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550B1 -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550B1
KR101298550B1 KR1020130036333A KR20130036333A KR101298550B1 KR 101298550 B1 KR101298550 B1 KR 101298550B1 KR 1020130036333 A KR1020130036333 A KR 1020130036333A KR 20130036333 A KR20130036333 A KR 20130036333A KR 101298550 B1 KR101298550 B1 KR 101298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stopper
headrest
support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태
Original Assignee
우성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2209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9855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우성테크(주) filed Critical 우성테크(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550B1/ko
Priority to PCT/KR2013/00905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65526A1/ko
Priority to CN201390000838.XU priority patent/CN204674411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62Tiltable with means for maintaining a desired position when the seat-back is adjusted, e.g. parallelogram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봉(1)의 수평바(2)에 고정되는 고정지지구(10); 하단이 상기 고정지지구(10)에 전후로 이격되도록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부가 전후방으로 회동되는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 상기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지지구(10)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가동지지구(40); 상기 제1연결부(20) 또는 제2연결부(30)에 연결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된 가동지지구(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50); 상단이 제1연결부(2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며 하단이 제2연결부(3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제1연결부(20) 또는 제2연결부(30)의 회동에 따라 상하로 신축되는 신축부재(60, 70); 및 상기 신축부재(60, 70)에 인접배치되어 신축부재(60, 70)의 신축작동을 멈추게하는 스토퍼(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를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A horizontal moving supporter of headres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좀 더 미세하게 위치조정이 가능하여 탑승자가 보다 안락함을 느낄 수 있으며 안정성과 작동신뢰도가 향상되고 유지보수비용도 절감되며 차체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 주행중 안락감을 높이고 사고시 부상 위험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탑승자의 자세나 신체구조에 따라 머리의 높이가 달라 종래에는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만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지만, 최근에 탑승자의 앉는 자세 등을 고려하여 헤드레스트를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시트에 결합되는 스테이로드(101)의 수평바(102)에 용접되고 일측 상단에 톱니 형태인 다수의 기어치(104)가 형성된 고정기어부(103)와, 하단이 상기 고정기어부(103)의 전후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회동구(105) 및 연결링크(106)와, 이 연결링크(10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기어부(103)의 기어치(104)에 걸려지는 회동기어부(107)와, 상기 회동구(105) 및 연결링크(106)의 상단에 결합되어 전후진되며 헤드레스트(110)에 결합되는 이동부(108)와, 상기 연결링크(106)를 원상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10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헤드레스트(110)의 수평위치조절구는 고정기어부(103)의 일측 상단에 전후방향을 따라 기어치(104)가 형성되므로, 고정기어부(103)의 전후방향 길이는 헤드레스트(110)의 쿠션 등을 고려할 때 매우 제한적이어서 헤드레스트(110)의 수평이동거리가 매우 짧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신체조건이나 탑승자세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헤드레스트(110)의 수평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으므로, 탑승자는 장시간 불편한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회동기어부(107)가 걸려지는 기어치(104)가 고정기어부(103)의 측면에 형성되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므로 외부충격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회동기어부(107)와 기어치(104)가 치합되지 않아서 헤드레스트(110)를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회동기어부(107)가 고정기어부(103)의 기어치(104)에 반복적으로 걸려짐에 따라 상기 기어치(104)가 마모되는 등 손상되어 고정기어부(103)를 교체해야 할 경우, 고정기어부(103)가 스테이로드(101)에 용접되어 고정기어부(103)만을 교체할 수 없으므로 스테이로드(101)까지 일괄적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015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이동보다 상하이동을 통해 좁은공간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차량 헤드레스트를 전후로 동일거리 대비 더 많은 횟수의 위치조정이 가능하여 전후방향을 따라 좀 더 미세하게 위치조절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가 보다 안락함을 느낄 수 있으며, 위치조절을 위한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충격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므로 안정성 및 작동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단일부품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고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 차체를 경량화시켜 차량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 시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봉(1)의 수평바(2)에 고정되는 고정지지구(10); 하단이 상기 고정지지구(10)에 전후로 이격되도록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부가 전후방으로 회동되는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 상기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지지구(10)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가동지지구(40); 상기 제1연결부(20) 또는 제2연결부(30)에 연결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된 가동지지구(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50); 상단이 제1연결부(2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며 하단이 제2연결부(3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제1연결부(20) 또는 제2연결부(30)의 회동에 따라 신축되는 신축부재(60, 70); 및 상기 신축부재(60, 70)에 인접배치되어 신축부재(60, 70)의 신축작동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축부재(60, 70)는 상단이 제1연결부(20)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제1신축부재(60)와, 이 제1신축부재(60)에 상대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제2연결부(30)의 하단에 힌지결합된 제2신축부재(7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신축부재(60) 또는 제2신축부재(70) 중 일측에는 톱니부(6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스토퍼(80)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80)는 보조스프링(90)에 의해 상기 톱니부(61)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축부재(60, 70)는 제1 및 제2연결부(20, 30)의 내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톱니부(61)가 형성된 제1신축부재(60) 또는 제2신축부재(70)에는 톱니부(61)와 접하는 일측면에 경사면(63)이 형성된 돌출벽(6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80)는 신축부재(60, 7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중간부가 제2신축부재(70) 또는 제1신축부재(6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길이방향 양단에는 제1신축부재(60) 또는 제2신축부재(70)의 톱니부(61)에 걸려지는 상측돌기(81) 및 상기 돌출벽(62)에 부딪치는 하측돌기(82)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동지지구(40)가 전후진됨에 따라 신축부재(60, 70)가 신축되면 스토퍼(80)의 상측돌기(81)가 신축부재(60, 70)의 돌출벽(62)의 경사면(63)을 따라 상승하여 톱니부(61)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며, 복귀스프링(50)에 의해 가동지지구(40)가 원상복귀됨에 따라 신축부재(60, 70)의 돌출벽(62)이 스토퍼(80)의 하측돌기(82)에 부딪치면 스토퍼(80)가 회전되어 상측돌기(81)가 신축부재(60, 70)의 톱니부(61)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축부재(60)는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의 내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80)에는 제1신축부재(60) 또는 제2신축부재(70)의 톱니부(61)에 걸려지는 돌기(81a)가 구비되고, 상기 톱니부(61)가 형성된 제1신축부재(60) 또는 제2신축부재(70)에는 상기 스토퍼(80)의 돌기(81a)가 수용되는 퇴피홈(65)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가동지지구(40)가 전후진되어 신축부재(60, 70)가 신축되면 스토퍼(80)의 돌기(81a)가 퇴피홈(65)에 내벽을 따라 미끄러져 수용됨으로써 신축부재(60, 70)의 톱니부(61)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톱니부(61)가 형성된 제1신축부재(60) 또는 제2신축부재(70)에는 스토퍼(80)의 돌기(81a)가 수용되는 복귀홈(66)이 더 구비되고, 이 복귀홈(66)과 상기 퇴피홈(65) 사이에 톱니부(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지지구(10)는 금속판을 단면 "U"자형으로 절곡시켜 제작하되, 저면의 전후단에서 지지봉(1)의 수평바(2)를 감싸도록 하향 절곡되거나 또는 양측면 중앙부가 절개되어 저면과 동일평면이 되도록 수평절곡되어 지지봉(1)의 수평바(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브래킷부(11)가 더 구비되며, 이 브래킷부(11)에는 상기 지지봉(1)의 수평바(2)를 관통하는 결합볼트(13)가 삽입되는 관통공(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부(20), 제2연결부(30) 및 가동지지구(40) 중 적어도 하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레스트(7)의 두께로 인해 제한된 길이를 갖는 고정기어부 측면에 전후로 형성된 기어치에 의해 전후로 위치조절하던 종래와는 달리, 고정지지구(10)와는 별체로 이루어지며 헤드레스트(7)의 두께와 무관하게 상하신축길이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는 신축부재(60, 70)를 통해 전후로 위치조절할 수 있으므로, 신축부재의 길이를 더 길게 하면 기존제품보다 헤드레스트(7)를 전후방향으로 좀 더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신체조건이나 탑승자세가 각기 다른 탑승자들의 머리를 더욱 더 안락하게 받쳐줄 수 있다. 특히,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 전후진되는 헤드레스트(7)를 전후 동일거리 대비 더 많은 횟수의 위치조정이 가능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면서도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60, 70)가 고정지지구(10)에 결합된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20, 30)의 내측부에 구비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이로 인해 부품의 파손이 방지되어 유지보수 및 교체비용이 절감될 뿐 아니라 작동불능되는 것이 방지되어 작동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고정기어부에 형성된 기어치의 마모 등으로 고정기어부를 교체해야 할 경우 고정기어부가 스테이로드에 용접되어 있으므로 스테이로드까지 일괄적으로 교체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톱니부(61)는 고정지지구(10)와 별체이며 지지봉(1)에 용접 등으로 직접 결합되어 있지 않은 신축부재(60, 70)에 형성되므로, 단일부품인 신축부재(60, 70)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하며 비용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고정지지구(10)는 금속판을 절곡시켜 제작하되 전후 또는 양측면에서 절개, 절곡시켜 지지봉(1)의 수평바(2)를 감싸거나 수평바(2)를 따라 연장된 브래킷부(11)를 구비하고, 결합볼트(13) 및 너트(14)를 이용하여 브래킷부(11)를 상기 수평바(2)에 볼팅결합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고정지지구(10) 또는 지지봉(1) 각각을 별도로 교체할 수 있어 부품이 낭비되지 않고 유지보수 및 교체비용이 더욱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한편, 헤드레스트(7)의 수평위치조절구의 비교적 무게가 많이 나가며 단순히 회동되는 구조인 제1 및 제2연결부(20, 30)와 가동지지구(40)를 경량이면서 강도가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차체를 경량화시켜 차량연비를 향상시키고 물류비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2 내지 도 15는 도 11의 작동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6의 작동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봉(1)의 수평바(2)에 결합되는 고정지지구(10)와, 하단이 상기 고정지지구(1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힌지결합된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와, 이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지지구(10)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가동지지구(40)와, 전방으로 이동된 가동지지구(40)를 후방으로 원상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50)과, 상단이 제1연결부(20)에 힌지결합되고 하단이 제2연결부(30)에 힌지결합된 신축부재(60, 70)와, 이 신축부재(60, 70)에 인접배치되어 신축부재(60, 70)의 신축작동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8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지지구(10)는 금속판을 단면 "U"자형 또는 "ㄷ"형으로 절곡시킨 것으로, 그 저면이 볼트체결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지지봉(1)의 수평바(2)에 고정된다. 상기 가동지지구(40)는 하측이 단면 "∩"자형으로 이루어져서 양측이 제1 및 제2연결부(20, 30)의 상부 측면에 결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가동지지구(4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0)는 고정지지구(10)와 가동지지구(40) 사이의 전면부를 가로질러 놓여지고, 양측에 후방으로 절곡된 후방절곡돌부(21)가 구비되며, 이 후방절곡돌부(21)의 하부 양측 및 상부 양측에 각각 고정지지구(10) 및 가동지지구(40)와 축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30)는 고정지지구(10)와 가동지지구(40) 사이의 후면부를 가로질러 놓여지고, 양측에 전방으로 절곡된 전방절곡돌부(31)가 구비되며, 이 전방절곡돌부(31)의 하부 양측 및 상부 양측에 각각 고정지지구(10) 및 가동지지구(40)와 축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단순히 다른 부품에 축결합되어 회동되며 다른 부품과 치합되는 구성이 아닌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20, 30)와 가동지지구(40)는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스틸 이외에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경량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으로 이루어져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작동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무게를 줄여서 차량 자체를 경량화시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물류비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50)은 제2연결부(30)의 하부 결합공에 삽입결합된 L자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제2연결부(30)가 고정지지구(10)에 대해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탄성가압한다. 이와 같은 복귀스프링(50)은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20, 30)가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작동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연결부(20, 30)의 하단 및 상단이 고정지지구(10)와 가동지지구(40)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제1 및 제2연결부(20, 30)의 상부가 고정지지구(10)를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가동지지구(40)는 전후진된다.
상기 신축부재(60, 70)는 상단이 제1연결부(20)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제1신축부재(60)와, 이 제1신축부재(60)와 상대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제2연결부(30)의 하단에 힌지결합된 제2신축부재(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신축부재(60)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가동지지구(40)에 축결되는 결합공이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이 결합공과 제1연결부(20)의 상단 결합공에는 동일한 축부재(3)가 축결된다. 제1신축부재(60)의 제2연결부(30)와 마주하는 후면에는 톱니부(6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형성된다. 제1신축부재(60) 톱니부(61)의 하측에는 돌출벽(62)이 톱니부(61)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돌출벽(62)의 톱니부(61)와 접하는 일측면에는 경사면(63)이 형성된다.
상기 제2신축부재(70)는 전면판(71)과 양 측판(7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가이드통로(73)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채널 형상이며, 하단 양측에는 고정지지구(10)와 축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이때, 제2신축부재(70)의 결합공과 제2연결부(30)의 하단 결합공에는 동일한 축부재(6)가 축결된다. 한편, 미설명 부호 4,5는 각각 제2연결부재(30)의 결합공과 가동지지구(40)를 연결하는 축부재 및 제1연결부재(20)의 결합공과 고정지지구(10)를 연결하는 축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제1신축부재(60)의 하단이 제2신축부재(7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가이드통로(73)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가동지지구(40)가 전후진되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의 가이드통로(73)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신축부재(60, 70)가 신축된다.
이와 같은 신축부재(60, 70)는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 사이에 위치될 뿐 아니라 제1연결부(20)의 양측 후방절곡돌부(21) 및 제2연결부(30)의 양측 전방절곡돌부(31) 사이에 위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그 중앙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수평위치조절구의 측면에 기어치가 그대로 노출되던 종래와 달리 톱니부(61)가 형성된 신축부재(60, 70)가 수평위치조절구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어 안정성 및 작동신뢰도가 향상되며, 제1 및 제2연결부(20, 30)와 함께 신축부재(60, 70)의 상하신축 또는 경사진 상태로 신축되어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80)는 상기 신축부재(60, 70)의 신축작동을 멈추게 하는 것으로, 제2신축부재(70)의 측판(72)을 연결하는 회전축(8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신축부재(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스토퍼(8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측돌기(81) 및 하측돌기(82)가 회전축(83)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83)은 하측돌기(82)와 근접 배치되도록 상측돌기(81)와 하측돌기(82) 사이에 구비되며, 제1신축부재(60)의 돌출벽(62)은 상측돌기(81)와 하측돌기(82)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상측돌기(81)는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에 걸려서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의 가이드통로(73)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신축부재(60, 70)가 신축되는 것을 멈추게 한다. 이와 같이, 신축부재(60, 70)의 신축이 멈춤에 따라 제1연결부(20)가 고정지지구(10)에 대해 위치가 고정되어 가동지지구(40)도 위치 고정된다. 상기 하측돌기(82)는 제1신축부재(60)의 돌출벽(62)의 타측면과 충돌됨에 따라 스토퍼(80)가 회전축(83)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해준다. 이때, 스토퍼(80)는 상측돌기(81)가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에 걸려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스토퍼(80)를 회전위치에 따라 상측돌기(81)가 톱니부(6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지지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지지하는 보조스프링(90)이 더 구비된다. 이 보조스프링(90) 역시 도시된 원호형 스프링 외에 L자형스프링,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 다양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외부에 가동지지구(40)와 연결되는 도시안된 커버가 결합되며 이 커버의 외측에 발포 및 외측커버링하여 헤드레스트(7)의 전체형상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작동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가동지지구(40)가 복귀스프링(50)에 의해 후방으로 끝까지 밀려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스토퍼(80)의 상측돌기(81)가 톱니부(61)의 최상단에 걸려짐에 따라 신축부재(60, 70)가 신축되는 것이 멈춰서 제1연결부(20)가 고정지지구(10)에 위치 고정되므로 헤드레스트(7)가 최후방에 위치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7)를 전방으로 밀면, 제1연결부(20)의 상부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에서 신장함에 따라 스토퍼(80)의 상측돌기(81)가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를 타고 넘게 된다. 이때, 밀던 힘을 해제하면 스토퍼(80)의 상측돌기(81)가 톱니부(61)에 걸려 신축부재(60, 70)의 신장이 멈추므로 제1연결부(20)가 위치 고정되어 헤드레스트(7)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 이때, 복귀스프링(50)은 탄성가압된 상태이다.
헤드레스트(7)가 원하는 위치에서 좀 더 전방으로 이동된 경우 도 5와 같이 헤드레스트(7)를 완전히 전방으로 밀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에서 더욱 신장되어 스토퍼(80)의 상측돌기(81)가 제1신축부재(60)의 돌출벽(62)의 경사면(63)을 따라 상승하여 제1신축부재(60)가 스토퍼(80)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보조스프링(90)이 스토퍼(80)의 상측돌기(81)가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에 밀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스토퍼(80)를 탄성지지하여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의 가이드통로(73)를 따라 하강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탄성가압된 복귀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및 제2연결부(20, 30)의 상부가 고정지지구(10)에 대해 후방으로 회동되어 헤드레스트(7)가 최후방으로 이동된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의 가이드통로(73)를 따라 하강되면서 돌출벽(62)이 스토퍼(80)의 하측돌기(82)에 부딪침에 따라 스토퍼(80)가 회전축(83)을 중심으로 상측돌기(81)가 톱니부(6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7)를 다시 전방으로 당기면서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한편,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의 상측에는 스토퍼(80)의 상측돌기(81)가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에 밀착되도록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벽(64)이 구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그 작동상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의 위치를 바꾼 것으로,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의 하단이 각각 고정지지구(10)의 후단 및 전단에 힌지결합된다. 제1신축부재(60)의 제2연결부(30)와 마주하는 전면에 톱니부(61)가 형성되고, 돌출벽(62)은 톱니부(61)의 상측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80)와 보조스프링(90)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의 변형된 제2실시예는 헤드레스트(7)를 전방으로 밀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의 가이드통로(73)를 따라 하강되어 신축부재(60, 70)의 길이가 축소되고, 헤드레스트(7)가 후방으로 밀려나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에서 상승하여 신축부재(60, 70)가 신장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레스트(7)의 전후진에 따라 신축부재(60, 70)의 신축작동이 제1실시예와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헤드레스트(7)의 전후진에 따라 스토퍼(80)가 신축부재(60, 70)의 신축을 멈추게 하는 작동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헤드레스트(7)를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도 11의 작동상태도로서,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제1신축부재(60), 스토퍼(80) 및 보조스프링(90)의 형상을 변형시킨 것으로, 변형된 부분 이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제1신축부재(60)는 제2연결부(30)와 마주보는 후면에 톱니부(61)의 상측 및 하측에 전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복귀홈(66) 및 퇴피홈(65)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퇴피홈(65) 및 복귀홈(66)의 내경은 스토퍼(80)의 돌기(81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돌기(81a)가 상기 홈의 내부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80)는 제2신축부재(70)에 회전축(8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톱니부(61)에 걸려지는 돌기(81a)가 구비된다. 한편, 제2신축부재(70)의 측판(72)을 연결하는 고정바(74)가 상기 회전축(83)보다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스프링(90)은 일단이 상기 고정바(74)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토퍼(80)에 연결되어 스토퍼(80)의 돌기(81a)가 하측으로 당겨져 톱니부(61)에 걸려지도록 탄성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작동을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가동지지구(40)가 복귀스프링(50)에 의해 후방으로 끝까지 밀려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스토퍼(80)의 돌기(81a)가 복귀홈(66)에 수용되며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의 가이드통로(73)의 최하단까지 삽입되거나 또는 제1신축부재(60) 상단의 축부재(3)가 제2신축부재(70)의 상면에 걸려서 신축부재(60, 70)의 길이가 축소되는 것이 멈추면 제1연결부(20)가 고정지지구(10)에 위치가 고정되므로 헤드레스트(7)가 최후방에 위치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13과 같이 헤드레스트(7)를 전방으로 밀면, 제1연결부(20)의 상부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에서 상승하여 신축부재(60, 70)가 신장됨에 따라 스토퍼(80)의 돌기(81a)가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를 타고 넘게 된다. 이때, 밀던 힘을 해제하면 보조스프링(90)에 의해 스토퍼(80)의 돌기(81a)가 톱니부(61)에 걸려 신축부재(60, 70)의 신장이 멈추므로, 제1연결부(20)가 위치 고정됨에 따라 헤드레스트(7)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복귀스프링(50)은 탄성가압된 상태이다.
헤드레스트(7)가 원하는 위치보다 좀 더 전방으로 이동된 경우 도 14와 같이 헤드레스트(7)를 완전히 전방으로 밀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에서 더욱 상승되어 신축부재(60, 70)가 좀 더 신장되면 스토퍼(80)의 돌기(81a)가 제1신축부재(60)의 퇴피홈(65)의 내벽을 따라 일정각을 이루면서 미끄러져서 퇴피홈(65)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80)의 돌기(81a)가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므로, 복귀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및 제2연결부(20, 30)의 상부가 고정지지구(10)에 대해 후방으로 회동되어 도 12에서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13과 같이 헤드레스트(7)를 다시 전방으로 밀면서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한편, 헤드레스트(7)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도 15와 같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의 가이드통로(73)를 따라 하강되어 신축부재(60, 70)의 길이는 축소되며, 스토퍼(80)의 돌기(81a)의 측부가 퇴피홈(65)의 테이퍼진 내측면에 부딪치면서 돌기(81a)의 선단이 하측을 향한 상태로 톱니부(61)를 타고 넘게 된다. 결국, 도 12와 같이 돌기(81a)가 복귀홈(66)에 수용되면서 헤드레스트(7)가 최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고정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6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3실시예에서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의 위치를 바꾼 것으로,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의 하단이 각각 고정지지구(10)의 후단 및 전단에 힌지결합된다. 제1신축부재(60)의 제2연결부(30)와 마주하는 전면에 톱니부(61)가 형성되고, 퇴피홈(65)은 톱니부(61)의 상측에 구비되며 복귀홈(66)은 톱니부(61)의 하측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80)와 보조스프링(90)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와 같이 제3실시예의 변형된 제4실시예는 헤드레스트(7)를 전방으로 밀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의 가이드통로(73)를 따라 하강되어 신축부재(60, 70)의 길이가 축소되고, 헤드레스트(7)가 후방으로 밀려나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에서 상승되어 신축부재(60, 70)가 신장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레스트(7)의 전후진에 따라 신축부재(60, 70)의 신축작동이 제3실시예와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헤드레스트(7)의 전후진에 따라 스토퍼(80)가 신축부재(60, 70)의 신축을 멈추게 하는 작동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3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헤드레스트(7)를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제1신축부재(60)가 바 형상이며 제2신축부재(70)가 채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제1신축부재(60)가 채널 형상이고 제2신축부재(70)가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토퍼(80)가 채널형상의 신축부재(60, 70)에 구비되고 톱니부(61)가 바 형상의 신축부재(60, 70)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스토퍼(80)가 바 형상의 신축부재(60, 70)에 구비되고 톱니부(61)가 채널형상의 신축부재(60, 7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및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를 도시한 것으로, 고정지지구(10)의 형태를 변형시킨 것이며 그 이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고정지지구(10)는 대략 직사각형의 금속판을 단면 "U"자형 또는 "ㄷ"형으로 절곡시켜 제작하되, 제5실시예의 고정지지구(10)는 그 저면의 전후단 중앙부를 절개하여 하향 절곡함으로써 지지봉(1)의 수평바(2)의 전후면을 감싸는 형태의 브래킷부(11)가 형성되고, 제6실시예의 고정지지구(10)는 양 측면의 중앙부를 절개하여 측방으로 수평 연장함으로써 저면과 동일평면을 형성하는 형태의 브래킷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부(11)에는 고정지지구(10)의 전후방향으로 관통공(12)이 형성되고, 지지봉(1)의 수평바(2)에도 고정지지구(10)의 관통공(12)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볼트(13)가 고정지지구(10)의 관통공(12) 및 지지봉(1)의 수평바(2)를 관통하여 너트(14)로 결합되므로 고정지지구(10)가 지지봉(1)의 수평바(2)에 용접이 아닌 볼팅방식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볼트(13)와 너트(14)를 간편하게 풀러서 고정지지구(10) 또는 지지봉(1)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부품이 불필요하게 낭비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브래킷부(11)가 면접촉되도록 지지봉(1)의 수평바(2)가 사각파이프 형상의 안착부(3, 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지지봉(1) 자체를 원형파이프 이외에 사각파이프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고정지지구(10)가 지지봉(1)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자동차 시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봉(1)의 수평바(2)에 고정되는 고정지지구(10);
    하단이 상기 고정지지구(10)에 전후로 이격되도록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부가 전후방으로 회동되는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
    상기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지지구(10)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가동지지구(40);
    상기 제1연결부(20) 또는 제2연결부(30)에 연결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된 가동지지구(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50);
    상단이 제1연결부(2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며 하단이 제2연결부(3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제1연결부(20) 또는 제2연결부(30)의 회동에 따라 신축되는 신축부재(60, 70); 및
    상기 신축부재(60, 70)에 인접배치되어 신축부재(60, 70)의 신축작동을 멈추게하는 스토퍼(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60, 70)는 상단이 제1연결부(20)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제1신축부재(60)와, 이 제1신축부재(60)에 상대적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이 제2연결부(30)의 하단에 힌지결합된 제2신축부재(7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신축부재(60) 또는 제2신축부재(70) 중 일측에는 톱니부(6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스토퍼(80)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80)는 보조스프링(90)에 의해 상기 톱니부(61)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60, 70)는 제1 및 제2연결부(20, 30)의 내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톱니부(61)가 형성된 제1신축부재(60) 또는 제2신축부재(70)에는 톱니부(61)와 접하는 일측면에 경사면(63)이 형성된 돌출벽(6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80)는 신축부재(60, 7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중간부가 제2신축부재(70) 또는 제1신축부재(6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길이방향 양단에는 제1신축부재(60) 또는 제2신축부재(70)의 톱니부(61)에 걸려지는 상측돌기(81) 및 상기 돌출벽(62)에 부딪치는 하측돌기(82)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동지지구(40)가 전후진됨에 따라 신축부재(60, 70)가 신축되면 스토퍼(80)의 상측돌기(81)가 신축부재(60, 70)의 돌출벽(62)의 경사면(63)을 따라 상승하여 톱니부(61)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며, 복귀스프링(50)에 의해 가동지지구(40)가 원상복귀됨에 따라 신축부재(60, 70)의 돌출벽(62)이 스토퍼(80)의 하측돌기(82)에 부딪치면 스토퍼(80)가 회전되어 상측돌기(81)가 신축부재(60, 70)의 톱니부(61)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60)는 제1 및 제2연결부(20, 30)의 내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80)에는 제1신축부재(60) 또는 제2신축부재(70)의 톱니부(61)에 걸려지는 돌기(81a)가 구비되고, 상기 톱니부(61)가 형성된 제1신축부재(60) 또는 제2신축부재(70)에는 상기 스토퍼(80)의 돌기(81a)가 수용되는 퇴피홈(65)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가동지지구(40)가 전후진되어 신축부재(60, 70)가 신축되면 스토퍼(80)의 돌기(81a)가 퇴피홈(65)에 내벽을 따라 미끄러져 수용됨으로써 신축부재(60, 70)의 톱니부(61)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61)가 형성된 제1신축부재(60) 또는 제2신축부재(70)에는 스토퍼(80)의 돌기(81a)가 수용되는 복귀홈(66)이 더 구비되고, 이 복귀홈(66)과 상기 퇴피홈(65) 사이에 톱니부(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구(10)는 금속판을 단면 "U"자형으로 절곡시켜 제작하되, 저면의 전후단에서 지지봉(1)의 수평바(2)를 감싸도록 하향 절곡되거나 또는 양측면 중앙부가 절개되어 저면과 동일평면이 되도록 수평절곡되어 지지봉(1)의 수평바(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브래킷부(11)가 더 구비되며, 이 브래킷부(11)에는 상기 지지봉(1)의 수평바(2)를 관통하는 결합볼트(13)가 삽입되는 관통공(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20), 제2연결부(30) 및 가동지지구(40) 중 적어도 하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KR1020130036333A 2012-10-24 2013-04-03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KR101298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9058 WO2014065526A1 (ko) 2012-10-24 2013-10-10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CN201390000838.XU CN204674411U (zh) 2012-10-24 2013-10-10 车辆用头垫的水平位置调节工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8388 2012-10-24
KR1020120118388 2012-10-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288A Division KR20140052813A (ko) 2012-10-24 2013-07-04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550B1 true KR101298550B1 (ko) 2013-08-22

Family

ID=492209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333A KR101298550B1 (ko) 2012-10-24 2013-04-03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KR1020130078288A KR20140052813A (ko) 2012-10-24 2013-07-04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288A KR20140052813A (ko) 2012-10-24 2013-07-04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298550B1 (ko)
CN (1) CN204674411U (ko)
WO (1) WO201406552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527B1 (ko) 2014-03-17 2015-09-17 현대다이모스(주) 전동식 헤드레스트
KR20180070155A (ko)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의 폴가이드
KR20200021041A (ko) * 2018-08-16 2020-02-27 (주)디디디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KR20200021040A (ko) * 2018-08-16 2020-02-27 (주)디디디 익스텐션 틸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048B1 (ko) 2014-11-26 2016-02-11 주식회사 서연이화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152B1 (ko) 2003-04-14 2005-08-26 주식회사 우보테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0790535B1 (ko) 2007-02-07 2008-01-02 (주)현대공업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1171234B1 (ko) 2010-07-26 2012-08-06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2012162123A (ja) 2011-02-04 2012-08-30 Ts Tech Co Ltd ヘッドレストの前後位置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152B1 (ko) 2003-04-14 2005-08-26 주식회사 우보테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0790535B1 (ko) 2007-02-07 2008-01-02 (주)현대공업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1171234B1 (ko) 2010-07-26 2012-08-06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2012162123A (ja) 2011-02-04 2012-08-30 Ts Tech Co Ltd ヘッドレストの前後位置調整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527B1 (ko) 2014-03-17 2015-09-17 현대다이모스(주) 전동식 헤드레스트
US9878645B2 (en) 2014-03-17 2018-01-30 Hyundai Dymos Incorporated Electric-powered headrest
KR20180070155A (ko)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의 폴가이드
KR102466071B1 (ko) 2016-12-16 2022-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의 폴가이드
KR20200021041A (ko) * 2018-08-16 2020-02-27 (주)디디디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KR20200021040A (ko) * 2018-08-16 2020-02-27 (주)디디디 익스텐션 틸팅 장치
KR102125981B1 (ko) * 2018-08-16 2020-06-25 (주)디디디 익스텐션 틸팅 장치
KR102125978B1 (ko) * 2018-08-16 2020-06-25 (주)디디디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5526A1 (ko) 2014-05-01
KR20140052813A (ko) 2014-05-07
CN204674411U (zh)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55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US8708411B2 (en) Vehicle seat
US7237838B2 (en) Active headrest with decoupled lumbar frame
EP1185434B1 (en) Continuous self-adjusting head restraint system
US7850235B2 (en)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with actuating system for a vehicle seat
US20040155496A1 (en) Anti-backdriving active head restraint
US7992913B2 (en) Fold flat seat assembly
WO2007010616A1 (ja) 車両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用連結機構
KR20080059251A (ko) 능동형 헤드 억제부
CN107640072A (zh) 具有可调节的头部约束组件的座椅组件
US8833850B2 (en) Vehicle seat
KR101607103B1 (ko) 진입 간편화 기능을 갖는 차량 시트용 잠금 해제 장치 및 잠금 해제 장치의 작동 방법
US9855868B2 (en) Seat adjuster assembly
US8434820B2 (en) Vehicle seat with securing device for a support element
KR20120067364A (ko) 신축형 스트라이커 및 신축형 스트라이커를 구비한 의자
JP2015221620A (ja) 乗物用シート
JP6562005B2 (ja) 車両用シートの乗降サポート構造
US8353551B2 (en) Linear latch with spring biased adjustment bar for use with an upper rear pivoting seat back
US20050023878A1 (en) Neck rest for the back rest of automobile seats, in particular rear seats
JP2018177209A (ja) 自動車シートの長手方向の移動および調節のための装置
KR1013721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JP4480167B2 (ja) ウォークインシート構造
KR20070054282A (ko) 차량용 시트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JP5920252B2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118

Effective date: 20150626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724

Effective date: 201601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