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123B1 -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123B1
KR101309123B1 KR1020120035646A KR20120035646A KR101309123B1 KR 101309123 B1 KR101309123 B1 KR 101309123B1 KR 1020120035646 A KR1020120035646 A KR 1020120035646A KR 20120035646 A KR20120035646 A KR 20120035646A KR 101309123 B1 KR101309123 B1 KR 101309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parts
adhesive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제환
천정미
정부영
이원기
Original Assignee
(주)누리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켐 filed Critical (주)누리켐
Priority to KR102012003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J10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 35 ~ 65 중량%,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 20 ~ 35 중량%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 15 ~ 30 중량%로 이루어진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수지 110 ~ 130 중량부, 점도조절제 20 ~ 40 중량부 및 산화안정제 1 ~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종래 물리적인 전처리 또는 화학적인 전처리 등의 복잡한 전처리 공정 없이도 비극성 폴리올레핀계 사출부품과 같은 난접착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공정 간소화, 경비 절감 및 작업장의 환경 개선 등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열,광변색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인체에 유해한 유기 용제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고형분으로만 이루어진 핫멜트 형태의 접착제를 제조함으로써, 상온에서는 고체로 보관하고 사용할 때는 이를 열로 간단하게 용융시켜 접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장의 환경을 더욱 개선하면서도 접착력 및 내변색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FOR DIFFICULTY ADHESION MATERIAL WITHOUT PRE-TREATMENT PROCESS}
본 발명은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을 혼합한 기재에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종래 물리적인 전처리 또는 화학적인 전처리 등의 복잡한 전처리 공정 없이도 비극성 폴리올레핀계 사출부품과 같은 난접착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내열,광변색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물체들 간의 접합에 필요한 접착제의 수요는 점차 증가되고 또한 접착제 기술의 발달에 따라 용도의 폭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각종 산업에 사용되는 난접착 재질의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있으며 경제성 및 물성을 고려하여 폴리올레핀계(Polyethylene, Polypropylene 등) 사출부품 등의 난접착성 소재가 많이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사출부품은 통상 재성형이나 스카이빙, 커팅 등의 다른 복잡한 가공공정을 단순화시켜서 금형에 직접 부품으로 제조할 혼합물을 사출시키는 사출 몰딩 성형법으로 제조하며, 제조하는 특성상 부품의 외부에 두꺼운 피막층을 가지고 있고, 이형제를 과량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표면에 불순물이 묻게 되는데 이는 폴리올레핀계 소재 자체가 비극성 재질에 높은 내부 결정성을 가지므로 접착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비극성 폴리올레핀계 사출부품을 접착하는 방법으로 코로나 방전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물리적인 전처리 또는 젖음성을 부여하고 표면을 청결히 하는 세정 공정으로서 전처리 작업을 한 다음 사출부품에 UV형 프라이머 도포 과정을 거쳐 UV를 조사하는 화학적인 전처리를 하고 최종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우선 공정이 복잡하고 경비가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사출부품의 다양한 3차원 형태에 맞추어 UV를 조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는 등 공정이 번거로우며 세척제 및 UV 조사에 의한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므로 이들 작업여건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복잡한 전처리 공정 후, 도포되는 용제 타입의 1액형 또는 2액형으로 사용하는 접착제의 경우, 인체에 유해한 유기 용제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함에 따라 작업환경을 더욱 열악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유기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100% 고형분으로 이루어져 상온에서는 고체상태로 존재하며 이를 열로 용융시켜 사용하는 핫멜트 타입의 접착제가 개발되었으며, 이를 비극성 폴리올레핀계 사출부품의 접착에 적용함으로써, 용제 사용에 대한 위험성이 전혀 없어 작업환경 개선이 용이하고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선행기술로써, 특허문헌 1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4732호가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사출부품의 접착에 적용할 경우, 접착강도를 발현하기 힘들고 내변색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4732호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을 혼합한 기재에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종래 물리적인 전처리 또는 화학적인 전처리 등의 복잡한 전처리 공정 없이도 비극성 폴리올레핀계 사출부품과 같은 난접착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공정 간소화, 경비 절감 및 작업장의 환경 개선 등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열,광변색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인체에 유해한 유기 용제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고형분으로만 이루어진 핫멜트 형태의 접착제를 제조함으로써, 상온에서는 고체로 보관하고 사용할 때는 이를 열로 간단하게 용융시켜 접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장의 환경을 더욱 개선하면서도 접착력 및 내변색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 35 ~ 65 중량%,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 20 ~ 35 중량%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 15 ~ 30 중량%로 이루어진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수지 110 ~ 130 중량부, 점도조절제 20 ~ 40 중량부 및 산화안정제 1 ~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5 ~ 30 g/10min(200℃, 5kg)이고 스타이렌 함량이 10 ~ 30%인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는,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티렌-부타디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티렌-프로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는, 에틸렌-아크릴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코폴리머, 아이노머 수지, 폴리프로필렌-아크릴산수지 및 열가소성 에틸렌메타아크릴산코폴리머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을 혼합한 기재에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종래 물리적인 전처리 또는 화학적인 전처리 등의 복잡한 전처리 공정 없이도 비극성 폴리올레핀계 사출부품과 같은 난접착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공정 간소화, 경비 절감 및 작업장의 환경 개선 등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열,광변색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인체에 유해한 유기 용제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고형분으로만 이루어진 핫멜트 형태의 접착제를 제조함으로써, 상온에서는 고체로 보관하고 사용할 때는 이를 열로 간단하게 용융시켜 접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장의 환경을 더욱 개선하면서도 접착력 및 내변색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 35 ~ 65 중량%,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 20 ~ 35 중량%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 15 ~ 30 중량%로 이루어진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수지 110 ~ 130 중량부, 점도조절제 20 ~ 40 중량부 및 산화안정제 1 ~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는 접착제 조성물의 점착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티렌-부타디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티렌-프로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JIS K7210로 측정된 용융지수가 5 ~ 30 g/10min(200℃, 5kg)이고 스타이렌 함량이 10 ~ 30%인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의 용융지수 조건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흐름성이 맞지 않아 제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상기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의 사용량이 35 중량% 미만일 경우 기계적 강도, 응집력 등이 저하되어 접착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65 중량% 를 초과할 경우 흐름성이 낮고 접착력이 떨어져서 피착면에 대한 젖음성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어 적당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는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에틸렌-아크릴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코폴리머, 아이노머 수지, 폴리프로필렌-아크릴산수지 및 열가소성 에틸렌메타아크릴산코폴리머 중에서 단독 또는 2종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의 사용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수지의 접착력이 지나치게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른 수지와 상용성이 떨어지며 점도 조절이 용이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사출부품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구성된 분자 설계에 의해 합성할 때에 기존의 폴리우레탄 수지보다 내가수분해성과 내열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폴리올, 모노머릭 다이올,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디아민을 반응시켜 합성한 폴리우레탄 전중합체의 NCO/OH 비가 1 : 1 ~ 1 : 2가 되도록 반응시켜 제조하는데 이때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비활성 유기용제를 점도 조절제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에 사용한 폴리올은 분자량 1,500 ~ 3,600 g/mol범위의 쿠라레이(Kuraray)사의 폴리올 중에서 3-메틸-1,5 펜탄다이올 형태로 중합된 폴리올을 사용함으로써, 내가수분해성과 내열성의 물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올의 사용량은 60 중량% 이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폴리올의 사용량이 6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접착제의 응집력과 내열성이 저하되어 접착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때, 모노머릭 다이올은 하드 세그먼트의 함량을 높여 응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1.3 프로판 다이올과 1.6 헥산 다이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와 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제조단가를 낮추며 내변색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데 도움이 되며, 또한 디아민은 쇄연장을 통해 폴리우레탄 합성물에 택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히드라진, 에틸렌 디아민, 이소포론 디아민 중에서 2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의 사용량이 15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피착재의 접착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지환족계 수첨 석유수지계와 지환족계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석유수지계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사용량이 상기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점착물성 및 오픈타임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1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착력은 향상되나 접착제의 응집력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도조절제는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결합특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점도 및 젖음성, 유연성, 내한성 등을 개선하여 점착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인화점이 200℃ 이상인 것 중에서 파라핀계, 나프텐계 또는 왁스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점도조절제의 사용량이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 접착물성은 좋으나 작업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점도조절제의 사용량이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가 쉽고 점도가 낮아 작업성은 좋으나 접착물성 및 오픈타임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화안정제는 접착제 조성물의 산화방지를 예방하여 접착제 조성물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페놀계, 아미노계, 포스파이트계, 씨오에스터계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화안정제의 사용량이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산화안정제 사용량 부족으로 인해 고성능 접착제 조성물의 산화방지 성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산화안정제의 사용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산화안정제의 과사용으로 인해 접착특성 등 기타 물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아래 실시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는바 본 발명의 구성은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의 제조
(제조예 1)
질소 조건하에서 온도계, 교반기가 장치된 250mL 4구 반응기에 폴리올 0.8mol과 모노머릭 다이올 0.2mol을 먼저 투입 후 충분히 교반하여 완전히 녹인 다음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 2mol를 넣는다. 초기 온도 20℃에서 반응을 시작하였으며 이 때의 초기 농도는 30중량%로 한다. 반응 시작 10분 후에 40℃로 승온 후 쇄연장제 1mol 중 소량 투입한 후 10분간 방치 후 1mol 중 소량의 쇄연장제를 다시 투입하였다. 실험 시작 20~25분 후에 온도를 60℃로 승온하여 1mol 중 소량의 쇄연장제를 투하(dropping)하면서 반응을 시킨다. 반응 중 점도 증가가 관찰될 때 마다 DMAc로 희석하여 분자량 증가가 원활하도록 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생성물을 물에 침전시키고 메탄올에 2~3회 세척한 후 여과, 진공 건조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을 제조하였다.
2.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1 L 반응기에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인 스타이렌-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D1161P) 65 중량%,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인 에틸렌-아크릴 수지(Bynel1123) 20 중량%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 15 중량%를 넣고 150~200℃로 가열하며 30분 동안 용융시켜 고분자 기재를 제조한 후, 상기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수지인 지환족계 수첨 석유수지계(SU-120)수지 110 중량부를 넣고 150~220℃로 가열하며 40분 동안 용융시킨 다음, 점도조절제로써, 파라핀계(W-1500) 오일 20 중량부와 아미노계 산화안정제(Songnox-1076) 1 중량부를 넣고 50~100 rpm으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1 L 반응기에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인 스타이렌-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D1161P) 45 중량%,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인 에틸렌-아크릴 수지(Bynel1123) 35 중량%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 20 중량%를 넣고 150~200℃로 가열하며 30분 동안 용융시켜 고분자 기재를 제조한 후, 상기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수지인 지환족계 수첨 석유수지계(SU-120)수지 120 중량부를 넣고 150~220℃로 가열하며 40분 동안 용융시킨 다음, 점도조절제로써, 파라핀계(W-1500) 오일 30 중량부와 아미노계 산화안정제(Songnox-1076) 2 중량부를 넣고 50~100 rpm으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1 L 반응기에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인 스타이렌-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D1161P) 35 중량%,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인 에틸렌-아크릴 수지(Bynel1123) 35 중량%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 30 중량%를 넣고 150~200℃로 가열하며 30분 동안 용융시켜 고분자 기재를 제조한 후, 상기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수지인 지환족계 수첨 석유수지계(SU-120)수지 130 중량부를 넣고 150~220℃로 가열하며 40분 동안 용융시킨 다음, 점도조절제로써, 파라핀계(W-1500) 오일 40 중량부와 아미노계 산화안정제(Songnox-1076) 3 중량부를 넣고 50~100 rpm으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1 L 반응기에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인 스타이렌-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D1161P) 50 중량%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 50 중량%를 넣고 150~200℃로 가열하며 30분 동안 용융시켜 고분자 기재를 제조한 후, 기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수지인 지환족계 수첨 석유수지계(SU-120)수지 120 중량부를 넣고 150~220℃로 가열하며 40분 동안 용융시킨 다음, 점도조절제로써, 파라핀계(W-1500) 오일 30 중량부와 아미노계 산화안정제(Songnox-1076) 2 중량부를 넣고 50~100 rpm으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1 L 반응기에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인 스타이렌-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D1161P) 50 중량%와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인 에틸렌-아크릴 수지(Bynel1123) 50 중량%를 넣고 150~200℃로 가열하며 30분 동안 용융시켜 고분자 기재를 제조한 후, 기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수지인 지환족계 수첨 석유수지계(SU-120)수지 120 중량부를 넣고 150~220℃로 가열하며 40분 동안 용융시킨 다음, 점도조절제로써, 파라핀계(W-1500) 오일 30 중량부와 아미노계 산화안정제(Songnox-1076) 2 중량부를 넣고 50~100 rpm으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현장에서 사용하는 신발용 용제형 접착제 조성물인 헨켈의 5100U-2을 사용하였다.
3.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의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한 접착제 조성물을 아래의 시험방법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가. 접착강도 평가
접착제를 150℃의 온도에서 용융하여 이 용융 접착제를 표면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폴리에틸렌 사출부품에 도포하고, 이를 제2 폴리에틸렌 사출부품에 접합했다. 용융 접착제를 도포한 뒤 상온에서 24시간이 경과한 후 만능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150±20/min의 속도로 박리하여 접착강도를 평가하였다. 접착시편은 5개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단, 비교예 3은 폴리에틸렌 사출부품에 MEK로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P-7-2 선처리제를 도포한 후 건조하고 UV 조사를 한다. 다음 공정으로 용제형 접착제 5100U-2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5중량% 혼합한 후 도포하고 건조하여 접착한다.
나. 내변색성 평가
제조된 전처리 공정 통합 고성능 접착제 조성물을 라벨지에 150℃에서 용융시킨 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유리판에 12.5㎛의 두께로 코팅한 다음 50℃, 350nm, 300W의 UV lamp에 넣어 24시간 동안 유지하였고, 이 때 시편과 램프의 거리는 10inch이었다. 크로마미터(CR-300,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조성물의 색상을 측정하였다.
평가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접착강도
(kgf/cm)
우수 우수 우수 불량 불량 우수
총색차
(E)
UV(0hr) 5.94 6.02 6.21 6.98 5.97 10.25
UV(24hr) 6.87 6.38 7.58 9.25 6.31 12.65
변화량,(E)
(6hr-0hr)
0.93 0.36 1.37 2.27 0.34 2.4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은 모두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폴리올레핀계 사출부품의 접착력이 개선되었으며, 1액형이고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를 기재에 수첨형태의 석유수지를 사용하고, 1액형 형태의 접착제를 제공하여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로 이루어진 경화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사용도 간편하고 비교예에 비해 내변색성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우수성이 확인되었으며, 그리고 본 발명은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 35 ~ 65 중량%,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 20 ~ 35 중량%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합성물 15 ~ 30 중량%로 이루어진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부여수지 110 ~ 130 중량부, 점도조절제 20 ~ 40 중량부 및 산화안정제 1 ~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5 ~ 30g/10min(200℃, 5kg)이고 스타이렌 함량이 10 ~ 30%인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계 수지는,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티렌-부타디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티렌-프로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변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수지는,
    에틸렌-아크릴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코폴리머, 아이노머 수지, 폴리프로필렌-아크릴산수지 및 열가소성 에틸렌메타아크릴산코폴리머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
KR1020120035646A 2012-04-05 2012-04-05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 KR101309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646A KR101309123B1 (ko) 2012-04-05 2012-04-05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646A KR101309123B1 (ko) 2012-04-05 2012-04-05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123B1 true KR101309123B1 (ko) 2013-09-16

Family

ID=4945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646A KR101309123B1 (ko) 2012-04-05 2012-04-05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1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606B1 (ko) * 2014-10-20 2015-04-28 (주)누리켐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부품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1552161B1 (ko) 2015-02-24 2015-09-10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신발창 본딩용 고무 조성물 및 신발창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9827A (ja) 2007-03-28 2008-10-09 Aica Kogyo Co Ltd 接着剤組成物
KR20120025889A (ko) * 2010-09-08 2012-03-16 (주)누리켐 신발 안창 부품용 수성 접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9827A (ja) 2007-03-28 2008-10-09 Aica Kogyo Co Ltd 接着剤組成物
KR20120025889A (ko) * 2010-09-08 2012-03-16 (주)누리켐 신발 안창 부품용 수성 접착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606B1 (ko) * 2014-10-20 2015-04-28 (주)누리켐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부품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1552161B1 (ko) 2015-02-24 2015-09-10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신발창 본딩용 고무 조성물 및 신발창의 제조방법
WO2016137153A1 (ko) * 2015-02-24 2016-09-01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신발창 본딩용 고무 조성물 및 신발창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rgilés-Calpena et al. Novel polyurethane reactive hot melt adhesives based on polycarbonate polyols derived from CO2 for the footwear industry
US10689553B2 (en) Moisture-curable hot melt adhesive for lighting appliances
JP4810878B2 (ja) 接着剤組成物
KR20180133846A (ko) 습기 경화형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TW200932775A (en) Polyurethane composition
JP2017520670A (ja)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接着剤
TWI754073B (zh) 黏著劑組成物及使用該黏著劑組成物之熱黏附性構件
ES2691483T3 (es) Adhesivos reactivos de fusión en caliente con adherencia mejorada
JP5580982B2 (ja) 湿気硬化型ホットメルト接着剤
TWI791089B (zh) 黏著片及其製造方法、以及黏著性膜
JP5786715B2 (ja) 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金属被覆体、並びに接着剤
WO2012026486A1 (ja) 湿気硬化型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2011116817A (ja) 湿気硬化型ホットメルト接着剤
KR101309123B1 (ko)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난접착소재용 접착제 조성물
WO2012169478A1 (ja) 水性エマルション、塗膜の形成方法及び塗膜
TW201319195A (zh) 黏著劑組合物之製造方法
JP2011190286A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KR100983806B1 (ko) 사출부품에 착색이 용이한 1액형 선처리제 조성물
JP6357910B2 (ja) 光学用ポリウレタン組成物、薄膜成形体、光学フィルム、及び薄膜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3327647A (ja) 1液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4477738B2 (ja) 湿気硬化型ウレタン系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2009191193A (ja) フィルム貼合せ用接着剤組成物
JP2001262113A (ja) 湿気硬化型接着剤組成物
JP2016160344A (ja) 湿気硬化型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KR101586861B1 (ko) 비할로겐 타입 단축공정 고착색 표면처리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