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664B1 - 퓨즈 유닛 - Google Patents

퓨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664B1
KR101315664B1 KR1020127008403A KR20127008403A KR101315664B1 KR 101315664 B1 KR101315664 B1 KR 101315664B1 KR 1020127008403 A KR1020127008403 A KR 1020127008403A KR 20127008403 A KR20127008403 A KR 20127008403A KR 101315664 B1 KR101315664 B1 KR 101315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body
inclined surface
fastening
protrusion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189A (ko
Inventor
히데노리 키부시
타쯔야 아오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0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4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a binding post of a storag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2085/0555Input terminal connected to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e.g. multi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퓨즈 요소를 포함하는 퓨즈 유닛은 제 1 수지 몸체 및 제 2 수지 몸체를 포함한다. 제 2 수지 몸체는 힌지부에 의해 제 1 수지 몸체에 연결되고, 제 1 수지 몸체에 대해 휘어지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제 1 측벽 및 한 쌍의 제 2 측벽은 각각 제 1 수지 몸체 및 제 2 수지 몸체 상에 제공되고, 제 2 수지 몸체의 휨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맞물림하는 부분은 각각 제 1 측벽에 제공되는 체결 암에 제공되고, 각각 제 1 경사면을 갖는다. 한 쌍의 맞물려지는 부분은 각각 제 1 측벽에 제공되고, 각각 맞물림하는 부분에 대응하며, 각각 제 2 수지 몸체가 휘어진 상태에서 제 1 경사면과 표면 접촉식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경사면을 갖는다. 제 1 경사면 및 제 2 경사면은 제 2 수지 몸체가 휘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퓨즈 요소의 스프링백에 의한 반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Description

퓨즈 유닛{FUSE UNI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에 설치된 배터리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의 전력을 전선에 공급하는 퓨즈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특허문헌 1에 설명된 종래의 퓨즈 유닛(100)을 도시한다. 퓨즈 유닛(100)은 전도성 금속 플레이트로 제작된 퓨즈 요소(미도시)를 수지 몸체(110)로 만듦으로써 형성된다. 수지 몸체(110)는 평면형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전방 및 후방 분리 몸체(120, 130)로 나뉘어지고, 배터리에 부착되는 경우, 분리 몸체(120, 1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형으로 휘어진다. 분리 몸체(120, 130)는 분리 몸체(120, 130) 사이의 부분에서 노출되는 퓨즈 요소의 힌지(hinge)부에 대해 휘어진다. 퓨즈 유닛(100)은 퓨즈 유닛(100)이 L자형으로 휘어진 상태로 사용되고, 따라서 좁은 공간 안쪽에서의 회로 배치에 대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퓨즈 유닛의 사용 상태에서, 종래의 퓨즈 유닛(100)이 아래에 설명될 바와 같이 구성되기 위해 L자형으로 휘어진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일 분리 몸체(120)의 내부 표면 벽(121)과 마주보는 조절 벽(140)은 타 분리 몸체(130)의 내부 표면 벽(131)에 직립되고, 일 분리 몸체(120)의 내부 표면 벽(1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진 벽 표면(141)은 조절 벽(140) 내에 형성된다. 또한, 조절 벽(140)의 휨 강성(bending rigidity)은 조절 벽(140)의 둘 모두의 단부에 전락 방지(fall-prevention) 립(143)을 배치함으로써 증가된다.
또한, 후크부(151)를 갖는 체결 암(lock arm)(150)은 일 분리 몸체(120) 내에 배치되고, 또한 후크부(151)가 맞물리는 노치(notch)부(153)는 타 분리 몸체(130)의 조절 벽(140) 내에 배치되어, 제 1 체결 수단이 형성된다. 또한, 로킹 돌기부(locking projection)(미도시)는 일 분리 몸체(120) 내에 배치되고, 로킹 돌기부가 고정되는 맞물림 그루브(160)는 일 분리 몸체(130) 내에 배치되어, 제 2 체결 수단이 형성된다. 맞물림 그루브(160)는 타 분리 몸체(130) 내의 측 표면 벽(133, 135)으로부터 연장 벽(165) 내에 배치된다.
타 분리 몸체(130)가 그러한 구조물 내에서 일 분리 몸체(120)에 대해 휘어지는 경우, 타 분리 몸체(130)의 조절 벽(140)은 일 분리 몸체(120)의 내부 표면 벽(121)에 인접하게 된다. 또한, 일 분리 몸체(120) 내의 체결 암(150)의 후트부(151)를 노치부(153)에 걸어 잠금으로써, 체결 암(150)은 노치부(153)와 맞물리고 고정되고, 또한 일 분리 몸체(120)의 로킹 돌기부는 타 분리 몸체(130)의 맞물림 그루브(160)와 맞물리고 고정된다. 그 결과, L자형으로 두 개의 분리 몸체가 휘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JP-A-2002-329457
종래의 퓨즈 유닛(100)에서, 맞물림 그루브(160)는 제 2 체결 수단인 로킹 돌기부와 맞물리는 체결 상태에서, 노치부(153)와 제 1 체결 수단인 체결 암(150)의 후크부(151) 사이에 갭이 생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갭의 생성으로 인해 체결 힘이 감소되고, 제 1 체결 수단 내에서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없다.
그 결과, L자형으로 휘어진 빌트-인(built-in) 퓨즈 요소로부터의 스프링백(springback)의 모든 하중은 맞물림 그루브(160) 및 연장 벽(165) 안쪽에 배치되는 맞물림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 2 체결 수단에 작용하여, L자형으로 휘어진 상태로 유지되기 위한 유지력은 충분히 보장될 수 없고, 퓨즈 유닛(100)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빌트-인 퓨즈 요소로부터 스프링백의 하중에 확실히 적용되고, 분리 몸체의 휨 상태를 유지시키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퓨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퓨즈 요소를 포함하는 퓨즈 유닛이 제공되며, 상기 퓨즈 유닛은: 제 1 수지 몸체; 힌지부에 의해 제 1 수지 몸체에 연결되고, 힌지부 주위에서 제 1 수지 몸체에 대해 휘어지도록 구성되는 제 2 수지 몸체; 제 1 수지 몸체 상에 제공되는 제 1 대향 벽; 제 2 수지 몸체 상에 제공되고 제 1 대향 벽과 마주보는 제 2 대향 벽으로서, 힌지부는 제 1 대향 벽과 제 2 대향 벽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대향 벽; 제 1 수지 몸체 상에 제공되고, 제 2 수지 몸체의 휨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측벽; 제 2 수지 몸체 상에 제공되고, 제 2 수지 몸체의 휨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측벽; 각각 제 1 측벽에 제공되는 한 쌍의 체결 암; 각각 체결 암에 제공되고, 각각 제 1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맞물림하는 부분; 및 각각 제 2 측벽에 제공되고, 각각 맞물림하는 부분에 대응하고, 각각 제 2 수지 몸체가 휘어진 상태에서 제 2 경사면과 표면 접촉식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맞물려지는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경사면 및 제 2 경사면은 제 2 수지 몸체가 휘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퓨즈 요소의 스프링백에 의한 반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퓨즈 유닛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맞물림하는 부분이 체결 돌기부이고; 각각의 맞물려지는 부분이 돌출부이고; 체결 돌기부 및 돌출부는 제 2 수지 몸체가 휘어짐에 따라 서로 접촉하고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퓨즈 유닛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체결 암은 연성을 갖고; 체결 암은 제 2 수지 몸체가 휘어짐에 따라 제 1 측벽의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퓨즈 유닛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이 표면 접촉식으로 접촉하는 상태에서, 제 1 경사면에 평행하고 제 1 경사면으로부터 연상되는 직선은, 제 2 수지 몸체의 휨 축과 교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체결 암은 일 분리 몸체의 둘 모두의 측의 측벽 부분에 배치되고, 또한 돌출부는 타 분리 몸체의 둘 모두의 측의 측벽 부분에 배치되며, 두 분리 몸체가 휘어지는 경우, 체결 암에 형성된 제 1 경사면이 돌출부에 배치된 제 2 경사면과 정렬되는 상태가 획득된다. 그러한 구조물에서, 두 분리 몸체는 둘 모두의 측의 측벽 부분에서 맞물려져서, 확실한 체결 상태가 획득된다.
또한, 제 1 경사면 및 제 2 경사면은 분리 몸체의 휘어짐을 기반으로 하는 퓨즈 요소의 스프링백의 반력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 간에 정렬된 상태에서, 이러한 표면들은 스프링백에 의한 반력에 확실히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퓨즈 요소로부터의 스프링백의 하중에 확실히 적용될 수 있어서, 분리 몸체의 휘어진 상태는 유지될 수 있고,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호 간의 접촉 상태에서 슬라이딩을 위한 슬라이드 표면부가 체결 돌기부 및 돌출부에 형성되어, 체결 돌기부 및 돌기부는 분리 몸체가 휘어지는 경우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한다. 그 결과, 체결 돌기부의 제 1 경사면은 돌출부의 제 2 경사면과 매끄럽게 정렬되고, 휘어진 상태의 체결은 매끄럽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체결 돌기부 및 돌출부 내에 형성된 간섭부는 분리 몸체가 휘어지는 경우 체결 암을 구부려서, 체결 암은 분리 몸체의 휘어짐에 장애가 되지 않고, 제 1 경사면은 제 2 경사면과 매끄럽게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 간 정렬된 부분의 연장선은 분리 몸체의 휘어짐의 중심과 매칭되어, 분리 몸체의 휘어짐을 기반으로 하는 퓨즈 요소의 스프링백의 반력에 대해 확실히 적용될 수 있고, 분리 몸체의 휘어진 상태는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의 퓨즈 유닛(1)이 휘어지기 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퓨즈 유닛(1) 내의 체결 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퓨즈 유닛(1) 내의 돌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퓨즈 유닛(1) 내의 체결 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퓨즈 유닛(1) 내의 돌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두 개의 분리 몸체가 휘어지기 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두 개의 분리 몸체가 휘어지기 전의 측면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두 개의 분리 몸체가 휘어지는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두 개의 분리 몸체가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두 개의 분리 몸체가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두 개의 분리 몸체가 휘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 10의 라인 E-E에서 획득된 측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퓨즈 유닛의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제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퓨즈 유닛(1)을 도시하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의 퓨즈 유닛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체결 암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돌출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체결 암 부분의 도면(도 7 내의 화살표 IV-IV에서 획득된 도면)이고, 도 5는 돌출부의 도면(도 7에서 화살표 V-V에서 획득된 도면)이고, 도 6은 퓨즈 유닛(1)이 휘어지기 전의 평면도이고, 도 7은 퓨즈 유닛(1)의 측면도이고, 도 8은 휨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퓨즈 유닛(1)이 휘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퓨즈 유닛(1)이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퓨즈 유닛(1)이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도 10에서 화살표 E-E에서 획득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퓨즈 유닛(1)은 퓨즈 요소(미도시) 및 절연성 수지 몸체(2)를 포함하여, 퓨즈 유닛이 만들어진다. 퓨즈 유닛(1)은 차량 내에 설치된 배터리 내에 직접적으로 장착됨으로써 전력 공급을 위해 전력원에 배터리의 전력을 분배하고 공급한다.
퓨즈 요소는 전도성 금속 플레이트로 제작되고, 수지 몸체(2)를 성형할 때 금속 주형에 주입됨으로써 수지 몸체(2)와 일체로 성형된다. 복수의 퓨즈 또는 탭 단자(미도시)는 퓨즈 요소 내에 형성된다. 퓨즈 요소의 중간 부분은 수지 몸체(2)로부터 노출되는 연성 힌지부(3)(도 6 및 도 8 참조)를 형성하고, 수지 몸체(2)는 아래에 설명될 바와 같이 힌지부(3)에 대해 휘어질 수 있다.
수지 몸체(2)는 두 개의 분리 몸체(5, 7)로 형성된다. 두 개의 분리 몸체(5, 7)는 퓨즈 요소의 힌지부(3) 주위에서 분리되고, 퓨즈 요소의 힌지부(3)는 분리 몸체(5, 7)의 중간 부분에서 노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 몸체(2)는 퓨즈 요소의 힌지부(3)에 대해 L자형을 형성하도록 휘어진다. 따라서, L자형으로 휘어짐으로써, 퓨즈 유닛(1)은 좁은 공간 안쪽에서 다수의 회로의 배치에 대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분리 몸체(5)는 일 분리 몸체(5)로 서술되고, 분리 몸체(7)는 타 분리 몸체(7)로 서술될 것이다.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단자의 단자 연결부(81), 교류 발전기 단자의 단자 연결부(82) 및 시동 모터 단자의 단자 연결부(83)는 타 분리 몸체(7) 내에 형성된다. 일 분리 몸체(5)는 퓨즈 빌트-인 부분(85) 및 탭 단자 빌트-인 부분(86)을 갖는다.
퓨즈 요소의 힌지부(3) 주위에서 서로 마주보는 대향 벽 부분(51) 및 대향 벽 부분(71)은 일 분리 몸체(5) 및 타 분리 몸체(7) 내에 형성된다(도 1, 도 6 및 도 9 참조). 일 분리 몸체(5)의 대향 벽 부분(51)에는, 대향 벽 부분(51)에 대해 직교하는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의 측벽 부분(52, 53)이 평행하게 형성되고, 타 분리 몸체(7)의 대향 벽 부분(71)에는, 대향 벽 부분(71)에 대해 직교하는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의 측벽 부분(72, 73)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모든 측벽 부분(52, 53) 및 측벽 부분(72, 73)은 분리 몸체(5, 7) 사이에서 평행하게 된다.
한 쌍의 체결 암(11, 12)은 일 분리 몸체(5) 내에 형성된다. 체결 암(11, 12)은 일 분리 몸체(5) 내의 측벽 부분(52, 53)에 배치되고, 측벽 부분(52, 53) 내의 힌지부(3)의 측에 배치된다. 측벽 부분(52, 53)에 체결 암(11, 12)을 배치함으로써, 체결 암(11, 12)은 일 분리 몸체(5) 내에서 힌지부(3)의 길이 방향인 폭 방향의 두 개의 단부에 배치된다. 체결 암(11, 12)은 분리 몸체(5)의 측에 배치되는 퓨즈 요소의 전도성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대응하는 측벽 부분(52, 53)의 내부 벽 부분으로부터 세워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체결 암(11, 12)은 약간 얇은 형태로 형성되고, 그 결과, 퓨즈 유닛(1)의 폭 방향과 동일한 두께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연성이 제공된다.
고정을 위한 맞물림 부분의 예에 해당하는 체결 돌기부(13, 14)는 각각의 체결 암(11, 12)에 각각 배치된다. 체결 돌기부(13)는 체결 암(11) 내에 배치되고, 체결 돌기부(14)는 체결 암(12)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체결 돌기부(13, 14)는 체결 암(11, 12)의 마주보는 표면 상에 배치된다. 나아가, 체결 돌기부(13, 14)의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서술될 것이다.
한 쌍의 돌출부(17, 18)는 타 분리 몸체(7) 내에 배치된다. 잠금을 위한 맞물림 부분의 예에 해당하는 돌출부(17, 18)는 타 분리 몸체(7) 내의 측벽 부분(72, 73)에 배치되고, 측벽 부분(72, 73) 내의 힌지부(3)의 측에 배치된다. 타 분리 몸체(7)의 측벽 부분(72, 73) 내에 돌출부(17, 18)를 배치함으로써, 돌출부(17, 18)는 타 분리 몸체(7) 내에서 폭 방향의 두 개의 단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돌출부(17)는 체결 암(11)의 체결 돌기부(13)에 대응하고, 돌출부(18)는 체결 암(12)의 체결 돌기부(14)에 대응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암(11)의 측의 체결 돌기부(13)는 체결 암(12)의 마주보는 표면으로부터 체결 암(12)을 향해 일 분리 몸체(5)의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체결 돌기부(13)의 상부면은 슬라이드 표면부(21)로 형성된다. 슬라이드 표면부(21)는 실질적으로 부등변 사각형 표면으로 형성되고, 간섭부(22, 23)는 외부의 두 개의 측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다. 간섭부(22, 23)는 체결 암(11)으로부터 비스듬히 직립된 표면으로 형성된다. 제 1 경사면(25)은 체결 돌기부(13) 내의 간섭부(22, 23)와 마주보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제 1 경사면(25)은 체결 암(11)으로부터 비스듬히 직립된 표면으로 형성된다. 제 1 경사면(25)의 경사는 접히는 시점에서 스프링백에 의한 반력(reaction force)의 방향에 대해 교차하고, 퓨즈 요소의 힌지부(3)를 유연하게 변형시키는, 예컨대 직교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제 1 경사면(25)은 힌지부(3) 내의 휨의 중심 축을 포함하는 평면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체결 암(12)의 측의 체결 돌기부(14)는 체결 암의 측의 체결 돌기부(13)에 면대칭이 되도록, 즉 퓨즈 유닛(1)의 폭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힌지부(3)의 휨의 중심 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대칭이도록 형성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은 슬라이드 표면부(31)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표면부(31) 바깥쪽의 두 개의 측은 간섭부(32, 33)로 형성되며, 또한 제 1 경사면(35)이 간섭부(32, 33)와 마주보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체결 돌기부(13)의 제 1 경사면(25)과 마찬가지로, 체결 돌기부(14)의 제 1 경사면(35)은 퓨즈 요소의 스프링백에 의한 반력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암(12)의 체결 돌기부(14)에 대응하는 돌출부(18)의 상부면은 체결 돌기부(14)의 평면형 슬라이드 표면부(31)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표면부(36)로 형성된다. 슬라이드 표면부(36)의 측벽 부분(73)으로부터 직립되며 퓨즈 유닛(1)의 폭 방향에 직교하는 간섭부(37, 38)는 슬라이드 표면부(36)의 바깥쪽의 두 개의 측으로 형성된다. 간섭부(37, 38)는 체결 돌기부(14)의 간섭부(32, 33)와 대응한다. 슬라이드 표면부(36)로부터 비스듬한 방향으로 떨어지는 제 2 경사면(39)은 슬라이드 표면부(36) 내에서 간섭부(32, 33)와 마주보는 부분에서 이어지도록 배치된다. 체결 돌기부(14)의 제 1 경사면(35)과 마찬가지로, 제 2 경사면(39)은 퓨즈 요소의 스프링백에 의한 반력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두 개의 분리 몸체(5, 7)가 힌지부(3)에서 휘어지는 경우, 우선 돌출부(18)의 간섭부(37, 38)는 체결 돌기부(14)의 간섭부(32, 33)와 간섭된다. 이러한 간섭에 의해, 체결 암(12)은 일 분리 몸체(5)의 측벽 부분(53)의 바깥쪽을 향해 구부러지도록 작동한다. 이어서, 돌출부(18)의 슬라이드 표면부(36)는 체결 돌기부(14)의 슬라이드 표면부(31)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한다. 또한, 힌지부(3)에서 두 개의 분리 몸체가 최종적으로 90°만큼 휜 상태에서, 체결 돌기부(14)는 돌출부(18)를 지나치고, 슬라이드 표면부(36)와 슬라이드 표면부(31) 사이에는 접촉이 발생하지 않고, 체결 암(12)은 회복된다. 그 후, 돌출부(18)의 제 2 경사면(39)은 체결 돌기부(14)의 제 1 경사면(35)과 정렬되고, 표면들(39 및 35) 사이에서 표면 접촉이 발생한다.
도면에는 생략되었지만, 체결 암(11)의 체결 돌기부(13)에 대응하는 돌출부(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8)에 면대칭이 되도록 형성되고, 체결 돌기부(13)의 슬라이드 표면부(21)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표면부, 간섭부(22, 23)에 대응하는 간섭부 및 제 1 경사면(25)에 대응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된다. 체결 돌기부(13)의 제 1 경사면(25)과 마찬가지로, 돌출부(17)의 제 2 경사면은 퓨즈 요소의 스프링백에 의한 반력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두 개의 분리 몸체(5, 7)가 휘어지는 경우, 체결 돌기부(14) 또는 돌출부(18)와 같이 동시에, 돌출부(17)의 간섭부는 우선 체결 돌기부(13)의 간섭부(22, 23)와 간섭되고, 이러한 간섭에 의해, 체결 암(11)은 일 분리 몸체(5)의 측벽 부분(52)의 바깥쪽을 향해 구부러지도록 작동한다. 이어서, 돌출부(17)의 슬라이드 표면부는 체결 돌기부(13)의 슬라이드 표면부(21)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한다. 또한, 돌출부(17)의 제 2 경사면은 체결 돌기부(13)의 제 2 경사면(25)과 정렬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실시예의 수지 몸체(2)의 휨 동작이 도 7, 도 8, 도 10 및 도 11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은 분리 몸체(5)의 체결 암(12) 및 이러한 체결 암(12)에 대응하는 분리 몸체(7)의 돌출부(18)의 동작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바와 같이, 체결 암(11) 및 이러한 체결 암(11)에 대응하는 돌출부(17)는 유사하게 동작한다.
도 7은 분리 몸체(5, 7)가 휘어지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분리 몸체(5, 7)는 이러한 상태로부터 휘어진다. 도 8a는 퓨즈 요소의 힌지부(3)에 대해 일 분리 몸체(5)가 타 분리 몸체(7)의 측으로 휘어진 원래 상태를 도시한다. 도 8a의 상태에서, 체결 암(12)에 배치되는 체결 돌기부(14)의 간섭부(32, 33)는 타 분리 몸체(7)의 측의 돌출부(18)의 간섭부(37, 38)에 접근한다.
도 8b는 일 분리 몸체(5)를 더 휘어지게 한 상태를 도시하고, 체결 돌기부(14)의 간섭부(32, 33)는 이러한 상태에서 돌출부(18)의 간섭부(37, 38)와 간섭된다. 이러한 간섭에 의해, 체결 암(12)은 측벽 부분(53)의 바깥쪽으로 구부러진다. 또한, 체결 암(11)의 측에서, 유사한 동작이 수행되고, 체결 돌기부(13)의 간섭부(22, 23)가 타 분리 몸체(7)의 돌출부(17)의 간섭부와 간섭하며, 이러한 간섭에 의해, 체결 암(11)은 측벽 부분(52)의 바깥쪽으로 구부러진다. 따라서, 체결 암(11, 12)은 측벽 부분(52, 53)의 바깥쪽으로 구부러지고, 그에 따라 일 분리 몸체(5)는 매끄럽게 구부러질 수 있다.
도 8c, 도 10 및 도 11은 일 분리 몸체(5)가 수직으로 휘어진 상태, 즉 분리 몸체(7)가 분리 몸체(5)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상태로 휘어지고, 수지 몸체(2)가 L자형이 된 최종적인 상태를 도시한다. 최종적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체결 암(12) 내의 체결 돌기부(14)의 제 1 경사면(35)이 타 분리 몸체(7)의 측의 돌출부(18)의 제 2 경사면(39)과 정렬되는 상태가 획득된다. 유사하게, 체결 암(11) 내의 체결 돌기부(13)의 제 1 경사면(25)이 타 분리 몸체(7)의 돌출부(17)의 제 2 경사면과 정렬되는 상태가 획득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 돌기부(13, 14)의 간섭부(22, 23, 32, 33)과 돌출부(17, 18)의 간섭부(37, 38) 간의 간섭이 제거되어, 체결 암(11, 12)은 원래 위치로 되돌아온다.
체결 돌기부(13, 14)의 제 1 경사면은 분리 몸체(5, 7)의 둘 모두의 측의 측벽 부분에서 돌출부(17, 18)의 제 2 경사면과 정렬된다. 그 결과, 두 개의 분리 몸체(5, 7)는 폭 방향의 두 개의 단부에서 맞물리고, 휘어진 상태는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체결 돌기부(13, 14)의 제 1 경사면(25, 35) 및 돌출부(17, 18)의 제 2 경사면(39)은 분리 몸체(5, 7)의 휘어짐을 기반으로 하는 퓨즈 요소의 스프링백에 의한 반력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 1 경사면(25)이 하나의 제 2 경사면(39)과 상호 간 표면 접촉하고, 제 1 경사면(35)이 다른 하나의 제 2 경사면(39)과 상호 간 표면 접촉하는 상태로, 제 1 경사면(25, 35)과 제 2 경사면(39) 간에 정렬되는 상태에서, 이러한 표면들은 스프링백에 의한 반력(F)에 대해 확실히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휘어진 상태는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실시예는 퓨즈 요소로부터의 스프링백의 하중에 대해 확실히 적용될 수 있어서, 분리 몸체(5, 7)의 휘어진 상태는 유지될 수 있고, 수지 몸체(2)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체결 돌기부(13, 14)의 제 1 경사면(25, 35)과 돌출부(17, 18)의 제 2 경사면(39) 간의 정렬의 연장선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3)에 해당하는 분리 몸체(5, 7)의 휘어짐의 중심과 매칭된다. 그 결과, 분리 몸체(5, 7)의 휘어짐을 기반으로 하는 퓨즈 요소의 스프링백의 반력에 대해 확실히 적용될 수 있고, 분리 몸체(5, 7)의 휘어진 상태는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에는 체결 암(11, 12)에 연성을 제공함으로써 체결 암(11, 12)의 측벽 부분이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분리 몸체(7)로부터 돌출되는 암 부분의 상부 측에 돌출부(17, 19)를 배치하여 본체에 대해 슬릿을 통과하는 타 분리 몸체(7)의 돌출부(17, 18)를 배치함으로써 돌출부(17, 18)에 연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7, 18)는 측벽 부분의 안쪽으로 구부러지고, 그에 따라 분리 몸체(5, 7)가 휘어지는 동작은 매끄럽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임의의 체결 돌기부(13, 14)의 간섭부(22, 23, 32, 33) 및 돌출부(17, 18)의 간섭부(37, 38)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분리 몸체의 휨을 L자형으로 설정할 필요성이 없고, 퓨즈 유닛이 L자형으로 형성되기 전에 휘어짐이 중단되는 구조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2009년 10월 2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2009-230528을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여기에서 참조로 도입된다.
본원은 빌트-인 퓨즈 요소로부터 스프링백의 하중에 대해 확실히 적용되고 분리 몸체의 휘어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퓨즈 유닛을 형성하는 데에 아주 유용하다.
1: 퓨즈 유닛 2: 수지 몸체
3: 힌지부 5: 일 분리 몸체
7: 타 분리 몸체 11, 12: 체결 암
13, 14: 체결 돌기부 17, 18: 돌출부
21, 31, 36: 슬라이드 표면부 22, 23, 32, 33, 37, 38: 간섭부
25, 35; 제 1 경사면 39: 제 2 경사면
51, 71: 대향 벽 부분 52, 53, 72, 73: 측벽 부분

Claims (4)

  1. 퓨즈 요소를 포함하는 퓨즈 유닛에 있어서,
    제 1 수지 몸체;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 1 수지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 주위에서 상기 제 1 수지 몸체에 대해 휘어지도록 구성되는 제 2 수지 몸체;
    상기 제 1 수지 몸체 상에 제공되는 제 1 대향 벽;
    상기 제 2 수지 몸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대향 벽과 마주보는 제 2 대향 벽으로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 대향 벽과 제 2 대향 벽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대향 벽;
    상기 제 1 수지 몸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수지 몸체의 휨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측벽;
    상기 제 2 수지 몸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수지 몸체의 휨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측벽;
    제 1 측벽에 각각 제공되는 한 쌍의 체결 암;
    상기 체결 암에 각각 제공되고, 각각 제 1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맞물림하는 부분; 및
    상기 제 2 측벽에 각각 제공되고, 각각 상기 맞물림하는 부분에 대응하고, 각각 상기 제 2 수지 몸체가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경사면과 표면 접촉식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맞물려지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경사면 및 상기 제 2 경사면은 상기 제 2 수지 몸체가 휘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퓨즈 요소의 스프링백에 의한 반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하는 부분은 체결 돌기부이고,
    상기 맞물려지는 부분은 돌출부이고,
    상기 체결 돌기부 및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수지 몸체가 휘어짐에 따라 서로 접촉하고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암은 연성을 갖고,
    상기 체결 암은 상기 제 2 수지 몸체가 휘어짐에 따라 상기 제 1 측벽의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이 표면 접촉식으로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경사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 1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은, 상기 제 2 수지 몸체의 휨 축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KR1020127008403A 2009-10-02 2010-10-01 퓨즈 유닛 KR101315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30528 2009-10-02
JP2009230528A JP5303422B2 (ja) 2009-10-02 2009-10-02 ヒューズユニット
PCT/JP2010/067700 WO2011040650A1 (en) 2009-10-02 2010-10-01 Fuse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189A KR20120080189A (ko) 2012-07-16
KR101315664B1 true KR101315664B1 (ko) 2013-10-08

Family

ID=4346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403A KR101315664B1 (ko) 2009-10-02 2010-10-01 퓨즈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90236B2 (ko)
EP (1) EP2483902B1 (ko)
JP (1) JP5303422B2 (ko)
KR (1) KR101315664B1 (ko)
CN (1) CN102656659B (ko)
WO (1) WO20110406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0558B2 (ja) * 2011-02-23 2015-01-07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ボックス
JP5872858B2 (ja) * 2011-11-17 2016-03-01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6063266B2 (ja) * 2013-01-16 2017-01-18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6224938B2 (ja) * 2013-07-23 2017-11-01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6253919B2 (ja) * 2013-08-07 2017-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6513959B2 (ja) * 2015-02-13 2019-05-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CN113078037A (zh) * 2021-03-22 2021-07-06 神龙汽车有限公司 一种可简易开启和闭锁的保险丝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9457A (ja) 2001-05-01 2002-11-15 Yazaki Corp ヒューズ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7905A (en) * 1974-01-21 1977-07-26 Ideal Industries, Inc. No-strip electrical connector
WO1997041623A1 (en) * 1996-04-30 1997-11-06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A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ing and with a lateral cable outlet
JP2000164111A (ja) * 1998-03-16 2000-06-16 Yazaki Corp 自動車用大電流ヒュ―ズ
JP3296298B2 (ja) * 1998-07-23 2002-06-24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DE60139651D1 (de) 2000-02-09 2009-10-08 Yazaki Corp Sicherungseinheit und Herstellungsverfahren
JP4083991B2 (ja) * 2000-02-09 2008-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とその製造方法
DE102004052476B4 (de) * 2003-10-31 2007-08-09 Yazaki Corp. Sicherungsanordnung
JP4579021B2 (ja) * 2005-03-23 2010-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805057B2 (ja) * 2006-08-04 2011-11-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US7663466B1 (en) * 2007-09-21 2010-02-16 Yazaki North America, Inc. Corner-mounted battery fuse
JP5081581B2 (ja) * 2007-10-30 2012-11-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4959507B2 (ja) * 2007-10-31 2012-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JP5122338B2 (ja) 2008-03-24 2013-01-16 富士通株式会社 配達支援プログラム、配達支援装置、および配達支援方法
JP5058925B2 (ja) * 2008-09-18 2012-10-2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流センサ
JP5308908B2 (ja) * 2009-05-08 2013-10-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9457A (ja) 2001-05-01 2002-11-15 Yazaki Corp ヒューズ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76216A1 (en) 2012-07-12
JP5303422B2 (ja) 2013-10-02
CN102656659A (zh) 2012-09-05
KR20120080189A (ko) 2012-07-16
JP2011081912A (ja) 2011-04-21
US9190236B2 (en) 2015-11-17
CN102656659B (zh) 2015-07-15
EP2483902B1 (en) 2016-03-23
EP2483902A1 (en) 2012-08-08
WO2011040650A1 (en)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664B1 (ko) 퓨즈 유닛
US7717720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9326395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5382526B2 (ja) 電気接続箱
JP5812428B2 (ja) 電気接続箱
JP5813397B2 (ja) ヒューズホルダ、該ヒューズホルダを用いたヒューズの接続方法、該ヒューズホルダを備えたヒューズの接続構造
JP6950866B2 (ja) 暗電流回路の断続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接続箱
US20170164496A1 (en) Engagement structure, electronic component module,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US20050011658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6932625B2 (en) Junction socket with a moveable contact piece
WO2018216523A1 (ja) 端子モジュール
JP5800624B2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端部構造
JP5482220B2 (ja) 電気接続箱における嵌合部材のロック構造
US7755908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2018064366A (ja) 電気接続箱
US7314376B2 (en) Electric distribution box
US6648658B2 (en) Lever fitting type connector
JP5141451B2 (ja) 電気接続箱
US11139135B2 (en) Attachment structure between cover and housing, and fusible link unit
JPWO2014142250A1 (ja)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JP3898956B2 (ja) クリップの取付構造
JP4242378B2 (ja) ロック機構付き電気コネクタ
JP2001211530A (ja) 縦型バスバーを有する電気接続箱
JP5835672B2 (ja) バスバー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2017199630A (ja) バスバー及び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