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147B1 - 꽃게살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꽃게살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7147B1 KR101317147B1 KR1020110132922A KR20110132922A KR101317147B1 KR 101317147 B1 KR101317147 B1 KR 101317147B1 KR 1020110132922 A KR1020110132922 A KR 1020110132922A KR 20110132922 A KR20110132922 A KR 20110132922A KR 101317147 B1 KR101317147 B1 KR 1013171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b
- crab meat
- separator
- suction
- me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4—Opening, shelling or peeling shellfish
- A22C29/025—Mechanically opening and shelling crabs, lobsters or other hard-shelled crustaceans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3—Conveying, feeding or aligning shell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게살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꽃게살 분리장치는,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를 꽃게 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흡입 분리기; 및 각각에 관통공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가압롤러가 구비된 생육분리기;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분리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핑부, 상기 진공펌핑부의 공기흡입량에 따라 상기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를 수집하는 흡입부, 및 상기 진공펌핑부 및 상기 흡입부가 각각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에 의해 상부가 밀폐되고, 상기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가 수집되는 용기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꽃게살 분리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게살을 생육상태로 갑각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도 생육상태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조리기호식품을 제조할 수 있고, 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공정시간의 지체로 인한 꽃게 생육의 부패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와 게살을 별도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특성에 맞춰 풍미를 살리기 위한 가공 또는 보관을 진행할 수 있고 조리기호식품으로 제조할 때 갑각이 분리된 상태에서 섭취가 가능하여 갑각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손에 냄새가 배거나 치아 사이에 갑각 조각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섭취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꽃게살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꽃게살을 생육상태에서 갑각과 연속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분리과정에서 꽃게살 내의 영양소를 유지할 수 있으며, 처리속도를 높여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꽃게살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갑각류 중 꽃게는 껍질 및 아가미 부위를 제외한 게살, 내장, 및 알 등의 생식소는 식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유의 영양과 식감 및 풍미에 의해 소비선호도가 높은 식재료이다. 그러나 이러한 갑각류는 부패가 쉬워 식중독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게장 등과 같은 반조리 상태의 식품의 식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산 채로 운반한 뒤 반조리를 가하거나 아예 뜨거운 열에 의해 가열하여 섭취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게살을 활용한 가공식품을 제조하고자 할 경우, 1차적으로 익히는 과정을 통하여 부패가 진행되지 않도록 한 다음 게살을 분리 또는 추출하여 가공식품화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게살만을 이용하여 식품을 제조할 경우, 이미 게살의 단백질이 변성된 상태에서 식품화가 진행되어 특유의 육질을 보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게살을 익히는 과정에서 물 등에 의해 맛이 빠져나가게 되어 게살 특유의 풍미가 사라지게 된다. 또한, 게살만으로 제조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가 완숙처리된 가공식품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식품에 사용할 수 없다. 특히, 꽃게의 경우 게살이 키틴질에 의해 다수의 막이 형성된 몸통부분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다리 부위에 게살이 다량으로 분포된 대게 등과 달리 익힌 이후에 게살을 분리하기 어렵다. 또한 게살 이외에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는 익히는 과정을 거친 식품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그냥 버려지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꽃게의 풍미를 얻을 수 있으면서 다양한 식품으로 게살을 조리할 수 있도록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꽃게살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고,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도 분리할 수 있는 꽃게살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꽃게살과 내장 및 생식소를 생육상태로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꽃게살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상기 꽃게살 분리장치를 사용하여 생육상태에서 꽃게살과 내장 및 생식소를 분리할 수 있는 꽃게살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를 꽃게 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흡입 분리기; 및
각각에 관통공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가압롤러가 구비된 생육분리기;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분리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핑부,
상기 진공펌핑부의 공기흡입량에 따라 상기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를 수집하는 흡입부, 및
상기 진공펌핑부 및 상기 흡입부가 각각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에 의해 상부가 밀폐되고, 상기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가 수집되는 용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육분리기는 상기 가압롤러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가압롤러의 회전구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롤러 내부에 유입된 게살을 상기 가압롤러의 축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크래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꽃게살 분리장치는, 밀폐형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파쇄롤러가 구비된 파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쇄롤러의 외주면에는 파쇄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펌핑부에는 양단부 중에 일단이 상기 용기부 내에 위치한 흡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부의 양단부 중에 타단이 상기 용기부 내에 위치하되,
상기 용기부 내에서 상기 흡입부의 타단은, 상기 흡입관의 일단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상기 흡입관의 일단의 하부 방향 및 상기 흡입부의 타단의 상부 방향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가 관통하는 투입공이 형성되고, 공기가 배출가능하도록 기공이 형성되어 기액을 선별하는 분리격막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부의 양단부 중 일단에 형성되어 내장 및 생식소를 흡입하는 탄성의 흡인구,
상기 흡인구의 흡입속도를 조절하는 압력조절구, 및
신축성 및 가요성이 구비된 구동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인구는, 상기 흡입부의 상기 타단보다 직경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구에는 상기 흡입부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압력조절공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꽃게살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꽃게의 배갑, 몸체, 및 족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한 게살, 내장, 및 생식소를 갑각과 분리하는 것으로,
꽃게로부터 배갑(背甲)을 분리시키는 배갑제거단계;
상기 흡입 분리기로 상기 배갑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내장 및 상기 생식소를 분리하는 흡입단계; 및
상기 생육분리기로 상기 몸체를 가압하여 몸체에 구비된 갑각 및 격막과 생육상태의 게살을 분리시키는 몸체게살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꽃게살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꽃게살 분리방법은,
상기 흡입단계를 거친 꽃게의 족부를 분리하여, 상기 파쇄기로 상기 족부의 갑각을 파쇄하는 파쇄단계; 및
상기 생육분리기로 갑각이 파쇄된 상기 족부를 가압하여 족부에 구비된 갑각및 생육상태의 게살을 분리시키는 족부게살분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게살분리단계 및 상기 족부게살분리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게살분리단계 및 상기 족부게살분리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반복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단계 이후에 상기 몸체에 잔류하는 내장 및 생식소를 제거하는 간이세척단계; 및
상기 몸체의 좌우를 분할시키는 절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살을 생육상태로 갑각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도 생육상태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조리기호식품을 제조할 수 있고, 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공정시간의 지체로 인한 꽃게 생육의 부패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와 게살을 별도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특성에 맞춰 풍미를 살리기 위한 가공 또는 보관을 진행할 수 있고 조리기호식품으로 제조할 때 갑각이 분리된 상태에서 섭취가 가능하여 갑각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손에 냄새가 배거나 치아 사이에 갑각 조각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섭취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생육과 갑각의 분리과정에서 영양 손실이 미비하기 때문에 조리기호식품으로 제조시에 원재료 상태의 맛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게살 분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게살 분리장치의 흡입 분리기, 파쇄기 및 생육분리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게살 분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게살 분리장치의 흡입 분리기, 파쇄기 및 생육분리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게살 분리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꽃게는, 갑각류 십각목 꽃게과에 속하는 것으로, 몸통의 껍데기는 길이 약 8.5cm, 너비 약 17.5cm의 옆으로 퍼진 마름모꼴이며, 다리가 양쪽에 각각 다섯 개씩 있다. 가장 위쪽의 집게다리는 크고 억세며, 모서리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나머지 4쌍의 다리는 걸을 때 사용하며, 가장 아래쪽의 한 쌍은 부채 모양으로 넙적하고 평평하여 헤엄치기에 적합하다. 암컷은 어두운 갈색 바탕에 등딱지의 뒤쪽에 흰 무늬가 있고, 수컷은 초록빛을 띤 짙은 갈색이다. 뒤집으면 하얗고 단단한 꼭지가 복부를 덮고 있는데, 암컷은 그것이 둥글고, 수컷은 모가 나 있다.
본 발명은 꽃게의 게살과 내장 및 생식소(52)를 생육 상태로 갑각과 분리시킴으로써 식용이 용이한 상태로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부패 진행속도가 빠른 생 꽃게 상태에서 분리 처리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꽃게살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꽃게가 다른 종류의 갑각류에 비해 게살이 몸통에 밀집해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꽃게에 알맞은 방식으로 그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꽃게의 게살 뿐만 아니라 내장 및 생식소를 갑각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생육상태 그대로 분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자숙과정을 거친 뒤에 갑각과 게살을 분리했던 것과 다르게 게살, 내장 및 생식소의 단백질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을 사용한 자숙과정에서 영양소나 맛이 빠져나가는 종래의 처리방식과 달리 본 발명은 꽃게의 생육의 상태를 보존하면서 갑각으로부터 분리시키기 때문에 분리과정에서 영양소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풍미가 희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꽃게 구조와 관련된 용어는 다음으로 통일한다. 배갑(51)은 꽃게의 두흉부를 감싸는 외골격 껍질을 가리킨다. 몸체(54)는 배갑(51)의 하부에 위치하며 키틴질로 형성된 격막 사이 사이에 게살이 위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즉, 배갑(51)과 몸체(54)가 꽃게의 몸통에 해당한다. 몸체(54)와 배갑(51) 사이에는 식용 가능한 게살(58), 내장, 및 생식소(52)가 구비된다. 또한, 몸통을 제외한 것으로 집게다리를 포함한 5쌍의 다리는 족부(56)로 지칭한다. 또한 생육이란 게살(58)과, 내장 및 생식소(52)를 통칭하는 것으로, 별도의 조리를 거치지 않고 단순히 갑각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말한다. 또한 여기서 갑각은 꽃게를 덮는 딱딱한 구조물을 통칭한다. 즉, 배갑(51), 몸체(54)의 격막, 몸체(54)의 하부 외피, 족부(56)의 외피는 통칭 갑각이라고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게살 분리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게살 분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52)를 꽃게 몸체(54)로부터 분리시키는 흡입분리기(10); 및
각각에 관통공(32h)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가압롤러(32)가 구비된 생육분리기(30);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분리기(10)는,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핑부(12),
상기 진공펌핑부(12)의 공기흡입량에 따라 상기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52)를 수집하는 흡입부(14), 및
상기 진공펌핑부(12) 및 상기 흡입부(14)가 각각 연통되는 개구부(16c, 16e)가 형성된 덮개(16a)에 의해 상부가 밀폐되고, 상기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52)가 수집되는 용기부(16)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꽃게는 부패속도가 빠르게 진행된다. 따라서, 꽃게의 생육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가 극히 제한되었다. 즉, 필요한 부분의 생육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사람의 체온이 생육에 전달되면 부패가 촉진되기 때문에, 생육을 사용하는 조리식품으로는, 간장게장 등의 염장조리식품과 같이 살아있는 상태의 꽃게를 통째로 조리하는 수밖에 없다. 또한, 가공하고자 하는 조리식품에 꽃게의 특정 부위만이 사용될 경우,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부위가 그대로 버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온에서 꽃게를 생육상태로 빠르게 갑각과 분리시킴으로써, 꽃게의 생육을 다양한 조리식품에 사용함과 더불어, 게살(58)을 내장 및 생식소(52)와 구분해서 갑각(59)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조리식품에 필요한 종류의 생육만을 분리해낼 수 있다.
즉, 꽃게의 내장과 생식소(52)는, 흡입분리기(10)를 통하여 먼저 제거된다. 꽃게의 내장과 생식소(52)는 배갑(51)과 몸체(5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즉, 1차적으로 몸체(54)로부터 배갑(51)을 벗겨내면 배갑(51) 내부와 몸체(54)의 상부에 내장 및 생식소(52)가 노출된다. 이와 같이 노출된 내장과 생식소(52)는 흡입분리기(10)를 통하여 뽑아낸다.
배갑(51)이 제거된 꽃게는 몸체(54)와 족부(56)로 구분할 수 있는데, 꽃게의 몸체(54)는 생육분리기(30)에 투입함으로써, 생육분리기(30)의 가압롤러(32)를 통하여 게살(58)은 가압롤러(32)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갑각은 가압롤러(32)의 회전구동에 따라 하부방향으로 떨어지면서 게살(58)과 갑각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54)는 족부(56)가 구비된 채로 생육분리기(30) 내에 투입시킬 수도 있지만, 게살(58)의 원활한 분리를 위하여 족부(56)가 제거된 몸체(54)를 생육분리기(30) 내에 투입하여 게살(58)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꽃게의 족부(56)는 그냥 버려지지 않고, 1차적으로 갑각을 파쇄하여 족부(56) 내의 게살(58)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상태로 만든 다음 파쇄된 족부(56')를 생육분리기(30)에 넣어 족부(56') 내의 게살(58)을 분리할 수 있다. 즉, 몸체(54)의 비해 갑각의 더욱 단단한 족부(56)는 파쇄기(20)에 투입함으로써, 족부(56) 내의 게살(58)이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만 갑각을 파쇄롤러(22)도 가압한 후, 일정 강도 이하의 상태가 되도록 족부(56)를 파쇄하는 것이다. 여기서 한 쌍의 파쇄롤러(22)는 각각 밀폐형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파쇄롤러(22)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형상이 없이 파쇄롤러(22)가 형성되어 있어 단순히 족부(56)를 파쇄하는 작업만 수행하게 된다.
흡입분리기(10)와 생육분리기(30) 및 파쇄기(20)는 서로 컨베이어(C) 등의 꽃게 이송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흡입분리기(10)에서 내장이 분리된 꽃게가 몸체(54)와 족부(56)로 분리되어 각각 생육분리기(30)와 파쇄기(20)로 이송되는 것이다. 특히 족부(56)의 경우, 파쇄된 족부(56)를 생육분리기(30) 측으로 이송시켜 게살(58)과 갑각(59)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살(58)은 흡입분리기(10)를 통과한 꽃게가 바로 생육분리기(30)로 이송되어 게살(58)과 갑각(59)으로 분리되거나, 흡입분리기(10)에서 파쇄기(20)를 거친 뒤 생육분리기(30)로 이송되어 게살(58)과 갑각(59)을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족부(56)를 파쇄하거나 게살(58)을 분리하기 위하여 압력을 가하는 장치로 롤러를 사용하는 이유는 파쇄작업이나 분리작업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파쇄작업과 분리작업이 단속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작업시간이 길어지면서 꽃게가 부패될 수 있기 때문에 파쇄작업과 분리작업이 각각 끊임없이 진행되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최소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파쇄롤러(22) 및 가압롤러(32)를 사용하여 파쇄작업과 분리작업을 각각 진행하면, 선도가 높은 상태로 꽃게의 게살(58)을 갑각(59)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꽃게살 분리장치는, 가압롤러(32) 내부에 스크래퍼(39)를 구비할 수 있다. 스크래퍼(39)는 가압롤러(32)의 회전구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롤러의 축방향으로 상기 가압롤러 내부에 유입된 게살을 밀어준다. 예를 들어 스크래퍼(39)를 나선형으로 이어진 판으로 형성할 경우, 가압롤러(32)의 회전방향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에 따라 스크래퍼(39)의 나선형 판이 회전하면서 게살(58)을 가압롤러 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가압롤러의 회전방향과 연동되어 컨베이어 벨트방식으로 게살이 위치한 곳에서는 게살을 가압롤러의 축방향 일측에 위치한 배출방향으로 밀어주고 게살이 위치하지 않는 곳에서는 가압롤러의 축방향 반대쪽으로 스크래퍼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중력에 의해 게살이 위치한 가압롤러의 하부방향에서는 스크래퍼가 게살을 배출방향으로 밀어주고, 가압롤러의 상부방향에서는 스크래퍼가 게살 배출방향의 반대쪽으로 회수되는 방식으로 스크래퍼가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게살 분리장치의 흡입분리기, 파쇄기 및 생육분리기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게살 분리장치의 흡입분리기(1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핑부(12), 흡입부(14), 및 용기부(16)를 포함한다. 흡입부(14)에서는 꽃게의 생육 중, 내장과 생식소(52)를 흡입하게 된다. 생육상태에서 꽃게의 내장과 생식소(52)는 거의 점액질의 액체상태에 가깝기 때문에 진공펌핑부(12)에서 용기부(16)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면 감소된 공기의 체적만큼 내장과 생식소(52)를 흡입하는 것이다. 진공펌핑부(12)의 흡입관(12p) 일단(12g)과 흡입부(14) 타단(14g)은 용기부(16)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용기부(16)는 흡입관(12p) 및 흡입부(14) 외에서는 공기가 연통되지 않도록 덮개(16a)로 밀봉함으로써, 진공펌핑부(12)의 펌프(12d)가 작동되면 자동적으로 내장과 생식소(52)가 용기부(16) 내로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진공펌핑부(12) 내로 내장과 생식소(52)가 유입되어 펌프(12d)가 고장나거나 작동 오류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흡입관(12p)의 일단(12g)이 흡입부(14)의 타단(14g)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용기부(16)에 분리격막(16g)을 구비함으로써, 진공펌핑부(12) 내로 내장과 생식소(52)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격막(16g)은, 흡입관(12p)의 일단(12g)의 하부 방향 및 상기 흡입부(14)의 타단(14g)의 상부 방향 사이의 용기부(16)에 설치된다. 즉, 분리격막(16g)의 외주면이 용기부(16)의 내주면과 결합하면서, 분리격막(16g)의 상부에는 흡입관(12p)의 일단(12g)이 위치하고 분리격막(16g)의 하부에는 흡입부(14)의 타단(14g)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흡입부(14)는 분리격막의 투입공(16h')을 통하여 분리격막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분리격막(16g)에는 기공(16h)이 천공되어 있어서 기체는 분리격막(16g)을 통과하되 액체는 분리격막(16g)을 넘지 않도록 한다.
흡입부(14) 타단(14g)의 반대쪽에 형성된 흡입부(14) 일단에는 내장과 생식소(52)를 흡입하는 흡인구(14a)가 형성되어 있다. 흡인구(14a)는 탄성재질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불균일한 굴곡이 형성된 배갑(51) 및 몸체(54)에도 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배갑(51)과 몸체(54)에 위치하는 내장과 생식소(52)를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 흡인구(14a)는 내장과 생식소(52)가 흡입되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내경의 크기를 흡입부(14) 타단(14g)보다 좁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진공펌핑부(12)에서 배출한 공기의 유량만큼 내장과 생식소(52)를 흡입하기 위해서는 내장과 생식소(52)가 내경이 좁게 형성된 흡인구(14a)를 빠른 속도로 통과해야만 하기 때문에 분리가 더욱 용이한 것이다.
흡인구(14a)에서의 흡입 압력은 압력조절구(14c)를 통해서도 조절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흡입부(14)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압력조절공(14h)을 압력조절구(14c)에 천공함으로써, 흡입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펌프(12d)가 구동될 때 압력조절공(14h)을 개방한 상태로 작동하면 내장과 생식소(52)가 흡입됨과 동시에 압력조절공(14h)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내장과 생식소(52)가 유입된 공기를 따라 흡입부(14) 타단(14g)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때, 내장과 생식소(52)의 점액질 덩어리가 크거나 흡입부(14)의 특정 위치가 막혀있는 경우, 압력조절공(14h)을 막음으로써, 흡입부(14)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내장과 생식소(52)가 흡인구(14a)에서 흡입되는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압력조절공(14h)을 개폐함으로써, 내장과 생식소(52)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구(14c)에 스로틀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압력조절구(14c) 위치의 흡입부(14) 단면적을 조절하여 흡인구(14a)에서 내장과 생식소(52)를 흡입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흡입부(14) 단면적은 흡인구(14a)에서의 압력을 측정하여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고, 압력조절구(14c)를 연성 재질로 제조하여 가압조절함으로써, 압력조절구(14c) 위치에서의 흡입부(14) 단면적을 조절할 수도 있다.
구동조절구(14e)는 흡인구(14a)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내장과 생식소(52)가 흡입부(14)의 내부벽면에서 쉽게 탈착될 수 있도록 신축성 및 가요성이 구비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즉 구동조절구(14e)를 굽힘구동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배갑(51)의 구석구석에 부착되어 있는 내장과 생식소(52)를 빠짐없이 수거할 수 있다. 또한 구동조절구(14e)를 신축성있는 재질 또는 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흡입과정에서 구동조절구(14e) 내에 부착된 내장과 생식소(52)는 구동조절구(14e)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과정에서 내장과 생식소(52)와 접하는 구동조절구(14e)의 내부 벽면의 형상이 지속적으로 변형되어 쉽게 탈착되는 것이다.
또한, 꽃게의 족부(56)를 파쇄하는 파쇄기(2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24)를 통하여 한 쌍의 파쇄롤러(22) 사이에 유입된 꽃게 족부(56)의 갑각을 가압함으로써 파쇄하게 된다. 갑각이 파쇄된 족부(56')는 한 쌍의 파쇄롤러(22) 하부에 위치한 수집용기(26)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파쇄기(20)는 족부(56) 내의 게살(58)을 갑각(59)과 분리시키지 않고 족부(56)를 생육분리기(30)에 투입하기 전에 가압하기 용이한 상태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게살(58)과 갑각(59)이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압력으로만 파쇄롤러(22)가 족부(56)를 가압하도록 상기 파쇄롤러(22) 간의 구동 속도 및 배치 간격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파쇄롤러(22)는 도 2b의 확대도인 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롤러(22)의 외주면에 파쇄돌기(22a)가 돌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파쇄돌기(22a)가 형성될 경우, 갑각의 전면적에 걸쳐 압력이 가해지지 않고 파쇄돌기(22a)가 형성된 위치에만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갑각 전체가 눌리면서 게살(58)과 갑각(59)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갑각을 원활하게 파쇄할 수 있다. 또한, 꽃게의 족부(56)가 미끄러지지 않고 한 쌍의 파쇄롤러(22) 사이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파쇄롤러(22)는, 회전축(22x)을 중심으로 회전구동하는데, 상기 회전축(22x)은 파쇄롤러(22)를 회전구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파쇄롤러(22)를 좌우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파쇄롤러(22)가 회전축(22x)에 의해 서로 간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축(22x)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꽃게의 족부(56)가 가압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22x)은 파쇄기(20)에 꽃게의 족부(56)가 연속적으로 일정한 양이 투입될 경우, 족부(56)가 투입되는 양에 따라 파쇄롤러(22)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제어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꽃게의 족부(56) 투입량이 일정하지 않을 때, 한 쌍의 파쇄롤러(22)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체를 회전축(22x)에 구비함으로써, 회전축(22x)이 좌우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꽃게의 족부(56) 투입되지 않을 때는 파쇄롤러가 서로 인접하게 맞물려 있다가, 꽃게의 족부(56)가 투입되면 족부(56)의 표면을 감싸는 갑각의 강도 및 투입된 족부(56) 양에 따라 복원력의 반대방향으로 한 쌍의 파쇄롤러(22)가 서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파쇄롤러(22)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체를 회전축(22x)에 구비할 경우, 회전축이 족부(56)의 투입량 및 갑각의 강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파쇄롤러(22) 간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제어부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파쇄롤러에서 가하는 파쇄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게살(58)을 분리하는 생육분리기(3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34)를 통하여 한 쌍의 가압롤러(32) 사이에 유입된 몸체(54) 또는 파쇄된 족부(56')를 가압롤러(32)로 가압함으로써, 몸체(54) 및 파쇄된 족부(56')의 갑각(59)과 게살(58)이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갑각(59)과 분리된 게살(58)은 가압롤러(32)에 천공된 관통공(32h)을 통하여 가압롤러(32)의 내부로 수집되고, 게살(58)이 분리된 갑각(59)은 가압롤러(32) 하부에 위치한 수집용기(36)로 이동하게 된다. 원통형의 가압롤러(32)에 관통공(32h)을 천공하여 게살(58)을 분리할 경우, 게살(58)이 가압롤러(32)와 면접촉하지 않고 선접촉, 또는 점접촉하기 때문에 게살(58)이 가압롤러(32)의 표면에 남아있지 않고 모두 가압롤러(32)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게살(58)의 일부가 가압 당시 가압롤러(32)의 표면에 남아있게 되더라도 게살(58)을 밀어내면서 관통공(32h)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게살(58)이 가압롤러(32) 외주면에 남아있지 않고 그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가압롤러(32)에 생육분리기(30)를 결합시킴으로써, 게살(58)이 더욱 원활하게 가압롤러(32)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압롤러(32) 외측에서 내측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공기를 빨아들임으로써, 가압롤러(32) 내측의 게살(58) 뿐만 아니라 가압롤러(32)의 관통공(32h)에 끼어있는 게살(58)까지도 흡입함으로써, 게살(58)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가압롤러(32)의 양단의 높이를 다르게 설치함으로써, 중력에 의해 게살(58)이 낮은 위치에 구비된 가압롤러(32)의 단부 쪽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관통공(32h)의 지름은 3mm 내지 10mm이고, 관통공(32h)은 서로 3mm 내지 5mm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관통공(32h)의 지름이 3mm 미만일 경우, 겔과 유사한 상태인 생육상태의 게살(58)이 관통공(32h) 내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없다. 또한, 관통공(32h)이 10mm를 초과하는 경우, 가압롤러(32)가 회전하는 중에 관통공(32h)으로 게살(58)이 유출된다. 따라서, 관통공(32h)의 지름은 3mm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공(32h)이 서로 이격된 거리가 3mm 미만일 경우, 관통공(32h) 간의 거리가 너무 근접하여 가압롤러(32)의 강성이 저하되고, 관통공(32h)이 이격된 거리가 5mm를 초과하게 되면 가압롤러(32) 표면에 게살(58)의 일부가 잔류하게 된다. 따라서, 관통공(32h)은 서로 3mm 내지 5mm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쇄롤러(22) 및 상기 가압롤러(32)는 두께가 5mm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쇄롤러(22)와 가압롤러(32)의 두께가 5mm 미만인 경우, 압력을 가하는 경우 파쇄롤러(22) 및 가압롤러(32)가 각각 휘어지거나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가압하고자 하는 대항에 압력을 고르게 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그 두께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 필요 이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파쇄롤러(22)와 가압롤러(32)를 각각 구동시키는데 과다한 양의 힘이 요구된다. 또한, 가압롤러(32)의 경우, 두께가 10mm를 초과할 때 가압롤러(32) 내부의 체적이 협소해지기 때문에 게살(58)을 수집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파쇄롤러(22) 및 상기 가압롤러(32)는 두께가 5mm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게살 분리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꽃게살 분리방법은, 상기 꽃게살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꽃게의 배갑(51), 몸체(54), 및 족부(56)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한 게살, 내장 및 생식소(52)를 갑각과 분리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게로부터 배갑(背甲, 51)을 분리시키는 배갑제거단계(S10);
상기 흡입분리기(10)로 상기 배갑(51) 및 상기 몸체(54)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내장 및 상기 생식소(52)를 분리하는 흡입단계(S20); 및
상기 생육분리기(30)로 상기 몸체(54)를 가압하여 몸체(54)에 구비된 갑각 및 격막과 생육상태의 게살을 분리시키는 몸체게살분리단계(S40);를 포함하는 꽃게살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배갑제거단계(S10)는 꽃게의 내장과 생식소(52)를 노출시켜 흡입단계(S20)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배갑(51)을 몸체(54)로부터 탈착하여 배갑(51)과 몸체(54)에 구비된 내장과 생식소(52)를 노출하게 되면, 흡입분리기(10)를 사용하여 내장과 생식소(52)를 분리하는 흡입단계(S20)를 진행하게 된다. 흡입단계(S20)를 거친 몸체(54)에는 게살만 남게 되는데, 몸체(54)를 생육분리기(30)의 가압롤러(32)로 가압하는 몸체게살분리단계(S40)를 통하여 몸체(54)의 갑각(59)과 게살(58)이 서로 분리된다.
여기서 몸체(54)는 족부(56)가 제거된 상태로 몸체게살분리단계(S40)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제거된 족부(56)는 파쇄단계(S30)를 통하여 족부(56)의 갑각을 파쇄시킨다. 즉, 흡입단계(S20)를 거친 꽃게의 족부(56)를 몸체(54)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파쇄기(20)로 상기 족부(56)의 갑각을 파쇄하는 것이다. 이렇게 파쇄된 족부(56')는 생육분리기(30)에 투입되어 족부(56)의 갑각과 게살이 분리되는 족부게살분리단계(S40')를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게살분리단계(S40) 및 상기 족부게살분리단계(S40')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즉, 몸체(54)를 생육분리기(30)에 투입할 때 파쇄단계(S30)를 거친 파쇄된 족부(56')를 생육분리기(30)에 함께 투입함으로써, 몸체(54)와 파쇄된 족부(56')에 구비된 게살을 갑각으로부터 동시에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게살분리단계(S40) 및 상기 족부게살분리단계(S4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54) 내의 게살을 1차적으로 분리한 이후 여전히 갑각에 게살이 잔존하는 경우, 1차로 몸체게살분리단계(S40)를 거친 갑각을 다시 생육분리기(30)에 투입한 뒤, 더욱 강한 힘으로 가압롤러(32)를 가압함으로써, 갑각과 게살의 생육 분리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리과정은 족부(56)에도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고, 족부게살분리단계(S40')와 몸체게살분리단계(S40)를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도 반복할 수 있다.
꽃게의 몸체(54)에는 키틴질의 얇은 격막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격막의 경우, 주머니와 같이 게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격막으로부터 게살이 보다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몸체(54)를 좌우로 분할시키는 절단단계(S60);를 더 포함한 뒤에 몸체게살분리단계(S40)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몸체게살분리단계(S40)를 진행하기 전에 몸체(54)에 잔류하는 미세량의 내장 및 생식소(52)를 제거하는 간이세척단계(S50);를 더 포함하여 수거되는 게살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꽃게살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열탕처리에 의한 붉은 대게살 분리장치에 비해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꽃게살 분리장치를 사용할 때와 종래의 붉은 대게살 분리장치를 적용할 때의 특징은 아래 표 1과 같다.
특장점 | 본 발명에 의한 장치 적용 | 기존 붉은대게살 분리장치 적용 |
적용원료 | 꽃게 및 일반게 (활게, 선어게, 냉동해동게) |
붉은대게, 대게 중심 (선어게, 냉동해동게) |
전처리 | 배갑분리, 절단, 갑부 분리 | 배갑분리, 절단, 각부분리 |
육분리원리 | 비가열 가압분리 | 가열 가압분리 |
열처리 | 비적용 | 적용 |
주요 공정처리비용 | 전기료 | 전기료, 보일러연료, 공정수 |
최대 육분리수율* | 87% | 45% |
게껍질 2차분리 | 불필요 | 필수 |
향미성분 소실 | 미미 | 과다 |
영양성분 소실 | 미미 | 과다 |
내장분리 기능 | 보유 | 비보유 |
분리공정 용수 | 미사용 | 필수사용 |
육의 소재적성 | 생분리 게살로서 용도다양 | 열처리 분리게살로서 용도제한 |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일반게에도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꽃게에 적용함으로써, 꽃게 생육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과정에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열탕과정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주요공정을 처리하는데 흡입분리기, 파쇄기, 생육분리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료만 사용된다. 또한, 최대 원료 꽃게의 육질함유량 중 기계적 분리에 의한 게살의 회수량은 최대 87%가 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게살을 갑각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게다가 여기서 언급하는 육분리수율은 게살만은 언급한 것으로, 본 발명은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 역시 별도로 분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내장 및 생식소를 포함한다면 더 많은 양의 생육을 회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생육을 분리한 이후의 갑각은 대부분의 생육이 회수되기 때문에 게껍질을 2차로 분리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생육상태 그대로 갑각과 분리되기 때문에 조리시, 꽃게 특유의 풍미 및 영양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분리하는 공정 중에 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생육에서 영양소나 맛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생육상태로 분리되기 때문에, 단백질이 변형된 상태로 공급되는 종래의 분리장치와 달리 꽃게의 게살, 내장 및 생식소를 생육 상태를 유지하는 조리식품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원하는 식품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 분리한 꽃게살의 식미기호특성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기호특성* | 본 발명에 의한 꽃게살 분리장치로 분리한 꽃게살 |
기존 붉은대게살 분리장치로 분리한 꽃게살 |
||
성상 | 기호성( /5점) | 성상 | 기호성( /5점) | |
육질의 색 | 반투명, 유백색 | 4.3±0.2 | 불투명, 유백색 | 3.4±0.4 |
향 | 고유의 향 | 4.5±0.3 | 무향 | 3.3±0.2 |
맛 | 고유의 맛 | 4.8±0.4 | 약한 고유의 맛 | 3.2±0.2 |
식감 | 고유의 육즙 및 탄력식감 | 4.8±0.3 | 육즙 및 탄력상실 | 2.4±0.2 |
종합적기호도 | - | 4.6±0.2 | - | 3.1±0.3 |
여기서 나타나는 기호특성은 5점 최고점을 기준으로 1점으로 갈수록 점수가 낮은 것을 뜻하고, 맛의 기준은 원래 상태의 꽃게살과 비교할 때 분리 이후의 맛을 비교하였다. 평점법을 적용하였으며 12명의 전문 관능검사 패널원을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꽃게살 분리장치로 분리한 꽃게살은 대부분 4.5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얻은 반면, 기존의 분리장치로 분리한 꽃게살의 경우, 최저 2.4에 해당하는 점수를 받아 나쁘거나 평균 수준에 해당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본 발명과 종래기술을 사용하여 분리된 꽃게살의 품질특성은 아래 표 3과 같다.
품질특성 | 본 발명을 적용한 꽃게살 |
기존 분리장치를 적용한 꽃게살 |
|
수분(%) | 80.3 | 83.5 | |
지방(%) | 0.7 | 0.6 | |
단백질(%) | 14.9 | 12.8 | |
회분(%) | 2.1 | 2.0 | |
당질(%) | 2.0 | 1.1 | |
유 리 아미노산 (mg%) |
글루탐산 | 286.4 | 74.3 |
아스파르트산 | 174.3 | 56.7 | |
글리신 | 119.6 | 29.4 | |
플로린 | 128.8 | 32.1 | |
타우린 | 126.2 | 28.0 | |
소계 | 835.3 | 220.5 |
대부분의 품질은 본 발명에 따른 꽃게살 분리장치로 갑각과 분리한 꽃게살은 대부분의 품질이 기존 분리장치를 적용하여 분리된 꽃게살에 비해 높다. 다만 수분이 경우, 기존 분리장치를 적용한 경우가 더 높은데 이것은 꽃게살 내에 원래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아니고, 열탕가열을 진행하는 과정 중에 꽃게살 내에 유입된 수분이기 때문에 오히려 꽃게살의 풍미를 저해시키는 요소이다. 본 발명의 꽃게살 분리장치의 경우 분리과정에서 물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꽃게살 내의 수분은 꽃게살 원래의 수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꽃게살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을 사용하여 게살, 내장, 및 생식소를 갑각과 분리함으로써, 다양한 조리식품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공정을 진행할 수 있어 생육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고, 간편하게 섭취 가능한 조리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흡입분리기 12: 진공펌핑부
12d: 펌프 12g: (흡입관) 일단
12p: 흡입관 14: 흡입부
14a: 흡인구 14c: 압력조절구
14e: 구동조절구 14g: (흡입부) 타단
14h: 압력조절공 16: 용기부
16a: 덮개 16c, 16e: 개구부
16g: 분리격막 16h: 기공
16h': 투입공 20: 파쇄기
22: 파쇄롤러 22a: 파쇄돌기
24: 투입구 26: 수집용기
30: 생육분리기 32: 가압롤러
32h: 관통공 34: 투입구
36: 수집용기
12d: 펌프 12g: (흡입관) 일단
12p: 흡입관 14: 흡입부
14a: 흡인구 14c: 압력조절구
14e: 구동조절구 14g: (흡입부) 타단
14h: 압력조절공 16: 용기부
16a: 덮개 16c, 16e: 개구부
16g: 분리격막 16h: 기공
16h': 투입공 20: 파쇄기
22: 파쇄롤러 22a: 파쇄돌기
24: 투입구 26: 수집용기
30: 생육분리기 32: 가압롤러
32h: 관통공 34: 투입구
36: 수집용기
Claims (16)
- 밀폐형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파쇄롤러가 구비된 파쇄기;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를 꽃게 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흡입 분리기; 및
각각에 관통공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가압롤러가 구비된 생육분리기;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분리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핑부,
상기 진공펌핑부의 공기흡입량에 따라 상기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를 수집하는 흡입부, 및
상기 진공펌핑부 및 상기 흡입부가 각각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에 의해 상부가 밀폐되고, 상기 꽃게의 내장 및 생식소가 수집되는 용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육분리기는 상기 가압롤러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가압롤러의 회전구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롤러 내부에 유입된 게살을 상기 가압롤러의 축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크래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롤러의 외주면에는 파쇄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롤러에는, 상기 파쇄롤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파쇄롤러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한 쌍의 파쇄롤러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체에 의해 좌우위치조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핑부에는 양단부 중에 일단이 상기 용기부 내에 위치한 흡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부의 양단부 중에 타단이 상기 용기부 내에 위치하되,
상기 용기부 내에서 상기 흡입부의 타단은, 상기 흡입관의 일단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흡입관의 일단의 하부 방향 및 상기 흡입부의 타단의 상부 방향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가 관통하는 투입공이 형성되고, 공기가 배출가능하도록 기공이 형성되어 기액을 선별하는 분리격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부의 양단부 중 일단에 형성되어 내장 및 생식소를 흡입하는 탄성의 흡인구,
상기 흡인구의 흡입속도를 조절하는 압력조절구, 및
신축성 및 가요성이 구비된 구동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는, 상기 흡입부의 상기 타단보다 직경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구에는 상기 흡입부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압력조절공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장치. -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꽃게살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꽃게의 배갑, 몸체, 및 족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한 게살, 내장, 및 생식소를 갑각과 분리하는 것으로,
꽃게로부터 배갑(背甲)을 분리시키는 배갑제거단계;
상기 흡입 분리기로 상기 배갑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내장 및 상기 생식소를 분리하는 흡입단계; 및
상기 생육분리기로 상기 몸체를 가압하여 몸체에 구비된 갑각 및 격막과 생육상태의 게살을 분리시키는 몸체게살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꽃게살 분리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꽃게살 분리방법은,
상기 흡입단계를 거친 꽃게의 족부를 분리하여, 상기 파쇄기로 상기 족부의 갑각을 파쇄하는 파쇄단계; 및
상기 생육분리기로 갑각이 파쇄된 상기 족부를 가압하여 족부에 구비된 갑각및 생육상태의 게살을 분리시키는 족부게살분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게살분리단계 및 상기 족부게살분리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게살분리단계 및 상기 족부게살분리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단계 이후에 상기 몸체에 잔류하는 내장 및 생식소를 제거하는 간이세척단계; 및
상기 몸체의 좌우를 분할시키는 절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살 분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2922A KR101317147B1 (ko) | 2011-12-12 | 2011-12-12 | 꽃게살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2922A KR101317147B1 (ko) | 2011-12-12 | 2011-12-12 | 꽃게살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6193A KR20130066193A (ko) | 2013-06-20 |
KR101317147B1 true KR101317147B1 (ko) | 2013-10-10 |
Family
ID=4886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2922A KR101317147B1 (ko) | 2011-12-12 | 2011-12-12 | 꽃게살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714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988882A (zh) * | 2014-05-07 | 2014-08-20 | 昆山市富众网络科技有限公司 | 螃蟹壳粉碎装置 |
KR101554898B1 (ko) * | 2013-11-29 | 2015-09-22 | 이승호 | 게살 회수기 |
KR101838940B1 (ko) * | 2015-11-10 | 2018-03-15 | 이중직 | 게 가공용 탈갑 및 절단 분리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3761B1 (ko) * | 2015-06-16 | 2016-01-21 | 김호성 | 킹크랩의 비린내 및 누린내 제거방법 및 킹크랩 찜의 제조방법 |
KR101589456B1 (ko) * | 2015-11-06 | 2016-01-28 | 김동환 | 게장 자동 채취장치 |
CN107006589A (zh) * | 2017-03-13 | 2017-08-04 | 舟山汇丰冷藏物流发展有限公司 | 一种北极甜虾生食产品的加工装置 |
CN106889166A (zh) * | 2017-03-29 | 2017-06-27 | 舟山汇丰冷藏物流发展有限公司 | 一种水产品的加工设备 |
KR101985447B1 (ko) * | 2017-06-30 | 2019-06-03 | 한국식품연구원 | 게 다리 살을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716797B1 (ko) * | 2018-12-28 | 2024-10-15 | 한국식품연구원 | 게살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살 분리방법 |
CN113925079B (zh) * | 2021-10-18 | 2023-07-21 | 南京智慧阳光科技有限公司 | 一种螺丝壳肉分离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2007471A1 (en) * | 1990-11-06 | 1992-05-14 | Offshell Engineering Development Ltd. | Apparatus for the extraction of meat from the tails of crustacea |
JPH09275889A (ja) * | 1996-04-19 | 1997-10-28 | Mayekawa Mfg Co Ltd | ホタテ貝の内臓分離吸引装置 |
JP2006034154A (ja) * | 2004-07-26 | 2006-02-09 | Mutsu Kaden Tokki:Kk | 貝処理方法とそれに使用される貝処理装置 |
-
2011
- 2011-12-12 KR KR1020110132922A patent/KR1013171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2007471A1 (en) * | 1990-11-06 | 1992-05-14 | Offshell Engineering Development Ltd. | Apparatus for the extraction of meat from the tails of crustacea |
JPH06504184A (ja) * | 1990-11-06 | 1994-05-19 | オフシェル トレイディング リミテッド | 甲殻類の尾から身を取り出す装置 |
JPH09275889A (ja) * | 1996-04-19 | 1997-10-28 | Mayekawa Mfg Co Ltd | ホタテ貝の内臓分離吸引装置 |
JP2006034154A (ja) * | 2004-07-26 | 2006-02-09 | Mutsu Kaden Tokki:Kk | 貝処理方法とそれに使用される貝処理装置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4898B1 (ko) * | 2013-11-29 | 2015-09-22 | 이승호 | 게살 회수기 |
CN103988882A (zh) * | 2014-05-07 | 2014-08-20 | 昆山市富众网络科技有限公司 | 螃蟹壳粉碎装置 |
KR101838940B1 (ko) * | 2015-11-10 | 2018-03-15 | 이중직 | 게 가공용 탈갑 및 절단 분리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6193A (ko) | 2013-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7147B1 (ko) | 꽃게살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 |
KR101423263B1 (ko) | 산채 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산채 김 | |
CN1765224A (zh) | 保健糌粑及其生产方法 | |
KR100964750B1 (ko) | 진공처리과정을 포함하는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간장게장의 제조장치 | |
CN110037254A (zh) | 一种鱼豆腐的制备方法及其装置 | |
CN105054036A (zh) | 一种开胃消食肉馅豆皮及其制备方法 | |
CN108902859A (zh) | 一种广式炖汤的制备工艺 | |
CN105325939A (zh) | 一种腐皮虾卷及其加工工艺 | |
CN103478734A (zh) | 一种木耳排毒香肠 | |
KR102103222B1 (ko) | 소고기와 장어를 이용한 떡갈비 | |
KR102247726B1 (ko) | 토마토로 세척한 해산물 제조방법 | |
CN209693950U (zh) | 一种木耳蒸煮机构 | |
CN108991436A (zh) | 一种蔬菜素糕组合式生产线的使用方法 | |
KR100921505B1 (ko) | 곰취와 우렁이가 함유된 된장 및 그 제조방법 | |
CN106173163A (zh) | 一种姜汁胡萝卜脯制备工艺 | |
CN106107000A (zh) | 一种胡萝卜蜜饯加工工艺 | |
CN209058082U (zh) | 一种蒜瓣加工系统 | |
CN101385553B (zh) | 贻贝肉的提取方法 | |
CN106360149A (zh) | 一种淡水鲨鱼饲料及其制备方法 | |
CN207613093U (zh) | 一种罗非鱼去皮加工用固定装置 | |
CN105029422A (zh) | 一种苦荞油辣椒及其制备方法 | |
CN205547176U (zh) | 一种智能的海螺清洗去壳一体机 | |
CN207411433U (zh) | 一种熟红薯原粉生产线 | |
KR101749922B1 (ko) | 연훈제 오리 구이 제조방법 | |
CN109123366A (zh) | 一种高能量速冻熟面的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