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690B1 -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690B1
KR101310690B1 KR1020130104137A KR20130104137A KR101310690B1 KR 101310690 B1 KR101310690 B1 KR 101310690B1 KR 1020130104137 A KR1020130104137 A KR 1020130104137A KR 20130104137 A KR20130104137 A KR 20130104137A KR 101310690 B1 KR101310690 B1 KR 101310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ze
base material
clay
groov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풍세라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풍세라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풍세라믹
Priority to KR1020130104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63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profiling, e.g. making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04Proportio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91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involving the removal of part of the materials of the treated articles, e.g. e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6Flooring, e.g. parquet on flexible web, laid as flexible webs; Web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flooring; Parquet on flexible web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료를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투입한 후 분쇄 및 혼합하는 배합 단계와, 배합된 원료를 토련한 후 사출성형하여 형성된 모재의 표면을 가공롤러로 가압하여 홈을 형성한 다음 유약을 도포하고 홈 내로 유입되지 않은 유약은 모재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한 후 모재를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라 절단하는 성형단계와, 절단된 모재에 포함된 수분량이 미리 정해진 범위에 도달될 때까지 건조하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모재를 예열, 소결 및 냉각하여 제품을 형성하는 소성 단계와, 제품을 규격에 따라 분류하는 선별 단계를 포함하는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CLAY BRICK OR CLAY FLOORING WITH INLAID PATTE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약에 의한 상감무늬가 표면에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토벽돌은 건축물의 내측 또는 외측의 구조용 또는 치장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점토바닥재는 보도, 차도 등의 바닥포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점토바닥재는 점토바닥벽돌이라 칭해지기도 한다. 이러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는 KS규격, 원료, 소성방법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는 재질의 특성에 의해 표면의 색상이 단순하므로, 건축물이나 보도 등에 사용되었을 때 그 외관이 단조롭고 투박한 이미지를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점토벽돌이나 점토바닥재의 표면에 도장을 하거나 포장 등을 하여 표면에 다채로운 색상이나 무늬를 부가하는 방법이 시도되기도 하였으나, 도장 또는 포장에 의한 방법은 인위적이고 부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주는 경우가 많으므로 심미적인 효과가 떨어질 수 있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점토벽돌이나 점토바닥재의 표면을 도장 또는 포장하는 방법은, 점토벽돌이나 점토바닥재의 통기성 또는 투수성을 저하시키나 우천시 점토바닥재 표면의 마찰계수를 현저하게 저하시켜 보행자가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도장 또는 포장된 부분의 내구성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아 심미적인 효과가 장시간 지속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3250호(이하, 선행기술 1 이라 칭함)를 제안한 바 있다.
선행기술 1은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가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한 것으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가 건축물 또는 보도 등에 사용되었을 때 인공적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심미감을 부여하면서도,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현재 건축물의 벽면, 담장 또는 보도 등에 보다 정밀한 무늬 또는 패턴 등을 부가함으로써 환경의 심미감을 높이고자 하는 경향이 증가되고 있고, 특정 브랜드의 로고와 같은 무늬를 건축물이나 보도 등에 부여하는 사례도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선행기술 1에 의한 점토벽돌보다 세밀하면서도 선명한 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973250호(발명의 명칭: 다채색 점토벽돌 제조방법과 점토벽돌, 등록일: 2010년 7월 26일)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표면에 선명하면서도 견고한 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심미적 효과가 높으면서도 특별한 표면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제조방법은 점토 원료를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분쇄 및 혼합기에 투입한 후 분쇄 및 혼합하는 배합 단계; 상기 배합 단계에서 배합된 점토 원료를 토련한 후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하여 모재를 형성하는 모재 형성 단계; 상기 모재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모재의 표면을 가공돌기가 무늬를 형성하며 표면에 돌출된 가공롤러로 가압하여 무늬의 홈을 1 개 이상 형성하는 홈 형성 단계; 상기 홈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홈과 모재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유약도포수단을 이용하여 유약을 도포하는 유약 도포 단계; 상기 유약 도포 단계에서 상기 모재의 표면에 도포된 유약을 유약제거수단으로 긁어내어 상기 홈 내로 유입된 유약을 남겨두고 상기 모재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유약 제거 단계; 상기 유약 제거 단계의 모재를 절단기를 이용하고 소정의 규격에 따라 절단하는 절단 단계; 상기 절단 단계에서 절단된 모재를 건조로에 투입하여 포함된 수분을 모두 증발시키는 건조 단계; 상기 건조 단계에서 건조된 모재를 소성로에 투입하여 예열, 소결 및 냉각하여 제품을 소결시키는 소성 단계; 및 상기 소성 단계에서 소성된 제품을 냉각시키고 육안 검사에 의하여 불량품을 분류하여 제거시키는 선별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유약제거수단은 상기 모재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스크레이퍼 또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된 블레이드가 외주면에 다수 설치된 스크레이핑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홈 형성 단계는 상기 가공롤러에 근접 설치된 이형물질 도포수단에 의해 수분, 유분, 상기 유약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표면에 도포된 상기 가공롤러에 의하여 상기 모재의 표면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약도포수단이 2 개 이상의 복수이면 상기 각각의 유약도포수단에 색상이 다른 유약이 각각 공급되어 상기 형성된 다수의 홈에 각각 다른 색상의 유약을 도포할 수 있다.
상기 가공돌기는 상기 가공롤러의 중심 회전축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기 가공돌기의 가장자리 곡선은 상기 가공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사이클로이드 곡선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는 점토 원료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되어 이루어진 점토벽돌 또는 점토 바닥재의 본체; 및 상기 홈부와 상기 홈부 내에 유입된 유약에 의해 형성된 상감무늬; 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항 내지 상기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표면에 유약을 이용한 상감무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에 형성된 무늬가 선명하면서도 견고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특별한 표면처리를 요하지 않으므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생산수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그리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제조방법에 포함된 성형 단계의 설명을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제조방법에는 배합 단계(S10), 성형 단계(S20), 건조 단계(S30), 소성 단계(S40) 및 선별 단계(S50)가 포함된다.
배합 단계(S10)는 점토 원료를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투입한 후 분쇄 및 혼합기를 사용하여 분쇄 및 혼합하는 단계를 지칭한다.
여기서 점토 원료로는 점토, 백토, 마사토, 장석, 도석, 석분오니 등 다양한 재료가 원료로서 투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점토 원료 외에 완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가 특정한 성질을 갖도록 하기 위한 다른 첨가물도 함께 투입될 수 있다. 상술한 원료 및 첨가물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투입된 점토 원료는 석별기, 분쇄기, 고속분쇄기 및 퍼그밀 등이 포함되어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분쇄 및 혼합기를 이용하고 적절한 범위의 값으로 설정된 크기로 분쇄 및 혼합되도록 한다.
배합 단계(S10)에서 분쇄 및 혼합을 통하여 배합된 원료에는 수분 또는 점성재가 첨가된 후 토련기에 의하여 내부에 포함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토련(반죽) 된다. 충분히 토련된 점토 원료 또는 원료는 아래에서 설명할 성형 단계(S20)에 의해 소성가공 될 수 있을 정도의 점성을 갖게 된다.
성형 단계(S20)에는 모재 형성 단계, 홈 형성 단계, 유약 도포 단계, 유약 제거 단계, 절단 단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성형 단계(S20)에 대해서는 도 2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제조방법에 의한 성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합 단계(S10)를 거친 원료는 토련기(도시되지 않았으며 일반적으로 알 수 있음)를 거친 후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사출성형기(10)로 공급된다. 모재 형성 단계는 사출성형기(10)로 공급된 원료가 사출성형기(10)에 의해 압출되어 모재(1)가 형성되는 단계를 지칭한다.
한편, 가공롤러(20)는 그 외주면(21)이 사출성형기(10)로부터 사출되는 모재(1)의 표면에 밀착 또는 밀접하며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가공롤러(20)의 외주면(21)에는 가공돌기(22)가 돌출 형성된다.
모재 형성 단계를 거친 모재(1)는 소성가공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모재(1)의 표면이 가공돌기(22)에 의해 가압되도록 하면 모재(1)의 표면에는 가공돌기(22)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외주면(21)에 가공돌기(22)가 돌출 형성된 가공롤러(20)로 사출성형 된 모재(1)의 표면을 가압하여 홈(2)을 형성하는 단계가 홈 형성 단계이다.
이때, 모재(1)가 사출성형기(10)로부터 사출되는 속도와, 모재(1)의 표면에 접하는 가공롤러(20)의 외주면(21)의 선속도가 일치되도록 하여 가공돌기(22)에 의한 홈(2)이 선명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유약 도포 단계는 홈 형상 단계를 거친 모재(1)의 표면에 일반적으로 알 수있는 유약도포수단(40)을 이용하여 유약(41)을 도포하는 단계이다.
유약도포수단(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홈(2)이 형성된 모재(1)의 표면에 유약(41)을 도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유약도포수단(40)은 유약(41)이 홈(2) 내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약도포수단(40)의 작동방식으로는 모재(1)의 표면에 유약(41)을 스프레이 형식으로 분사하는 방식, 도시되지 않은 호퍼의 상측으로 공급된 유약(41)이 호퍼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공(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모재(1)의 표면으로 유동되어 도포되도록 하는 방식, 유약(41)이 함침된 브러시 등으로 모재(1)의 표면에 유약(41)이 도포되도록 하는 방식 등 알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유약도포수단(40)은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는데, 유약도포수단(40)이 복수인 경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유약 제거 단계는, 유약(41)이 도포된 모재(1)의 표면에 유약제거수단(50)을 밀착상태로 접촉시키거나 마찰시켜서, 모재(1)의 표면에 도포된 유약(41) 중 홈(2) 내로 유입된 것을 제외한 것을 모재(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이다.
즉, 유약제거수단(50)은 홈(2)에 유입된 유약(41)만 잔류되도록하고, 모재(1)의 홈(2)이 형성되지 않은 표면 부분에 도포된 유약(41)이 제거되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유약제거수단(50)으로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칼날과 같은 형상을 갖도록 제조된 스크레이퍼가 사용되거나,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된 다수의 블레이드가 롤러의 외주면에 설치된 형상의 스크레이핑 롤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스크레이퍼 또는 블레이드는 홈(2) 내로 삽입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제조되어 유약(41)이 도포된 소재(1)의 표면을 스크레이퍼 또는 블레이드가 마찰하거나 긁어내면 홈(2)에 유입된 유약(41)만 잔류하게 되고 홈(2) 이외의 부분에 도포된 유약(41)은 모재(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유약 제거 단계를 거쳐 홈(2)에만 유약(41)이 도포된 상태가 된 모재(1)는 절단기(60)로 이송되고,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절단기(60)로 이송된 모재(1)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규격에 따라 절단되는 절단 단계가 행해진다.
여기서, 절단기(60)는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절단기(60) 자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소정의 규격은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임의로 정할 수 있거나 대한민국의 표준규격을 따르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 을 함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모재 형성 단계, 홈 형성 단계, 유약 도포 단계, 유약 제거 단계 및 절단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 단계(S20)를 거친 모재는 건조 단계(S30)를 거치며 건조된다.
건조 단계(S30)에서는 절단기(60)에 의해 규격에 따라 절단된 모재(1)를 도시되지 않은 건조대차에 적재하고, 이를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건조실 또는 건조실로 이동시켜 절단된 모재(1)에 포함된 수분량이 미리 정해진 범위 또는 완전하게 증발될 때까지 건조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건조실(건조로)에서는 70 내지 80 시간 동안 상온 내지 섭씨 200 도 범위 정도의 온도를 형성시키고 적절한 양의 공기가 유동 또는 순환되도록 하여 절단된 모재(1)를 건조시킨다. 다만, 모재(1)를 구성하는 원료 또는 유약(41)의 성질에 따라 온도 및 풍량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 또한 조절될 수 있고 풍속은 1 입방 미터 단위로 시속 50 내지 70 킬로미터 속도가 바람직하다.
절단된 모재(1)가 건조 단계(S30)를 거쳐 적절하게 건조된 후에는 이를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소성대차로 옮겨서 적재한 후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소성가마 또는 소성로로 이동시킨다.
소성 단계(S40)에서는 예열, 소결 및 냉각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절단된 모재(1)는 소성 단계(S40)를 거치며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 고유의 성질을 갖는 제품이 된다.
소성 단계(S40)를 거친 제품은 상온이며 자연적인 무풍상태에서 서서히 냉각시키고 불량 또는 불합격품을 제거하며 규격에 따라 분류되는 선별 단계(S50)를 거친 후 포장 및 출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제품,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는 표면에 하나 이상의 홈부(홈)가 형성된 본체와, 이 홈부 및 홈부 내에 유입된 유약에 의해 형성된 상감무늬가 포함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본체에는 모재(1)에 형성된 홈(2)에 의해 홈부가 형성되며, 이 홈부 내에는 소성 단계(S40)를 거치며 소성된 유약(41)에 의해 상감무늬가 형성된다. 상감무늬는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표면에 음각 형성된 홈에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와는 상이한 성질의 재료가 감입(嵌入)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감무늬는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표면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특별한 표면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표면은 소성 단계(S40)에서 사용되는 산화소성, 환원소성, 중성소성 등 다양한 방법에 따라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 고유의 색상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동시에 상감무늬는 유약(41)의 성질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무늬가 되므로 높은 심미적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홈 형성 단계에서, 가공롤러(20)에는 이형물질(releasing material)이 도포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가공롤러(20)의 외주면(21)에 이형물질을 도포하는 이형물질 도포수단(30)이 가공롤러(20)에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형물질 도포수단(30)은 일반적으로 알 수 있다.
이형물질은 가공롤러(20)의 외주면(21)이 모재(1)의 표면과 접촉되었다가 분리되는 과정 또는 가공돌기(22)가 홈(2)을 형성한 후 모재(1)와 분리되는 과정에서 모재(1)의 표면 또는 홈(2) 내부의 표면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모재(1)는 일정한 정도의 점성을 갖고 있으므로, 홈(2)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모재(1)의 일부가 외주면(21) 및 가공돌기(22)에 점착되어 모재(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모재(1)의 표면에 의도하지 않은 흠집이 발생되거나 홈(2)의 형상이 가공돌기(22)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형물질 도포수단(30)을 이용하여 가공돌기(22)를 포함한 가공롤러(20)의 외주면에 이형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외주면(21) 및 가공돌기(22)가 홈(2)을 형성한 후 모재(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물질로는 수분, 유분 및 유약(41) 등이 포함된 것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는데, 모재(1) 또는 유약(41)의 성질에 따라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적절한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이형물질로 유약(4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주면(21)에 의해 이형물질이 모재(1)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공극으로 압입되어 유약제거수단(50)에 의해 충분히 제거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형물질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최소한의 양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가공돌기(22)는 곡면형상인 외주면(21)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반면, 가공돌기(22)에 의해 형성되는 홈(2)은 평판 형상인 모재(1)의 표면에 형성된다. 즉, 홈(2)에 대하여 가공돌기(22)는 상대적으로 원호를 따라 이동되게 되므로, 가공돌기(22)와 홈(2)의 형상은 일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가공돌기(22) 및 홈(2)의 형상 사이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공돌기(22)의 가장자리 부분은 특정한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한 형상은, 가공롤러(20)의 중심 회전축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 즉 가공롤러(20)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가공돌기(22)가 외주면(21)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이 사이클로이드 곡선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이클로이드 형상의 치형을 갖는 치차와 같이, 가공돌기(22)의 표면 및 홈(2)의 내측 표면이 구름접촉을 하도록 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가공돌기(22)의 가장자리 부분이 사이클로이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가공돌기(22)에 의해 형성된 홈(2)으로부터 가공돌기(22)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홈(2)의 가장자리 부분이 가공돌기(22)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범위까지 압입되거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홈(2)의 가장자리 부분이 선명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돌기(22)의 형상 및 홈(2)의 형상 사이의 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형물질의 이용 및 가공돌기(22) 형상의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표면에는 더욱 선명하고 정교하게 상감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공롤러(20), 유약도포수단(40) 및 유약제거수단(50) 등은 사출성형기(10)로부터 사출되는 모재(1)의 이송에 상응하여 연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및 점토바닥재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점토벽돌 및 점토바닥재의 제조방법에 비하여 생산수율이 저하되지 않는다.
한편, 유약도포수단(40)에 공급되는 유약(41)에는 필요에 따라 발색 성분이 교체되며 사용될 수 있다. 즉, 소성 단계(S40)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소성 방법에 따라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색상이나 질감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에 조화를 이룰 수 이루거나 특정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발색 성분을 유약(41)에 포함시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유약도포수단(40)을 복수로 설치하고, 복수의 유약도포수단(40)에 의해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발색 수단이 각각 포함된 유약(41)이 모재(1)에 형성된 복수의 홈(2) 중 상응되는 것에 각각 유입되도록 하면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에 형성된 상감무늬가 부위별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심미적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는, 상감무늬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표면이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 고유의 성질을 가지므로, 차도나 보도의 포장재로 사용할 경우 우천시 바닥이 수분에 의해 미끄러워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점토벽돌과 점토바닥재는 같은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르게 호칭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모재 2: 홈
10: 사출성형기 20: 가공롤러
21: 외주면 22: 가공돌기
30: 이형물질 도포수단 40: 유약도포수단
41: 유약 50: 유약제거수단
60: 절단기

Claims (2)

  1. 점토 원료를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분쇄 및 혼합기에 투입한 후 분쇄 및 혼합하는 배합 단계;
    상기 배합 단계에서 배합된 점토 원료를 토련한 후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하여 모재를 형성하는 모재 형성 단계;
    상기 모재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모재의 표면을 가공돌기가 무늬를 형성하며 표면에 돌출된 가공롤러로 가압하여 무늬의 홈을 1 개 이상 형성하는 홈 형성 단계;
    상기 홈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홈과 모재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유약도포수단을 이용하여 유약을 도포하는 유약 도포 단계;
    상기 유약 도포 단계에서 상기 모재의 표면에 도포된 유약을 유약제거수단으로 긁어내어 상기 홈 내로 유입된 유약을 남겨두고 상기 모재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유약 제거 단계;
    상기 유약 제거 단계의 모재를 절단기를 이용하고 소정의 규격에 따라 절단하는 절단 단계;
    상기 절단 단계에서 절단된 모재를 건조로에 투입하여 포함된 수분을 모두 증발시키는 건조 단계;
    상기 건조 단계에서 건조된 모재를 소성로에 투입하여 예열, 소결 및 냉각하여 제품을 소결시키는 소성 단계; 및
    상기 소성 단계에서 소성된 제품을 냉각시키고 육안 검사에 의하여 불량품을 분류하여 제거시키는 선별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유약제거수단은
    상기 모재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스크레이퍼 또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된 블레이드가 외주면에 다수 설치된 스크레이핑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 형성 단계는
    상기 가공롤러에 근접 설치된 이형물질 도포수단에 의해 수분, 유분, 상기 유약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표면에 도포된 상기 가공롤러에 의하여 상기 모재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며,
    상기 유약도포수단이 2 개 이상의 복수이면
    상기 각각의 유약도포수단에 색상이 다른 유약이 각각 공급되어 상기 형성된 다수의 홈에 각각 다른 색상의 유약을 도포하고,
    상기 가공돌기는
    상기 가공롤러의 중심 회전축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기 가공돌기의 가장자리 곡선은 상기 가공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사이클로이드 곡선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바닥재의 제조방법.
  2. 점토 원료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되어 이루어진 점토바닥재의 본체; 및
    상기 홈부와 상기 홈부 내에 유입된 유약에 의해 형성된 상감무늬; 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항에 따른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바닥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바닥재.
KR1020130104137A 2013-08-30 2013-08-30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1310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137A KR101310690B1 (ko) 2013-08-30 2013-08-30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137A KR101310690B1 (ko) 2013-08-30 2013-08-30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690B1 true KR101310690B1 (ko) 2013-09-24

Family

ID=4945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137A KR101310690B1 (ko) 2013-08-30 2013-08-30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6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512A (ko) * 2005-05-02 2006-11-07 주식회사 중앙벽돌 천연재료를 이용한 유색 점토 벽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891361B1 (ko) 2008-12-15 2009-04-01 주식회사 한일세라믹 벽돌 표면에 디자인 및 색상을 형성시키는 방법
KR20090052672A (ko) * 2007-11-21 2009-05-26 주식회사 삼한 씨원 점토 벽돌의 표면 무늬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KR20120033543A (ko)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삼한 씨원 다양한 색상의 황토벽돌 제조를 위한 표면 성형 방법 및 그 장치 및 그 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512A (ko) * 2005-05-02 2006-11-07 주식회사 중앙벽돌 천연재료를 이용한 유색 점토 벽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90052672A (ko) * 2007-11-21 2009-05-26 주식회사 삼한 씨원 점토 벽돌의 표면 무늬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KR100891361B1 (ko) 2008-12-15 2009-04-01 주식회사 한일세라믹 벽돌 표면에 디자인 및 색상을 형성시키는 방법
KR20120033543A (ko)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삼한 씨원 다양한 색상의 황토벽돌 제조를 위한 표면 성형 방법 및 그 장치 및 그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2840B1 (ko) 투수성 보도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3743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유색 점토 벽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2032544B1 (ko) 천연암석을 이용한 인조석재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2313713B1 (ko) 폐유리병을 이용한 자기 타일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자기 타일
KR101310690B1 (ko) 상감무늬가 형성된 점토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20140131556A (ko) 분말 페인트 폐기물의 재활용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부터 얻은 제품
KR101508737B1 (ko) 폐유리가 함유된 점토벽돌 및 그의 제조방법
US1949517A (en) Antislipping trea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271062B1 (ko) 비취청자기와의 제조방법
KR100973250B1 (ko) 다채색 점토벽돌 제조방법과 점토벽돌
KR101145809B1 (ko) 다양한 색상의 황토벽돌 제조를 위한 표면 성형 방법 및 그 장치 및 그 제품
KR100509677B1 (ko) 점토블록용 유약조성물
CN104193304A (zh) 一种环保纸陶瓷及其制备方法
KR102038254B1 (ko) 타일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한 타일 제작방법
KR100235525B1 (ko) 투명 상감 타일용 유약 상감재 조성물
CN114195479A (zh) 大颗粒状通体岩板及制备方法、辊压造粒机
KR100723969B1 (ko) 미끄럼 방지와 투수 기능을 갖는 점토 바닥벽돌 및 그제조장치
KR100700127B1 (ko) 석재질감이 나는 건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14630B1 (ko) 나무 무늬 노출콘크리트 표면 연출공법
KR102420988B1 (ko) 세라믹 제품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세라믹 제품
RU2320599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заполнителя
KR100488480B1 (ko) 계단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448639B1 (ko) 천연석 질감 및 색상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0233991B1 (ko)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JPH08169737A (ja) 道路・建材用多稜人工成形骨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