모두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내진 강화와 함께 단열 효율성도 개선할 수 있는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면체 형상의 내진블록에 있어서,
상기 내진블록의 중앙에는 상하로 통공하는 중앙구멍이 형성되고, 각 측면에는 상하로 통공하며 측방으로 개구된 결속홈이 형성된 내진블록이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횡형 홀과, 상기 제1횡형 홀의 일단 또는 양단 각각과 연통하게 형성되는 제1종형 홀로 구성되며, 중앙에 상하로 통공하도록 형성된 된 중앙구멍; 상기 중앙구멍의 2분할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결속홈이 측면에 상하로 통공하며 측방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된 된 결속홈;을 포함하는 다면체 형상의 내진블록이; 각각 상하좌우로 각각 적층해 접합되고; 상기 제1횡형 홀에 상응하는 형상인 횡부와, 상기 제2횡형 홀에 상응하는 형상인 종부로 구성된 연결블록이; 서로 접합된 상기 내진블록의 중앙구멍 및 결속홈에 각각 맞물려서 다수의 내진블록을 상호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벽면 어셈블리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블록을 적층하면서 블록 간의 내진 강화를 위한 결속 작업을 동시해 진행할 수 있고, 블록에 맞춰 맞쌓기와 엇쌓기가 모두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내진 강화와 함께 단열 효율성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내력과 지진과 같은 횡력에 대해 내진저항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의 제1실시 예가 적층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인 내진블록이 적층되어 이룬 축조물의 모습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의 제2실시 예와 상기 내진블록이 적층되어 이룬 축조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의 제3,4실시 예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의 제1,3실시 예가 2중벽쌓기 구조를 이루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의 제1,3실시 예가 2중벽쌓기 구조를 이루며 단열재가 보강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도면에서 보인 2중벽쌓기 구조의 축조물에 단열재가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을 연결해 고정하는 연결블록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을 연결해 고정하는 연결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내진블록과 연결블록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을 연결해 고정하는 연결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내진블록과 연결블록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의 제1실시 예가 적층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인 내진블록이 적층되어 이룬 축조물의 모습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는, 다면체 형상의 내진블록(100)에 있어서, 내진블록(100)의 중앙에는 상하로 통공하는 중앙구멍(120)이 형성되고, 내진블록(100)의 각 측면에는 상하로 통공하며 측방으로 개구된 결속홈(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중앙구멍(120)은, 제1횡형 홀(121)과, 제1횡형 홀(121)의 일단 또는 양단 각각과 연통하게 형성되는 제1종형 홀(122)로 구성된다. 그리고 결속홈(130)의 횡단면은, 중앙구멍(120)의 2분할 형상과 동일하게 한다. 따라서 2개의 내진블록(100a, 100b; 도 1 참고)을 측면끼리 접하게 맞대면, 내진블록(100) 각각의 결속홈(130, 130')이 일렬로 연통하면서 중앙구멍(120)과 동일한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에서 중앙구멍(120)의 횡단면은 1개의 제1횡형 홀(121)과 2개의 제1종형 홀(122)로 구성된 'H' 형상을 이루고, 결속홈(130)은 'H'의 절반, 즉 제1횡형 홀(121)의 절반 형상인 제2횡형 홀(131)과 제2종형 홀(132)로 구성된 'T'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본 실시의 결속홈(130)은 제2종형 홀(132)이 제2횡형 홀(131)을 통해 개구된 형상인 것이다. 이를 통해 제2횡형 홀(131)의 양측 가장자리는 병목 구조를 이루고, 한 쌍의 걸림턱(133)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다수의 내진블록(100)은 맞쌓기 또는 엇쌓기 공법을 통해 벽면 어셈블리를 이루며, 상하 및 좌우에 위치하는 내진블록(100) 간에 긴밀하고 견고한 연결구조를 유지하도록 서로 이웃한 내진블록(100)을 연결시키는 연결블록(200)을 더 포함한다.
연결블록(200)은, 제1횡형 홀(121)에 상응하는 형상인 횡부(211)와, 제2횡형 홀(131)에 상응하는 형상인 종부(212, 213)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연결블록(200)은 도 1과 같이 'H' 형상의 단면 형태를 이룬다.
본 실시의 벽면 어셈블리는, 중앙에는 상하로 통공하는 중앙구멍(120)이 형성되고, 내진블록(100)의 각 측면에는 상하로 통공하며 측방으로 개구된 결속홈(130)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내진블록(100)이; 각각 상하좌우로 각각 적층해 접합되고; 제1횡형 홀(121)에 상응하는 형상인 횡부(211)와, 제2횡형 홀(131)에 상응하는 형상인 종부(212, 213)로 구성된 연결블록(200)이; 서로 접합된 내진블록(100)의 중앙구멍(120) 및 결속홈(130)에 각각 맞물려서 다수의 내진블록(100)을 상호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내진블록(100a, 100b)의 좌우 측면이 서로 접합하면서 제1 내진블록(100a) 및 제2 내진블록(100b) 각각에 구성된 제1 결속홈(130) 및 제2 결속홈(130')이 서로 연통하고, 이렇게 연통한 제1,2 결속홈(130, 130')은 중앙구멍(120)과 동일한 형상을 이룬다. 계속해서, 이렇게 연통한 제1,2 결속홈(130, 130')으로 제1 연결블록(200a)이 삽입되면서 제1 내진블록(100a)과 제2 내진블록(100b)을 서로 체결한다. 참고로, 본 실시에서 제1 연결블록(200a)은 횡부(211)의 일부와 종부(213)가 제1 내진블록(100a)의 제1 결속홈(130)에 긴밀히 삽입되고, 제1 연결블록(200a)의 횡부(211)에서 남은 일부와 종부(212)가 제2 내진블록(100b)의 제2 결속홈(130')에 긴밀히 삽입된다.
결국, 제1 연결블록(200a)을 매개로, 제1,2 내진블록(100a, 100b)이 견고히 체결된다.
한편, 연결블록(200)은 좌우로 접합한 내진블록(100) 간에 체결은 물론 상하로 적층하며 접합한 내진블록(100) 간에 체결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3 내진블록(100c)은 제1,2 내진블록(100a, 100b)의 상면에 엇쌓기 방식으로 적층된다. 이때, 제3 내진블록(100c)의 제3 중앙구멍(120")은, 서로 연통한 제1,2 결속홈(130, 130')에 맞춰지게 배치되므로, 도 2의 (a)도면과 같이 제3 내진블록(100c)의 제3 중앙구멍(120")과 제1,2 내진블록(100a, 100b) 각각의 제1,2 결속홈(130, 130') 모두와 맞물리는 제2 연결블록(200b)을 매개로, 제1,2,3 내진블록(100a, 100b, 100c)이 일체로 체결되고, 다수의 연결블록(200)이 상하 일렬로 배치된다.
한편, 이러한 내진블록(100)과 연결블록(200) 간에 체결 구조를 통해 벽면 어셈블리가 이루어지므로, 벽면 어셈블리의 최상층과 최하층에는 제2 연결블록(200b)이 돌출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실시의 연결블록(200)은 최상층 및 최하층에만 배치되는 제1,3 연결블록(200a, 200c)을 구성한다. 여기서 제1,3연결블록(200a, 200c)은 좌우에 접합된 내진블록(100)만을 서로 체결하고, 상하로 접합된 내진블록(100)은 체결하지 않는다. 즉, 제1,3 연결블록(200a, 200c)은 최상층 및 최하층을 마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의 제2 연결블록(200b)은 내진블록(100)의 높이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실시의 벽면 어셈블리는, 제2 연결블록(200b)의 절반이 제3 내진블록(100c)의 제3 중앙구멍(120")에 삽입되고, 제2 연결블록(200b)의 남은 절반이 좌우로 접합한 제1,2 내진블록(100a, 100b)의 제1,2 결속홈(130, 130')으로 삽입되는 엇끼움 방식으로 된다. 또한, 제1 연결블록(200a)은 제1,2 결속홈(130, 130')의 남은 일부에 완전히 삽입되고, 제3 연결블록(200c)은 제3 중앙구멍(120")의 남은 일부에 완전히 삽입된다.
하지만 본 실시는 한정하지 않으며, 1개의 제2 연결블록(200b)이 상하로 접합된 3개 이상의 내진블록(100)을 체결할 수도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도 2의 (a)도면은 다수의 내진블록(100)이 엇쌓기 방식으로 벽면 어셈블리를 이룬 것이고, 도 2의 (b)도면은 다수의 내진블록(100)이 맞쌓기 방식으로 벽면 어셈블리를 이룬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의 제2실시 예와 상기 내진블록이 적층되어 이룬 축조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내진블록(300)은 도 3의 (a)도면과 같이, 내진블록(300)이 육면체를 이루고, 4개의 측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측면에만 결속홈(330)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의 (b)도면과 같이, 본 실시의 내진블록(300)으로 조합된 벽면 어셈블리의 벽면은 결속홈(330)이 노출되지 않는 미끈한 평면 형상을 이룬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의 제3,4실시 예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의 제1,3실시 예가 2중벽쌓기 구조를 이루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의 내진블록(400)은 도 1의 내진블록(100)의 가로 폭보다 길게 연장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의 내진블록(400, 500)은 도 1의 내진블록(100)의 2 배로 해서, 1개의 내진블록(400, 500)이 2개의 내진블록(100)을 대체하게 한다.
그러나 본 실시의 내진블록(400, 500)은 가로 폭이 연장되어도 중앙구멍(420, 520)은 도 1의 내진블록(100)의 중앙구멍(120)과 동일한 규격을 이룬다.
본 실시의 내진블록(400, 500)은, 도 4의 (a)도면과 같이 측면 모두에 결속홈(430)이 노출된 형상의 내진블록(400)일 수 있고, 도 4의 (b)도면과 같이 4개의 측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측면에만 결속홈(530)이 노출된 형상의 내진블록(500)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의 벽면 어셈블리는, 동층에서 2열 이상의 내진블록(100, 100', 400, 400')이 병렬로 접합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층에서 병렬로 접합한 내진블록(100, 100', 400, 400') 중 제1열은 전면축조물을 이루고, 제2열은 후면축조물을 이룬다.
또한, 도 5의 (b)도면과 같이 가로 폭이 연장된 내진블록(400, 400')은 동층에서 상호 엇갈리도록 병렬하게 배치되어서, 전면축조물의 내진블록(400)과 후면축조물의 내진블록(400')이 긴밀하게 결속되는 구조를 이룬다.
참고로, 도 5의 (a)도면에서 보인 내진블록(100, 100')은 도 5의 (b)도면의 내진블록(400, 400')과 같이 동층에서 상호 엇갈리도록 병렬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가로 폭이 연장된 내진블록(400, 400')은 병렬 배치 구조에서 견고한 연결구조를 이룰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전면축조물과 후면축조물에 각각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실시 예의 내진블록(300, 500)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축조물의 일면과 후면축조물의 일면은 미끈한 평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의 제1,3실시 예가 2중벽쌓기 구조를 이루며 단열재가 보강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도면에서 보인 2중벽쌓기 구조의 축조물에 단열재가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벽면 어셈블리는, 동층에서 2열 이상의 내진블록(100, 100', 400, 400')이 서로 병렬로 이격하게 배치되고, 상기 내진블록(100, 100', 400, 400')이 이루는 열과 열 사이에 단열재(600)가 배치된다.
또한, 연결블록(200')은, 상기 내진블록(100, 100', 400, 400')의 열들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열의 내진블록(100, 100', 400, 400')을 서로 연결하도록, 횡부(211')가 상기 간격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을 연결해 고정하는 연결블록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의 횡부(211")는, 단열재(600)의 측부가 삽입하여 밀착하도록 측면에 맞물림홈(211a, 211b)이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단열재(600)를 횡부(211")의 맞물림홈(211a, 211b)에 끼워 고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열재(600)는 본 실시의 연결블록(200') 및 내진블록(100, 100', 400, 400')으로 이루어진 벽면 어셈블리 내에 긴밀하게 내설되어서, 실내외 간에 방음은 물론 방풍과 방한과 단열 등을 효과적으로 실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을 연결해 고정하는 연결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내진블록과 연결블록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횡부(211, 211', 211")는, 중앙부가 횡부(211)에 접착하고 양단부가 서로 나란하게 돌출되는 탄성 링커(214, 214')를 더 포함하고; 단열재(600)는 상기 측부가 탄성 링커(214, 214')의 양단부에 접착한다. 결국, 탄성 링커(214, 214')를 매개로 연결블록(200, 200', 200")과 단열재(600)가 일체를 이룬다. 여기서 횡부(211, 211', 211")와 탄성 링커(214, 214')의 중앙부는 일반적인 접착제(S)를 매개로 접착 상태를 유지하고, 탄성 링커(214, 214')의 양단부는 각각 단열재(600)와 접착테이프(S')를 매개로 밀봉한 접착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접착 방식을 통해 단열재(600)와 연결블록(200, 200', 200") 사이를 밀폐시켜서, 방풍과 방한과 방음과 단열 등의 증가를 최소화한다. 참고로 접착테이프(S')의 밀봉한 접착 상태는 단열재(600)와 탄성 링커(214, 214')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상태를 뜻하며, 이를 통해 단열재(600)와 탄성 링커(214, 214') 사이로는 공기의 흐름이 원천 차단된다.
참고로, 이러한 연결구조를 통해 단열재(600)가 온도에 따라 팽창하거나 축소할 때 탄성 링커(214, 214') 역시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연결블록(200, 200', 200")과 단열재(600) 사이의 틈새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탄성 링커(214, 214')는 단열재(60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의 고무판이고, 탄성 링커(214, 214')를 연결블록(200, 200', 200")에 설치하는 작업은 연결블록(200, 200', 200")의 축조와 함께 상기 중앙부를 횡부(211, 211', 211")에 접착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블록을 연결해 고정하는 연결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내진블록과 연결블록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이외에도 본 실시의 단열재(600a, 600b)는 양단에 각각 연결돌기(610, 610')가 형성되고, 연결블록(200)의 횡부(211)의 상단과 하단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는 각각 연결돌기(610, 610')가 관통하는 관통홈(215)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블록(200)을 경계로 해서 일렬 배치되는 단열재(600a, 600b)는 연결돌기(610, 610')가 관통홈(215)을 관통하여 이웃하는 다른 단열재(600a, 600b)의 연결돌기(610, 610')와 접하므로, 단열재(600a, 600b)는 끊김 없이 연속된 연결 구조를 이루고, 이를 통해 벽면 어셈블리의 단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600a, 600b)와 연결블록(200) 간의 결속이 긴밀하므로, 방풍, 방음, 방한 및 단열 기능 또한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서로 이웃하는 연결돌기(610, 610')는 서로 접하고, 연결돌기(610, 610') 간에는 탄성 링커(214, 214')를 매개로 서로 접착한다. 따라서, 전술한 방한과 방열과 단열 및 방풍 등이 기온 변화에도 변함 없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내진블록 120; 중앙구멍 121; 제1횡형 홀
122; 제1종형 홀 130; 결속홈 131; 제2횡형 홀
132; 제2종형 홀 133; 걸림턱
200, 200', 200"; 연결블록
211, 211', 211"; 횡부 212, 213; 종부 214; 탄성 링커

Claims (10)

  1. 다면체 형상의 내진블록에 있어서,
    상기 내진블록의 중앙에는 상하로 통공하는 중앙구멍이 형성되고, 각 측면에는 상하로 통공하며 측방으로 개구된 결속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구멍은, 제1횡형 홀과, 상기 제1횡형 홀의 일단 또는 양단 각각과 연통하게 형성되는 제1종형 홀로 구성되고;
    상기 결속홈의 횡단면은, 상기 중앙구멍의 2분할 형상과 동일한 형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블록.
  3. 제1횡형 홀과, 상기 제1횡형 홀의 일단 또는 양단 각각과 연통하게 형성되는 제1종형 홀로 구성되며, 중앙에 상하로 통공하도록 형성된 된 중앙구멍; 상기 중앙구멍의 2분할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결속홈이 측면에 상하로 통공하며 측방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된 된 결속홈;을 포함하는 다면체 형상의 내진블록이; 각각 상하좌우로 각각 적층해 접합되고; 상기 제1횡형 홀에 상응하는 형상인 횡부와, 상기 제2횡형 홀에 상응하는 형상인 종부로 구성된 연결블록이; 서로 접합된 상기 내진블록의 중앙구멍 및 결속홈에 각각 맞물려서 다수의 내진블록을 상호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블록은 맞쌓기 또는 엇쌓기로 축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블록은 육면체를 이루고, 4개의 측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측면에 상기 결속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어셈블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블록이 동층에서 2열 이상 병렬로 접합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블록은 가로 폭이 연장하게 형성되고, 동층에서 서로 나란하게 병렬로 접합된 내진블록 간에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어셈블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동층에서 2열 이상의 상기 내진블록이 서로 병렬로 이격하게 배치되고, 상기 내진블록이 이루는 열과 열 사이에 단열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횡부는, 상기 단열재의 측부가 삽입하여 밀착하도록 측면에 맞물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어셈블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의 횡부는, 중앙부가 상기 횡부에 접착하고 양단부가 서로 나란하게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탄성 링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측부가 상기 탄성 링커의 양단부에 접착테이프를 매개로 밀봉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어셈블리.
KR1020170171580A 2017-12-13 2017-12-13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 KR102042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580A KR102042748B1 (ko) 2017-12-13 2017-12-13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580A KR102042748B1 (ko) 2017-12-13 2017-12-13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747A true KR20190070747A (ko) 2019-06-21
KR102042748B1 KR102042748B1 (ko) 2019-11-08

Family

ID=6705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580A KR102042748B1 (ko) 2017-12-13 2017-12-13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280B1 (ko) * 2019-12-27 2020-10-13 (주)헤드어반스튜디오 인테리어용 조립식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벽체의 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824Y1 (ko) * 2004-06-23 2004-09-01 김호빈 황토벽돌을 이용한 2중벽 보온 단열구조
KR20100112799A (ko) * 2009-04-10 2010-10-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황토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황토 벽체
KR20130076150A (ko) * 2011-12-28 2013-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결구의 조립에 의한 압출성형 내부칸막이 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20092B1 (ko) * 2013-04-19 2013-10-18 배성조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
KR101429894B1 (ko) 2014-04-30 2014-08-13 석성기업주식회사 건축용 경량콘크리트 블록과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824Y1 (ko) * 2004-06-23 2004-09-01 김호빈 황토벽돌을 이용한 2중벽 보온 단열구조
KR20100112799A (ko) * 2009-04-10 2010-10-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황토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황토 벽체
KR20130076150A (ko) * 2011-12-28 2013-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결구의 조립에 의한 압출성형 내부칸막이 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20092B1 (ko) * 2013-04-19 2013-10-18 배성조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
KR101429894B1 (ko) 2014-04-30 2014-08-13 석성기업주식회사 건축용 경량콘크리트 블록과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280B1 (ko) * 2019-12-27 2020-10-13 (주)헤드어반스튜디오 인테리어용 조립식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벽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748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332B2 (en) Framework connecting device of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KR20120020254A (ko)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KR200438913Y1 (ko) 보강용 브라켓과 내진용 벽돌로 이루어진 내진 벽체 시공용내진용구
KR101560908B1 (ko) 개방형 강구조체의 접합부
KR20130029419A (ko)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KR20190070747A (ko)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
CN112543831A (zh) 箱型建筑物单元及建筑物
JP3187301U (ja) 耐力壁および木造建物
JP2009102940A (ja) 耐震壁
KR101409796B1 (ko) 유닛구조체용 절곡형 기둥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접합부
KR20090104769A (ko) 목조 건물용 벽체 및 목조 건물용 벽체의 조립체
JP2017128981A (ja) 木質合成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622165B1 (ko)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기둥
JP2009155870A (ja) 補強構造
JP7342342B2 (ja) 木質部材の補強構造
JP7304306B2 (ja) 耐震壁
KR20060122539A (ko) 건축용 목조 구조체 및 그 시공공법
KR20230022208A (ko) 공학적 목구조 시스템
KR20220064071A (ko) 프리패브 전단벽모듈 연결구조
JP6830393B2 (ja) 柱梁接合部構造
JP5445791B2 (ja) パネルの接続方法
JP6644367B1 (ja) 耐震壁
KR20080050213A (ko) 건축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단열 거푸집 및 어셈블리 타이
KR20200020560A (ko) 내진용 벽체블록
JP5122781B2 (ja) ユニット建物及びユニット建物用制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