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369B1 - 세차기용 브러시 - Google Patents

세차기용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369B1
KR101313369B1 KR1020090038682A KR20090038682A KR101313369B1 KR 101313369 B1 KR101313369 B1 KR 101313369B1 KR 1020090038682 A KR1020090038682 A KR 1020090038682A KR 20090038682 A KR20090038682 A KR 20090038682A KR 101313369 B1 KR101313369 B1 KR 101313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ylindrical member
stopper
shaf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698A (ko
Inventor
마사카즈 후쿠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90119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16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wires or other anchoring means, specially for U-shaped bristle tuf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6Brushes for cleaning car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Brush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시 부재의 교환을,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단시간에 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소모나 더러움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세차기용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축체(31)에 대해서, 축심(31A)을 따른 방향으로 복수의 브러시 유닛(40)을 바깥끼움하여 배치하였다. 각 브러시 유닛은, 축체에 대해서 축심을 따른 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럼동작 가능하고 또한 축체와 자유롭게 일체 회전 가능한 통 형상 부재(41)와, 통 형상 부재에 대해서, 걸어벗김 조작에 의해서 바깥쪽으로부터 자유롭게 착탈 가능한 브러시 부재(51)로 이루어진다. 브러시 부재의 교환 작업은, 공구 등을 사용하는 일 없이 단시간에 행할 수 있어, 주유소의 스탭이라도 용이하게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세차기의 정지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세차 대기시간을 짧게 하여 적합한 세차를 행할 수 있고, 항상 깨끗한 상태에서 세정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떼어낸 브러시 부재는, 세탁 처리 등을 함으로써, 다음의 교환용으로서 준비할 수 있어, 반복하여 깨끗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곧바로 더러워지므로 정기적으로 교환하고 싶은 건조용의 브러시 부재로서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차기용 브러시{CAR WASHING BRUSH}
본 발명은, 피세정차량과 세차기 본체를 전후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면서, 피세정차량의 세정을 행하는 각종 형식의 세차기에 채용되는 세차기용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것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제공되어 있다. 즉, 회전축의 바깥둘레에 1조의 고무제 나선을 설치하는 것과 함께, 양 나선의 기초부를 접속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이 접속부를 나사로 회전축에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양 나선 사이에 흡수성 독립 스펀지판의 기초부를 삽입하여, 암나간(螺杆), 숫나간, 또는 볼트 등으로 조여 붙여 고정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화60-128050호(제 2 페이지, 도 3)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5-192225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 301586호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성에 의하면, 흡수성 독립 스펀지판의 교환은 용이하 게 행할 수 없다. 즉 흡수성 독립 스펀지판은, 곧바로 소모되거나 더러워지거나 하기 때문에, 자주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어, 이 경우에, 암나간 및 숫나간, 또는 볼트 등에 대한 착탈의 나사식 맞춤 조작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교환 작업에는 공구가 필요하고, 또한 교환 작업에 시간이 걸려 세차기의 정지시간이 길어져, 세차 대기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교환 작업은, 전문적인 기술자(제조회사의 서비스맨) 밖에 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소모나 더러움에 신속히 대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브러시 부재의 교환을,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단시간에 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소모나 더러움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세차기용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발명의 세차기용 브러시는, 축체에 대해서, 축심을 따른 방향으로 복수의 브러시 유닛이 바깥끼움으로 배치되고, 각 브러시 유닛은, 축체에 대해서 축심을 따른 방향으로 미끄럼동작이 가능하면서 축체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통 형상 부재와, 이 통 형상 부재에 대해서, 걸기 빼기 조작에 의해서 바깥쪽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브러시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 형상 부재의 바깥둘레면측에서 둘레방향의 복수 개소에는, 바깥둘레로 개방된 홈 형상의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브러시 부재는, 통 형상 부재에 바깥끼움의 형태로 둘레방향의 적어도 1개소가 연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링 형상부와, 이 링 형상부측에 내단(內端)부분이 지지된 브러시 단체(單體)로 이루어지고, 링 형상부는, 각각 복수의 분할체와 걸어멈춤구로 이루어지고, 각 분할체는, 통 형상 부재에 맞닿음 가능한 내판부와, 이 내판부의 둘레방향의 양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달아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에 의해 단면이 U자형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판부의 안둘레면측에는, 상기 걸어맞춤부에 바깥쪽으로부터 걸기 빼기가 가능한 피걸어맞춤부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접되는 측판부 사이에서 브러시 단체의 내단부분을 끼워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걸어멈춤구로 고정됨에 의해, 상기 분할체를 둘레방향에 연결하여 링 형상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발명에 의하면, 세차작업 시에는, 축체를 축심의 둘레에 회전시키고, 축체의 회전력을 각 브러시 유닛의 통 형상 부재에 전달하는 것과 함께, 통 형상 부재의 회전을 브러시 부재에 전달할 수 있어, 이로써 각 브러시 유닛을 축체와 일체 형상으로서 축심의 둘레에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세차기용 브러시를 이동시킴으로써, 브러시 부재를 피세정차량의 표면에 접촉시켜 세정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세정 처리를 행함으로써, 브러시 부재가 소모되거나 더러워졌을 때, 세차작업을 정지(록)한 상태에서, 목적으로 하는 브러시 부재의 교환을 행한다. 즉 이탈 조작하는 것에 의해, 소모되거나 더러워져 있는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로부터 바깥쪽으로 완전히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조작하는 것에 의해, 준비하고 있었던 새로운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에 바깥쪽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발명의 세차기용 브러시는, 상기한 제1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통 형상 부재의 바깥둘레면측에서 둘레방향의 복수 개소에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브러시 부재는, 통 형상 부재에 바깥끼움 형상의 링 형상부와, 이 링 형상부측에 내단부분이 지지된 브러시 단체로 이루어지고, 링 형상부는, 그 안둘레면측에 상기 걸어맞춤부에 바깥쪽으로부터 자유롭게 걸기 빼기가 가능한 피걸어맞춤부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둘레방향의 적어도 1개소가 자유롭게 연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제2 발명에 의하면, 통 형상 부재에 대해서, 그 걸어맞춤부군에 피걸어맞춤부군을 걸어맞춤시킨 상태에서 브러시 부재를 바깥끼움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세차작업 시에는, 통 형상 부재의 회전을,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피걸어맞춤부군을 통하여 링 형상부에 전달할 수 있어, 이로써 각 브러시 유닛을 축체와 일체 형상으로서 축심의 둘레에 회전할 수 있다. 그 때에, 걸어맞춤부군에 피걸어맞춤부군을 걸어맞춤하고 있음으로써, 회전하고 있는 브러시 부재의 통 형상 부재에 대한 둘레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회전하고 있는 브러시 부재의 통 형상 부재에 대한 길이방향(축심을 따른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브러시 단체군을 원심력에 의해서 확대되게 되어, 따라서, 세차기용 브러시를 이동시킴으로써, 확대되어 회전하고 있는 브러시 단체군을 피세정차량의 표면에 접촉시켜 세정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세정 처리를 행함으로써, 브러시 단체가 소모되거나 더러워졌을 때, 목적으로 하는 브러시 부재의 교환을 행한다. 즉 이탈 조작에 의해 링 형상부의 1개소를 분리함으로써,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부로부터 이탈(뽑아낼)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 브러시 단체가 소모되거나 더러워져 있는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에 바깥끼움시키는 것과 함께, 걸어맞춤부에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시키고, 이어서 걸어맞춤 조작에 의해 링 형상부의 1개소를 연결함으로써, 준비하고 있었던 새로운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에 바깥쪽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발명의 세차기용 브러시는, 상기한 제2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걸어맞춤부는, 바깥둘레에 개방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 형상부는, 각각 복수의 분할체와 걸어멈춤구로 이루어지고, 각 분할체는, 통 형상 부재에 자유롭게 접촉 가능한 내판부와, 이 내판부의 둘레방향의 양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달아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에 의해 단면이 U자형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판부에는 상기 걸어맞춤부에 자유롭게 걸기 빼기가 가능한 피걸어맞춤부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접되는 측판부 사이에서 브러시 단체의 내단부분을 끼워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걸어멈춤구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분할체를 둘레방향에 연결하여 링 형상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제3 발명에 의하면, 통 형상 부재의 회전을,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피걸어맞춤부군을 통하여 각 분할체, 즉 링 형상부에 전달할 수 있어, 이로써 각 브러시 유닛을 축체와 일체 형상으로서 축심의 둘레에 회전할 수 있다. 세정 처리를 행함으로써, 브러시 단체가 소모되거나 더러워졌을 때, 목적으로 하는 브러시 부재의 교환을 행한다. 즉 걸어멈춤구의 이탈 조작에 의해 링 형상부의 1개소, 즉 인접한 분할체 사이를 분리함으로써,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부로부터 이탈(뽑아낼)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 브러시 단체가 소모되거나 더러워져 있는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에 바깥끼움시키는 것과 함께, 걸어맞춤부에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시키고, 이어서 걸어멈춤구의 걸어맞춤 조작에 의해 분할체를 둘레방향에 연결하여 링 형상부를 구성함으로써, 준비하고 있었던 새로운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에 바깥쪽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발명의 세차기용 브러시는, 상기한 제3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한 쌍의 측판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걸어멈춤구는, 덧댐판부와, 이 덧댐판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멍에 자유롭게 삽입통과 가능한 핀부를 구비하는 제 1 걸어멈춤구와, 상기 핀부의 선단부분에 자유롭게 걸어맞춤 가능한 덧댐판부와, 이 덧댐판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걸기 빼기 조작부를 구비하는 제 2 걸어멈춤구로 이루어지고, 제 1 걸어멈춤구의 핀부를, 인접하는 측판부의 양 관통구멍과 브러시 단체의 내단부분에 형성한 구멍부에 삽입통과시킨 후, 제 2 걸어멈춤구의 덧댐판부를 핀부의 선단부분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분할체를 통 형상 부재의 바깥둘레면을 따르도록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인접한 측판부 사이의 연결을 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제4 발명에 의하면, 통 형상 부재에 대한 브러시 부재의 바깥끼움 한 장착은, 분할체의 내판부를 통 형상 부재의 바깥둘레면을 따르도록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단단히 조인 형상(감아붙인 형상)으로 행할 수 있다. 목적으로 하는 브러시 부재의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제 2 걸어멈춤구의 덧댐판부를, 걸기 빼기 조작부를 사이에 두고 측판부상에서 내판부로부터 멀어지는 측(바깥쪽)을 향하여 슬라이드시키고, 핀부의 선단부분에 대해서 이탈시킨다. 이것에 의해, 탄성변형시킨 상태의 링 형상부에의 단단히 조임 작용력을 개방할 수 있어, 그 탄성 반발력(탄성 개방력)에 의해서, 핀부의 선단부분측을 인접한 측판부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뽑아내어, 링 형상부의 상기 개소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서 링 형상부를 지름확대 형상으로 할 수 있어, 이로써 분리 개소의 부근에 있어서의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부로부터 자동적으로 이탈(뽑아낼)할 수 있다. 따라서 링 형상부를, 그 탄성력에 저항하여 밀어 넓히는(더 지름확대시킨다) 것에 의해서, 브러시 단체가 소모되거나 더러워져 있는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준비하고 있었던 새로운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에 바깥끼움시키는 것과 함께, 걸어맞춤부에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시키고, 이어서 링 형상부를 단단히 조인 형상으로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한쪽의 분할체의 측판부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천 브러시 단체의 구멍부에 걸쳐서 삽입통과시킨 제 1 걸어멈춤구의 핀부를, 다른쪽의 분할체의 측판부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에 삽입통과시킨다. 이어서, 제 2 걸어멈춤구의 덧댐판부를 다른쪽의 분할체의 측판부에 접촉시킨 후, 걸기 빼기 조작부를 사이에 두고 측판부상에서 내판부를 향하여 슬라이드시키고, 핀부의 선단부분에 바깥쪽으로부터 걸어맞춤시킴으로써, 통 형상 부재에 새로운 브러시 부재를 장착한 브러시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소모되고 있는 브러시 부재는, 제 2 걸어멈춤구를 이탈시킨 핀부로부터 소모되고 있는 브러시 단체를 떼어낸 후, 새로운 브러시 단체를 핀부에 부착함으로써, 모든 브러시 단체를, 또는 파손 등 소모가 심한 특정의 브러시 단체를 교환할 수 있다. 그 때에 교환 작업은,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로부터 분리하여 떼어낸 상태(세탁 가능상태)에서, 또는, 소모되고 있는 브러시 단체의 부분을 분리한 상태(지름확대 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발명에 의하면, 세차작업시에는, 축체를 축심의 둘레에 회전시키고, 축체의 회전력을 각 브러시 유닛의 통 형상 부재에 전달하는 것과 함께, 통 형상 부재의 회전을 브러시 부재에 전달할 수 있어, 이로써 각 브러시 유닛을 축체와 일체 형상으로서 축심의 둘레에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세차기용 브러시를 이동시킴으로써, 브러시 부재를 피세정차량의 표면에 접촉시켜 세정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세차기용 브러시에 의한 세정 처리를 행함으로써, 브러시 부재가 소모되거나 더러워졌을 때, 세차작업을 정지(록)한 상태에서, 목적으로 하는 브러시 부재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즉 이탈 조작하는 것에 의해, 소모되거나 더러워져 있는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로부터 바깥쪽으로 완전히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조작하는 것에 의해, 준비하고 있었던 새로운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에 바깥쪽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러시 부재의 교환 작업은, 공구 등을 사용하는 일 없이 단시간에 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주유소의 스탭이라도 용이하게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세차기의 정지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세차 대기시간을 짧게 하고 적합한 세차를 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항상 깨끗한 상태에서 세정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통 형상 부재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떼어낸 브러시 부재는, 세탁 처리 등을 함으로써, 다음의 교환용으로서 준비할 수 있어, 이로써 반복하여 깨끗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곧바로 더러워지므로 정기적으로 교환하고 싶은 건조용의 브러시 부재로서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제2 발명에 의하면, 통 형상 부재에 대해서, 그 걸어맞춤부군에 피걸어맞춤부군을 걸어맞춤시킨 상태에서 브러시 부재를 바깥끼움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세차작업 시에는, 통 형상 부재의 회전을,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피걸어맞춤부군을 통하여 링 형상부에 전달할 수 있어, 이로써 각 브러시 유닛을 축체와 일체 형상으로서 축심의 둘레에 회전할 수 있다. 그 때에, 걸어맞춤부군에 피걸어맞춤부군을 걸어맞춤하고 있음으로써, 회전하고 있는 브러시 부재의 통 형상 부재에 대한 둘레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회전하고 있는 브러시 부재의 통 형상 부재에 대한 길이방향(축심을 따른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브러시 단체군을 원심력에 의해서 확대되게 되어, 따라서, 세차기용 브러시를 이동시킴으로써, 확대되어 회전하고 있는 브러시 단체군을 피세정차량의 표면에 접촉시켜 세정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세정 처리를 행함으로써, 브러시 단체가 소모되거나 더러워졌을 때, 목적으로 하는 브러시 부재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즉 이탈 조작에 의해 링 형상부의 1개소를 분리함으로써,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부로부터 이탈(뽑아낼)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브러시 단체가 소모되거나 더러워져 있는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에 바깥끼움시키는 것과 함께, 걸어맞춤부에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시키고, 이어서 걸어맞춤 조작에 의해 링 형상부의 1개소를 연결 함으로써, 준비하고 있었던 새로운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에 바깥쪽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의 제3 발명에 의하면, 통 형상 부재의 회전을,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피걸어맞춤부군을 통하여 각 분할체, 즉 링 형상부에 전달할 수 있어, 이로써 각 브러시 유닛을 축체와 일체 형상으로서 축심의 둘레에 회전할 수 있다. 세정 처리를 행함으로써, 브러시 단체가 소모되거나 더러워졌을 때, 목적으로 하는 브러시 부재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즉 걸어멈춤구의 이탈 조작에 의해 링 형상부의 1개소, 즉 인접한 분할체 사이를 분리함으로써,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부로부터 이탈(뽑아낼)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 브러시 단체가 소모되거나 더러워져 있는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에 바깥끼움시키는 것과 함께, 걸어맞춤부에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시키고, 이어서 걸어멈춤구의 걸어맞춤 조작에 의해 분할체를 둘레방향에 연결하여 링 형상부를 구성함으로써, 준비하고 있었던 새로운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에 바깥쪽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제4 발명에 의하면, 통 형상 부재에 대한 브러시 부재의 바깥끼움한 장착은, 분할체의 내판부를 통 형상 부재의 바깥둘레면을 따르도록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단단히 조인 형상(감아붙인 형상)으로 행할 수 있다. 목적으로 하는 브러시 부재의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제 2 걸어멈춤구의 덧댐판부를, 걸기 빼기 조작부를 사이에 두고 측판부상에서 내판부로부터 멀어지는 측(바깥쪽)을 향하여 슬라이드시키고, 핀부의 선단부분에 대해서 이탈시킨다. 이것에 의해, 탄성변형시킨 상태의 링 형상부에의 단단히 조임 작용력을 개방할 수 있어, 그 탄성 반발력(탄성 개방력)에 의해서 핀부의 선단부분측을 인접한 측판부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뽑아내어, 링 형상부의 상기 개소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서 링 형상부를 지름확대형상으로 할 수 있어, 이로써 분리 개소의 부근에 있어서의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부로부터 자동적으로 이탈(뽑아낼)할 수 있다. 따라서 링 형상부를, 그 탄성력에 저항하여 밀어 넓히는(더 지름확대시킨다) 것에 의해서, 브러시 단체가 소모되거나 더러워져 있는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준비하고 있었던 새로운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에 바깥끼움시키는 것과 함께, 걸어맞춤부에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시키고, 이어서 링 형상부를 단단히 조인 형상으로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한쪽의 분할체의 측판부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천 브러시 단체의 구멍부에 걸쳐서 삽입통과시킨 제 1 걸어멈춤구의 핀부를, 다른쪽의 분할체의 측판부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에 삽입통과시키고, 이어서 제 2 걸어멈춤구의 덧댐판부를 다른쪽의 분할체의 측판부에 접촉시킨 후, 걸기 빼기 조작부를 사이에 두고 측판부상에서 내판부를 향하여 슬라이드시키고, 핀부의 선단부분에 바깥쪽으로부터 걸어맞춤시킴으로써, 통 형상 부재에 새로운 브러시 부재를 장착한 브러시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소모되고 있는 브러시 부재는, 제 2 걸어멈춤구를 이탈시킨 핀부로부터 소모되고 있는 브러시 단체를 떼어낸 후, 새로운 브러시 단체를 핀부에 부착함으로써, 모든 브러시 단체를, 또는 파손 등 소모가 심한 특정의 브러시 단체를 교환할 수 있다. 그 때에 교환 작업은, 브러시 부재를 통 형상 부재로부터 분리하여 떼어낸 상태(세탁 가능상태)에서, 또는, 소모되고 있는 브러시 단체의 부분을 분리한 상태(지름확대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거치형으로 연속세정형식의 세차기에 채용한 상태로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마루면(F)에는, 거치형의 세차기 본체(1)와, 전방에서 세차기 본체(1)를 관통하여 후방에 이르는 컨베이어(차량 이동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차기 본체(1)는 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세차기 본체(1)내 에는, 앞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세정부(3)에서 건조부(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차기 본체(1)의 전단부에는 피세정차량(C)의 차고를 검출하는 소닉 센서(5)가 부착되고,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조작 패널(6,7)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2)는, 피세정차량(C)의 반송 향 좌측의 차바퀴(T)를 통하여 이동력(반송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 세정부(3)는, 피세정차량(C)에 고압수를 분사하는 사이드 스프레이 노즐(11), 및 틸트 스프레이 노즐(12)과, 피세정차량(C)에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 아치(13)와, 피세정차량(C)의 양 측면하부 및 전후의 차바퀴(T)의 측면을 세정하는 좌우 한 쌍의 록커 브러시(14)와, 피세정차량(C)의 상면을 세정하는 제 1 세정용 톱 브러시(15) 및 제 2 세정용 톱 브러시(16)와, 피세정차량(C)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파이널 린스 아치(세정수 아치)(17)와, 피세정차량(C)의 전면 및 후면을 세정하는 좌우 한 쌍의 제 1 세정용 사이드 브러시(18)와, 피세정차량(C)의 양 측면을 세정하는 좌우 한 쌍의 제 2 세정용 사이드 브러시(19)와, 피세정차량(C)에 불소 코트제를 분사하는 발수 코트 아치(20)와, 피세정차량(C)에 액체 왁스를 분사(분무)하는 왁스 아치(21)가, 이 순서로 배치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4)는, 피세정차량(C)의 상면을 건조시키는 제 1 톱 노즐 (25)과, 피세정차량(C)의 양 측면을 건조시키는 좌우 한 쌍의 제 1 사이드 노즐 (26)과, 피세정차량(C)의 상면을 건조시키는 제 2 톱 노즐(27)과, 피세정차량(C)의 양 측면을 건조시키는 좌우 한 쌍의 제 2 사이드 노즐(28)과, 피세정차량(C)의 양 측면(표면)에 부착한 물방울을 털어내는 좌우 한 쌍의 건조용 사이드 브러시(건조 용 브러시의 일례)(30)와, 피세정차량(C)의 상면(표면)에 부착한 물방울을 털어내는 건조용 톱 브러시(건조용 브러시의 일례)(29)가, 이 순서로 배치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세정부(3)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록커 브러시(14)는, 자유롭게 좌우 요동 가능한 암(14A)의 유단(遊端)에 설치되어, 요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암(14A)을 요동시킴으로써 좌우방향(차폭방향)으로 자유롭게 전진후퇴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세정용 톱 브러시(15)와 제 2 세정용 톱 브러시(16)는, 좌우에 설치된 레일에 안내되어 수직 형상으로 자유롭게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승강이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차고의 변화에 추종하여 자유롭게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세정용 사이드 브러시(18)는, 세차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좌우 방향의 레일(18A)에 지지 안내되어 자유롭게 좌우이동(개폐동작)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좌우이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좌우이동시킴으로써, 피세정차량(C)의 전면과 후면의 세정을 행하는 것과 함께, 이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레일(18A)을 전후이동시킴으로써, 컨베이어(2)에 의한 피세정차량(C)의 반송에 추종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세정용 사이드 브러시(19)는, 자유롭게 좌우요동 가능한 암(19A)의 유단에 설치되어, 요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암(19A)을 요동시켜 좌우방향(차폭방향)으로 전진후퇴동작 시킴으로써, 피세정차량(C)의 측면의 세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건조부(4)에 있어서, 제 1 톱 노즐(25)과 제 2 톱 노즐(27)은, 승강이 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차고의 변화에 추종하여 자유롭게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건조용 톱 브러시(29)는, 좌우에 설치된 레일에 안내되어 수직 형상으로 자유롭게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승강이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차고의 변화에 추종하여 자유롭게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건조용 사이드 브러시(30)는, 자유롭게 좌우 요동 가능한 암(71)(후술한다.)의 유단에 설치되어, 요동장치에 의해서 암(71)을 요동시킴으로써 좌우방향(차폭방향)으로 자유롭게 전진후퇴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세정부 (3)나 건조부(4)에 있어서, 노즐 등 다른 장치는 고정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노즐(25∼28)은,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연이어 통해져 있다.
도 1, 도 5 내지 도 9에 있어서, 상기 건조용 사이드 브러시(30)는, 축체 (31)에 대해서, 그 축심(31A)을 따른 방향으로 복수의 브러시 유닛(40)이 바깥끼움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축체(31)는 통 형상으로서, 그 바깥둘레면에서 180도 변위한 2개소(1개소 또는 3개소 이상)에는 축심(31A)을 따른 방향의 돌조체(32)가 일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심(31A)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피치(P){브러시 유닛(40)의 배치 피치에 상당}마다의 복수 개소에서 또한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90도 변위한 4개소(단수 개소 또는 복수 개소)에는 나사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각 브러시 유닛(40)은, 축체(31)에 대해서 축심(31A)을 따른 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럼동작 가능하고 또한 축체(31)와 자유롭게 일체 회전 가능한 통 형상 부재(41)와, 이 통 형상 부재(41)에 대해서, 걸기 빼기 조작에 의해서 바깥쪽으로부터 자유롭게 착탈 가능한 브러시 부재(51)로 이루어진다.
즉 통 형상 부재(41)는, 축체(31)에 대해서 밀접한 형상으로 자유롭게 바깥끼움 가능한 내통부(42)와, 이 내통부(42)의 바깥둘레면에서 30도 변위한 12개소(복수 개소)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달아 설치된 돌출판부(43)와, 각 돌출판부(43)의 외단에 일체화된 외판부(44)와, 이들 내통부(42)로부터 돌출판부(43) 및 외판부 (44)의 하면 사이에 일체화된 링 형상의 저판부(4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외판부 (44)는, 내통부(42)의 외면을 따르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함께, 원호 방향의 중앙 부분이 돌출판부(43)의 외단에 일체화되어, 이것에 의해 외판부(44)의 인접한 단부 사이에, 바깥둘레에 개방된 홈 형상의 걸어맞춤부(46)가 형성되어, 이로써 상기 통 형상 부재(41)의 바깥둘레면측에서 둘레방향의 12개소(복수 개소)에 걸어맞춤부(46)가 형성된다.
그리고 내통부(42)에는,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90도 변위한 4개소(단수 개소 또는 복수 개소)에, 상기 축체(31)의 나사구멍(33)에 자유롭게 연이어 통함 가능한 통과구멍(47)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180도 변위한 2개소(단수 개소 또는 복수 개소)에는, 상기 축체(31)의 돌조체(32)가 자유롭게 끼워넣음 가능한 오목홈부(48)가 축심(31A)을 따른 방향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판부(45)에는, 각 걸어맞춤부(46)에 대응하여 각각 물뽑기 구멍(49)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42∼49 등에 의해, 예를 들어 금속제의 통 형상 부재(41)의 일례가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통 형상 부재(41)는, 그 오목홈부(48)를 돌조체(32)에 끼워맞춤시킨 상태에서 축체(31)에 바깥끼움시키고, 그리고 축심(31A)을 따른 방향으로 미끄럼동작시켜 소정 레벨의 나사구멍(33)에 통과구멍(47)을 연이어 통하게 한 후, 통과구멍(47)에 바깥쪽으로부터 통과한 볼트체(고정구의 일례)(35)를 나사구멍(33)에 나사식 맞춤시킴으로써, 통 형상 부재(41)를, 축체(31)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외판부(44)의 통과구멍(47)에 대향한 위치에는, 볼트체(35)를 통과시키기 위한 절결 부분(4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러시 부재(51)는, 통 형상 부재(41)에 바깥끼움 형상의 링 형상부 (52)와, 이 링 형상부(52)측에, 절첩한 내단부분(68a)이 지지된 천 브러시 단체 (68)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링 형상부(52)는, 각각 복수의 분할체(53)와 걸어멈춤구(60)로 이루어진다.
각 분할체(53)는, 통 형상 부재(41)에 자유롭게 접촉 가능한 내판부(54)와, 이 내판부(54)의 둘레방향의 양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달아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55)에 의해, 통 형상 부재(41)와 같은 길이의, 단면이 U자형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내판부(54)의 내면측에, 상기 통 형상 부재(41)의 걸어맞춤부(46)에 자유롭게 걸기 빼기가 가능한 피걸어맞춤부(56)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 때에 내판부(54)는, 통 형상 부재 (41)의 외판부(44)의 외면을 따르도록, 이 외면보다 조금 큰 반지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함께, 그 내면이, 외판부(44)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자유롭게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측판부(55)에는, 각각 길이 방향{축심(31A)을 따른 방향}의 2개소에 관통구멍(5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멈춤구(60)는, 제 1 걸어멈춤구(61)와 제 2 걸어멈춤구(6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걸어멈춤구(61)는, 플레이트 형상의 덧댐판부(62)와, 이 덧댐판부(6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멍(57)으로 자유롭게 삽입통과 가능한 핀부(63)로 이루어지고, 이 핀부(63)의 선단부분에는, 요입 고리형상의 걸어멈춤부분(6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걸어멈춤구(64)는, 플레이트 형상의 덧댐판부 (65)와, 이 덧댐판부(65)의 외단의 일면으로부터 직각 형상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걸기 빼기 조작부(66)로 이루어지고, 상기 덧댐판부(65)에는, 상기 핀부(63)의 걸어멈춤부분(선단부분)(63a)에 바깥쪽으로부터 자유롭게 걸어맞춤 가능한 요입 형상의 피걸어멈춤부분(65a)이, 내단측에 개방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천 브러시 단체(68)는, 예를 들어 직포나 장섬유를 사용한 부직포 등 천만으로 이루어지는 한 장의 장방형 형상(도 9의 실선 참조)으로 이루어지고, 길이가 짧은 폭방향에 있어서 두번 접어지는(도 9의 가상선 참조) 것과 함께, 그 길이가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내단부분(68a)에는, 상기 핀부(63)가 자유롭게 삽입통과 가능한 구멍부(6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 브러시 단체(68)는, 2개(2매)를 1세트로 하여 상기 링 형상부(52)측에 지지되고, 그 때에 절곡산부(접는 선부) (68b)가 위쪽에 위치된다.
즉, 분할체(53)군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에서 인접된 측판부(55) 사이에서, 절첩한 천 브러시 단체(68)의 내단부분(68a)을, 2매 겹침(1세트)으로 하여 끼워지지한 상태에서, 제 1 걸어멈춤구(61)의 핀부(63)를, 양 관통구멍(57)과 각 구멍부 (69){내단부분(68a)}에 걸쳐서 삽입통과시키고, 덧댐판부(62)를 한쪽의 분할체(53)의 측판부(55)에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 2 걸어멈춤구(64)의 덧댐판부(65)를 다른쪽의 분할체(53)의 측판부(55)에 접촉시키고, 그리고 걸기 빼기 조작부(66)를 사이에 두고 측판부(55)상에서 내판부(54)를 향하여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피걸어멈춤부분(65a)을 걸어멈춤부분(63a)에 바깥쪽으로부터 걸어맞춤시킨다.
이것에 의해, 인접된 측판부(55) 사이에서, 절첩한 천 브러시 단체(68)의 내단부분(68a)을, 2매 겹침(1세트)으로 하여 끼워지지한 상태에서, 인접된 측판부 (55) 사이를, 제 1 걸어멈춤구(61)와 제 2 걸어멈춤구(64)를 사이에 두고 고정할 수 있다. 그 때에 고정은, 요입 고리형상의 걸어멈춤부분(63a)의 요입 경사면(요입 원호면)과 요입 형상의 피걸어멈춤부분(65a)의 요입 경사면(요입 원호면)과의 면가이드 작용(걸어맞춤력)에 의해서, 인접된 측판부(55) 사이를 서로 접근시키는 상태에서, 즉 측판부(55)간에 내단부분(68a)을 강하게 끼워지지한 상태에서 행하여지는 것과 함께, 그 끼워지지 반발력으로 걸어맞춤력이 강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링 형상부(52)의 형성 치수 등에 의해, 제 2 걸어멈춤구(64)의 덧댐판부(65)를 핀부(63)의 걸어멈춤부분(선단부분)(63a)에 바깥쪽으로부터 걸어맞춤 시키는 것에 의한 바깥쪽으로부터의 걸어맞춤력에 의해서, 분할체(53)의 내판부(54)를 통 형상 부재(41)의 바깥둘레면을 따르도록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인접한 측판부(55) 사이의 연결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분할체(53)군과 천 브러시 단체(68)의 내단부분(68a)군으로 이루어지는 링 형상부(52), 즉 상기 걸어멈춤구 (60)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분할체(53)군을 둘레방향에 연결하여 구성한 링 형상부(52)는, 그 안둘레면측에 상기 걸어맞춤부(46)에 바깥쪽으로부터 자유롭게 걸기 빼기가 가능한 피걸어맞춤부(56)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둘레방향의 12개소(적어도 1개소)가 자유롭게 연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축체(31)의 하단에는, 브러시 유닛(40)의 낙하를 저지하는 받이부재(37)가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41∼69 등에 의해, 브러시 유닛(40)의 일례가 구성되고, 그리고 31∼69 등에 의해, 건조용 사이드 브러시(30)의 일례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조용 사이드 브러시(30)는, 그 축체(31)의 상부가, 암 (71)의 유단에 베어링(72)을 사이에 두고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암(71)은, 그 기초단이 세차기 본체(1)측에 세로축(73) 등을 사이에 두고 연결 지지됨으로써, 요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자유롭게 좌우 요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체(31)의 상단은, 회전구동장치(74)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한편 건조용 톱 브러시(29)는, 그 방향이나 요동방향은 다르지만, 축체나 브러시 유닛 등은 건조용 사이드 브러시(30)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상기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건조 작용 가능한 상태의 건조용 사이드 브러시(30)는, 도 1, 도 4,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체(31)에 대해서 복수의 브러시 유닛(40)이 바깥끼움 되어, 단쌓기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즉, 각 브러시 유닛(40)의 통 형상 부재(41)는, 그 오목홈부(48)를 돌조체(32)에 끼워맞춤시킨 상태에서 축체(31)에 바깥끼움시키고, 그리고 축심(31A)을 따른 방향으로 미끄럼동작시켜 소정 레벨의 나사구멍(33)에 통과구멍(47)을 연이어 통하게 한 후, 절결 부분(44a)을 통하여 통과구멍(47)에 바깥쪽으로부터 통과한 볼트체(35)를 나사구멍(33)에 나사식 맞춤시킴으로써, 둘레방향의 4개소를 결합하여 축체(31)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고 있다. 이 때 상위의 브러시 유닛(40)에 있어서의 통 형상 부재(41)의 저판부(45)는, 하위의 브러시 유닛(40)에 있어서의 통 형상 부재(41)의 내통부(42), 돌출판부(43), 외판부(44)의 상면 사이에 접촉 형상(근접 형상)에 있다. 또한 축체(31)의 하단에는, 브러시 유닛(40)의 낙하를 저지하는 받이부재(3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되어 있는 통 형상 부재(41)에 대해서, 그 걸어맞춤부 (46)군에 피걸어맞춤부(56)군을 걸어맞춤시킨 상태에서, 브러시 부재(51)가 바깥끼움하여 장착되어 있다. 그 때에 장착은, 분할체(53)의 내판부(54)를 통 형상 부재 (41)의 바깥둘레면을 따르도록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단단히 조인 형상(감아붙인 형상)으로 행하고 있다.
세차작업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하여진다. 즉, 전면의 조작 패널(6)에 피세정차량(C)의 세차 데이터(세차 코스, 부속 메뉴)가 입력되고, 그리고 스타트 스위치에 의해 세차 데이터에 기초한 세차가 실행된다. 또한 소닉 센서(5)에 의해 피세정차량(C)의 반입이 검출되고, 그리고 검출되고 나서의 시간이 카운트된다.
컨베이어(2)에 피세정차량(C)이 들어가면, 이 컨베이어(2)에 의해서 피세정차량(C)을 일정한 속도로 연속이동시키고, 이 연속이동중에 있어서, 우선 세정부 (3)에서 세정 처리를 행한다. 즉, 피세정차량(C)에 대해서, 사이드 스프레이 노즐 (11) 및 틸트 스프레이 노즐(12)로부터 고압수를 분사하여 수세를 행한 후, 세제 아치(13)로부터 피세정차량(C)에 세제를 분사한다. 이어서, 도 3의 실선에 도시하 는 바와 같이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좌우 한 쌍의 록커 브러시(14)를, 암(14A)의 요동에 의해서, 도 3의 가상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차폭방향)의 안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세정차량(C)의 양 측면하부 및 전후의 차바퀴(T)의 측면을 세정한다. 그리고, 도 2의 실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강 위치하고 있는 제 1 세정용 톱 브러시(15) 및 제 2 세정용 톱 브러시(16)를, 도 2의 가상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고의 변화에 추종하여 수직 형상으로 승강시킴으로써, 피세정차량(C)의 상면을 세정한다.
이어서 피세정차량(C)에 대해서, 파이널 린스 아치(17)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한다. 그리고, 도 3의 실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 위치(닫힘동작 위치)하고 있는 좌우 한 쌍의 제 1 세정용 사이드 브러시(18)를, 레일(18A)의 안내에 의해 좌우의 바깥쪽으로 이동(열림동작)시키면서 피세정차량(C)의 전면을 세정하고, 그 때에 동시에 레일(18A)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3의 가상선 가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2)에 의한 피세정차량(C)의 이동에 추종 이동시키면서 전면을 세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의 실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좌우 한 쌍의 제 2 세정용 사이드 브러시(19)를, 암(19A)의 요동에 의해서, 도 3의 가상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차폭방향)의 안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세정차량(C)의 양 측면을 세정한다.
그리고 제 2 세정용 사이드 브러시(19)에 의한 양 측면의 세정이 마지막에 가까워져 왔을 때, 도 3의 가상선 가에, 좌우의 바깥쪽으로 이동(열림동작)하고 있는 좌우 한 쌍의 제 1 세정용 사이드 브러시(18)를, 레일(18A)의 안내에 의해 좌우 의 안쪽(중앙부분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피세정차량(C)의 후면을 세정하고, 그 때에 동시에 레일(18A)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3의 가상선 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2)에 의한 피세정차량(C)의 반송에 추종 이동시키면서 후면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세정용 사이드 브러시(19)에 의해 양 측면을 세정한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대해서, 발수 코트 아치(20)로부터 불소 코트제를 분사한 후, 왁스 아치(21)로부터 액체 왁스를 분사(분무)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세정부(3)에서 세정 처리한 피세정차량(C)을 건조부(4)에서 연속이동하면서 우선 제 1 톱 노즐(25)로부터의 에어에 의해서 상면을 건조시킨 후, 제 1 사이드 노즐(26)로부터의 에어에 의해서 양 측면을 건조시키고, 그리고 제 2 톱 노즐(27)로부터의 에어에 의해서 상면을 건조시킨 후, 제 2 사이드 노즐 (28)로부터의 에어에 의해서 양 측면을 건조시킨다. 이어서, 도 3의 실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좌우 한 쌍의 건조용 사이드 브러시(30)를, 암(71)의 요동에 의해서, 도 3의 가상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차폭방향)의 안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세정차량(C)의 양 측면(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물방울을 털어낸다. 또한 도 2의 실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승 위치하고 있는 건조용 톱 브러시(29)를, 도 2의 가상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고의 변화에 추종하여 수직 형상으로 승강시킴으로써, 피세정차량(C)의 상면(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물방울을 털어낸다.
여기서 좌우 한 쌍의 건조용 사이드 브러시(30)에 의한 물방울의 털어내기 작용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하여진다. 즉, 회전구동장치(74)에 의해 축체(31)를 축심(31A)의 둘레에 회전시키고, 축체(31)의 회전력을, 볼트체(35)군을 통하여 각 브러시 유닛(40)의 통 형상 부재(41)에 전달한다. 그리고 통 형상 부재(41)의 회전을, 걸어맞춤부(46)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피걸어맞춤부(56)군을 통하여 각 분할체(53), 즉 링 형상부(52)에 전달할 수 있어, 이로써 각 브러시 유닛(40)을 축체 (31)와 일체 형상으로서 축심(31A)의 둘레에 회전할 수 있다. 그 때에 걸어맞춤부(46)군에 피걸어맞춤부(56)군을 걸어맞춤하고 있음으로써, 회전하고 있는 브러시 부재(51)의 통 형상 부재(41)에 대한 둘레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하의 저판(45) 사이에 피걸어맞춤부(56)가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회전하고 있는 브러시 부재(51)의 통 형상 부재(41)에 대한 길이방향{축심(31A)을 따른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천 브러시 단체(68)군을 원심력에 의해서 확대되게 되어, 따라서, 암(71)의 요동에 의해서 건조용 사이드 브러시(30)를, 좌우방향(차폭방향)의 안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확대되어 회전하고 있는 천 브러시 단체(68)군을 피세정차량(C)의 양 측면에 접촉시켜서, 양 측면(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물방울을 털어낼 수 있다. 이러한 물방울의 털어내기 할 때에 통 형상 부재(41)내에 비집고 들어간 물은, 물뽑기 구멍(49)군을 통하여 마루면(F)으로 배수할 수 있다. 한편, 건조용 톱 브러시(29)에 의한 피세정차량(C)의 상면(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물방울의 털어내기도, 마찬가지로 하여 행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소기의 세차를 끝낸 피세정차량(C)은, 컨베이어(2)에 의해서 세차기 본체(1)의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용 사이드 브러시(30)에 의한 물방울의 털어내기 작용을 행함으로써, 천 브러시 단체(68)가 소모되거나 더러워졌을 때, 세차작업을 정지(록)한 상태에서, 목적으로 하는 브러시 부재(51)의 교환을 행한다. 즉, 조작하기 쉬운 적합한 개소(임의인 개소)에 있어서의 제 2 걸어멈춤구(64)의 덧댐판부 (65)를, 걸기 빼기 조작부(66)를 사이에 두고 측판부(55)상에서 내판부(54)로부터 멀어지는 측(바깥쪽)을 향하여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피걸어멈춤부분(65a)을 걸어멈춤부분(63a)에 대해서 이탈시킨다. 이것에 의해, 탄성변형시킨 상태의 링 형상부 (52)에의 단단히 조임 작용력을 개방할 수 있어, 그 탄성 반발력(탄성 개방력)에 의해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부(63)의 걸어멈춤부분(선단부분)(63a)측을 인접한 측판부(55)의 관통구멍(57)으로부터 뽑아내어, 링 형상부(52)의 상기 개소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서 링 형상부(52)를 지름확대 형상으로 할 수 있어, 이로써 분리 개소의 부근에 있어서의 피걸어맞춤부(56)를 걸어맞춤부(46)로부터 자동적으로 이탈(뽑아낼)할 수 있다. 따라서 링 형상부(52)를, 그 탄성력에 저항하여 밀어 넓히는(더 지름확대시킨다) 것에 의해서, 천 브러시 단체 (68)가 소모되거나 더러워져 있는 브러시 부재(51)를, 통 형상 부재(41)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준비하고 있었던 새로운 브러시 부재(51)를, 상술한 분리하여 떼어내는 조작과는 반대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통 형상 부재(41)에 장착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새로운 브러시 부재(51)를 통 형상 부재(41)에 바깥끼움시키는 것과 함께, 걸어맞춤부(46)에 피걸어맞춤부(56)를 걸어맞춤시키고, 이어서 링 형상부(52)를 단단히 조인 형상으로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한쪽의 분할체(53)의 측판부(55)에 있어서의 관통구멍(57)으로부터 천 브러시 단체(68)의 구멍부(69)에 걸쳐서 삽입통과시킨 제 1 걸어멈춤구(61)의 핀부(63)를, 다른쪽의 분할체(53)의 측판부(55)에 있어서의 관통구멍(57)에 삽입통과시킨다. 그리고, 제 2 걸어멈춤구(64)의 덧댐판부(65)를 다른쪽의 분할체(53)의 측판부(55)에 접촉시킨 후, 걸기 빼기 조작부(66)를 사이에 두고 측판부(55)상에서 내판부(54)를 향하여 슬라이드시키고, 피걸어멈춤부분(65a)을 걸어멈춤부분(63a)에 바깥쪽으로부터 걸어맞춤시킴으로써,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 형상 부재(41)에 새로운 브러시 부재(51)를 장착한 브러시 유닛(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러시 부재(51)의 교환 작업은, 공구 등을 사용하는 일 없이 단시간에 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주유소의 스탭이라도 용이하게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세차기의 정지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세차 대기시간을 짧게 하고 적합한 세차를 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항상 깨끗한 상태에서 물방울의 털어내기 작용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 형상 부재(41)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떼어낸 브러시 부재(51)는, 그 천 브러시 단체(68)군 등을, 세탁하여, 건조시킴으로써, 다음의 교환용으로서 준비할 수 있어, 이로써 반복하여 깨끗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곧바로 더러워지므로 정기적으로 교환하고 싶은 건조용의 브러시 부재(51)로서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소모되고 있는 브러시 부재(51)는, 제 2 걸어멈춤구(64)를 이탈시킨 핀부 (63)로부터 소모되고 있는 천 브러시 단체(68)를 떼어낸 후, 새로운 천 브러시 단 체(68)를 핀부(63)에 부착함으로써, 모든 천 브러시 단체(68)를, 또는 파손 등 소모가 심한 특정의 천 브러시 단체(68)를 교환할 수 있다. 그 때에 교환 작업은, 브러시 부재(51)를 통 형상 부재(41)로부터 분리하여 떼어낸 상태(세탁 가능상태)에서, 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모되고 있는 천 브러시 단체(68)의 부분을 분리한 상태(지름확대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 1은, 세차기 본체(1)를 고정 상태로 하고, 컨베이어(차량 이동장치)(2)를 이용하여 피세정차량(C)을 연속이동시키고, 상대이동하도록 한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세차기 본체만을 이동시킴으로써, 세차기 본체와 피세정차량을 상대이동시켜서, 피세정차량의 세차를 행하는 형식 등이더라도 좋다. 또한 세차기 본체를, 세정수단을 구비한 앞부분 본체와 건조수단을 구비한 뒷부분 본체로 분리하고, 이들 앞부분 본체와 뒷부분 본체를 각별하게 이동 가능하게 한 형식 등이더라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브러시 유닛(40)군으로 이루어지는 세차기용 브러시로서, 건조용 톱 브러시(29)나 건조용 사이드 브러시(30)가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록커 브러시(14), 제 1 세정용 톱 브러시(15), 제 2 세정용 톱 브러시(16), 제 1 세정용 사이드 브러시(18), 제 2 세정용 사이드 브러시(19)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동일한 구성으로 한 형식 등이더라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브러시 단체로서 천 브러시 단체(68)를 사용한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스펀지를 띠 형상으로 한 것이나, 고무를 배합한 수지를 띠 형상으로 한 것 등의 브러시 단체를 사용한 형식 등이더라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브러시 부재(51)로서, 둘레방향의 12개소(복수 개소)를 자유롭게 연결 분리 가능하도록 한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둘레방향의 1개소(단수 개소)만을 자유롭게 연결 분리 가능하도록 한 형식 등이더라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브러시 부재(51)로서, 분할체(53) 사이에서 천 브러시 단체(68)를 2매 겹침(1세트)으로 하여 끼워지지하는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1매의 천 브러시 단체(68)를 끼워지지하는 형식이나, 3매 이상을 겹쳐서(1세트) 끼워지지하는 형식 등이더라도 좋다. 한편, 천 브러시 단체(68)를 물결 형상으로 네 번 접은 형식 등이더라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브러시 부재(51)로서, 분할체(53) 사이에서 천 브러시 단체(68)의 내단부분(68a)을 끼워지지하는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분할체(53) 사이를 걸어멈춤구 등에 의해 직접 자유롭게 연결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전부 또는 일부의 분할체(53)에 천 브러시 단체를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한 형식 등이더라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걸어멈춤구로서, 제 1 걸어멈춤구(61)와 제 2 걸어멈춤구(64)로 이루어지는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예를 들어 제 1 걸어멈춤구(61)의 핀부(63)의 선단부분에 자유롭게 절곡(요동) 가능한 스토퍼 일부가 설치된 형식 등이더라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도시하고, 세차기용 브러시의 분해상태에서의 요부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세차기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세차기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세차기의 개략 배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세차기용 브러시의 조립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세차기용 브러시의 연결상태에서의 요부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세차기용 브러시의 연결상태에서의 요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세차기용 브러시의 분리 상태에서의 요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세차기용 브러시의 브러시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차기 본체 2 : 컨베이어(차량 이동장치)
3 : 세정부 4 : 건조부
14 : 록커 브러시 15 : 제 1 세정용 톱 브러시
16 : 제 2 세정용 톱 브러시
18 : 제 1 세정용 사이드 브러시
19 : 제 2 세정용 사이드 브러시
29 : 건조용 톱 브러시(건조용 브러시)
30 : 건조용 사이드 브러시(건조용 브러시)
31 : 축체 31A : 축심
32 : 돌조체 35 : 볼트체(고정구)
40 : 브러시 유닛 41 : 통 형상 부재
42 : 내통부 43 : 돌출판부
44 : 외판부 45 : 저판부
46 : 걸어맞춤부 47 : 통과구멍
48 : 오목홈부 51 : 브러시 부재
52 : 링 형상부 53 : 분할체
54 : 내판부 55 : 측판부
56 : 피걸어맞춤부 57 : 관통구멍
60 : 걸어멈춤구 61 : 제 1 걸어멈춤구
62 : 덧댐판부 63 : 핀부
63a : 걸어멈춤부분(선단부분)
64 : 제 2 걸어멈춤구 65 : 덧댐판부
65a : 피걸어멈춤부분 66 : 걸기 빼기 조작부
68 : 천 브러시 단체 68a : 내단부분
69 : 구멍부 71 : 암
74 : 회전구동장치 F : 마루면
C : 피세정차량 T : 차바퀴

Claims (4)

  1. 축체에 대해서, 축심을 따른 방향으로 복수의 브러시 유닛이 바깥끼움으로 배치되고, 각 브러시 유닛은, 축체에 대해서 축심을 따른 방향으로 미끄럼동작이 가능하면서 축체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통 형상 부재와, 이 통 형상 부재에 대해서, 걸기 빼기 조작에 의해서 바깥쪽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브러시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 형상 부재의 바깥둘레면측에서 둘레방향의 복수 개소에는, 바깥둘레로 개방된 홈 형상의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브러시 부재는, 통 형상 부재에 바깥끼움의 형태로 둘레방향의 적어도 1개소가 연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링 형상부와, 이 링 형상부측에 내단(內端)부분이 지지된 브러시 단체(單體)로 이루어지고, 링 형상부는, 각각 복수의 분할체와 걸어멈춤구로 이루어지고, 각 분할체는, 통 형상 부재에 맞닿음 가능한 내판부와, 이 내판부의 둘레방향의 양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달아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에 의해 단면이 U자형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판부의 안둘레면측에는, 상기 걸어맞춤부에 바깥쪽으로부터 걸기 빼기가 가능한 피걸어맞춤부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접되는 측판부 사이에서 브러시 단체의 내단부분을 끼워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걸어멈춤구로 고정됨에 의해, 상기 분할체를 둘레방향에 연결하여 링 형상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용 브러시.
  2.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측판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걸어멈춤구는, 덧댐판부와, 이 덧댐판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통과 가능한 핀부를 구비하는 제 1 걸어멈춤구와, 상기 핀부의 선단부분에 걸어맞춤 가능한 덧댐판부와, 이 덧댐판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걸기 빼기 조작부를 구비하는 제 2 걸어멈춤구로 이루어지고, 제 1 걸어멈춤구의 핀부를, 인접하는 측판부의 양 관통구멍과 브러시 단체의 내단부분에 형성한 구멍부에 삽입통과시킨 후, 제 2 걸어멈춤구의 덧댐판부를 핀부의 선단부분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분할체를 통 형상 부재의 바깥둘레면을 따르도록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인접한 측판부 사이의 연결을 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용 브러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38682A 2008-05-15 2009-05-01 세차기용 브러시 KR101313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27790 2008-05-15
JP2008127790A JP4586881B2 (ja) 2008-05-15 2008-05-15 洗車機用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698A KR20090119698A (ko) 2009-11-19
KR101313369B1 true KR101313369B1 (ko) 2013-10-01

Family

ID=4136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682A KR101313369B1 (ko) 2008-05-15 2009-05-01 세차기용 브러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86881B2 (ko)
KR (1) KR101313369B1 (ko)
CN (1) CN101580055B (ko)
TW (1) TWI3946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7341B2 (ja) 2009-12-02 2013-08-07 株式会社デンソー 物体認識装置、プログラム
AT512309B1 (de) * 2012-02-01 2013-07-15 Johannes Ing Lemmel Rotationsbürste
TWI586983B (zh) * 2014-10-30 2017-06-11 行政院原子能委員會核能研究所 用以偵測公用電業之電力供給是否異常的裝置及方法
ITUB20161197A1 (it) * 2016-03-01 2017-09-01 Favagrossa Edoardo Srl Spazzola rotante per impianti di lavaggio, particolarmente per veicoli
CN109875236B (zh) * 2019-02-25 2020-03-24 温州市仿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洁净汽车清洁刷
CN109875237B (zh) * 2019-02-25 2020-04-21 温州市仿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汽车清洁刷
USD959067S1 (en) * 2019-03-22 2022-07-26 Iwash Technology Llc Vehicle washer brush panel with partially embedded nodules
CN110434771A (zh) * 2019-07-19 2019-11-12 安徽省潜山县富源特种制刷有限公司 一种钢丝磨料丝植毛刷轮
CN110700165A (zh) * 2019-09-12 2020-01-17 潜山市志杰刷业有限公司 用于环卫清扫的盘刷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7987U (ja) * 2003-05-22 2004-02-12 株式会社サンワード 洗車ブラシ
JP2005170221A (ja) 2003-12-10 2005-06-30 Yasui:Kk 洗車ブラシ
WO2007072524A1 (en) 2005-12-22 2007-06-28 Favagrossa Edoardo S.R.L. Rotary brush for motor vehicle washin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8014A (en) * 1976-05-07 1977-04-19 Belanger, Inc. Hub structure for rotary finishing wheels
JP2008054932A (ja) * 2006-08-31 2008-03-13 Kowa Co Ltd 洗車機用洗浄ブラシ及び洗車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7987U (ja) * 2003-05-22 2004-02-12 株式会社サンワード 洗車ブラシ
JP2005170221A (ja) 2003-12-10 2005-06-30 Yasui:Kk 洗車ブラシ
WO2007072524A1 (en) 2005-12-22 2007-06-28 Favagrossa Edoardo S.R.L. Rotary brush for motor vehicle wash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80055B (zh) 2012-08-29
JP4586881B2 (ja) 2010-11-24
TW200946383A (en) 2009-11-16
JP2009274592A (ja) 2009-11-26
KR20090119698A (ko) 2009-11-19
CN101580055A (zh) 2009-11-18
TWI394674B (zh) 201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369B1 (ko) 세차기용 브러시
KR101595727B1 (ko) 회전식 물걸레 진공청소기
CN215838774U (zh) 基站及清洁机器人系统
CA2625754C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CN103068292B (zh) 用于清洗拖把材料的清洗装置及清洗拖把材料的方法
TWM527298U (zh) 快拆式自動清潔裝置
CN208709836U (zh) 一种自动洗鞋机
CN109267273A (zh) 一种丝织布料的自动清洁机构
EP3254599B1 (en) Dishwasher
JP2014525370A (ja) 特に自動二輪車の駆動チェーンを連続して洗浄及び潤滑するための装置
KR101329866B1 (ko) 건조용 브러시
US10869582B2 (en) Vibratory body scrubber
WO2015118981A1 (ja) 床面吸込具及びこの床面吸込具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0669888B1 (ko) 청소용 이동로봇
CN203462290U (zh) 洗衣机及其局部清洗装置
KR100732570B1 (ko) 유리창 닦는 장치
US8011061B2 (en) Nozzle assembly of vacuum cleaner
CN113827145A (zh) 一种方便拆卸滚刷的清洁组件
CN109402933B (zh) 一种清洗装置
CN112170314A (zh) 一种医疗机械零件清洗装置
JPH08144111A (ja) 水作業用ゴム手袋
JP2010227468A (ja) 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CN219331536U (zh) 梳齿件、清洁基站、清洁头及清洁系统
CN218552214U (zh) 抽吸头和无线真空吸尘器
KR102269401B1 (ko) 내부 세탁조 외부면의 청소부가 있는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002

Effective date: 2013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