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293B1 -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293B1
KR101316293B1 KR1020070128145A KR20070128145A KR101316293B1 KR 101316293 B1 KR101316293 B1 KR 101316293B1 KR 1020070128145 A KR1020070128145 A KR 1020070128145A KR 20070128145 A KR20070128145 A KR 20070128145A KR 101316293 B1 KR101316293 B1 KR 101316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zone
intersection
driver
de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221A (ko
Inventor
구충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29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joined images, e.g. multiple camera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4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 B60R2300/404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triggering from stand-by mode to operation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도센서와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감지장치를 포함하는 센서부; 각 교차로의 중심으로부터 활성화 구역, 모니터링 구역 및 비활성화 구역으로 구분된 구역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타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된 차량위치정보와 상기 구역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이 상기 모니터링 구역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운전자가 모니터링 의사를 갖고 상기 활성화 구역 내에 진입하는 경우에 교차로 양측의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차량의 최전방에 좌우측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교차로 양측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및 상기 영상촬영부로부터 출력된 교차로 양측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활성화 구역, 교차로, 전방 좌우측 감지

Description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ensing System for Both Side View of the Front of car and Th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상기 시스템의 모니터링 의사를 갖고 골목길이나 좁은 교차로에 진입하는 경우에만 교차로 양측의 상황을 보여주는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목길과 같이 건물이나 나무 등으로 진행방향과 수직하는 도로의 좌우측 상황에 대한 시야가 확보되지 못하는 좁은 교차로에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교차로로 진입하는 경우 추돌사고의 위험이 크다. 특히 골목길에서 아이들이 뛰어오는 경우 시야가 확보되지 못함으로써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서 차량의 앞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과 같은 최전방에 양측을 향하도록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이 교차로에 진입하여 운전자가 좌우측 상황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기 전이라도 상기 카메라가 설치된 차량의 최전방부만 교차로에 진입하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좌우측 골목길의 상황 즉, 좌우측 골목길로부터의 차량이나 사람의 교차로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가 개발되어 이미 국내 상용차에 장착이 되어있다.
이로써 차량의 본격적인 교차로 진입 전에 교차로 양방향의 상황을 운전자가 미리 파악하여 대처함으로써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에서 촬영된 좌우측 영상을 운전자에게 보여주는 것은 차량 내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인데, 이러한 시스템을 위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네비게이션 등 기타 용도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함께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 중에 네비게이션 등이 제공하는 다른 화면을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상기 카메라 촬영 영상을 보여줄 수는 없으므로, 종래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은 골목길 진입 전에 운전자가 직접 해당 시스템을 활성화시켜야만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은 안전성 면에서 크게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골목길 진입 시마다 매번 운전자가 직접 활성화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시스템을 운전자의 별도의 활성화 조작 없이 운전자가 모니터링 의사를 갖고 교차로에 진입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기술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은 속도센서와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감지장치를 포함하는 센서부; 각 교차로의 중심으로부터 활성화 구역, 모니터링 구역 및 비활성화 구역으로 구분된 구역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타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된 차량위치정보와 상기 구역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이 상기 모니터링 구역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운전자가 모니터링 의사를 갖고 상기 활성화 구역 내에 진입하는 경우에 교차로 양측의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차량의 최전방에 좌우측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교차로 양측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및 상기 영상촬영부로부터 출력된 교차로 양측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감지 시스템 제어방법은 차속을 측정하고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각 교차로의 중심으로부터 활성화 구역, 모니터링 구역 및 비활성화 구역으로 구분된 구역정보가 저장된 데이타베이스와 상기 감지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이 상기 모니터링 구역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이 상기 모니터링 구역 내에 진입한 경우, 운전자의 모니터링 의사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가 모니터링 의사를 갖고 있는 경우, 차량의 위치를 구역정보가 저장된 데이타베이스와 비교하여 차량이 상기 활성화 구역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이 상기 활성화 구역에 진입한 경우, 영상촬영부 및 디스플 레이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교차로 양측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보여주는 단계; 및 차량의 위치를 구역정보가 저장된 데이타베이스와 비교하여 활성화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영상촬영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술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모니터링 의사를 갖고 교차로에 진입하는 경우에 운전자가 별도로 시스템 활성화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교차로 좌우측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로 보여주어 안전운전에 이바지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센서부(10), 제어부(20), 영상촬영부(30) 및 디스플레이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10)는 속도센서(11)와 위치감지장치(12)로 구성된다.
상기 속도센서(11)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바퀴의 굴림 회수를 통하여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차속 신호를 상기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상기 위치감지장치(12)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것으로서 위성을 통하여 그 위치를 파악하는 GPS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제어부(20)는 구역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타베이스를 포함하고, 상 기 위치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된 차량위치정보와 상기 구역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이 모니터링 구역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운전자가 모니터링 의사를 갖고 활성화 구역에 진입하는 경우에 교차로 양측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데이타베이스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교차로에 대하여 교차로 중심에서부터 활성화 구역(100), 모니터링 구역(110) 및 비활성화 구역(120)으로 구분하여 해당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활성화 구역(100)이란 교차로에 해당하는 구역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제로 전방 좌우측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보여주는 작동을 하는 구역을 말하고, 상기 모니터링 구역(110)이란 교차로 주변 구역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가 교차로를 지날 때 전방 좌우측을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니터링할 의사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역이다. 상기 비활성화 구역(120)이란 차량이 상기 활성화 구역(100)및 모니터링 구역(110)을 벗어나게 되면 다시 본 시스템을 비활성화하는 구역을 말한다. 즉, 상기 활성화 구역(100) 및 모니터링 구역(110)을 제외한 부분을 말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차량의 전자제어를 총괄하는 ECU(Engine Control Module)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만을 제어하도록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운전자가 상기 측정된 차속과 기준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속이 기준 속도보다 작은 경우 또는 감속 운전을 하는 경우에 상기 운전자가 모니터링 의사를 갖고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제어방법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특히, 상기 감속 운전 여부의 판단은 상기 제어부(20)가 차량의 감속도와 기준감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감속도가 기준감속도보다 작은 경우 또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작동 정도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일정 강도 이상으로 작동시키는 경우를 감속 운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도 제어방법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영상촬영부(30)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의 최전방에 좌우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교차로 양측의 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영상촬영부(30)는 소형 카메라이며, 도 3의 확대도와 같이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범퍼(31)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32)의 가운데 부분에 설치된다. 좌우 양측의 영상을 모두 촬영하여야 하므로 두 개의 카메라가 차량의 양측을 향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촬영부(30)로부터 출력된 교차로 양측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보여준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네비게이션이 장착된 부분이나 계기판이 장착된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나, 운전 중 안전성 확보라는 관점에서 운전 중 운전자의 시선 이동이 최소가 되도록 계기판이 장착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면을 분할하여 차량의 전방 좌우측 화면을 동시에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어 순서도가 게시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 른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면 본 발명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이 작동한다(S10). 운전자가 본 시스템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본 시스템의 작동을 배제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10)의 위치감지장치(12)가 차량의 위치를 감지한다. GPS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차량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위치감지장치(12)로부터 출력된 차량위치정보를 데이타베이스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이 모니터링 구역 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상기 제어부(20)는 차량이 비활성화 구역(120)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차량이 모니터링 구역(110)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차량이 상기 모니터링 구역(110)에 진입한 경우에는 운전자의 모니터링 의사 유무를 판단한다(S30). 운전자가 모니터링 의사를 갖고 있는 경우란 운전자가 교차로를 통과하면서 전방 좌우측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여 서행 또는 감속하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전방 좌우측 영상을 모니터링할 의사를 갖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상술한 운전자가 모니터링 의사를 갖고 있는지 여부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첫째는 차속이 일반적인 주행속도 이하인 경우이다. 이에 대한 판단을 위하여 기준 속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센서부(10)의 속도센서(11)을 통하여 측정된 차속과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를 비교하여 차속이 상기 기준 속도보다 작은 경우 모니터링 의사를 갖는 것으로 판단한다. 둘째는 운전자가 교차로에 접근하면서 감속 운전을 하는 경우이다. 운전자의 감속 운전 여부는 다음과 같이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측정된 차속으로부터 감속도를 산출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감속도와 비교하여 상기 산출된 차량의 감속도가 기준감속도보다 작은 경우 또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작동 정도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일정 강도 이상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에 감속 운전을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판단의 결과, 운전자가 모니터링 의사를 갖고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영상촬영부(30)와 디스플레이부(40)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운전자가 교차로 좌우측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여 근접 차량 등이 없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감속 운전 없이 비교적 고속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영상촬영부(30)와 디스플레이부(40)를 활성화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기 영상촬영부(30) 및 디스플레이부(40)의 비활성화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네비게이션 등에 연결되어 다른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에 더욱 필요하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S30단계에서 운전자가 모니터링 의사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차량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와 비교하여 차량이 상기 활성화 구역(100)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상기 활성화 구역(100)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영상촬영부(30)과 다스플레이부(40)에 활성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촬영부(30)는 전방 좌우측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그 촬영된 영상을 보여준다(S50). 상 기 디스플레이부(40)는 도 4와 같이 화면을 분할하여 좌우측 상황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이후에도 계속해서 차량위치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와 비교하여 차량이 활성화 구역(100)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S60). 그 결과, 차량이 활성화 구역(100)을 벗어나면 즉 차량이 교차로를 완전히 통과한 때에는 상기 영상촬영부(30)와 디스플레이부(40)을 비활성화한다(S70).
그리고 다시 S20단계를 수행하여 다른 교차로에서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구역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영상촬영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순서도.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센서부 11: 속도센서
12: 위치감지장치 20: 제어부
30: 영상촬영부 40: 디스플레이부
100: 활성화 구역 110: 모니터링 구역
120: 비활성화 구역

Claims (6)

  1. 속도센서(11)와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감지장치(12)를 포함하는 센서부(10);
    교차로를 포함하는 활성화 구역(100), 활성화 구역(100)에서 교차로의 주변까지 확장된 모니터링 구역(110), 모니터링 구역(110)을 제외한 나머지인 비활성화 구역(120)으로 구분된 구역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타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장치(12)로부터 출력된 차량위치정보와 상기 구역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이 상기 모니터링 구역(110)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차량이 모니터링 구역(110) 내로 진입한 경우 차량의 감속 운전을 체크하고, 감속 운전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활성화 구역(100)에 진입시 교차로 양측의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
    차량의 최전방에 좌우측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교차로 양측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30); 및
    상기 영상촬영부(30)로부터 출력된 교차로 양측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40)로 구성되는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감속 운전상태는 차량의 감속도와 기준감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감속도가 기준감속도보다 작은 경우 또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작동 정도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일정 강도 이상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4. (a) 차속을 측정하고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b) 교차로를 포함하는 활성화 구역(100), 활성화 구역(100)에서 교차로의 주변까지 확장된 모니터링 구역(110), 모니터링 구역(110)을 제외한 나머지인 비활성화 구역(120)으로 구분된 구역정보가 저장된 데이타베이스와 상기 감지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이 상기 모니터링 구역(110)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차량이 상기 모니터링 구역(110)에 진입한 경우, 차량의 감속 운전을 체크하는 단계;
    (d) 상기 차량의 감속이 이루어진 경우, 차량의 위치를 상기 구역정보가 저장된 데이타베이스와 비교하여 차량이 상기 활성화 구역(100) 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차량이 상기 활성화 구역(100) 내에 진입한 경우, 영상촬영부(30) 및 디스플레이부(40)를 활성화하여 상기 교차로 양측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보여주는 단계; 및
    (f) 차량의 위치를 상기 구역정보가 저장된 데이타베이스와 비교하여 활성화 구역(100)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영상촬영부(30)와 디스플레이부(40)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제어방법.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속 운전을 하는지 여부는 차량의 감속도와 기준감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감속도가 기준감속도보다 작은 경우 또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작동 정도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일정 강도 이상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에 감속 운전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070128145A 2007-12-11 2007-12-11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16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145A KR101316293B1 (ko) 2007-12-11 2007-12-11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145A KR101316293B1 (ko) 2007-12-11 2007-12-11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221A KR20090061221A (ko) 2009-06-16
KR101316293B1 true KR101316293B1 (ko) 2013-10-08

Family

ID=4099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145A KR101316293B1 (ko) 2007-12-11 2007-12-11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2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526A (ko) * 2000-03-16 2001-10-23 정구영, 이상지 길안내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60825A (ko) * 2003-12-17 2005-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전방 측면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
KR20060034084A (ko) * 2004-10-18 2006-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주행 전방 안전 주시 카메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526A (ko) * 2000-03-16 2001-10-23 정구영, 이상지 길안내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60825A (ko) * 2003-12-17 2005-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전방 측면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
KR20060034084A (ko) * 2004-10-18 2006-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주행 전방 안전 주시 카메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221A (ko)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080B1 (ko)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KR100696392B1 (ko) 차량 외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7772991B2 (en) Accident avoidance during vehicle backup
US20200168098A1 (en) Vehicle Front Blind Spot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JP2018116611A (ja) 自動走行作業車
US20200062246A1 (e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vehicle
EP2487505B1 (en) Blind area warning for vehicles
US20140168435A1 (en) Standby virtual bumper for parked vehicle protection
KR20070013719A (ko) 차량 안전거리 확인 장치 및 방법
US10821894B2 (en) Method and device for visual information on a vehicle display pertaining to cross-traffic
KR20210138463A (ko) 보행자 사고방지 방법 및 그 장치
CN110626259A (zh) 三角警示架及其撞击预警方法
KR102199743B1 (ko) 사각지대 영상을 제공하는 운전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50472A (ko)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WO2016002203A1 (ja) 電子ミラー装置、電子ミラー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20070005213A1 (en) Backward control for automobiles using telematics and method thereof
KR20150097010A (ko) 보행자 충돌 경고 장치
KR101316293B1 (ko) 차량의 전방 좌우측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196251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KR20130128054A (ko) 차량용 안전시스템
JP2007133644A (ja) 歩行者認識装置
JP2008269399A (ja) 車両の車線逸脱警報装置
KR20110131899A (ko)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회전시의 충돌 위험 경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03980A (ko) 선행 차량의 사각지역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35143A (ko) 차량의 전후측방 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