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731B1 -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 - Google Patents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731B1
KR101315731B1 KR1020120080182A KR20120080182A KR101315731B1 KR 101315731 B1 KR101315731 B1 KR 101315731B1 KR 1020120080182 A KR1020120080182 A KR 1020120080182A KR 20120080182 A KR20120080182 A KR 20120080182A KR 101315731 B1 KR101315731 B1 KR 101315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ire harness
fastening
gromme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2008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볼트부재를 구비하는 패널에 설치되고, 볼트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그로멧부; 및 관통공에 삽입되어 볼트부재가 관통되는 체결보스부를 구비하며, 그로멧부를 사이에 두고 패널에 설치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너트부재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부 측으로 가압되는 볼트부재의 이동을 억제하여 패널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패널과의 면 접촉성 및 접압력이 향상되고, 패널의 패널홀을 통한 실내 측으로의 수분 및 소음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GROMMET FOR FIXING WIRE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하네스가 패널을 통과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구성은 크게 섀시와 보디로 구분되어 기계적으로 결합이 되어있는 형태이며, 이러한 자동차에는 제어용의 전기적인 신호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와이어하네스가 다량 사용되고 있다.
와이어하네스는 자동차에서 필요로 하는 배선들을 집적하여 와이어형상으로 구성하여 전기적 신호 혹은 전원을 필요로 하는 곳에 공급하며, 패널과 패널사이처럼 극히 협소한 공간을 통과하고 그곳에서 여러 각도로 절곡되어 사용된다.
와이어하네스가 패널을 통과하는 부분에는 그 단면이 개략 깔대기형의 그로멧(Grommet)을 삽입고정하여 하네스의 외부면을 보호한다. 와이어하네스는 그로멧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패널을 통과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049513호(1998년 9월 15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선 또는 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한 전선보호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패널 고정시 패널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은: 볼트부재를 구비하는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그로멧부;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부재가 관통되는 체결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그로멧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패널에 설치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보스부는 상기 패널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패널에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보스부가 형성되는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그로멧부를 수용하여 상기 패널에 설치되는 프로텍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부는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체결보스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브라켓부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프로텍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보스부는 상기 프로텍터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프로텍터부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는 너트부재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체결보스부는 상기 너트부재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체결부 측으로 가압되는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에 따르면, 너트부재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부 측으로 가압되는 볼트부재의 이동을 억제하여 패널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패널과의 면 접촉성 및 접압력이 향상되고, 패널의 패널홀을 통한 실내 측으로의 수분 및 소음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브라켓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이 패널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브라켓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이 패널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100)은 그로멧부(110)와 체결부(150)를 포함한다.
그로멧부(110)는 와이어하네스(미도시)가 통과하는 차체의 패널(1)에 설치된다. 그로멧부(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멧몸체(111)와 실링면(11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그로멧부(11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로멧몸체(111)는 패널(1)에 형성된 패널홀(부호생략)에 삽입된다. 그로멧몸체(111)의 내부에는 와이어하네스가 통과하는 중공(113)이 형성된다.
그로멧몸체(111)의 외측에는 실링면(115)이 형성되어 패널(1)에 밀착된다. 실링면(115)에는 패널(1)에 구비된 볼트부재(10)가 관통되는 관통공(부호생략)이 형성된다.
체결부(150)는 그로멧부(110)를 사이에 두고 패널(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150)는 브라켓부(160)와 프로텍터부(17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부(160)는 그로멧부(110)를 사이에 두고 패널(1)에 설치된다. 이러한 브라켓부(160)의 내부에는 그로멧몸체(111)가 관통되는 중공(부호생략)이 형성되고, 실링면(115)과 맞닿는 면에는 체결보스부(16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부(16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체결보스부(165)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체결보스부(165)는 패널(1)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보스부(16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체결보스부(165)는 실링면(115)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다. 체결보스부(165)의 내부에는 체결공(167)이 형성되고, 볼트부재(10)는 체결보스부(165)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공(167)을 통해 체결보스부(165)를 관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로텍터부(170)는 브라켓부(160)와 그로멧부(110)를 수용하여 패널(1)에 설치된다. 프로텍터부(170)의 내부에는 브라켓부(160)와 그로멧부(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브라켓부(160)와 맞닿는 면에는 관통공(부호생략)이 형성되어 체결공(167)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텍터부(170)는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150)가 브라켓부(160)와 프로텍터부(17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부(150)는 브라켓부(160)만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100)이 패널(1)에 설치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그로멧몸체(111)는 패널(1)에 형성된 패널홀에 삽입되며, 그로멧몸체(111)의 외측에 형성된 실링면(115)은 패널(1)에 밀착된다.
브라켓부(160)는 그로멧부(110)를 사이에 두고 패널(1)에 설치된다. 이때 브라켓부(160)에 형성된 체결보스부(165)는 패널(1)을 향해 돌출되어 실링면(115)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다.
프로텍터부(170)는 브라켓부(160)와 그로멧부(110)를 수용하여 패널(1)에 설치된다. 이때, 패널(1)에 구비된 볼트부재(10)는 체결보스부(165)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공(167)을 통해 체결보스부(165)를 관통하며, 프로텍터부(170)의 관통공을 통해 프로텍터부(17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100)과 패널(1) 간의 체결은 볼트부재(10)와 너트부재(20) 간의 나사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볼트부재(10)와 너트부재(20) 간의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너트부재(20)는 패널(1) 측으로 이동된다. 이처럼 이동되는 너트부재(20)는 브라켓부(160)와 그로멧부(110)를 패널(1) 측으로 가압하면서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100)을 패널(1) 상에 결합시킨다.
한편 너트부재(20)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가압력은, 브라켓부(160)와 그로멧부(110)를 패널(1) 측으로 가압함과 마찬가지로, 볼트부재(10) 및 볼트부재(10)가 설치된 패널(1)을 체결부(150) 측으로, 즉 볼트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처럼 볼트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볼트부재(10) 및 볼트부재(10)가 설치된 패널(1)을 체결부(150)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볼트부재(10) 및 패널(1)을 이동시키려는 힘은 체결보스부(165)에 의해 지지된다. 즉, 볼트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체결부(150) 측으로 가압되는 패널(1)은, 체결보스부(165)의 단부와 접촉되면서 체결보스부(165)에 의해 지지되고, 이에 따라 패널(1)은 더 이상의 이동이 억제된다.
이처럼 체결보스부(165)를 구비하는 브라켓부(160) 및 이를 포함하는 체결부(150)는, 체결부(150) 측으로 가압되는 패널(1)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패널(1)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100)은 패널(1)과의 면 접촉성 및 접압력이 향상되고,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100)과 패널(1) 간의 결합 부분, 즉 패널(1)의 패널홀을 통한 실내 측으로의 수분 및 소음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200)은 그로멧부(110)와 체결부(250)를 포함한다.
체결부(250)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브라켓부(260)를 포함한다. 브라켓부(260)는 강화플라스틱과 같은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된다. 체결보스부(265)는 브라켓부(26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보스부(265)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브라켓부(26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브라켓부(260)에 인서트 사출된다. 체결보스부(265)의 형상, 작용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예시된 체결보스부(165; 도 4 참조)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200)에 따르면, 브라켓부(260)가 경량의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금속 재질의 체결보스부(265)가 인서트 사출됨으로써, 패널(1) 변형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200) 전체의 중량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300)은 그로멧부(110)와 체결부(350)를 포함한다.
체결부(350)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프로텍터부(370)를 포함한다. 프로텍터부(370)는 강화플라스틱과 같은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된다. 또한, 체결보스부(375)는 프로텍터부(370)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보스부(375)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프로텍터부(37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프로텍터부(370)에 인서트 사출된다. 체결보스부(375)의 형상, 작용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예시된 체결보스부(165; 도 4 참조)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300)에 따르면, 체결보스부(375)가 프로텍터부(370)에 인서트 사출되고, 그로멧부(110)가 프로텍터부(370)에 의해 직접 결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300) 전체의 중량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200,300 :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
110 : 그로멧부 111 : 그로멧몸체
111 : 차단막 115 : 실링면
150,250,350 : 체결부 160,260 : 브라켓부
165,265,375 : 체결보스부 167 : 체결공
170,370 : 프로텍터부

Claims (5)

  1. 볼트부재를 구비하는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그로멧부;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부재가 관통되는 체결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그로멧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패널에 설치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보스부는 상기 패널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패널에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보스부가 형성되는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그로멧부를 수용하여 상기 패널에 설치되는 프로텍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체결보스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브라켓부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프로텍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보스부는 상기 프로텍터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프로텍터부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는 너트부재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체결보스부는 상기 너트부재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체결부 측으로 가압되는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
KR1020120080182A 2012-07-23 2012-07-23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 KR101315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182A KR101315731B1 (ko) 2012-07-23 2012-07-23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182A KR101315731B1 (ko) 2012-07-23 2012-07-23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731B1 true KR101315731B1 (ko) 2013-10-17

Family

ID=4963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182A KR101315731B1 (ko) 2012-07-23 2012-07-23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630B1 (ko) * 2014-11-28 2016-01-21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그로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0547A (ja) * 1994-02-02 1995-08-18 Toyoda Gosei Co Ltd グロメット
JPH11252749A (ja) * 1998-02-25 1999-09-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0547A (ja) * 1994-02-02 1995-08-18 Toyoda Gosei Co Ltd グロメット
JPH11252749A (ja) * 1998-02-25 1999-09-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630B1 (ko) * 2014-11-28 2016-01-21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그로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6374B2 (ja) グロメット組立体の組付構造
JP5772444B2 (ja) クランプ
JP6966263B2 (ja) プロテクタ
US7597579B2 (en) Connector apparatus
US8816210B2 (en) Grommet
KR101315731B1 (ko) 와이어하네스 장착용 그로멧
KR101701963B1 (ko) 차량용 그로밋
KR101674439B1 (ko) 도어모듈의 와이어링 하네스 어셈블리
JP6493100B2 (ja) クランプ構造
JP6081755B2 (ja) 防水構造を有するターミナルケーブル組立体
JP6139109B2 (ja) 電線保持構造
JP2011223650A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の固定構造
CN112582949B (zh) 夹持件及线束
JP6671862B2 (ja) パッキン、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EP3137341B1 (en) Fixing and sealing system for door connector
WO2012111179A1 (ja) ワイヤハーネスの保護具
KR102610772B1 (ko) 접지용 멀티 어스단자
KR101314109B1 (ko) 그로멧
WO2019102818A1 (ja) 保護部品及び保護方法
KR20230139721A (ko) 차량용 대쉬 그로멧
KR200473364Y1 (ko) 그로멧
JP2017019311A (ja) 車両搭載用の樹脂製部品
KR20230134918A (ko) 차량용 대쉬 그로멧
WO2020195590A1 (ja) 弾性取付部材及び弾性取付部材付自動車用配線部材
CN108317136B (zh) 一种螺母板组件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