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193B1 - 차량의 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193B1
KR101316193B1 KR1020110130984A KR20110130984A KR101316193B1 KR 101316193 B1 KR101316193 B1 KR 101316193B1 KR 1020110130984 A KR1020110130984 A KR 1020110130984A KR 20110130984 A KR20110130984 A KR 20110130984A KR 101316193 B1 KR101316193 B1 KR 101316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vehicle
front pillar
body structur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394A (ko
Inventor
이효종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1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충돌시 작용하는 충돌에너지를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성능과 승차감 및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키고 NVH특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차체 구조{VEHICLE BODY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 충돌에 대비한 차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승용차량 차체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이를 도식화하여 도시한 것이 도 2로서, 프론트필러(500)는 카울(502)의 측방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사이드실(504)에 연결되며, 상기 프론트필러(500)의 전방으로는 카울사이드(506)및 카울사이드아웃터(508)가 연결되고, 상기 카울사이드(506)의 전방으로는 휀더에이프런(510)이 연결되어 하측의 프론트사이드멤버(512)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차체는 차량의 충돌 사고 등의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돌에너지의 흐름을 가지게 되는데, 이 경우 A부분과 B부분, 즉, 프론트필러(500)가 하측으로 절곡되면서 급격한 변곡점을 형성함과 아울러 단면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는 A부분과, 상기 휀더에이프런(510)과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용접부가 존재하고 용접조건을 확보하기 위해 취약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 카울사이드(506) 부분인 상기 B부분이 취약하여 차량의 전방 충돌에 대한 차체강성이 다소 미흡한 측면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 충돌시 작용하는 충돌에너지를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성능과 승차감 및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키고 NVH특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차체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차체 구조는
차체의 하측에서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길게 차체 양쪽으로 배치되는 프론트사이드멤버와;
차체의 상측으로부터 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에 직접 연결되는 프론트필러와;
후방단부가 상기 프론트필러에 직접 연결되는 휀더에이프런;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충돌시 작용하는 충돌에너지를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성능과 승차감 및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키고 NVH특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구조를 간략히 도식화하여 표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체 구조를 도식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론트필러에 카울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의 차체 구조의 실시예는 차체의 하측에서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길게 차체 양쪽으로 배치되는 프론트사이드멤버(1)와; 차체의 상측으로부터 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1)에 직접 연결되는 프론트필러(3)와; 후방단부가 상기 프론트필러(3)에 직접 연결되는 휀더에이프런(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 급격한 변곡점과 단면 변화를 가지고 있던 프론트필러(3)의 구조를 거의 일정한 단면의 직선적인 형태로 변경하고 그 하단을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1)까지 연장하여 직접 프론트사이드멤버(1)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프론트필러(3)의 변곡점 및 급격한 단면 변화 부분에 따른 취약부가 배제되어, 프론트필러(3)가 더욱 견고한 강성을 제공하고, 전방 충돌시 충돌에너지가 상부 차체로 더욱 원활히 분산되게 되며, 종래 카울사이드 및 카울사이드아웃터에 의한 상대적으로 많았던 연결부와 용접부가 배제되어 전체적으로 향상된 강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1)의 측방에는 사이드실(7)이 결합되는데, 상기 프론트필러(3)와 상기 사이드실(7) 사이에는 상단이 상기 프론트필러(3)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하단이 상기 사이드실(7)에 연결되는 프론트필러로워부재(9)를 더 구비하여, 상기 프론트필러(3)와 상기 사이드실(7)의 연결성을 유지하고, 그에 따른 강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휀더에이프런(5)의 중간부분과 상기 프론트필러로워부재(9)의 중간부분을 연결하는 보강부재(11)를 더 포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카울(13)의 단부는 상기 프론트필러(3)의 내측면에 폐곡선을 이루는 박스형단면 전체가 결합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따라서, 카울(13)과 프론트필러(3) 사이의 결합구조가 매우 견고하게 확보될 수 있으며, 이는 차체 전방을 전체적인 강성 향상에 기여하게 되고, 특히 차체의 비틀림 강성 증대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체 구조에서는 전방 충돌에 의해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1)로 작용하는 충돌에너지가 도 3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는 상기 프론트필러(3)를 통해, 일부는 상기 휀더에이프런(5)을 통해 상측 차체로 분산되어 전달되고, 나머지는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1)를 타고 차체 후방으로 이동하다가 사이드실(7)에서 분산되는 흐름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차체에 골고루 분산되어 더욱 향상된 충돌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상기와 같이 향상된 차체 전방부분의 강성은 승차감 및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키고 NVH특성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프론트사이드멤버
3; 프론트필러
5; 휀더에이프런
7; 사이드실
9; 프론트필러로워부재
11; 보강부재
13; 카울

Claims (5)

  1. 차체의 하측에서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길게 차체 양쪽으로 배치되는 프론트사이드멤버(1)와;
    차체의 상측으로부터 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1)에 직접 연결되는 프론트필러(3)와;
    후방단부가 상기 프론트필러(3)에 직접 연결되는 휀더에이프런(5);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필러(3)는 차체의 상측으로부터 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됨에 있어서, 급격한 변곡점이 배제된 직선적인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1)에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단이 상기 프론트필러(3)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하단이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1)의 외측에 배치되는 사이드실(7)에 연결되는 프론트필러로워부재(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휀더에이프런(5)의 중간부분과 상기 프론트필러로워부재(9)의 중간부분을 연결하는 보강부재(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카울(13)의 단부는 상기 프론트필러(3)의 내측면에 폐곡선을 이루는 박스형단면 전체가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구조.
  5. 삭제
KR1020110130984A 2011-12-08 2011-12-08 차량의 차체 구조 KR101316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984A KR101316193B1 (ko) 2011-12-08 2011-12-08 차량의 차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984A KR101316193B1 (ko) 2011-12-08 2011-12-08 차량의 차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394A KR20130064394A (ko) 2013-06-18
KR101316193B1 true KR101316193B1 (ko) 2013-10-08

Family

ID=4886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984A KR101316193B1 (ko) 2011-12-08 2011-12-08 차량의 차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1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247B1 (ko) * 2017-10-11 2022-04-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20200117277A (ko) * 2019-04-03 2020-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필러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068A (ja) * 2001-04-06 2002-10-15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カウル部構造
JP2006021590A (ja) * 2004-07-07 2006-01-26 Honda Motor Co Ltd 車体前部構造
JP2009248805A (ja) * 2008-04-08 2009-10-29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068A (ja) * 2001-04-06 2002-10-15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カウル部構造
JP2006021590A (ja) * 2004-07-07 2006-01-26 Honda Motor Co Ltd 車体前部構造
JP2009248805A (ja) * 2008-04-08 2009-10-29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394A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479B1 (ko) 프런트 사이드 멤버 후방 구조
KR101526411B1 (ko) 후방 차체 보강구조
JP6507816B2 (ja) 車両後部構造
CN102602460A (zh) 汽车后轮罩总成与后侧围总成以及后裙板总成的连接结构
KR101316193B1 (ko) 차량의 차체 구조
KR101637265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JP7172768B2 (ja) 車両後部構造
JP5853732B2 (ja) 車体前部構造
KR20200134493A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101583840B1 (ko) 대쉬로워멤버 구조
JP2015123886A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及び車体前部構造
JP6196885B2 (ja) 車両の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
JP2018199430A (ja) 車体前部構造
JP5716421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補強構造
CN209126804U (zh) 前副车架及车辆
JP2010195257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6881143B2 (ja) 車両前部構造
KR20110042855A (ko) 센터 플로어 구조
JP2017047761A (ja) 車両前部構造
JP6488610B2 (ja) 車体前部構造
KR102175954B1 (ko) 차량용 프레임 구조
JP2014201072A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ブラケット構造
KR20130117029A (ko) 펜더 확장형 에이필라 어셈블리
JP6318988B2 (ja) 車両上部構造
CN211568099U (zh) 车辆前纵梁装置及包含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