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395B1 - 무기물 및 유기물의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기물 및 유기물의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395B1
KR101299395B1 KR1020120144121A KR20120144121A KR101299395B1 KR 101299395 B1 KR101299395 B1 KR 101299395B1 KR 1020120144121 A KR1020120144121 A KR 1020120144121A KR 20120144121 A KR20120144121 A KR 20120144121A KR 101299395 B1 KR101299395 B1 KR 101299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
inorganic
washing
coating
dis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용
김상헌
김규천
Original Assignee
김상헌
조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헌, 조성용 filed Critical 김상헌
Priority to KR102012014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08Bone, e.g. demineralised bone matrix [DBM], bone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4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in the body
    • A61L27/3645Connective tissue
    • A61L27/365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otan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 결손을 치료하기 위하여, 치아를 이용한 무기물, 유기물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골 이식재 제조 공정에서 이식재의 무기물과 유기물 함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물 및 유기물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아골 이식재에 있어서, 1차 소독, 디자인, 탈무기물 또는 탈유기물, 코팅재 제거, 탈단백질과 중화, 1차 세척, 탈지방, 2차 세척, 3차 세척, 건조, 파쇄 또는 천공과 성형, 4차 세척, 소독, 동결건조 및 멸균소독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련의 제조단계의 조합으로 무기물 및 유기물 함유량이 조절된 이식재를 파우더 형태 또는 블럭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기물 및 유기물의 구성비율을 조절하여 치조골 결손 형태에 따른 적합한 성분을 제공함에 따라, 빠른 골 개조과 볼륨을 제공하여, 시술자에게는 적절한 이식재 사용과 차기 시술을 정밀하게 계획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는 고통을 줄여주고 심미성과 빠른 치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기물 및 유기물의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Adjust the proportion of inorganic and organic teeth bone graft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치조골 결손을 회복하기 위하여, 치아를 이용한 무기물 및 유기물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골 이식재 제조 공정에서 이식재의 무기물과 유기물 함유량을 제어하여, 골유도와 골전도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조골 이식 대체재(Bone grafting substitute, BGS)란 여러 가지 치과질환 또는 외상, 질병에 의한 퇴화 또는 기타 조직의 손실로 인하여 뼈 조직의 결손부가 생긴 경우, 이를 대체하여 뼈 조직 내의 공간을 충진 시키고 신생골의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이식재를 말한다.
치조골 결손 치료에 사용되는 이식재는 가루형태의 파우더와 일정한 형태를 갖춘 블록 형태로 구분한다. 파우더 형태는 일련의 제조과정을 거쳐 이식재를 파쇄하여 가루형태로 제조한 것으로서, 치조골 결손부분이 적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공지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10-2010-0040427, KR 10-2011-0092477과 KR 10-2010-0134306 등이 있다. 블록 형태는 치조골 결손부분이 많아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공간을 충진할 경우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공지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KR 10-1062381과, KR 10-0978562 등이 대표적이다.
치아골 이식재를 사용하는 경우는 두가지 목적을 가진다.
첫째는 결손된 치조골을 복원하면서 함몰된 치조골의 원형을 복원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무기물이 높은 골 이식재를 사용하여, 골전도(Osteoconduction) 기능을 높여 신생골이 형성되는 동안 이식재의 체적 소실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치조골을 함몰된 치조골 복원을 목적으로 한다.
두번째는 유기물이 높은 치아골 이식재를 사용하여, 치아골 이식재의 체적손실과 무관한 치조골 결손부위에 이식하여 빠르게 기존 치조골에 흡수되어 치아골 성장인자를 유도하여 골개조 시간을 단축하는 골유도(Osteoinduction)기능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기술은 치아골 이식재의 구성성분의 무기물과 유기물의 함유량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일련의 처리과정을 거쳐 제조한다. 상기 이식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결손된 치조골을 치료하는 의료기관에서는 이식재의 체적감소율, 골유도를 예측할 수 없어, 과도한 양의 이식재를 투입한다. 그로 인해 시술한 환자는 장기간 고통을 참아야 하고, 빠른 골유도가 이루어지지 않아 다음 단계의 시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등록특허(KR 10-1175051, 등록일자 2012.08.10.)의 기술을 이용하여 치아골 이식재의 무기물과 유기물의 비율을 조절하여, 치조골 결손 형태에 따른 기능성 치아골 이식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체 치조골은 무기물 함유가 높은 피질골(Cotical bone)과 유기물 함유량이 높고, 스폰지 행태의 해면골(Cancellous bone)로 이뤄져 있다.
공지된 종래기술은 탈무기물과정을 거치면서 해면골 또는 스폰지 형태로만 제조되어, 심각하게 결손된 치조골에 시술할 경우, 신생골로 형성시 이식재를 감싸고 있는 피부의 장력과, 치조골과 유합되면서 일부 생체흡수되어 6내지 12개월 경과 이후에는 최초 이식 대비 체적이 50%정도 소실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단순한 치조골 결손에 무기물 함유량이 높은 뼈이식재를 이식하는 경우 골화 속도가 늦어 필요한 시간내에 치료를 마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무기물과 유기물의 함유 비율을 조정한 형태의 치아골 이식재는 치조골 결손상태에 따른 선택적 치료가 가능하며, 기대하는 치료결과에 따라 빠른 임플란트 치료를 마칠 수 있다. 또한 블록 형태와 파우더 형태로 만들 수 있어 복합적인 치조골 결손에도 대처할 수 있는 복합 기능형 이식재 이다.
1. KR 10-2010-0040427, '자기 치아를 이용한 치료방법 및 치아 처리방법', (공개일자, 2010.04.20.) 2. KR 10-2011-0092477, '치아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공개일자, 2011.08.18.) 3. KR 10-2010-0134306, '탈회골(DBM)을 포함하는 골 충진재의 제조방법', 2010.12.23. 4. KR 10-1062381,'자기 또는 동종치아를 이용한 블록막 이식재 및 그의 가공방법', (등록일자:2011.08.30.) 5. KR 10-0978562, '스폰지형 골 이식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등록일자: 2010.08.23.) 6. KR 10-1175051, '치아 블록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등록일자, 2012.08.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기술의 단순한 처리과정을 거친 치아골 이식재가 갖는 충진제의 기능을 벗어나, 치아골 이식재의 무기물과 유기물의 함유량을 조절하여, 치조골의 결손형태에 따라 환자 또는 시술자가 원하는 골유도와 골전도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기물, 유기물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조골 결손상태에 따른 선택적 치료가 가능하며, 기대하는 치료결과에 따라 빠른 임플란트 치료를 마칠 수 있다. 또한 블록 형태와 파우더 형태로 만들 수 있어 복합적인 치조골 결손에도 대처할 수 있는 복합 기능형 이식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의 무기물 및 유기물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제조방법은 치아골 이식재에 있어서, 치아골 이식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가, 이종, 동종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치아와, 상기 치아의 병균을 제거하고, 치석과 연조직을 제거하는 1차 소독(10); 상기 1차 소독(10)단계 이후, 블록형태의 이식재로 절단하는 디자인(20); 상기 디자인(20)단계 이후, 무기물과 유기물 함유비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탈무기물 용액이 치아와 접촉하지 않도록 치아의 일부분을 코팅하는 코팅(30); 상기 코팅(30)단계 이후, 무기물을 제거하는 탈무기물(40); 상기 탈무기물(40)단계 이후, 코팅(30)단계에 부착된 코팅재를 제거하는 코팅재 제거(50); 상기 코팅재 제거(50)단계 이후, 탈무기물 용액을 중화시키면서, 단백질을 제거하는 탈단백질과 중화(60); 상기 탈단백질과 중화 단계(60) 이후, 세척하는 1차 세척(70); 상기 1차 세척(70)단계 이후, 지방을 제거하는 탈지방(80); 상기 탈지방(80)단계 이후, 세척하는 2차 세척(90)과 3차 세척(100): 상기 3차 세척(100)단계 이후, 건조하는 건조(110); 상기 건조(110)단계 이후, 이식재를 가루형태로 파쇄하는 파쇄(120); 상기 파쇄(120)단계 이후, 세척하는 4차 세척(130); 상기 4차 세척(130)단계 이후, 소독하는 소독(140); 상기 소독(140)단계 이후, 동결건조 및 멸균소독 단계(150)를 포함하고, 상기 소독(140)단계 이후, 잔존하는 시약이 없어질때 까지 추가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파우더 형태로 유기물 함유량이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무기물(40)단계를 유기물을 제거하는 탈 유기물(41)로 대체하고; 상기 탈단백질과 중화(60)단계를 단백질을 제거하는 탈 단백질(61)과, 상기 탈 단백질(61)단계 이후, 중화(62)단계로 대체하여 파우더 형태로, 무기물 함유량이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련 과정으로 무기물과 유기물의 함유량이 조절된 이식재에 있어서, 상기 파쇄(120)단계를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이식재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고, 블럭 형태를 디자인하는 천공과 성형(160)단계로 대체하여 무기물과 유기물의 함유량이 조절된 블럭형 치아골 이식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기술은 이식재 체적 소실되는 것을 고려하여 더 많은 이식재를 삽입하여 환자에게 고통과 불균형의 잇몸을 제공하는 반면, 본 발명은 무기물과 유기물의 구성비율을 조절하여 치조골 결손 형태에 따른 적합한 성분을 제공함에 따라, 빠른 골 개조(Bone remodelling)과 볼륨을 제공하여, 시술자에게는 적절한 이식재 사용과 차기 시술을 정밀하게 계획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는 고통을 줄여주고 심미성과 빠른 치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기물 구성성분이 높은 치아 골 이식재는 부피와 공간을 오랫동안 제공해 주고, 유기물 구성성분이 높은 치아 골 이식재는 골 성장인자를 유도하여 골개조 시간을 단축하여 임플란트 치료를 효과적,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자가 치아를 이용할 경우에는, 자신의 치아를 사용함으로 이종(동물) 이식재의 전염성 질환의 전이를 예방하고, 자가 치아는 면역 거부 반응 없는 안전하고, 경제적인 시술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조공정도
도 2는 치아 코팅면 정의 개념도
도 3은 성형전의 치아의 일실시예
도 4는 1차 소독 및 성형후의 치아의 일실시예
도 5는 2면 코팅된 치아의 일실시예
도 6은 5면 코팅된 치아의 일실시예
도 7은 탈 유기물 100% 전과 후 치아의 일실시예
도 8a는 탈 무기물 100% 전과 후 치아의 일실시예
도 8b는 탈 무기물 100%의 파우더 형태 이식재의 일실시예.
도 9는 탈 유기물 100%의 파우더 형태 이식재의 일실시예
도 10은 탈 유기물 100%의 블럭 형태 이식재의 일실시예
도 11은 피질골과 해면골의 개념도
도 12는 탈무기물(40) 자체 실험결과의 일실시예
도 13은 탈유기물(41) 자체 실험결과의 일실시예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당업자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경가능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동일한 발명이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은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규정하는 바의 규칙에 의거하며, 본 발명의 동종치아는 기증자(시체)의 치아와 치과진료 중 발취하여 버려지는 치아들 중에서 기증되는 것으로 국한된다.
치아는 무기물과 유기물로 구분되며, 무기물을 제거하면 상대적으로 유기물을 함유량이 높아지고 스폰지 형태의 해면골을 형성하여, 이식과정에서 기존 치조골에 흡수(체적이 감소)되면서 신생골을 형성하는 골유도(Osteoinduction)성이 높아진다.
반면, 치아에서 유기물을 제거하면 상대적으로 무기물 함유량이 높아져서, 피질골과 같이 골전도(Osteoconduction)이 높고, 이식과정에서 체적 감소가 발생하지 않아 원형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치아 면 코팅기술과 탈무기물과정 또는 탈유기물과정으로 이식재의 무기물과 유기물 함유량을 조절할 수 있고, 면 코팅 기술로 피질골과 해면골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치아골 이식재에 있어서, 치조골의 결손형태에 따라 치조골과 동일한 성분인 무기물(ACP, OCP, TCP)과 유기물(Type1 콜라젠)의 함유량으로 원하는 비율로 조절하여 빠른 골 개조(Bone remodelling)과 볼륨, 공간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의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치아골 이식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가, 이종, 동종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치아와, 상기 치아의 병균을 제거하고, 치석과 연조직을 제거하는 1차 소독(10); 상기 1차 소독(10)단계 이후, 블록형태의 이식재로 절단하는 디자인(20); 상기 디자인(20)단계 이후, 무기물과 유기물 함유비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탈무기물 용액이 치아와 접촉하지 않도록 치아의 일부분을 코팅하는 코팅(30); 상기 코팅(30)단계 이후, 무기물을 제거하는 탈무기물(40); 상기 탈무기물(40)단계 이후, 코팅(30)단계에 부착된 코팅재를 제거하는 코팅재 제거(50); 상기 코팅재 제거(50)단계 이후, 탈무기물 용액을 중화시키면서, 단백질을 제거하는 탈단백질과 중화(60); 상기 탈단백질과 중화 단계(60) 이후, 세척하는 1차 세척(70); 상기 1차 세척(70)단계 이후, 지방을 제거하는 탈지방(80); 상기 탈지방(80)단계 이후, 세척하는 2차 세척(90)과 3차 세척(100): 상기 3차 세척(100)단계 이후, 건조하는 건조(110); 상기 건조(110)단계 이후, 이식재를 가루형태로 파쇄하는 파쇄(120); 상기 파쇄(120)단계 이후, 세척하는 4차 세척(130); 상기 4차 세척(130)단계 이후, 소독하는 소독(140); 상기 소독(140)단계 이후, 동결건조 및 멸균소독 단계(150)를 포함하고, 상기 소독(140)단계 이후, 잔존하는 시약이 없어질때 까지 추가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파우더 형태로 유기물 함유량이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아골 이식재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환자에게서 채취한 치아의 병균을 제거하고, 치석과 연조직 등을 제거하는 1차 소독(10) 단계는 치아를 10 내지 35%의 과산화수소 약물에 1 내지 10시간 이상 담군 후, 10 내지 300 RPM의 진동 기계에 올려 1 내지 20 시간 이상 교반작업을 통해 치아 외부의 병균을 제거하는 1차 소독과, 치아에 부착되어 있는 치석, 연조직 등을 1차적으로 제거한다.
상기 디자인(20)단계는, 치아를 코팅하기 쉬운 적당한 이식재 크기로 절단한다. 또한 1차 소독(10)단계에서 제거하지 못한 치아에 붙어 있는 치석, 연조직, 치아 신경 등을 깨끗하게 제거한다.
상기 코팅(30)단계는, 무기물과 유기물의 함유비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치아의 1-5면에 코팅재를 도포한다. 상기 코팅재는 탈무기물 또는 탈 유기물 작업기간동안 약물작용을 세밀하게 통제한다. 1면 코팅에 비하여 5면 코팅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나 정밀하게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재는 접착성을 갖으며, 화학적 구조가 안정된 재료이며, 가공 약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이여야 한다.
도 2는 치아 코팅면 정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치아를 육면체 형태로 정의하고, 코팅되는 면의 개수에 따라 1면 코팅, 2면 코팅……6면 코팅으로 정의한다. 일실시예로 도 2를 참조하면 (a)는 1면만 코팅되어 1면 코팅이며, (b)는 2개의 면이 코팅되어 2면 코팅으로 정의한다.
도 5는 2면 코팅된 치아의 일실시예이며, 도 6은 5면 코팅된 치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탈무기물(40) 단계는, 치아에서 무기물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으로서, 1 내지 20%의 구연산과 1 내지 50%의 염산을 주원료로 하는 혼합용액을 사용한다. 상기 혼합용액은 디자인된 이식재 부피의 20 내지 40배가 적당하다. 탈무기물 작업은 상기 혼합용액에 코팅을 하지 않은 해면골 부위의 칼슘 잔존량이 1 내지 50%가 될 때까지 2 내지 48 시간을 담구고, 동시에 10 내지 300 RPM의 진동 기계에 올려 교반을 시행한다.
도 12는 탈무기물(40)의 자체 실험결과의 일실시예이다. 본 출원인이 자체실험한 결과로서, 염산 5%와 구연산 2%의 혼합용액에 교반을 실시하여 5면 코팅된 이식재와 4면 코팅된 이식재의 유기물과 무기물 함유량을 시간단위로 계측한 것이다.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팅면이 증가함에 따라 용액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들어 무기물과 유기물 함유량을 조절하는데 시간이 길어지며, 서서히 반응함을 알 수 있다. 일례로서, 5면 코팅의 경우에는 100% 무기물 또는 유기물로 변화하기까지는 최대 4일이 소요된다.
상기 코팅재 제거(50) 단계는, 상기 코팅(30) 단계에 도포된 코팅재를 물리적 작업으로 코팅 부위를 깨끗이 제거한다.
상기 탈단백질과 중화(60)단계는, 수산화 나트륨(Naoh)을 사용하여, 물과 염화나트륨(Nacl)으로 중화되면서, 이식재에 잔재하는 단백질을 제거한다.
상기 1차 세척(70) 단계는, 멸균 증류수를 이용하여 이식재 부피의 20 내지 40배의 멸균 증류수에 담구고, 10 내지 300 RPM의 진동 기계에 올려 10분 이상 교반을 실시한다.
상기 탈지방(80)단계는, 상기 멸균 증류수를 완전히 제거 후, 50 내지 100% 트리클로로메탄 용액에 담군 후, 10 내지 300RPM의 진동 기계에 올려 1 내지 20시간 이상 교반을 실시한다.
상기 2차 세척(90)과 3차 세척(100)단계는, 멸균 증류수를 이용하여 이식재 부피의 20 내지 40배의 멸균 증류수에 담구고, 10 내지 300 RPM의 진동 기계에 올려 10분 이상 교반을 실시한다.
상기 건조(110)단계는, 멸균 증류수를 완전히 제거 후 100% 에틸알콜에 담군 후 10 내지 300RPM의 진동 기계에 올려 1 내지 20 시간 이상 교반을 실시한다.
상기 파쇄(120)단계는, 이식재를 파우더(가루) 형태로 가공하기 위하여,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한다.
상기 4차 세척(130)단계는,상기 세척(70)와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한다. 상기 세척된 치아에 잔존 가공약물을 완전히 제거할 때까지 추가 세척작업이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소독(140)단계는, 과산화수소를 이용하며 10 내지 35%의 과산화수소에 1 내지 10시간 이상 담군 후, 10 내지 300RPM의 진동 기계에 올려 1 내지 10시간 이상 교반을 실시한다.
상기 동결건조와 멸균(150) 단계는, 동결건조기에 이식재를 넣고, 1 내지 20시간 이상 동결 건조시킨 후, 방사선이나 EO가스 소독기에 넣어 멸균한다.
파우더 형태의 이식재는 치조골 결손부분이 적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치조골을 5면의 사각으로 정의 하였을 때 1-3면이 없는 경우나 상악동(Sinus)에 뼈이식을 시행할 때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이식재의 무기물의 함유율을 높여 골전도을 향상시켜, 신생골이 형성되는 동안 이식재의 체적 소실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탈무기물(40)단계를 유기물을 제거하는 탈 유기물(41)로 대체하고; 상기 탈단백질과 중화(60)단계를 탈유기물 용액을 중화시키는 중화(61);와, 상기 중화(61)단계 이후, 단백질을 제거하는 탈 단백질(62)단계로 대체하여 파우더 형태로, 무기물 함유량이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 유기물(41)단계는, 1내지 99%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또는 빙초산을 주원료로 하는 혼합용액을 사용한다. 상기 혼합용액은 디자인된 이식재 부피의 20 내지 40배가 적당하다. 상기 혼합용액에 2 내지 48 시간을 담구고, 동시에 10 내지 300 RPM의 진동 기계에 올려 교반을 시행한다.
도 13은 탈유기물(41)의 자체실험 결과 일실시예이다. 본 출원인이 자체실험한 결과로서, 수산화나트륨, 빙초산 및 치아염소산나트륨의 혼합용액에 교반을 실시하여 5면 코팅된 이식재와 1면 코팅된 이식재의 유기물과 무기물 함유량을 시간단위로 계측한 것이다.
도 13은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팅면이 증가함에 따라 용액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들어 무기물과 유기물 함유량을 조절하는데 시간이 길어지며, 서서히 반응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탈유기물과 탈무기물의 반응시간이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상기 탈 단백질(62)단계는, 1내지 99%의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한다. 이식재 부피의 20 내지 40배의 혼합용액에 2 내지 20 시간을 담구고, 동시에 10 내지 300 RPM의 진동 기계에 올려 교반을 시행한다.
상기 중화(61)단계는 1내지 50%의 염산용액을 사용하여 물과 염화나트륨으로 중화한다.
본 발명에서 유기물과 무기물 함유량을 조절하며, 피질골과 해면골을 구비한 블럭형태의 치아골 이식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가루형태로 파쇄(120)하는 단계를 없애고, 이식재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는 천공과 성형(120)하여 이식재를 블럭형태로 제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기물과 유기물의 함유량이 조절된 이식재에, 상기 파쇄(120)단계를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이식재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고, 블럭 형태를 디자인하는 천공과 성형(160)단계로 대체하여 무기물과 유기물의 함유량에 조절된 블럭 형태의 치아 골 이식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공과 성형(160) 단계는,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천공작업으로 다수의 구멍으로 해면골을 형성한다. 레이져, 드릴등의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0.5 내지0.8mm 이하의 사각형의 일정 패턴으로 치밀한 구멍을 형성한다. 보통 이식재 1개당 30 내지 80개의 구멍을 형성한다.
1: 미코팅 면, 2: 코팅 면, 4: 탈 유기물 과정 이전의 치아, 5: 탈 유기물 과정 이후의 치아, 6: 탈 무기물 과정 이전의 치아, 7: 탈 무기물 과정 이후의 치아, 10: 1차 소독, 20: 디자인, 30: 코팅, 40: 탈무기물, 41: 탈 유기물, 50:코팅재 제거, 60: 탈 단백질과 중화, 62: 탈 단백질, 61: 중화, 70: 1차 세척, 80: 탈지방, 90: 2차 세척, 100: 3차 세척, 110: 건조, 111: 건조, 120: 파쇄, 130: 4차 세척, 150: 동결건조 및 멸균, 160: 천공과 성형

Claims (3)

  1. 치아골 이식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가, 이종, 동종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치아와, 상기 치아의 병균을 제거하고, 치석과 연조직을 제거하는 1차 소독(10);
    상기 1차 소독(10)단계 이후, 블록형태의 이식재로 절단하는 디자인(20);
    상기 디자인(20)단계 이후, 무기물과 유기물 함유비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탈무기물 용액이 치아와 접촉하지 않도록 치아의 일부분을 코팅하는 코팅(30);
    상기 코팅(30)단계 이후, 무기물을 제거하는 탈무기물(40);
    상기 탈무기물(40)단계 이후, 코팅(30)단계에 부착된 코팅재를 제거하는 코팅재 제거(50);
    상기 코팅재 제거(50)단계 이후, 탈무기물 용액을 중화시키면서, 단백질을 제거하는 탈단백질과 중화(60);
    상기 탈단백질과 중화 단계(60) 이후, 세척하는 1차 세척(70);
    상기 1차 세척(70)단계 이후, 지방을 제거하는 탈지방(80);
    상기 탈지방(80)단계 이후, 세척하는 2차 세척(90)과 3차 세척(100):
    상기 3차 세척(100)단계 이후, 건조하는 건조(110);
    상기 건조(110)단계 이후, 이식재를 가루형태로 파쇄하는 파쇄(120);
    상기 파쇄(120)단계 이후, 세척하는 4차 세척(130);
    상기 4차 세척(130)단계 이후, 소독하는 소독(140);
    상기 소독(140)단계 이후, 동결건조 및 멸균소독 단계(150)를 포함하고,
    상기 소독(140)단계 이후, 동결건조 및 멸균소독 단계(150)이전에 잔존하는 시약이 없어질때 까지 추가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파우더 형태로 유기물 함유량이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무기물 및 유기물의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제조방법
  2. 치아골 이식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가, 이종, 동종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치아와, 상기 치아의 병균을 제거하고, 치석과 연조직을 제거하는 1차 소독(10);
    상기 1차 소독(10)단계 이후, 블록형태의 이식재로 절단 성형하는 디자인(20);
    상기 디자인(20)단계 이후, 무기물과 유기물 함유비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탈유기물 용액이 치아와 접촉하지 않도록 치아의 일부분을 코팅하는 코팅(30);
    상기 코팅(30)단계 이후, 유기물을 제거하는 탈 유기물(41);
    상기 탈유기물(41)단계 이후, 코팅(30)단계에 부착된 코팅재를 제거하는 코팅재 제거(50);
    상기 코팅재 제거(50)단계 이후, 탈유기물 용액을 중화시키는 중화(61);
    상기 중화(61)단계 이후, 단백질을 제거하는 탈 단백질(62)과;
    상기 탈 단백질(62) 단계 이후, 세척하는 1차 세척(70);
    상기 1차 세척(70)단계 이후, 지방을 제거하는 탈지방(80);
    상기 탈지방(80)단계 이후, 세척하는 2차 세척(90)과 3차 세척(100):
    상기 3차 세척(100)단계 이후, 건조하는 건조(110);
    상기 건조(110)단계 이후, 이식재를 가루형태로 파쇄하는 파쇄(120);
    상기 파쇄(120)단계 이후, 세척하는 4차 세척(130);
    상기 4차 세척(130)단계 이후, 소독하는 소독(140);
    상기 소독(140)단계 이후, 동결건조 및 멸균소독 단계(150)를 포함하고,
    상기 소독(140)단계 이후, 동결건조 및 멸균소독 단계(150)이전에 잔존하는 시약이 없어질때 까지 추가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파우더 형태로 무기물 함유량이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무기물 및 유기물의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120)단계를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이식재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고, 블럭 형태를 디자인하는 천공과 성형(160)단계로 대체하여 무기물과 유기물의 함유량이 조절된 블럭형 이식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무기물 및 유기물의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제조방법
KR1020120144121A 2012-12-12 2012-12-12 무기물 및 유기물의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9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121A KR101299395B1 (ko) 2012-12-12 2012-12-12 무기물 및 유기물의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121A KR101299395B1 (ko) 2012-12-12 2012-12-12 무기물 및 유기물의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395B1 true KR101299395B1 (ko) 2013-08-22

Family

ID=4922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121A KR101299395B1 (ko) 2012-12-12 2012-12-12 무기물 및 유기물의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3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7577A1 (en) * 2015-07-28 2017-02-02 Tt Tooth Transformer S.R.L. Apparatus for processing teeth in bone material
KR20190072704A (ko) 2017-12-15 2019-06-26 주식회사 하스 실란 커플링제를 이용한 무기물과 유기물 간의 화학적 결합을 이용한 복합체 제조 방법
KR102326560B1 (ko) * 2020-06-29 2021-11-16 김효민 치아골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용 파우더
KR20220001529A (ko) * 2020-06-29 2022-01-06 김효민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5141A1 (fr) 2001-11-28 2003-06-05 Hokkaido Technology Licensing Office Co., Ltd. Echantillon de dent blanchi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KR20030068957A (ko) * 2002-02-19 2003-08-25 정필훈 발치된 치아로부터 치아 단백질의 추출방법과 그의이용방법
KR20040065203A (ko) * 2004-07-03 2004-07-21 정필훈 발치된 치아로부터 치아 단백질의 추출방법과 그의 이용방법
US8178012B1 (en) 2006-04-06 2012-05-15 Ivoclar Vivadent Ag Shaded zirconium oxide article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5141A1 (fr) 2001-11-28 2003-06-05 Hokkaido Technology Licensing Office Co., Ltd. Echantillon de dent blanchi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KR20030068957A (ko) * 2002-02-19 2003-08-25 정필훈 발치된 치아로부터 치아 단백질의 추출방법과 그의이용방법
KR20040065203A (ko) * 2004-07-03 2004-07-21 정필훈 발치된 치아로부터 치아 단백질의 추출방법과 그의 이용방법
US8178012B1 (en) 2006-04-06 2012-05-15 Ivoclar Vivadent Ag Shaded zirconium oxide articles and method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7577A1 (en) * 2015-07-28 2017-02-02 Tt Tooth Transformer S.R.L. Apparatus for processing teeth in bone material
CN107920874A (zh) * 2015-07-28 2018-04-17 Tt牙齿变形装置有限公司 以骨材料加工牙齿的设备
KR20190072704A (ko) 2017-12-15 2019-06-26 주식회사 하스 실란 커플링제를 이용한 무기물과 유기물 간의 화학적 결합을 이용한 복합체 제조 방법
KR102326560B1 (ko) * 2020-06-29 2021-11-16 김효민 치아골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용 파우더
KR20220001529A (ko) * 2020-06-29 2022-01-06 김효민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
KR102358602B1 (ko) 2020-06-29 2022-02-04 김효민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1539B2 (ja) 脱細胞化生体組織マトリクス材料に基づいた骨修復のための複合材料およびそれを調製する方法
RU2665962C1 (ru) Биорезорбируемый биологический матрикс для замещения дефектов костной ткани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JP2018530411A (ja) 骨修復のための注入可能な複合材料およびそれを調製する方法
EP1283693A1 (en) Partially demineralized cortical bone constructs
US9610143B2 (en) Compressed decalcified trabecular bone grafts and tooth socket repair
KR101299395B1 (ko) 무기물 및 유기물의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US20160287747A1 (en) Shaped collagen tissue im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10022247B2 (en) Automatic machine for processing tooth into bone graft material
KR101163594B1 (ko) 치아 골 이식재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골 이식재
US6998135B1 (en) Demineralized corticocancellous bone sheet
JPH08508655A (ja) 診療および外科学に使用し得る半合成材料
CN103638557A (zh) 一种脱抗原生物骨及其制备方法
KR20180100069A (ko) 전자 빔 조사된 골유도성 뼈 임플란트
KR101175051B1 (ko) 치아 블록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CN104147644A (zh) 一种脱钙哺乳动物牙基质及其制作方法
KR101139337B1 (ko) 치아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87438A (ko) 동물 치아를 이용한 경조직 결손부 수복 및 이식재와 그제조방법
CN110732040A (zh) 一种骨修复材料、方法及用途
RU272160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стеопластических биоматериалов из костной ткани
KR101650414B1 (ko) 가교 결합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치과용 골 충전재의 제조방법
WO1996012509A1 (en) Process for inactivating and eliminating the organic matrix from animal bone for heterotopic xenografts
Giardino et al. A resorbable biomaterial shaped as a tubular chamber and containing stem cells: a pilot study on artificial bone regeneration
Mohammed et al. Evaluation of The Role of Hydroxyapatite Nano Gel as Filling Materials for Improving The Healing of Repaired Tibial Bone Defect In Dogs
US7232579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 marine-derived inorganic substance and chitin/chitosa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composition
KR102326560B1 (ko) 치아골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용 파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