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170B1 -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170B1
KR101308170B1 KR1020130088782A KR20130088782A KR101308170B1 KR 101308170 B1 KR101308170 B1 KR 101308170B1 KR 1020130088782 A KR1020130088782 A KR 1020130088782A KR 20130088782 A KR20130088782 A KR 20130088782A KR 101308170 B1 KR101308170 B1 KR 101308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plate
dewatering
dehydrato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희
Original Assignee
한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준희 filed Critical 한준희
Priority to KR102013008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170B1/ko
Priority to CN201480012156.XA priority patent/CN105026322A/zh
Priority to PCT/KR2014/003023 priority patent/WO20150124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003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164Chamber-plate presses, i.e. the sides of the filtering elements being clamped between two successive filter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172Plate spre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21Plate and frame presses
    • B01D25/215Construction of the filter plates,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28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5/282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drying
    • B01D25/287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using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2Removal of the filter cakes
    • B01D25/38Removal of the filter cakes by moving parts, e.g. scrapers, contacting stationary filter elements sprayers
    • B01D25/386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treatment with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6Pressure conditions
    • C02F2301/063Underpressure, vacu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판에 슬러지가 투입되며 유압실린더에 의해 고압으로 압착되어 액체상태인 여과액을 배출하는 슬러지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와 접촉하는 탈수판에 고온의 온수가 순환되는 열수관을 형성하여 탈수성능이 향상되고 탈수판 내부에 수분함량측정센서를 설치하여 탈수케이크의 수분함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수케이크가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는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Filter Press with sludge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탈수판에 슬러지가 투입되며 유압실린더에 의해 고압으로 압착되어 액체상태인 여과액을 배출하는 슬러지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와 접촉하는 탈수판에 고온의 온수가 순환되는 열수관을 형성하여 탈수성능이 향상되고 탈수판 내부에 수분함량측정센서를 설치하여 탈수케이크의 수분함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수케이크가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는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처리장치라 함은 오·폐수처리 공정의 후처리를 목적으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가 완료된 겔 상태의 슬러지(sludge)를 여과막이 구비된 다수의 여과판에 고압으로 압입하여 이동시키고 슬러지가 유입된 다수의 여과판을 유압장치를 통해 압착하여 여과막을 통해 여과된 여과액은 외부로 배출시키고 이동장치를 통하여 상기 여과판을 개방시켜 압착된 슬러지 케이크를 하부로 분리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러지처리장치에서 탈수된 케이스는 수분함량이 약 70% 정도인 탈수케이크가 생산된다. 탈수케이크의 수분함량에 따라 탈수케이스를 매립하기 위해 수송하는 수송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매립시 침출수로 인해 주면 환경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슬러지처리장치는 탈수된 탈수케이크를 제거할 때 탈수판에서 탈수케이크의 잔여물이 잔존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슬러지처리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슬러지의 양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탈수판을 주기적으로 청소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처럼 탈수케이크에서 수분함량이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탈수케이크의 수분함량이 낮은 탈수케이크를 생산할 수 있으며 탈수판에서 탈수케이스가 자동으로 박리됨과 동시에 탈수케이크의 잔여물이 잔존하지 않는 슬러지처리장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9018호 '열 필터프레스 탈수장치' (공개일자 2003.11.21)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6755호 '정밀화학용 고효율 필터프레스' (공개일자 2005.06.16) 3.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296013호 '탈수장치 및 해장당치에 사용하는 압송기등에 탈수기' (공개일 1998.11.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탈수판에서 탈수케이스의 잔여물이 잔존하지 않도록 탈수케이크를 배출하고 탈수판에 온수관을 설치하여 탈수케이크의 수분함량을 낮출 수 있는 슬러지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수판에서 탈수케이크가 자동으로 박리될 수 있고 탈수판에 탈수케이스의 잔여물이 잔존하지 않도록 하는 슬러지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는 내부에 슬러지가 보관된 슬러지통(1000); 상기 슬러지통(1000)으로부터 슬러지를 공급받으며 공급된 슬러지를 압축하여 탈수하는 탈수기(2000); 상기 슬러지통(1000)과 상기 탈수기(20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통(1000)으로부터 슬러지를 전달받아 상기 탈수기(2000)에 슬러지를 고압으로 압입하는 슬러지이동펌프(3000); 상기 탈수기(2000)로 공급된 슬러지를 진공흡입하여 탈수시키도록 상기 탈수기(2000)와 연결되는 진공펌프(4000); 상기 진공펌프(4000)와 상기 탈수기(20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펌프(4000)에 의해 발생하는 진공압을 축적하되, 상기 진공펌프(4000)의 진공압을 상기 탈수기(2000)로 전달하고 상기 슬러지를 탈수할 때 발생하는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세퍼레이터(5000);를 포함하는 슬러지처리장치로서,
상기 탈수기(2000)는, 한쌍의 탈수판이동레일(2200)을 따라 이동하며 양측 내부에 슬러지가 유입되는 수용공간(S)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S)이 상호 마주보며 연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수용공간(S)에 유입된 슬러지가 탈수될 때 발생하는 여과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S)과 연통되는 배출구(2110)가 형성되는 탈수판(2100); 상기 각각의 탈수판(2100)의 연통된 수용공간(S)을 밀폐하고 상기 슬러지에서 여과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탈수판(2100)을 가압하는 가압실린더(2300); 상기 탈수판(2100)의 일측에 설치된 안내레일(240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되, 상기 탈수된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상기 탈수판(2100)을 일측으로 견인하여 상기 수용공간(S)을 개방하는 탈수판견인장치(2500); 상기 탈수판견인장치(2500)가 상기 탈수판(2100)을 일측으로 견인할 때 상기 견인되는 탈수판(2100)과 이웃한 탈수판(2100)이 상기 견인되는 탈수판(210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용공간(S)을 순차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탈수판(2100)을 연결하는 연결링크(2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2600)는 상기 각각의 탈수판(2100)에 설치된 회전축(2101)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제1 링크(2610) 및 제2 링크(2620)와 상기 각각의 탈수판(210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링크(2610) 및 상기 제2 링크(2620)를 연결하는 링크연결축(26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2620)에는 상기 탈수판(2100)이 이동할 때 상기 링크연결축(2630)의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각각의 탈수판(2100)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제1 링크(2610)의 측면에 걸리는 스토퍼(262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탈수판(2100)에는 상기 탈수판견인장치(2500)에 걸리는 걸림돌기(21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탈수판(2100)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탈수판견인장치(2500)는 상기 걸림돌기(2120)를 일측으로 견인하기 위해 상기 안내레일(2400)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수판견인장치(2500)는 상기 안내레일(240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로드(2510); 상기 이동로드(2510)가 상기 안내레일(24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로드(251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로드(2510)를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2520); 상기 이동로드(2510)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로드(2510)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탈수판(2100)에 형성된 걸림돌기(2120)에 걸리어 상기 탈수판(2100)을 우측으로 견인하고, 상기 이동로드(2510)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견인된 탈수판(2100)의 걸림돌기(2120)에서 탈착되어 다른 탈수판(2100)의 걸림돌기(2120)에 부착되는 제2 실린더(2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이동펌프(3000)와 상기 탈수기(20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배관(3100)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배관(3100)에는 상기 슬러지에 포함된 불순물의 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하고 이동하는 상기 슬러지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도록 초음파 진동자(32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수판(2100)에는 상기 가압실린더(2300)가 가압하는 압력과 상기 진공펌프(4000)의 진공압을 조절하여 탈수되는 슬러지의 수분함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탈수되는 슬러지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함량측정센서(21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수판(2100)에는 슬러지와 접촉되는 상기 탈수판(2100)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탈수판(2100)의 내부에 고온의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이동관(2140)이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처리장치.
본 발명은 다수개로 이루어진 탈수판에서 탈수케이크가 자동으로 박리될 수 있도록 탈수판을 일정한 개수만큼 순차적으로 개화시킬 수 있어 탈수케이크의 배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수판에 고온의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이동관을 설치함으로 인해 탈수판에 유입되는 슬러지를 고온으로 압착하여 탈수성능을 향상시켜 수분함량이 50% 이하인 탈수케이크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수판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탈수케이크가 탈수판에서 박리될 때 탈수케이크의 잔여물이 잔존하지 않아 세척이 불필요하며, 이에 따라 세척시간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슬러지 처리량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탈수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탈수기에 설치되는 탈수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연결링크와 연결링크의 구동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탈수기에 설치되는 탈수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탈수판 견인장치가 작동하여 탈수판의 탈수케이크가 배출되는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탈수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탈수기에 설치되는 탈수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연결링크와 연결링크의 구동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탈수기에 설치되는 탈수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탈수판 견인장치가 작동하여 탈수판의 탈수케이크가 배출되는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는 내부에 슬러지가 보관되는 슬러지통(1000)이 형성된다. 슬러지통(1000)은 슬러지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양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슬러지통(1000)으로부터 슬러지를 공급받아 슬러지를 탈수하는 탈수기(2000)가 형성된다. 탈수기(2000)는 산업 현장이나 공사 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등의 처리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을 응집 침전시킨 것을 탈수하기 위한 기계를 말한다. 이와 같은 산업용 폐기물들은 탈수기(2000)의 여과포를 통해 여과하여 탈수 시킨 후 탈수케이크(K)(탈수된 폐기물)를 배출한다. 따라서 폐기물의 부피 중량 등이 줄어들기 때문에 폐기물 매립시 매립면적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슬러지통(1000)으로부터 탈수기(2000)로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이동펌프(3000)가 형성된다. 슬러지이동펌프(3000)는 슬러지통(1000)과 탈수기(2000) 사이에 형성된다. 슬러지이동펌프(3000)를 통하여 탈수기(2000)로 유입되는 슬러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탈수기(4000)와 연결되는 진공진공펌프(4000)가 구비되며 진공펌프(4000)는 탈수기(2000)로 공급된 슬러지가 포함하고 있는 수분을 진공흡입한다. 이때 진공펌프(4000)와 탈수기(2000) 사이에는 진공세퍼레이터(5000)가 구비된다. 진공세퍼레이터(5000)는 진공펌프(4000)에서 발생하는 진공압을 축적함과 동시에 진공펌프(4000)의 진공압을 탈수기(2000)로 전달시켜주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진공세퍼레이터(5000)는 진공펌프(4000)의 진공압으로 인해 흡입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탈수기(20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4 를 참조하면 탈수기(2000)에는 양측에 슬러지가 유입되는 수용공간(S)이 각각 형성된 탈수판(2100)이 형성된다. 탈수판(2100)은 탈수판(2100)의 양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탈수판이동레일(2200)을 따라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탈수판(2100)은 다수개로 구비되는데, 각각의 탈수판(2100)은 수용공간(S)이 상호 마주보며 연통되도록 탈수판이동레일(2200)에 안착된다. 즉 각각의 탈수판(2100)이 상호 밀착되면 각각의 수용공간(S)이 하나의 수용공간(S)을 이루며 이때 하나의 수용공간(S)으로 슬러지이동펌프(3000)로부터 고압으로 압입되는 슬러지가 유입될 수 있다. 탈수판(2100)의 중앙에는 양측에 형성된 수용공간(S)과 연통되며 슬러지이동펌프(3000)로부터 슬러지가 유입되는 슬러지 유입홈(2140)이 형성된다. 또한 탈수판(2100)에는 수용공간(S)과 연통되는 배출구(21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공간(S)에 유입된 슬러지가 탈수될 때 발생하는 여과수는 배출구(21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의 탈수판(2100)에는 슬러지에서 탈수된 여과수만 배출될 수 있도록 철망(미도시), 여과포(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고, 여과수가 배출구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여과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탈수기에 설치된 탈수판과 동일한 구성과 효과를 가지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탈수판(2100)을 가압하는 가압실린더(2300)가 형성된다. 가압실린더(2300)는 각각의 탈수판(2100)의 수용공간(S)이 하나의 수용공간(S)을 형성하며 형성된 수용공간(S)이 밀폐되도록 탈수판(2100)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한다. 이때 슬러지유입홈(2140)을 통해 슬러지가 유입되며 수용공간(S)으로 슬러지 유입이 완료되면 슬러지에서 여과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탈수판(2100)을 가압한다. 이때 가압실린더(2300)의 가압력에 따라 슬러지의 함수율이 변화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탈수판(2100)에 슬러지의 탈수가 완료되면 탈수된 슬러지(이하 탈수케이스(K))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탈수판(2100)을 일측으로 견인하여 수용공간(S)을 개방하는 탈수판견인장치(2500)가 구비된다. 탈수판견인장치(2500)는 탈수판(2100)의 일측에 설치된 안내레일(240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안내레일(2400)은 탈수판(2100)의 양측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탈수판견인장치(2500) 또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탈수판(2100)이 탈수판이동레일(2200)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탈수판(2100)의 양측을 동일한 힘으로 견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각각의 탈수판(2100)은 연결링크(260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는 탈수판견인장치(2500)가 탈수판(2100)을 일측으로 견인할 때 탈수판(2100)의 수용공간(S)이 순차적으로 개방되어 탈수케이스(K)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탈수판견인장치(2500)에 의해 1차적으로 탈수판(2100)이 견인되면 견인되는 탈수판(2100)과 연결링크(2600)에 의해 연결된 이웃한 탈수판(2100)이 견인되는 탈수판(210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웃한 탈수판(2100)이 이동함에 따라 이웃한 탈수판(2100)의 수용공간(S)이 개방되어 탈수케이크(K)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탈수판견인장치(2500)는 안내레일(2400)을 따라 좌우로 반복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연결링크(2600)는 제1 링크(2610)와 제2 링크(2620) 및 링크연결축(2630)를 포함한다. 제1 링크(2610) 및 제2 링크(2620)는 일측단이 탈수판(2100)에 설치된 회전축(2101)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링크(2610) 및 제2 링크(2620)는 각각의 탈수판(2100) 전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한편, 링크연결축(2630)은 각각의 탈수판(2100)을 연결하기 위해 제1 링크(2610) 및 제2 링크(2620)의 타측단에 설치된다. 즉, 링크연결축(2630)을 통하여 제1 링크(2610)와 제2 링크(2620)는 상호 연결되며, 링크연결축(2630)에 연결된 제1 링크(2610)와 제2 링크(2620)는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링크연결축(2630)에 체결된다.
아울러 도 4 의 (a)를 참조하면 제2 링크(2620)의 타측에는 스토퍼(2621)가 형성된다. 스토퍼(2621)는 탈수판(2100)이 탈수판견인장치(2500)에 의해 우측으로 견인될 때 각각의 탈수판(210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링크연결축(2630)의 회전은 저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즉 각각의 탈수판(2100)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탈수판(2100)이 이격되면 제1 링크(2610) 및 제2 링크(2620)가 회전하고 스토퍼(2611)는 더이상 제1 링크(2610) 및 제2 링크(2620)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1 링크(2610)의 측면에 지지된다. 이때 링크연결축(2630)과 스토퍼(2611)의 간격이 커지면 각각의 탈수판(2100)의 간격은 넓어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링크연결축(2630)과 스토퍼(2611)의 간격이 작아지면 각각의 탈수판(2100)의 간격은 좁아진다. 이처럼 스토퍼(2611)와 링크연결축(2630)과의 거리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탈수판(21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4 의 (b)를 참조하면 가압실린더(2300)가 이격된 탈수판(2100)을 가압하여 탈수판(2100)이 상호 밀착되면 제1 링크(2610) 및 제2 링크(2630)가 상호 겹쳐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 를 참조하면 탈수판(2100)에는 걸림돌기(2120)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기(2120)는 다수개의 탈수판(2100) 중 선택적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탈수판(2100)에 형성된다. 걸림돌기(2120)가 형성된 탈수판(2100)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다. 즉 걸림돌기(2120)가 형성된 탈수판(2100) 사이에 걸림돌기(2120)가 형성되지 않은 탈수판(2100)이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탈수판견인장치(2500)는 걸림돌기(2120)가 형성된 다수개의 탈수판(2100)을 일측으로 견인하기 위해 안내레일(2400)을 따라 일측과 타측으로 반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탈수판견인장치(2500)는 이동로드(2510), 제1 실린더(2520) 및 제2 실린더(2530)를 포함한다.
이동로드(2510)는 안내레일(2400)에 체결되어 안내레일(240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실린더(2520)는 이동로드(2510)와 연결되며 이동로드(2510)가 안내레일(24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로드(2510)를 이동시킨다. 제1 실린더(2520)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로드(25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그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2 실린더(2530)는 이동로드(2510)와 일체로 이동하며, 탈수판(2100)에 형성된 걸림돌기(2120)를 견인하여 탈수판(210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로드(2510)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탈수판(2100)에 형성된 걸림돌기(21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린더(2530)에는 제2 실린더(2530)로부터 인출과 인입되며 걸림돌기(2120)에 접촉되는 견인돌기(2531)가 형성된다. 즉 제2 실린더(2530)에서 견인돌기(2531)가 인출되면 견인돌기(2531)를 통하여 탈수판(2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 의 (a)를 참조하면 이동로드(2510)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로드(2510)의 우측 첫번째 제2 실린더(2530)에서 견인돌기(2531)가 인출되어 탈수판(2100)을 우측으로 견인된다. 이때 탈수판(2100)의 수용공간(S)이 개방되면서 탈수판(2100)에서 탈수된 탈수케이크(K)가 배출된다.
도 6 의 (b)를 참조하면 이동로드(2510)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첫번째 제2 실린더(2530)의 견인돌기(2531)는 인입되고 두번째 제2 실린더(2530)의 견인돌기(2531)가 인출되어 견인되지 않은 탈수판(2100)의 걸림돌기(2531)에 걸리게 된다.
도 6 의 (c)를 참조하면 이동로드(2510)가 다시 우측으로 이동하여 탈수판(2100)을 우측으로 견인함과 동시에 우측에 이미 견인되어 개방된 탈수판(2100)을 상호 밀착시킨다. 이때 견인되는 탈수판(2100)의 수용공간(S)이 개방되면서 탈수케이크(K)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도 6 의 (a),(b),(c)의 순서를 반복하면 탈수판(2100) 내부에 탈수된 탈수케이크(K)를 신속하게 모두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슬러지이동펌프(3000)와 탈수기(2000)는 연결배관(310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이때 연결배관(3100)에는 초음파 진동자(3200)가 설치된다. 초음파 진동자(3200)는 슬러지에 포함된 불순물의 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처럼 슬러지에 포함된 불순물의 입자의 크기가 균이하게 되면 탈수판(2100)에 슬러지가 유입되어 탈수될 때 여과수의 배출이 용이하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배관(3100)에 초음파 진동자(3200)가 작동하면 슬러지가 연결배관(3100) 및 탈수판(2100)으로 유입될 때 슬러지의 유동성이 향성되는 이점이 발생한다.
도 3 및 도 5 를 참조하면 탈수판(2100)에는 수분함량측정센서(2130)가 설치된다. 수분함량측정센서(2130)는 수용공간(S) 내부에 설치되어 탈수되는 슬러지의 수분함량을 측정한다. 수분함량측정센서(2130)를 통해 탈수되는 슬러지의 수분함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압실린더(2300)의 가압력과 진공펌프(4000)의 진공압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탈수기(20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슬러지의 수분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탈수판(2100)에는 고온의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이동관(2140)이 매립된다. 유체이동관(2150)은 일측에 형성된 유입관(2151)을 통해 별도로 마련된 펌프(미도시)에 의해 고온의 유체가 유입되고, 타측에 형성된 배출관(2152)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고온의 유체는 계속 순환하여 탈수판(2100)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켜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온의 탈수판(2100)에 슬러지가 접촉되면 탈수효율이 상승하게 되는 이점이 발생한다.
1000 : 슬러지통 2000 : 탈수기
2100 : 탈수판 2101 : 회전축
2110 : 배출구 2120 : 걸림돌기
2130 : 수분함량측정센서 2140 : 슬러지 유입홈
2150 : 유체이동관 2151 : 유입관
2152 : 배출관 K : 탈수케이크
2200 : 탈수판이동레일 2300 : 가압실린더
2400 : 안내레일 2500 : 탈수판견인장치
2510 : 이동로드 2520 : 제1 실린더
2530 : 제2 실린더 2531 : 견인돌기
2600 : 연결링크 2610 : 제1 링크
2620 : 제2 링크 2630 : 링크연결축
2621 : 스토퍼 3000 : 슬러지이동펌프
3100 : 연결배관 3200 : 초음파 진동자
4000 : 진공펌프 5000 : 진공세퍼레이터

Claims (7)

  1. 내부에 슬러지가 보관된 슬러지통(1000);
    상기 슬러지통(1000)으로부터 슬러지를 공급받으며 공급된 슬러지를 압축하여 탈수하는 탈수기(2000);
    상기 슬러지통(1000)과 상기 탈수기(20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통(1000)으로부터 슬러지를 전달받아 상기 탈수기(2000)에 슬러지를 고압으로 압입하는 슬러지이동펌프(3000);
    상기 탈수기(2000)로 공급된 슬러지를 진공흡입하여 탈수시키도록 상기 탈수기(2000)와 연결되는 진공펌프(4000);
    상기 진공펌프(4000)와 상기 탈수기(20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펌프(4000)에 의해 발생하는 진공압을 축적하되, 상기 진공펌프(4000)의 진공압을 상기 탈수기(2000)로 전달하고 상기 슬러지를 탈수할 때 발생하는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세퍼레이터(5000);를 포함하는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로서,
    상기 탈수기(2000)는,
    한쌍의 탈수판이동레일(2200)을 따라 이동하며 양측 내부에 슬러지가 유입되는 수용공간(S)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S)이 상호 마주보며 연통될 수 있 도록 다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수용공간(S)에 유입된 슬러지가 탈수될 때 발생하는 여과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S)과 연통되는 배출구(2110)가 형성되는 탈수판(2100);
    상기 각각의 탈수판(2100)의 연통된 수용공간(S)을 밀폐하고 상기 슬러지에서 여과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탈수판(2100)을 가압하는 가압실린더(2300);
    상기 탈수판(2100)의 일측에 설치된 안내레일(240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되, 상기 탈수된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상기 탈수판(2100)을 일측으로 견인하여 상기 수용공간(S)을 개방하는 탈수판견인장치(2500);
    상기 탈수판견인장치(2500)가 상기 탈수판(2100)을 일측으로 견인할 때 상기 견인되는 탈수판(2100)과 이웃한 탈수판(2100)이 상기 견인되는 탈수판(210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용공간(S)을 순차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탈수판(2100)을 연결하는 연결링크(2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2600)는
    상기 각각의 탈수판(2100)에 설치된 회전축(2101)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제1 링크(2610) 및 제2 링크(2620)와
    상기 각각의 탈수판(210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링크(2610) 및 상기 제2 링크(2620)를 연결하는 링크연결축(26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2620)에는 상기 탈수판(2100)이 이동할 때 상기 링크연결축(2630)의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각각의 탈수판(2100)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제1 링크(2610)의 측면에 걸리는 스토퍼(262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탈수판(2100)에는 상기 탈수판견인장치(2500)에 걸리는 걸림돌기(21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탈수판(2100)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탈수판견인장치(2500)는 상기 걸림돌기(2120)를 일측으로 견인하기 위해 상기 안내레일(2400)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판견인장치(2500)는
    상기 안내레일(240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로드(2510);
    상기 이동로드(2510)가 상기 안내레일(24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로드(251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로드(2510)를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2520);
    상기 이동로드(2510)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로드(2510)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탈수판(2100)에 형성된 걸림돌기(2120)에 걸리어 상기 탈수판(2100)을 우측으로 견인하고, 상기 이동로드(2510)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견인된 탈수판(2100)의 걸림돌기(2120)에서 탈착되어 다른 탈수판(2100)의 걸림돌기(2120)에 부착되는 제2 실린더(25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이동펌프(3000)와 상기 탈수기(20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배관(3100)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배관(3100)에는 상기 슬러지에 포함된 불순물의 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하고 이동하는 상기 슬러지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도록 초음파 진동자(32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판(2100)에는 상기 가압실린더(2300)가 가압하는 압력과 상기 진공펌프(4000)의 진공압을 조절하여 탈수되는 슬러지의 수분함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탈수되는 슬러지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함량측정센서(21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판(2100)에는 슬러지와 접촉되는 상기 탈수판(2100)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탈수판(2100)의 내부에 고온의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이동관(2150)이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KR1020130088782A 2013-07-26 2013-07-26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KR101308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782A KR101308170B1 (ko) 2013-07-26 2013-07-26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CN201480012156.XA CN105026322A (zh) 2013-07-26 2014-04-08 具备脱水器的污泥处理装置
PCT/KR2014/003023 WO2015012472A1 (ko) 2013-07-26 2014-04-08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782A KR101308170B1 (ko) 2013-07-26 2013-07-26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170B1 true KR101308170B1 (ko) 2013-09-12

Family

ID=4945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782A KR101308170B1 (ko) 2013-07-26 2013-07-26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08170B1 (ko)
CN (1) CN105026322A (ko)
WO (1) WO201501247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9956A1 (de) * 2015-10-06 2017-04-13 Imko Micromodultechnik Gmbh Filterpresse, verwendung eines elektromagnetisch arbeitenden sensors in derselben sowie plattenförmiges filterelement
CN106904813A (zh) * 2017-04-17 2017-06-30 成都赋阳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高效污泥脱水设备
KR20190120585A (ko) 2018-04-16 2019-10-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압축판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 및 고형화 장치
KR20190121503A (ko) 2018-04-18 2019-10-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드럼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 장치
KR20220147823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대한엔바이로테크 슬러지 탈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6187B (zh) * 2016-05-17 2018-08-17 上海城投污水处理有限公司 污泥干燥机污泥颗粒出料装置及其控制方法
CN106430900B (zh) * 2016-11-15 2023-04-07 江苏道科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定量投加污泥的装置及方法
CN108640544B (zh) * 2018-06-05 2023-08-15 广州机械设计研究所 一种多线程废料制作水泥的系统
CN108635920A (zh) * 2018-06-05 2018-10-12 广州机械设计研究所 一种智能板式压滤机
CN111410397B (zh) * 2020-04-27 2022-01-18 深圳华净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污泥处理装置
CN115012857B (zh) * 2022-08-05 2023-02-28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八〇一水文地质工程地质大队(山东省地矿工程勘察院) 一种地热井钻探泥浆循环过滤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298A (ko) * 1998-10-30 2000-05-25 김만종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
KR20030089018A (ko) * 2002-05-15 2003-11-21 섬진이에스티 주식회사 열 필터프레스 탈수장치
KR20050056755A (ko) * 2003-12-10 2005-06-16 진인수 정밀화학용 고효율 필터프레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6013A (ja) * 1997-04-25 1998-11-10 Masayoshi Udagawa 脱水装置および該装置に使用する圧送機並びに脱水機
JPH11309495A (ja) * 1998-04-30 1999-11-09 Mitsubishi Materials Corp 汚泥処理方法および燃料
KR20020082047A (ko) * 2001-04-23 2002-10-30 경윤현 필터프레스
CN1840221A (zh) * 2005-04-03 2006-10-04 张民良 柔韧管式固液处置机及其多种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298A (ko) * 1998-10-30 2000-05-25 김만종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
KR20030089018A (ko) * 2002-05-15 2003-11-21 섬진이에스티 주식회사 열 필터프레스 탈수장치
KR20050056755A (ko) * 2003-12-10 2005-06-16 진인수 정밀화학용 고효율 필터프레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9956A1 (de) * 2015-10-06 2017-04-13 Imko Micromodultechnik Gmbh Filterpresse, verwendung eines elektromagnetisch arbeitenden sensors in derselben sowie plattenförmiges filterelement
CN106904813A (zh) * 2017-04-17 2017-06-30 成都赋阳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高效污泥脱水设备
KR20190120585A (ko) 2018-04-16 2019-10-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압축판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 및 고형화 장치
KR20190121503A (ko) 2018-04-18 2019-10-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드럼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 장치
KR20220147823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대한엔바이로테크 슬러지 탈수기
KR102493583B1 (ko) * 2021-04-28 2023-01-31 주식회사 대한엔바이로테크 슬러지 탈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26322A (zh) 2015-11-04
WO2015012472A1 (ko)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170B1 (ko)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CN102389660B (zh) 一种梅花管式膜分离污泥脱水装置
CN205627231U (zh) 高压深度脱水自动全开压滤机
CN104857749B (zh) 双体式污水污泥深度脱水装置
CN201240986Y (zh) 絮凝、浓缩、压滤一体化带式压滤机
CN202822909U (zh) 新型立式全自动自锁式高效隔膜压滤机
WO2007104233A1 (fr) Filtre-presse
CN203935658U (zh) 一种多功能压滤机
CN201076786Y (zh) 细颗粒物料过滤洗涤脱水干燥装置
CN202113662U (zh) 一种用于卧式的压滤板框组
CN214913698U (zh) 一种自带输送结构的厢式压滤机
CN202316114U (zh) 内置式磁力分离压滤脱水机
CN201093849Y (zh) 一种新型带式浓缩压滤脱水一体机
KR102245839B1 (ko) 튜브형 가열 여과판, 튜브형 가열 여과판이 적용된 열 필터프레스 탈수 장치 및 그 탈수 방법
KR20180050874A (ko) 유압 탈수 방식의 이동식 슬러지 탈수장치
CN102489400B (zh) 内置式磁力分离压滤脱水机
CN202569691U (zh) 全自动污泥处理隔膜压滤机
CN105293863A (zh) 污泥浓缩脱水一体机
KR101261568B1 (ko) 필터 프레스용 여과판 정렬장치
KR102493583B1 (ko) 슬러지 탈수기
CN220609240U (zh) 污泥处理设备
KR200267351Y1 (ko) 이동식 준설장치
CN218306539U (zh) 一种陶瓷浆料用脱水压滤装置
CN203264397U (zh) 一种变流道挤压型浓缩压榨过滤器
CN202802913U (zh) 一种带式压滤机脱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