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279B1 -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279B1
KR101298279B1 KR1020090050949A KR20090050949A KR101298279B1 KR 101298279 B1 KR101298279 B1 KR 101298279B1 KR 1020090050949 A KR1020090050949 A KR 1020090050949A KR 20090050949 A KR20090050949 A KR 20090050949A KR 101298279 B1 KR101298279 B1 KR 101298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vinyl chloride
chloride resin
refriger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234A (ko
Inventor
윤정훈
김보리
문보환
한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9005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279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8Bioc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에폭시화 대두유를 포함하는 가소제 성분 15 내지 70 중량부 및 제올라이트계 소취제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폭시화 대두유를 포함하는 가소제 성분은 에폭시화 대두유의 함량이 30 내지 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취성, 내이행성, 내열신장잔율, 가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내이행성, 무취성, 가스켓, 염화비닐 수지, 에폭시화 대두유, 가소제, 소취제

Description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High Migration-resistant PVC Composition For Refrigerator Door Gasket}
본 발명은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취성, 내이행성, 내열신장잔율, 가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 수지는 5대 범용 플라스틱 수지 중의 하나로, 파이프, 창틀등과 같은 경질 제품에서 연질시트, 전선 등과 같은 연질 제품까지 다양하게 적용 생산되는데, 냉장고 도어 가스켓의 재료로도 이용되고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 가스켓은 냉장고 도어에 부착되어 냉장고 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장고 도어 가스켓은 일반적으로 염화비닐 수지에 열안정제, 가소제, 충진제, 항균제 등이 첨가 및 배합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가공하여 제조된다.
상기 가소제는 가스켓에 기밀성과 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주로 액상형태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사용되고, 때에 따라서는 에스터 형태의 고분자 가소제도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가스켓은 내이행성이 열악하여 장시간 사용시 딱딱해지고, 크랙(crack)이 발생하며, 냉장고의 외관을 흉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고, 상기 에스터 형태의 고분자 가소제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용 가스켓은 내이행성이 다소 향상되나, 가공성이 떨어지며, 가소제의 가격이 비싸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내이행성, 가공성 및 경제성 등이 모두 우수한 냉장고 도어 가스켓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무취성, 내이행성, 내열신장잔율, 가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에폭시화 대두유를 포함하는 가소제 성분 15 내지 70 중량부 및 제올라이트계 소취제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폭시화 대두유를 포함하는 가소제 성분은 에폭시화 대두유의 함량이 30 내지 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소제로 에폭시화 대두유 및 제올라이트계 소취제를 일정량 포함하므로써 무취성, 내이행성, 내열신장잔율, 가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이 가소제로 값싼 에폭시화 대두유를 일정량 포함하는 경우 내이행성, 내열신장율, 가공성 등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고, 나아가 에폭시화 대두유를 포함하는 경우 에폭시화 대두유의 독특한 냄새가 문제될 수 있는데, 특별히 제올라이트계 소취제를 사용함으로써 그 냄새가 제거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냉장고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에폭시화 대두유를 포함하는 가소제 성분 15 내지 70 중량부 및 제올라이트계 소취제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폭시화 대두유를 포함하는 가소제 성분은 에폭시화 대두유의 함량이 30 내지 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화비닐 수지는 중합도 1,000 내지 2,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 내에서 요구되는 물성, 즉 인장강도 및 신율을 만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에폭시화 대두유를 포함하는 가소제 성분은 에폭시화 대두유가 3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3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내이행성 등의 향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에폭시화 대두유를 포함하는 가소제 성분은 상기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 내지 7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경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 딱딱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계 소취제는 에폭시화 대두유의 독특한 향의 물질을 흡착시킬 수 있는 다공질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구체적인 예로 규산알루미늄수산화물계 제올라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계 소취제는 0.5 내지 5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품의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 냄새를 줄이는 효과가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인 예로, 중합도 1,000 내지 2,500인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에폭시화 대두유 25 내지 70 중량부;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0 내지 45 중량부; 제올라이트계 소취제 0.5 내지 5 중량부; 칼슘-아연계 복합 안정제 2 내지 5 중량부; 무기물 충진제 10 내지 40 중량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가공조제 0.5 내지 3 중량부; 백색 안료 2 내지 5 중량부; 활제로 스테아린산 0.1 내지 0.5 중량부; 및 항균제 0.2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통상 냉장고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분말로 얻을 수 있는 제조방법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PVC 100 중량부, 가소제로 에폭시화 대두유 70 중량부, 제올라이트계 소취제로 규산알루미늄수산화물 2 중량부, 무기 충진제로 25 중량부, 분말 형태의 칼슘-아연계 복합안정제(NT-01A, 레오켐사 제조) 4 중량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가공조제(PA828, LG화학 제조) 0.5 중량부 및 백색 안료(Omya-1T, 한국오미아사 제조) 2 중량부, 활제로 스테아린산 0.3 중량부 및 항균제로 유기항균제(P-250P, 아성정밀화학사 제조) 0.2 중량부를 고속 교반기를 이용하여 110 ℃까지 승온하면서 혼합한 다음, 냉각수가 들어가는 냉각 자켓 설비를 이용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켜 분말상의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가소제로 에폭시화 대두유 35 중량부 및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3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가소제로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7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가소제로 분자량 2,600의 고분자 가소제(P-2600, 송원산업 제조) 35 중량부 및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3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 경도- Shore A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내이행성- PS Plate, 80℃, 1Kg, 3 days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 638에 의거하여 인장속도 200 ㎜/min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 내열신장잔율- 120℃. 24Hr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경도(Shore A) 74 74 74 74
내이행성(%) 0.10 0.22 2.0 0.58
인장강도(㎏/㎠) 144 145 152 155
신율(%) 580 610 570 573
내열신장잔율(%) -1.5 -0.5 -19.3 -12.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폭시화 대두유 및 제올라이트계 소취제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실시예 1 및 2)은 에폭시화 대두유의 독특한 냄새가 없고,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또는 고분자 가소제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비교예 1 및 2)과 비교하여 경도, 인장강도 및 신율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내이행성 및 내열신장잔율은 현저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 에폭시화 대두유를 포함하는 가소제 성분 35 내지 70중량부 및 제올라이트계 소취제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폭시화 대두유를 포함하는 가소제 성분은 에폭시화 대두유의 함량이 30 내지 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화 대두유를 포함하는 가소제 성분은, 에폭시화 대두유 및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계 소취제는, 규산알루미늄수산화물계 제올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중합도 1,000 내지 2,500인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에폭시화 대두유 35 내지 70 중량부;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0 내지 35 중량부; 제올라이트계 소취제 0.5 내지 5 중량부; 칼슘-아연계 복합 안정제 2 내지 5 중량부; 무기물 충진제 10 내지 40 중량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가공조제 0.5 내지 3 중량부; 백색 안료 2 내지 5 중량부; 스테아린산 활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항균제 0.2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20090050949A 2009-06-09 2009-06-09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1298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949A KR101298279B1 (ko) 2009-06-09 2009-06-09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949A KR101298279B1 (ko) 2009-06-09 2009-06-09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234A KR20100132234A (ko) 2010-12-17
KR101298279B1 true KR101298279B1 (ko) 2013-08-20

Family

ID=4350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949A KR101298279B1 (ko) 2009-06-09 2009-06-09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701B1 (ko) * 2012-11-06 2013-05-13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냉장고 가스켓용 조성물
WO2014100864A1 (pt) * 2012-12-28 2014-07-03 Braskem S.A. Composição polimérica e seu uso, processo de polimerização e produt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3197A1 (ja) * 2003-09-30 2005-04-14 Asahi Denka Co., Ltd. 車輌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KR20060015538A (ko) * 2003-04-26 2006-02-17 크롬프톤 비닐 아디티베스 게엠베하 할로겐화 중합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제 시스템
KR20080055800A (ko) * 2005-08-24 2008-06-19 월터 더블유. 쿠섹 강화 pvc 플라스티솔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제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538A (ko) * 2003-04-26 2006-02-17 크롬프톤 비닐 아디티베스 게엠베하 할로겐화 중합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제 시스템
WO2005033197A1 (ja) * 2003-09-30 2005-04-14 Asahi Denka Co., Ltd. 車輌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KR20080055800A (ko) * 2005-08-24 2008-06-19 월터 더블유. 쿠섹 강화 pvc 플라스티솔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234A (ko) 201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8296C (en) Flexible pvc compositions made with plasticizers derived from renewable sources
KR101731366B1 (ko) 복합 가소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CN110408149B (zh) 一种高耐寒聚氯乙烯电缆材料及其制备方法
EP2975086A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transparent article
KR20180037651A (ko)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아크릴계 수지의 혼합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실내 내장재용 보드
KR101239843B1 (ko)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EP2711393A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injection molding
KR101298279B1 (ko) 내이행성이 뛰어난 냉장고 도어 가스켓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20180113646A (ko) 투명제품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1605508B1 (ko) 탈색방지 및 기계적물성 향상에 의한 고내구성 염화비닐관
CN101544800A (zh) 一种环保封边条的配方
KR100911573B1 (ko)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 올레핀계 복합수지 조성물
KR101212456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합성수지관
KR101033830B1 (ko) 내후성이 향상된 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0976805B1 (ko) 수도관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75990B1 (ko) 고기능성 인캡슐레이션 인서트 몰딩용 합성수지 조성물
KR101218406B1 (ko)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86773B1 (ko) 인장강도 및 내후성을 향상시킨 고강도 파이프 제조용수지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고강도 파이프
WO2017170037A1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KR101860494B1 (ko) 내충격성 및 평활도가 향상된 염화비닐관
KR101806625B1 (ko)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
JPH0553833B2 (ko)
JP2012062396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53942A (ko) 염화비닐 수지용 가소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전선, 및 차량 내장재
KR101721801B1 (ko) Pvc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