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845B1 - 봉제장치 - Google Patents

봉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845B1
KR101311845B1 KR1020110087336A KR20110087336A KR101311845B1 KR 101311845 B1 KR101311845 B1 KR 101311845B1 KR 1020110087336 A KR1020110087336 A KR 1020110087336A KR 20110087336 A KR20110087336 A KR 20110087336A KR 101311845 B1 KR101311845 B1 KR 101311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cutting
unit
work object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095A (ko
Inventor
박종한
백윤정
Original Assignee
(주)피앤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앤티디 filed Critical (주)피앤티디
Priority to KR1020110087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8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재단작업과 봉제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봉제 연결부위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모양으로 봉제작업을 행할 수 있는 봉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와, 베이스를 따라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이 특정한 디자인을 갖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와,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작업 대상물에 마찰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며 융착시키는 가열부와, 가압부를 이동시켜 작업 대상물의 가압부위를 변경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봉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봉제장치 {DEVICE FOR SEWING}
본 발명은 봉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재단작업과 봉제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봉제 연결부위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모양으로 봉제작업을 행할 수 있는 봉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봉제장치는, 바늘대에 바늘이 지지되고, 바늘은 전원 스위치가 온됨에 따라 전류가 공급되는 모터가 회전하여 그 회전이 벨트에 의해 재봉기의 주축에 전달되어 상하로 운동한다.
바늘이 상하로 이동될 때에 이송장치가 작동되면 천이 소정의 피치(봉제 피치)로 이송되면서 봉제작동이 이루어진다.
봉제는 각종 명령, 봉제 파라미터, 봉제 데이터 및 기타 제어 데이터에 따라서 페달의 움직임에 따라 봉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내장한 제어박스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박스에는 봉제조건, 봉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설정 스위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0070870호(2002년 9월 11일 공개, 발명의 명칭 : 봉제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봉제장치는 바늘의 상하운동에 의해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작업 대상물에 바늘땀을 형성하여 작업 대상물의 일부분을 연결하기 때문에 봉제 연결부위에 주름이 발생하는 심 퍼커링(seam puckering)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봉제장치를 사용하여 의류의 팔, 다리 또는 몸통과 같이 원통 모양을 성형하는 봉제작업을 행할 때에는 한 쌍의 원단을 포개어 봉제장치에 제공하며, 각각의 원단을 제품에 따라 알맞은 모양으로 재단하여 봉제장치에 제공해야 하므로 봉제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재단작업과 봉제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봉제 연결부위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모양으로 봉제작업을 행할 수 있는 봉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따라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이 특정한 디자인을 갖도록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작업 대상물에 마찰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며 융착시키는 가열부; 및 상기 가압부를 이동시켜 작업 대상물의 가압부위를 변경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한 쌍의 이송롤러가 연속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다수 쌍의 이송롤러가 연속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을 제어하여 작업 대상물의 절단길이 또는 융착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의 로드에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을 가압하는 가압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1구동부를 상기 지지대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초음파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부; 및 상기 초음파발생부에서 공급되는 초음파를 집중시켜 작업 대상물에 마찰열에너지를 공급하는 혼 방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 및 융착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을 설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이송롤러 사이에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가이드롤러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절단날이 구비되는 절단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대상물이 이송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따라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에 마찰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제장치는 재단작업과 봉제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므로 의류의 팔, 다리 또는 몸통과 같이 한 쌍의 원단을 원통 모양으로 제작할 때에 별도의 재단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의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제장치는 별도의 바늘 및 봉사 없이 초음파 절단 및 융착을 동시에 행하므로 봉제 연결부위에 주름이 생성되지 않아 미려한 모양의 의류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제장치는 가압날의 위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작업 대상물에 다양한 모양으로 봉제작업을 행할 수 있고, 작업 대상물이 절단되는 길이, 즉 피치의 제한 없이 긴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가압부 및 절단부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가압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가압부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가압부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봉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가압부 및 절단부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가압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가압부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가압부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를 따라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이 특정한 디자인을 갖도록 가압하는 가압부(50)와, 가압부(50) 측으로 마찰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며 융착시키는 가열부(30)와, 가압부(50)를 이동시켜 작업 대상물의 가압부위를 변경시키는 이송부(58)를 포함한다.
가압부(50)와 가열부(30) 사이의 공간으로 한 쌍의 작업 대상물을 포개어 공급하면 가압부(50)에 의해 작업 대상물의 봉제 연결부위가 가압되고, 가압부(50)에 의해 가압되는 작업 대상물의 가압 부위가 가열부(30)로부터 공급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융착된다.
특히, 의류의 팔, 다리 또는 몸통과 같이 원통 모양의 부분을 봉제할 때에는, 한 쌍의 작업 대상물을 포개어 공급하고, 작업 대상물의 두 부분을 가압하면서 연속하여 절단작업 및 융착작업을 행하면 재단과 봉제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의류의 팔, 다리 또는 몸통과 같이 원통 모양의 제품을 봉제할 때에 별도의 재단작업이 생략되어 의류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작업 대상물을 다른 모양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이송부(58)를 작동시켜 가압부(50)의 위치를 변경한 후에 작업 대상물을 공급함으로써, 작업 대상물을 다른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 대상물에 형성되는 봉제 연결부위의 형상이 경사면 또는 곡선인 경우에는 이송부(58)의 작동을 설정하여 작업 대상물이 통과되는 동안에 이송부(58)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모양의 봉제 연결부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10)에는 한 쌍의 이송롤러(12)가 연속되게 설치되고, 이송롤러(1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
한 쌍의 이송롤러(12)는 수직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므로 이송롤러(1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작업 대상물이 이동되고, 다수 쌍의 이송롤러(12)가 간격을 유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속되게 설치되므로 봉제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 대상물이 연속하여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긴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작업 대상물을 연속하여 공급하면서 의류의 팔, 다리 또는 몸통과 같은 원통 모양의 부분을 양산할 수 있게 된다.
가압부(50)는, 베이스(10)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대(52)와, 지지대(52)에 설치되는 제1구동부(54)와, 제1구동부(54)의 로드에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을 가압하는 가압날(56)을 포함한다.
지지대(52)는 베이스(10)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ㄱ' 모양으로 절곡되어 베이스(10)의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대(52)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제1구동부(54)가 설치되고, 제1구동부(54)의 로드에는 가압날(56)이 설치되므로 제1구동부(5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가압날(56)이 작업 대상물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지지대(52)에는 한 쌍의 이동홀부(52a)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각각의 이동홀부(52a)에 제1구동부(5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이송부(58)의 작동에 의해 제1구동부(54)가 이동홀부(52a)를 따라 이동되면서 가압날(56)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동홀부(52a)의 내벽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레일(52b)이 형성되고, 제1구동부(54)의 외주면에는 레일(52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홈부(54a)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날(56)을 교체하는 작업 없이 작업 대상물에 다양한 모양으로 봉제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송부(58)는 제1구동부(56)를 밀거나 당겨서 지지대(52)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58a)를 포함하므로 제2구동부(58a)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제1구동부를 밀거나 당겨 제1구동부(56)가 이동홀부(52a)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 대상물의 측단부 형상이 곡선이나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작업 대상물이 절단날(56)과 혼 방열기(32) 사이를 통과할 때에 제2구동부(58a)로부터 로드가 단계적으로 돌출되거나 삽입되면서 봉제 연결부위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2구동부(58a)는 작업 대상물이 통과되는 동안 연속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작업 대상물의 길이, 즉 피치에 제한 없이 긴 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가열부(30)는, 초음파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부(34)와, 초음파발생부(34)에서 공급되는 초음파를 집중시켜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고 융착시키는 혼 방열기(32)를 포함한다.
혼 방열기(32)는 베이스(10)의 상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가압날(56)에 대향되게 배치되므로 작업 대상물이 가압날(56)과 혼 방열기(32) 사이의 간격을 통해 이송될 때에 가압날(56)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가압되고 혼 방열기(32)를 통해 마찰열에너지가 공급된다.
초음파발생부(34)는, 초음파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발진기와, 발진기에서 공급되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에너지로 바꾸는 진동자와, 진동자에서 나오는 진동에너지의 진폭을 조절하는 부스터를 포함한다.
발진기에서 공급되는 전기적 에너지는 진동자에서 기계적 진동 에너지로 바뀌고, 부스터에 의해 진폭이 조절되어 순간적인 초음파 진동에너지가 혼 방열기(32)를 통해 작업 대상물에 전달된다.
부스터에서 공급되는 진동에너지는 혼 방열기(32)에 의해 작업 대상물에 순간적으로 전달되어 마찰열을 발생시키므로 가압날(56)과 혼 방열기(32) 사이에 개재되는 작업 대상물이 절단되고 융착된다.
따라서 가압날(56)과 혼 방열기(32) 사이에 개재되는 작업 대상물은 가압날(56)로부터 전달되는 압력과 혼 방열기(32)를 통해 공급되는 마찰열에너지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절단부위가 융착되어 봉제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초음파발생부(34)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는, 절단 및 융착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을 설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70)를 더 포함한다.
가압부(50) 및 가열부(30)를 통과한 작업 대상물은 이송롤러(12)에 의해 베이스(10) 상면을 따라 이동되고, 절단부(70)의 작동에 의해 한 피치의 길이로 작업 대상물이 절단된다.
따라서 양측 단부는 서로 연결되고 전방측 단부 및 후방측 단부는 개방되는 원통 모양의 의류 일부분이 완성된다.
롤 모양으로 권취된 작업 대상물을 연속하여 베이스(10)에 공급하면 가압부(50) 및 가열부(30)를 통과하면서 봉제작업이 이루어지고, 절단부(70)에 의해 한 피치의 길이로 절단되므로 원통 모양의 의류 일부분을 양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 대상물을 연속하여 공급하면서 재단작업을 생략하면서 원통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의류 일부분을 양산할 수 있으므로 의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절단부(70)는, 이송롤러(12) 사이에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72)와, 가이드롤러(72)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절단날(74a)이 구비되는 절단롤러(74)를 포함한다.
가압부(50) 및 가열부(30)를 통과한 작업 대상물은 이송롤러(12)에 의해 베이스(10)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고, 이송롤러(12)에 의해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이 가이드롤러(72)와 절단롤러(74) 사이를 통과할 때에 절단롤러(74)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절단날(74a)이 작업 대상물을 가압하면서 절단하게 된다.
이때, 절단롤러(54)의 외경, 이송롤러(12)의 외경, 또는 구동모터의 기어비와 스프로킷의 사이즈에 따라 절단되는 작업 대상물의 길이, 즉 피치가 결정되며, 작업 대상물의 길이는 다른 외경의 절단롤러(54), 이송롤러(12), 또는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기어와 스프로킷을 교체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롤 모양으로 권취된 작업 대상물을 가압부(50) 및 가열부(3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하면, 제1구동부(5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서 가압날(56)이 하강하고, 초음파발생부(34)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초음파가 혼 방열기(32)로 공급되므로 혼 방열기(32)에 마찰열이 발생된다.
베이스(10)에는 한 쌍의 작업 대상물이 포개져 공급되며, 포개진 작업 대상물의 상면을 가압날(56)이 가압함과 동시에 혼 방열기(32)에서 공급되는 마찰열에너지가 작업 대상물에 전달되어 작업 대상물이 가압날(56) 모양으로 절단된다.
이때, 혼 방열기(32)에서 공급되는 마찰열에너지에 의해 작업 대상물의 절단부위가 서로 융착되므로 재단작업과 봉제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가압부(50)와 가열부(30)를 통과한 작업 대상물은 이송롤러(12)에 의해 베이스(10) 상면을 따라 이동되고, 가이드롤러(72)와 절단롤러(74) 사이의 간격을 통과할 때에 절단날(74a)에 의해 가압되면서 한 피치의 길이로 절단된다.
절단된 작업 대상물은 배출가이드(14)에 의해 베이스(10) 외측으로 안내되므로 의류의 팔, 다리 또는 몸통을 이루는 의류 일부분의 제작이 완료된다.
봉제작업을 행하여 제작되는 의류의 모양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컨트롤박스(16)를 조작하여 제2구동부(58a)의 작동을 설정한다.
따라서 작업 대상물이 가압날(56)과 혼 방열기(32) 사이를 통과할 때에 제2구동부(58a)가 설정된 작동을 행하게 되므로 작업 대상물의 양측 단부의 형상을 경사 또는 곡선 등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재단작업과 봉제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봉제 연결부위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모양으로 봉제작업을 행할 수 있는 봉제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의류 봉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의류 봉제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봉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12 : 이송롤러
14 : 배출가이드 16 : 컨트롤박스
30 : 가열부 32 : 혼 방열기
34 : 초음파발생부 50 : 가압부
52 : 지지대 52a : 이동홀부
52b : 레일 54 : 제1구동부
54a : 슬라이딩홈부 56 : 가압날
58 : 제2구동부 70 : 절단부
72 : 가이드롤러 74 : 절단롤러
74a : 절단날

Claims (9)

  1.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따라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이 특정한 디자인을 갖도록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작업 대상물에 마찰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작업 대상물을 절단하며 융착시키는 가열부; 및
    상기 가압부를 이동시켜 작업 대상물의 가압부위를 변경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한 쌍의 이송롤러가 연속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다수 쌍의 이송롤러가 연속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을 제어하여 작업 대상물의 절단길이 또는 융착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의 로드에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을 가압하는 가압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1구동부를 상기 지지대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초음파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부; 및
    상기 초음파발생부에서 공급되는 초음파를 집중시켜 작업 대상물에 마찰열에너지를 공급하는 혼 방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및 융착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을 설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이송롤러 사이에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가이드롤러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절단날이 구비되는 절단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9. 삭제
KR1020110087336A 2011-08-30 2011-08-30 봉제장치 KR101311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336A KR101311845B1 (ko) 2011-08-30 2011-08-30 봉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336A KR101311845B1 (ko) 2011-08-30 2011-08-30 봉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095A KR20130024095A (ko) 2013-03-08
KR101311845B1 true KR101311845B1 (ko) 2013-09-27

Family

ID=4817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336A KR101311845B1 (ko) 2011-08-30 2011-08-30 봉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637B1 (ko) 2015-09-30 2016-01-12 신미심 초음파 재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267B1 (ko) * 2013-12-20 2015-01-21 서기원 테이핑부 컷팅구조를 갖는 방수테이프 열풍용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597U (ja) * 1992-01-22 1993-08-20 大興株式会社 環状生地の製造装置
KR20110012615A (ko) * 2009-07-31 2011-02-09 호용종합건설주식회사 관라이닝 백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597U (ja) * 1992-01-22 1993-08-20 大興株式会社 環状生地の製造装置
KR20110012615A (ko) * 2009-07-31 2011-02-09 호용종합건설주식회사 관라이닝 백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637B1 (ko) 2015-09-30 2016-01-12 신미심 초음파 재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095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36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ing fabrics without sewing
JP6164525B2 (ja) 高周波ミシン
EP0032703B1 (en) Apparatus for ultrasonically welding sheet materials
KR101311845B1 (ko) 봉제장치
KR100809980B1 (ko) 초음파 융착 장치
KR20110102183A (ko) 고주파 미싱
KR101311844B1 (ko) 봉제장치
KR101651779B1 (ko) 칼날부재 및 스프링선을 이용한 주름 형성 장치
JP5413848B2 (ja) 高周波ミシン
TWI731055B (zh) 高頻縫紉機
JP5253947B2 (ja) ベルトループ縫いミシン
EP2504151B1 (en) Heat-sealing machine for assembling textile articles of manufacture and method achieved by the same
JP5814907B2 (ja) シール装置
KR100797891B1 (ko) 초음파 융착 장치
JP2010075383A (ja) ベルトループ縫いミシンの制御装置およびベルトループ縫いミシンの制御方法
JP5372451B2 (ja) ループ材供給装置
KR101693185B1 (ko) 특수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
KR101903715B1 (ko) 다양한 방향의 주름을 형성할 수 있는 주름 형성 장치
US2715597A (en) Process for making heat sealed ruffled articles
EP3408095A1 (en) Ultrasonic sealer
JP6211492B2 (ja) 中敷の製造方法及び中敷製造装置
CN212194299U (zh) 布料物品的生产系统及布料切割装置
JP6914520B2 (ja) 超音波シール装置を備えた包装機
CN111267365A (zh) 布料物品的生产系统及布料切割装置
JPH042063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