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810B1 - 신규의 텅스텐 아미노알콕사이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신규의 텅스텐 아미노알콕사이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810B1
KR101306810B1 KR1020120049225A KR20120049225A KR101306810B1 KR 101306810 B1 KR101306810 B1 KR 101306810B1 KR 1020120049225 A KR1020120049225 A KR 1020120049225A KR 20120049225 A KR20120049225 A KR 20120049225A KR 101306810 B1 KR101306810 B1 KR 101306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gsten
alkyl group
compound
linear
branched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보근
정택모
김창균
전동주
안기석
이선숙
여소정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49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1/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6 or 16 of the Periodic 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 C23C16/1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from metallo-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23Pulsed gas flow or change of composition over time
    • C23C16/45525Atomic layer deposition [ALD]
    • C23C16/45553Atomic layer deposition [ALD]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recursors specially adapted for A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텅스텐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텅스텐 화합물은 열적으로 안정하고 휘발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쉽게 양질의 텅스텐을 포함하는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37108040-pat00013

(상기 식에서, R1은 C1-C4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이고,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또는 C1-C10의 플루오르화 알킬기이며,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3이다.)

Description

신규의 텅스텐 아미노알콕사이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NOVEL TUNGSTEN AMINOALKOXIDE COMPOUND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IN FILM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의 텅스텐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열적으로 안정하면서 휘발성이 높은 텅스텐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텅스텐을 포함하는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텅스텐 산화물(WOX)은 일반적으로 전기적 변색장치(electrochromic) 윈도우와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색체층이다. 이러한 장치의 성공적인 상용화는 빠른 속도와 낮은 비용으로 넓은 영역을 매우 균일한 두께와 재료의 특성을 살리며 증착해야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대기압 화학기상증착(atmospheric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을 사용한다. 새로운 액체 텅스텐 전구체(RNCW(CO)5, R = 1-methylbutylisonitrile, n-pentylisonitrile)는 충분한 휘발성, 200-300 ℃ 의 기판 온도에서 산소와의 반응성, 상온에서 공기, 물과 잘 반응하지 않고 낮은 점도의 특성을 가져 이 공정에 적합하다고 증명되었다. [참고문헌: Thin solid films 2001, vol. 392, no. 2, pp. 231-235]
텅스텐 옥사이드 박막의 증착 방법으로는 열증발법(thermal evaporation), 저압화학기상증착법(low-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 졸-겔법(sol-gel),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법(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분무열분해법(spray pyrolysis), 레이저증착법(pulsed laser deposition) 등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US 공개특허 제20050031786호 등과 같이, 텅스텐 옥사이드 박막의 화학기상증착(CVD)을 사용하여 텅스텐 옥사이드 박막을 형성하는 경우, 불화텅스텐(WF6), 텅스텐 헥사카보닐 (W(CO)6), 텅스텐 알콕사이드 (W(OC2H5)n) 텅스텐 옥소 알콕사이드 전구체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텅스텐 전구체들을 사용하는 경우, 전구체 고유의 특성인 열적 안정성과 휘발성이 개선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정이 복잡해 지거나, 불화텅스텐을 사용하는 경우 불산(HF)이 생성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박막의 화학기상증착(CVD) 또는 원자층증착(ALD)에 이용될 수 있는 전구체는 좋은 휘발성을 가지고 낮은 온도에서 박막 증착이 일어나야 하기 때문에 유기 금속 화합물이 이에 적합하다.
따라서, 열적 안정성, 화학적 반응성, 휘발성, 및 텅스텐 금속의 증착 속도가 개선된 텅스텐 유기 화합물 전구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Thin solid films 2001, vol. 392, no. 2, pp. 231-23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적 안정성과 휘발성이 개선되고 낮은 온도에서 쉽게 텅스텐을 포함하는 박막의 제조가 가능한, 신규의 텅스텐 아미노 알콕사이드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텅스텐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37108040-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C1-C4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이고,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또는 C1-C10의 플루오르화 알킬기이며,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3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텅스텐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12037108040-pa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C1-C4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고, L은 아민 또는 포스핀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2037108040-pat00003
(상기 식에서, M은 Li, Na 또는 K이며,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또는 C1-C10의 플루오르화 알킬기이며,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3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텅스텐 화합물을 이용하여 텅스텐을 포함하는 박막을 성장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텅스텐 화합물은 열적으로 안정하고 휘발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쉽게 양질의 텅스텐을 포함하는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W(NtBu)2(dmamp)2에 대한 X-ray structure이다.
도 2는 W(NtBu)2(dmamp)2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3은 W(NtBu)2(dmamp)2에 대한 TG data이다.
도 4는 W(NtBu)2(dmamb)2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5는 W(NtBu)2(dmamb)2에 대한 TG data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텅스텐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37108040-pa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C1-C4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이고,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또는 C1-C10의 플루오르화 알킬기이며,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3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텅스텐 화합물에 있어서, R1은 t-부틸이고, R2,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CH3, CF3, C2H5, CH(CH3)2 및 C(CH3)3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R4,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CH3, C2H5, CH(CH3)2 및 C(CH3)3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텅스텐 화합물은 출발물질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기 용매에서 반응시켜 치환 반응을 유도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2037108040-pat00005
(상기 식에서, R1은 C1-C4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고, L은 아민 또는 포스핀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2037108040-pat00006
(상기 식에서, M은 Li, Na, K 등이며, R2, R3는 각각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또는 C1-C10의 플루오르화 알킬기이며,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3이다.)
상기 반응 용매로는 톨루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톨루엔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텅스텐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반응 공정은 하기 반응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2037108040-pat00007
(상기 식에서, R1은 C1-C4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고, M은 Li, Na, K 등이며,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또는 C1-C10의 플루오르화 알킬기이며,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3이고, L은 아민 또는 포스핀이다.)
상기 반응식 1에 따르면, 톨루엔,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같은 용매에서 실온에서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치환 반응을 진행한 뒤 감압 하에서 여과하고, 생성된 여과액으로부터 용매를 감압 제거하여 화합물을 수득한다. 또한, 상기 반응식 1의 반응 중에 부산물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들을 승화, 재결정 및 증류법을 이용하여 제거함에 따라 고순도의 신규의 텅스텐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들에서 반응물들은 화학양론적 당량비로 사용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의 텅스텐 화합물은 상온에서 안정한 화합물로서, 금속과 결합하는 리간드의 산소에 대하여 α-탄소 위치에 비극성 알킬기가 결합해 있어 유기 용매에 대한 친화성이 높고, 중심 금속이 이웃한 리간드의 산소 또는 질소와 분자 간 상호 작용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입체 장애를 주기 때문에 단위체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벤젠,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클로로포름 등에 대한 용해도가 높고, 휘발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들을 사용하여 양질의 텅스텐을 포함하는 박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의 텅스텐 화합물은 텅스텐 박막 제조용 화합물로서, 일반적인 박막제조 공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화학기상증착법(CVD) 또는 원자층증착법(ALD)을 사용하는 공정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텅스텐 화합물 물질의 합성
실시예 1: W(NtBu)2(dmamp)2의 제조
Figure 112012037108040-pat00008
125 mL 슐렝크 플라스크에 W(NtBu)2Cl2Py2 (6.0 g, 0.0108 mol, 1eq)와 Na(dmamp) (dmamp=1-디메틸아미노-2-메틸-2-프로폭시) (3.0 g, 0.0216 mol, 2eq)를 넣고 톨루엔 (50 mL)을 첨가한 후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여과한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노란색 고체 화합물을 얻고 정제하기 위해 감압 하에서 130 ℃에서 증류하였다. (4.8 g, 수율: 80%)
상기 얻은 화합물 W(NtBu)2(dmamp)2에 대한 1H-NMR(C6D6)를 도 2에 나타내었다.
1H NMR (C6D6, 300.13MHz): δ 2.47 (s, 4H), 2.40 (s, 12H), 1.50 (s, 18H),
1.41 (s, 12H).
EI-MS (m/z): 559 (M+)
Anal. Calcd for C20H46N4O2W: C, 43.01; H, 8.30; N, 10.03.
Found: C, 41.04; H, 8.80; N, 9.32
실시예 2: W(NtBu)2(dmamb)2의 제조
Figure 112012037108040-pat00009
125 mL 슐렝크 플라스크에 W(NtBu)2Cl2Py2 (2.0 g, 3.6 mmol, 1eq)와 Na(dmamb) (dmamb=1-디메틸아미노-2-메틸-2-부톡시) (1.1 g, 0.0072 mol, 2eq)을 넣은 후 톨루엔 (50 mL)을 첨가한 후 24시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여과한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노란색 액체 화합물을 얻고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 하에서 145 ℃에서 증류하였다. (4.6 g, 수율: 73%)
상기 얻어진 화합물 W(NtBu)2(dmamb)2에 대한 1H-NMR(C6D6)를 도 4에 나타내었다.
1H NMR (C6D6, 300.13MHz): δ 1.04 (m, 6H), δ 1.33 (d, 6H), δ 1.50 (t, 18H), δ 1.75 (m, 4H), δ 2.40 (s, 12H), δ 2.50 (m, 4H)
EI-MS (m/z): 587 (M+)
Anal. Calcd for C22H50N4O2W: C, 45.05; H, 8.59; N, 9.55.
Found: C, 44.34; H, 8.68; N, 9.83
텅스텐 화합물 물질의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텅스텐 화합물의 구체적인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Bruker SMART APEX II X-ray Diffractometer를 이용하여 결정구조(X-ray structure)를 확인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W(NtBu)2(dmamp)2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의 W(NtBu)2(dmamp)2 및 실시예 2의 W(NtBu)2(dmamb)2의 열적 안정성 및 휘발성과 분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열무게 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법을 이용하였다. 상기 TGA 방법은 생성물을 10℃/분의 속도로 900℃까지 가온시키면서, 1.5bar/분의 압력으로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였다. 실시예 1 및 2에서 합성한 텅스텐 화합물의 TGA 그래프를 도 3 및 5에 각각 도시하였다. 도 3에서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텅스텐 화합물은 224 ℃ 부근에서 질량 감소가 일어나기 시작했으며 265 ℃에서 약 60%의 질량 감소가 관찰되었고, 366 ℃에서 5%의 질량 감소를 보였다. 최종적으로는 약 65%의 질량 감소를 보였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실시예 2에서 수득된 텅스텐 화합물은 194 ℃ 부근에서 질량 감소가 일어나기 시작했으며 264 ℃에서 약 50%의 질량 감소가 관찰되었고, 360 ℃에서 8%의 질량 감소를 보였다. 최종적으로는 약 60%의 질량감소를 보였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텅스텐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12037108040-pat00010

    (상기 식에서, R1은 C1-C4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이고,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또는 C1-C10의 플루오르화 알킬기이며,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3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1은 t-부틸이고, R2,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CH3, CF3, C2H5, CH(CH3)2 및C(CH3)3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R4,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CH3, C2H5, CH(CH3)2 및 C(CH3)3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스텐 화합물.
  3.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청구항 1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텅스텐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112012037108040-pat00011

    (상기 식에서, R1은 C1-C4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고, L은 아민 또는 포스핀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2037108040-pat00012

    (상기 식에서, M은 Li, Na 또는 K이며,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또는 C1-C10의 플루오르화 알킬기이며,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3이다.)
  4. 청구항 1의 텅스텐 화합물을 이용하여 텅스텐을 포함하는 박막을 성장시키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박막 성장 공정이 화학기상증착법(CVD) 또는 원자층증착법(ALD)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0049225A 2012-05-09 2012-05-09 신규의 텅스텐 아미노알콕사이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KR101306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225A KR101306810B1 (ko) 2012-05-09 2012-05-09 신규의 텅스텐 아미노알콕사이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225A KR101306810B1 (ko) 2012-05-09 2012-05-09 신규의 텅스텐 아미노알콕사이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810B1 true KR101306810B1 (ko) 2013-09-10

Family

ID=49455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225A KR101306810B1 (ko) 2012-05-09 2012-05-09 신규의 텅스텐 아미노알콕사이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8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1118B2 (en) 2016-10-07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ometallic precursors, methods of forming a layer us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he same
KR20230042878A (ko) * 2021-09-23 2023-03-30 엠케미칼 주식회사 몰리브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30076621A (ko) * 2021-11-24 2023-05-31 한국화학연구원 신규한 몰리브데넘 또는 텅스텐 유기금속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 Organometal. Chem., 2008, vol.22, pp.676-683 *
Chem. Mater. 2003, vol.15, pp.2454-2462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1118B2 (en) 2016-10-07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ometallic precursors, methods of forming a layer us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he same
US11062940B2 (en) 2016-10-07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ometallic precursors, methods of forming a layer us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he same
KR20230042878A (ko) * 2021-09-23 2023-03-30 엠케미칼 주식회사 몰리브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641819B1 (ko) 2021-09-23 2024-02-29 엠케미칼 주식회사 몰리브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30076621A (ko) * 2021-11-24 2023-05-31 한국화학연구원 신규한 몰리브데넘 또는 텅스텐 유기금속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
KR102650935B1 (ko) 2021-11-24 2024-03-26 한국화학연구원 신규한 몰리브데넘 또는 텅스텐 유기금속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7814B2 (en) Metal complexes of polydentate beta-ketoiminates
JP5180040B2 (ja) 三座ベータケトイミネートの金属錯体
JP2007302656A5 (ko)
KR20120086277A (ko) 금속 함유 막의 증착을 위한 금속 착물
KR101306810B1 (ko) 신규의 텅스텐 아미노알콕사이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KR101306811B1 (ko) 신규의 텅스텐 아미노아미드 할로겐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KR100807947B1 (ko) 비대칭형 β-케토이미네이트 리간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1742391B1 (ko) 인듐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KR101485522B1 (ko) 아미노싸이올레이트를 이용한 몰리브데넘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KR101629696B1 (ko) 신규한 인듐 전구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막
JP5529591B2 (ja) 多座β−ケトイミネートの金属錯体の調製方法
KR101306812B1 (ko) 신규의 텅스텐 실릴아미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KR101306813B1 (ko) 신규의 텅스텐 아미노아미드 아지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KR100634814B1 (ko) 새로운 티타늄 산화물 선구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JP2013173716A (ja) コバルト化合物の混合物、及び当該コバルト化合物の混合物を用いたコバルト含有薄膜の製造方法
KR102652975B1 (ko) 신규한 유기 인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의 제조방법
KR101973700B1 (ko) 망간 아미노아미드 아미드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KR101636490B1 (ko) 란탄족 금속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KR101572086B1 (ko) 4족 전이금속 전구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KR20230111911A (ko) 신규한 몰리브데넘 유기금속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
KR101503031B1 (ko) 아미노싸이올레이트를 이용한 납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TW202033533A (zh) 金屬有機化合物
JP2010229112A (ja) β−ジケトナト基を配位子として有するコバルト錯体及びそれを用いてコバルト含有薄膜を製造する方法
KR20100129608A (ko) 실리콘-실리콘 결합을 갖는 신규의 실리콘 아미노알콕사이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1131745A (ja) 銅薄膜形成用有機銅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