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898B1 - 탐폰 - Google Patents

탐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898B1
KR101300898B1 KR1020097027634A KR20097027634A KR101300898B1 KR 101300898 B1 KR101300898 B1 KR 101300898B1 KR 1020097027634 A KR1020097027634 A KR 1020097027634A KR 20097027634 A KR20097027634 A KR 20097027634A KR 101300898 B1 KR101300898 B1 KR 10130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sheet member
string
tamp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2867A (ko
Inventor
히토시 와타나베
히데키 곤도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2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51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the inner absorbing core
    • A61F13/2062Tampons made from folded lengths of material, e.g. of st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34Means for withdrawing tampons, e.g. withdrawal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51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the inner absorbing core
    • A61F13/206Tampons made of rolled-up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51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the inner absorbing core
    • A61F13/2065Tampons folded from sheet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82Apparatu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 A61F13/2085Catamenial tamp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4/00Surgery
    • Y10S604/904Tamp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끈형 부재가 원통형의 흡수체에서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흡수체에 결합된 탐폰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탐폰은, 시트 부재가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흡수체(2)와, 흡수체(2)에 결합되며 상기 흡수체(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끈형 부재(4)를 구비한다. 그리고 끈형 부재(4)는, 흡수체(2)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에서의 한쪽 면에 제1 방향을 따르도록 결합되는 제1 끈부와, 시트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제2 끈부를 갖는다. 제1 끈부의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의 한쪽에는, 제1 폴딩부가 형성되고, 제2 방향에서의 다른쪽에는 제2 폴딩부가 형성된다. 흡수체(2)는, 이에 따라 제1 폴딩부와 제2 폴딩부를 폴딩 기점으로 하여 절곡되도록 변형되어, 제1 끈부가 노출되지 않는 원통형으로 성형된다.

Description

탐폰{TAMPON}
본 발명은 질 내에 삽입하여 경혈을 흡수하는 탐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생리용 탐폰으로서 평탄형의 흡수체를 압축하여 원통형으로 성형된 탐폰이 개발되어 있다. 이 원통형의 흡수체는, 질 내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되고, 그 사용 후에는 질 외로 추출된다. 이 때문에, 원통형의 흡수체에는, 사용 후 추출할 수 있도록 끈형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탐폰에는, 탐폰을 질 내에 삽입하기 위한 원통형의 어플리케이터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탐폰은, 여성의 질 내에 쾌적하게 삽입하기 위해, 형성할 수 있는 흡수체의 치수나 면적이 한정되어 있다. 이 한정된 조건 속에서, 흡수체의 흡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노력이 행해지고 있다.
예컨대, 흡수체의 흡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수체의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한 원통형의 탐폰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흡수체의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혈이 흡수체의 표면으로부터뿐만 아니라, 오목부를 타고 흡수체 내부에서도 흡수된다.
그러나, 이러한 탐폰에서는, 흡수체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공정에서, 흡수체가 원통형으로 변형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 이 때문에, 원통형 이기는 하지만, 흡수체의 절곡 형상이 통일되어 있지 않은 여러가지 성형품이 제조되고 있었다.
흡수체의 절곡 형상에 변동이 있으면, 흡수체에 마련된 추출용의 끈형 부재가 흡수체의 절곡에 의해 여러가지 위치에 배치된다. 예컨대, 끈형 부재가 원통형으로 성형된 원통형의 흡수체에서의 중심(단면에서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흡수체를 추출하기 위해 끈형 부재를 당기는 힘이 흡수체의 중심(단면에서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편향된 위치에 전해진다. 이 결과, 흡수체가 방출될 때에 질 내에서 기울어져,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끈형 부재가 원통형의 흡수체에서의 표면에 노출되여 배치되는 경우, 경혈 등의 액체가 끈형 부재를 타고 누설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원통형의 흡수체가 수지제의 어플리케이터에 수용되어 있는 제품이 있다. 이 어플리케이터의 선단에는, 원통형의 흡수체를 질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원통형의 흡수체에 의해 변형되어 개구를 형성하는 라운드 팁(花弁)이라고 불리는 부분이 방사형의 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탐폰의 끈형 부재가, 원통형의 흡수체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흡수체가 어플리케이터로부터 압출될 때에, 어플리케이터의 라운드 팁이 끈형 부재에 접촉하여 방출력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8964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성형된 흡수체와 흡수체에 결합되는 끈형 부재를 갖는 탐폰으로서, 끈형 부재가 원통형의 흡수체에서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결합된 탐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시트 부재가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에 결합되며 상기 흡수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끈형 부재를 구비하는 탐폰으로서, 상기 끈형 부재가, 상기 흡수체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에서의 한쪽 면에 제1 방향을 따르도록 결합되는 제1 끈부와, 상기 시트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제2 끈부를 갖는 탐폰에, 상기 제1 끈부를 사이에 두고 한쪽과 다른쪽에 제1 폴딩부와 제2 폴딩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 끈부가 노출되지 않는 원통형의 탐폰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시트 부재가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에 결합되며 상기 흡수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끈형 부재를 구비하는 탐폰으로서, 상기 끈형 부재는, 상기 흡수체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에서의 한쪽 면에 제1 방향을 따르도록 결합되는 제1 끈부와, 상기 시트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제2 끈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끈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의 한쪽에는, 제1 폴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방향에서의 다른쪽에는 제2 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제1 폴딩부와 제2 폴딩부를 폴딩 기점으로 하여 절곡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제1 끈부가 노출되지 않는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탐폰.
(2) 상기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폴딩부 각각과 인접하는 영역보다도 상기 시트 부재에서의 두께가 얇고, 또한, 상기 시트 부재에서의 한쪽 또는 양쪽 면에 상기 시트 부재에서의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를 갖는 (1)에 기재된 탐폰.
(3)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시트 부재에서의 상기 한쪽 면에 형성되는 (2)에 기재된 탐폰.
(4)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한쪽 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한쪽 면과 반대의 다른쪽 면에 마련되는 (2)에 기재된 탐폰.
(5) 상기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끈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0.25 이하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탐폰.
(6)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제1 폴딩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제1 폴딩부에 가까운 외연까지의 제1 영역과, 상기 제2 폴딩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제2 폴딩부에 가까운 외연까지의 제2 영역을 가지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 각각을 기점으로 하여 절곡되도록 변형되며,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어느 한쪽이 상기 제1 끈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탐폰.
(7) 상기 시트 부재는, 원통형에서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에서 본 단면에서, W자형으로 형성되는 (3)에 기재된 탐폰.
(8) 상기 시트 부재는, 원통형에서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에서 본 단면에서, N자형으로 형성되는 (4)에 기재된 탐폰.
(9) 원통형의 탐폰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의 한쪽 면에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끈형 부재를 재봉하는 공정과,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끈형 부재에서의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양측이며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한쪽 면 및 상기 한쪽 면과 반대의 다른쪽 면 중 어느 한쪽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시트 부재에서의 상기 제2 방향의 양외연측으로부터 오목형의 곡면을 갖는 형틀(型)을 서로 근접시킴으로써 상기 시트 부재를 상기 오목부를 기점으로 하여 절곡되도록 변형시키는 공정과, 상기 변형된 시트 부재에서의 상기 오목부로부터 외연까지의 영역을, 상기 형틀의 곡면을 따르도록 변형시키며 상기 끈형 부재에서의 상기 시트 부재에 재봉된 부분을 덮도록 변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원통형의 탐폰을 제조하는 방법.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으로 성형된 흡수체와 흡수체에 결합되는 끈형 부재를 갖는 탐폰으로서, 끈형 부재가 원통형의 흡수체에서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결합된 탐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질 내로부터 추출할 때에, 사용자가 느끼는 위화감이 적은 탐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형상의 변동이 적으며 안정된 품질의 탐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탐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흡수체의 C-C'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를 폴딩 형태 형성기에 배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를 폴딩 형태 형성기로 폴딩 형태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를 프레스기에 배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를 프레스기로 압축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를 더욱 압축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를 폴딩 형태 형성기에 배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에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를 형성한 후의 시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를 폴딩 형태 형성기로 폴딩 평태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폴딩부를 형성한 시트 부재를 반전하고 있는 시트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 및 폴딩 형태 형성기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2 폴딩부를 형성한 시트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 및 폴딩 형태 형성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를 프레스기에 배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를 프레스기로 압축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를 더욱 압축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하기의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제1 실시형태
[1. 1]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탐폰(100)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탐폰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탐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탐폰(100)은, 어플리케이터(10)와, 탐폰(1)을 갖는다.
어플리케이터(10)는,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흡수체(2)를 수납하고 있는 외통(11)과, 흡수체(2)의 후단부로부터 외통(11)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내통(12)을 가지고 있다. 외통(11)의 선단부(14)에는 복수의 라운드 팁(13)이 서로 분할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수체(2)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끈형 부재(4)는, 내통(12) 내에 삽입되어 내통(12)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탐폰(100)은, 어플리케이터(10)의 외통(11)을 질강 내에 삽입하고, 내통(12)을 외통(11)의 내부에 밀어 넣어 사용된다. 이때, 내통(12)에 의해 외통(11) 내의 흡수체(2)가 외통(11)의 선단부(14)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 이동된 흡수체(2)에 의해 외통(11)의 선단부(14)의 라운드 팁(13)이 개방되도록 변형되고, 흡수체(2)는 외통(11)으로부터 압출되어 질 내에 삽입된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의 흡수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탐폰(1)은, 원통형의 흡수체(2)와, 흡수체(2)에 결합되며 일단이 흡수체(2)의 후단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끈형 부재(4)를 갖는다. 끈형 부재(4)는 제1 끈부(41)와 제2 끈부(42)를 갖는다. 제1 끈부(41)는 흡수체(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끈부(42)는 흡수체(2)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제1 끈부(41)는, 원통형의 흡수체(2)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흡수체(2)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3)에 결합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끈부(41)로부터는, 시트 부재의 외연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1a)가 연장된다. 연장부(41a)는, 흡수체(2)로 성형될 때에 흡수체(2)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흡수체(2)의 표면을 따라 압축된다.
흡수체(2)는 시트 부재(3)를 원통형으로 압축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2)는, 시트 부재(3)의 한쪽 면에 끈형 부재(4)가 부착된 상태로, 끈형 부재(4)가 내부측에 위치하도록 변형시키면서 원통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의 성형 전의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2)가 원통형으로 성형되기 전의 탐폰(1)은, 시트 부재(3)와, 시트 부재(3)의 한쪽 면에 제1 방향(X)을 따르도록 재봉되어 결합되는 끈형 부재(4)를 갖는다. 시트 부재(3)는, 펄프 등의 흡수체의 코어가 되는 흡수부와, 이것을 피복하는 피복 시트를 갖는다. 끈형 부재(4)는, 시트 부재(3)에 결합되는 제1 끈부(41)와, 제1 끈부(4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41a)와, 시트 부재(3)로부터 연장되는 제2 끈부(42)를 갖는다.
시트 부재(3)에서의 제1 방향(X)에 직교하는 제2 방향(Y)에서의 중앙에는, 제1 끈부(41)가 제1 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시트 부재(3)에서의 제1 끈부(41)의 제2 방향에서의 한쪽에는 제1 폴딩부(21)가 형성되고, 제2 방향에서의 다른쪽에는 제2 폴딩부(22)가 형성된다. 흡수체(2)는, 제1 폴딩부(21) 및 제2 폴딩부(22)를 폴딩 기점으로 하여, 시트 부재(3)가 절곡되도록 변형되고, 제1 끈부(41)는 흡수체(2)가 내부측에 위치하며, 원통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1. 2] 시트 부재
시트 부재(3)는 화살촉형으로 형성된 흡수성의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방향의 양외연에서의 제2 방향의 중앙부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방향(X)에서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 시트형의 부재이다. 시트 부재(3)는, 레이온, 유제 첨가 레이온 단체나, 코튼, 펄프 등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흡수부를, 부직포 등의 액투과성 시트로 둘러쌈으로써 형성된다. 이 시트 부재(3)가 제2 방향(Y)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변형되어 원통형으로 성형됨으로써, 흡수체(2)가 형성된다.
시트 부재(3)의 제1 방향(X)에서의 길이는, 제조하는 탐폰(1)의 크기나 흡수량, 착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면 좋다. 예컨대, 소형의 탐폰에서는 35 ㎜에서 40 ㎜의 범위, 중형의 탐폰에서는 60 ㎜, 대형의 것에서는 65 ㎜, 더욱 대형은 70 ㎜에서 75 ㎜의 범위, 80 ㎜에서 90 ㎜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3)의 제2 방향(Y)에서의 길이인 폭(W1)도 마찬가지로, 제조 하는 탐폰(1)의 크기나 흡수량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면 좋다. 시트 부재(3)로서, 예컨대, W1이 60 ㎜, W2가 30 ㎜, W3이 15 ㎜인 시트 부재를 예시할 수 있다. W1이 60 ㎜인 경우, 거리(W3)는, 0.5 ㎜에서 20 ㎜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1 ㎜에서 15 ㎜,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에서 6 ㎜의 범위이다. 여기서, 제1 끈부(41)와 제1 폴딩부(21) 및 제2 폴딩부(22) 각각과의 거리인 W3은, W1에 대하여 0.25 이하일 필요가 있다. 거리(W3)가 0.25보다 큰 경우에는, 제1 끈부(41)가 흡수체의 표면으로부터 나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1 끈부(41)로부터 W3의 거리의 범위 내에서, 오목부를 내측쪽[제1 끈부(41)의 근처]에 배치하면, 흡수체(2)가 보다 안정되어 폴딩되기 쉬워진다. 오목부(5)의 위치는 시트 부재(3)의 전체 길이(W1)에 대하여 0.25 이하가 바람직하다.
시트 부재의 폭은 제조하는 탐폰(1)의 크기나 흡수량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면 좋다. 예컨대, 45 ㎜에서 80 ㎜의 사이가 바람직하다.
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3)에서의 제1 방향(X)에 직교하는 제2 방향(Y)에서의 중앙에는, 제1 끈부(41)가 제1 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시트 부재(3)에서의 제1 끈부(41)의 제2 방향에서의 한쪽에는 제1 폴딩부(21)가 형성되고, 제2 방향에서의 다른쪽에는 제2 폴딩부(22)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시트 부재(3)에 마련되는 끈형 부재(4)가 연장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하고, 도 3에서 X 방향으로 나타낸다. 또한, 제1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하고, 도 3에서 Y 방향으로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3)는, 제1 폴딩부로부터 제2 방향에 서의 상기 제1 폴딩부에 가까운 외연인 제1 측연(31)과, 제2 폴딩부로부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제2 폴딩부에 가까운 외연인 제2 측연(32)을 갖는다.
시트 부재(3)의 제2 방향에서의 전체 길이(W1)를 이분한 거리(W2)는, 끈형 부재(4)의 제1 끈부(41)로부터 제2 방향으로 제1 측연(31) 또는 제2 측연(32)까지의 거리이다. 제1 끈부(41)로부터 거리(W2)를 더욱 대략 이분한 범위에 달하는 거리가 W3이다. 제1 끈부(41)로부터 제1 측연(31)을 향하여 제2 방향으로 거리(W3)에 달하는 범위를 A2로 나타내고, 제1 끈부(41)로부터 제2 측연(32)을 향하여 제2 방향으로 거리(W3)에 달하는 범위를 B2로 나타낸다.
또한, 시트 부재(3)는, 제1 폴딩부(21)로부터 제1 측연(31)까지의 제1 영역(A1)과, 제2 폴딩부(22)로부터 제2 측연(32)까지의 제2 영역(B1)을 갖는다. 제1 영역(A1)과 제2 영역(B1)은, 시트 부재(3)가 원통형으로 변형되었을 때에, 제1 끈부(41)를 덮도록 배치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부재(3)는, 제1 폴딩부(21) 및 제2 폴딩부(22)를 폴딩 기점으로 하여, 표면(33)의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B1)이 제1 끈부(41)를 덮도록 변형된다. 시트 부재(3)는, 탐폰(1)의 원통 형상에서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에서 본 단면에서, W자형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시트 부재(3)의 제1 측연(31) 및 제2 측연(32)은, 서로 대향하도록 접촉하고, 시트 부재(3)의 내측에 권취되도록 변형되어, 시트 부재(3)는 원통형으로 성형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끈형 부재(4)가 마련되는 한쪽 면을 편의상 표면(33)이라고 하고, 끈형 부재(4)가 마련되는 면과 반대의 다른쪽 면을 이면(34)이라고 한다. 또한, 본명세서에서, 시트 부재(3)에서의 끈형 부재(4)에 가까운 측을 내측이라고 하고, 시트 부재(3)의 제1 측연(31) 및 제2 측연(32)에 가까운 측을 외측이라고 한다.
[1. 3] 끈형 부재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끈형 부재(4)는, 시트 부재(3)에 결합되는 제1 끈부(41)와, 시트 부재(3)에 결합되지 않는 제2 끈부(42)를 갖는다. 제1 끈부(41)는 원통형으로 성형된 흡수체(2)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이고, 제2 끈부(42)는 흡수체(2)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이다.
끈형 부재(4)는, 시트 부재(3)의 제2 방향(Y)에서의 중앙에 제1 방향(X)을 따라 배치된다. 여기서, 시트 부재(3)가 흡수체(2)의 원통형으로 성형된 상태로 끈형 부재(4)가 흡수체(2)로부터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끈형 부재(4)에서의 제1 끈부(41)는, 재봉실(43)로 재봉됨으로써 시트 부재(3)의 한쪽 면인 표면(33)에 결합된다. 이 재봉실(43)은, 제1 끈부(41)뿐만 아니라 제2 끈부(42)에도 배치된다.
끈형 부재(4) 및 재봉실(43)은, 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레이온의 단체 또는 복합 섬유로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당길 때에 손에 경혈이 옮지 않도록, 끈형 부재(4) 및 재봉실(43)을 구성하는 섬유는, 발수 가공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에서, 전술한 대로, 끈형 부재(4)는 시트 부재(3)의 폭(W1)을 이분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상에 결합된다. 그리고, 시트 부재(3)는, 제1 폴딩부(21) 및 제2 폴딩부(22)를 폴딩 기점으로 하여 시트 부재(3)가 절곡되고, 제1 및 제2 영역(A1, B1)이 제1 끈부(41)를 덮도록 변형되기 때문에, 원통형의 흡수체(2)에서 제1 끈부(41)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중심에 위치한다. 즉, 흡수체(2)로부터 연장되는 제2 끈부(42)를 당긴 경우에는, 흡수체(2)의 단면에서 보아 대략 중심에 당기는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흡수체(2)가 기우는 일 없이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1. 4] 폴딩부
[1. 4. 1] 오목부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 각각은, 시트 부재(3)의 표면(33)측에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영역이다.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 각각은, 소정의 볼록형 부재인 돌기를 갖는 폴딩 형태 형성기(50)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 각각은, 시트 부재(3)의 표면(33)측에서의 제1 끈부(41)의 제2 방향(Y)에서의 양측에 형성된다. 제1 폴딩부(21) 및 제2 폴딩부(22)는, 제1 끈부(41)로부터 각각 거리(W3)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거리(W3)는, 흡수체(2)의 폭의 전체 길이를 1로 하여, 전체 길이에 대하여 0.25 이하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흡수체의 C-C'선에서의 단면도이다.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의 폭[즉 폴딩부(21, 22)의 폭]은, 0.5 ㎜에서 5 ㎜, 바람직하게는 1 ㎜에서 3 ㎜이다.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의 폭이 0.5 ㎜ 이하이면, 절곡되는 기점이 되기 어렵다.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의 폭이 5 ㎜ 이상이면, 도 4에 나타내는 오목부의 내측의 코너(5d, 5d')와 외측의 코너(5c, 5c')가 함께 절곡 기점이 되어, 변형이 안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의 높이는 1 ㎜에서 3.2 ㎜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압축하지 않는 경우의 시트 부재의 평균적인 두께는 3.5 ㎜에서 3.8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 각각은, 시트 부재(3)에서의 동일한 면에 형성된다. 시트 부재(3)는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를 내측으로 하여 절곡되도록 변형되기 때문에,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B1)은,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를 덮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변형된다. 즉,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가 제1 끈부(41)가 결합되는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B1)은, 제1 끈부(41)를 덮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변형된다. 또한, 이 제1 끈부(41)가 결합되는 부분도 폴딩 기점으로서 기능하여, 전체로서 단면이 W자를 형성하도록 변형된다.
여기서,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가 제1 끈부(41)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면, 시트 부재(3)가 안정되어 W자의 형상으로 변형된다. 단,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는 제1 끈부(4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면 좋고, 제1 끈부(41)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지 않아도 좋다.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는, 제1 끈부(41)를 사이에 두고 시트 부재(3)에서의 제2 방향의 한쪽과 다른쪽에 마련되면, 2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 마련하여도 좋다. 시트 부재(3)에서의 오목부의 면적을 지나치게 늘리면, 원하는 긴 통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흡수체의 면적이 한정되기 때문에, 흡수량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는 흡수체(2)를 형성하는 시트 부재(3)를 압축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오목부의 갯수가 증가하면, 흡수체의 밀도가 커져, 흡수량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오목부의 면적은 흡수체의 흡수량을 손상하지 않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1. 4. 2] 육박부
육박부(6A, 6B)는, 전술한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와 함께 폴딩부(21, 22)를 구성한다. 육박부(6A, 6B)는,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 각각의 바닥부측에, 시트 부재(3)의 두께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는, 육박부(6A, 6B)는, 시트 부재(3)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와 함께 형성되기 때문에, 육박부(6A, 6B)에서의 두께는, 폴딩부(21, 22)와 인접하는 부분보다도 얇다.
구체적으로는, 육박부(6A, 6B)에서의 두께는, 0.05 ㎜에서 5 ㎜이며, 바람직하게는 0.3 ㎜에서 0.5 ㎜이다. 육박부(6A, 6B)에서의 두께는, 폴딩부(21, 22)에서의 오목부(5)의 높이와 상대적으로 관계하는 것이지만, 오목부의 높이가 높아지고, 흡수체(2)의 두께가 얇아지면, 흡수체(2)에서의 흡수성이 열화하는 경우가 있다. 육박부(6A, 6B)에서의 두께가 상기한 범위이면, 흡수체(2)로서의 흡수 능력을 유지하면서, 절곡 기점으로서 적합하게 기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육박부(6A, 6B)는 시트 부재(3)를 압축하여 형성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제1 폴딩부(21) 및 제2 폴딩부(22)에 인접하는 영역보다도 고밀도이다.
마찬가지로, 육박부(6A, 6B)는 시트 부재(3)를 압축하여 형성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제1 폴딩부(21) 및 제2 폴딩부(22)에 인접하는 영역보다도 강성이 높다.
여기서, 육박부(6A, 6B)[폴딩부(21, 22)]의 평량은, 육박부(6A, 6B)[폴딩부(21, 22)]와 인접하는 영역과 비교해서 낮아지도록 조정되어도 좋다. 육박부(6A, 6B)[폴딩부(21, 22)]의 평량을 다른 영역과 비교해서 낮게 함으로써, 보다 절곡되기 쉽게 할 수 있다.
육박부(6A, 6B)[폴딩부(21, 22)]의 평량은, 제조하는 탐폰(1)의 크기나 흡수량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면 좋다. 예컨대, 소형의 탐폰에서는 590 g/㎡, 중형의 탐폰에서는, 880 g/㎡를 예시할 수 있다. 육박부(6A, 6B)[폴딩부(21, 22)]의 평량이 20 g/㎡보다 작으면, 원통형으로의 성형 시에 육박부가 찢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평량을 적게 하는 경우, 육박부(6A, 6B)[폴딩부(21, 22)]의 평량은, 상기한 예시에 따른 소형의 탐폰에서는 20 g/㎡에서 300 g/㎡, 상기한 예시에 따른 중형의 탐폰에서는 20 g/㎡에서 400 g/㎡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의 값은, 상한값은 시트 부재 중 흡수체의 평량의 절반, 하한값은 시트 부재 중 피복 시트의 평량의 절반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폴딩부(21, 22)를, 후술하는 폴딩 형태 형성기(50) 등으로 오목부를 형성하는 일 없이, 평량을 낮게 하는 것만으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1. 4. 3] 폴딩부의 형성
도 5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를 형성하기 전의 시 트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시트 부재를 폴딩 형태 형성기에 배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시트 부재에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를 형성한 후의 시트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시트 부재를 폴딩 형태 형성기로 폴딩 형태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를 프레스기에 배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를 프레스기로 압축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를 더욱 압축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A에서 도 9에 의해, 폴딩부(21, 22)의 형성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3)를, 폴딩 형태 형성기(50)의 베이스(53)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부재(3)는, 끈형 부재(4)가 결합되는 표면(33)이 폴딩 형태 형성기(50)의 돌기(51, 52)측을 향하고, 이면(34)이 베이스(53)측을 향하도록 하여 배치한다.
폴딩 형태 형성기(50)는, 시트 부재(3)가 배치되는 베이스(53)와, 베이스(53)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한 돌기(51, 52)가 배치된 폴딩 형태 형성 부재(54)를 갖는다. 돌기(51, 52)는, 베이스(53)측으로 돌출하며 시트부(3)에서의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51, 52)의 형상은, 오목부의 형상에 따른 형상이다. 예컨대, 곡선, 점선형의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후술하는 도 20이나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3)의 제1 방향의 길이 전부에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고, 시트 부재(3)의 제1 방향의 일부분, 예컨대 중앙 부근이나, 제2 끈부측에 근접한 부분에 형성하여도 좋다.
돌기(51, 52)의 폭(P1)은, 오목부(5A, 5B)의 폭에 따라 설정된다. 돌기(51, 52)끼리의 간격(P2)은, 제1 오목부(5A)와 제2 오목부(5B)의 간격에 따라 설정된다. 또한, 돌기(51, 52) 각각의 높이(P4)는,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의 높이(깊이)에 따라 설정된다. 예컨대, 시트 부재(3)의 제2 방향(Y)에서의 길이(W1)가 44 ㎜이며, W3이 11 ㎜인 경우, 간격(P2)은 22 ㎜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오목부(5A, 5B)의 높이(깊이)가 1 ㎜인 경우에는, 높이(P4)는 1 ㎜로 설정된다.
계속해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딩 형태 형성기(50)에서의 폴딩 형태 형성 부재(54)를 베이스(53)측으로 이동시켜, 돌기(51, 52)에 의해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를 형성한다. 폴딩 형태 형성 부재(54)를, 시트 부재(3)의 표면(33)측(이하 「위」라고 말함)에 접촉시킨 상태로, 이면(34)측(이하 「아래」라고 말함)으로 내리누르도록 이동시킨다. 시트 부재(3)의 표면(33)에서의 소정 위치를 돌기(51, 52)가 압박하여 시트 부재(3)를 구성하는 섬유 등을 압축하고, 또는 이동시킴으로써,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가 형성된다.
이 폴딩 형태 형성기(50)에 의해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온 하에서 행해진다. 또한, 시트 부재(3)의 이면(34)에서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의 바닥면까지의 시트 부재(3)[육박부(6A, 6B)]의 두께(T1)가 0.05 ㎜에서 0.5 ㎜,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에서 0.5 ㎜가 되도록 폴딩 형태 형성 부재(54)의 강하 위치가 조정된다. 육박부(6A, 6B)가 0.05 ㎜보다 얇으면, 시 트 부재(3)가 육박부(6A, 6B)로부터 찢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딩 형태 형성기(50)에 의해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가 형성될 때, 시트 부재(3)는, 제1 측연(31) 및 제2 측연(32)이 시트 부재(3)(육박부)의 두께 방향 상방(도 6B의 화살표 U)으로 이동하도록 변형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성형 공정에서 시트 부재(3)를 양측연측으로부터 압축하였을 때, 이 양측연(31, 32)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변형되기 쉬워지고, 후술하는 W자 또는 M자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1. 4. 4] 성형
도 7에서 도 9에 의해, 시트 부재(3)를 성형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가 형성된 시트 부재(3)를 프레스기(60) 내에 배치한다. 프레스기(60)는, 도 7에서의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평판(61, 62)과, 평판(61, 62)끼리의 사이에 수평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스 부재(63, 64)를 갖는다. 평판(61, 62)은 프레스 부재(63, 64)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며, 시트 부재(3)가 변형되는 방향을 제한한다. 프레스 부재(63, 64)는, 서로 대향하는 면이 수평 방향에서의 외측으로 팽창되는 곡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대로, 프레스 부재(63, 64)는 서로 근접하도록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계속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기(60)에서의 프레스 부재(63, 64)를 시트 부재(3)가 배치되는 쪽으로 이동시킨다. 즉, 프레스 부재(63, 64)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동시킨다. 프레스 부재(63, 64)가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동됨으로써, 프레스 부재(63, 64)끼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 부재(3)는, 폭이 좁아지도록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부재(63, 64)에 의해 시트 부재(3)에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압박하는 힘이 가해지면, 시트 부재(3)는, 양측연(31, 32)이 수직 방향에서의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변형된다. 즉, 제1 폴딩부(21) 및 제2 폴딩부(22) 각각을 기점으로 하여,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B1) 각각이, 표면측으로 기울도록 하여 변형된다. 그리고, 시트 부재(3)에서의 제1 끈부(41)가 결합된 위치도 폴딩 기점으로서 기능하지만, 상기 제1 끈부(41)가 결합된 위치는, 수직 방향에서의 하측에 배치된 평판(62)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수직 방향에서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3)는, 단면에서 W자형으로 변형된다.
계속해서, 더욱 프레스 부재(63, 64)를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킨다. 프레스 부재(63, 64)를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시트 부재(3)는, 도 8에서의 W자의 폭이 좁아지도록 변형되며,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B1) 각각이, 제1 끈부(41)를 덮도록 변형된다. 상세하게는,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B1)은, 제1 끈부(41)의 수직 방향에서의 상방에서 서로 대향하거나, 또는 중첩되도록 내측으로 변형되어 제1 끈부(41)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3)는 원통형으로 압축 성형된다. 그리고, 제1 끈부(41)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중앙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프레스 부재(63, 64)에 의해 시트 부재(3)에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압박하는 힘이 가해지면, 시트 부재(3)의 제1 끈부(41)가 결합된 위치가, 상측으로 비등하도록 이동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제1 끈 부(41)가 결합된 위치는, 수직 방향에서의 상측에 배치된 평판(61)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시트 부재(3)에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압박하는 힘이 계속 가해지면, 수직 방향에서의 하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시트 부재(3)는, 제1 폴딩부(21) 및 제2 폴딩부(22) 각각을 기점으로 하여,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B1) 각각이, 이면측으로 기울도록 하여 변형된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3)는 단면에서 M자형으로 변형된다.
계속해서, 프레스 부재(63, 64)를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키면, 시트 부재(3)는, 전술한 대로 형성된 M자의 폭이 좁하지도록 변형되며, 시트 부재의 제1 끈부(41)측의 영역(A2) 및 영역(B2) 각각이, 제1 끈부(41)를 덮도록 변형된다. 상세하게는, 영역(A2) 및 영역(B2)은, 제1 끈부(41)의 수직 방향에서의 하방에서 서로 대향하거나, 또는 중첩되도록 내측으로 변형되어 제1 끈부(41)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3)는 원통형으로 압축 성형된다. 그리고, 제1 끈부(41)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중앙에 위치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탐폰(1)의 흡수체(2)로 성형되는 시트 부재(3)에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를 형성함으로써, 시트 부재가 W자(M자) 형상으로 안정되어 절곡된다. 시트 부재가 W자(M자) 형상으로 절곡됨으로써, 시트 부재가 끈형 부재(4)의 제1 끈부(41)를 덮도록 변형된다. 끈형 부재(4)는, 시트 부재(3)로 덮이기 때문에, 흡수체(2)의 대략 중심에 위치한다.
끈형 부재(4)가 흡수체(2)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끈형 부재(4)를 당겨 탐폰을 질 내로부터 추출할 때에, 당기는 힘이 흡수체(2)의 단면에서 본 대략 중심에 전달되기 때문에 탐폰(1)은 질 내에서 경사하지 않고, 질벽에 편향된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탐폰을 추출할 때에, 사용자가 질벽에 느끼는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는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탐폰이고, 이 어플리케이터의 선단부(14)는 라운드 팁형이라고 불리는 방사형의 홈을 가지며, 선단부(14)가 오므라드는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탐폰(1)을 압출하여 질 내에 삽입할 때에도, 끈형 부재가 탐폰의 원통 형상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어플리케이터의 라운드 팁형의 선단부(14)에 끈형 부재가 접촉하는 일이 없다. 어플리케이터가 끈형 부재의 표면의 요철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탐폰의 사용자는 상기 요철로부터 받는 저항을 받는 일 없이 탐폰을 삽입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질벽에 느끼는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의 탐폰(1)은, 끈형 부재가 흡수체(2)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흡수체(2)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경혈 등의 액체의 유동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의 탐폰(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끈형 부재가 흡수체(2)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흡수체(2)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품질이 우수한 탐폰(1)을 제공할 수 있다. 끈형 부재가 흡수체(2)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끊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탐폰을 제조할 때에 있어서의 불량품이 발생하는 확률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면에서도 메리트도 생긴다.
[2] 제2 실시형태
[2. 1] 전체 구성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1a)은, 제1 폴딩부(21)가 시트 부재(3a)의 표면(33)측에, 제2 폴딩부(22)가 시트 부재(3)의 이면(34)측에 마련되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 때문에, 시트 부재(3)는 W자 또는 M자가 아니라, N자형으로 절곡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만 설명되고, 설명되지 않는 다른 점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2. 2] 시트 부재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1a)의 시트 부재(3a)는, 제1 폴딩부(21) 및 제2 폴딩부(22)를 폴딩 기점으로 하여, 표면(33)의 제1 영역(A1) 또는 제2 영역(B1) 중 어느 한쪽이 끈형 부재를 덮도록 변형된다. 시트 부재(3)는, 탐폰(1)의 원통 형상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에서 본 단면에서, N자형으로 절곡된다.
시트 부재(3a)에는 제1 폴딩부(21) 및 제2 폴딩부(22)가, 시트 부재의 표면(33)과 이면(34)측에 엇갈리게 마련된다. 제1 영역(A1) 또는 제2 영역(B1)의 한쪽은, 제1 끈부(41)를 덮도록 변형된다. 제1 끈부(41)를 덮도록 변형되지 않는 제1 영역(A1) 또는 제2 영역(B1)의 다른쪽은, 시트 부재(3a)의 제1 끈부쪽의 영역(A2 및 B2)을 사이에 두고 한쪽과 반대측으로 절곡되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상태로 시트 부재(3a)는 압축되어, 원통형으로 성형된다.
[2. 3] 폴딩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3a)는, 도 14를 참조할 수 있다. 시트 부 재(3a)의 표면(33)측에는 제1 폴딩부(21)가 형성되고, 이면(34)측에는 제2 폴딩부(22)가 형성된다. 제1 오목부(5A) 및 제2 오목부(5B)는, 제1 끈부(41)를 사이에 두고 제2 방향(Y)에서의 표면측(33)의 한쪽과, 이면측(34)의 다른쪽에 형성된다. 제1 오목부(5A) 및 제2 오목부(5B)는, 제1 끈부(41)로부터 각각 W3만큼 이격하여 형성된다.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와, 오목부(5A, 5B)의 바닥부측에 배치되는 육박부(6A, 6B)는, 폴딩부(21, 22) 각각을 구성한다.
[2. 3. 1] 오목부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 각각은, 시트 부재(3)의 표면(33)측과 이면(34)측에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영역이다.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 각각은, 소정의 볼록형 부재인 돌기를 갖는 폴딩 형태 형성기(50)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 각각은, 제1 끈부(41)를 사이에 두고 제2 방향(Y)에서의 표면측(33)의 한쪽과, 이면측(34)의 다른쪽에 형성된다. 제1 폴딩부(21) 및 제2 폴딩부(22)는, 제1 끈부(41)로부터 각각 거리(W3)만큼 이격하여 형성된다. 거리(W3)는, 흡수체(2)의 폭의 전체 길이를 1로 하여, 전체 길이에 대하여 0.25 이하이다.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의 치수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와 함께 폴딩부(21, 22)를 구성하는 육박부(6A, 6B)의 치수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1 오목부(5A)와, 제2 오목부(5B)는, 시트 부재(3)에서의 다른 면에 형성된 다. 시트 부재(3a)는 오목부를 내측으로 하여 절곡되도록 변형되기 때문에, 제1 영역(A1) 또는 제2 영역(B1)은, 제1 오목부(5A) 또는 제2 오목부(5B)를 덮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변형된다. 제1 영역(A1) 또는 제2 영역(B1)의 한쪽은, 제1 끈부(41)를 덮도록 변형되고, 제1 끈부(41)를 덮도록 변형되지 않는 제1 영역(A1) 또는 제2 영역(B1)의 다른쪽은, 시트 부재(3a)의 제1 끈부(41)쪽의 영역(A2 및 B2)을 사이에 두고 한쪽과 반대측으로 절곡되도록 변형된다.
즉, 예컨대, 제1 오목부(5A)는 제1 끈부(41)가 결합되는 표면(33)에 형성되고, 제2 오목부(5B)는 제1 끈부(41)가 결합되는 면과 반대의 이면(34)에 형성된다. 제1 영역(A1)은 제1 끈부(41)를 덮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변형된다. 제2 영역(B1)은 제1 영역(A1)과 엇갈린 방향으로 절곡되고, 시트 부재(3a)의 제1 끈부(41)쪽의 영역(A2 및 B2)을 사이에 두고 제1 영역(A1)과 반대측으로 절곡되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3a)는, 탐폰(1)의 원통 형상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에서 본 단면에서, N자형으로 절곡되도록 변형된다.
[2. 3. 2] 폴딩부의 형성
도 10A에서 도 16에 의해, 폴딩부(21, 22)의 형성 순서를 설명한다.
도 10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를 형성하기 전의 시트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0B는 시트 부재를 폴딩 형태 형성기에 배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우선,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3)를 폴딩 형태 형성기(50)의 베이스(53)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부재(3)는, 제1 끈부(41)가 결합되는 표면이 폴딩 형태 형성기(50)의 돌기(51)측을 향하고, 이면이 베이스(53) 측을 향하도록 하여 배치한다.
폴딩 형태 형성기(50)는, 시트 부재(3)가 배치되는 베이스(53)와, 베이스(53)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한 돌기(51)가 배치된 형태 형성 부재(54)를 갖는다. 돌기(51)는, 베이스(53)측으로 돌출하며 시트부(3)에서의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51)의 형상은, 오목부의 형상에 따른 형상이다. 예컨대, 곡선, 점선형의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후술하는 도 20이나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3)의 제1 방향의 길이 전부에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고, 시트 부재(3)의 제1 방향의 일부분, 예컨대 중앙 부근이나, 제2 끈부측에 근접한 부분에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의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 11A는 시트 부재에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를 형성한 후의 시트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1B는 시트 부재를 폴딩 형태 형성기로 폴딩 형태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51)와 시트 부재(3a)의 위치 관계에 관해서, 시트 부재(3a)를 베이스(53)에 배치하였을 때, 제1 끈부(41)로부터 돌기(51)의 내측의 거리(P3)는, 제1 오목부(5A)의 내측과, 제2 오목부(5B)의 내측의 제2 방향(Y)의 간격에 따라 설정된다. 또한, 돌기(51)의 높이(P4)는, 오목부(5A, 5B)의 높이(깊이)에 따라 설정된다. 예컨대, 시트 부재(3a)의 제2 방향(Y)에서의 길이(W1)가 44 ㎜이며, W3이 11 ㎜인 경우, 간격(P3)은 11 ㎜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오목부(5A, 5B)의 높이(깊이)가 1 ㎜인 경우에는, 높이(P4)는 1 ㎜로 설정된다.
계속해서, 폴딩 형태 형성기(50)에서의 폴딩 형태 형성 부재(54)를 베이스(53)측으로 이동시켜, 돌기(51)에 의해 오목부(5A)를 형성한다. 폴딩 형태 형성 부재(54)를, 시트 부재(3a)의 제1 끈부(41)가 결합되는 측에 접촉시킨 상태로, 시트 부재(3a)의 제1 끈부(41)가 결합되지 않는 측으로 내리누르도록 이동시킨다. 시트 부재(3a)의 표면에서의 소정 위치를 돌기(51)가 압박하여 시트 부재(3a)를 구성하는 섬유 등을 이동시킴으로써,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5A)가 형성된다.
도 12A는 제1 폴딩부를 형성한 시트 부재를 반전하고 있는 시트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 및 폴딩 형태 형성기의 단면도이다. 그 후, 도 12A 및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3a)를 반전시키고, 제1 끈부(41)가 결합되는 면(33)이 베이스(53)와 접하며, 제1 끈부(41)가 결합되지 않는 면(34)이 돌기(51)와 마주보도록 베이스(53)에 흡수체를 배치한다. 흡수체는 반전되었기 때문에, 돌기에 면하고 있는 시트 부재의 면에는, 아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더욱 폴딩 형태 형성 부재(54)를, 베이스(53)측을 향하여 내리면, 도 13A 및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3a)의 제1 끈부(41)가 결합되는 면에 형성된 오목부(5A)와 엇갈리게, 제1 끈부(41)가 결합되지 않는 면(34)에 제2 오목부(5B)가 형성된다.
이 폴딩 형태 형성 부재(54)에 의해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온 하에서 행해진다. 또한, 육박부(6A, 6B)의 두께(T1)가, 0.05 ㎜에서 0.5 ㎜,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에서 0.5 ㎜가 되도록 폴딩 형태 형성 부 재(54)의 강하 위치가 조정된다. 육박부가 0.05 ㎜보다 얇으면 시트 부재(3)가 찢어져 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도 13A는 제2 폴딩부를 형성한 시트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3B는 도 13A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 및 폴딩 형태 형성기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딩 형태 형성기(50)에 의해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가 형성될 때, 시트 부재(3a)는, 제1 측연(31) 및 제2 측연(32)이 돌기(51)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의 시트 부재(3)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변형된다. 이것은, 돌기(51)로부터 압박하는 힘을 받아, 시트 부재가 돌기(51)와 반대의 방향으로 반발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는 것에 의한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성형 공정에서 시트 부재(3)를 양측연측으로부터 압축하였을 때, 이 양측연측(31, 32)이 각각 엇갈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변형되기 쉬워지고, 후술하는 N자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2. 3. 3] 성형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를 프레스기에 배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를 프레스기로 압축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를 더욱 압축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에서 도 16에 의해, 시트 부재(3a)를 성형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5A), 제2 오목부(5B)가 형성된 시트 부재(3a)를 프레스기(60) 내에 배치한다.
프레스기(60)는, 도 14에서의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평판(61, 62)과, 평판(61, 62)끼리의 사이에 수평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스 부재(63, 64)를 갖는다. 평판(61, 62)은, 프레스 부재(63, 64)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며, 시트 부재(3a)에서의 변형 방향을 제한한다. 프레스 부재(63, 64)는 서로 대향하는 면이 외측으로 팽창되는 곡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프레스 부재(63, 64)는 서로 근접하도록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계속해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기(60)에서의 프레스 부재(63, 64)를 시트 부재(3a)가 배치되는 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프레스 부재(63, 64)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동시킨다. 프레스 부재(63, 64)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됨으로써, 프레스 부재(63, 64)끼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 부재(3a)는, 폭이 좁아지도록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부재(63, 64)에 의해 시트 부재(3a)에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압박하는 힘이 가해지면, 시트 부재는 폴딩부(21, 22)가 마련되는 면을 내측으로 하여 변형된다.
예컨대, 시트 부재(3a)의 제1 측연(31)은, 수직 방향에서의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변형된다. 즉, 제1 폴딩부(21)를 기점으로 하여, 제1 영역(A1)이, 제1 끈부(41)가 결합되어 있는 면(33)측으로 기울도록 하여 변형된다.
한편, 예컨대, 제2 측연(32)은, 제2 폴딩부(22)를 기점으로 하여, 수직 방향에서의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변형된다. 즉, 제2 폴딩부(22)를 기점으로 하여, 제2 영역(B1)이, 제1 끈부(41)가 결합되어 있지 않는 면(34)측으로 기울도록 하여 변형된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3)는 단면에서 N자형으로 변형된다.
계속해서, 더욱 프레스 부재(63, 64)를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킨다. 프레스 부재(63, 64)를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시트 부재(3a)는, 도 16에서의 N자의 폭이 좁아지도록 변형되며, 제1 영역(A1)이, 제1 끈부(41)를 덮도록 변형된다. 평판(61, 62)에 의해, 시트 부재(3a)는 도 16에서의 수직 방향의 이동은 규제되어 있다. 그래서, 프레스 부재(63, 64)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압축되면, 시트 부재는 변형 자재인 섬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측연(31)은 제1 끈부(41)에 얹히도록 변형되어, 제1 끈부(41)를 덮는다.
한편, 제2 측연(32)은, 제1 측연(31)과 엇갈리게, 평판(62)측으로 변형된다. 이 결과 시트 부재(3a)의 제1 끈부(41)쪽의 영역(B2)이 제1 끈부(41)에 얹히도록 변형되어, 제1 끈부(41)를 덮는다.
시트 부재(3)에서의 제1 끈부(41)는, 제1 폴딩부(22)가 변형되는 힘에 의해 평판(61)측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힘과, 제2 폴딩부가 변형되는 힘에 의해 평판(62)측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힘이 비슷하여, 결과적으로 평판(61 및 62)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끈형 부재(4)는 흡수체(2)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제1 영역으로 덮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3] 다른 실시형태
[3. 1] 다른 폴딩부
[3. 1. a] 점선
전술한 바와 같이, 폴딩부의 갯수나 형상은, 시트 부재의 흡수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은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를 점선으로 형성한 시트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딩 부(21a, 22a)를 제1 방향을 따라 오목부를 점선형으로 마련하여도 좋다. 점선으로 함으로써, 폴딩 기점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는 한편, 시트 부재의 흡수 가능한 양을, 폴딩부 모두를 오목부로 하는 것보다도 많게 할 수 있다. 점선의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보다도 밀도가 낮고, 흡수 능력이 높기 때문이다.
[3. 1. b] 복수의 개공
도 18은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를 연속하는 개공으로 형성한 시트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딩부(21b, 22b)를,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개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복수의 개공은, 폴딩 형태 형성기(50)의 돌기 대신에 복수의 핀을 늘어논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시트 부재(3C)에 형성할 수 있다. 폴딩부(21b, 22b)는, 폴딩부(21b, 22b)와 폴딩부에 인접하는 부분과의 시트 부재(3C)에서의 강성을 변화시킴으로써, 폴딩 기점으로서 폴딩을 유도할 수 있으면 된다. 따라서, 복수의 개공을 마련함으로써 폴딩부(21b, 22b)의 강성이 폴딩부에 인접하는 부분보다도 낮게 함으로써도, 폴딩부를 형성할 수 있다.
[3. 1. c] 횡단선
도 19는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에 횡단선을 형성한 시트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폴딩부(21c, 22c)를 형성하며, 제1 폴딩부(21c) 및 제2 폴딩부(22c)로부터 제1 측연(31) 및 제2 측연(32)을 향하여, 제2 방향을 0도로 한 경우에 5도에서 70도의 범위에서 횡단선형 의 오목부(23, 24)를 형성하여도 좋다.
횡단선의 형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오목부의 형성에 의해 행하여도 좋지만, 시트 부재(3D)를 횡단선(23, 24)과 인접하는 영역보다도 밀도, 강성을 높게 함으로써 형성하여도 좋다.
시트 부재(3D)는, 압축되어 원통형의 흡수체(2)로 형성되어, 제1 끈부를 질 내측, 제2 끈부측을 질 외측에 배치하도록 여성의 질 내에 삽입된다. 경혈은 체내를 통해 처음으로 흡수체(2)의 질 내에 가까운 측에서 흡수된다. 시트 부재(3D)에 횡단선(23, 24)이 형성되어 있으면, 흡수체(2)의 질 내측에 배치된 부분에서 흡수된 경혈이, 횡단선(23, 24)에서 일단 막힌다. 그리고, 흡수한 경혈의 양이, 흡수체(2)의 질 내측에 배치된 부분에서 흡수 가능한 최대량에 근접하고, 또는 이를 넘으면, 흡수한 경혈은 횡단선(23, 24)을 넘어 흡수체(2)의 질 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확산된다. 이에 따라, 흡수체(2)가 흡수 가능한 최대의 양까지, 경혈을 보다 많이 흡수할 수 있다.
[3. 1. d] 부분적 형성
도 20은 폴딩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한 시트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부분적인 폴딩부가, 끈형 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경사하도록 형성된 시트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0 및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딩부(21d, 22, 21e, 22f)는 시트 부재(3E, 3F)의 제1 방향에서의 단부에서 단부까지 마련되지 않아도 좋고, 제1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마련되어도 좋다. 도 20과 같이 폴딩부(21d, 22d)를 배치함으로써, 폴딩 기점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는 한편, 시트 부재의 흡수 가능한 양을, 폴딩부 모두를 오목부로 하는 것보다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1의 폴딩부(21e, 22e)는, 제2 끈부(42)에 가까운 부분이, 끈형 부재(4)를 중심으로 하여, 끈형 부재(4)를 향하여 오므라들도록 경사하고 있다.
폴딩부(21e, 22e)를 끈형 부재(4)를 향하여 경사하도록 형성하면, 탐폰(1)을 사용 후, 끈형 부재(4)를 당겨 추출할 때에, 당기는 힘이 끈형 부재(4)를 중심으로 모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탐폰(1)을 당기는 힘이 끈형 부재(4)에 모임으로써, 탐폰이 질 내로 기우는 것이 방지되어, 추출 시의 불쾌감이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3. 2] 열수축에 의한 폴딩부의 형성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탐폰(1)의 시트 부재(3)는, 몇층인가로 나뉜 흡수층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시트 부재는, 액체 투과성 시트 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 등의 피복 시트(7)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도 좋다. 액체 투과성 시트 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는, PESB, PETSB 단체나 혼합 NB로 구성되는 부직포를 이용하여도 좋다.
탐폰(1,1A)의 폴딩부(21, 22)는, 폴딩 형태 형성기(50)에 의해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고, 열수축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시트 부재를 피복하는 액체 투과성 시트 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 등의 피복 시트(7)가 열용융성 소재이면, 폴딩부(21, 22)를 형성하는 영역에 폴딩 형태 형성기(50)에 의해 열을 가하고, 폴딩 기점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때, 시트 부재를 피복하는 액체 투과성 시트 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 등의 피복 시트(7)가 중첩되는 부분을 압축하여 강성을 높여도 좋 고, 또한, 피복하는 시트를 열에 의해 용융하여도 좋다.
또한, 흡수 부재를 열용융 소재인 액체 투과성 시트 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 등의 피복 시트(7)에 의해 피복하고, 열수축에 의해 폴딩부를 형성하는 경우는, 열용착에 의해 시트 부재(3)의 흡수 부재와 액체 투과성 시트 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가 고정되어, 형태 붕괴나 흡수 부재의 박리가 방지된다. 이 때문에, 탐폰(1)의 추출 시에 액체 투과성 시트 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가 찢어지거나 흡수 부재의 섬유가 질 내에 남을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3. 3] 다층 흡수층에 의한 폴딩부의 형성
시트 부재(3)는, 다층으로 중첩된 흡수층의 각각에, 강성, 밀도, 평량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폴딩 기점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복수의 흡수층의 각각, 다른 위치에 폴딩 기점을 형성하고, 이것을 중첩하여 폴딩부로 하여도 좋다.
예컨대, 시트 부재(2)를 8장의 흡수층에 의해 형성하고, 그 중 2장에 대해서,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에 상당하도록 원하는 방법으로 폴딩 기점을 형성한다. 중첩한 흡수층을 액체 투과성 시트 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피복하고, 압축하여 흡수체(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살촉 형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타원형 등, 본 발명의 범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Claims (12)

  1. 시트 부재가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에 결합되며 상기 흡수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끈형 부재를 구비하는 탐폰으로서,
    상기 끈형 부재는, 상기 흡수체를 구성하는 상기 시트 부재에서의 한쪽 면에 제1 방향을 따르도록 결합되고, 상기 시트 부재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에 배치되는 제1 끈부와, 상기 시트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제2 끈부를 가지고,
    상기 시트 부재에서의 상기 제1 끈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의 한쪽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르며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오목부를 갖는 제1 폴딩부(fold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의 다른쪽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르며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2 오목부를 갖는 제2 폴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끈부가 배치되는 부분에는 제3 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제1 폴딩부와 제2 폴딩부와 제3 폴딩부를 각각 제1 폴딩 기점, 제2 폴딩 기점 및 제3 폴딩 기점으로 하여 절곡되도록 변형되며,
    상기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끈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1 폴딩부 및 상기 제2 폴딩부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외측의 외연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폴딩부 및 상기 제2 폴딩부로부터 상기 제1 끈부까지의 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1 폴딩 기점 및 상기 제2 폴딩 기점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한쪽 면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하고, 상기 제3 폴딩 기점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한쪽 면과 반대의 다른쪽 면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함으로써, 상기 제1 끈부가 절곡된 상기 시트 부재의 단면에서 보아 중심에 위치하며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탐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는 각각, 상기 시트 부재에서의 상기 한쪽 면에 형성되는 탐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폴딩부에서의 상기 다른쪽 면에는, 상기 제1 끈부를 향하여 함몰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탐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은 0.1 mm부터 15 mm인 탐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열수축성의 투액성 시트 또는 불투액성 시트를 가지며, 상기 제1 폴딩부 또는 제2 폴딩부는 상기 투액성 시트 또는 상기 불투액성 시트의 열수축에 의해 형성되는 탐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 각각은, 상기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와 인접하는 영역보다 상기 시트 부재에서의 밀도가 높은 탐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부 또는 제2 폴딩부 각각은, 상기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와 인접하는 영역보다 상기 시트 부재에서의 평량(坪量)이 낮은 탐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 각각은, 상기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와 인접하는 영역보다 강성이 높은 탐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부 및 제2 폴딩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개공을 갖는 탐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원통형에서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에서 본 단면에서, 상기 시트 부재는 W자형으로 형성되는 탐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를 수납하는 원통형이며 중공형인 어플리케이터를 더 구비하는 탐폰.
  12. 원통형의 탐폰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의 한쪽 면에 제1 방향을 따르며 상기 시트 부재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에 배치되는 끈형 부재를 재봉하는 공정과,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돌기를 갖는 폴딩 형태 형성 부재를 구비하는 폴딩 형태 형성기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위에 상기 시트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폴딩 형태 형성 부재를 상기 베이스측에 이동시켜,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끈형 부재에서의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양측이며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한쪽 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르도록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 각각을,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끈형 부재로부터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외측의 외연까지의 거리를,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로부터 상기 끈형 부재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시트 부재에서의 상기 제2 방향의 양외연측으로부터 오목형의 곡면을 갖는 형틀을 서로 근접시킴으로써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를 제1 폴딩 기점 및 제2 폴딩 기점으로 하고, 상기 끈형 부재가 배치된 부분을 제3 폴딩 기점으로 하여 절곡되도록 변형시키는 공정과,
    변형된 시트 부재에서의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로부터 외연까지의 영역을, 상기 형틀의 곡면을 따르도록 변형시키며, 상기 제1 폴딩 기점 및 상기 제2 폴딩 기점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한쪽 면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하고, 상기 제3 폴딩 기점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한쪽 면과 반대의 다른쪽 면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함으로써, 상기 끈형 부재에서의 상기 시트 부재에 재봉된 부분을, 절곡된 상기 시트 부재의 단면에서 보아 중심에 위치시킨 상기 시트 부재로 덮도록 변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원통형의 탐폰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97027634A 2007-06-11 2008-06-10 탐폰 KR101300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53874 2007-06-11
JP2007153874A JP5255235B2 (ja) 2007-06-11 2007-06-11 タンポン
PCT/JP2008/060603 WO2008153020A1 (ja) 2007-06-11 2008-06-10 タンポ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867A KR20100032867A (ko) 2010-03-26
KR101300898B1 true KR101300898B1 (ko) 2013-08-27

Family

ID=4012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634A KR101300898B1 (ko) 2007-06-11 2008-06-10 탐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771248B2 (ko)
EP (1) EP2174629B1 (ko)
JP (1) JP5255235B2 (ko)
KR (1) KR101300898B1 (ko)
CN (2) CN104000689A (ko)
AU (1) AU2008262979A1 (ko)
BR (1) BRPI0811342B8 (ko)
CO (1) CO6251227A2 (ko)
EA (1) EA015769B1 (ko)
MA (1) MA31670B1 (ko)
MX (1) MX2009013491A (ko)
UA (1) UA98495C2 (ko)
WO (1) WO2008153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9956B2 (ja) * 2011-03-24 2015-07-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及びアプリケータ式タンポン
JP5997885B2 (ja) * 2011-08-30 2016-09-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タンポンの製造方法
JP6286208B2 (ja) * 2014-01-06 2018-02-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タンポンの製造装置、及び、タンポンの製造方法
WO2015160559A1 (en) * 2014-03-14 2015-10-22 Thompson Carrie Tampon packaging and methods of use
CN108946283A (zh) * 2018-05-26 2018-12-07 东莞市元鹏五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卫生棉条折叠输送缝制设备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2856A (ja) * 1982-10-02 1984-05-14 フェアアイニヒテ・パピ−ルヴェルケ・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婦人衛生用タンポン及びその製法
US5171302A (en) * 1988-03-31 1992-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central hinge
JP2007509656A (ja) * 2003-10-31 2007-04-19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コンシューマー・カンパニ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衛生タンポンおよびタンポンの形成に使用される吸収体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9544A (en) * 1965-03-31 1968-02-20 Kimberly Clark Co Catamenial tampon
JPS5467334A (en) 1977-11-09 1979-05-30 Toshiba Corp Display unit for character and sexadecimal number
JPS5921795Y2 (ja) * 1979-05-20 1984-06-28 ユニ・チヤ−ム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
JPS55168330U (ko) * 1979-05-20 1980-12-03
JPS629421U (ko) * 1985-07-03 1987-01-21
JPS629421A (ja) 1985-07-05 1987-01-17 Hitachi Ltd 文書編集処理装置
JPH0228900Y2 (ko) * 1985-09-18 1990-08-02
JPS62122631A (ja) 1985-11-25 1987-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眼圧計
JP3527399B2 (ja) * 1997-11-28 2004-05-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
US6740070B2 (en) * 1999-05-10 2004-05-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tection and comfort tampon
JP3725370B2 (ja) * 1999-07-02 2005-1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
US6887226B2 (en) * 2002-05-31 2005-05-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wn digital tampon
US7378566B2 (en) * 2002-12-13 2008-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core including folded substrate
US20050090794A1 (en) * 2003-10-27 2005-04-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with enhanced leakage protection
WO2007038535A1 (en) * 2005-09-26 2007-04-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with overwrap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467334B2 (ja) 2009-04-14 2014-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2856A (ja) * 1982-10-02 1984-05-14 フェアアイニヒテ・パピ−ルヴェルケ・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婦人衛生用タンポン及びその製法
US4642108A (en) * 1982-10-02 1987-02-10 Vereinigte Papierwerke, Schickedanz & Co. Tampon for feminine hygiene and a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5171302A (en) * 1988-03-31 1992-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central hinge
JP2007509656A (ja) * 2003-10-31 2007-04-19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コンシューマー・カンパニ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衛生タンポンおよびタンポンの形成に使用される吸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0901661A1 (ru) 2010-06-30
EP2174629A1 (en) 2010-04-14
AU2008262979A1 (en) 2008-12-18
BRPI0811342A2 (pt) 2014-10-29
CN101677895B (zh) 2014-10-22
JP5255235B2 (ja) 2013-08-07
UA98495C2 (ru) 2012-05-25
CN101677895A (zh) 2010-03-24
WO2008153020A1 (ja) 2008-12-18
BRPI0811342B1 (pt) 2019-04-09
BRPI0811342B8 (pt) 2021-06-22
MX2009013491A (es) 2010-01-18
EP2174629A4 (en) 2011-12-21
KR20100032867A (ko) 2010-03-26
JP2008302115A (ja) 2008-12-18
CN104000689A (zh) 2014-08-27
EP2174629B1 (en) 2014-05-14
CO6251227A2 (es) 2011-02-21
US8771248B2 (en) 2014-07-08
US20100174262A1 (en) 2010-07-08
MA31670B1 (fr) 2010-09-01
EA015769B1 (ru) 201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8380B2 (ja) 吸収性物品
EP2277482A1 (en) Absorptive article
TWI491384B (zh) Absorbent artic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KR100693856B1 (ko) 생리용 탐폰
JP5117186B2 (ja) 流体移送要素を備えた膣内器具
JP4278962B2 (ja) 吸収体及び前記吸収体を用いた吸収性物品
AU2004284851B2 (en) A hygienic tampon and an absorbent body used in the formation of a tampon
JP5123579B2 (ja) 吸収性物品
KR101300898B1 (ko) 탐폰
KR20080028771A (ko) 흡수성 물품
CN106659610B (zh) 具吸收功能物品的顶片
KR102512664B1 (ko) 흡수성 물품
JP5782254B2 (ja) 吸収性物品
JP5320492B2 (ja) タンポン
JP3998655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CA2656416A1 (en) Intravaginal device with fluid transport pl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