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230B1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230B1
KR101310230B1 KR1020070005446A KR20070005446A KR101310230B1 KR 101310230 B1 KR101310230 B1 KR 101310230B1 KR 1020070005446 A KR1020070005446 A KR 1020070005446A KR 20070005446 A KR20070005446 A KR 20070005446A KR 101310230 B1 KR101310230 B1 KR 101310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
face
face part
image
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7934A (ko
Inventor
이동
고성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230B1/ko
Priority to US11/901,398 priority patent/US8063943B2/en
Priority to CN200710168208.4A priority patent/CN101227560B/zh
Publication of KR20080067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7Upgrading or updating of programs or applications for camera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인물들을 촬영할 시 디지털 촬영장치에 과도한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적합한 오토포커싱 대상을 자동으로 결정하여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위하여,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이미지 분할부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제1점수 부여부와,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제1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하는 얼굴 부분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도 7의 플로우챠트에서 각 얼굴 부분에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서 각 얼굴 부분에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20: 조리개
30: 촬상소자 40: A/D 변환부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60: 메모리
70: 기록/판독 제어부 80: 기록매체
90: 디스플레이부 100: CPU
101: 얼굴 부분 검출 처리부 103: 이미지 분할부
105: 제1점수 부여부 107: 제2점수 부여부
109: 얼굴 부분 결정부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다수의 인물들을 촬영할 시 디지털 촬영장치에 과도한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적합한 오토포커싱 대상을 자동으로 결정하여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모드에서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플레이백 모드에서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촬영모드에서도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사람을 촬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촬영되는 사람의 얼굴 부분에 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최근 사람의 얼굴 부분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검출된 얼굴 부분에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러한 기능을 갖는 디지털 촬영장치는 대부분 한 사람의 얼굴만이 이미지 내에 위치할 경우 그 사람의 얼굴 부분의 위치를 파악하여 얼굴 부분에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인 바, 복수개의 얼굴들이 이미지 내에 위치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질 대상을 선정해야만 하기에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인물들을 촬영할 시 디지털 촬영장치에 과도한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적합한 오토포커싱 대상을 자동으로 결정하여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이미지 분할부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제1점수 부여부와,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제1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하는 얼굴 부분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이미지 분할부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제1점수 부여부와,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의 크기에 따라 제2점수를 부여하는 제2점수 부여부와,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제1점수와 제2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하는 얼굴 부분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점수 부여부는, 분할된 각 영역에 점수를 부여하고,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를 제1점수로서 부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얼굴 부분 결정부는, 가장 높은 제1점수를 갖는 얼굴 부분 또는 가장 낮은 제1점수를 갖는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얼굴 부분 결정부는, 제1점수와 제2점수의 합 또는 평균이 가장 큰 얼굴 부분 또는 가장 작은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 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얼굴 부분 결정부는, 각 얼굴 부분에 있어서 제1점수에 제1가중치를 부여한 값과 제2점수에 제2가중치를 부여한 값의 합 또는 평균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가중치와 상기 제2가중치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분할부는,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 부분들의 개수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분할부는, 이미지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同心) 사각형들로 이미지를 분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동심 사각형들은 상기 이미지를 균등분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점수 부여부는, 분할된 각 영역에 점수를 부여하고,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를 제1점수로서 부여하되, 분할된 각 영역에 점수를 부여할 시, 상기 동심 사각형들 중 최내측 사각형 안쪽의 영역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이미지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동심 사각형들 사이의 영역들 및 최외측 영역에 순차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하거나, 상기 동심 사각형들에 의해 분할된 영역들 중 최외측 영역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이미지의 중앙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동심 사각형들 사 이의 영역 및 최내측 사각형 안쪽의 영역에 순차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동심 사각형들 중 최내측 사각형 안쪽의 영역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할 시에는, 상기 동심 사각형들 중 최내측 사각형 안쪽 영역에, 이미지의 분할된 영역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동심 사각형들에 의해 분할된 영역들 중 최외측 영역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할 시에는, 상기 동심 사각형들에 의해 분할된 영역들 중 최외측 영역에, 이미지의 분할된 영역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점수 부여부는, 각 얼굴 부분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사각형의 꼭지점들 중 일 꼭지점이 속하는 영역을 상기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하여,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점수 부여부는, 각 얼굴 부분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사각형의 좌상단 꼭지점이 속하는 영역을 상기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하여,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점수 부여부는, 각 얼굴 부분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사각형의 중심이 속하는 영역을 상기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하여,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점수 부여부는, 각 얼굴 부분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다각형의 꼭지점들 중 일 꼭지점이 속하는 영역을 상기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하여,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점수 부여부는, 얼굴 부분들 중 가장 큰 얼굴 부분에 가장 높은 제2점수를 부여하고 얼굴 부분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각 얼굴 부분에 순차적으로 낮은 제2점수를 부여하거나, 얼굴 부분들 중 가장 작은 얼굴 부분에 가장 높은 제2점수를 부여하고 얼굴 부분의 크기가 커질수록 각 얼굴 부분에 순차적으로 낮은 제2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얼굴 부분들 중 가장 큰 얼굴 부분에 가장 높은 제2점수를 부여할 시에는, 얼굴 부분들 중 가장 큰 얼굴 부분에, 얼굴 부분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제2점수를 부여하고, 얼굴 부분들 중 가장 작은 얼굴 부분에 가장 높은 제2점수를 부여할 시에는, 얼굴 부분들 중 가장 작은 얼굴 부분에, 얼굴 부분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제2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와, (b)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단계와, (c)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제1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와, (b) 상 기 이미지에 포함된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단계와, (d)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의 크기에 따라 제2점수를 부여하는 단계와, (e)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제1점수와 제2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b) 단계는, (b1) 분할된 각 영역에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와, (b2)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를 제1점수로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오토포커싱을 위한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로부터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신호가 출력되면 이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에 의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CPU(1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91)에 전달된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스플레이 제어부(91)는 디스플레이부(9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9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기록/판독 제어부(70)에 입력될 수 있는데, 이 기록/판독 제어부(7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기록매체(80)에 기록한다. 물론 기록/판독 제어부(70)는 기록매체(8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9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9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CPU(100)의 일부일 수 있다. 물론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가 CPU의 일부가 아닌 별도의 독립적인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 치는 얼굴 부분 검출 처리부(101), 이미지 분할부(103), 제1점수 부여부(105) 및 얼굴 부분 결정부(109)를 구비한다.
얼굴 부분 검출 처리부(101)는, 메모리(60)에 저장된 후술하는 것과 같은 얼굴 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도 1 참조)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미지 내에서 얼굴 부분을 검출한다. 물론 얼굴 부분 검출 처리부(10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도 1 참조)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가 아닌 A/D 변환부(40, 도 1 참조)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미지 내에서 얼굴 부분을 검출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얼굴의 주된 색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 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얼굴의 주된 색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부분을 검출할 수도 있고, 얼굴의 눈동자 또는 눈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 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얼굴의 눈동자 또는 눈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부분을 검출할 수도 있으며, 눈썹 부분(또는 눈 부분)과 코 부분이 이루는 T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 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그와 같은 T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부분을 검출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미지 분할부(10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1, 2, 3)로 분할한다.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1, 2, 3)로 분할하는 것은 다 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얼굴 부분들(f1, f2, f3)의 개수(도 3의 경우 3개)로 이미지를 분할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영역들(1, 2, 3)로 이미지를 분할하는 것은, 이미지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同心) 사각형들(r1, r2)로 이미지를 분할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동심 사각형들(r1, r2)은 이미지를 균등분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동심 사각형들(r1, r2)이라 함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심이 동일한 사각형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동심 사각형들(r1, r2)이 이미지를 균등분할한다는 것은, 이미지의 중심에서 최내측 사각형(r1)의 변까지의 거리와, 동심 사각형들(r1, r2)의 각 변 사이의 거리와, 최외측 사각형(r2)의 변과 이미지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제1점수 부여부(105, 도 2 참조)는 이미지에 포함된 각 얼굴 부분(f1, f2, f3, 도 3 참조)에 각 얼굴 부분(f1, f2, f3)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한다. 즉, 제1점수 부여부(105)는, 이미지의 분할된 각 영역(1, 2, 3)에 점수를 부여하고,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각 얼굴 부분(f1, f2, f3)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를 제1점수로서 부여한다. 물론 이미지의 분할된 각 영역(1, 2, 3)에 점수를 부여하는 것은 이미지 분할부(103, 도 2 참조)에서 이루어지고, 제1점수 부여부(105, 도 2 참조)는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각 얼굴 부분(f1, f2, f3)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를 제1점수로서 부여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만일 얼굴 부분 검출 처리부(101, 도 2 참조)에서 얼굴 부분을 검출하지 못했을 경우, 예컨대 이미지 내에 얼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점수 부여부(105, 도 2 참조)는 이미지 내의 영역에 점수를 부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얼굴 부분 검출 처리부(101)에서 복수개의 얼굴 부분들을 검출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미지의 분할된 각 영역(1, 2, 3)에 점수를 부여하는 것, 즉 분할된 각 영역(1, 2, 3)에 서로 상이한 점수를 부여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동심 사각형들(r1, r2) 중 최내측 사각형(r1) 안쪽의 영역(1)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이미지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갈수록 동심 사각형들(r1, r2) 사이의 영역(2) 및 최외측 영역(3)에 순차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최내측 사각형(r1) 안쪽의 영역(1)에 5점을, 두 개의 동심 사각형들(r1, r2) 사이의 영역(2)에 3점을, 최외측 영역(3)에 2점을 부여할 수 있다. 물론 도 3에 도시된 것과 달리 2개가 아닌 더 많은 개수의 동심 사각형들에 의해 이미지가 복수개의 영역들로 나뉘었을 경우에는 동심 사각형들 사이의 영역들에 있어서도 순차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순서로 점수를 각 영역에 부여할 시, 동심 사각형들(r1, r2) 중 최내측 사각형(r1) 안쪽 영역(1)에 부여하는 점수는 이미지의 분할된 영역들(1, 2, 3)의 개수가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경우, 최내측 영역(1)에는 3점이, 두 개의 동심 사각형들(r1, r2) 사이의 영역(2)에는 2점이, 최외측 영역(3)에는 1점이 점수로 부여된다. 이하에서는 최내측 영역(1)에는 3점이, 두 개의 동심 사각형들(r1, r2) 사이의 영역(2)에는 2점이, 최외측 영역(3)에는 1점이 점수로 부여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각 얼굴 부분(f1, f2, f3)이 속하는 영역의 점 수를 제1점수로서 부여하기 위해서는 각 얼굴 부분(f1, f2, f3)이 속하는 영역을 먼저 결정해야 하는데, 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사각형의 꼭지점들 중 일 꼭지점이 속하는 영역을 각 얼굴 부분(f1, f2, f3)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예컨대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사각형의 좌상단 꼭지점이 속하는 영역을 각 얼굴 부분(f1, f2, f3)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우,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외접하는 사각형의 좌상단 꼭지점이 속하는 영역을 각 얼굴 부분(f1, f2, f3)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은 최내측 영역(1)에 속하고, 참조번호 f2의 얼굴 부분은 두 개의 동심 사각형들(r1, r2) 사이의 영역(2)에 속하며, 참조번호 f3의 얼굴 부분은 최외측 영역(3)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최내측 영역(1)의 점수인 3점이, 참조번호 f2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두 개의 동심 사각형들(r1, r2) 사이의 영역(2)의 점수인 2점이, 참조번호 f3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최외측 영역(3)의 점수인 1점이 부여된다.
물론 검출된 각 얼굴 부분(f1, f2, f3)이 속하는 영역을 결정할 시 이와 달리 각 얼굴 부분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사각형의 중심이 속하는 영역을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각 얼굴 부분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다각형의 꼭지점들 중 일 꼭지점이 속하는 영역을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얼굴 부분 결정부(109, 도 2 참조)는,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제1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한다.
만일 얼굴 부분 검출 처리부(101, 도 2 참조)에서 얼굴 부분을 검출하지 못했을 경우, 예컨대 이미지 내에 얼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점수 부여부(105, 도 2 참조)에서 이미지 내의 영역에 제1점수를 부여하지 않으며 얼굴 부분 결정부(109)는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하지 않는다. 만일 얼굴 부분 검출 처리부(101)에서 한 개의 얼굴 부분을 검출했을 경우, 예컨대 이미지 내에 한 개의 얼굴만이 존재할 경우에는 얼굴 부분 결정부(109)는 검출된 한 개의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으로 결정한다. 만일 얼굴 부분 검출 처리부(101)에서 복수개의 얼굴 부분들을 검출했을 경우, 예컨대 이미지 내에 복수개의 얼굴들이 존재할 경우에는 얼굴 부분 결정부(109)는 검출된 복수개의 얼굴 부분들 중 어느 한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으로 결정한다.
얼굴 부분 결정부(109)는,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제1점수들을 비교하여 가장 높은 제1점수를 갖는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으로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의 각 영역(1, 2, 3)에 점수를 부여하고 검출된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제1점수를 부여한 경우,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3점이, 참조번호 f2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2점이, 참조번호 f3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1점이 부여되었기에,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이 오토포커싱의 대상 얼굴 부분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 따르면, 다수의 인물들을 촬 영할 시 검출된 얼굴 부분들 중 적합한 오토포커싱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자동으로 결정하여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향상시키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분할부(103), 제1점수 부여부(105) 및 얼굴 부분 결정부(109)는 상술한 바와 달리 점수를 부여하고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되는 얼굴 부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1, 2, 3)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영역(1, 2, 3)에 점수를 부여할 시, 동심 사각형들(r1, r2)에 의해 분할된 영역들(1, 2, 3) 중 최외측 영역(3)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이미지의 중앙 방향으로 갈수록 동심 사각형들(r1, r2) 사이의 영역(2) 및 최내측 사각형(r1) 안쪽의 영역(1)에 순차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즉, 동심 사각형들(r1, r2)에 의해 분할된 영역들(1, 2, 3) 중 최외측 영역(3)에 3점을 부여하고, 이미지의 중앙 방향으로 갈수록 동심 사각형들(r1, r2) 사이의 영역(2)에 2점을 부여하며, 최내측 사각형(r1) 안쪽의 영역(1)에 1점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외접하는 사각형의 좌상단 꼭지점이 속하는 영역을 각 얼굴 부분(f1, f2, f3)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한다면,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은 최내측 영역(1)에 속하고, 참조번호 f2의 얼굴 부분은 두 개의 동심 사각형들(r1, r2) 사이의 영역(2)에 속하며, 참조번호 f3의 얼굴 부분은 최외측 영역(3)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최내측 영역(1)의 점수인 1점이, 참조번호 f2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두 개의 동심 사각형들(r1, r2) 사이의 영역(2)의 점수인 2점이, 참조번호 f3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최외측 영역(3)의 점수인 3점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제1점수를 부여한 후, 얼굴 부분 결정부(109)는 가장 낮은 제1점수를 갖는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으로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의 각 영역(1, 2, 3)에 점수를 부여하고 검출된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제1점수를 부여한 경우,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1점이, 참조번호 f2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2점이, 참조번호 f3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3점이 부여되었기에,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이 오토포커싱의 대상 얼굴 부분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 따르면, 다수의 인물들을 촬영할 시 검출된 얼굴 부분들 중 적합한 오토포커싱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자동으로 결정하여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향상시키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을 나누고 각 영역에 상이한 점수를 부여하며 이에 따라 검출된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를 각 얼굴 부분에 제1점수로서 부여하며, 제1점수에 따라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되는 얼굴 부분을 결정하는 바, 사용자에 따라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되는 얼굴 부분이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선호하는 영역이 있다면 그 영역에 위치하는 얼굴 부분이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되도록 자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미지 내의 복수개의 얼굴 부분들을 검출하고, 이미지의 중앙으로부터 각 얼굴 부분까지의 거리를 계산한 후,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결정하거나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오토포커싱 대상 얼굴 부분을 결정할 시에는 이미지의 중앙으로부터 각 얼굴 부분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이 필요한 바, 이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CPU에 과도한 부하를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에는 이와 같이 이미지의 중앙으로부터 각 얼굴 부분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은 사전에 데이터화되어 디지털 촬영장치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옴으로써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에는 각 얼굴 부분이 이미지의 분할된 영역들 중 어느 영역에 속하는 가만을 판단하면 충분하기에, 디지털 촬영장치의 CPU에 부하를 인가하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와 달리 제2점수 부여부(107)를 더 구비하며, 얼굴 부분 결정부(109)는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제1점수와 제2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이미지 내에서의 각 얼굴 부분의 위치뿐만 아니라 디지털 촬영장치와 각 얼굴 사이의 거리까지 감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황에서 제1점수 부여부(105)에 의해, 최내측 영역(1)에는 3점이, 두 개의 동심 사각형들(r1, r2) 사이의 영역(2)에는 2점이, 최외측 영역(3)에는 1점이 점수로 부여되고, 이에 따라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최내측 영역(1)의 점수인 3점이, 참조번호 f2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두 개의 동심 사각형들(r1, r2) 사이의 영역(2)의 점수인 2점이, 참조번호 f3의 얼굴 부분에는 제1점수로서 최외측 영역(3)의 점수인 1점이 부여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같이 제1점수 부여부(105)가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제1점수를 부여하는 것 외에, 제2점수 부여부(107)는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의 크기에 따라 제2점수를 부여한다. 여기서 이미지 내에서의 얼굴 부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은 디지털 촬영장치와 해당 얼굴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각 얼굴 부분(f1, f2, f3) 중 가장 큰 얼굴 부분(f2)에 가장 높은 제2점수를 부여하고, 검출된 얼굴 부분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검출된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순차적으로 낮은 제2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즉, 각 얼굴 부분(f1, f2, f3) 중 가장 큰 얼굴 부분(f2)에 제2점수로서 5점을 부여하고, 중간 얼굴 부분(f3)에 제2점수로서 4점을 부여하며, 가장 작은 얼굴 부분(f1)에 제2점수로서 1점을 부여할 수 있다. 물론 각 얼굴 부분(f1, f2, f3) 중 가장 큰 얼굴 부분(f2)에, 얼굴 부분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제2점수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얼굴 부분(f1, f2, f3) 중 가장 큰 얼굴 부분(f2)에 제2점수로서 3점을 부여 하고, 중간 얼굴 부분(f3)에 제2점수로서 2점을 부여하며, 가장 작은 얼굴 부분(f1)에 제2점수로서 1점을 부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각 얼굴 부분(f1, f2, f3) 중 가장 큰 얼굴 부분(f2)에 제2점수로서 3점을 부여하고, 중간 얼굴 부분(f3)에 제2점수로서 2점을 부여하며, 가장 작은 얼굴 부분(f1)에 제2점수로서 1점을 부여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같이 제1점수 부여부(105)와 제2점수 부여부(107)가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제1점수와 제2점수를 부여한 후, 얼굴 부분 결정부(109)는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제1점수와 제2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한다. 예컨대 얼굴 부분 결정부(109)는 제1점수와 제2점수의 합 또는 평균이 가장 큰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되는 얼굴 부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점수와 제2점수의 합을 이용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되는 얼굴 부분을 결정한다고 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제1점수와 제2점수가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부여된다면,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의 경우 제1점수가 3점이고 제2점수가 1점이므로 그 합은 4점이 되고, 참조번호 f2의 얼굴 부분의 경우 제1점수가 2점이고 제2점수가 3점이므로 그 합은 5점이 되며, 참조번호 f3의 얼굴 부분의 경우 제1점수가 1점이고 제2점수가 2점이므로 그 합은 3점이 된다. 따라서 참조번호 f2의 얼굴 부분이 가장 큰 합산 점수를 갖기 때문에 오토포커싱의 대상 얼굴 부분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 따르면, 다수의 인물들을 촬영할 시 검출된 얼굴 부분들 중 적합한 오토포커싱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자동으로 결정하여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촬영장치에 과도한 부하 를 주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향상시키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이미지 내에서의 각 얼굴 부분의 위치와 디지털 촬영장치와 각 얼굴 사이의 거리까지 감안하여 오토포커싱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자동으로 결정하여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향상시키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제1점수 부여부(105)와 제2점수 부여부(107) 모두 얼굴 부분 검출 처리부(101)와 이미지 분할부(10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점수 부여부(105)는 얼굴 부분 검출 처리부(101)와 이미지 분할부(10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점수 부여부(105)는 얼굴 부분 검출 처리부(10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복수개의 얼굴 부분들이 한 이미지 내에서 검출될 경우, 사용자에 따라서 디지털 촬영장치와 각 얼굴 사이의 거리보다 이미지 내에서의 각 얼굴의 위치를 더욱 중요하게 여길 수도 있고, 이미지 내에서의 각 얼굴 부분의 위치보다 디지털 촬영장치와 각 얼굴 사이의 거리를 더욱 중요하게 여길 수도 있다. 따라서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함에 있어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얼굴 부분 결정부(109)에서 검출된 각 얼굴 부분의 제1점수와 제2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할 시, 제1점수에 제1가중치를 부여한 값과, 제2점수에 제2가중치를 부여한 값 의 합 또는 평균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디지털 촬영장치와 각 얼굴 사이의 거리보다 이미지 내에서의 각 얼굴 부분의 위치를 더욱 중요하게 여긴다면, 이미지 내에서의 각 얼굴 부분의 위치에 관한 점수인 제1점수에 부여되는 제1가중치는 7이라 하고 디지털 촬영장치와 각 얼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점수인 제2점수에 부여되는 제2가중치는 3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의 경우 제1점수가 3점이고 제2점수가 1점이며, 참조번호 f2의 얼굴 부분의 경우 제1점수가 2점이고 제2점수가 3점이며, 참조번호 f3의 얼굴 부분의 경우 제1점수가 1점이고 제2점수가 2점일 시, 제1점수에 제1가중치를 부여한 값과, 제2점수에 제2가중치를 부여한 값의 합에 기초하여 얼굴 부분 결정부(109)가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한다면,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의 경우 점수는 24점(3*7+1*3)이 되고, 참조번호 f2의 얼굴 부분의 경우 23점(2*7+3*3)이 되며, 참조번호 f3의 얼굴 부분의 경우 13점(1*7+2*3)이 된다. 따라서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이 가장 점수를 갖기 때문에 오토포커싱의 대상 얼굴 부분으로 결정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이미지 내에서의 각 얼굴 부분의 위치보다 디지털 촬영장치와 각 얼굴 사이의 거리를 더욱 중요하게 여긴다면, 이미지 내에서의 각 얼굴 부분의 위치에 관한 점수인 제1점수에 부여되는 제1가중치는 3이라 하고 디지털 촬영장치와 각 얼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점수인 제2점수에 부여되는 제2가중치는 7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의 경우 제1점수가 3점이고 제2점수가 1점이며, 참조번호 f2의 얼굴 부분의 경우 제1점수가 2점이고 제2 점수가 3점이며, 참조번호 f3의 얼굴 부분의 경우 제1점수가 1점이고 제2점수가 2점일 시, 제1점수에 제1가중치를 부여한 값과, 제2점수에 제2가중치를 부여한 값의 합에 기초하여 얼굴 부분 결정부(109)가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한다면, 참조번호 f1의 얼굴 부분의 경우 점수는 16점(3*3+1*7)이 되고, 참조번호 f2의 얼굴 부분의 경우 27점(2*3+3*7)이 되며, 참조번호 f3의 얼굴 부분의 경우 17점(1*3+2*7)이 된다. 따라서 참조번호 f2의 얼굴 부분이 가장 큰 점수를 갖기 때문에 오토포커싱의 대상 얼굴 부분으로 결정된다.
물론 이와 같은 오토포커싱 대상이 되는 얼굴 부분을 결정함에 있어서 제1가중치와 제2가중치를 부여할 시, 이러한 제1가중치와 제2가중치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 따르면, 가중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인물들을 촬영할 시 검출된 얼굴 부분들 중 적합한 오토포커싱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자동으로 결정하여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향상시키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이미지 내에서의 각 얼굴 부분의 위치와 디지털 촬영장치와 각 얼굴 사이의 거리까지 감안하면서 가중치를 부여하여 오토포커싱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자동으로 결정하여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향상시키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점수 부여부(105, 도 2, 도 4 및 도 5 참조)가 이미지의 분할된 각 영역에 점수를 부여할 시,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 할된 각 영역(1, 2, 3)에 점수를 부여할 시, 동심 사각형들(r1, r2)에 의해 분할된 영역들(1, 2, 3) 중 최외측 영역(3)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이미지의 중앙 방향으로 갈수록 동심 사각형들(r1, r2) 사이의 영역(2) 및 최내측 사각형(r1) 안쪽의 영역(1)에 순차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점수 부여부(107, 도 4 및 도 5 참조)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의 크기에 따라 제2점수를 부여할 경우에도, 각 얼굴 부분(f1, f2, f3) 중 가장 작은 얼굴 부분(f1)에 가장 높은 제2점수를 부여하고, 얼굴 부분의 크기가 커질수록 각 얼굴 부분(f1, f2, f3)에 순차적으로 낮은 제2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얼굴 부분 결정부(109, 도 4 및 도 5 참조)가 제1점수와 제2점수의 합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할 시, 가장 낮은 합산 점수를 갖는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 얼굴 부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개념도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참조한 도 3의 개념도와 상이한 것은, 얼굴 부분들(f1, f2, f3)의 개수가 3개인 것은 동일하지만 이미지가 분할된 영역들의 개수가 상이하다는 것이다. 즉, 도 2에서는 이미지가 두 개의 동심 사각형(r1, r2)에 의해 세 개의 영역들(1, 2, 3)로 분할되었으나, 도 3에서는 이미지가 한 개의 사각형(r1)에 의해 두 개의 영역들(1, 2)로 분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시 분할된 영역들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입력된 이미지에서 얼굴 부분을 검출한다(S1). 그 후, 검출된 얼굴 부분들의 개수를 판단한다(S3). 만일 얼굴 부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면, 통상적인 디지털 촬영장치에서와 같이 예컨대 이미지의 중앙에 위치한 물체에 대해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51). 만일 한 개의 얼굴 부분이 검출되었으면, 검출된 한 개의 얼굴 부분에 대해 오토포커싱을 수행한다(S53). 만일 복수개의 얼굴 부분들이 검출되었으면, 각 얼굴 부분에 점수를 부여하고(S55),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하며(S57), 결정된 얼굴 부분에 대해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59). 복수개의 얼굴 부분들이 검출되어 각 얼굴 부분에 접수를 부여하는 단계(S55)는, 도 8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서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고(S551),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한다(S553). 그 후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점수(제1점수)에 기초하여, 예컨대 가장 높은 제1점수를 갖는 얼굴 부분에 대해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57). 물론 필요에 따라 가장 낮은 제1점수를 갖는 얼굴 부분에 대해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할 시(S551), 검출된 얼굴 부분들의 개수로 이미지를 분할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할 시(S551), 이미지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同心) 사각형들로 이미지를 분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심 사각형들이 이미지를 균등분할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할 시(S553), 동심 사각형들 중 최내측 사각형 안쪽의 영역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이미지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갈수록 동심 사각형들 사이의 영역들 및 최외측 영역에 순차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한 후,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를 제1점수로서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심 사각형들 중 최내측 사각형 안쪽 영역에 이미지의 분할된 영역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물론 동심 사각형들에 의해 분할된 영역들 중 최외측 영역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이미지의 중앙 방향으로 갈수록 동심 사각형들 사이의 영역 및 최내측 사각형 안쪽의 영역에 순차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할 수도 있다.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할 시(S553),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를 제1점수로서 부여하기 위해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을 판단함에 있어서, 각 얼굴 부분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꼭지점들 중 일 꼭지점이 속하는 영역을 상기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하거나, 각 얼굴 부분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중심이 속하는 영역을 상기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얼굴 부분들이 검출되어 검출된 각 얼굴 부분에 접수를 부여하는 단계(S55, 도 7 참조)는, 도 9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서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서 참조번호 S551 및 S553으로 표시된 단계는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와 같이 각 얼굴 부분에 제1점수를 부여하고, 나아가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의 크기에 따라 제2점수를 부여한다(S555). 또한, 각 얼굴 부분에 제1점수와 제2점수로부터 계산된 제3점수를 부여한다(S557).
그 후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점수에 기초하여, 즉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제3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하고(S57), 결정된 얼굴 부분에 대해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59). 물론 필요에 따라 가장 낮은 점수를 갖는 얼굴 부분에 대해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9에서 참조번호 S551 및 S553으로 표시된 단계와 참조번호 S555로 표시된 단계는 병렬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참조번호 S551 및 S553으로 표시된 단계 이후에 참조번호 S555로 표시된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으며, 참조번호 S555로 표시된 단계 이후에 참조번호 S551 및 S553으로 표시된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의 크기에 따라 제2점수를 부여할 시(S555), 예컨대, 각 얼굴 부분 중 가장 큰 얼굴 부분에 가장 높은 제2점수를 부여하고 얼굴 부분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각 얼굴 부분에 순차적으로 낮은 제2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물론, 각 얼굴 부분 중 가장 작은 얼굴 부분에 가장 높은 제2점수를 부여하고 얼굴 부분의 크기가 커질수록 각 얼굴 부분에 순차적으로 낮은 제2점수를 부여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각 얼굴 부분에 제1점수와 제2점수로부터 계산된 제3점수를 부여할 시(S557), 제3점수는 제1점수와 제2점수의 합 또는 평균일 수 있으며, 제1점수에 제1가중치를 부여한 값과 제2점수에 제2가중치를 부여한 값의 합 또는 평균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록매체(80)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물론 예컨대 도 1에서의 CPU(100)일 수도 있고 그 일부일 수도 있다.
이제까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 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다수의 인물들을 촬영할 시 디지털 촬영장치에 과도한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적합한 오토포커싱 대상을 자동으로 결정하여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2)

  1.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이미지 분할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각 얼굴 부분에 상기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제1점수 부여부; 및
    상기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제1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하는 얼굴 부분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역의 점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에 대응되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이미지 분할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각 얼굴 부분에 상기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제1점수 부여부;
    상기 각 얼굴 부분에 상기 각 얼굴 부분의 크기에 따라 제2점수를 부여하는 제2점수 부여부; 및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제1점수와 제2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하는 얼굴 부분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역의 점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에 대응되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수 부여부는, 분할된 각 영역에 점수를 부여하고,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를 제1점수로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부분 결정부는, 가장 높은 제1점수를 갖는 얼굴 부분 또는 가장 낮은 제1점수를 갖는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부분 결정부는, 제1점수와 제2점수의 합 또는 평균이 가장 큰 얼굴 부분 또는 가장 작은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부분 결정부는, 각 얼굴 부분에 있어서 제1점수에 제1가중치를 부여한 값과 제2점수에 제2가중치를 부여한 값의 합 또는 평균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중치와 상기 제2가중치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 가능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할부는,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 부분들의 개수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할부는, 이미지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同心) 사각형들로 이미지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0. 제9에 있어서,
    상기 동심 사각형들은 상기 이미지를 균등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수 부여부는, 분할된 각 영역에 점수를 부여하고,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를 제1점수로서 부여하되, 분할된 각 영역에 점수를 부여할 시,
    상기 동심 사각형들 중 최내측 사각형 안쪽의 영역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이미지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동심 사각형들 사이의 영역들 및 최 외측 영역에 순차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하거나,
    상기 동심 사각형들에 의해 분할된 영역들 중 최외측 영역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이미지의 중앙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동심 사각형들 사이의 영역 및 최내측 사각형 안쪽의 영역에 순차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 사각형들 중 최내측 사각형 안쪽의 영역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할 시에는, 상기 동심 사각형들 중 최내측 사각형 안쪽 영역에, 이미지의 분할된 영역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동심 사각형들에 의해 분할된 영역들 중 최외측 영역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할 시에는, 상기 동심 사각형들에 의해 분할된 영역들 중 최외측 영역에, 이미지의 분할된 영역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수 부여부는, 각 얼굴 부분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사각형의 꼭지점들 중 일 꼭지점이 속하는 영역을 상기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하여,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수 부여부는, 각 얼굴 부분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사각형의 좌상단 꼭지점이 속하는 영역을 상기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하여,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수 부여부는, 각 얼굴 부분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사각형의 중심이 속하는 영역을 상기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하여,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수 부여부는, 각 얼굴 부분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다각형의 꼭지점들 중 일 꼭지점이 속하는 영역을 상기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으로 판단하여,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점수 부여부는, 얼굴 부분들 중 가장 큰 얼굴 부분에 가장 높은 제2점수를 부여하고 얼굴 부분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각 얼굴 부분에 순차적으로 낮은 제2점수를 부여하거나, 얼굴 부분들 중 가장 작은 얼굴 부분에 가장 높은 제2점수를 부여하고 얼굴 부분의 크기가 커질수록 각 얼굴 부분에 순차적으로 낮은 제2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얼굴 부분들 중 가장 큰 얼굴 부분에 가장 높은 제2점수를 부여할 시에는, 얼굴 부분들 중 가장 큰 얼굴 부분에, 얼굴 부분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제2점수를 부여하고,
    얼굴 부분들 중 가장 작은 얼굴 부분에 가장 높은 제2점수를 부여할 시에는, 얼굴 부분들 중 가장 작은 얼굴 부분에, 얼굴 부분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제2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9. (a)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각 얼굴 부분에 상기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c)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제1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의 점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에 대응되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20. (a) 이미지를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각 얼굴 부분에 상기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에 따라 제1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d)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의 크기에 따라 제2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e) 각 얼굴 부분에 부여된 제1점수와 제2점수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싱의 대상이 될 얼굴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의 점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에 대응되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분할된 각 영역에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b2) 각 얼굴 부분에 각 얼굴 부분이 속하는 영역의 점수를 제1점수로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22. 제19항 또는 제20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70005446A 2007-01-17 2007-01-17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310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446A KR101310230B1 (ko) 2007-01-17 2007-01-17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11/901,398 US8063943B2 (en) 2007-01-17 2007-09-17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a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CN200710168208.4A CN101227560B (zh) 2007-01-17 2007-10-31 数字摄影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446A KR101310230B1 (ko) 2007-01-17 2007-01-17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934A KR20080067934A (ko) 2008-07-22
KR101310230B1 true KR101310230B1 (ko) 2013-09-24

Family

ID=39617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446A KR101310230B1 (ko) 2007-01-17 2007-01-17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63943B2 (ko)
KR (1) KR101310230B1 (ko)
CN (1) CN1012275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9729B2 (ja) * 2008-02-15 2010-09-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カメラ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44055B2 (ja) * 2008-03-19 2012-05-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JP4702418B2 (ja) * 2008-09-09 2011-06-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画像領域の存否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71015B2 (ja) * 2008-09-17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99871B1 (ko) * 2009-02-11 2016-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5366304B2 (ja) * 2009-05-19 2013-12-1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20110015309A (ko) * 2009-08-07 201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8515137B2 (en) 2010-05-03 2013-08-20 Microsoft Corporation Generating a combined image from multiple images
US9389774B2 (en) * 2010-12-01 2016-07-12 Sony Corporatio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image magnification based on face detection
CN102170563A (zh) * 2011-03-24 2011-08-31 杭州海康威视软件有限公司 智能人员卡口系统及人员监控管理方法
KR102474244B1 (ko) * 2015-11-20 2022-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21043256A (ja) * 2019-09-06 2021-03-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220152019A (ko) * 2021-05-07 2022-11-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23074880A (ja) * 2021-11-18 2023-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0287A (ja) 2003-04-15 2004-11-11 Nikon Gijutsu Kobo:Kk デジタルカメラ
KR20050077274A (ko) * 2004-01-27 2005-08-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얼굴검지장치 및 방법
JP2006319614A (ja) 2005-05-12 2006-11-24 Konica Minolta Opto Inc イメージセンサ、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0545B1 (en) * 2000-02-28 2005-09-06 Eastman Kodak Company Face detecting camera and method
JP4208563B2 (ja) 2002-12-18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装置
US20040207743A1 (en) * 2003-04-15 2004-10-21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system
US8948468B2 (en) * 2003-06-26 2015-02-03 Fotonation Limited Modification of viewing parameters for digital images using face detection information
US7315630B2 (en) * 2003-06-26 2008-01-01 Fotonation Vision Limited Perfecting of digital image rendering parameters within rendering devices using face detection
EP1653279B1 (en) 2003-07-15 2019-02-06 Omron Corporation Object decision device and imaging device
JP4685465B2 (ja) * 2005-02-01 2011-05-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監視記録装置
US20060182433A1 (en) * 2005-02-15 2006-08-17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JP4639837B2 (ja) 2005-02-15 2011-02-23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4577113B2 (ja) * 2005-06-22 2010-11-10 オムロン株式会社 対象決定装置、撮像装置および監視装置
JP4747003B2 (ja) * 2005-06-22 2011-08-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自動合焦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065290A (ja) * 2005-08-31 2007-03-15 Nikon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EP1962497B1 (en) * 2005-11-25 2013-01-16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and image process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0287A (ja) 2003-04-15 2004-11-11 Nikon Gijutsu Kobo:Kk デジタルカメラ
KR20050077274A (ko) * 2004-01-27 2005-08-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얼굴검지장치 및 방법
JP2006319614A (ja) 2005-05-12 2006-11-24 Konica Minolta Opto Inc イメージセンサ、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7560A (zh) 2008-07-23
KR20080067934A (ko) 2008-07-22
CN101227560B (zh) 2012-09-05
US20080170132A1 (en) 2008-07-17
US8063943B2 (en)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230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4461747B2 (ja) 対象決定装置
JP411017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0839772B1 (ko) 대상 결정 장치 및 촬상 장치
KR10159429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포커스 조정 장치 및 방법
JP4824627B2 (ja) 自動焦点調節装置及び自動焦点調節方法並びに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7853140B2 (en) Digital still camera, image reproducing apparatus, fac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of controlling same including determination device and decision device
US7756408B2 (en) Focus control amount determination apparatus,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JP4706197B2 (ja) 対象決定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1215403A (ja) 撮像装置および焦点の自動検出方法
EP28320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focusing an imaging device
KR101323735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10032250A (ko) 자동 초점 조절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자동 초점 조절 장치
KR20160030361A (ko) 이미지 보정 장치, 이미지 보정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JP2015103852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79922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17456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JP2008064797A (ja) 光学装置、撮像装置、光学装置の制御方法
JP477714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411906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4536218B2 (ja) 合焦装置及び撮像装置
US7956911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TWI488496B (zh) Face capture method for image capture device
WO2022191074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記録媒体
JP4821881B2 (ja) 対象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