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358B1 - 수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수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358B1
KR101300358B1 KR1020120146129A KR20120146129A KR101300358B1 KR 101300358 B1 KR101300358 B1 KR 101300358B1 KR 1020120146129 A KR1020120146129 A KR 1020120146129A KR 20120146129 A KR20120146129 A KR 20120146129A KR 101300358 B1 KR101300358 B1 KR 101300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xing
water level
airbag
leve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기연
주식회사 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기연, 주식회사 동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기연
Priority to KR102012014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는 기립의 정도에 의해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의 기립을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에어백; 상기 에어백 및 상기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의 기립 시 상기 패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고정부; 및 상기 이탈방지고정부를 가압하여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와 상기 에어백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합증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증대부와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의 접촉면 및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와 상기 에어백의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돌출 형성되는 밀림방지부 및 상기 밀림방지부가 삽입되는 밀림방지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기립 또는 도복 시 상기 에어백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위 조절 장치{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수위 조절을 위한 패널 기립 시 유체의 유동을 차단하는 동시에 패널의 기립 및 도복 시 에어백 및 패널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여 수위 조절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수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위 조절 장치는 수위를 조절하여 특수 목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일종의 담수를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농공업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등의 목적으로 수위 조절 장치의 일종인 고무댐이 이용되고 있다.
수위 조절 장치 중 하나인 고무댐은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효과적으로 저수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고무댐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고무댐의 높이를 공기압력으로 조절하여 관리되기 때문에 취수 및 담수용 보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고무댐은 고무튜브(에어백)의 팽창, 수축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있고, 또한 하상 콘크리트에 고무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와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배관설비 등의 부가장치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고무댐은 단지 고무튜브를 이용, 보(weir)를 설치함으로써, 도복상태일 때는 하천의 하상 콘크리트와 수평을 이루어 통수단면적에 지장을 주지 않으나, 수위 조절에 한계가 있어, 하천의 담수기능을 탄력적으로 실시하는데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고무튜브가 상류에서 내려오는 유화물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산간지역 등에서의 낙석 또는 강한 수압에 의해 하상으로 구르는 날카로운 유석 또는 유목 등의 유화물로부터 충격을 받을 경우 고무튜브가 찢어지거나 구멍 등 유실부분이 발생되어 제방용 둑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고무튜브와 같은 에어백과 고강도의 패널을 이용하여 보를 형성한 다음 이를 공압으로 하여, 에어백의 팽창 또는 수축정도를 제어함으로서 상기 패널의 경사각을 조정하여 하천의 수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류에서 내려오는 유화물에 따른 고무튜브의 소손을 패널이 미리 차단시켜 보호해주는 공압식 가동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압식 가동보는 다수의 에어백과 다수의 패널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패널과 패널 사이의 경계 부분과 패널과 측벽의 경계 부분은 통상 기밀성을 갖는 수밀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 종래의 공압식 가동보의 패널과 패널 사이 및 패널과 측벽의 경계 부분은 판재를 체결함으로써 수밀성을 보전하였으나, 패널의 하측과 하상 콘크리트사이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완벽하게 차단시키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공압식 가동보는 패널의 하측과 하상 콘크리트 사이에 누수 방지를 위한 어떠한 구조적인 구성이 없어 결론적으로 누수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없는 구조적인 결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공압식 가동보는 패널과 에어백의 체결에 있어서, 체결력이 약하여 반복적인 패널의 기립 및 도복 시 상기 패널 또는 에어백이 밀리게 되어 결국 파손되는 문제도 발생되었다.
그러므로, 공압식 가동보와 같은 수위 조절 장치에 있어서, 누수를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에어백과 패널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수위 조절 장치 본연의 기능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 기립 시 패널과 패널 사이 및 패널과 측벽 사이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시공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수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널의 반복적인 기립 및 도복 시 상기 패널 또는 에어백이 최초 고정되는 위치로부터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는 기립의 정도에 의해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의 기립을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에어백; 상기 에어백 및 상기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의 기립 시 상기 패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고정부; 및 상기 이탈방지고정부를 가압하여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와 상기 에어백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합증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증대부와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의 접촉면 및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와 상기 에어백의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돌출 형성되는 밀림방지부 및 상기 밀림방지부가 삽입되는 밀림방지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기립 또는 도복 시 하상으로부터 상기 에어백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결합증대부와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나머지 하나의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와 상기 에어백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나머지 하나의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결합증대부와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모두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의 면에는 상기 밀림방지수용부가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와 상기 에어백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모두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의 면에는 상기 밀림방지수용부가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밀림방지부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상기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밀림방지부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밀림방지부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상기 패널의 폭을 따라 소정 길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밀림방지수용부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밀림방지부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단면이 도브테일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는 하상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과 상기 하상의 고정을 매개하는 고정매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과 상기 고정매개부의 접촉면에는 돌출 형성되는 밀림방지보조부 및 상기 밀림방지보조부가 삽입되는 밀림방지보조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기립 또는 도복 시 상기 에어백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밀림방지보조부는 상기 에어백과 상기 고정매개부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림방지보조수용부는 나머지 하나의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에어백은 하상에 고정되는 하상고정부 및 외부로부터의 급기와 배기를 통해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팽창수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고정부는 상기 하상고정부에 체결되는 에어백고정부 및 상기 패널에 체결되어 상기 패널의 기립과 연동되는 패널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이탈방지고정부는 상기 에어백고정부 및 상기 패널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패널이 상기 팽창수축부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패널의 삽입 공간을 제공하는 패널삽입공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결합증대부는 상기 에어백고정부를 가압하며,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에어백고정부와 상기 결합증대부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나머지 하나의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하상고정부와 상기 에어백고정부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나머지 하나의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패널고정부는 상기 패널고정부와 상기 패널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상기 패널의 기립 또는 도복 시 상기 패널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상기 이탈방지고정부는 상기 하상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의하면, 수위를 조절하는 패널의 기립 시 패널과 패널 사이 및 패널과 측벽 사이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널의 기립 시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수단을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구현 가능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널의 반복적인 기립 및 도복 시 상기 패널 또는 에어백이 최초 고정되는 위치로부터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가 기립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가 도복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가 기립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분해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유체 유동 차단 부재를 패널의 하부측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유체 유동 차단 부재를 패널의 상류측면을 통해 바라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유체 유동 차단 부재를 측벽측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누수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누수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 개략도.
도 12 내지 도 1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유체 유동 차단 부재를 패널의 하부측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유체 유동 차단 부재를 패널의 상류측면을 통해 바라본 개략도.
도 19 및 도 2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유체 유동 차단 부재를 측벽측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가 도복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2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가 도복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4는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5는 도 3의 EE선과 FF선 사이와 대응되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밀림방지부 및 밀림방지수용부의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8은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9는 도 3의 EE선과 FF선 사이와 대응되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밀림방지부 및 밀림방지수용부의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32는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3은 도 3의 EE선과 FF선 사이와 대응되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4는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5는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6는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7은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8은 도 3의 EE선과 FF선 사이와 대응되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9는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40은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41은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가 기립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가 도복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가 기립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분해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00)는 유체의 유동을 차단시키기 위한 유체 유동 차단 부재(190), 수위 조절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110) 및 상기 패널(110)의 기립을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에어백(12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방향 및 위치에 대한 용어를 도 1을 참조하여 정의하면, 폭 방향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는 하천 등을 가로지르는 방향(X)일 수 있으며, 상류측 및 하류측은 패널(110)을 기준으로 담수되는 위치(Y) 및 그 반대 방향의 위치(Z)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부측 및 하부측은 하상(W1)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C) 및 그 반대 방향의 위치(D)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위 조절 장치(100)는 하천 등의 바닥에 상기 하천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상에 설치되어, 상류측의 하천수 등을 담수할 수 있는 일종의 담수 장치로, 패널(110)의 기립 정도에 따라 담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위 조절 장치(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상(W1)에 설치되어 패널(110)이 기립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상(W1)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하상(W1)"이라는 용어는 단순히 하천 등의 바닥을 의미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하상(W1)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또한, 상기 하상(W1)에 설치되는 상기 수위 조절 장치(100)는 하천 등의 측벽(W2)을 따라 기립 및 도복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W2)은 단순히 하천 등의 측벽(W2)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측벽(W2)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 또는 평평한 스틸 등의 판을 의미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수위 조절 장치(100)에 제공되는 패널(110)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일종의 판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에어백(120)에 의해 기립과 도복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110)은 유하물로 인한 마모 및 태양광, 오존 등으로 인한 표면 노화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널(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란하게 하천 등의 양측 측벽(W2)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으며, 패널(110)간의 기립 및 도복의 연동은 후술할 이탈방지고정부(130), 패널간실링부(140) 및 패널간실링가압부(150)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110)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류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전체적으로 라운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널(110)이 라운드 구조로 형성되면, 상기 패널(110)의 도복 시 담수의 하류측으로의 흐름(방류)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수압으로 인한 패널(110) 간의 분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패널(110)의 형상은 평평한 형상으로 구현할지 아니면 라운드 구조로 구현할지는 수위 조절 장치(100)가 설치되는 하천 등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에어백(120)은 상기 패널(11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110)의 기립을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하상에 고정되는 하상고정부(122) 및 외부로부터 급기와 배기를 통해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팽창수축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팽창수축부(124)는 하부측에 형성된 급배기공을 통한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공급 및 배기에 의해 팽창과 수축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팽창수축부(124)의 팽창 시에는 상기 패널(110)이 기립되어 상류측을 담수화할 수 있으며, 수축 시에는 상기 패널(110)이 도복되어 상류측의 담수를 하류측으로 방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상고정부(122)는 상기 팽창수축부(124) 보다 폭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팽창수축부(124)의 폭은 패널(1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역전도방지부(160)의 패널(110)에의 결합 위치에 따른 상기 역전도방지부(160)와 상기 에어백(120)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패널(110)의 기립 및 도복 시 상기 역전도방지부(160)가 에어백(12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패널(110) 및 하상(W1)에는 상기 패널(110)의 역전도를 방지하는 역전도방지부(160)의 일측단 및 타측단이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역전도방지부(160)는 일종의 탄성을 구비하는 러버로 상기 패널(110)의 폭 방향 양측의 하류측면의 에어백(120)의 팽창 범위 이내의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110)의 기립 및 도복 시 상기 역전도방지부(160)가 상기 에어백(12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팽창수축부(124)는 상기 역전도방지부(160)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팽창수축부(124)의 폭을 하상고정부(122)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역전도방지부(160)를 패널(110)의 하부측에 결합하여 수위 조절 장치(100)의 외관상 수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팽창수축부(124)의 폭 조절로 인하여 상기 역전도방지부(160)와 에어백(120) 간의 간섭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에어백(120)의 팽창에 의한 패널(110)의 기립 시 상기 패널(110)은 이탈방지고정부(130)에 의해 상기 에어백(120)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고정부(130)는 상기 에어백(120) 및 상기 패널(110)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방지고정부(130)는 러버 재질 또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에어백(120)의 하상고정부(122)에 체결되는 에어백고정부(132) 및 패널(110)에 체결되어 상기 패널(110)의 기립과 연동되는 패널고정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널고정부(134)는 상기 패널(110)의 상류측 하부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110)은 상기 패널고정부(134)와 에어백(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탈방지고정부(130)는 패널삽입공간부(13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삽입공간부(136)는 상기 에어백고정부(132) 및 상기 패널고정부(134)를 연결하며, 상기 패널(110)이 에어백(120)의 팽창수축부(124)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패널(110)의 삽입 공간을 제공토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고정부(130)의 에어백고정부(132)는 별도의 결합증대부(170)에 의해 에어백(120)과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증대부(170)는 일종의 상기 에어백고정부(132)의 가압부재로,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일종의 스틸 판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고정부(132)는 상기 결합증대부(170)에 의해 가압된 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에어백(120)의 하상고정부(1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B)는 하상(W1)에 삽입된 채 하상(W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에어백(120)의 하상고정부(122), 이탈방지고정부(130)의 에어백고정부(132) 및 결합증대부(170)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기 너트(N)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트(B)는 일종의 앵커볼트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에어백(120)을 하상(W1)에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고정부(130)의 패널고정부(134)는 상기 에어백고정부(132)와 마찬가지로 상기 결합증대부(170)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인 결합고정부(180)에 의해 상기 패널(110)의 하부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고정부(134)는 상기 결합고정부(180)에 의해 가압된 채 적어도 하나의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상기 패널(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트(B)는 패널(110)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B)는 상기 패널고정부(134) 및 상기 결합고정부(180)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너트(N)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고정부(132) 및 상기 패널고정부(134)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에어백(120)과 상기 패널(110)은 서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널(110)의 기립 상기 패널고정부(134)도 상기 패널(110)의 기립에 의해 회동될 수 있으며, 이는 에어백고정부(132)를 기준으로 상기 에어백고정부(132)와 상기 패널고정부(134)를 연결하는 패널삽입공간부(136)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삽입공간부(136)는 상기 패널고정부(134)와 에어백(120)의 팽창수축부(124) 사이에 패널(110)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고정부(134)를 상기 에어백고정부(132)로부터 높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패널삽입공간부(136)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고정부(130)는 패널(110)의 도복 시 "Z"자와 유사한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이탈방지고정부(130)는 상기 에어백(110)과 패널(120)의 하부측 단부의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일종의 실링부재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00)는 적어도 2이상의 패널(110)을 하천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하여 상류측의 하천수 등을 담수하기 위해 패널(110)과 패널(110) 사이의 경계 및 패널(110)과 측벽(W2) 사이의 경계를 통한 누수가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패널(110)과 패널(110) 사이, 즉, 이웃하는 패널(110)의 가장자리에는 패널간실링부(14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간실링부(140)는 패널간실링가압부(150)에 의해 상기 패널(110)의 가장자리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널간실링가압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상기 패널간실링부(140)를 상기 패널(11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패널간실링부(140)는 패널(110)의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트(B)는 패널(110)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B)는 상기 패널간실링부(140) 및 상기 패널간실링가압부(150)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너트(N)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패널간실링부(140)의 하부측 단부는 이탈방지고정부(130)의 에어백고정부(13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에어백(120)의 공기 급기로 인한 패널(110) 기립 시 패널(110)과 패널(110) 사이를 통한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패널(110) 기립 시 패널(110)과 측벽(W2) 사이의 경계를 통한 누수 방지를 위해 측벽(W2)과 이웃하는 패널(110)의 가장자리에는 유체 유동 차단 부재(19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유체 유동 차단 부재(19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유체 유동 차단 부재를 패널의 하부측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유체 유동 차단 부재를 패널의 상류측면을 통해 바라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유체 유동 차단 부재를 측벽측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더 참조하면, 상기 유체 유동 차단 부재(190)는 체결부(192), 접촉부(194) 및 기밀부(19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192)는 기립의 정도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상기 패널(110)에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며, 체결가압부(155)에 의해 상기 패널(110)의 가장자리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가압부(15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상기 체결부(192)를 상기 패널(11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볼트(B)는 패널(110)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192) 및 체결가압부(155)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너트(N)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94)는 상기 체결부(192)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진 채로 상기 패널(1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벽(W2)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측벽(W2)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94)의 경사진 방향은 상기 패널(110)의 기립 방향을 향한 방향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상기 접촉부(194)의 끝단은 상류측을 향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110)의 기립 시 상류측의 수압에 의해서도 상기 접촉부(194)와 상기 측벽(W2)은 서로 이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접촉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기밀부(196)는 상기 접촉부(19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패널(110)의 기립 시 상기 패널(110)과 상기 측벽(W2) 사이로의 유체의 유동을 차단하는 상기 유체 유동 차단 부재(190)의 일구성요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부(194) 및 기밀부(196)는 상기 패널(110)의 기립 및 도복 시 탄성력에 탄력지지되어 항상 측벽(W2)과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기밀부(196)는 상기 패널(110)의 기립 시 패널(110)의 하부측 가장자리와 측벽(W2) 사이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밀부(196)는 상기 접촉부(194)의 일측단부로부터 측벽(W2)을 향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가 상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밀부(196)의 측벽을 향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부(194)의 일측단부로부터 증가하는 정도는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일 수 있으며, 상기 패널(110)이 기립되는 경우 상기 기밀부(196)의 단부는 이탈방지고정부(130)의 에어백고정부(132)와 결합되는 결합증대부(155)와 접촉되어 상류측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패널(110)이 기립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194)는 측벽(W2)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접촉부(194)만으로 패널(110)의 측면과 측벽(W2) 사이의 누수는 방지될 수 있으나, 패널(110)과 측벽(W2) 사이의 하부측을 통한 누수는 방지할 수 없게 된다.
즉, 패널(110)이 기립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194) 만으로는 상기 패널(110)과 측벽(W2) 사이의 하부측에는 미세한 틈이 발생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틈을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00)는 기밀부(196)에 의해 밀폐를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누수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인 도 10 및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의 누수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 개략도인 도 11을 참조하면, 더욱 명확해진다.
수위 조절 장치(100)의 패널(110)은 일반적으로 기립 각도가 약 최대 80도 이내의 범위내에서 구현되며, 기밀부(196)가 없이는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과 측벽 사이의 하부측에 발생되는 미세한 틈(G)을 밀폐시킬 수는 없게 된다.
결국,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110)이 기립되는 경우 접촉부(194)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기밀부(196)가 결합증대부(155)와 탄성지지되어 접촉하게 되어 패널(110)과 측벽(W2) 사이의 하부측을 통한 유체의 유동을 방지하여 누수라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패널(110)의 기립 시 상기 기밀부(196)와 접촉되는 구성요소는 상기 결합증대부(15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탈방지고정부(130)의 에어백고정부(132) 또는 에어백(120)의 하상고정부(122)에 접촉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체 유동 차단 부재(190)의 접촉부(194)는 상기 체결부(194)와의 경계인 일측보다 타측이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유체 유동 차단 부재(190)는 패널(1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채 이탈방지고정부(130)와 겹쳐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패널(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유체 유동 차단 부재를 패널의 하부측에서 바라본 개략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유체 유동 차단 부재를 패널의 상류측면을 통해 바라본 개략도이다.
또한, 도 19 및 도 2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유체 유동 차단 부재를 측벽측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12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200)는 유체 유동 차단 부재(290) 및 이탈방지고정부(23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유체 유동 차단 부재(290) 및 상기 이탈방지고정부(23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유체 유동 차단 부재(290)는 체결부(292), 접촉부(294) 및 기밀부(29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292)로부터 연장되어 패널(210)의 기립을 위한 에어백(220)과 체결되는 연장부(2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297)는 패널(210)의 삽입 공간을 제공하는 공간형성부(298)에 의해 상기 체결부(292)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연장부(297), 상기 공간형성부(298) 및 상기 체결부(292)는 이탈방지고정부(230)의 에어백고정부(232), 패널삽입공간부(236) 및 패널고정부(234)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유체 유동 차단 부재(290)와 이탈방지고정부(230)는 측면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유체 유동 차단 부재(290)와 이탈방지고정부(230)가 대면하는 측면은 설계상의 오차를 수반하여도 무방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체 유동 차단 부재(29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동 차단 부재(190)에 이탈방지부(130)의 구성이 더해진 개념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2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패널(210)이 기립되는 경우 접촉부(292)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기밀부(296)가 결합증대부(270)와 탄성지지되어 접촉하게 되어 패널(210)과 측벽(W2) 사이의 하부측을 통한 유체의 유동을 방지하여 누수라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밀부(296)는 상기 결합증대부(270)가 측벽(W2)까지 연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에어백(220)의 하상고정부(222) 또는 별도의 부재인 유동차단부(115)에 접촉될 수도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유동차단부(115)는 하상고정부(222)의 일면 또는 하상(W1)에 결합되어 에어백(210)의 높이 및 결합증대부(270)의 높이로 인한 에어백(220)과 측벽(W1)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는 부재일 수 있으며, 결국, 패널(210)이 기립되는 경우 기밀부(286)가 접촉되어 패널(210)과 측벽(W1) 사이의 하부측을 통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가 도복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300)는 이탈방지고정부(330) 및 에어백(320)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00, 2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이탈방지고정부(330) 및 상기 에어백(320) 이외의 설명은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300)에 제공되는 이탈방지고정부(330)는 상기 에어백(3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방지고정부(330)의 에어백고정부(332)와 상기 에어백(320)의 하상고정부(32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고정부(330)의 패널삽입공간부(336)는 패널(310)의 기립을 위한 힌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22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가 도복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400)는 패널고정부(434)의 기립을 지지하는 지지부(405)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00~3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지지부(405)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부(405)는 이탈방지고정부(430)의 패널삽입공간부(436) 및 패널고정부(434)에 체결되어 패널(410)의 기립에 따른 상기 패널고정부(434)의 회동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 일종의 경첩일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405)는 상기 패널(410)의 반복적인 기립 및 도복으로 인한 패널삽입공간부(436)와 패널고정부(434)의 경계 부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폭 방향으로의 길이 및 갯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500)는 패널(510)의 하류면에 체결되는 보조체결부(502)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00~4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보조체결부(502)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보조체결부(502)는 하나의 패널(510)과 이웃하는 패널(510)의 하류면에 동시에 체결되어 상기 패널(510)들의 기립을 연동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패널(510)과 패널(510)를 연결하는 일종의 보조 연결수단일 수 있다.
즉, 패널(510)과 패널(510)의 연동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이탈방지고정부 및 패널간실링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상기 보조체결부(502)에 의해 수압 등에 의한 패널(510)간의 분리를 완벽하게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6 실시예]
도 24는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25는 도 3의 EE선과 FF선 사이와 대응되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밀림방지부 및 밀림방지수용부의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60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00~500)를 포함하는 수위 조절 장치(600)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와는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수위 조절 장치(600)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600)는 패널(610)의 기립 및 도복 시 에어백(620)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밀림방지부(638) 및 밀림방지수용부(67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림방지부(638)는 결합증대부(670)와 이탈방지고정부(630)의 접촉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672)는 상기 밀림방지부(638)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부(638)는 상기 결합증대부(670)와 상기 이탈방지고정부(630)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672)는 나머지 하나의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부(638)는 상기 결합증대부(670)와 상기 이탈방지고정부(630)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면에는 상기 밀림방지수용부(672)가 모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림방지부(638)는 이탈방지고정부(638)의 일면 중 결합증대부(670)와 접촉되는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672)는 상기 결합증대부(670)의 일면 중 상기 이탈방지고정부(630)와 접촉되는 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림방지부(638)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672)는 패널(610)의 폭을 따라 소정 길이 연속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고정부(630)의 에어백고정부(632)를 에어백(620)의 하상고정부(622)에 체결하는 경우, 상기 에어백고정부(632)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밀림방지부(638)가 결합증대부(670)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밀림방지수용부(672)에 삽입된 채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에어백(620), 상기 이탈방지고정부(630) 및 결합증대부(670) 사이의 결합력은 극대화될 수 있다.
결국,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패널(610)의 반복적인 기립 및 도복 시 에어백(620)의 밀림, 즉, 하상(W1)으로부터의 상기 에어백(610)의 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위 조절 장치(600) 본연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림방지부(638)의 상기 밀림방지수용부(672)로의 삽입은 압입 방식인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합증대부(670)를 이탈방지고정부(630)에 안착시키는 경우 위치 고정을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에어백(620)의 밀림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밀림방지부(638a) 및 밀림방지수용부(672a)는 다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갯수 및 크기는 설계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밀림방지부(638a)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672a)의 단면은 구형의 일부 형상일 수 있으나, 다각형 등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브테일 형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밀림방지부(638b)가 상기 밀림방지수용부(672b)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삽입된다.
[제7 실시예]
도 28은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29는 도 3의 EE선과 FF선 사이와 대응되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밀림방지부 및 밀림방지수용부의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70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00~500)를 포함하는 수위 조절 장치(700)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와는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수위 조절 장치(700)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700)는 패널(710)의 기립 및 도복 시 에어백(720)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밀림방지부(738) 및 밀림방지수용부(7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특징을 제외하고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600)와 효과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부(738)는 결합증대부(770)의 일면 중 이탈방지고정부(730)와 접촉되는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772)는 상기 이탈방지고정부(730)의 중 상기 결합증대부(770)와 접촉되는 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림방지부(738)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772)는 패널(710)의 폭을 따라 소정 길이 연속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밀림방지부(738a) 및 밀림방지수용부(772a)는 다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갯수 및 크기는 설계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밀림방지부(738a)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772a)의 단면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일부 형상일 수 있으나, 다각형 등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브테일 형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밀림방지부(738b)가 상기 밀림방지수용부(772b)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삽입된다.
[제8 실시예]
도32는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33은 도 3의 EE선과 FF선 사이와 대응되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80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00~500)를 포함하는 수위 조절 장치(800)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와는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수위 조절 장치(800)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800)는 패널(810)의 기립 및 도복 시 에어백(820)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밀림방지부(838) 및 밀림방지수용부(8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특징을 제외하고는 제6 실시예 및 제7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600, 700)와 효과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800)는 패널(810)의 기립 및 도복 시 에어백(820)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밀림방지부(838) 및 밀림방지수용부(87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림방지부(838)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872)는 결합증대부(870)와 이탈방지고정부(830)의 접촉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밀림방지부(838) 및 밀림방지수용부(872)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밀림방지부(838)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872)는 상기 접촉면 중 하나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접촉면에는 반대의 구성요소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9 실시예 내지 제11 실시예]
도 34는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35는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36는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4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 내지 제1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900, 1000, 110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00~800)를 포함하는 수위 조절 장치(900, 1000, 1100)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와는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수위 조절 장치(900, 1000, 1100)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 내지 제11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900, 1000, 1100)는 패널(910, 1010, 1110)의 기립 및 도복 시 에어백(920, 1020, 1120)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밀림방지부(938, 1038, 1138) 및 밀림방지수용부(972, 1072, 11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특징을 제외하고는 제6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600~800)와 효과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부(938, 1038, 1138)는 이탈방지고정부(930, 1030, 1130)와 에어백(920, 1020, 1120)의 접촉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972, 1072, 1172)는 상기 밀림방지부(938, 1038, 1138)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부(938, 1038, 1138)는 상기 이탈방지고정부(930, 1030, 1130)와 상기 에어백(920, 1020, 1120)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972, 1072, 1172)는 나머지 하나의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밀림방지부(938)는 상기 이탈방지고정부(930)와 상기 에어백(920)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면에는 상기 밀림방지수용부(972)가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부(938)는 에어백(920)의 일면 중 이탈방지고정부(930)와 접촉되는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972)는 상기 이탈방지고정부(930)의 일면 중 상기 에어백(920)과 접촉되는 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림방지부(938)는 에어백(920)의 하상고정부(92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972)는 이탈방지고정부(930)의 에어백고정부(93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밀림방지부(1038)는 이탈방지고정부(1030)의 일면 중 상기 에어백(1020)과 접촉되는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1072)는 에어백(1020)의 일면 중 이탈방지고정부(1030)와 접촉되는 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림방지부(1038)는 이탈방지고정부(1030)의 에어백고정부(103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1072)는 에어백(1020)의 하상고정부(102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상기 밀림방지부(1138)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1172)는 이탈방지고정부(1130)와 에어백(1120)의 접촉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밀림방지부(1138) 및 밀림방지수용부(1172)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밀림방지부(1138)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1172)는 상기 접촉면 중 하나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접촉면에는 반대의 구성요소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12 실시예 내지 제14 실시예]
도 37은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38은 도 3의 EE선과 FF선 사이와 대응되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40은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7 내지 도 4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 내지 제14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200, 1300, 140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내지 제11 실시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00~1100)를 포함하는 수위 조절 장치(1200, 1300, 1400)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11 실시예와는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수위 조절 장치(1200, 1300, 1400)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 내지 제14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200, 1300, 1400)는 하상(W1)에 고정되고 에어백(1220, 1320, 1420)과 상기 하상(W1)의 고정을 매개하는 고정매개부(W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백(1220, 1320, 1420)과 상기 고정매개부(W3)의 접촉면에는 돌출 형성되는 밀림방지보조부(1238, 1338, 1438) 및 상기 밀림방지보조부(1238, 1338, 1438)가 삽입되는 밀림방지보조수용부(1272, 1372, 1472)가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기립 또는 도복 시 상기 에어백(1220, 1320, 142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림방지보조부(1238, 1338, 1438)는 상기 에어백(1220, 1320, 1420)과 상기 고정매개부(W3)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보조수용부(1272, 1372, 1472)는 나머지 하나의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면, 상기 밀림방지보조부(1238) 및 밀림방지보조수용부(1272)는 상기 에어백(1220)과 상기 고정매개부(W3)의 접촉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밀림방지보조부(1238) 및 밀림방지보조수용부(1272)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밀림방지부(1238)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1272)는 상기 접촉면 중 하나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접촉면에는 반대의 구성요소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림방지보조부(1238)는 고정매개부(W3)의 일면 중 에어백(1220)의 하상고정부(1222)와 접촉되는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보조수용부(1272)는 에어백(1220)의 하상고정부(1222)의 일면 중 상기 고정매개부(W3)와 접촉되는 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밀림방지보조부(1338)는 에어백(1320)의 하상고정부(1322)의 일면 중 고정매개부(W3)와 접촉되는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보조수용부(1372)는 고정매개부(W3)의 일면 중 상기 하상고정부(1322)와 접촉되는 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밀림방지보조부(1438) 및 상기 밀림방지보조수용부(1472)는 고정매개부(W3)와 에어백(1420)의 하상고정부(1422)의 접촉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밀림방지보조부(1438) 및 밀림방지보조수용부(1472)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밀림방지보조부(1438) 및 상기 밀림방지보조수용부(1472)는 상기 접촉면 중 하나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접촉면에는 반대의 구성요소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15 실시예]
도 41은 도 3의 EE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50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내지 제14 실시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 장치(100~1400)를 포함하는 수위 조절 장치(1500)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14 실시예와는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수위 조절 장치(1500)일 수도 있다.
이탈방지고정부(1530)의 패널고정부(1532)는 상기 패널고정부(1532)와 상기 패널(1510)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상기 패널(1510)의 기립 또는 도복 시 상기 패널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패널고정부(1532)의 일면 중 패널(1510)과 접촉되는 일면 및 결합고정부(1580)와 접촉되는 일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을 요철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패널고정부(1532)와 패널(1510)의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추가로, 패널고정부(1532)의 요철 형상은 이탈방지고정부(1530)와 에어백(152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수위 조절 장치
110: 패널
120: 에어백
130: 이탈방지고정부
140: 패널간실링부
150: 패널간실링가압부
155: 체결가압부
160: 역전도방지부
170: 결합증대부
190: 유체 유동 차단 부재
632: 밀림방지부
638: 밀림방지수용부

Claims (18)

  1. 기립의 정도에 의해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의 기립을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에어백;
    상기 에어백 및 상기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의 기립 시 상기 패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고정부; 및
    상기 이탈방지고정부를 가압하여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와 상기 에어백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합증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증대부와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의 접촉면 및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와 상기 에어백의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돌출 형성되는 밀림방지부 및 상기 밀림방지부가 삽입되는 밀림방지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기립 또는 도복 시 하상으로부터 상기 에어백의 밀림을 방지하는 수위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결합증대부와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나머지 하나의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위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와 상기 에어백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나머지 하나의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위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결합증대부와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모두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의 면에는 상기 밀림방지수용부가 모두 형성되는 수위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이탈방지고정부와 상기 에어백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모두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의 면에는 상기 밀림방지수용부가 모두 형성되는 수위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상기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동시에 형성되는 수위 조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위 조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상기 패널의 폭을 따라 소정 길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수위 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밀림방지수용부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삽입되는 수위 조절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 및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단면이 도브테일 형상인 수위 조절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하상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과 상기 하상의 고정을 매개하는 고정매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과 상기 고정매개부의 접촉면에는 돌출 형성되는 밀림방지보조부 및 상기 밀림방지보조부가 삽입되는 밀림방지보조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기립 또는 도복 시 상기 에어백의 밀림을 방지하는 수위 조절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보조부는 상기 에어백과 상기 고정매개부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림방지보조수용부는 나머지 하나의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위 조절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하상에 고정되는 하상고정부 및 외부로부터의 급기와 배기를 통해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팽창수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고정부는 상기 하상고정부에 체결되는 에어백고정부 및 상기 패널에 체결되어 상기 패널의 기립과 연동되는 패널고정부를 구비하는 수위 조절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고정부는 상기 에어백고정부 및 상기 패널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패널이 상기 팽창수축부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패널의 삽입 공간을 제공하는 패널삽입공간부를 구비하는 수위 조절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증대부는 상기 에어백고정부를 가압하며,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에어백고정부와 상기 결합증대부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나머지 하나의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위 조절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하상고정부와 상기 에어백고정부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림방지수용부는 나머지 하나의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위 조절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패널고정부는 상기 패널고정부와 상기 패널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상기 패널의 기립 또는 도복 시 상기 패널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인 수위 조절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고정부는 상기 하상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위 조절 장치.
KR1020120146129A 2012-12-14 2012-12-14 수위 조절 장치 KR101300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129A KR101300358B1 (ko) 2012-12-14 2012-12-14 수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129A KR101300358B1 (ko) 2012-12-14 2012-12-14 수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358B1 true KR101300358B1 (ko) 2013-08-28

Family

ID=4922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129A KR101300358B1 (ko) 2012-12-14 2012-12-14 수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35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335B1 (ko) * 2017-09-29 2018-08-16 (주)명보산업 클램핑 보호 기능이 향상된 수위 조절 장치
KR101885336B1 (ko) * 2017-09-29 2018-08-16 (주)명보산업 지수 성능이 향상된 수위 조절 장치
KR101896626B1 (ko) * 2017-09-29 2018-09-07 (주)명보산업 에어백 보호 기능이 향상된 수위 조절 장치
KR101900732B1 (ko) 2017-09-29 2018-09-20 (주)명보산업 클램핑 성능이 향상된 수위 조절 장치
KR102126936B1 (ko) * 2020-01-29 2020-06-25 주식회사 신정기공 지수고무 장착구
KR102387669B1 (ko) * 2021-12-29 2022-04-19 명보 주식회사 내구성이 향상된 수위조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227B1 (ko) 2000-01-19 2003-01-24 (주)화신엔지니어링 공압식 가동보
KR200316343Y1 (ko) 2003-03-05 2003-06-18 박관영 수위조절이 용이한 공압식 가동보
KR20110085067A (ko) * 2010-01-19 2011-07-27 주식회사 유일기연 접이식 가동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227B1 (ko) 2000-01-19 2003-01-24 (주)화신엔지니어링 공압식 가동보
KR200316343Y1 (ko) 2003-03-05 2003-06-18 박관영 수위조절이 용이한 공압식 가동보
KR20110085067A (ko) * 2010-01-19 2011-07-27 주식회사 유일기연 접이식 가동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335B1 (ko) * 2017-09-29 2018-08-16 (주)명보산업 클램핑 보호 기능이 향상된 수위 조절 장치
KR101885336B1 (ko) * 2017-09-29 2018-08-16 (주)명보산업 지수 성능이 향상된 수위 조절 장치
KR101896626B1 (ko) * 2017-09-29 2018-09-07 (주)명보산업 에어백 보호 기능이 향상된 수위 조절 장치
KR101900732B1 (ko) 2017-09-29 2018-09-20 (주)명보산업 클램핑 성능이 향상된 수위 조절 장치
KR102126936B1 (ko) * 2020-01-29 2020-06-25 주식회사 신정기공 지수고무 장착구
KR102387669B1 (ko) * 2021-12-29 2022-04-19 명보 주식회사 내구성이 향상된 수위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358B1 (ko) 수위 조절 장치
US7281879B2 (en) Portable flood-barriers system
US7445403B2 (en) Liquid barrier assembly and connector therefor
JP2001525025A (ja) 液体せき止め保護堤防を形成するためのせき止め装置
JP4749987B2 (ja) 仮締切用作業函
KR101998105B1 (ko)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307701B1 (ko) 유체 유동 차단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위 조절 장치
KR101698916B1 (ko) 응급 물막이 장치를 이용한 차수벽 시공방법
KR100668505B1 (ko) 유압식 가동보
KR100669151B1 (ko) 공압식 가동보
JP2717564B2 (ja) ラバーダム
JP5066054B2 (ja) 汚濁拡散防止装置
JP2005076277A (ja) 起伏ゲート
KR200333085Y1 (ko) 공압식 가동보의 저류수 배출장치
KR20060078727A (ko)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KR200316343Y1 (ko) 수위조절이 용이한 공압식 가동보
KR101930002B1 (ko) 저류수 배출 성능이 향상된 수위 조절 장치
JP2008075408A (ja) 矢板壁護岸
KR200316356Y1 (ko) 공압식 가동보의 물흐름 유도장치
KR102103488B1 (ko)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JP4274322B2 (ja) 管状可撓膜製膨張堤体の固定装置及び該固定装置を用いた管状可撓膜製膨張堤構造体の敷設方法
KR200384303Y1 (ko) 공압식 가동보
KR200340987Y1 (ko) 어도가 형성되고 심층수 배출이 용이한 공압식 가동보
KR101896626B1 (ko) 에어백 보호 기능이 향상된 수위 조절 장치
KR101885335B1 (ko) 클램핑 보호 기능이 향상된 수위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