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298A -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 - Google Patents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298A
KR20000028298A KR1019980046475A KR19980046475A KR20000028298A KR 20000028298 A KR20000028298 A KR 20000028298A KR 1019980046475 A KR1019980046475 A KR 1019980046475A KR 19980046475 A KR19980046475 A KR 19980046475A KR 20000028298 A KR20000028298 A KR 20000028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ke
filter
compressed air
filtering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0122B1 (ko
Inventor
김만종
Original Assignee
김만종
섬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종, 섬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만종
Priority to KR1019980046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0122B1/ko
Publication of KR20000028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164Chamber-plate presses, i.e. the sides of the filtering elements being clamped between two successive filter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28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5/282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drying
    • B01D25/284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틀과, 케이크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식여과판과, 상기 여과틀과 상기 압착식여과판 사이에 개재되며 케이크를 수용하는 여과포와, 상기 여과포사이에 슬러리를 공급하는 슬러리공급펌프를 갖는 필터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착식여과판내에 공급되어 상기 여과포내의 케이크를 가압할 압착유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된 압착유체를 상기 압착식여과판내에 공급하는 유체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압착유체를 통해 여과포내의 케이크를 2차 가압여과함과 동시에 열전달에 의해 케이크내의 수분을 증발시켜 케이크의 함수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
본 발명은,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착유체를 통해 여과포내의 케이크를 2차 가압여과함과 동시에 열전달에 의해 슬러리내의 수분을 증발시켜 케이크의 함수율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한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프레스는 여과하고자 하는 슬러리원액을 슬러리공급펌프에 의해 여과판 내에 압입함에 따라 여과판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포를 통해 슬러리원액을 가압여과하거나, 별도의 압착식여과판을 마련하여 압착식여과판에 압착유체를 주입시켜 케이크를 2차 가압여과함에 따라 공급된 슬러리원액을 여과액과 케이크로 분리하는 장치이다.
도 4는 종래의 필터프레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비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필터프레스는 슬러리원액을 공급하는 슬러리공급부(101)와, 공급된 슬러리원액을 여과하는 여과부(103)와, 여과부(103)에 압착유체를 공급하는 압착유체공급부(105)와, 여과부(103)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107)를 가진다.
슬러리공급부(101)는 슬러리저장부(109)와, 슬러리공급펌프(111)를 가지며, 필터프레스의 여과공정에 따라 개폐 가능한 슬러리공급밸브(115)가 슬러리공급펌프(111)와 여과부(103) 사이를 연결하는 슬러리공급관(113)에 설치되어 있다.
여과부(103)는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여과틀과, 여과틀 사이에 개재된 압착식여과판을 가지며, 여과틀과 압착식여과판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여과포가 개재되어 있다.
여과부(103)의 압착식여과판에 압착유체를 공급하는 압착유체공급부(105)는 압착유체저장부(143)와, 압착유체를 여과부(103)내에 설치된 각각의 압착식여과판에 공급하는 압착유체공급펌프(145)를 가지며, 여과부(103)와 압착유체공급펌프(145)를 연결하는 압착유체공급관(147)에는 개폐 가능한 압착유체공급밸브(149)가 설치되어 있다. 여과부(103)와 압착유체저장부(143) 사이에는 압착식여과판(119)에 공급된 압착유체가 복귀될 수 있도록 압착유체복귀관(159)이 설치되어 있으며, 압착유체복귀관(159)에는 개폐 가능한 압착유체복귀밸브(1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여과부(103)내에서 여과되면서 추출되는 여과액을 수용하기 위해서 여과부(103)와 여과액저장부(129) 사이에는 여과액유동관(131)이 연결되어 있으며, 여과액유동관(131)에는 개폐 가능한 여과액유동밸브(133)가 설치되어 있다. 여과부(103)에서 여과되어 여과액과 분리된 케이크를 케이크저장부(125)에 이송하기 위해서 여과부(103)의 하부에는 케이크이송장치(127)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공기공급부(107)는 압축기(135)와, 압축기(135)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저장부(137)를 가지며, 압축공기저장부(137)와 여과부(105)사이에는 압축공기공급관(13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압축공기공급관(139)에는 개폐 가능한 압축공기공급밸브(141)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슬러리공급밸브(115)가 개방되어 슬러리저장부(109)로부터 슬러리공급펌프(111)를 통해 여과부(103) 내부에 슬러리를 가압공급하면, 여과포 사이에 공급된 슬러리는 슬러리공급펌프(111)의 펌핑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1차 가압여과되며, 1차 가압여과에 의해 슬러리와 분리된 여과액은 여과액유동관(131)을 따라 유동하여 여과액유동관(131)에 설치된 여과액유동밸브(133)를 지나 여과액저장부(129)에 수용된다.
1차 가압여과가 완료되면, 슬러리공급밸브(115)는 폐쇄되며, 압축공기공급밸브(141)가 개방되어 압축공기저장부(137)로부터 압축공기가 압축공기공급관(139)을 통해 여과부(103)에 공급된다. 공급된 압축공기는 여과포 내에 수용되어 있는 1차 가압여과된 케이크를 통과하면서 케이크주위의 수분을 강제 토출시킨다.
압축공기에 의해 1차 가압여과된 케이크주위의 수분이 강제 토출되면, 압축공기공급밸브(141)가 폐쇄되며, 압착유체공급밸브(149)가 개방되어 압착유체저장부(143)에 수용되어 있는 압착유체가 압착유체공급펌프(145)에 의해 여과부(103)의 압착식여과판에 공급된다. 압착식여과판에 압착유체가 공급되면, 압착유체의 압력에 의해 압착식여과판이 소정 팽창하여 여과포에 수용된 1차 가압여과된 케이크를 2차 가압시킨다.
2차 가압이 완료되고 난 후, 압착식여과판내에 공급된 압착유체의 배출이 완료되면, 여과포 내에 형성된 케이크는 여과포로부터 이탈되어 여과부(103)의 하부에 위치한 케이크이송장치(127)에 의해 케이크저장부(125)에 저장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에 있어서는, 슬러리공급펌프의 가압에 의한 1차 가압여과공정과, 압착유체에 의한 2차 가압여과공정을 거치면서도 케이크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한계함수율 이하로 함수율을 저하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염료산업과 같이 추출된 케이크를 재활용하는 분야에서는 케이크를 재활용하기 위해서 케이크의 함수율을 낮추는 별도의 건조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건조설비를 마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착유체를 통해 여과포내의 케이크를 2차 가압여과함과 동시에 열전달에 의해 케이크내의 수분을 증발시켜 케이크의 함수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필터프레스의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프레스의 설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프레스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필터프레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러리공급부 3 : 여과부
5 : 압착유체공급부 7 : 압축공기공급부
9 : 슬러리저장부 11 : 슬러리공급펌프
15 : 슬러리공급밸브 17 : 여과틀
19 : 압착식여과판 21 : 여과포
23 : 케이크 25 : 케이크저장부
27 : 케이크이송장치 29 : 여과액저장부
33 : 여과액유동밸브 35 : 압축기
37 : 압축공기저장부 41 : 압축공기공급밸브
43 : 압착유체저장부 45 : 압착유체공급펌프
49 : 압착유체공급밸브 51 : 온도조절부
53 : 부압장치 57 : 부압관용밸브
59 : 압착유체복귀관 61 : 압착유체복귀밸브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여과틀과, 케이크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식여과판과, 상기 여과틀과 상기 압착식여과판 사이에 개재되며 케이크를 수용하는 여과포와, 상기 여과포사이에 슬러리를 공급하는 슬러리공급펌프를 갖는 필터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압착식여과판내에 공급되어 상기 여과포내의 케이크를 가압할 압착유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된 압착유체를 상기 압착식여과판내에 공급하는 유체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포내 케이크의 수분증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틀의 내부를 부압시키는 부압장치와, 상기 여과포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유체는 온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여과틀과, 케이크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식여과판과, 상기 여과틀과 상기 압착식여과판 사이에 개재되며 케이크를 수용하는 여과포와, 상기 여과포사이에 슬러리를 공급하는 슬러리공급펌프를 갖는 필터프레스의 탈수방법에 있어서, 압착유체를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압착식여과판내에 상기 가열된 압착유체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의 탈수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유체에 의해 상기 여과포내 케이크의 수분증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포내부를 부압시키는 단계와, 상기 압착유체에 의해 상기 여과포내 케이크에서 증발된 수분을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포내에 상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필터프레스의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프레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프레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프레스는 전술한 종래의 필터프레스와 마찬가지로, 슬러리원액을 공급하는 슬러리공급부(1)와, 공급된 슬러리원액을 여과하는 여과부(3)와, 여과부(3)에 압착유체를 공급하는 압착유체공급부(5)와, 여과부(3)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7)를 가진다.
슬러리공급부(1)는 슬러리원액을 저장하는 슬러리저장부(9)와, 슬러리저장부(9)로부터 슬러리원액을 여과부(3)에 가압공급하는 슬러리공급펌프(11)를 가진다. 슬러리공급펌프(11)와 여과부(3)사이에 설치된 슬러리공급관(13)에는 개폐 가능한 슬러리공급밸브(15)가 설치되어 있다.
여과부(3)는 다수의 여과틀(17)과, 여과틀(17) 사이에 개재된 압착식여과판(19)을 가지며, 여과틀(17)과 압착식여과판(19) 사이에는 한 쌍의 여과포(21)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여과부(3)에서 여과되어 여과액과 분리된 케이크(23)를 케이크저장부(25)에 이송하기 위해서 여과부(3)의 하부에는 케이크이송장치(27)가 설치되어 있다.
여과부(3)내에서 슬러리가 가압여과됨에 따라 추출되는 여과액을 수용하기 위해서 여과부(3)와 여과액저장부(29) 사이에는 여과액유동관(31)이 연결되어 있으며, 여과액유동관(31)에는 개폐 가능한 여과액유동밸브(33)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공기공급부(7)는 압축기(35)와, 압축기(35)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를 일시 저장하는 압축공기저장부(37)를 가지며, 압축공기저장부(37)와 여과부(3)사이에는 압축공기공급관(3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압축공기공급관(39)에는 개폐 가능한 압축공기공급밸브(4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여과부(3)의 압착식여과판(19)내에 압착유체를 공급하는 압착유체공급부(5)는 압착유체저장부(43)와, 압착유체를 압착식여과판(19)에 공급하는 압착유체공급펌프(45)를 가지며, 압착유체가 유동하는 압착유체공급관(47)에는 개폐 가능한 압착유체공급밸브(4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압착유체저장부(43)의 일측에는 저장된 압착유체를 가열하여 압착유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부(51)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조절부(51)에 의해 가열된 압착유체에 의해 여과포(21)에 수용된 케이크(23)의 수분증발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과부(3)내를 부압시키는 부압장치(53)가 설치되어 있으며, 부압장치(53)와 여과부(3) 사이에는 부압관(55)과, 개폐 가능한 부압관용밸브(5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여과부(3)와 압착유체저장부(43) 사이에는 압착식여과판(19)에 공급된 압착유체가 복귀될 수 있도록 압착유체복귀관(59)이 설치되어 있으며, 압착유체복귀관(59)에는 개폐 가능한 압착유체복귀밸브(61)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슬러리저장부(9)로부터 슬러리원액을 슬러리공급펌프(11)를 통해 여과부(3)로 가압공급함에 따라 여과포(21)내에 공급된 슬러리원액은 펌핑압력에 의해 여과포(21) 사이에서 가압여과된다. 여과된 여과액은 여과액유동관(31)을 통해 유동하여 여과액유동밸브(33)를 지나 여과액저장부(29)에 수용된다.
이렇게, 1차 가압여과가 완료되면 슬러리공급밸브(15)가 폐쇄되며, 압축공기공급밸브(41)가 개방되어 압축기(35)로부터 압축되어 압축공기저장부(37)에 수용되어 있는 압축공기가 여과부(3)에 공급되어 여과포(21)내에 수용되어 있는 1차 가압여과된 케이크(23) 주위의 수분을 강제 토출시킨다.
압축공기에 의해 1차 가압여과된 케이크(23) 주위의 수분토출이 완료되면, 압축공기공급밸브(41)는 폐쇄되며, 압착유체공급밸브(49)가 개방되어 압착식여과판(19)내로 압착유체가 공급된다. 압착식여과판(19)에 공급되는 압착유체는 온도조절부(51)에 의해 70 ~ 80℃로 유지되어 압착식여과판(19)에 공급되며, 공급된 압착유체에 의해 압착식여과판(19)이 팽창하여 여과포(21)내에 수용된 케이크(23)가 2차 가압여과된다. 2차 압축에 의해 추출된 여과액은 여과액유동관(31)을 통해 여과액저장부(29)에 수용되며, 소정 시간이 경과 후 여과액유동관(31)에 설치된 여과액유동밸브(33)는 폐쇄된다.
여과액유동밸브(33)가 폐쇄되면, 부압관용밸브(57)가 개방되며, 부압장치(53)에 의해 여과포(21)내의 압력이 300 ~ 400mmHg로 유지되어 압착유체의 온도에 의해 케이크(23)의 수분증발이 원활하게 된다.
한편, 2차 가압이 완료되었을 때, 여과액유동밸브(33)를 폐쇄하고, 압축공기공급밸브(41)를 개방하면 압축공기공급부(7)의 압축공기가 여과포(21)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유체에 의해 증발되는 케이크(23)의 수분을 강제 토출시킨다. 이에 따라, 여과포(21)내에 수용된 케이크(23)의 수분함수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2차 가압 및 증발작용에 의해 여과포(21)내에 수용된 케이크(23)의 수분함수율이 저하되면 부압장치(53)와 압착유체공급펌프(45)가 정지하며, 압착식여과판(19)내에 공급된 압착유체의 배출이 완료되면, 여과포(21)로부터 케이크(23)가 이탈되어 여과부(3)의 하부에 위치한 케이크이송장치(27)에 의해 케이크(23)는 케이크저장부(25)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슬러리공급펌프(11)에 의해 1차 가압여과되어 여과포(21)내에 수용된 케이크(23)를 압착식여과판(19)내에 공급된 압착유체에 의해 2차 가압함과 동시에 압착유체와의 열전달을 통해 케이크(23)의 수분을 증발시킴에 따라 케이크(23)의 수분함수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유체를 통해 여과포내의 케이크를 2차 가압여과함과 동시에 열전달에 의해 케이크내의 수분을 증발시켜 케이크의 함수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7)

  1. 여과틀과, 케이크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식여과판과, 상기 여과틀과 상기 압착식여과판 사이에 개재되며 케이크를 수용하는 여과포와, 상기 여과포사이에 슬러리를 공급하는 슬러리공급펌프를 갖는 필터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압착식여과판내에 공급되어 상기 여과포내의 케이크를 가압할 압착유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된 압착유체를 상기 압착식여과판내에 공급하는 유체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내 케이크의 수분증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틀의 내부를 부압시키는 부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유체는 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
  5. 여과틀과, 케이크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식여과판과, 상기 여과틀과 상기 압착식여과판 사이에 개재되며 케이크를 수용하는 여과포와, 상기 여과포사이에 슬러리를 공급하는 슬러리공급펌프를 갖는 필터프레스의 탈수방법에 있어서,
    압착유체를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압착식여과판내에 상기 가열된 압착유체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의 탈수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유체에 의해 상기 여과포내 케이크의 수분증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포내부를 부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의 탈수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유체에 의해 상기 여과포내 케이크에서 증발된 수분을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포내에 상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의 탈수방법.
KR1019980046475A 1998-10-30 1998-10-30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 KR100280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475A KR100280122B1 (ko) 1998-10-30 1998-10-30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475A KR100280122B1 (ko) 1998-10-30 1998-10-30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298A true KR20000028298A (ko) 2000-05-25
KR100280122B1 KR100280122B1 (ko) 2001-02-01

Family

ID=1955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475A KR100280122B1 (ko) 1998-10-30 1998-10-30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012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670A (ko) * 2001-08-08 2003-02-15 안광수 압착 탈수방법 및 그 압착 탈수기
KR100455057B1 (ko) * 2001-11-15 2004-11-15 경윤현 여과판 및 그를 사용한 진공건조장치
KR100483468B1 (ko) * 2002-05-15 2005-04-18 섬진이에스티 주식회사 열 필터프레스 탈수장치
KR100857593B1 (ko) * 2007-06-29 2008-09-09 나은수 고온 압착식 여과판 및 이를 장착한 필터프레스
KR100950800B1 (ko) * 2007-11-20 2010-04-02 코리아워터텍 주식회사 슬러지 건조장치 및 슬러지 처리 방법
KR101308170B1 (ko) * 2013-07-26 2013-09-12 한준희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CN107998707A (zh) * 2017-06-03 2018-05-08 饶宾期 污水污泥电磁力压滤脱水装置
KR20220057003A (ko) * 2020-10-29 2022-05-09 에스이에스티 주식회사 압력변동식 필터프레스 슬러지 진공 가열 탈수 건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84534A1 (en) * 2020-12-16 2022-06-16 Lifeng Li Pressure filter dewatering system and dewatering method
KR20230140281A (ko) 2022-03-29 2023-10-06 (주)지엔테크 이동식 슬러지 탈수공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수공정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670A (ko) * 2001-08-08 2003-02-15 안광수 압착 탈수방법 및 그 압착 탈수기
KR100455057B1 (ko) * 2001-11-15 2004-11-15 경윤현 여과판 및 그를 사용한 진공건조장치
KR100483468B1 (ko) * 2002-05-15 2005-04-18 섬진이에스티 주식회사 열 필터프레스 탈수장치
KR100857593B1 (ko) * 2007-06-29 2008-09-09 나은수 고온 압착식 여과판 및 이를 장착한 필터프레스
KR100950800B1 (ko) * 2007-11-20 2010-04-02 코리아워터텍 주식회사 슬러지 건조장치 및 슬러지 처리 방법
KR101308170B1 (ko) * 2013-07-26 2013-09-12 한준희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WO2015012472A1 (ko) * 2013-07-26 2015-01-29 Han Junhee 탈수기가 구비된 슬러지처리장치
CN107998707A (zh) * 2017-06-03 2018-05-08 饶宾期 污水污泥电磁力压滤脱水装置
CN107998707B (zh) * 2017-06-03 2023-08-15 浙江晟昌源环境科技有限公司 污水污泥电磁力压滤脱水装置
KR20220057003A (ko) * 2020-10-29 2022-05-09 에스이에스티 주식회사 압력변동식 필터프레스 슬러지 진공 가열 탈수 건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0122B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0122B1 (ko) 필터프레스와 그 탈수방법
JP5478019B2 (ja) スラリの脱水乾燥方法および脱水乾燥装置
CN208234736U (zh) 具有热水与蒸汽热能回收利用功能的压滤干燥设备
JP5327000B2 (ja) 加圧脱水装置および加圧脱水方法
KR101894876B1 (ko) 필터 프레스용 여과포 및 여과판 동시 세척 장치
CN106795024A (zh) 通过水热碳化和过滤干燥方法和干燥设备
JP6238543B2 (ja) 有機汚泥の脱水方法
JP2006223946A (ja) フィルタプレス装置,及び当該フィルタプレス装置におけるスラリーの圧搾方法
CN107082550B (zh) 基于电磁力的污水污泥脱水装置
TWM520928U (zh) 具蒸汽熱能回收利用之壓濾設備
DE4313573A1 (de) Verringerung der Kondensation von Wasserdampf und Austreiben von Kondensat während der Kompression von Luft
CN112479536B (zh) 利用热泵与蒸汽压缩机功能的压滤干燥设备
JP3773164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装置、フィルタープレス装置用濾板およびスラッジの脱水方法
TWM562296U (zh) 具熱水與蒸汽熱能回收利用功能之壓濾乾燥設備
DE102006003552A1 (de) Trenn- und Trocknungsverfahren für ein Trockengut z.B. für Wäsche
JPH1033908A (ja) フィルタプレスにおけるスラリーの脱水処理方法
JPS6485B2 (ko)
JP3956370B2 (ja) スラリーの脱水方法およびフィルタープレス装置
EA038051B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фильтр-пресса и фильтр-пресс
CN220098840U (zh) 一种污泥加热压榨组件及压滤设备
JP2000153103A (ja) フィルタープレス装置およびスラッジの脱水方法
CN204849465U (zh) 双网压滤机
TW202110519A (zh) 利用熱泵與蒸汽壓縮機功能之壓濾乾燥設備
JP3773193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装置およびスラッジの脱水方法
JPS6115711A (ja) フイルタプレスにおけるダイヤフラムの排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