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054B1 - 전동 컴프레서 - Google Patents

전동 컴프레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054B1
KR101319054B1 KR1020117004968A KR20117004968A KR101319054B1 KR 101319054 B1 KR101319054 B1 KR 101319054B1 KR 1020117004968 A KR1020117004968 A KR 1020117004968A KR 20117004968 A KR20117004968 A KR 20117004968A KR 101319054 B1 KR101319054 B1 KR 101319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hermetic terminal
hole
electric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958A (ko
Inventor
가즈오 무라카미
겐지 모치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23694A external-priority patent/JP512015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1003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7/008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for other than working fluid, i.e. the sealing arrangements are not between working chambers of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3Electric connectors or cables; Fittings therefor

Abstract

부품 점수를 삭감시킴과 함께, 기밀 단자의 조립 부착이나 부품 가공에 필요로 하는 공정수 및 시간을 삭감시켜 제조 효율을 향상시킨다.
모터 하우징 (2) 에 형성된 관통공 (2c) 에 기밀 단자 (41) 가 배치되어 있다. 기밀 단자 (41) 의 단자 본체 (42) 에는, 모터 하우징 (2) 내에 배치되는 플랜지부 (42b) 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밀 단자 (41) 가 관통공 (2c) 을 통과하여 외부로 빠지는 것이 저지되고 있다. 또, 기밀 단자 (41) 는 클러스터 블록 (44)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축지지 부재 (21) 에 의해 모터 하우징 (2) 의 내부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Description

전동 컴프레서{ELECTRIC COMPRESSOR}
본 발명은 전동 컴프레서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기밀 단자의 빠짐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내장하는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컴프레서에 있어서,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하우징 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기밀 단자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전동 컴프레서에 의하면, 하우징을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 내에 기밀 단자가 조립 부착된다. 개구는, 하우징의 외부측에 위치하는 대직경부와 내부측에 위치하는 소직경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경계인 숄더부에 기밀 단자가 걸린다. 숄더부와 기밀 단자 사이에는 하우징 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O 링이 형성되어 있으며, O 링을 압축한 상태에서 2 개의 서클립을 장착함으로써 기밀 단자가 고정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28756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전동 컴프레서에서는, 기밀 단자의 조립 부착시에 O 링을 압축한 상태에서 기밀 단자를 유지하면서, 2 개의 서클립을 장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 서클립은 표리 역방향에서의 장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방향의 확인 작업이나 수정 작업도 필요하다. 또한, 하우징의 제조시에 개구의 내주면에 서클립용 홈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도 필요하다. 즉,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전동 컴프레서는, 기밀 단자의 조립 부착이나 부품 가공에 필요로 하는 공정수 및 시간이 많아지기 때문에,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전동 컴프레서와 같이 전동 컴프레서의 하우징에 서클립을 이용하여 기밀 단자를 장착하는 것 이외에, 상기 하우징과 기밀 단자를 볼트로 고정시키는 것도 존재한다. 이 경우도, 기밀 단자의 조립 부착시에 볼트로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 상기 하우징 및 기밀 단자에 볼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관통공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즉, 전동 컴프레서의 하우징에 기밀 단자를 볼트로 고정시키는 경우도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전동 컴프레서와 마찬가지로, 기밀 단자의 조립 부착이나 부품 가공에 많은 공정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부품 점수를 삭감시킴과 함께, 기밀 단자의 조립 부착이나 부품 가공에 필요로 하는 공정수 및 시간을 삭감시켜 제조 효율을 향상시킨 전동 컴프레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 기구부와 구동축을 가지며, 구동축을 개재하여 압축 기구부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압축 기구부 및 전동 모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과, 전동 모터에,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기밀 단자를 구비하는 전동 컴프레서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기밀 단자가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기밀 단자와 하우징 사이에는, 하우징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밀봉 수단이 형성되고, 기밀 단자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통과 저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통과 저지부는, 기밀 단자가 관통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빠지는 것을 저지하며, 기밀 단자는, 기밀 단자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이동 규제 부재에 의해 하우징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 기구부와, 압축 기구부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압축 기구부 및 전동 모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의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전동 모터에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기밀 단자를 구비하는 전동 컴프레서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하우징의 내부측으로 개구되고, 기밀 단자가 배치되는 대직경부, 및 대직경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로 관통하는 소직경부를 갖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기밀 단자는, 관통공의 대직경부와 소직경부의 단차부에 의해 관통공을 통과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빠지는 것이 저지됨과 함께, 기밀 단자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이동 규제 부재에 의해 하우징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컴프레서에 있어서, 부품 점수를 삭감시킴과 함께, 기밀 단자의 조립 부착이나 부품 가공에 필요로 하는 공정수 및 시간을 삭감시켜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2 는 이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에 있어서의 기밀 단자 주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은 이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에 있어서의 기밀 단자 주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IV-IV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에 있어서의 기밀 단자 주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은 이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에 있어서의 기밀 단자 주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에 있어서의 기밀 단자 주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9 는 이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의 기밀 단자 주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 은 이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의 기밀 단자 주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2 는 이 실시형태 5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에 있어서의 기밀 단자 주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에 있어서의 기밀 단자 주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 에, 이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 (1) 를 나타낸다. 또한, 전동 컴프레서 (1) 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도 1 에 나타내는 화살표에 의해 규정한다.
전동 컴프레서 (1) 는 모터 하우징 (2) 을 구비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 (2) 의 전방측 단부에는 프론트 하우징 (3) 이 형성되어 있고, 모터 하우징 (2) 과 프론트 하우징 (3) 이 복수의 볼트 (4) 에 의해 접합되고 있다. 여기서, 모터 하우징 (2) 과 프론트 하우징 (3) 은, 전동 컴프레서 (1) 에 있어서의 하우징을 구성한다. 모터 하우징 (2) 은, 후방측에 저부 (2a) 를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전방측으로 개구되는 공간부 (5) 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 (5) 내에는, 전동 모터 (11), 전동 모터 (11) 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기구부 (31), 및 전동 모터 (11) 와 압축 기구부 (31) 사이에 배치된 축지지 부재 (21) 가 수용되어 있다.
전동 컴프레서 (1) 의 후방측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 (2) 의 저부 (2a) 와 전동 모터 (11) 사이에는 흡입측 공간 IN 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측 공간 IN 과 외부 냉매 회로는, 모터 하우징 (2) 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흡입 포토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다. 한편, 전동 컴프레서 (1) 의 전방측에는, 프론트 하우징 (3) 과 압축 기구부 (31) 의 전방측 단부에 의해 토출측 공간 OUT 이 형성되어 있다. 토출측 공간 OUT 과 외부 냉매 회로는, 프론트 하우징 (3) 에 형성된 토출 포토 (3a) 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다.
또, 모터 하우징 (2) 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평탄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재치부 (2b) 가 형성되어 있다. 재치부 (2b) 상에는, 전동 컴프레서 (1) 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삼상 (三相)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동 모터 (11) 에 공급함과 함께, 전동 모터 (11) 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 (6) 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 (2) 의 상부에는, 인버터 (6) 를 덮는 커버 (7) 가 접합되어 있고, 그 내부에 모터 하우징 (2) 내의 공간부 (5) 로부터 격절 (隔絶) 된 공간인 인버터 수용실 (8) 이 형성되어 있다.
인버터 수용실 (8) 내에 있어서, 인버터 (6) 의 전방측에는 모터 하우징 (2) 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2c) 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 (2c) 에는 기밀 단자 (41) 가 형성되어 있다. 기밀 단자 (41) 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도전 부재 (43) 를 구비하고 있으며, 모터 하우징 (2) 의 외부에 형성된 인버터 (6) 와, 모터 하우징 (2) 의 내부에 형성된 전동 모터 (11) 를 도전 부재 (43) 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기밀 단자 (41) 주변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동 모터 (11) 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로터 (13) 와, 로터 (13) 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코일 (15) 이 권회된 스테이터 (14) 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전동 모터 (11) 는, 로터 (13) 의 내주부를 관통하는 구동축 (12) 을 구비하고 있으며, 로터 (13) 와 구동축 (12) 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구동축 (12) 의 후방측 단부는, 모터 하우징 (2) 의 저부 (2a) 에 끼워 넣어진 베어링 (16)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 (12) 의 전방측 단부는, 축지지 부재 (21) 를 관통함과 함께, 축지지 부재 (21) 에 끼워 넣어진 베어링 (22)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지지 부재 (21) 는, 정육각형으로 형성된 외주면을 갖는 육각 형상부 (21a) (도 4 참조) 와 원통부 (21b) 를 갖는 중공 부재로서, 원통부 (21b) 가 모터 하우징 (2) 에 끼워 넣어져 있다. 여기서, 전동 모터 (11) 는 모터 하우징 (2) 의 외부에 형성된 인버터 (6) 로부터 공급되는 삼상 교류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삼상 동기 (同期) 모터이다.
다음으로, 기밀 단자 (41) 주변의 구조에 대해, 도 2 ∼ 4 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밀 단자 (41) 는, 단자 본체 (42) 와, 단자 본체 (42) 에 형성된 구멍 (42d) 을 관통하는 도전 부재 (43) 를 구비하고 있다. 도전 부재 (43) 의 외주면 (43a) 에 있어서, 단자 본체 (42) 의 구멍 (42d) 내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절연성 접착제 (46) 가 도포되어 있으며, 단자 본체 (42) 와 도전 부재 (43) 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단자 본체 (42) 는 측벽 (42a) 을 가지고 있으며, 모터 하우징 (2) 의 관통공 (2c) 에 삽입되어 있다. 단자 본체 (42) 의 하방측에 있어서, 측벽 (42a) 의 단부는 모터 하우징 (2) 의 내부인 공간부 (5) 내로 돌출됨과 함께 외측으로 넓어져 있으며, 통과 저지부인 플랜지부 (42b) 를 형성하고 있다. 플랜지부 (42b) 는, 관통공 (2c) 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기밀 단자 (41) 가 관통공 (2c) 을 통과하여 외부로 빠지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즉, 기밀 단자 (41) 는 모터 하우징 (2) 의 내주면 (2d) 과 단자 본체 (42) 의 플랜지부 (42b) 가 접촉함으로써, 관통공 (2c) 을 통과하여 외부로 빠지는 것이 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단자 본체 (42) 의 측벽 (42a) 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 (2) 의 관통공 (2c) 내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홈 (42c) 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홈 (42c) 내에는 밀봉 수단으로서의 O 링 (45) 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 (2) 의 관통공 (2c) 과 단자 본체 (42) 의 홈 (42c) 사이에 O 링 (45) 이 협지됨으로써, 모터 하우징 (2) 내부측인 공간부 (5) 와 외부측인 인버터 수용실 (8) 이 시일되어 공간부 (5) 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여기서, 모터 하우징 (2) 의 내부측에서 본 기밀 단자 (41) 를 도 3 에 나타낸다. 기밀 단자 (41) 는 3 개의 도전 부재 (43) 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도전 부재 (43) 는 각각 전동 모터 (11) 의 삼상의 하나에 대응하고 있다. 단자 본체 (42) 는, 직사각형의 양 단변에 반원을 형성한 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3 개의 도전 부재 (43) 는 단자 본체 (42) 의 양단에 있는 반원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 상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 단자 본체 (42) 의 플랜지부 (42b) 는, 단자 본체 (42) 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도 2 로 되돌아가, 기밀 단자 (41) 의 하방에는, 전동 모터 (11) 와 기밀 단자 (41)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클러스터 블록 (44) 이 형성되어 있다. 도전 부재 (43) 의 하방측 단부 (43b) 는, 클러스터 블록 (44) 의 상단면 (44b) 에 형성된 구멍 (44a) 을 관통하여 클러스터 블록 (44) 내로 연장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접속 단자 및 리드선을 개재하여 전동 모터 (1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전 부재 (43) 의 상방측 단부 (43c) 는 인버터 수용실 (8) 내로 연장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리드선을 개재하여 인버터 (6)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축지지 부재 (21) 의 육각 형상부 (21a) 는, 클러스터 블록 (44) 을 사이에 두고 기밀 단자 (41) 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지지 부재 (21) 는 그 육각 형상부 (21a) 의 평탄면 (21c) 과 클러스터 블록 (44) 의 하단면 (44c) 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밀 단자 (41) 의 모터 하우징 (2) 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이동이 클러스터 블록 (44) 을 개재하여 축지지 부재 (21) 에 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축지지 부재 (21) 가 이동 규제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기밀 단자 (41) 는 모터 하우징 (2) 의 내부측으로부터 관통공 (2c) 내에 배치됨과 함께, 모터 하우징 (2) 의 내주면 (2d) 과 단자 본체 (42) 의 플랜지부 (42b) 가 접촉함으로써, 모터 하우징 (2) 의 관통공 (2c) 을 통과하여 외부로 빠지는 것이 저지되고 있다. 또, 기밀 단자 (41) 는 관통공 (2c) 에 대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 4 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도 2 의 하방측으로의 이동은, 클러스터 블록 (44) 을 사이에 두고 기밀 단자 (41) 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축지지 부재 (21) 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기밀 단자 (41) 및 클러스터 블록 (44) 이 모터 하우징 (2) 의 내부로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 로 되돌아가, 축지지 부재 (21) 를 관통한 구동축 (12) 의 전방측 단부에는, 압축 기구부 (31) 가 접속되어 있다. 압축 기구부 (31) 는, 모터 하우징 (2) 에 대해 고정되는 고정 스크롤 (32) 과, 고정 스크롤 (32) 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선회 스크롤 (33) 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축 (12) 의 전방측 선단부에는, 구동축 (12) 의 축 중심선으로부터 편심된 편심부 (12a) 가 형성되어 있으며, 편심부 (12a) 와 선회 스크롤 (33) 이, 선회 스크롤 (33) 의 후부에 끼워 넣어진 베어링 (35) 과 부시 (24) 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축지지 부재 (21) 의 전면 (前面) 에는 핀 (23) 의 일단이 끼워 넣어져 있다. 핀 (23) 의 타단은, 선회 스크롤 (33) 의 후부에 형성된 오목부 (33c) 내에 삽입되어 있고, 선회 스크롤 (33) 의 자전을 방지하고 있다.
고정 스크롤 (32) 은,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랩 (32a) 을 가지고 있으며, 선회 스크롤 (33) 은, 고정 스크롤 (32) 의 고정 랩 (32a) 에 대향하도록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선회 랩 (33a) 을 가지고 있다. 고정 스크롤 (32) 과 선회 스크롤 (33) 사이에는, 고정 랩 (32a) 과 선회 랩 (33a) 에 의해 나누어진 공간인 압축실 (34)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스크롤의 중앙부에는, 토출구 (32b) 와 토출 밸브 (36) 가 형성되어 있으며, 압축실 (34) 과 토출측 공간 OUT 이 토출구 (32b) 및 토출 밸브 (36) 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다. 흡입측 공간 IN 과 압축실 (34) 은, 도시되지 않은 흡입 통로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전동 컴프레서 (1) 에 있어서, 전동 모터 (11) 의 코일 (15) 에 전력이 공급되면, 로터 (13) 와 구동축 (12) 이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구동축 (12) 의 회전에 수반하여 선회 스크롤 (33) 이 선회한다. 선회 스크롤 (33) 이 선회하면, 고정 스크롤 (32) 과 선회 스크롤 (33) 사이에 형성된 압축실 (34) 의 용적이 변화되어, 외부 냉매 회로 내의 냉매가 흡입측 공간 IN 으로부터 압축실 (34) 내로 흡입된다. 압축실 (34) 내에서 압축된 냉매는, 고정 스크롤 (32) 의 토출구 (32b) 및 토출 밸브 (36) 를 개재하여 토출측 공간 OUT 으로 토출되고, 토출 포토 (3a) 를 개재하여 외부 냉매 회로로 토출된다. 토출된 냉매는 외부 냉매 회로 내를 순환하여, 다시 흡입측 공간 IN 으로 흡입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 (1) 에 있어서의 기밀 단자 (41) 의 조립 부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모터 하우징 (2) 내에 전동 모터 (11) 가 삽입된다. 이어서, 기밀 단자 (41) 에 클러스터 블록 (44) 이 장착되고, 기밀 단자 (41) 가 모터 하우징 (2) 의 관통공 (2c) 내에 삽입된다. 기밀 단자 (41) 가 관통공 (2c) 내에 삽입된 후, 축지지 부재 (21) 가 모터 하우징 (2) 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모터 하우징 (2) 의 관통공 (2c) 내에 배치되는 기밀 단자 (41) 에, 모터 하우징 (2) 내에 배치됨과 함께, 기밀 단자 (41) 가 관통공 (2c) 을 통과하여 외부로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플랜지부 (42b) 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전동 컴프레서 (1) 의 작동시에 모터 하우징 (2) 의 내압이 상승해도 기밀 단자 (41) 가 모터 하우징 (2) 의 외부측으로 빠지는 일이 없다. 한편, 모터 하우징 (2) 내에 수용되는 축지지 부재 (21) 를 기밀 단자 (41) 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기밀 단자 (41) 의 모터 하우징 (2) 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였기 때문에, 기밀 단자 (41) 가 모터 하우징 (2) 의 내부측으로 탈락되는 일도 없다. 즉, 기밀 단자 (41) 의 조립 부착시에, 먼저 모터 하우징 (2) 의 내부측으로부터 기밀 단자 (41) 를 관통공 (2c) 내에 배치하고, 이어서 축지지 부재 (21) 를 모터 하우징 (2) 내에 수용하는 것만으로 기밀 단자 (41) 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 기밀 단자 (41) 는 서클립 등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빠짐이 방지되므로, 모터 하우징 (2) 에 고정구용 홈 등을 형성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전동 컴프레서 (1) 에 있어서, 부품 점수를 삭감시킴과 함께, 기밀 단자의 조립 부착이나 부품 가공에 필요로 하는 공정수 및 시간을 삭감시켜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축지지 부재 (21) 를 클러스터 블록 (44) 을 사이에 두고 기밀 단자 (41) 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였기 때문에, 기밀 단자 (41) 가 모터 하우징 (2) 의 내부측으로 탈락되는 것, 및 클러스터 블록 (44) 이 기밀 단자 (41) 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동일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 ∼ 4 의 참조 부호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일한 구성 요소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 (102) 에는, 그 내부측인 공간부 (5) 와, 외부측인 인버터 수용실 (8) 을 연통하는 관통공 (102c) 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 (102c) 내에는 기밀 단자 (51) 가 배치되어 있다. 기밀 단자 (51) 는 단자 본체 (52) 를 가지고 있으며, 단자 본체 (52) 의 측벽 (52a) 이 관통공 (102c) 내에 삽입되어 있다. 단자 본체 (52) 의 하방측에 있어서, 측벽 (52a) 의 단부에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플랜지부 (42b) 와 동일한 플랜지부 (52b) 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본체 (52) 의 전방측에 있어서, 플랜지부 (52b) 의 일부는 절단되어 플랜지부 (52c) 를 형성하고 있다. 플랜지부 (52b) 및 플랜지부 (52c) 는, 외측으로의 돌출량이 서로 상이한 비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자 본체 (52) 의 중심선 C 로부터 플랜지부 (52b) 의 선단부까지가 길이 L1 이 되고, 중심선 C 로부터 플랜지부 (52c) 의 선단부까지가 길이 L1 보다 짧은 길이 L2 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터 하우징 (102) 의 내주면 (102d) 에 있어서, 기밀 단자 (51) 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모터 하우징 (102) 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102e) 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102e) 는, 기밀 단자 (51) 의 플랜지부 (52c) 에 대향하고 있으며, 플랜지부 (52c) 와 돌출부 (102e) 가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즉, 플랜지부 (52b) 가 전방측에 배치되도록 기밀 단자 (51) 를 조립 부착하는 경우, 플랜지부 (52b) 와 돌출부 (102e) 가 접촉하여, 기밀 단자 (51) 가 내주면 (102d) 으로부터 올라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밀 단자 (51) 의 단자 본체 (52) 에 형성된 플랜지부 (52c) 는 오 (誤) 조립 부착 방지부를 구성한다. 그 밖의 구조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 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모터 하우징 (102) 내부에 돌출부 (102e) 를 형성함과 함께, 플랜지부 (52b) 를 그 돌출량이 상이한 비대칭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여 플랜지부 (52c) 를 형성하고, 플랜지부 (52c) 가 돌출부 (102e) 에 대응하도록 배치하였기 때문에, 기밀 단자 (51) 를 잘못된 방향에서 조립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컴프레서의 제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밀 단자 (61) 의 단자 본체 (62) 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길이 D1 을 갖는 측벽 (62a) 은, 그 도중에서 플랜지부 (62c) 에 걸쳐 테이퍼 형상으로 넓어져 있으며, 하단부에 있어서의 길이 D2 를 갖는 테이퍼부 (62b) 를 형성하고 있다. 또, 테이퍼부 (62b) 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길이 D2 는, 모터 하우징 (2) 의 관통공 (2c) 의 길이 d1 (도 7b 참조) 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 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기밀 단자 (61) 의 단자 본체 (62) 에, 모터 하우징 (2) 의 관통공 (2c) 에 끼워 맞춰지는 테이퍼부 (62b) 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밀 단자 (61) 를 관통공 (2c) 에 삽입함에 따라 기밀 단자 (61) 가 관통공 (2c) 에 압입되는 상태가 된다. 최종적으로는, 테이퍼부 (62b) 가 관통공 (2c) 에 끼워 맞춰져 관통공 (2c) 에 대해 기밀 단자 (61) 가 고정된다. 따라서, 기밀 단자 (61) 의 진동이 방지되고, 기밀 단자 (61) 의 진동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접촉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전동 컴프레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에, 이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 (201) 를 나타낸다. 전동 컴프레서 (201) 는, 모터 하우징 (202) 과 모터 하우징 (202) 의 전방측 단부에 복수의 볼트 (4) 에 의해 접합되는 프론트 하우징 (203) 을 구비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 (202) 은, 후방측 단부에 저부 (202a) 를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전방측으로 개구되는 공간부 (205) 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 (205) 내에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전동 컴프레서 (1) 과 마찬가지로, 전동 모터 (11), 축지지 부재 (21) 및 압축 기구부 (31) 가 수용되어 있다.
한편, 모터 하우징 (202) 의 후방측 단부인 저부 (202a) 에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볼트에 의해 인버터 하우징 (207) 이 접합되어 있다. 인버터 하우징 (207) 의 내부에는, 저부 (202a) 에 의해 구획되어 모터 하우징 (202) 내의 공간부 (205) 로부터 격절된 공간인 인버터 수용실 (208) 이 형성되어 있다. 인버터 수용실 (208) 내에는, 전동 모터 (11) 에 삼상 교류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전동 모터 (11) 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 (206) 가 저부 (202a) 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전동 컴프레서 (201) 는, 그 축방향을 따라 압축 기구부 (31), 전동 모터 (11) 및 인버터 (206) 가 순차 직렬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또, 모터 하우징 (202) 의 상부에 있어서, 그 일부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전동 컴프레서 (201) 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격벽면 (211a) 을 내부에 갖는 통로 형성부 (211) (도 9 참조) 를 형성하고 있다. 통로 형성부 (211) 에는, 격벽면 (211a) 으로부터 전동 컴프레서 (201) 의 축방향을 따라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모터 하우징 (202) 의 내부측인 공간부 (205) 로부터 외부측인 인버터 수용실 (208) 로 관통하는 관통공 (21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 (212) 에는, 전동 모터 (11) 와 인버터 (206)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기밀 단자 (241) 가 배치되어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 (212) 은 격벽면 (211a) 측에 형성되고, 공간부 (205) 로 개구되는 대직경부 (212a) 와, 대직경부 (212a) 로부터 인버터 수용실 (208) 로 관통하는 소직경부 (212b) 를 가지고 있으며, 대직경부 (212a) 내에 기밀 단자 (241) 가 배치되어 있다. 기밀 단자 (241) 는, 단자 본체 (242) 와 단자 본체 (242) 를 관통하는 도전 부재 (243) 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이 도시되지 않은 절연성 접착제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기밀 단자 (241) 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기밀 단자 (41) 와 마찬가지로 3 개의 도전 부재 (243) (도 9 참조) 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도전 부재 (243) 가 각각 전동 모터 (11) 의 삼상의 하나에 대응하고 있다.
단자 본체 (242) 의 정상부 단면 (242a) 은, 관통공 (212) 의 대직경부 (212a) 와 소직경부 (212b) 의 단차부 (212c) 에 걸려 있으며, 그로 인해, 기밀 단자 (241) 는 관통공 (212) 을 통과하여 인버터 수용실 (208) 로 빠지는 것이 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단자 본체 (242) 의 외주면에는, 대직경부 (212a) 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O 링 (245) 을 협지하기 위한 숄더부 (242c) 가 형성되어 있다. O 링 (245) 은, 공간부 (205) 와 인버터 수용실 (208) 을 시일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인버터 수용실 (208) 에 대한 공간부 (205) 의 기밀성이 유지되고 있다.
도 8 로 되돌아가, 기밀 단자 (241) 의 전방측에는, 전동 모터 (11) 와 기밀 단자 (241)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클러스터 블록 (244) 이 형성되어 있다. 클러스터 블록 (244) 은, 단자 본체 (242) 의 저부 단면 (242b) (도 10 참조) 과, 프론트 하우징 (203) 의 후부 단면 (203b) 사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프론트 하우징 (203) 및 단자 본체 (242) 와 클러스터 블록 (244) 사이에는, 기밀 단자 (241) 가 관통공 (212) 의 대직경부 (212a) 로부터 빠져 공간부 (5) 내로 탈락되지 않을 정도의 조그마한 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동 컴프레서 (201) 에 있어서, 프론트 하우징 (203) 의 후부 단면 (203b) 의 일부는, 클러스터 블록 (244) 을 사이에 둔 상태로 관통공 (212) 의 대직경부 (212a) 내에 배치된 기밀 단자 (241) 에 대향하고 있다. 즉, 프론트 하우징 (203) 은, 모터 하우징 (202) 의 외부측인 인버터 수용실 (208) 측에서 내부측인 공간부 (205) 측으로의 기밀 단자 (241) 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여기서, 프론트 하우징 (203) 은 전동 컴프레서 (201) 에 있어서의 이동 규제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밀 단자 (241) 의 도전 부재 (243) 는, 그 전방측 단부 (243a) 가 클러스터 블록 (244) 의 후방측 단부에 형성된 구멍 (244a) 을 관통하고 있다. 클러스터 블록 (244) 내로 연장된 도전 부재 (243) 에는, 도시되지 않은 접속 단자 및 리드선을 개재하여 전동 모터 (11)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전 부재 (243) 의 후방측 단부 (243b) 는, 관통공 (212) 의 소직경부 (212b) 내로 연장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리드선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의 타단은, 소직경부 (212b) 내로부터 인버터 수용실 (208) 내로 연장되어 있으며, 인버터 (206) 에 접속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 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모터 하우징 (202) 의 내부측으로 개구되고, 기밀 단자 (241) 가 배치되는 대직경부 (212a), 및 대직경부 (212a) 로부터 모터 하우징 (202) 의 외부인 인버터 수용실 (208) 로 관통하는 소직경부 (212b) 를 갖는 관통공 (212) 을 모터 하우징 (202) 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대직경부 (212a) 와 소직경부 (212b) 사이에 단차부 (212c) 가 형성된다. 이 단차부 (212c) 에 의해 기밀 단자 (241) 가 관통공 (212) 을 통과하여 인버터 수용실 (208) 로 빠지는 것이 저지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전동 컴프레서 (201) 의 작동시에 모터 하우징 (202) 의 내압이 상승해도 기밀 단자 (241) 가 모터 하우징 (202) 의 외부측으로 빠지는 일이 없다. 한편, 기밀 단자 (241) 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프론트 하우징 (203) 에 의해 모터 하우징 (202) 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기밀 단자 (241) 의 이동을 규제하였기 때문에, 기밀 단자 (241) 가 모터 하우징 (202) 의 내부로 탈락되는 일도 없다. 즉, 기밀 단자 (241) 를 모터 하우징 (202) 의 내부측으로부터 관통공 (212) 의 대직경부 (212a) 내에 배치해 두면, 프론트 하우징 (203) 이 장착된 단계에서 기밀 단자 (241) 의 빠짐이 방지된다. 기밀 단자 (241) 는 서클립 등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빠짐이 방지되므로, 관통공 (212) 의 대직경부 (212a) 에 고정구용 홈 등을 형성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축방향을 따라 압축 기구부 (31), 전동 모터 (11) 및 인버터 (206) 가 순차 직렬로 배치된 전동 컴프레서 (201) 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 과 마찬가지로, 부품 점수를 삭감시킴과 함께, 기밀 단자 (241) 의 조립 부착이나 부품 가공에 필요로 하는 공정수 및 시간을 삭감시켜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프론트 하우징 (203) 이, 클러스터 블록 (244) 을 사이에 두고 모터 하우징 (202) 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기밀 단자 (241) 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기밀 단자 (241) 가 모터 하우징 (202) 의 내부측으로 탈락되는 것, 및 클러스터 블록 (244) 이 기밀 단자 (241) 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동일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5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 (301) 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 5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 (301) 는,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 (201) 에 대해, 모터 하우징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기밀 단자의 이동을, 클러스터 블록을 개재하지 않고 프론트 하우징에 의해 직접 규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컴프레서 (301) 는, 모터 하우징 (302) 과 복수의 볼트 (304) 에 의해 모터 하우징 (302) 의 전방측 단부에 접합되는 프론트 하우징 (303) 을 구비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 (302) 은, 실시형태 4 에 있어서의 모터 하우징 (202) 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를 축소한 것으로서, 그 전방측 단부가 축지지 부재 (21) 의 원통부 (21b) 부근에서 종단되어 있다. 한편, 프론트 하우징 (303) 은, 저부 (303a) 를 가짐과 함께 후방측으로 개구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그 내부에 압축 기구부 (31) 가 수용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 (302) 의 내부에는 실시형태 4 에 있어서의 관통공 (212) 과 마찬가지로, 대직경부 (312a) 및 소직경부 (312b) 를 갖는 관통공 (312) 이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 (312a) 내에는, 단자 본체 (342) 및 도전 부재 (343) 를 구비하는 기밀 단자 (341) 가 배치되어 있다. 단자 본체 (342) 는, 관통공 (312) 의 대직경부 (312a) 와 소직경부 (312b) 의 단차부 (312c) 에 걸려 있으며, 기밀 단자 (341) 가 관통공 (312) 을 통과하여 인버터 수용실 (208) 로 빠지는 것이 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기밀 단자 (341) 는 단자 본체 (342) 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단자 본체 (342) 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재 (344)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 부재 (344) 는 수지 등으로 성형된 부재로서, 3 개의 도전 부재 (343) 의 상방측을 덮도록 접착 또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단자 본체 (342) 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11 로 되돌아가, 연장 부재 (344) 의 전방측 단부 (344a) 는, 프론트 하우징 (303) 의 후부 단면 (303b)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는 단자 본체 (342) 가 관통공 (312) 의 대직경부 (312a) 로부터 공간부 (5) 내로 탈락되지 않을 정도의 조그마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전 부재 (343) 는 클러스터 블록을 개재하지 않고, 도시되지 않은 접속 단자 및 리드선에 의해 전동 모터 (1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전동 컴프레서 (301) 에 있어서의 기밀 단자 (341) 는, 프론트 하우징 (303) 의, 연장 부재 (344) 의 전방측 단부 (344a) 에 대향하고 있는 부위에 의해 모터 하우징 (302) 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이동을 직접적으로 규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하우징 (303) 이 클러스터 블록을 사이에 두지 않고 모터 하우징 (302) 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기밀 단자 (341) 의 이동을 직접 규제하도록 구성해도 실시형태 5 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6.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6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 6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 (401) 는, 실시형태 5 에 있어서의 모터 하우징 (302) 및 프론트 하우징 (303) 을 이용하면서, 프론트 하우징 (303) 이 클러스터 블록을 사이에 두고 모터 하우징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기밀 단자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 (302) 에 형성된 관통공 (312) 의 대직경부 (312a) 내에는, 실시형태 4 에 있어서의 기밀 단자 (241) 가 배치되어 있다. 또, 단자 본체 (242) 의 저부 단면 (242b) 과 저부 단면 (242b) 에 대향하는 프론트 하우징 (303) 의 후부 단면 (303b) 사이에는 클러스터 블록 (444) 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전동 컴프레서 (401) 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 (302) 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기밀 단자 (241) 의 이동은, 프론트 하우징 (303) 이 클러스터 블록 (444) 을 사이에 두고 규제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5 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프론트 하우징 (303) 이 클러스터 블록 (444) 을 사이에 두고 모터 하우징 (302) 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기밀 단자 (241) 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해도 실시형태 5 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7.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7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 7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 (501) 는, 실시형태 4 에 있어서의 전동 컴프레서 (201) 가 프론트 하우징 (203) 을 이동 규제 부재로서 이용하던 것에 대해, 축지지 부재를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 (11) 와 압축 기구부 (31) 사이에는, 구동축 (12)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지지 부재 (521) 가 배치되어 있다. 축지지 부재 (521) 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축지지 부재 (21) 와 마찬가지로, 육각 형상부 (521a) 와 원통부 (521b) 를 갖는 중공 부재인데, 원통부 (521b) 에 있어서, 그 상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의 일부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기밀 단자 (241) 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돌출 대향부 (521c) 를 형성하고 있다. 이 돌출 대향부 (521c) 가 실시형태 6 의 클러스터 블록 (444) 을 사이에 두고 기밀 단자 (241) 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전동 컴프레서 (501) 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 (202) 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기밀 단자 (241) 의 이동은, 축지지 부재 (521) 의 돌출 대향부 (521c) 에 의해 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축지지 부재 (521) 는 전동 컴프레서 (501) 에 있어서의 이동 규제 부재를 구성한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4 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축지지 부재 (521) 의 일부가 기밀 단자 (241) 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해도 실시형태 4 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8.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8 에 관련된 전동 컴프레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 8 에 있어서의 전동 컴프레서 (601) 는, 이동 규제 부재로서 압축 기구부의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컴프레서 (601) 의 압축 기구부 (631) 는 고정 스크롤 (632) 과 선회 스크롤 (33) 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 스크롤 (632) 은,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고정 스크롤 (32) 에 대해, 상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의 일부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기밀 단자 (241) 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된 것으로, 이 돌출된 부위가 돌출 대향부 (632c) 를 형성하고 있다.
돌출 대향부 (632c) 는, 클러스터 블록 (444) 을 사이에 두고 기밀 단자 (241) 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전동 컴프레서 (601) 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 (202) 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기밀 단자 (241) 의 이동은 고정 스크롤 (632) 의 돌출 대향부 (632c) 에 의해 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 스크롤 (632) 은, 전동 컴프레서 (601) 에 있어서의 이동 규제 부재를 구성한다. 또, 고정 스크롤 (632) 은, 실시형태 1 의 고정 스크롤 (32) 에 있어서의 고정 랩 (32a) 및 토출구 (32b) 와 동일한 고정 랩 (632a) 및 토출구 (632b) 를 가지고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4 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압축 기구부 (631) 의 고정 스크롤 (632) 의 일부가, 기밀 단자 (241) 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해도 실시형태 4 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1 ∼ 8 에 있어서, 전동 컴프레서는 스크롤식 압축 기구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기밀 단자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전동 컴프레서이면 다른 방식의 압축 기구부로 할 수도 있어 스크롤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형태 1 ∼ 3 에 있어서, 기밀 단자의 단자 본체에는 측벽의 전체 둘레에 걸쳐 플랜지부가 형성되었지만,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만이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실시형태 4 ∼ 8 에 있어서, 기밀 단자 (241, 341) 는 관통공 (212, 312) 이 대직경부 (212a, 312a) 와 소직경부 (212b, 312b) 를 가지며, 대직경부 (212a, 312a) 와 소직경부 (212b, 312b) 의 단차부 (212c, 312c) 에 걸려 있었다. 그러나, 실시형태 1 ∼ 3 과 같이 기밀 단자에 통과 저지부인 플랜지부 (42b, 52b, 62c) 를 가지고 있으면 관통공 (212, 312) 은 대직경부 (212a, 312a) 와 소직경부 (212b, 312b) 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실시형태 3 에 있어서, 기밀 단자 (61) 의 단자 본체 (62) 의 측벽 (62a) 에 테이퍼부 (62b) 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실시형태 1, 2, 4 ∼ 8 에 있어서도 기밀 단자의 단자 본체의 측벽에 테이퍼부를 형성해도 된다.

Claims (7)

  1.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 기구부와,
    구동축을 가지며, 상기 구동축을 개재하여 상기 압축 기구부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압축 기구부 및 상기 전동 모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에,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기밀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기밀 단자가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밀 단자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밀봉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기밀 단자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통과 저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통과 저지부는, 상기 기밀 단자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빠지는 것을 저지하며,
    상기 기밀 단자는, 상기 기밀 단자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이동 규제 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며,
    상기 기밀 단자와 상기 이동 규제 부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전동 컴프레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상기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축지지 부재가 상기 이동 규제 부재인 전동 컴프레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단자의 상기 통과 저지부는, 상기 기밀 단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로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기밀 단자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빠지는 것이 저지되는 전동 컴프레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기밀 단자의 상기 플랜지부에 대향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돌출량이 상이한 비대칭 형상으로서, 상기 돌출량이 적은 오조립 부착 방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오조립 부착 방지부가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동 컴프레서.
  5.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 기구부와,
    상기 압축 기구부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압축 기구부 및 상기 전동 모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의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전동 모터에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기밀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기밀 단자가 배치되는 대직경부, 및 상기 대직경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관통하는 소직경부를 갖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밀 단자는,
    상기 관통공의 대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의 단차부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빠지는 것이 저지됨과 함께,
    상기 기밀 단자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이동 규제 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전동 컴프레서.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동 모터와 상기 기밀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클러스터 블록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이동 규제 부재는, 상기 클러스터 블록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밀 단자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의 상기 기밀 단자의 이동을 규제하는 전동 컴프레서.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내에 위치하는 상기 기밀 단자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끼워 맞춰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전동 컴프레서.
KR1020117004968A 2008-09-01 2009-06-17 전동 컴프레서 KR101319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23694 2008-09-01
JP2008223694A JP5120153B2 (ja) 2008-05-23 2008-09-01 電動コンプレッサ
PCT/JP2009/061010 WO2010024021A1 (ja) 2008-09-01 2009-06-17 電動コンプレッ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958A KR20110036958A (ko) 2011-04-12
KR101319054B1 true KR101319054B1 (ko) 2013-10-17

Family

ID=4172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968A KR101319054B1 (ko) 2008-09-01 2009-06-17 전동 컴프레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325488B1 (ko)
KR (1) KR101319054B1 (ko)
CN (1) CN102132042B (ko)
WO (1) WO2010024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9586B2 (ja) * 2011-01-07 2015-02-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圧縮機用モ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動圧縮機
JP5252006B2 (ja) * 2011-03-08 2013-07-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772296B2 (ja) * 2011-06-28 2015-09-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6127797B2 (ja) * 2012-10-02 2017-05-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2014214669A (ja) * 2013-04-25 2014-11-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KR102517731B1 (ko) * 2016-04-22 2023-04-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CN107709786B (zh) 2016-04-22 2019-08-13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压缩机
KR102559314B1 (ko) * 2016-08-25 2023-07-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클러스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CN106989017B (zh) * 2017-04-28 2020-06-02 上海海立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压缩机
CN107013463B (zh) * 2017-04-28 2020-06-30 上海海立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压缩机
CN107100846B (zh) * 2017-04-28 2020-05-26 上海海立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车用涡旋压缩机
CN107013460B (zh) 2017-04-28 2020-06-30 上海海立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压缩机
CN106989018B (zh) * 2017-04-28 2020-06-02 上海海立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压缩机
CN107023483B (zh) * 2017-04-28 2020-06-02 上海海立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压缩机
JP7231339B2 (ja) 2018-06-01 2023-03-01 ショット日本株式会社 気密端子
CN108591025A (zh) * 2018-06-25 2018-09-28 海门亿峰机械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空调压缩机上壳盖以及接线座结构
JP7040406B2 (ja) * 2018-10-31 2022-03-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EP4108921A1 (en) * 2021-06-23 2022-12-2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GmbH Improved fitting of an electrical terminal for a scroll compressor
US11879464B1 (en) 2022-09-13 2024-01-23 Mahle International Gmbh Electric compressor having a swing link and integrated limit pin and swing link and integrated limit pin for use in an electric compress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464B1 (ko) * 2005-04-01 2008-06-20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습동 부재용 조성물, 습동 부재 및 유체 기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87508U (ko) * 1972-11-20 1974-07-30
JP3702079B2 (ja) * 1997-11-11 2005-10-05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小型モータ
JP3870642B2 (ja) * 1999-12-21 2007-01-2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圧縮機
JP2002155862A (ja) * 2000-11-22 2002-05-31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
JP2004003516A (ja) * 2003-08-07 2004-01-08 Toyota Industries Corp コンプレッサユニット
JP4203397B2 (ja) * 2003-10-21 2008-12-24 株式会社デンソー 磁石式発電機
JP2005155369A (ja) * 2003-11-21 2005-06-16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圧縮機
JP2005220794A (ja) * 2004-02-04 2005-08-18 Sanyo Electric Co Ltd 電動要素を内蔵した圧縮機
JP4585875B2 (ja) * 2005-02-04 2010-11-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
JP4829521B2 (ja) * 2005-04-14 2011-12-07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4506634B2 (ja) * 2005-10-03 2010-07-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フィルタ及びクリーナ
JP4826212B2 (ja) 2005-11-04 2011-11-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コンプレッサ
JP2008148451A (ja) * 2006-12-11 2008-06-26 Mitsuba Corp 電動モータ及び電動モータの組立て方法
JP4689589B2 (ja) * 2006-12-12 2011-05-25 矢崎総業株式会社 ボックスとカバーの誤組み付け防止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464B1 (ko) * 2005-04-01 2008-06-20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습동 부재용 조성물, 습동 부재 및 유체 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32042A (zh) 2011-07-20
KR20110036958A (ko) 2011-04-12
EP2325488A4 (en) 2015-04-22
EP2325488A1 (en) 2011-05-25
EP2325488B1 (en) 2016-05-11
WO2010024021A1 (ja) 2010-03-04
CN102132042B (zh)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054B1 (ko) 전동 컴프레서
JP5120153B2 (ja) 電動コンプレッサ
KR101042160B1 (ko) 전동 컴프레서
JP6507270B2 (ja) 圧縮機
JP5669586B2 (ja) 圧縮機用モ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動圧縮機
JP6601246B2 (ja) 電動圧縮機
JP5045550B2 (ja) 電動コンプレッサ
WO2017150693A1 (ja) 電動圧縮機
KR101447038B1 (ko) 횡형 스크롤 압축기
CN116830429A (zh) 端子单元及压缩机
WO2018221282A1 (ja) 圧縮機
JP5931488B2 (ja) 電動圧縮機
WO2023248707A1 (ja) 電動圧縮機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79639B1 (ko) 스크롤 압축기의 하부프레임 구조
JP2013087742A (ja) 電動圧縮機
EP3409944A1 (en) Hermetic compressor and method of producing hermetic compressor
JP2013133729A (ja) 電動圧縮機
KR20170120776A (ko) 압축기
JP2005220763A (ja) 多段回転圧縮機
JP2013060910A (ja) 電動圧縮機
KR20020094776A (ko)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
KR20050062985A (ko) 회전식 압축기의 유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