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602B1 -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 - Google Patents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602B1
KR102358602B1 KR1020200078968A KR20200078968A KR102358602B1 KR 102358602 B1 KR102358602 B1 KR 102358602B1 KR 1020200078968 A KR1020200078968 A KR 1020200078968A KR 20200078968 A KR20200078968 A KR 20200078968A KR 102358602 B1 KR102358602 B1 KR 102358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ft material
powder
bone
aggregat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529A (ko
Inventor
김효민
김효진
김도균
Original Assignee
김효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민 filed Critical 김효민
Priority to KR102020007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6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08Bone, e.g. demineralised bone matrix [DBM], bone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44Preparation of bone graft, bone plugs or bone dowels, e.g. grinding or milling bon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17Bone stimulation by chemical reactions or by osteogenic or biological products for enhancing ossification, e.g. by bone morphogenetic or morphogenic proteins [BMP] or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s [TG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35Bone graft implants for filling a bony defect or an endoprosthesis cavity, e.g. by synthetic material or biologic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1Pharmaceuticals, e.g. medicaments, artificial bod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61L2300/414Growth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Zo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뛰어난 위생성을 가지며, 이식재의 흡수 속도를 증가시켜 우수한 골형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가골, 자가치아골, 동종골, 이종골 및 합성골의 이식재용 골재 중에서 선택된 이식재용 골재를 파우더로 제조하여 이식재용 파우더를 마련하는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단계;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에 골형성촉진단백질이 함유되도록 하는 골형성촉진단백질 부여 단계; 상기 골형성촉진단백질이 부여된 이식재용 파우더에 팽윤 작용을 위한 첨가제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첨가제가 혼합된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을 마련하는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 마련 단계; 및 상기 마련된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을 다공질 형태를 갖도록 처리하여 다공질화 된 스펀지형 이식재를 마련하는 다공질화 단계; 및 상기 스펀지형 이식재를 멸균 처리하는 멸균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 {MANUFACTURING METHOD FOR TEETH BONE GRAFT AND TEETH BONE GRAFT MANUFACTURI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뛰어난 위생성을 가지며, 이식재의 흡수 속도를 증가시켜 우수한 골형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 관한 것이다.
최근 골분말, 골칩, 골블록 등과 같은 골 이식재를 뼈의 재생이나 수복에 이용하는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골이식재는 공간을 메워주고, 가교역할 및 골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또한 골 형성을 촉진시키는 골 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을 포함하고 있어 치료를 촉진시키는 바, 정형외과, 신경외과 및 치과 등에서 사용된다.
특히, 치과 등에서는 임플란트 시술에 다양한 골 이식재가 이용되고 있다. 치아의 상실을 회복시키기 위한 치료법으로 가장 먼저 고려되는 치료가 임플란트를 이용하는 것인데, 임플란트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다른 뼈 이식술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과 유사하게, 환자의 조건, 사용한 재료의 특성, 시술자의 기술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된다.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의 조건으로는 환자의 연령, 전신 질환 유무, 환자의 습관 또는 잔존 치조골의 높이나 골질 등이 있다. 재료 인자로는 재료의 직경, 길이, 형태 및 표면 처리와 같은 요소가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시술자의 기술도 시술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치과용 임플란트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비록 환자의 신체적 조건이 임플란트 시술에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하여 주지 못한다고 하여도 임플란트의 성공률을 재료를 중심으로 한 기술의 발전을 통하여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임플란트 표면은 뼈와 접촉하고 있는 주된 부위이므로, 임플란트 주위의 골 결손부에 대한 높은 골 형성률 및 뼈와 임플란트 사이의 긴밀한 접합이 성공적인 임플란트를 위한 전제 조건이다. 따라서, 어떠한 골 이식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골 형성률 및 임플란트와 골간의 결합에 있어 차이가 나며, 임플란트 표면을 무엇으로 처리하느냐에 따라 조골 세포의 부착과 증식 등에 차이가 나게 되어, 임플란트와 주변의 뼈 사이의 긴밀한 접합이 빠르게 일어나는지 여부가 판가름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수산화 인회석(hydroxyapatite, HA)은 뼈를 구성하는 주성분으로서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를 위하여 많이 사용된다. 수산화 인회석에 의하여 코팅된 임플란트의 성공률에 대한 보고는 많이 나와있다. 특히, 수산화 인회석은 사람의 뼈 및 치아의 에나멜질과 동일한 성분으로 치아의 에나멜질의 결손부분에 대한 수복에 큰 효과가 있으며, 이 수복효과로 인해 치아의 원래 빛깔을 회복시켜주기 때문에 최근 치아 미백제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골 이식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아직도 분분하다. 골 이식재는 말 그대로 임플란트 시술 시 잇몸뼈가 부족하여 식립이 불가능한 부위에 골 이식재를 넣어 뼈의 형성을 유도 혹은 뼈를 늘리는 데 쓰인다. 이를 통해 잇몸뼈가 형성되면 시술자인 치과 의사들의 임플란트 수술을 돕게 된다.
골 이식재는 현재 동종골 이식재, 이종골 이식재, 합성골 이식재, 자가골 이식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동종골 이식재란 동종의 다른 개체에서 얻은 골을 말하며, 보통 죽은 사람의 뼈에서 채취한다.
이종골 이식재란 다른 종의 동물에서 얻어진 골 조직을 채취하여 이식하는 것을 말하는 데, 주로 소나 송아지에서 추출한다.
합성골 이식재란 사람 혹은 다른 종의 동물들에게서 얻어진 것이 아닌 골 대체물과 합성물질을 이용해 만들어진 유기지질이 제거된 재료로서, 주로 바이오세라믹(bioceramic)으로 구성된다. 동종골 이식재와 이종골 이식재를 사용 시, 빠르게 굳어나가며 골질 또한 좋다는 장점이 있으나 바이러스 감염 등의 문제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합성골 이식재를 사용 시, 구입이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과 함께 굳어가는 속도가 느리고 골질 또한 좋지 않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자가골 이식재란 어느 다른 개체가 아닌 수술을 받게 되는 환자 본인의 골을 말하며, 구강 내 공여부나 구강 외 공여부에서 채취한다. 특히, 최근에는 환자의 발치된 치아를 가공 처리하여 골 대체재로 이용할 수 있는 자가치아 골 이식재가 소개되어 임상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가치아 골이식재는 생체적 합성이 우수하면서 골 유도 및 골 전도에 의해 치유되고 일정기간 경과 후에는 흡수되는 양상을 보이며, 발치창 보존 혹은 재건술과 골 유도재생술에 이용되어 왔다.
자가치아 골이식재는 현재 다양한 주제로 임상연구 및 동물실험이 진행되어 왔고, 다른 골 대체재들과 비교하였을 때 어느 정도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임상적 안정성에 대한 부분도 언급되었는데 이는 수술 후 빠른 골 치유와 창상 열 개가 관찰되어도 감염 등에 대한 저항성이 커서 효과적인 2차 치유가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다만, 자가치아를 골 이식재로 제작하는 과정 중에는 동종골과 마찬가지로 탈회 과정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탈회 과정은 무기질 성분을 상당부분 제거하여 비탈회시와 비교함에 있어서 골 형성의 조건을 상당부분 바꾸게 되고, 이러한 변경된 조건으로 인해 골이 형성되는 시기와 골량이 달라질 수 있어, 자가치아를 골 이식재로 사용하는 데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산 처리는 동종골의 경우에 있어서 무기질의 성분을 제거하고 골 형성 단백질 활성화를 촉진시킬 경우에 이용되며, 교원질과 비교원성 단백질만 남겨두고 무기질을 제거하게 된다. 만약 탈회를 시행하지 않는 경우는 냉동건조를 실시하여 멸균을 시행한 후 이식재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무기질의 탈회는 골이 재생되는 과정에서 버팀목을 하는 무기질이 제거되기 때문에 강도는 약하지만 흡수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탈회하지 않는 경우에는 초기 강도는 강하지만 골 재생과정이 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종골의 경우 탈회의 정도나 방법에 따라서 골 이식재의 골 형성 능력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는 연구들이 있었고, 인간의 골과 무기질, 유기질 성분이 유사하고 골 형성 단백질이 있다고 알려진 자가치아 골 이식재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데, 기존 연구에서는 산의 종류에 따른 무기질의 탈회정도에 대한 자료가 없어 각 산에 대한 탈회 효율을 평가하기가 어려웠고, 이러한 점이 자가치아 골 이식재의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동종골 이식재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2067호에서 제안된 자가 치아 이식재는 지지력이 약한 루트부만이 사용되어 치조골 주변의 연조직이 골결손 부위에 채워지거나, 치아 이식재의 뼈가 생성되기 이전에 인체에 흡수되어 치조골의 형성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82067(2014.04.0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98115(2012.11.0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24774(2015.06.0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86322(2014.04.17.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뛰어난 위생성을 가지며, 이식재의 흡수 속도를 증가시켜 우수한 골형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자가골, 자가치아골, 동종골, 이종골 및 합성골의 이식재용 골재 중에서 선택된 이식재용 골재를 파우더로 제조하여 이식재용 파우더를 마련하는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단계;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에 골형성촉진단백질이 함유되도록 하는 골형성촉진단백질 부여 단계; 상기 골형성촉진단백질이 부여된 이식재용 파우더에 팽윤 작용을 위한 첨가제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첨가제가 혼합된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을 마련하는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 마련 단계; 및 상기 마련된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을 다공질 형태를 갖도록 처리하여 다공질화 된 스펀지형 이식재를 마련하는 다공질화 단계; 및 상기 스펀지형 이식재를 멸균 처리하는 멸균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단계는, 상기 이식재용 골재를 제1 소독재에 침지시켜 1차 소독하는 1차 소독 단계; 상기 1차 소독된 이식재용 골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이식재용 골재를 소정 사이즈로 컷팅(cutting)하여 골재편으로 형성하는 골재 컷팅 단계; 상기 컷팅된 골재편을 건조시키는 골재편 건조 단계; 상기 건조된 골재편을 소정 사이즈로 분쇄하여 베이스 파우더를 얻는 골재편 분쇄 단계; 상기 베이스 파우더를 제2 소독재로 2차 소독하고 멸균증류수로 세척하는 2차 소독 단계; 상기 소독된 베이스 파우더를 제3 소독재로 소독하고 멸균 증류수로 세척하는 3차 소독 단계; 상기 3차 소독 단계를 거친 베이스 파우더에 잔존하는 소독잔존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잔존물 제거 단계; 상기 잔존물과 불순물이 제거된 베이스 파우더를 건조시키고 멸균 처리하여 이식재용 파우더를 완성하는 파우더 완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1차 소독 단계는 에틸알코올(ethanol) 또는 과산화수소에 25℃의 온도 환경에서 15분간 상기 이식재용 골재를 침지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골재 컷팅 단계는, 상기 골재편 분쇄 단계에서 형성될 베이스 파우더의 파티클 사이즈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골재편으로 컷팅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골재편 건조 단계는 상기 골재편을 25℃~35℃의 온도 환경에서 40분 ~ 80분간 열풍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골재편 분쇄 단계는, 850㎛~1000㎛ 파티클 사이즈를 갖는 제1 베이스 파우더와, 500㎛~850㎛ 파티클 사이즈를 갖는 제2 베이스 파우더, 및 250㎛~500㎛ 파티클 사이즈를 갖는 제3 베이스 파우더를 얻도록 상기 골재편 각각을 분쇄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2차 소독 단계는, 상기 베이스 파우더에 에틸알코올 또는 과산화수소를 혼합하고, 20℃ 이하의 온도 환경에서 회전교반장치를 이용하여 230~270rpm으로 40분~ 80분간 회전 교반한 후 멸균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세척이 완료된 베이스 파우더에 0.6N 염산을 혼합하고, 8~15℃의 온도 환경에서 회전교반장치를 이용하여 230~270rpm으로 5분간 회전 교반한 후 인산완충식염수로 pH 7.0~7.2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3차 소독 단계는 상기 2차 소독 단계를 거친 베이스 파우더에 pH 5.0~6.5의 미산성차아염소산수(HOCL) 또는 에틸알코올을 혼합하고, 20℃의 온도 환경에서 회전교반장치를 이용하여 230~270rpm으로 40분~ 80분간 회전 교반한 후 멸균증류수로 세척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잔존물 제거 단계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5000rpm~7000rpm으로 원심분리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우더 완성 단계는, 상기 잔존물 제거 단계를 거친 베이스 파우더를 영하 80℃의 온도 환경에서 30분 내지 1시간 냉동 후 진공동결건조하여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베이스 파우더를 EO가스 농도 450-1200mg/l로 멸균하거나 감마선 조사량 15~25kGy로 멸균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골형성촉진단백질 부여 단계는, 골형성촉진단백질을 포함한 수용액을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에 적져서 1℃의 냉장원심분리기에 넣고 회전 교반시켜 상기 수용액에 포함된 골형성촉진단백질이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에 흡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rhBMP-2 수용액이고, 상기 rhBMP-2 수용액은 멸균증류수에 분말상의 rhBMP-2를 용해하고, pH가 4.6~5로 되는 rhBMP-2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장원심분리기를 6000rpm으로 30초 내지 1분 동안 회전 교반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 마련 단계는, 상기 골형성촉진단백질이 흡착된 이식재용 파우더와 분말상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를 혼합하여 교반기에 넣고 230~270rpm으로 5~10초간 교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질화 단계는,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을 진공도 5×10-4Torr의 진공동결건조장치에서 진공동결건조하여 다공질화 된 치아골 이식재를 마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멸균 처리 단계는, 상기 다공질화 된 치아골 이식재를 EO가스 농도 450-1200mg/l로 멸균하거나 감마선 조사량 15~25kGy로 멸균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은,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와 상기 첨가제의 혼합 비율이 중량부로 1: 0.3~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한 일 관점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뛰어난 위생성을 갖는 치아골 이식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이식재의 흡수 속도를 증가시켜 우수한 골형성능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골형성촉진단백질의 과도한 방출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이식재용 파우더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이식재용 파우더의 제조 과정에서 치아를 소정 크기로 컷팅한 골재편들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이식재용 파우더 과정을 통해 제조된 이식재용 파우더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의 이식재용 파우더의 제조 과정에서 제조된 이식재용 파우더의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의 이식재용 파우더의 제조 과정에서 제조된 이식재용 파우더의 표면에 골형성촉진단백질이 흡착된 상태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화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 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이식재용 파우더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이식재용 파우더의 제조 과정에서 치아를 소정 크기로 컷팅한 골재편들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이식재용 파우더 과정을 통해 제조된 이식재용 파우더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의 이식재용 파우더의 제조 과정에서 제조된 이식재용 파우더의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화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의 이식재용 파우더의 제조 과정에서 제조된 이식재용 파우더의 표면에 골형성촉진단백질이 흡착된 상태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화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은, 도 1 내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단계(S100); 골형성촉진단백질 부여 단계(S200);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 마련 단계(S300); 다공질화 단계(S400); 및 멸균 처리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은, 도 1 내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가골, 자가치아골, 동종골, 이종골 및 합성골의 재료(이하, "이식재용 골재"라고 통칭함)를 파우더로 제조하는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단계(S100);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단계(S100)에서 제조된 이식재용 파우더에 골형성촉진단백질이 함유되도록 하는 골형성촉진단백질 부여 단계(S200); 상기 골형성촉진단백질 부여 단계(S200)에서 골형성촉진단백질이 부여된 이식재용 파우더에 팽윤 작용을 위한 첨가제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첨가제가 혼합된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을 마련하는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 마련 단계(S300); 및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 마련단계(S300)에서 마련된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을 다공질 형태를 갖도록 처리하여 다공질화 된 이식재를 마련하는 다공질화 단계(S400); 및 상기 다공질화 된 이식재를 멸균 처리하는 멸균 처리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단계(S110)는 이식재용 골재를 파우더로 제조하는 것으로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단계(S100)는 크게 1차 소독 단계(S110); 이물질 제거 단계(S120); 골재 컷팅 단계(S130); 골재편 건조 단계(S140); 골재편 분쇄 단계(S150); 2차 소독 단계(S160); 3차 소독 단계(S170); 잔존물 제거 단계(S180); 파우더 완성 단계(S19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단계(S100)는, 이식재용 골재로서 치아 또는 소정 크기의 뼈를 제1 소독재에 침지시켜(적셔서) 1차 소독하는 1차 소독 단계(S110); 상기 1차 소독 단계(S110)에서 소독된 이식재용 골재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S120);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S12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이식재용 골재를 소정 사이즈로 컷팅(cutting)하여 골재편(bone piece)으로 형성하는 골재 컷팅 단계(S130); 상기 골재 컷팅 단계(S130)에서 컷팅된 골재편을 건조시키는 골재편 건조 단계(S140); 상기 골재편 건조 단계(S140)에서 건조된 골재편을 소정 사이즈로 분쇄하여 베이스 파우더(base powder)를 얻는 골재편 분쇄 단계(S150); 상기 골재편 분쇄 단계(S150)에서 분쇄되어 얻어진 베이스 파우더를 제2 소독재로 2차 소독하고 멸균증류수로 세척하는 2차 소독 단계(S160); 상기 2차 소독 단계(S160)에서 소독된 베이스 파우더를 제3 소독재로 소독하고 멸균 증류수로 세척하는 3차 소독 단계(S170); 상기 3차 소독 단계(S170)를 거친 베이스 파우더에 잔존하는 소독잔존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잔존물 제거 단계(S180); 상기 잔존물 제거 단계(S180)에서 잔존물과 불순물이 제거된 베이스 파우더를 건조시키고 멸균 처리하여 이식재용 파우더를 완성하는 파우더 완성 단계(S190);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소독 단계(S110)는 이식재용 골재인 치아 또는 소정 크기의 뼈를 소정 온도를 갖는 소독재(제1 소독재)에 침지시켜 소독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 소독 단계(S110)는 에틸알코올(ethanol)(바람직하게는 70%의 에틸알코올) 또는 과산화수소(바람직하게, 70%의 과산화수소)에 침지시켜 소독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알코올(ethanol) 또는 과산화수소에 25℃~60℃의 온도 환경에서 15분~60분간 침지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소독 단계(S110)에서 처리 온도가 25℃보다 낮은 경우, 반응 속도가 매우 느려져 전체 처리 공정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60℃를 초과하는 경우 치아의 단백질과 막 지질 및 DNA를 산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S120)는 이식재용 골재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으로, 치아의 경우 핸드피스를 이용하여 치아의 우식과 치수 조직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상기 골재 컷팅 단계(S130)는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S12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이식재용 골재를 소정 사이즈로 컷팅(cutting)하는 것으로, 이러한 골재 컷팅 단계(S130)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골재편 분쇄 단계(S150)에서 파티클 사이즈가 다른 복수의 베이스 파우더로 마련되게 되는데 이러한 파티클 사이즈가 다른 베이스 파우더 각각을 형성하기 위한 각각의 골재편으로 컷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골재 컷팅 단계(S130)는 다이아몬드 바(diamond bur)(제품명: FG 6856 018, 독일 komet사)와 컷팅 바(cutting bur)(제품명: FG 700 010, 독일 komet사)를 이용하여 후속 과정인 골재편 분쇄 단계(S150)에서 형성될 베이스 파우더의 파티클 사이즈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골재편으로 마련되도록 이식재용 골재를 컷팅한다. 본 발명의 골재 컷팅 단계(S130)는 이식재용 골재를 40%:40%:20% 비율의 크기로 하여 3개의 골재편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골재편 건조 단계(S140)는 상기 골재 컷팅 단계(S130)에서 컷팅된 골재편을 골재편 분쇄 단계(S150)에서 분쇄하기 전 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25℃~60℃, 바람직하게는 30℃에서 40분 ~ 80분, 바람직하게는 60분 열풍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재편 건조 단계(S140)의 건조 과정에서 건조 온도가 60℃를 초과할 경우, 골재편의 유기질이 열로 인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25℃ 미만의 경우 건조 처리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골재편 분쇄 단계(S150)는 상기 골재편 건조 단계(S140)에서 건조된 골재편을 다른 파티클 사이즈로 분쇄하여 복수의 베이스 파우더를 얻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골재편 분쇄 단계(S150)는 본크러셔(bone crusher)를 이용하여 850㎛~1000㎛ 파티클 사이즈를 갖는 제1 베이스 파우더와, 500㎛~850㎛ 파티클 사이즈를 갖는 제2 베이스 파우더, 및 250㎛~500㎛ 파티클 사이즈를 갖는 제3 베이스 파우더를 얻도록 분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베이스 파우더와 제2 베이스 파우더 및 제3 베이스 파우더는 4:4::2의 비율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재편 분쇄 단계(S150)에서 상기와 같이 파티클 사이즈를 달리한 제1 내지 제3 베이스 파우더를 마련하는 것은, 이식재의 이식 시 신생 치아골의 형성 및 골 이식재의 볼륨(volume) 유지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식재의 흡수 속도와 골형성 정도는 비례 관계가 있으며, 흡수성의 증가는 골형성능의 증가를 도모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파티클 사이즈의 파우더는 신생 치골의 형성에 기여하고, 상대적으로 큰 파티클 사이즈의 파우더는 볼륨 유지에 기여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2차 소독 단계(S160)는 상기 골재편 분쇄 단계(S150)에서 분쇄되어 얻어진 베이스 파우더를 제2 소독재로 2차 소독하고 멸균증류수로 세척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제1 내지 제3 베이스 파우더를 용기(예를 들면, 스냅 튜브)에 담고 에틸알코올(바람직하게는 에틸알코올70%) 또는 과산화수소(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70%)을 넣어 소독한 다음, 회전교반장치(Shaking Incubator)를 이용하여 230~270rpm(바람직하게는 250rpm)으로 10℃~60℃에서 40분~ 80분(바람직하게는 60분간) 시행한 후 멸균증류수로 3분간 3회 반복 세척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2차 소독 단계(S160)의 처리 과정에서 처리 온도가 60℃를 초과할 경우, 베이스 파우더의 유기질이 열로 인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10℃ 미만의 경우 처리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rpm을 벗어나는 경우 반응 속도가 더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2차 소독 단계(S160)는 세척이 완료된 베이스 파우더에 0.6N 염산을 혼합한 다음, 회전교반장치(Shaking Incubator)를 이용하여 230~270rpm, 바람직하게는 250rpm으로 8℃~60℃(바람직하게는 10℃)에서 5분간 시행한 후 인산완충식염수(PBS: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pH 7.0~7.2를 유지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과정에서 처리 온도가 60℃를 초과할 경우, 세척이 완료된 베이스 파우더의 유기질이 열로 인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10℃ 미만의 경우 처리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rpm을 벗어나는 경우 반응 속도가 더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2차 소독 단계(S160)는 베이스 파우더의 소독과 아울러, 면역거부반응에 관여하는 세포나 혈액, 지질층 등을 제거하고 골 유도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뼈형성 단백질(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의 활성화를 유발할 수 있도록 탈 무기질화 한다.
계속해서, 상기 3차 소독 단계(S170)는 상기 2차 소독 단계(S160)에서 처리된 베이스 파우더를 제3 소독재로 소독하고 멸균 증류수로 세척하는 것으로, 2차 소독 처리된 베이스 파우더에 pH 5.0~6.5의 미산성차아염소산수(HOCL) 또는 에틸알코올(에틸알코올70%)을 혼합하고, 회전교반장치(Shaking Incubator)를 이용하여 230~270rpm(바람직하게는 250rpm)으로 10℃~60℃(바람직하게는 20℃)에서 40분~ 80분(바람직하게는 60분) 시행한 후 멸균증류수로 3분간 2번 세척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3차 소독의 처리 과정 또한 처리 온도가 60℃를 초과할 경우, 베이스 파우더의 유기질이 열로 인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10℃ 미만의 경우 처리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rpm을 벗어나는 경우 반응 속도가 더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3차 소독 단계(S170)는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통해 대장균, MRSA(슈퍼박테리아, 아포균, 노로 바이러스, 캠필로박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상기 잔존물 제거 단계(S180)는 전(前) 과정에서 잔존하는 소독잔존물(염)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1℃~10℃의 저온 원심분리기(냉장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5000rpm~7000rpm(바람직하게는 6000rpm)으로 3분간 시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잔존물 제거 단계(S180) 또한 해당 온도 범위에서 유기질의 손상을 방지하며, 해당 rpm을 통해 소독 잔존물(염) 및 분순물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우더 완성 단계(S190)는 상기 잔존물 제거 단계(S180)에서 잔존물이 제거된 베이스 파우더를 건조시키고 멸균 처리하여 최종 이식재용 파우더를 완성하는 것으로, 영하 80℃의 초저온 냉동고에서 잔존물이 제거된 베이스 파우더를 30분 내지 1시간 냉동 후 진공동결건조(진공도 5×10-4 Torr)를 시행하여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베이스 파우더를 EO가스 농도 450-1200mg/l로 멸균하거나 감마선 조사량 15~25kGy로 멸균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방사선 조사에 의해서도 무기질은 영향을 받지 않고,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은 10kGy 이상의 선량에서도 영향을 받지 않으며, 50kGy를 조사하여도 그 영향이 미미함을 확인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파우더 완성 단계(S190)에서 멸균 처리 과정은 생략될 수 있는데, 이는 아래 다공질화 단계(S400) 이후 멸균 처리 과정(S500)이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 파우더 완성 단계(S190)에서 멸균 처리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과정(S100)을 통해 얻어진 이식재용 파우더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미세기공이 없는 표면보다 훨씬 친수성이 강하고, 표면의 친수성은 단백질의 흡착, 세포의 증식 및 퍼짐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과정(S100)을 통해 얻어진 이식재용 파우더는 3원적으로 잘 연결된 미세공극 구조를 가진 파우더 전체 내부로 체액과 이에 따른 성장인자 등의 흡착을 증진시켜 표면과 내부 공극에 세포부착과 활성을 증가시켜 신생골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골형성촉진단백질 부여 단계(S200)는, 골형성촉진단백질인 rhBMP-2(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s-2)을 포함한 rhBMP-2 수용액을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단계(S100)에서 제조된 이식재용 파우더에 적시고 rhBMP-2 수용액이 이식재용 파우더에 흡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rhBMP-2 수용액은 멸균증류수에 분말상의 rhBMP-2를 용해(농도 0.1mg/ml)하며, pH가 4.6~5로 되는 rhBMP-2 수용액으로 마련된다. pH의 조절은 생리식염 인산완충액(PBS: phosphate buffer saline)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H의 조절은 1㎍/ml의 농도의 생리식염 인산완충액(PBS)으로 희석을 하고, 희석 시 덴틴 콜라젠(Dentin collagen)과 성장인자(Growth factor)의 pH는 7~8이 적정하며 이는 pH 측정기를 이용하여 희석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hBMP-2 수용액을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에 적시는 방법은, 예를 들면 rhBMP-2 수용액을 담은 실린지를 이용하여 이식재용 파우더를 침지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식재용 파우더에 대한 rhBMP-2의 흡착은, rhBMP-2가 침지된 이식재용 파우더를 냉장원심분리기(1℃를 유지, 6000rpm)를 사용하여 30초 내지 1분동안 회전 교반시켜 이식재용 파우더의 표면 및 기공 내(도 5 참조)에 rhBMP-2를 흡착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기공이 형성된 이식재용 파우더는 미세기공이 없는 표면보다 훨씬 더 친수성을 띠게 되며, 표면의 친수성은 골형성촉진단백질인 rhBMP-2의 흡착, 세포의 증식 및 퍼짐에 기여하게 된다.
특히, 삼차원적으로 잘 연결된 미세공극 구조를 가진 이식재용 파우더는, 전체 내부로의 체액과 이에 따른 성장인자 등의 흡착을 증진시켜 표면과 내부 공극에 세포 부착과 활성을 증가시켜 신생골 형성을 촉진하며, 또한 미세기공과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rhBMP-2가 점진적으로 방출되게 되어 과도한 rhBMP-2의 방출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 마련 단계(S300)는, 상기 골형성촉진단백질 부여 단계(S200)에서 골형성촉진단백질이 흡착된 이식재용 파우더에 팽윤 작용을 위한 첨가제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첨가제가 혼합된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을 마련하는 것으로, 골형성촉진단백질이 흡착된 이식재용 파우더와 분말상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화확명: propylene glycol ether of methylcellulose)(즉, HPMC 파우더)를 혼합하여 교반기에 넣고 230~270rpm(바람직하게는 250rpm)으로 5~10초간 교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에서 이식재용 파우더(골형성촉진단백질이 흡착된 이식재용 파우더)와 HPMC 파우더의 혼합 비율은 중량부로 1: 0.3~0.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HPMC는 셀룰로오스 주사슬의 화학적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치환체 R은 H, -CH3 이거나 -CH2CH(CH3)OH이다. 셀룰로오스는 하이드록시 그룹의 간 수소결합으로 인해 결정을 형성하여 물에 잘 녹지 않지만, HPMC는 비이온성을 나타내어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고 낮은 온도에서도 잘 용해되어 점성이 있는 콜로이드 용액을 형성한다. HPMC 파우더의 혼합은 팽윤작용으로 인하여 파우더의 밀도를 증대시켜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며, rhBMP-2의 흡착을 장기간 보호해 주게 된다. 또한, 이러한 HPMC는 크기 및 모양의 다양화가 가능하여 골결손 부위에 맞게 성형이 가능하며 체내에서 생분해 속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다공질화 단계(S400)는,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 마련 단계(S300)에서 마련된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rhBMP-2 수용액이 함침되어 어느 정도의 수용성(수분)을 갖고 rhBMP-2가 흡착된 이식재용 파우더와 HPMC 파우더의 혼합물)을 다공질 형태를 갖도록 처리하여 다공질화 된 이식재를 마련하는 것으로,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 마련 단계(S300)에서 마련된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을 진공도 5×10-4Torr의 진공동결건조장치에서 약 10초간 진공동결건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진공동결건조 과정을 거침으로써 스펀지와 같은 다공질의 이식재로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멸균 처리 단계(S500)는, 상기 다공질화 된 치아골 이식재를 EO가스 농도 450-1200mg/l로 멸균하거나 감마선 조사량 15~25kGy로 멸균처리한다.
여기에서, 무기질은 방사선 조사에 의해서도 영향이 없으며,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은 10kGy 이상의 선량에서도 영향을 받지 않으며, 50kGy를 조사하여도 그 영향이 미미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멸균 처리된 다공질화 된 치아골 이식재(즉, 스펀지 형태의 이식재)는 용기(bowl)나 시린지(syringe)에 넣고 밀봉한다.
상기 멸균 처리 단계(S500)는 다공질화 된 치아골 이식재를 용기나 시린지에 넣거 밀봉한 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의 사용 예시를 촬영한 사진으로, (a)는 스폰지 형태로 형성된 치아골 이식재를 바로 사용하는 예시이며, (b)는 실린지에 넣은 상태에서 일정량 배출시켜서 사용하는 예시를 촬영한 사진으로, 치아골 이식재를 현장에서 사용할 때,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에 담긴 다공질화 된 치아골 이식재에 증류수 및 식염수를 혼합하여 퍼티(putty)로 만들어 사용하거나,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린지에 수용된 다공질화 된 치아골 이식재를 사용할 양만큼 배출시켜서 증류수와 식염수를 혼합하여 퍼티(putty)로 만들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는 치아골 이식재를 믹싱하거나 할 필요가 없이 다공질화 된 치아골 이식재를 증류수 및 식염수와 혼합하여 바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에 의하면, 뛰어난 위생성을 갖는 치아골 이식재를 제공할 수 있고, 이식재의 흡수 속도를 증가시켜 우수한 골형성능을 도모할 수 있으며, 골형성촉진단백질의 과도한 방출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단계
S110: 1차 소독 단계
S120: 이물질 제거 단계
S130: 골재 컷팅 단계
S140: 골재편 건조 단계
S150: 골재편 분쇄 단계
S160: 2차 소독 단계
S170: 3차 소독 단계
S180: 잔존물 제거 단계
S190: 이식재용 파우더 완성 단계
S200: 골형성촉진단백질 부여 단계
S300: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 마련 단계
S400: 다공질화 단계
S500: 멸균 처리 단계

Claims (9)

  1. 자가골, 자가치아골, 동종골, 이종골 및 합성골의 이식재용 골재 중에서 선택된 이식재용 골재를 파우더로 제조하여 이식재용 파우더를 마련하는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단계;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에 골형성촉진단백질이 함유되도록 하는 골형성촉진단백질 부여 단계;
    상기 골형성촉진단백질이 부여된 이식재용 파우더에 팽윤 작용을 위한 첨가제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첨가제가 혼합된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을 마련하는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 마련 단계; 및
    상기 마련된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을 다공질 형태를 갖도록 처리하여 다공질화 된 스펀지형 이식재를 마련하는 다공질화 단계; 및
    상기 스펀지형 이식재를 멸균 처리하는 멸균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단계는, 상기 이식재용 골재를 제1 소독재에 침지시켜 1차 소독하는 1차 소독 단계와, 상기 1차 소독된 이식재용 골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이식재용 골재를 소정 사이즈로 컷팅(cutting)하여 골재편으로 형성하는 골재 컷팅 단계와, 상기 컷팅된 골재편을 건조시키는 골재편 건조 단계와, 상기 건조된 골재편을 소정 사이즈로 분쇄하여 베이스 파우더를 얻는 골재편 분쇄 단계와, 상기 베이스 파우더를 제2 소독재로 2차 소독하고 멸균증류수로 세척하는 2차 소독 단계와, 상기 소독된 베이스 파우더를 제3 소독재로 소독하고 멸균 증류수로 세척하는 3차 소독 단계와, 상기 3차 소독 단계를 거친 베이스 파우더에 잔존하는 소독잔존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잔존물 제거 단계, 및 상기 잔존물과 불순물이 제거된 베이스 파우더를 건조시키고 멸균 처리하여 이식재용 파우더를 완성하는 파우더 완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소독 단계는 에틸알코올(ethanol) 또는 과산화수소에 25℃의 온도 환경에서 15분간 상기 이식재용 골재를 침지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골재 컷팅 단계는, 상기 골재편 분쇄 단계에서 형성될 베이스 파우더의 파티클 사이즈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골재편으로 컷팅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골재편 건조 단계는 상기 골재편을 25℃~60℃의 온도 환경에서 40분 ~ 80분간 열풍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골재편 분쇄 단계는, 850㎛~1000㎛ 파티클 사이즈를 갖는 제1 베이스 파우더와, 500㎛~850㎛ 파티클 사이즈를 갖는 제2 베이스 파우더, 및 250㎛~500㎛ 파티클 사이즈를 갖는 제3 베이스 파우더를 얻도록 상기 골재편 각각을 분쇄하며,
    상기 2차 소독 단계는, 상기 베이스 파우더에 에틸알코올 또는 과산화수소를 혼합하고, 20℃ 이하의 온도 환경에서 회전교반장치를 이용하여 230~270rpm으로 40분~ 80분간 회전 교반한 후 멸균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세척이 완료된 베이스 파우더에 0.6N 염산을 혼합하고, 8~15℃의 온도 환경에서 회전교반장치를 이용하여 230~270rpm으로 5분간 회전 교반한 후 인산완충식염수로 pH 7.0~7.2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소독 단계는 상기 2차 소독 단계를 거친 베이스 파우더에 pH 5.0~6.5의 미산성차아염소산수(HOCL) 또는 에틸알코올을 혼합하고, 20℃의 온도 환경에서 회전교반장치를 이용하여 230~270rpm으로 40분~ 80분간 회전 교반한 후 멸균증류수로 세척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잔존물 제거 단계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5000rpm~7000rpm으로 원심분리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우더 완성 단계는, 상기 잔존물 제거 단계를 거친 베이스 파우더를 영하 80℃의 온도 환경에서 30분 내지 1시간 냉동 후 진공동결건조하여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베이스 파우더를 EO가스 농도 450-1200mg/l로 멸균하거나 감마선 조사량 15~25kGy로 멸균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형성촉진단백질 부여 단계는,
    골형성촉진단백질을 포함한 수용액을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에 적져서 1℃의 냉장원심분리기에 넣고 회전 교반시켜 상기 수용액에 포함된 골형성촉진단백질이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에 흡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rhBMP-2 수용액이고,
    상기 rhBMP-2 수용액은 멸균증류수에 분말상의 rhBMP-2를 용해하고, pH가 4.6~5로 되는 rhBMP-2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장원심분리기를 6000rpm으로 30초 내지 1분 동안 회전 교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 마련 단계는, 상기 골형성촉진단백질이 흡착된 이식재용 파우더와 분말상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를 혼합하여 교반기에 넣고 230~270rpm으로 5~10초간 교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질화 단계는,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을 진공도 5×10-4Torr의 진공동결건조장치에서 진공동결건조하여 다공질화 된 치아골 이식재를 마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멸균 처리 단계는, 상기 다공질화 된 치아골 이식재를 EO가스 농도 450-1200mg/l로 멸균하거나 감마선 조사량 15~25kGy로 멸균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 혼합물은,
    상기 이식재용 파우더와 상기 첨가제의 혼합 비율이 중량부로 1: 0.3~0.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9.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
KR1020200078968A 2020-06-29 2020-06-29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 KR102358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968A KR102358602B1 (ko) 2020-06-29 2020-06-29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968A KR102358602B1 (ko) 2020-06-29 2020-06-29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29A KR20220001529A (ko) 2022-01-06
KR102358602B1 true KR102358602B1 (ko) 2022-02-04

Family

ID=7934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968A KR102358602B1 (ko) 2020-06-29 2020-06-29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6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395B1 (ko) 2012-12-12 2013-08-22 김상헌 무기물 및 유기물의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0427A (ko) * 2008-10-10 2010-04-20 주식회사 코리아티슈뱅크 자기 치아를 이용한 치료방법 및 치아 처리방법
KR20100047412A (ko) * 2008-10-29 2010-05-10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탈회골의 제조방법
KR100978562B1 (ko) * 2008-12-31 2010-08-27 주식회사 코리아본뱅크 스폰지형 골 이식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198115B1 (ko) 2010-05-11 2012-11-09 엄인웅 치아를 이용한 골 이식재 가공 방법 및 그에 의해 가공된 골 이식재
KR20130040384A (ko) * 2011-10-14 2013-04-24 티비엠 주식회사 자가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24774B1 (ko) 2012-07-23 2015-06-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자가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86322B1 (ko) 2013-02-14 2014-04-17 티비엠 주식회사 자가 치아 뼈 이식재의 가공방법
KR101382067B1 (ko) 2013-02-14 2014-04-04 티비엠 주식회사 크라운 지지부를 갖는 자가 치아 이식재의 가공방법
KR101747697B1 (ko) * 2015-01-29 2017-06-15 주식회사 덴티스 골이식재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골이식재
KR101779377B1 (ko) * 2015-07-31 2017-09-20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겔 안정성 및 강도가 우수한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395B1 (ko) 2012-12-12 2013-08-22 김상헌 무기물 및 유기물의 구성비가 조절된 치아 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29A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5381B2 (en) Transplantable particulate bone composition having high osteoinductive capacity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KR101163594B1 (ko) 치아 골 이식재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골 이식재
KR20100040427A (ko) 자기 치아를 이용한 치료방법 및 치아 처리방법
Lee et al. Combined effects of porous hydroxyapatite and demineralized bone matrix on bone induction: in vitro and in vivo study using a nude rat model
Chakar et al. Bone formation with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or biphasic calcium phosphate in the presence of autologous platelet lysate: comparative investigation in rabbit
Scarano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with decellularized bovine compact particles: a radiological, clinical, and histologic report of 4 cases
Flifl et al. Biological impact of alloplastic bone graft vs bovine xenograft and allograft materials in bone healing: An experimental study
Karalashvili et al. Decellularized bovine bone graft for zygomatic bone reconstruction
KR102358602B1 (ko)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
CN110279892B (zh) 一种骨修复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26560B1 (ko) 치아골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용 파우더
Whitesides et al. Sinus floor augmentation using a composite graft of bone morphogenic protein-2 and allogenic cancellous bone (Puros): case report
KR20240035022A (ko) 복합 치아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 치아골 이식재
KR20040087438A (ko) 동물 치아를 이용한 경조직 결손부 수복 및 이식재와 그제조방법
KR20020011164A (ko) 골이식 물질의 제조방법
KR101139337B1 (ko) 치아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Toker The effects of allograft combined with ozone therapy on regeneration of calvarial defects in rats
KR20240035023A (ko) 치아골 이식재용 파우더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아골 이식재용 파우더
Grassi et al. A new surgical protocol for horizontal ridge augmentation: simplified apposition technique. human histologic and radiographic analysis after 2.5 years of follow-up, a case report
de Almeida et al. In vivo evaluation of bovine xenograft associated with oxygen therapy in alveolar bone repair
KR101272958B1 (ko)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9847B1 (ko)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 치아 파우더의 소독 방법 및 소독제
JPH04114656A (ja) 骨誘導性脱灰歯牙物とその製造方法
JP2006122518A (ja) 骨又は歯周組織形成用組成物
KR20220113008A (ko) 임플란트 시술용 멤브레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임플란트 시술용 멤브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