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948B1 -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948B1
KR101316948B1 KR1020120049090A KR20120049090A KR101316948B1 KR 101316948 B1 KR101316948 B1 KR 101316948B1 KR 1020120049090 A KR1020120049090 A KR 1020120049090A KR 20120049090 A KR20120049090 A KR 20120049090A KR 101316948 B1 KR101316948 B1 KR 10131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late
pressing plate
ston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희
Original Assignee
이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희 filed Critical 이강희
Priority to KR1020120049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의 절임시 재료, 즉 간장, 식초 및 기타 양념 등이 무, 고추, 오이지, 배추, 피클, 과실 등의 절임할 음식물에 충분히 절임될 수 있도록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이 소실되지 않도록 한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절임할 음식물을 담는 용기(1)와, 상기 용기(1)의 뚜껑(2)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의 다공판(21)과, 상기 다공판(21)의 외주면에 하측으로는 오무려지고 상측으로는 상기 다공판(21) 위로 접혀지지 않도록 끼움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다공을 가진 다수의 날개판(22)으로 이루어진 누름판(20)과; 상기 누름판(20)의 다공판(21) 중앙부에 상측으로 절곡된 원형 플렌지(21c)에 나사 결합되어 누름판(20)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된 나사봉(30)을 포함하는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20)의 하부에 결합되어 각종 석재를 담을 수 있는 석재 수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음식물의 절임시 재료, 즉 간장, 식초 및 기타 양념을 적은 양으로도 음식물이 절여지게 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이 소실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음식물 절임시 상기 석재, 즉 맥반석이나 흑운모 등의 석재가 절임할 음식물과 함께 물에 잠김으로써 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에 미네랄을 더 풍부하게 함유되게 하며, ph를 조절하고 정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Description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PRESSING DEVICE FOR BEING SALTED FOOD}
본 발명은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절임시 재료, 즉 간장, 식초 및 기타 양념 등이 무, 고추, 오이지, 배추, 피클, 과실 등의 절임할 음식물에 충분히 절임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2010-616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동치미를 담그거나 고추를 간장에 절이기 위해서는 보관용기에 동치미 국물 또는 양념된 간장을 넣고 이에 무 또는 고추를 넣은 후 무나 고추가 동치미 국물 또는 간장에 뜨지 않고 충분히 잠기도록 보관용기 내에 무나 고추를 누르도록 무거운 돌을 올려놓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음식물 절임 방법은, 위생적이지 못하였으며, 보관용기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돌을 수집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였고, 이를 운반, 보관하기가 쉽지 않았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는 동치미나 고추 절임 또는 그 밖의 기타 음식물을 절일시 생활 용품(예를 들면, 중량의 사기 그릇, 유리 그릇, 컵 등) 중 적절한 것을 사용하여 누름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의 절임시 재료, 즉 간장, 식초 및 기타 양념 등이 무, 고추, 오이지, 배추, 피클, 과실 등의 절임할 음식물에 충분히 절임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는, 절임할 음식물을 담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뚜껑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의 다공판과, 상기 다공판의 외주면에 하측으로는 오무려지고 상측으로는 상기 다공판 위로 접혀지지 않도록 끼움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다공을 가진 다수의 날개판으로 이루어진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다공판 중앙부에 상측으로 절곡된 원형 플렌지에 나사 결합되어 누름판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된 나사봉을 포함하는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각종 석재를 담을 수 있는 석재 수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재 수용수단은, 상부가 개구된 수용 공간을 가지고, 상부 외주면에 결합 플렌지로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석재를 담도록 형성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중앙부에 돌설되어 상기 나사봉이 삽입되는 돌설부와; 상기 수용부재에 타공되어 음식물이 담겨진 물이 수용부재 내로 유입되는 다수의 타공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본 발명의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에 의하면, 음식물의 절임시 재료, 즉 간장, 식초 및 기타 양념을 적은 양으로도 음식물이 절여지게 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이 소실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음식물 절임시 상기 석재, 즉 맥반석이나 흑운모 등의 석재가 절임할 음식물과 함께 물에 잠김으로써 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에 미네랄을 더 풍부하게 함유되게 하며, ph를 조절하고 정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를 도시한 조립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를 도시한 조립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는, 무, 고추, 오이지, 배추, 피클, 과실 등의 절임할 음식물을 담는 용기(1)와, 상기 용기(1)의 뚜껑(2)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는 누름판(20)과, 상기 누름판(20)의 중앙부에 나사 결합된 긴 나사봉(30)과, 상기 누름판(20)의 하부에 결합되어 각종 석재를 담을 수 있는 석재 수용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판(20)은 중앙의 다공판(21)과, 상기 다공판(21)의 외주면에 하측으로는 오무려지고 상측으로는 상기 다공판(21) 위로 접혀지지 않도록 끼움 결합된 다공을 가진 다수의 날개판(22)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다공판(21)의 외주측 상면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사각홀(21a)과, 상기 사각홀(21a)에는 상기 다공판(21)의 중심점을 향하는 측에 각각 상향 절곡된 상향돌기(21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날개판(22)은 상기 다공판(21)과 결합되는 측에 상기 다공판(21)의 사각홀(21a)에 하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사각돌기(22a)와, 상기 사각돌기(22a)의 중앙 각각에는 상기 다공판(21)의 상향돌기(21b)에 끼워지는 돌기홀(22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다공판(21)과 날개판(22)을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21)의 사각홀(21a)에 날개판(22)의 사각돌기(22a)를 삽입한 후, 사각돌기(22a)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홀(22b)에 다공판(21)의 상향돌기(21b)를 삽입하여 결합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 석재 수용수단(40)은, 상부가 개구된 수용 공간을 가지고, 상부 외주면에 결합 플렌지로 상기 누름판(2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석재(42)를 담도록 형성된 수용부재(41)와, 상기 수용부재(41)의 중앙부에 돌설되어 상기 나사봉(30)이 삽입되는 돌설부(43)와, 상기 수용부재(41)에 타공되어 음식물이 담겨진 물이 수용부재(41) 내로 유입되는 다수의 타공부(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석재(42)는, 주로 맥반석, 천연옥, 흑운모 중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맥반석은 하기와 같은 작용을 한다.
1. 미네랄 용출 작용
인체에 활력을 주는 40여종이상의 미네랄이 용출되어 신진대사와 피부건강 관리에 매우 효과가 좋다.
2. 수질(pH )조절 및 정수작용
산성이나 강알칼리성물을 약알칼리성(pH 7.2-7.4)으로 조절하며 수질을 활성화시켜 정수작용을 하고, 물의 연도 및 경도가 조정된다.
3. 풍부한 산소함량
맥반석을 물에 담그면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 Biochemical Oxygen Demand) 및 화학적산소요구량 (COD : Chemical Oxgen Demand)이 감소하여 방부작용은 물론 활성화에 따른 생체에 활력을 준다.
4. 원적외선 방사작용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공명. 공진. 흡수작용 등으로 식품의 선도유지, 맛의 증가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 촉진 등에 효과가 있다.
상기 천연옥은 고혈압, 당뇨병, 순환기 장애, 신장장애로 병고를 치르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자연적 약품이다. 임산부와 폐경이 된 여자는 옥을 지녀야 한다. 이러한 여자의 신체는 칼슘, 철분 그리고 마그네슘을 빼앗기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태양열에 의한 피부상해를 감소하고 고혈압에도 매우 좋은 재료이다. 옥은 사람을 유쾌하고, 명랑하게 만들어 주며 안락함을 가져다주는 물질이다.
상기 흑운모는 세종대왕 때 저술된 의학경전인 <향약집성방>에서는 만가지 약재의 서열 중에 으뜸으로 했다.
흑운모원석에는 게르마늄 36ppm 함유되어 예로부터 왕실이나 사대부에서만 알려진 신비의 광물로 인정되어 왔다. 인체의 실험결과 체내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혈액순환과 만성기관지염, 신경성 위염과 허리, 궤양성 대장염, 빈혈, 동맥경화, 당뇨병, 관절염, 건경통, 요통등 노인병은 물론 각종 현대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오장을 안정시키고 눈을 밝게 해주며 피부를 튼튼하게 해주는 신비의 돌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흑운모는 황토와 맥반석 보다 약 3배 이상 원적외선 방사율(94%)이 높으며 게르마늄 함유량이 36ppm에 이르는 생명의 돌로서 특히 중국산 천연옥과 시멘트가 열을 받으면 방사되는 발암물질도 제거시키는 기적의 돌이며 옛부터 흑운모석을 약돌이라 부른다.
이와 같이 결합하면 도 2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판(22)은 하측으로 접혀져 상기 용기(1) 내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고, 상측으로는 다공판(21)의 높이 이상으로 접혀지지 않으므로 이 날개판(22)을 펼쳐 용기(1) 내의 음식물을 누르게 된다.
상기 다공판(21)의 중앙에는 상측으로 절곡된 원형 플렌지(21c)가 형성되고, 이 원형 플렌지(21) 내에는 나사봉(30)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다공판(21)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나사봉(30)의 하측에는 상기 누름판(20)의 다공판(21)이 하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나사 플렌지(3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누름장치는 용기(1) 내에 음식물이 채워진 높이에 따라 누름판(20)을 상측으로 통해 나사봉(30)으로 나사 결합하여 높이를 조절한 후, 용기(1)에 넣고, 상기 나사봉(30)의 상면을 뚜껑(2)으로 가압하여 음식물을 누르게 된다.
상기 누름판(20)은 용기(1)의 형상에 따라 다공판(21)의 형상을 원형으로 하면 원형의 용기(1)에 사용할 수 있고, 용기의 형상이 사각형상이면 다공판(21)의 형상을 사각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 내의 음식물의 양에 따라 나사봉(30)과 누름판(20)의 높이를 나사 결합에 의해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용기 내의 음식물을 절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음식물을 절임함으로써 음식물의 절임시 재료, 즉 간장, 식초 및 기타 양념을 적은 양으로도 음식물이 절여지게 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이 소실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음식물 절임시 상기 석재, 즉 맥반석이나 흑운모 등의 석재가 절임할 음식물과 함께 물에 잠김으로써 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에 미네랄을 더 풍부하게 함유되게 하며, ph를 조절하고 정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1 : 용기 2 : 뚜껑
20 : 누름판 21 : 다공판
21a : 사각홀 21b : 상향돌기
21c : 원형 플렌지 22 : 날개판
22a : 사각돌기 22b : 돌기홀
30 : 나사봉 31 : 나사 플렌지
40 : 석재 수용수단 41 : 수용부재
43 : 석재 43 : 돌설부
44 : 타공부

Claims (2)

  1. 절임할 음식물을 담는 용기(1)와, 상기 용기(1)의 뚜껑(2)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의 다공판(21)과, 상기 다공판(21)의 외주면에 하측으로는 오무려지고 상측으로는 상기 다공판(21) 위로 접혀지지 않도록 끼움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다공을 가진 다수의 날개판(22)으로 이루어진 누름판(20)과; 상기 누름판(20)의 다공판(21) 중앙부에 상측으로 절곡된 원형 플렌지(21c)에 나사 결합되어 누름판(20)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된 나사봉(30)과; 상기 누름판(20)의 하부에 결합되어 각종 석재를 담을 수 있는 석재 수용수단을 포함하는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석재 수용수단(40)은, 상부가 개구된 수용 공간을 가지고, 상부 외주면에 결합 플렌지로 상기 누름판(2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석재(42)를 담도록 형성된 수용부재(41)와;
    상기 수용부재(41)의 중앙부에 돌설되어 상기 나사봉(30)이 삽입되는 돌설부(43)와;
    상기 수용부재(41)에 타공되어 음식물이 담겨진 물이 수용부재(41) 내로 유입되는 다수의 타공부(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2. 삭제
KR1020120049090A 2012-05-09 2012-05-09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KR101316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090A KR101316948B1 (ko) 2012-05-09 2012-05-09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090A KR101316948B1 (ko) 2012-05-09 2012-05-09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948B1 true KR101316948B1 (ko) 2013-10-11

Family

ID=4963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090A KR101316948B1 (ko) 2012-05-09 2012-05-09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9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4285A (zh) * 2013-11-30 2015-06-03 崔升刚 一种泡菜坛用金属网变形的压制件
CN104670676A (zh) * 2013-11-30 2015-06-03 崔升刚 一种泡菜坛用金属网变形的压制件的应用
CN104664286A (zh) * 2013-11-30 2015-06-03 崔升刚 一种泡菜坛用复合变形的压制件
KR20180002671U (ko) 2017-03-02 2018-09-12 서한호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KR101906636B1 (ko) 2014-07-21 2018-10-10 이원재 절첩식 식품누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843A (ko) * 2001-07-04 2001-09-03 이정석 원적외선방사용기
KR20100006162U (ko) * 2008-12-09 2010-06-17 이경숙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843A (ko) * 2001-07-04 2001-09-03 이정석 원적외선방사용기
KR20100006162U (ko) * 2008-12-09 2010-06-17 이경숙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4285A (zh) * 2013-11-30 2015-06-03 崔升刚 一种泡菜坛用金属网变形的压制件
CN104670676A (zh) * 2013-11-30 2015-06-03 崔升刚 一种泡菜坛用金属网变形的压制件的应用
CN104664286A (zh) * 2013-11-30 2015-06-03 崔升刚 一种泡菜坛用复合变形的压制件
KR101906636B1 (ko) 2014-07-21 2018-10-10 이원재 절첩식 식품누름장치
KR20180002671U (ko) 2017-03-02 2018-09-12 서한호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948B1 (ko)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JP7296682B1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322612B (zh) 电磁炉抗电波养生美容导磁保健体在微波炉的用途用法
CN104585702A (zh) 一种制造盐水鸭的原料及其制造方法
KR101337498B1 (ko) 탄산수와 솔잎을 이용한 계육의 숙성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숙성된 계육을 이용한 웰빙 닭갈비 제조방법
CN106820009A (zh) 一种黄花菜泡菜及其制备方法
KR20110073134A (ko) 자연숙성 재래식 간장과 고추씨, 무, 양파, 다시마 등을 이용한 단초간장의 제조방법
KR20120098143A (ko) 원적외선 방사 광물을 이용한 홍어 숙성 방법
Kim et 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treated with different methods of green tea water extracts
CN108059227A (zh) 增高益智抗癌抗衰美容补肾排毒除垢降三高的净化矿化水桶
KR20130052817A (ko) 수면장애 치료기
KR101796721B1 (ko) 저염 김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80146Y1 (ko) 건강식 훈제요리용 용기
KR200384352Y1 (ko) 숯불 구이기
KR101534759B1 (ko)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숙성 김치 제조방법
KR200473208Y1 (ko) 숯 블록 구조로 이루어진 전기매트
CN208850833U (zh) 火锅调味台
JPH02126817A (ja) 天然石を素材とする飲食物の品質向上用器具又は装置
KR100881274B1 (ko) 해수 지장수 추출장치
KR20230035865A (ko) 황토 참숯 훈제 항아리와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
KR100385775B1 (ko) 음식조리용 소나무통
CZ30515U1 (cs) Fortifikační filtr pitné vody
KR200212677Y1 (ko) 옥돌과 숯을 이용한 취사 보조 기구
KR200234531Y1 (ko) 다목적 칸막이
CN108056683A (zh) 增高益智抗癌抗衰美容补肾排毒除垢降三高的温泉电热开水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