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442B1 - 부품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442B1
KR101316442B1 KR1020060022266A KR20060022266A KR101316442B1 KR 101316442 B1 KR101316442 B1 KR 101316442B1 KR 1020060022266 A KR1020060022266 A KR 1020060022266A KR 20060022266 A KR20060022266 A KR 20060022266A KR 101316442 B1 KR101316442 B1 KR 10131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position
component
vibration
counter weight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433A (ko
Inventor
슈우이치 나루카와
데츠유키 기무라
Original Assignee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69744A external-priority patent/JP48722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968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857581B2/ja
Application filed by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9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8Supports or mountings for load-carriers, e.g. framework, bases, sp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3/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6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vibrator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high frequency and small amplitude
    • B65G27/24Electromagnetic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부품을 부드럽게 반송할 수 있는 부품 반송 장치를 제공한다.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의 최하방으로부터, 순서대로 베이스부(301), 압전식 진동부(302), 카운터 웨이트(303), 진동 전달부(304) 및 반송로(305)가 배치 형성된다. 또, 압전식 진동부(302)의 중심 위치 및 진동 전달부(304)의 중심 위치와, 카운터 웨이트(303)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L10)이 부품에 대한 반송 각도(α10)와 거의 평행해지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부품 반송 장치{PARTS FEEDER}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진동 상태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원발명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동작 상태의 시뮬레이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모식도.
도 5는,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모식도.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는,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제6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제7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
도 12는, 제7 실시형태에 관한 파트 피더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
도 13은, 제8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
도 14는, 종래의 파트 피더의 지지 스프링에 있어서의 요동 방향과 방진용 판 스프링에 있어서의 요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리니어형 파트 피더 301 : 베이스부
302 : 압전식 진동부 303 : 카운터 웨이트
304 : 진동 전달부 305 : 반송로
본 발명은, 부품을 진동에 의해 이송하는 것이 가능한 부품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품에 대해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부품을 정렬시키는 동시에, 부품의 반송을 행하는 부품 반송 장치의 하나로서 파트 피더가 잘 알려져 있다. 이 파트 피더는, 부품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부품의 자세를 정돈하여 다음 공정으로 반송할 수 있다.
국제 공개 제2004/067413호 팜플렛에는, 응력을 억제하여 고주파수 구동시라 하더라도 충분한 진폭을 확보하는 동시에 진동 발생 수단에 작용하는 응력을 억제하고, 진동 발생 수단의 교체나 공진 주파수의 변경 및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압전 구동식 파트 피더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트 피더에 있어서는, 부품을 반송하는 반송로의 양단부가 서로 상하 역방향으로 진동하고, 회전 운동을 행하는 현상(이하, 피칭 현상이라 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피칭 현상이 발생하면, 반송로상에 진동의 절(節, stripe)이 나타나므로, 부품의 반송이 정체되거나 부품이 역송되기도 하였다.
또, 이 피칭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파트 피더의 최하부에 배치 형성되는 베이스부의 중량을 무겁게 함으로써, 피칭 현상의 저감을 도모하였지만, 베이스부에 전해지는 진동이 파트 피더의 하방으로 전달되어, 소음, 베이스부의 고정의 마모 등 많은 과제가 발생하였다.
또, 종래의 파트 피더에 있어서는, 베이스부, 카운터 웨이트, 가동부 및 반송로를 순서대로 아래로부터 쌓아 올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스프링에 있어서의 요동 방향과 방진용 판 스프링에 있어서의 요동 방향이 상반되는 방향이 되어 균일한 진동을 반송로에 반송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하, 상세한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종래의 파트 피더(900)의 지지 스프링에 있어서의 요동 방향과 방진 용 판 스프링에 있어서의 요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902)와 카운터 웨이트(903)를 접속하는 지지 스프링(980)은, 도면중의 화살표 R1의 방향으로 요동하는 상태이지만, 카운터 웨이트(903)와 베이스부(901)를 접속하는 방진용 판 스프링(990)은, 도면중의 화살표 R11의 방향으로 요동하는 상태이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고 있다. 그 결과, 반송로(905)에 있어서의 진동이 균일하게 되지 않아, 부품의 반송이 정지되거나 역송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을 부드럽게 반송할 수 있는 부품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을 부드럽게 반송하는 동시에, 부품 반송 장치의 하방에 부여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부품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 부재 및 방진 부재의 요동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부품을 부드럽게 반송할 수 있는 부품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제1 발명에 관한 부품 반송 장치는, 부품에 진동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부품을 직선형으로 이송하는 부품 반송 장치로서, 상기 부품 반송 장치의 최하방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방진 부재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부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제1 가동부와, 지지 부재 및 상기 진동체를 통하여 상기 제1 가동부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제1 가동부와 접속된 연결 부재를 통하여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제2 가동부와, 상기 제2 가동부의 상방에 배치 형성되고, 상기 부품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동부의 중심 위치, 상기 제2 가동부의 중심 위치 및 상기 반송로의 중심 위치를 총합한 중심 위치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부품에 대한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다.
제1 발명에 관한 부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는, 부품 반송 장치의 최하방으로부터, 순서대로 베이스부, 제1 가동부, 카운터 웨이트, 제2 가동부 및 반송로가 배치 형성된다. 또, 제1 가동부 및 제2 가동부의 중심과 카운터 웨이트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부품에 대한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와 거의 평행해지도록 배치된다. 카운터 웨이트는, 진동추부 또는 밸런스 웨이트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가동부 및 제2 가동부를 카운터 웨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분할하여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 가동부의 중심 위치, 제2 가동부의 중심 위치 및 반송로의 중심 위치를 총합한 중심 위치와, 카운터 웨이트의 중심 위치와 접근시킬 수 있다.
또, 총합한 중심 위치가, 카운터 웨이트의 중심 위치와 접근함으로써, 서로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을, 부품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와 거의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베이스부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아도, 반송로의 피칭 현상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을 부드럽게 반송할 수 있고, 또한 부품 반송 장치의 하방에 부여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2)
제1 가동부는, 제1 가동부의 중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웨이트 조정 기구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가동부의 중심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제1 가동부의 중심 위치, 제2 가동부의 중심 위치 및 반송로의 중심 위치를 총합한 중심 위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총합한 중심 위치와 카운터 웨이트의 중심 위치의 서로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을, 부품에 대한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3)
제2 가동부는, 제2 가동부의 중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웨이트 조정 기구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가동부의 중심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제1 가동부의 중심 위치, 제2 가동부의 중심 위치 및 반송로의 중심 위치를 총합한 중심 위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총합한 중심 위치와 카운터 웨이트의 중심 위치의 서로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을, 부품에 대한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4)
방진 부재의 강성을 지지 부재보다 극단적으로 낮게 해도 된다. 종래의 부품 반송 장치이면, 베이스부의 질량을 증가시켜 방진 부재의 강성을 극단적으로 낮춘 경우라 하더라도, 반송로에 적정하게 진동이 전달되지 않아, 부품을 부드럽게 반송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 경우, 피칭 진동이 없기 때문에, 베이스부에 전달되 는 반력이 되는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베이스부의 질량을 저감할 수 있어 반송로상의 부품을 부드럽게 반송할 수 있다.
(5)
제2 발명에 관한 부품 반송 장치는, 부품에 진동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부여하여 부품을 직선형으로 이송하는 부품 반송 장치로서, 부품 반송 장치의 최하방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방진 부재를 통하여 베이스부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제1 카운터 웨이트와, 지지 부재 및 진동체를 통하여 제1 카운터 웨이트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가동부와, 제1 카운터 웨이트와 접속된 연결 부재를 통하여 배치 형성된 제2 카운터 웨이트와, 부품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로를 포함하고, 제1 카운터 웨이트의 중심 위치 및 제2 카운터 웨이트의 중심 위치를 총합한 중심 위치와, 가동부의 중심 위치 및 반송로의 중심 위치를 총합한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이 부품에 대한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제2 발명에 관한 부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는, 부품 반송 장치의 최하방으로부터, 순서대로 베이스부, 제1 카운터 웨이트, 가동부 및 반송로가 배치 형성된다. 제2 카운터 웨이트는, 제1 카운터 웨이트보다 적어도 상방에 연결 부재를 통하여 배치된다. 또, 제1 카운터 웨이트의 중심 위치 및 제2 카운터 웨이트의 중심 위치를 총합한 중심 위치와, 가동부의 중심 위치 및 반송로의 중심 위치를 총합한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이 부품에 대한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카운터 웨이트 및 제2 카운터 웨이트를 상하로 분할하여 배치 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카운터 웨이트 및 제2 카운터 웨이트를 총합한 중심 위치를, 가동부의 중심 위치 및 반송로의 중심 위치를 총합한 중심 위치와 접근시킬 수 있다.
또, 제1 카운터 웨이트 및 제2 카운터 웨이트를 총합한 중심 위치가, 가동부의 중심 위치 및 반송로의 중심 위치를 총합한 중심 위치와 접근함으로써, 서로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을, 부품에 대한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와 거의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베이스부의 중량을 무겁게 하지 않더라도, 반송로의 피칭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부품을 부드럽게 반송할 수 있고, 또한 부품 반송 장치의 하방에 부여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6)
제2 카운터 웨이트는, 반송로의 상방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카운터 웨이트 및 제2 카운터 웨이트를 총합한 중심 위치가, 부품 반송 장치 전체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1 카운터 웨이트 및 제2 카운터 웨이트와의 중심 위치가, 가동부의 중심 위치 및 반송로의 중심 위치를 총합한 중심 위치와 접근함으로써, 서로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을, 부품에 대한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7)
제2 카운터 웨이트는, 제1 카운터 웨이트의 측방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카운터 웨이트 및 연결 부재에 의해, 제1 카운터 웨이트 및 제2 카운터 웨이트를 총합한 중심 위치를 가동부의 중심 위치 및 반송로의 중심 위치를 총합한 중심 위치와 접근시킬 수 있어, 서로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을, 부품에 대한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8)
방진 부재의 강성을 지지 부재보다 낮게 해도 된다. 이 경우, 베이스부에 전달되는 반력을 저감할 수 있어 베이스부의 질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 반송 장치의 바닥부로의 진동 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9)
제3 발명에 관한 부품 반송 장치는, 부품에 가진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부여하여 부품을 직선형으로 이송하는 부품 반송 장치로서, 부품 반송 장치의 최하방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방진 부재를 통하여 베이스부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가진기를 포함하고, 가진기의 하단부는, 베이스부의 상단부에 의해 방진 부재를 사용하여 하방에 현가(懸架)되는 것이다.
제3 발명에 관한 부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는, 부품 반송 장치의 최하방에 베이스부가 배치되고, 그 상방에 방진 부재를 통하여 가진기가 배치 형성된다. 이 베이스부의 상단부로부터 방진 부재를 사용하여 가진기의 하단부가 현가된다.
이 경우, 종래 서로 대향하였던 요동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어, 가진기내에 있어서의 요동 방향과, 베이스부에 의해 현가된 가진기의 하단부와의 요동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안정된 진동을 부품에 반송할 수 있으므로, 부드럽게 부품을 반송할 수 있다.
(10)
가진기는, 방진 부재를 통하여 베이스부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제1 가동부와, 지지 부재 및 진동체를 통하여 제1 가동부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카운터 웨이트와, 제1 가동부와 접속된 연결 부재를 통하여 카운터 웨이트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제2 가동부와, 제2 가동부의 상방에 배치 형성되고, 부품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로를 포함하고, 제1 가동부의 하단부는 베이스부의 상단부에 의해 방진 부재를 사용하여 하방에 현가되고, 또한 제1 가동부의 상단부는 카운터 웨이트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 부재를 사용하여 하방에 현가되어도 된다.
이 경우, 지지 부재에 의한 요동 방향과, 방진 부재에 의한 요동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또, 제1 가동부 및 제2 가동부를 상하로 분할하여 배치시키므로, 제1 가동부의 중심 위치, 제2 가동부의 중심 위치 및 반송로의 중심 위치를 총합한 중심 위치와, 카운터 웨이트(진동추부)의 중심 위치를 접근시킬 수 있어, 서로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을, 부품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와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반송로에 적절한 진동을 부여할 수 있어, 부품을 더욱 부드럽게 반송할 수 있는 동시에, 피칭 현상의 방지에 의해 부품 반송 장치의 하방에 부여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11)
가진기는, 카운터 웨이트와, 지지 부재 및 진동체를 통하여 카운터 웨이트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가동부를 포함하고, 카운터 웨이트의 상단은 가동부의 하단에 의해 지지 부재를 사용하여 하방에 현가되고, 또한 카운터 웨이트의 하단은 베이스부의 상단에 의해 방진 부재를 사용하여 하방에 현가되어도 된다.
이 경우, 지지 부재에 의한 요동 방향과, 방진 부재에 의한 요동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반송로에 적절한 진동을 부여할 수 있어 부품을 부드럽게 반송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부품 반송 장치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는, 베이스부(301), 압전식 진동부(302), 카운터 웨이트(303), 진동 전달부(304), 반송로(305), 연결판(370) (일부 삭제), 지지 스프링(380) 및 방진용 판 스프링(390)을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301)의 상부에는, 압전식 진동부(302)가 복수의 방진용 판 스프링(390)에 의해 유지된다. 압전식 진동부(302)의 상부에는, 카운터 웨이트(303)가 복수의 지지 스프링(380)에 의해 유지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식 진동부(302) 및 카운터 웨이트(303)의 내부에는, 평판을 굴곡시킨 L자형의 탄성 부재(410)가 형성된다. 탄성 부재(410)의 일단측이 카운터 웨이트(303)에 고정되고, 타단측이 압전식 진동부(302)에 고정된다.
또, 탄성 부재(410)의 양면에는 압전 소자(411)가 배치 형성된다. 이 탄성 부재(410) 및 압전 소자(411)로 이루어진 스프링 정수는, 반송하는 부품의 중량, 크기 및 반송로(305)의 중량 등에 의해 정해지는 임의의 공진 주파수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도 1의 압전 소자(411)에서는, 구체적으로 압전 세라믹스를 분극 처리하여 탄성 부재(410)의 일방의 면에 플러스 극성의 분극 전위를 부여한 것을 부착하고, 탄성 부재(410)의 타방의 면에 마이너스 극성의 분극 전위를 부여한 것을 부착한다. 그것에 의해, 탄성 부재(410)의 표리면에 압전 소자(411)에 의한 바이모프(bimorph) 구조가 형성된다. 압전 소자(411)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여, 카운터 웨이트(303)와 압전식 진동부(302)가 진동한다.
계속해서, 카운터 웨이트(303)의 상부에는 진동 전달부(304)가 형성된다. 이 진동 전달부(304)는, 압전식 진동부(302)에 고정 형성된 연결판(370)에 의해 고정된다. 즉, 진동 전달부(304)는, 압전식 진동부(302)의 진동과 동기한 움직임을 행한다. 진동 전달부(304)의 동작의 상세한 것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 진동 전달부(304)의 상면에는 반송로(305)가 형성된다. 반송로(305)에 진동이 부여됨으로써, 부품은 반송로(305)에 형성된 반송 홈내를 이동한다.
이어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의 동작에 대해, 종래의 리니어형 파트 피더와 비교하여 도면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진동 상태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원발명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의 동작 상태의 시뮬레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고유 진동수(f)는, 탄성 부재(410), 압전 소자(411) 및 지지 스프링(380)의 스프링 정수의 합계(k1)와, 압전식 진동부(302), 카운터 웨이트(303) 및 진동 전달부(304)의 등가 질량(M)을 이용하여 이하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또, 방진용 판 스프링(390)의 스프링 정수는 k1보다 극단적으로 작다.
(식 1)
f=1/2×[(k1)/M]1/2 … (1)
또, 식 1에 있어서의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등가 질량(M)은 이하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식 2)
M=(m1×m2)/(m1+m2) … (2)
본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에서는, 식 2에 있어서의 m1이 압전식 진동부(302), 진동 전달부(304), 반송로(305) 및 연결판(370)의 질량을 나타내고, m2가 카운터 웨이트(303)의 질량을 나타낸다.
한편, 종래의 리니어형 파트 피더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1이 카운터 웨이트(b)의 질량을 나타내고, m2가 가동부(c)의 질량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산출된 고유 진동수(f)에 의해 압전 소자를 진동시켜, 각각 리니어형 파트 피더를 진동시킨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유 진동수(f)로 공진시킨 종래의 리니어형 파트 피더에 있어서는, 반송로(d)의 일단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타단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있고, 반송로(d) 자체가 회전하고 있어, 소위 피칭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 피칭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반송로(d)에 진동의 절이 나타나, 부품이 반송로(d)내에 있어서 정지되거나 역송된다.
또한, 종래의 리니어형 파트 피더에 있어서는, 피칭 현상에 의해 베이스부(a)의 일단이 하방로 이동하는 동시에, 베이스부(a)의 타단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있다. 즉, 베이스부(a)의 하면에 대해 큰 진동이 발생하였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를 구동시킨 경우, 반송로(305)의 일단이 위로 이동하는 동시에 타단이 상방향으로 진동하고 있고, 반송로(305)가 일체로서 거의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어, 소위 피칭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본원발명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에 있어서는, 피칭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베이스부(301)의 하면이 거의 흔들리지 않아, 큰 진동이 발생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피칭 현상의 유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리니어형 파트 피더의 모식도이고, 도 5는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의 모식도이다.
도 4에 있어서의 리니어형 파트 피더는, 베이스부(a), 카운터 웨이트(b), 가동부(c) 및 반송부(d)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경우, 카운터 웨이트(b)의 중심 위치(Mb) 및 가동부(c)의 중심 위치(Mc)를 연결한 직선(L20)이, 부품의 반송 각도(α 10)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반송로(d)에 부여되는 진동은, 직선(L20)의 방향의 진동이 지지 스프링(380)의 작용에 의해 방향이 변환된 것으로 생각된다. 즉, 그 진동 방향을 지지 스프링(380)에 의해 변경시키는 것에 의한 부하가 걸려 있기 때문에, 반송 각도(α10)와 거의 평행하게 진동을 부여할 수 없어, 피칭 현상이 발생하였다.
한편, 도 5에 있어서의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를 구성하는 베이스부(301), 압전식 진동부(302), 카운터 웨이트(303), 진동 전달부(304) 및 반송로(305)에 있어서는, 압전식 진동부(302) 및 진동 전달부(304)가 연결판(37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있고, 두 부재가 동위상의 상태로 도면중 일방의 방향(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카운터 웨이트(303)가 역위상의 상태로 도면중 타방의 방향(우측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것은, 압전식 진동부(302), 진동 전달부(304) 및 반송로(305)를 총합한 중심 위치(M302)와, 카운터 웨이트(303)의 중심 위치(M303)를 연결한 직선(L10)이 부품의 반송 각도(α10)와 거의 평행하게 되어 있고, 각각이 서로 균형잡힌 움직임을 하고 있는 것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지지 스프링(380)에 의해 진동 방향을 크게 변화시킬 필요가 없고, 반송로(305)를 부품의 반송 각도(α10)에 일치시킨 상태로 거의 평행하게 진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부품을 부드럽게 반송시킬 수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에 있어서는, 피칭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부(301)의 질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로부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에 있어서는, 압 전식 진동부(302) 및 진동 전달부(304)를 카운터 웨이트(303)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분할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압전식 진동부(302), 진동 전달부(304) 및 반송로(305)의 총합한 중심 위치(M302)를 카운터 웨이트(303)의 중심 위치(M303)에 접근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중심 위치(M302) 및 중심 위치(M303)를 연결하는 직선(L10)을 부품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α10)와 일치시킬 수 있다.
또, 베이스부(301)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베이스부(301)의 질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의 하방으로의 진동 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a)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a)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a)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와 상이한 것은 이하의 점이다.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압전식 진동부(302)의 하면에 추(400) 및 한쌍의 탄성 부재(402)를 포함한다.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a)의 압전식 진동부(302)의 하면에는, 한쌍의 탄성 부재(402)를 장착가능한 나사 구멍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그 최적의 위치의 나사 구멍을 이용하여 나사에 의해 한쌍의 탄성 부재(402)를 고정한다. 또, 추(400)에는, 한쌍의 탄성 부재(402)에 장착가능한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최적의 위치의 나사 구멍을 이용하여 나사에 의해 추(400)를 고정한다.
이상에 의해,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a)에 있어서는, 압전식 진동부(302), 진동 전달부(304) 및 반송로(305)를 총합한 중심 위치(M302)의 위치를 중심 위치(M302a)로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중심 위치(M302a)를 중심 위치(M303)에 더 접근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추(400)를 한쌍의 탄성 부재(402)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전식 진동부(302)의 하면에 직접 추(400)를 고정시켜도 된다.
이 중심 위치를 조정하는 이유로는, 반송로(305)의 진동을 적정한 진동으로 조정함으로써 방진용 판 스프링(390)의 강성을 낮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베이스부(301)로의 진동 전달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중심 위치(M302a) 및 중심 위치(M303)를 연결하는 직선(L10a)을 부품의 반송 각도(α10)에 일치시키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그 결과, 피칭 현상을 방지하여 부품의 반송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또, 베이스부(301)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베이스부(301)의 질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a)의 하방으로의 진동 전달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b)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b)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 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301)의 상부에는, 카운터 웨이트(303b)가 복수의 방진용 판 스프링(390b)에 의해 유지된다. 카운터 웨이트(303b)의 상부에는, 압전식 진동부(302b)가 복수의 지지 스프링(380b)에 의해 유지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식 진동부(302b) 및 카운터 웨이트(303b)의 내부에는, 평판을 굴곡시킨 L자형의 탄성 부재(410)가 형성된다. 탄성 부재(410)의 일단측이 카운터 웨이트(303b)에 고정되고, 타단측이 압전식 진동부(302b)에 고정된다.
이 탄성 부재(410) 및 압전 소자(411)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와 동일한 구성이다.
계속해서, 압전식 진동부(302b)의 상면에는 반송로(305b)가 형성된다. 또, 반송로(305b)의 상부에는 추(400b)가 형성된다. 이 추(400)는, 카운터 웨이트(303b)에 장착된 연결판(370b)에 의해 유지된다.
이 경우, 추(400b) 및 카운터 웨이트(303b)가 동위상의 움직임을 행하게 된다. 그 결과, 추(400b) 및 카운터 웨이트(302b)를 총합한 중심 위치(M303b)가, 카운터 웨이트(303b)만의 중심 위치(M303)보다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압전식 진동부(302b) 및 반송로(305)를 총합한 중심 위치(M302b)와 접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전식 진동부(302b)의 중심 위치(M302b)와, 카운터 웨이트(303b) 및 추(400)를 총합한 중심 위치(M303b)를 연결하는 직선(L10b)을 부품을 반송하는 반송 각도(α10)와 거의 일치시킬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중심 위치(M302b) 및 중심 위치(M303b)를 연결하는 직선(L10b)을 부품의 반송 각도(α10)에 일치시키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그 결과, 피칭 현상을 방지하여 부품의 반송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또, 베이스부(301)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베이스부(301)의 질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b)의 하방으로의 진동 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이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c)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c)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c)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b)와 상이한 것은 이하의 점이다.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c)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추(400b) 및 연결 부재(370b)대신 추(400c), 한쌍의 탄성 부재(420c) 및 장착 부재(410c)를 포함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식 진동부(302b)에 장착 부재(410c)가 배치 형성되고, 그 장착 부재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한쌍의 탄성 부재(420c)가 연장되고, 그 탄성 부재(420c)의 하단에 추(400c)가 배치 형성된다.
이 경우, 가령 피칭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추(400c)가 탄성 부재(420c)를 통하여 피칭 현상과 역위상의 진자 동작을 행하므로 피칭 현상을 상쇄하게 된다.
또한, 압전식 진동부(302b)의 중심 위치가 추(400c)와 압전식 진동부(302b) 를 총합한 중심 위치(M302c)로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중심 위치(M302b)를 중심 위치(M302c)로 이동함으로써, 카운터 웨이트(303b)의 중심 위치(M303b)와 접근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반송로(305), 압전식 진동부(302b) 및 추(400c)를 총합한 중심 위치(M302c)와, 카운터 웨이트(303b)의 중심 위치(M303b)를 연결하는 직선(L10c)을 부품을 반송하는 반송 각도(α10)와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칭 현상을 방지하여 부품의 반송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또, 베이스부(301)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베이스부(301)의 질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c)의 하방으로의 진동 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이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d)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d)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d)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b)와 상이한 것은 이하의 점이다.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d)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추(400b) 및 연결 부재(370b)대신 추(400d), 한쌍의 탄성 부재(420d) 및 장착 부재(410d)를 포함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303b)에 장착 부재(410d)가 배치 형성되고, 그 장착 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한쌍의 탄성 부재(420d)가 연 장되고, 그 탄성 부재(420d)의 선단에 추(400d)가 배치 형성된다.
이 경우, 가령 피칭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추(400d)가 탄성 부재(420d)를 통하여 피칭 현상과 역위상의 진자 동작을 행하므로 피칭 현상을 상쇄하게 된다.
또한, 카운터 웨이트(303b)의 중심 위치가 추(400d)와 카운터 웨이트(303b)를 총합한 중심 위치(M303d)로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추(400d)와 카운터 웨이트(303b)를 총합한 중심 위치(M303d)와, 반송로(305) 및 압전식 진동부(302b)의 중심 위치(M302b)를 연결하는 직선(L10d)을 부품을 반송하는 반송 각도(α10)와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칭 현상을 방지하여 부품의 반송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또, 베이스부(301)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베이스부(301)의 질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d)의 하방으로의 진동 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이하, 제6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e)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제6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e)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6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e)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와 상이한 것은 이하의 점이다.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e)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추(400) 및 한쌍의 연결 부재(402)를 압전식 진동부(302)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진동 전달부(304)에 추 (400e) 및 한쌍의 탄성 부재(402e)를 형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e)의 진동 전달부(304)의 단부에는, 한쌍의 탄성 부재(402e)를 장착가능한 나사 구멍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그 최적의 위치의 나사 구멍을 이용하여 나사에 의해 한쌍의 탄성 부재(402e)를 고정한다. 또, 추(400e)에는 한쌍의 탄성 부재(402e)에 장착가능한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최적의 위치의 나사 구멍을 이용하여 나사에 의해 추(400e)를 고정한다.
이상으로부터, 제6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e)에 있어서는, 압전식 진동부(302) 및 진동 전달부(304)를 카운터 웨이트(303)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분할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압전식 진동부(302), 진동 전달부(304) 및 반송로(305)를 총합한 중심 위치(M302)를 카운터 웨이트(303)의 중심 위치(M303)에 접근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중심 위치(M302e) 및 중심 위치(M303)를 연결하는 직선(L10)을 부품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α10)와 일치시킬 수 있다.
또, 베이스부(301)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베이스부(301)의 질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e)의 하방으로의 진동 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가동부 및 제2 가동부를 가지는 구성에 있어서, 진동 전달부(304) 및 반송로(305)를 별개의 독립된 부재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 전달부(304)와 반송로(305)를 일체화시킨 하나의 부재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운터 웨이트로 표현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추부 또는 밸런스 웨이트 등도 포함하는 것이다.
(제7 실시형태)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제7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이고, 도 12는 제7 실시형태에 관한 파트 피더(300)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는, 베이스부(301), 압전식 진동부(302), 카운터 웨이트(303), 진동 전달부(304), 반송로(305), 연결판(370), 지지 스프링(380) 및 방진용 판 스프링(390)을 포함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301)의 상방에 압전식 진동부(302)가 형성된다. 압전식 진동부(302)의 상방에는, 지지 스프링(380)을 통하여 카운터 웨이트(303)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의 베이스부(301)의 좌우 양단의 상부에는, 한쌍의 T자형 부재(301T)가 형성되고, 압전식 진동부(302)의 좌우 양단의 하부에는 각각 2개의 돌기형 부재(302T)가 형성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자형 부재(301T)에는 2개의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또, T자형 부재(301T)의 근원을 사이에 두도록 2개의 돌기형 부재(302T)가 배치 형성되고, 돌기형 부재(302T)에는 각각 1개의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T자형 부재(301)의 2개 중 일방의 나사 구멍에 방진용 판 스프링(390)의 일단이 볼트(395)에 의해 고정되고, 돌기형 부재(302T)의 일방의 나사 구멍에 방진용 판 스프링(390)의 타단이 볼트(395)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T자형 부재(301)의 2개 중 타방의 나사 구멍에 방진용 판 스프링(390)의 일단이 볼트(395)에 의해 고정되고, 돌기형 부재(302T)의 타방의 나사 구멍에 방진용 판 스프링(390)의 타단이 볼트(395; 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베이스부(301)는 좌우 양단의 T자형 부재(301T)에 의해, 각각 돌기형 부재(302T)를 하방에 현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기형 부재(302T) 및 T자형 부재(301T)는 2개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임의의 수로 형성해도 된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식 진동부(302) 및 카운터 웨이트(303)의 내부에는, 평판을 굴곡시킨 L자형의 탄성 부재(410)가 형성된다. 탄성 부재(410)의 일단측이 카운터 웨이트(303)에 고정되고, 타단측이 압전식 진동부(302)에 고정된다.
또한, 탄성 부재(410)의 양면에는 압전 소자(411)가 배치 형성된다. 이 탄성 부재(410) 및 압전 소자(411)로 이루어진 스프링 정수는, 반송하는 부품의 중량, 크기 및 반송로(305)의 중량 등에 의해 정해지는 임의의 공진 주파수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도 11의 압전 소자(411)는, 구체적으로, 압전 세라믹스를 분극 처리하여 탄성 부재(410)의 일방의 면에 플러스 극성의 분극 전위를 부여한 것을 부착하고, 탄성 부재(410)의 타방의 면에 마이너스 극성의 분극 전위를 부여한 것을 부착한다. 그것에 의해, 탄성 부재(410)의 표리면에 압전 소자(411)에 의한 바이모프 구조가 형성된다. 압전 소자(411)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고, 카운터 웨이트(303)와 압전식 진동부(302)가 서로 역방향으로 진동한다.
계속하여, 카운터 웨이트(303)의 상부에는 진동 전달부(304)가 형성된다. 이 진동 전달부(304)는, 압전식 진동부(302)에 고정 형성된 연결판(370)에 의해 고정된다. 즉, 진동 전달부(304)는 압전식 진동부(302)의 진동과 동기한 움직임을 행한다. 또, 진동 전달부(304)의 상면에는 반송로(305)가 형성된다. 반송로(305)에 진동이 부여됨으로써 부품이 반송로(305)에 형성된 반송 홈내를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에 있어서는, 돌기형 부재(302T)가 T자형 부재(301T)에 의해 방진용 판 스프링(390)을 이용하여 하방에 현가되므로, 도 11의 화살표 R2의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또, 카운터 웨이트(303) 및 압전식 진동부(302)를 접속하는 지지 스프링(380)에 있어서도, 카운터 웨이트(303)의 하단부가 지지 스프링(380)을 통하여 압전식 진동부(302)의 상단부를 하방에 현가하므로, 도 11의 화살표 R1의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진용 판 스프링(390) 및 지지 스프링(380)의 요동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된 진동이 반송로(305)에 부여되어 부드럽게 부품의 반송을 행할 수 있다.
또, 압전식 진동부(302) 및 진동 전달부(304)를 상하로 분할하여 배치시켰기 때문에, 압전식 진동부(302)의 중심 위치, 진동 전달부(304)의 중심 위치 및 반송로(305)의 중심 위치를 총합한 중심 위치와, 카운터 웨이트(303)의 중심 위치를 접근시킬 수 있고, 서로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을, 부품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와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소위 피칭 현상이 방지되어 부품을 부드럽게 반송할 수 있고, 또한 부품 반송 장치의 하방에 부여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8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제8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제8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a)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a)는, 베이스부(301a), 압전식 진동부(302a), 카운터 웨이트(303a), 반송로(305a), 지지 스프링(380a) 및 방진용 판 스프링(390a)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01a)의 상방에 카운터 웨이트(303a)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7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제8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a)의 베이스부(301a)의 좌우 양단의 상부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한쌍의 T자형 부재(301T)가 형성된다. 또, 도 12에 있어서의 압전식 진동부(302)의 돌기형 부재(302T)가 아니라, 카운터 웨이트(303a)의 좌우 양단의 하부에 각각 2개의 돌기형 부재(303T)가 형성된다.
제7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베이스부(301a)의 좌우 양단의 T자형 부재(301T)는, 방진용 판 스프링(390a)에 의해 돌기형 부재(303T)를 하방에 현가할 수 있다.
또, 도 11과 동일하게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식 진동부(302a) 및 카운터 웨이트(303a)의 내부에는, 평판을 굴곡시킨 L자형의 탄성 부재(410)가 형성된다. 탄성 부재(410)의 일단측이 카운터 웨이트(303a)에 고정되고, 타단측이 압전식 진동부(302a)에 고정된다.
또한, 탄성 부재(410)의 양면에는 압전 소자(411)가 배치 형성된다. 이 탄성 부재(410) 및 압전 소자(411)로 이루어진 스프링 정수는, 반송하는 부품의 중 량, 크기 및 반송로(305a)의 중량 등에 의해 정해지는 임의의 공진 주파수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도 13의 압전 소자(411)는, 구체적으로, 압전 세라믹스를 분극 처리하여 탄성 부재(410)의 일방의 면에 플러스 극성의 분극 전위를 부여한 것을 부착하고, 탄성 부재(410)의 타방의 면에 마이너스 극성의 분극 전위를 부여한 것을 부착한다. 그것에 의해, 탄성 부재(410)의 표리면에 압전 소자(411)에 의한 바이모프 구조가 형성된다. 압전 소자(411)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여, 카운터 웨이트(303a)와 압전식 진동부(302a)가 진동한다.
계속하여, 압전식 진동부(302a)의 상부에는 반송로(305a)가 형성된다. 반송로(305a)에 진동이 부여됨으로써, 부품이 반송로(305a)에 형성된 반송 홈내를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a)에 있어서는, 돌기형 부재(303T)가 T자형 부재(301T)에 의해 방진용 판 스프링(390a)을 이용하여 하방에 현가되므로, 도 13의 화살표 R2의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또, 카운터 웨이트(303a) 및 압전식 진동부(302a)를 접속하는 지지 스프링(380a)에 있어서도, 카운터 웨이트(303a)의 하단부가, 지지 스프링(380a)을 통하여 압전식 진동부(302a)의 상단부를 하방에 현가하므로, 도 13의 화살표 R1의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진용 판 스프링(390a) 및 지지 스프링(380)a의 요동 방향은 동일 방향이 된다. 그 결과, 안정된 진동이 반송로(305a)에 반송되어 부품이 부드럽게 반송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410) 및 압전 소자(411)가 진동체에 상당하고, 베이스부(301)가 베이스부에 상당하고, 방진용 판 스프링(390)이 방진 부재에 상당하고, 압전식 진동부(302)가 제1 가동부에 상당하고, 지지 스프링(380)이 지지 부재에 상당하고, 카운터 웨이트(303)가 카운터 웨이트에 상당하고, 연결판(370)이 연결 부재에 상당하고, 진동 전달부(304)가 제2 가동부에 상당하고, 반송로(305)가 반송로에 상당하고, 반송 각도(α10)가 부품에 대한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에 상당하고, 추(400c, 400d), 한쌍의 탄성 부재(420c, 420d) 및 장착 부재(410c, 410d)가 웨이트 조정 기구에 상당하고, 카운터 웨이트(303c, 303d)가 제1 카운터 웨이트에 상당하고, 압전식 진동부(302b)가 가동부에 상당하고, 추(400c, 400d)가 제2 카운터 웨이트에 상당한다.
상기 제7 및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니어형 파트 피더(300, 300a)가 부품 반송 장치에 상당하고, 베이스부(301, 301a)가 베이스부에 상당하고, 방진용 판 스프링(390, 390a)이 방진 부재에 상당하고, 돌기형 부재(302T, 303T)가 가진기의 하단부에 상당하고, T자형 부재(301T)가 베이스부의 상단부에 상당하고, 압전식 진동부(302)가 제1 가동부에 상당하고, 지지 스프링(380, 380a)이 지지 부재에 상당하고, 압전 소자(411) 및 탄성체(410)가 진동체에 상당하고, 카운터 웨이트(303, 303a)가 카운터 웨이트에 상당하고, 연결판(370)이 연결 부재에 상당하고, 진동 전달부(304)가 제2 가동부에 상당하고, 반송로(305)가 반송로에 상당하고, 압전식 진동부(302a)가 가동부에 상당한다.
본 발명은 부품을 부드럽게 반송하는 동시에, 부품 반송 장치의 하방에 부여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부품 반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제1~ 제6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그것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다양한 다른 실시형태가 이루어지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보울 피더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작용 및 효과는 일례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제7 및 제8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그것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는 다양한 다른 실시형태가 이루어지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작용 및 효과는 일례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1)

  1. 부품에 진동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부품을 직선형으로 이송하는 부품 반송 장치로서,
    상기 부품 반송 장치의 최하방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방진 부재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부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제1 가동부와,
    지지 부재 및 상기 진동체를 통하여 상기 제1 가동부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제1 가동부와 접속된 연결 부재를 통하여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제2 가동부와,
    상기 제2 가동부의 상방에 배치 형성되고, 상기 부품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동부, 상기 제2 가동부 및 상기 반송로를 총합한 총합체의 중심 위치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부품에 대한 진동을 부여하는 각도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은, 상기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에 직교하는 방향 및 수평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진동체를 통과하고,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하면에 오목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상기 진동체가 부착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부품에 대해서 부여하는 진동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가동부와 상기 제2 가동부를 일체로 하여 연결하는 것이며,
    상기 제1 가동부 및 상기 제2 가동부는, 동위상의 상태로 이동하는, 부품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부는,
    상기 제1 가동부의 중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웨이트 조정 기구를 더 포함하는 부품 반송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부는,
    상기 제2 가동부의 중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웨이트 조정 기구를 더 포함하는 부품 반송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부재의 강성치를 상기 지지 부재의 강성치보다 낮은 값으로 하는 부품 반송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60022266A 2005-03-11 2006-03-09 부품 반송 장치 KR101316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69744A JP4872221B2 (ja) 2005-03-11 2005-03-11 部品搬送装置
JPJP-P-2005-00069744 2005-03-11
JP2005096823A JP4857581B2 (ja) 2005-03-30 2005-03-30 部品搬送装置
JPJP-P-2005-00096823 2005-03-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413A Division KR101316490B1 (ko) 2005-03-11 2012-11-27 부품 반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433A KR20060099433A (ko) 2006-09-19
KR101316442B1 true KR101316442B1 (ko) 2013-10-08

Family

ID=369696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266A KR101316442B1 (ko) 2005-03-11 2006-03-09 부품 반송 장치
KR1020120135413A KR101316490B1 (ko) 2005-03-11 2012-11-27 부품 반송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413A KR101316490B1 (ko) 2005-03-11 2012-11-27 부품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13700B2 (ko)
KR (2) KR101316442B1 (ko)
TW (1) TW2007003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5950A1 (ja) * 2007-06-19 2008-12-24 Qualicaps Co., Ltd. 振動フィーダ、搬送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EP2011751B1 (de) * 2007-07-06 2011-07-20 Feintool Intellectual Property AG Vibrationslinearförderer
DE102007031639B4 (de) * 2007-07-06 2010-07-22 Feintool International Holding Vibrationslinearförderer
CH700371B1 (fr) * 2009-02-05 2013-11-15 Asyril Sa Système d'alimentation en composants.
JP5227449B2 (ja) * 2011-11-02 2013-07-03 株式会社ダイシン 振動式搬送装置
US9132966B1 (en) * 2014-09-25 2015-09-15 Key Technology, Inc. Vibratory conveyor
US9481526B1 (en) 2015-10-27 2016-11-01 Key Technology, Inc. Vibratory convey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4209A (ja) * 1989-02-03 1990-08-14 Shinko Electric Co Ltd 直線振動フィーダ
JPH08231021A (ja) * 1995-02-28 1996-09-10 Ntn Corp 振動式コンベア
JPH1191928A (ja) * 1997-09-19 1999-04-06 Seratec:Kk 圧電駆動型搬送装置
JP2005035790A (ja) 2003-02-28 2005-02-10 Ntn Corp 振動式部品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5025A (en) * 1985-06-28 1989-01-03 Kabushiki Kaisha Toshiba Parts feeding apparatus of the piezoelectric drive type
JP2740891B2 (ja) * 1989-07-20 1998-04-15 株式会社産機 圧電駆動形搬送装置
US5445261A (en) * 1992-02-03 1995-08-29 Ishida Co., Ltd. Mechanism for attaching trough to vibrating feeder
US7182200B2 (en) 2003-01-14 2007-02-27 Shinko Electric Co., Ltd. Piezoelectricity-driven part fee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4209A (ja) * 1989-02-03 1990-08-14 Shinko Electric Co Ltd 直線振動フィーダ
JPH08231021A (ja) * 1995-02-28 1996-09-10 Ntn Corp 振動式コンベア
JPH1191928A (ja) * 1997-09-19 1999-04-06 Seratec:Kk 圧電駆動型搬送装置
JP2005035790A (ja) 2003-02-28 2005-02-10 Ntn Corp 振動式部品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395A (ko) 2013-01-16
TWI371410B (ko) 2012-09-01
US20060201788A1 (en) 2006-09-14
US7213700B2 (en) 2007-05-08
KR20060099433A (ko) 2006-09-19
TW200700300A (en) 2007-01-01
KR101316490B1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2221B2 (ja) 部品搬送装置
KR101316442B1 (ko) 부품 반송 장치
JP4303258B2 (ja) 振動式搬送装置
KR101337063B1 (ko) 진동식 반송장치
KR101968460B1 (ko) 진동 장치, 물품 반송 장치 및 물품 분별 장치
JP5227449B2 (ja) 振動式搬送装置
WO2012147838A1 (ja) 物品分別搬送装置
JP2007168920A (ja) 部品供給装置
JP4280293B2 (ja) 振動式搬送装置
KR20150083011A (ko) 진동식 반송장치
KR20170031071A (ko) 리니어 피더
JP5168816B2 (ja) 部品供給装置
JP6718112B2 (ja) 物品搬送装置
JP4590763B2 (ja) リニアフィーダ
JP4857581B2 (ja) 部品搬送装置
KR101267924B1 (ko) 부품 공급장치
JP7288622B1 (ja) 吊り式振動搬送装置
JP2018002463A (ja) リニアフィーダ
JP6351420B2 (ja) 共振振動台
JPH0398904A (ja) 直線型振動フィーダ
JP2018034950A (ja) 振動式部品搬送装置
JP2011225342A (ja) 振動式部品供給装置
JPS61263509A (ja) 振動輸送機
JP2008068994A (ja) 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