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226B1 - 다용도 살수차 - Google Patents

다용도 살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226B1
KR101302226B1 KR1020120143126A KR20120143126A KR101302226B1 KR 101302226 B1 KR101302226 B1 KR 101302226B1 KR 1020120143126 A KR1020120143126 A KR 1020120143126A KR 20120143126 A KR20120143126 A KR 20120143126A KR 101302226 B1 KR101302226 B1 KR 101302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fence
sprinkler
auxiliary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훈
한해수
Original Assignee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3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2Mobile apparatus, e.g. watering-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살수차에 관한 것으로, 적재함에 적재된 물탱크에 구비되어 도로 세척이나 소방(消防)을 위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방수포, 이 적재함에 구비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는 청소작업대, 및 작업자가 고소(高所) 작업 가능하도록 청소작업대를 승하강 이송 안내하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기존 살수차를 개조하여 터널 내부 청소 등 고소(高所) 작업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소 작업을 위한 별도의 차량이나 장비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살수차 차체의 차고(車高)가 높아 안정적으로 고소 작업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살수차{MULTI-PURPOSE SPRINKLER TRUCK}
본 발명은 다용도 살수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살수차를 개조하여 터널 내부 청소 등 고소(高所) 작업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소 작업을 위한 별도의 차량이나 장비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살수차 차체의 차고(車高)가 높아 안정적으로 고소 작업을 할 수 있는 다용도 살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청소는 수작업 또는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의 발끝에 단순 노출형 브러쉬를 달아 사용하는 정도와 그리고, 차도용 청소차와 인력에 의한 청소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청소시간의 장시간 소요로 인한 교통의 정체현상, 많은 작업인원의 투입으로 인한 비용 및 안전사고 위험의 증가, 2차 오염물질의 무단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터널내의 청소를 터널의 형태에 따라 그 형상이 가변되는 브러쉬를 갖는 청소기에 의하여 수행하므로 신속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교통정체가 해소되며 청소시간이 단축되므로 청소비용이 절감되며 청소로 인한 폐수가 수거되고 정화처리되므로 2차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환경 보존에도 적합하고 교통정체가 해소되어 물류비용절감이 가능한 터널청소용 특장차가 제공된 바 있다.
터널청소용 특장차에 대해서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03-0082276호(발명의 명칭: 터널청소용 특장차)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 터널청소용 특장차는 터널의 상측 부위에서 다소 먼 위치에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청소하는 바, 세척수의 분사 압력 약화로 인해 세척력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터널청소용 특장차는 작업자가 높은 곳으로 고개를 들어 향한 채 청소 작업을 해야 함에 따라 목 디스크 등 작업자의 건강이 해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터널청소용 특장차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터널 내측면을 세척하는 기능 외에 다른 용도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살수차를 개조하여 터널 내부 청소 등 고소(高所) 작업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소 작업을 위한 별도의 차량이나 장비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별도의 장비 구매를 위한 제반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다용도 살수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살수차 차체의 차고(車高)가 높아 터널 상측까지 조금만 상승된 상태로 터널 청소 작업을 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고소 작업을 하고자 하는 다용도 살수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작업대에 보조작업대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여 터널 벽면에 최대한 근접된 상태로 작업자가 청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낙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다용도 살수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수차는: 적재함에 적재된 물탱크에 구비되어 도로 세척이나 소방(消防)을 위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방수포, 상기 적재함에 구비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는 청소작업대, 및 작업자가 고소(高所) 작업 가능하도록 상기 청소작업대를 승하강 이송 안내하는 승하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함은 보조발전기를 적재하고,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보조발전기 상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탱크에는 상기 청소작업대에 근접되게 회전릴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릴에는 세척수 분사 가능한 세척수호스가 권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적재함 상측에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하부가이드레일, 상기 청소작업대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부가이드레일, 상기 하부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하부구름롤러를 구비하고 상측을 상기 청소작업대의 타측 하부에 힌지 연결한 제 1지지대, 상기 프레임의 내부 타측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 1지지대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상부구름롤러를 구비한 제 2지지대, 및 상기 제 1지지대의 하측에 힌지 연결되어 지지된 채 전후진되며 상기 제 2지지대의 상측을 세우거나 눕히는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작업대는 보조작업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작업대는 상기 청소작업대에 지지되는 실린더부재에 의해 자동 전후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작업대는 양측 가장자리에 걸림노브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작업대는 상기 걸림노브를 걸어 고정하기 위해 걸고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소작업대는 가장자리에 메인펜스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작업대는 가장자리에 서브펜스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펜스는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출입되는 메인연장펜스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펜스는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출입되는 서브연장펜스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펜스는 슬라이드 전진 이송된 상기 보조작업대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서브펜스에 연결되는 안전와이어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소작업대는 평면상 다각형의 폐루프를 형성하는 고정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펜스는 상기 고정링크에 대해 접혀지거나 세워지도록 링크 연결되며, 상기 메인펜스는 구속부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속부는, 세워진 메인펜스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하부방향으로 개방되며 상측 둘레면에 구속턱을 갖는 구속홈을 형성하는 제 1구속부재, 상기 제 1구속부재에 대응되도록 상기 청소작업대에 구비되며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 2구속부재, 및 상기 제 1구속부재와 상기 제 2구속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구속홈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구속턱에 걸림 여부에 의해 상기 제 2구속부재에 구속 여부 결정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구속로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수차는 종래 기술과 달리 기존 살수차를 개조하여 터널 내부 청소 등 고소(高所) 작업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소 작업을 위한 별도의 차량이나 장비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별도의 장비 구매를 위한 제반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살수차 차체의 차고(車高)가 높아 터널 상측까지 조금만 상승된 상태로 터널 청소 작업을 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고소 작업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작업대에 보조작업대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여 터널 벽면에 최대한 근접된 상태로 작업자가 청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살수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살수차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살수차의 청소작업대의 승하강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작업대의 승하강부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살수차의 청소작업대에서 보조작업대를 전진시킨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살수차의 청소작업대에서 보조작업대를 전진시킨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작업대를 청소작업대에 구속시키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작업대를 전후진 작동시키는 실린더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청소작업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작업대를 전후진 작동시키는 실린더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청소작업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작업대의 안전용 펜스를 접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작업대의 안전용 펜스를 세워 고정시키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수차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살수차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살수차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살수차의 청소작업대의 승하강부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작업대의 승하강부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살수차의 청소작업대에서 보조작업대를 전진시킨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살수차의 청소작업대에서 보조작업대를 전진시킨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작업대를 청소작업대에 구속시키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작업대를 전후진 작동시키는 실린더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청소작업대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작업대를 전후진 작동시키는 실린더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청소작업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작업대의 안전용 펜스를 접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작업대의 안전용 펜스를 세워 고정시키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살수차(10)는 방수포(40), 청소작업대(100), 및 승하강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방수포(40)는 살수차(10)에 구비되어 도로 세척이나 소방(消防) 등의 목적으로 세척수를 살수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살수차(10)는 적재함(20)을 구비하고, 적재함(20)은 물탱크(30)를 적재하게 된다. 물탱크(30)는 세척수를 담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적재함(20)은 청소작업대(100)를 구비한다. 청소작업대(100)는 도로 가장자리의 가도등 청소나 교체, 터널 내부 청소, 터널등 청소나 교체, 또는 이정표의 청소나 교체 등을 위해 작업자가 올라탈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가로등 청소나 교체, 터널 내부 청소, 터널등 청소나 교체, 또는 이정표의 청소나 교체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고소(高所) 작업을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청소작업대(100)는 적재함(20)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자가 고소 작업 가능하도록 청소작업대(100)를 승하강 이송 안내하는 승하강부(200)가 구비된다.
아울러, 물탱크(30)의 물은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펌핑되어 방수포(40)로 분출된다. 그래서, 살수차(10)에 장착된 각종 특수 장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적재함(20)은 보조발전기(50)를 구비한다.
편의상, 적재함(20)은 보조발전기(50)와 물탱크(30)를 이웃하게 배치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작업자가 고소 작업을 위해, 청소작업대(100)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하강부(200)는 적재함(20) 상측에 설치될 수 있으나, 비교적 높은 보조발전기(50)의 상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재함(20)에서 보다 보조발전기(50)에서 규격화된 터널 내부 상측까지 청소작업대(100)의 상승 거리를 줄일 수 있어, 승하강부(200)와 청소작업대(100)의 휘청거림 등 불안한 작업 상태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터널 내부 상측의 물청소 또는 이정표나 터널등의 세척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작업위치에 최대한 근접된 상태로 세척수를 분사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세척수가 최대한 세척 대상물에 세게 타격하도록 함이다.
이에 따라, 물탱크(30)에는 청소작업대(100)에 근접되게 회전릴(120)을 구비하고, 회전릴(120)에는 세척수 분사 가능한 세척수호스(130)가 권취된다.
즉, 작업자가 세척수호스(130)를 들고 청소작업대(100)에 올라 탄 후, 청소작업대(100)가 승하강부(200)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세척수호스(130)는 회전릴(120)로부터 풀리게 된다. 그래서, 작업자는 고소에 위치한 세척 대상물에 근접된 상태로 세척 대상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회전릴(120)은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세척수호스(130)를 감게 된다.
특히, 도 3 및 도 4에서처럼, 승하강부(200)는 프레임(210), 하부가이드레일(220), 상부가이드레일(230), 제 1지지대(240), 제 2지지대(250), 및 작동부재(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210)은 적재함(20) 상측에 구비된다. 더욱이, 프레임(210)은 보조발전기(50) 상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프레임(210)은 하부가이드레일(220), 상부가이드레일(230), 제 1지지대(240), 제 2지지대(250), 및 작동부재(2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프레임(210)은 보조발전기(50) 상측면에 용접이나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며, 평면상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하부가이드레일(220)은 프레임(210)의 일측 내면에 구비되고, 상부가이드레일(230)은 청소작업대(100)의 하부 일측 내면에 구비된다.
이때, 프레임(210)은 적재함(20)의 축 방향으로 나란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나뉜다. 그리고, 청소작업대(100)는 프레임(210)의 일측 상부로 대향하는 부위를 일측이라 하고, 프레임(210)의 타측 상부로 대향하는 부위를 타측이라 한다.
하부가이드레일(220)은 프레임(210)의 일측 내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프레임(21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가이드레일(230)은 청소작업대(100)의 하부 일측 내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청소작업대(10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물론, 하부가이드레일(220)은 프레임(210)의 대응되는 테두리 내측면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 있고, 상부가이드레일(230)은 청소작업대(100)의 대응되는 테두리나 하면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지지대(240)는 일측에 하부구름롤러(242)를 구비하고, 타측을 청소작업대(100)의 타측 하부에 힌지 연결한다. 하부구름롤러(242)는 하부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제 2지지대(250)는 일측에 상부구름롤러(252)를 구비하고, 타측을 프레임(210)에 힌지 연결한다. 상부구름롤러(252)는 상부가이드레일(230)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 1지지대(240)와 제 2지지대(250)는 축 방향을 따라 중앙 부위끼리 힌지 연결된다. 즉, 제 1지지대(240)와 제 2지지대(250)는 'X'자 형상으로 배열된다.
특히, 제 1지지대(240)와 제 2지지대(250)는 프레임(210)의 전측(前側)에 대해 청소작업대(100)의 전측을 지지하도록 하나씩 구비되고, 프레임(210)의 후측(後側)에 대해 청소작업대(100)의 후측을 지지하도록 하나씩 구비된다.
그리고, 작동부재(260)는 일측이 제 1지지대(240)의 하측(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제 2지지대(250)의 상측(일측)에 힌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작동부재(260)가 전진시, 제 1지지대(240)와 제 2지지대(250)는 힌지 부위를 기준으로 각도가 벌어지게 됨으로써 세워지게 된다. 그래서, 청소작업대(100)는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작동부재(260)가 후진시, 제 1지지대(240)와 제 2지지대(250)는 힌지 부위를 기준으로 각도가 좁혀지게 됨으로써 눕혀지게 된다. 그래서, 청소작업대(100)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 1지지대(240)와 제 2지지대(250)는 한 쌍씩 구비되기 때문에, 제 1지지대(240)끼리의 일측은 연결되고, 제 2지지대(250)끼리의 일측은 연결된다. 그리고, 작동부재(260)는 제 1지지대(240)끼리의 연결부위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제 2지지대(250)끼리의 연결부위에 타측이 힌지 연결된다.
작동부재(26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전후진되는 실린더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살수차(10)의 차폭 방향에 대응되는 청소작업대(100)의 가로너비가 보조발전기(50)의 가로너비보다 좁기 때문에, 청소작업대(100)와 터널 벽면 사이가 통상적인 작업자의 팔길이보다 더 유격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팔을 뻗더라도 터널 벽면 청소를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도 2, 도 5 및 도 6에서처럼, 청소작업대(100)는 터널 벽면이나 도로 가장자리로 근접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보조작업대(30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때, 보조작업대(300)는 청소작업대(100)에 함몰된 채 슬라이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작업대(300)는 상측면이 청소작업대(100)의 상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조작업대(300)가 사용되지 않은 상태로 후진된 상태에서 청소작업대(100)에서 청소 작업을 하는 작업자에게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청소작업대(100)는 슬라이드홈(110)을 함몰 형성한다. 그리고, 보조작업대(300)의 양측 테두리에는 이송롤러(302)가 구비된다. 이송롤러(302)는 마주하는 슬라이드홈(110)의 내측면 내부에 삽입된 채 구름 회전된다. 즉, 이송롤러(302)가 청소작업대(100)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보조작업대(300)는 청소작업대(100)에서 전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조작업대(300)는 청소작업대(100)에 후진된 초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되어야 한다. 이는, 살수차(10)의 주행 중 임의적으로 보조작업대(300)가 전진시 가로등이나 이정표에 부딪힐 수 있기 때문이다.
예로서, 도 7에서처럼, 보조작업대(300)는 양측 가장자리에 걸림노브(310)를 구비하고, 청소작업대(100)는 걸림노브(310)를 걸어 고정하기 위해 걸고리(320)를 구비한다.
더욱 상세히, 청소작업대(100)는 보조작업대(300)의 전후진 방향을 기준으로 슬라이드홈(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브라켓(322)을 구비한다. 브라켓(322)에는 힌지핀(324)이 돌출된다. 걸고리(320)는 힌지핀(324)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아울러, 걸고리(320)는 탄성부재(326)에 탄성 지지되어 걸림노브(310)를 탄성적으로 걸게 된다. 즉, 탄성부재(326)의 일측은 브라켓(322)에 연결되고, 타측은 걸고리(320)에 연결된다. 여기서, 탄성부재(326)는 토션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걸고리(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청소작업대(100)는 작업자가 올라 탄 상태로 높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낙상할 위험이 있다.
그래서, 청소작업대(100)는 가장자리에 메인펜스(410)를 구비하고, 보조작업대(300)는 가장자리에 서브펜스(43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메인펜스(410)와 서브펜스(4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메인펜스(410)와 서브펜스(430)는 규정상 높이가 제한된다. 이 경우, 키가 큰 작업자가 고소 작업을 할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메인펜스(410)와 서브펜스(430)로 인해 낙상의 위험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메인펜스(410)는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출입되는 메인연장펜스(420)를 구비하고, 서브펜스(430)는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출입되는 서브연장펜스(44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메인연장펜스(420)가 메인펜스(41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인출된 후 고정되어야 한다. 그래서, 메인스토퍼(432)가 구비된다. 메인스토퍼(432)는 메인펜스(410)에 삽입된 후 메인연장펜스(420)에 삽입되거나 둘레면을 가압함으로써 메인연장펜스(4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서브연장펜스(440)가 서브펜스(43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인출된 후 고정되어야 한다. 그래서, 서브스토퍼(442)가 구비된다. 서브스토퍼(442)는 서브펜스(430)에 삽입된 후 서브연장펜스(440)에 삽입되거나 둘레면을 가압함으로써 서브연장펜스(44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메인스토퍼(432)와 서브스토퍼(442)가 대응되는 메인연장펜스(420)와 서브연장펜스(440)를 구속하는 외력을 제거시, 메인연장펜스(420)는 메인펜스(410) 내부로 삽입되고, 서브연장펜스(440)는 서브펜스(430) 내부로 삽입된다.
메인스토퍼(432)와 서브스토퍼(442)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보조작업대(300)가 청소작업대(100)로부터 슬라이드 전진하게 되면, 이송롤러(302)가 청소작업대(100)에 구속되어 있을지라도, 보조작업대(300)는 하부 방향으로 회전 모멘트를 받아 낙하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보조작업대(300)는 안전와이어부재(450)에 의해 청소작업대(100)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작용 받는 회전 모멘트를 견딜 수 있게 된다.
즉, 메인펜스(410)는 슬라이드 전진 이송된 보조작업대(300)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서브펜스(430)에 연결되는 안전와이어부재(450)를 구비한다. 안전와이어부재(450)는 메인펜스(410)와 서브펜스(430)를 연결하거나, 청소작업대(100)와 보조작업대(300)를 연결하거나, 청소작업대(100)와 서브펜스(430)를 연결하거나, 또는 메인펜스(410)와 보조작업대(300)를 연결한다.
편의상, 안전와이어부재(450)는 메인펜스(410)와 서브펜스(430)를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래서, 보조작업대(300)가 청소작업대(100)에 대해 완전히 전진시, 안전와이어부재(450)는 메인펜스(410)에 연결된 채 서브펜스(430)를 당기게 된다. 여기서, 안전와이어부재(450)는 체인이나 로프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보조작업대(300)는 인력(人力)에 의해 전후진될 수 있으나, 자동 전후진 작동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도 8 및 도 9에서처럼, 보조작업대(300)는 청소작업대(100)에 지지되는 실린더부재(500)에 의해 자동 전후진된다.
실린더부재(500)가 전진시, 이송롤러(302)가 슬라이드홈(11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보조작업대(300)는 청소작업대(100)로부터 인출된다.
그리고, 실린더부재(500)가 후진시, 이송롤러(302)가 슬라이드홈(11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보조작업대(300)는 청소작업대(100)로 삽입된다.
여기서, 실린더부재(500)는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전후진되는 실린더로 한다. 그리고, 실린더부재(500)가 전후진 작동하면서 회동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청소작업대(100)의 슬라이드홈(110) 바닥은 함몰 형성된다.
한편, 살수차(10)가 주행 중, 메인펜스(410)와 서브펜스(430)가 가로등이나 터널등 등에 걸릴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메인펜스(410)와 서브펜스(430)가 접히거나 뉘여질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도 10 및 도 11에서처럼, 청소작업대(100)는 평면상 다각형의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하는 고정링크(610)를 구비한다. 고정링크(610)는, 편의상, 4각 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리고, 고정링크(610)는 청소작업대(100)의 상측면에 용접이나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메인펜스(410)는 고정링크(610)에 대해 접혀지거나 세워지도록 링크 연결된다.
메인펜스(410)는 고정링크(610) 각 꼭지점 부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링크(412), 및 각 종링크(412)를 서로 연결하면서 종링크(412)와의 연결부위가 회동 가능하게 되는 횡링크(414)로 이루어진다. 즉, 메인펜스(410)는 4절링크이다.
아울러, 메인펜스(410)는 구속부(620)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는, 청소작업대(100)에 올라 서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낙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속부(620)는, 제 1구속부재(622), 제 2구속부재(624), 및 구속로드(6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구속부재(622)는 어느 하나의 세워진 메인펜스(410), 즉 어느 하나의 종링크(412) 둘레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관 형상이다. 이때, 제 1구속부재(622)는 용접이나 볼팅 등에 의해 어느 하나의 종링크(412)에 축 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된다.
아울러, 제 1구속부재(622)는 상측 둘레면에 구속홈(621)을 형성하고, 구속홈(621)은 구속턱(623)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2구속부재(624)는 어느 하나의 종링크(412)가 세워진 상태에서 제 1구속부재(622)와 축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열되도록 청소작업대(100)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제 2구속부재(624)는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관 형상이다. 물론, 제 2구속부재(624)는 다양한 방식으로 청소작업대(100) 둘레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구속로드(626)는 제 1구속부재(622)와 제 2구속부재(624)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 1구속부재(622)가 제 2구속부재(624)에 대해 기울어질 수 없기 때문에, 메인펜스(410)는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구속로드(626)가 제 2구속부재(624)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탈시, 제 1구속부재(622)가 제 2구속부재(624)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에, 메인펜스(410)는 누워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구속로드(626)는 둘레면에 손잡이(627)를 구비한다. 손잡이(627)는 제 1구속부재(622)의 구속홈(621) 바닥면에 걸림으로써, 구속로드(626)는 제 2구속부재(624)의 내부에 설정 깊이만큼 삽입된다.
그리고, 손잡이(627)가 구속홈(621)을 따라 상승 후 구속턱(623)에 걸림으로써, 구속로드(626)는 제 2구속부재(624)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탈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브펜스(430)도 메인펜스(410)와 동일하게 4절 링크 구조로 이루어져 세워지거나 누워질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살수차 20: 적재함
30: 물탱크 40: 방수포
50: 보조발전기 100: 청소작업대
110: 슬라이드홈 120: 회전릴
130: 세척수호스 200: 승하강부
210: 프레임 220: 하부가이드레일
230: 상부가이드레일 240,250: 제 1,2지지대
260: 작동부재 300: 보조작업대
310: 걸림노브 320: 걸고리
410: 메인펜스 420: 메인연장펜스
430: 서브펜스 440: 서브연장펜스
450: 안전와이어부재 500: 실린더부재
610: 고정링크 620: 구속부
622,624: 제 1,2구속부재 626: 구속로드

Claims (12)

  1. 적재함에 적재된 물탱크에 구비되어, 도로 세척이나 소방(消防)을 위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방수포;
    상기 적재함에 구비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는 청소작업대; 및
    작업자가 고소(高所) 작업 가능하도록 상기 청소작업대를 승하강 이송 안내하는 승하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작업대는 보조작업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하며, 가장자리에 메인펜스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작업대는 가장자리에 서브펜스를 구비하며,
    상기 청소작업대는 평면상 다각형의 폐루프를 형성하는 고정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펜스는 상기 고정링크에 대해 접혀지거나 세워지도록 링크 연결되며, 구속부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수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은 보조발전기를 적재하고;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보조발전기 상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수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에는 상기 청소작업대에 근접되게 회전릴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릴에는 세척수 분사 가능한 세척수호스가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수차.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적재함 상측에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하부가이드레일;
    상기 청소작업대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부가이드레일;
    상기 하부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하부구름롤러를 구비하고, 상측을 상기 청소작업대의 타측 하부에 힌지 연결한 제 1지지대;
    상기 프레임의 내부 타측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 1지지대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상부구름롤러를 구비한 제 2지지대; 및
    상기 제 1지지대의 하측에 힌지 연결되어 지지된 채, 전후진되며 상기 제 2지지대의 상측을 세우거나 눕히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수차.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작업대는 상기 청소작업대에 지지되는 실린더부재에 의해 자동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수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작업대는 양측 가장자리에 걸림노브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작업대는 상기 걸림노브를 걸어 고정하기 위해 걸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수차.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펜스는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출입되는 메인연장펜스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펜스는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출입되는 서브연장펜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수차.
  10.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펜스는 슬라이드 전진 이송된 상기 보조작업대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서브펜스에 연결되는 안전와이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수차.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세워진 메인펜스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측 둘레면에 구속턱을 갖는 구속홈을 형성하는 제 1구속부재;
    상기 제 1구속부재에 대응되도록 상기 청소작업대에 구비되며,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 2구속부재; 및
    상기 제 1구속부재와 상기 제 2구속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구속홈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구속턱에 걸림 여부에 의해 상기 제 2구속부재에 구속 여부가 결정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구속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수차.
KR1020120143126A 2012-12-10 2012-12-10 다용도 살수차 KR101302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26A KR101302226B1 (ko) 2012-12-10 2012-12-10 다용도 살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26A KR101302226B1 (ko) 2012-12-10 2012-12-10 다용도 살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226B1 true KR101302226B1 (ko) 2013-09-02

Family

ID=4945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126A KR101302226B1 (ko) 2012-12-10 2012-12-10 다용도 살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2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388A (ko) 2019-01-17 2020-07-27 박시윤 엔진 탑재형 이동식 분사 및 세척 장치
WO2021092157A1 (en) * 2019-11-07 2021-05-14 Oshkosh Corporation Foldable rail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298A (ja) 2001-05-30 2002-12-10 Chubu Engineering:Kk 作業用架台および作業用軌陸ダンプカー
JP2007138703A (ja) 2007-02-01 2007-06-07 Tekunamu:Kk トンネル等の高速走行洗浄方法とトンネル等の高速走行洗浄装置
JP2009235901A (ja) * 2009-07-21 2009-10-15 Mitsubishi Heavy Ind Ltd 壁面清掃車
KR20110004947A (ko) * 2009-07-09 2011-01-17 (주)한성티앤아이 과수원용 고소 작업차의 적재함 작업대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298A (ja) 2001-05-30 2002-12-10 Chubu Engineering:Kk 作業用架台および作業用軌陸ダンプカー
JP2007138703A (ja) 2007-02-01 2007-06-07 Tekunamu:Kk トンネル等の高速走行洗浄方法とトンネル等の高速走行洗浄装置
KR20110004947A (ko) * 2009-07-09 2011-01-17 (주)한성티앤아이 과수원용 고소 작업차의 적재함 작업대 안전장치
JP2009235901A (ja) * 2009-07-21 2009-10-15 Mitsubishi Heavy Ind Ltd 壁面清掃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388A (ko) 2019-01-17 2020-07-27 박시윤 엔진 탑재형 이동식 분사 및 세척 장치
WO2021092157A1 (en) * 2019-11-07 2021-05-14 Oshkosh Corporation Foldable rail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5176B2 (en) Elevated working platform and related methods
CN109072670B (zh) 架高工作平台及相关方法
US9265979B2 (en) Firefighting or rescue apparatus including side access ladder
CA2440788C (en) Motorized scaffold with displaceable worker support platform
CN202641535U (zh) 一种车用抽拉式爬梯
US20020125662A1 (en) Combination lifting, platform, handtruck, scaffold, floorjack and mechanic cleeper
TWI508907B (zh) 物品保管設備
KR101615107B1 (ko) 탑승함 구조
CN103097192B (zh) 与载重车辆的至少一个承载平面毗邻的可折叠侧面扩展件
CN103183297B (zh) 一种移动救援电梯及救援车
KR101302226B1 (ko) 다용도 살수차
KR20090018244A (ko) 과수용 리프트 트레일러
CN211900435U (zh) 一种可折叠式梯子
KR200478605Y1 (ko) 접이식 작업대
JP6709089B2 (ja) 迅速組立足場
KR101374540B1 (ko) 고가 사다리차
CN108341172A (zh) 汽车运输架
CN106284164A (zh) 一种多功能型路面清扫车
CN213039199U (zh) 一种移动式防坠落爬梯
JP6321606B2 (ja) 荷台用幌張枠装置
JP3968362B2 (ja) トンネル補修作業車
KR100933921B1 (ko) 탈착 가능한 유압식 적재함을 갖는 다목적 트레일러
EP1243465A2 (de) Absturzsicherung für begehbare Pritschen
CN220182149U (zh) 一种站台小高箱篷布整理移动平台
NL1029192C2 (nl) Mobiele werkpla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